KR101955294B1 - 병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294B1
KR101955294B1 KR1020147023698A KR20147023698A KR101955294B1 KR 101955294 B1 KR101955294 B1 KR 101955294B1 KR 1020147023698 A KR1020147023698 A KR 1020147023698A KR 20147023698 A KR20147023698 A KR 20147023698A KR 101955294 B1 KR101955294 B1 KR 10195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radial direction
bottle
panel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713A (ko
Inventor
히로키 오구치
고로 쿠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433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164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0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435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0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261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4013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4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sidewall or shoulde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27Hollow longitudinal ribs

Abstract

본 발명의 병(1)은 원통형의 몸통부(13)에, 그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패널부(5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됨은 물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패널부(51)끼리의 사이에 기둥부(52)를 갖는다. 패널부(51)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패널 바닥벽부(53), 및 상기 패널 바닥벽부(53)의 외주연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측벽부(54)를 갖는다. 상기 패널 바닥벽부(53)에는 상기 측벽부(54) 중, 적어도 둘레 방향을 향하는 세로 측벽부(54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55)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병{BOTTLE}
본 발명은 병(bottle)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2월 29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43363호, 2012년 7월 3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170598호, 2012년 7월 3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170599호, 및 2012년 10월 3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24054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병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병은 원통형의 몸통부에, 그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됨은 물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패널부끼리의 사이에 기둥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병에 밀봉된 내용물의 온도가 저하되어 병 내부가 감압한 경우 등에, 패널부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우선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병 중 패널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병 내부의 감압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병의 감압 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몸통부의 외표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환상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병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병은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이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가동벽부, 및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함몰 주벽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3에 나타낸 병은 가동벽부가 함몰 주벽부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回動)함으로써, 병 내부의 감압을 흡수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3의 병에서는 몸통부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고, 또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하는 원주 홈을 병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지름 방향의 강성을 높인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352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62500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공개특허 제 2010/061758호
상술한 병에는 상품명이나 내용물 등의 표시, 의장성 향상의 관점에서 라벨이 몸통부에 부착되어있다. 라벨로는 예를 들면, 수축 라벨이나, 스트레치 라벨, 롤 라벨, 점착 라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패널부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특히 수축 라벨을 사용한 경우에,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의 병이라도, 몸통부에서 라벨의 장착 상태가 기둥부를 덮는 부분이 모서리부, 패널부를 덮는 부분이 변부가 되도록 하는 대략 다각형의 형태로 된다.
또한,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과 같은 종래의 병에서는 라벨을 몸통부에 점착했을 때에, 라벨이 원주 홈의 형태를 추종하여 병의 축 방향을 따라 물결치는 듯한 외관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병에서는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외관 불량)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패널부의 둘레 방향을 따른 방향의 패널 폭을 축소하면, 감압 시에 패널부의 변위량이 저하되어,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즉, 감압 흡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몸통부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패널부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몸통부에 점착한 라벨에 주름 등이 생겨,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하고, 또한 몸통부에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원통형의 몸통부에, 그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패널부끼리의 사이에 기둥부를 갖는 병으로, 상기 패널부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패널 바닥벽부, 및 상기 패널 바닥벽부의 외주연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는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둘레 방향을 향하는 세로 측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병 내부가 감압하면, 패널부에서 패널 바닥벽부와 측벽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패널 바닥벽부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변위한다. 즉, 감압 시에 패널부를 우선적으로 변형시켜 다른 부위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병의 내압 변화(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패널 바닥벽부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패널부를 덮도록 몸통부에 부착되는 라벨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 장착 시에, 패널부를 덮는 라벨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라벨이 패널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시에 패널부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변형한 경우에도, 상술한 라벨의 변위는 억제된다. 그 결과,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한 위에, 몸통부에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병에서, 상기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4개 이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와 세로 측벽부 사이의 간극이 둘레 방향으로 8개 이상 형성된다. 이에 의해, 몸통부가 상술한 간극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면서 지름을 축소하도록 변형되기 쉬워지고, 몸통부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병의 감압 시에 몸통부가 부정 변형하여 모서리부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라벨의 외관을 확실히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시에 패널부가 변형한 경우에도, 라벨의 변위가 억제되기 때문에,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몸통부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부를 둘레 방향으로 4개 이상, 즉, 리브 및 기둥부를 합계 8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간극의 개구 폭을 축소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 및 기둥부에 의한 라벨의 지지 면적을 확보하여 몸통부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 중 간극을 덮는 부분의 둘레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 중 리브나 기둥부를 덮는 부분에서 병의 축까지의 지름 방향을 따른 길이와, 라벨 중 간극을 덮는 부분에서 병의 축까지의 지름 방향을 따른 길이의 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를 둘레 방향으로 4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몸통부에서 둘레 방향의 다른 시점마다 시인 가능한 라벨의 둘레 길이가 다른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몸통부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을 주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병에서, 상기 리브가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벽부(頂壁部), 및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정벽부의 외단과 상기 패널 바닥벽부를 연결하는 주단벽부(周端壁部)를 구비한다. 또한, 이 병은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의 정벽부 외면은 복수의 상기 기둥부의 상기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의 외면끼리를 둘레 방향을 따라 잇는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브가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름 방향에서 보아 리브와 겹치는 부분에서는 라벨을 병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및 기둥부에 의해 몸통부에서 라벨의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몸통부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특히, 리브 면적이 복수의 기둥부에 있는 각 정상부의 표면 형태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리브에서 기둥부와 동일 면상에서 라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널부를 덮는 라벨 부분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서,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및 상기 리브의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및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몸통부가 세로 측벽부 및 주단벽부 간의 간극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면서 수축 변형하기 쉬워지고, 감압 흡수 성능을 확실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4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은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술한 감압 흡수 성능이 현저히 발휘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4 또는 제5 실시형태에서, 상기 병은 내용량이 280ml 이상 1,000ml 이하이고,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과, 상기 리브의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의 지름 방향 거리가 1.0mm 이상 2.0mm 이하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과, 리브의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의 지름 방향 거리를 1.0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감압 흡수 성능이 현저하게 발휘되고, 또한 상술한 거리를 2.0mm 이하로 함으로써 성형성 악화나 내용량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서,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 및 상기 기둥부는 각각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상술한 감압 흡수 성능이 현저하게 발휘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병을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의 상기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면이 상기 각 기둥부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끼리를 둘레 방향을 따라 잇는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브의 정상면이 복수의 기둥부에 있는 각 정상부의 표면 형태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리브에서 기둥부와 동일 면상에서 라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널부를 덮는 라벨 부분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8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서, 상기 리브의 상기 정상면의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는 상기 패널부의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의 10% 이상 38.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패널 폭에 대한 리브 정상면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의 비율을 10% 이상 38.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한 위에, 몸통부에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병에서, 상기 리브가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중 상기 리브 및 상기 기둥부 각각에서 둘레 방향의 크기가 상기 간극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 개구부에서 둘레 방향의 길이 이상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 리브 및 기둥부 각각에서 둘레 방향의 크기가 패널부 중 리브와 세로 측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간극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 개구부에서 둘레 방향의 크기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부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을, 리브 및 기둥부에 의해 지름 방향의 내측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 장착 시에, 몸통부를 덮는 라벨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여, 라벨을 평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벨이 간극의 내측에 인입되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리브가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름 방향에서 보아 리브와 겹치는 부분에서는 라벨을 병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라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 및 기둥부에 의해 몸통부에서 라벨의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10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병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이어져 상기 몸통부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바닥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벽부는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와,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하는 상승 주벽부와, 상기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상의 가동벽부와, 지름 방향으로 상기 가동벽부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하는 함몰 주벽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벽부는 상기 함몰 주벽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라, 가동벽부가 함몰 주벽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병의 내압이 변동했을 때, 가동벽부를 회동시켜 그의 내압 변동을 흡수시킴으로써, 어깨부 및 몸통부 각각의 병 지름 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병에 따르면,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몸통부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병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샘플 2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샘플 3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샘플 4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샘플 5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샘플 6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샘플 7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샘플 8(비교예)에서 도 2에 상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샘플 1 내지 8에서 감압 강도(kPa)에 대한 흡수 용량(ml)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샘플 A에서 병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병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의 폭 치수(D1)의 비율(D1/D2)과 흡수 용량(ml)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병을 설명한다.본 실시형태에 따른 병(1)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1)은 이들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가 각각의 중심축선을 공통 축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그 순서로 연이어진 개략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통 축을 병의 축(O)이라 한다.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주입부(11) 쪽을 상측, 바닥부(14) 쪽을 하측이라 한다. 또한, 병의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병의 축(O) 주위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1)은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고, 사출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리폼(preform)이 블로우 성형되어 형성된다. 또한, 주입부(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더욱이,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는 각각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병(1)의 내용량은 280ml 이상 1,000ml 이하이다.
어깨부(12)와 몸통부(13)의 접속 부분에는 제1 환상 오목 홈(16)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어깨부(12) 하단에 이어져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다. 몸통부(13) 중, 병의 축(O) 방향으로 양쪽 단부끼리 사이의 중간부(13a)는 양쪽 단부보다도 지름이 작다. 또한, 몸통부(13)의 중간부(13a)에는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수축 라벨 등의 라벨이 감겨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4)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힐부(17)와 바닥벽부(19)를 구비한다. 힐부(17)는 상단 개구부가 몸통부(13)의 하단 개구부에 접속되어 있다. 바닥벽부(19)는 힐부(17)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고, 또한 외주연부가 접지부(18)를 구성한다.
힐부(17)는 하 힐부(27), 상 힐부(28) 및 연결부(29)를 구비한다. 하 힐부(27)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지고, 상 힐부(28)는 몸통부(13)에 하측에서 이어진다. 연결부(29)는 이들 하 힐부(27)와 상 힐부(28)를 연결한다.
하 힐부(27)는 상 힐부(28)보다도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연결부(29)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구성을 갖는다.
상 힐부(28)는 병의 축(O) 방향으로 몸통부(13)의 양쪽 단부와 함께, 병(1)의 외경이 가장 큰 최대 외경부이다. 또한, 상 힐부(28)에서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중간 부분에는 제2 환상 오목 홈(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부(19)는 상승 주벽부(21), 환상의 가동벽부(22), 및 함몰 주벽부(23)를 구비한다. 상승 주벽부(21)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져 상향 연장된다. 가동벽부(22)는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한다. 함몰 주벽부(23)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상승 주벽부(21)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다. 또한, 상승 주벽부(21)에는 요철부(21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1a)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21b)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가동벽부(22)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다. 가동벽부(22)와 상승 주벽부(21)는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부(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벽부(22)는 함몰 주벽부(23)를 상측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곡면부(25), 즉 상승 주벽부(21)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인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가동벽부(22)에는 복수 개의 리브(41)가 병의 축(O)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41)는 상측을 향해 곡면 형태로 들어간 복수 개의 오목부(41a)가 지름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함몰 주벽부(23)는 병의 축(O)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의 상단부에, 병의 축(O)과 동축으로 형성된 정벽(24)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함몰 주벽부(23) 및 정벽(24)의 전체로 천정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함몰 주벽부(23)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된 다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 주벽부(23)는 하통부(23a), 상통부(23b), 및 환상 단부(23c)를 구비한다. 하통부(23a)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통부(23b)는 정벽(24)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되고, 하통부(23a)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환상 단부(23c)는 이들 양쪽 통부(23a, 23b) 끼리를 연결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통부(23a)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부(26)를 통해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곡면부(26)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또한, 하통부(23a)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단부(23c)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들어간 오목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단부(23c)는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보다도 상측, 또는 동등한 높이에 위치해 있다.
또한, 상통부(23b)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팽출한 팽출부(23d)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본 형상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팽출부(23d)끼리의 사이에 있는 부분(23e)을 모서리부로 하고, 또한 팽출부(23d)를 변부로 한 다각형을 이루는 각형 통부(23f)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23d)는 바닥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함몰 주벽부(23)의 상통부(23b)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 팽출부(23d)는 3개 형성되고, 각형 통부(23f)의 바닥면에서 본 형상은 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병의 축(O) 방향을 따른 종단면에서 봤을 때, 팽출부(23d)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23d)끼리의 사이에 있는 부분(23e)은 바닥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팽출부(23d)의 둘레 방향을 따른 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몸통부(13)의 중간부(13a)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감압 흡수용 패널부(5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간격으로 6개의 패널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부(13)에서,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패널부(51)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기둥부(5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몸통부(13)에는 패널부(51)와 기둥부(5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부(51)는 병의 축(O) 방향에서, 몸통부(13)의 중간부(13a) 중, 양쪽 단부를 회피한 부분에서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연재해 있다.
패널부(51)는 몸통부(13)의 외주면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패널 바닥벽부(53)와 패널 바닥벽부(53)의 외주연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측벽부(54)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측벽부(54)는 둘레 방향으로 패널 바닥벽부(53)의 양단에 이어져 병의 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세로 측벽부(54a)를 갖는다. 측벽부(54) 중, 세로 측벽부(54a)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의 외측, 즉, 하나의 패널부(5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 측벽부(54a)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경사져있다. 또한, 세로 측벽부(54a)는 경사지지 않고, 지름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그리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패널부(51)의 세로 측벽부(54a)끼리의 사이에 기둥부(52)가 위치한다. 기둥부(52)는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부(52)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정상부(52a)가 위치한다. 정상부(52a)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몸통부(13)에서 중간부(13a)의 외경이 가장 긴 최대 외경부이다.
한편, 측벽부(54)에는 병의 축(O) 방향으로 양단에 한 쌍의 가로 측벽부(54b)가 위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54) 중, 한 쌍의 가로 측벽부(54b)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병의 축(O)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패널 바닥벽부(53)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5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55)는 동일한 패널부(51)를 구성하는 세로 측벽부(54a)끼리의 사이에 세로 측벽부(54a)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간극(56)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리브(55)는 병의 축(O) 방향으로 패널 바닥벽부(5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패널부(51)는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병의 축(O)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로 측벽부(54b) 끼리가 리브(55)에 의해 걸쳐 놓여있고, 이 리브(55)에 대해 둘레 방향의 양측이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간극(56)을 구성한다. 이 경우, 간극(56)은 패널부(51)에서 둘레 방향의 외단과, 리브(55)에서 둘레 방향의 외단 사이에 위치하고, 각 패널부(51)에 각각 2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계 12개의 간극(56)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리브(55)는 패널 바닥벽부(53)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벽부(55a)와 둘레 방향으로 정벽부(55a)의 외단과 패널 바닥벽부(53)를 연결하는 주단벽부(55b)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정벽부(55a)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도 2를 참조),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정벽부(55a)는 실질적으로 복수 개의 기둥부(52)에서 각 정상부(52a)의 표면 형상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원(L) 위에 위치하고, 몸통부(13)에서 중간부(13a)의 최대 외경부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벽부(55a)에서 중간부(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리브의 폭 치수(D1)(이하에서는 "리브 폭(D1)"이라 함)는 기둥부(52)에서 정상부(52a)의 접선 방향을 따른 기둥의 폭 치수(D2)(이하에서는 "기둥 폭(D2)"이라 함)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리브 폭(D1) 및 기둥 폭(D2)은 지름 방향의 외단 개구부에서 접선 방향을 따른 위치에서 간극(56)의 개구 폭 치수(D3)(이하에서는 "개구 폭(D3)"이라 함) 이상의 폭을 갖는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리브폭(D1)은 기둥 폭(D2)보다도 크고, 또한 리브 폭(D1) 및 기둥 폭(D2)은 개구 폭(D3)보다도 크다(즉, D1>D2>D3).
주단벽부(55b)는 리브(55)의 둘레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여 병의 축(O) 방향으로 연장하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져있다. 따라서, 리브(55)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의 폭이 점차 확대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름 방향으로 세로 측벽부(54a)의 내단, 및 지름 방향으로 주단벽부(55b)의 내단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세로 측벽부(54a)에서의 지름 방향 길이(깊이) H1은 주단벽부(55b)에서의 지름 방향 길이(깊이) H2에 비해 짧다(H1<H2).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둥부(52) 및 리브(55)는 각각 둘레 방향의 중심을 지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동일한 리브(55)를 구성하는 한 쌍의 주단벽부(55b)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기둥부(52)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 측벽부(54a)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동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패널부(51)에서, 둘레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세로 측벽부(54a) 및 주단벽부(55b) 중 세로 측벽부(54a)는 주단벽부(55b)보다도 지름 방향의 길이가 짧다. 또한, 지름 방향으로 세로 측벽부(54a)의 내단과, 지름 방향으로 주단벽부(55b)의 내단의 지름 방향을 따른 거리(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의 차)는 1.0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분(53a)은 패널 바닥벽부(53)의 세로 측벽부(54a)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과, 주단벽부(55b)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을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 부분(53a)은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경사져있다. 또한, 상술한 간극(56)은 세로 측벽부(54a), 가로 측벽부(54b), 접속 부분(53a), 및 주단벽부(55b)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병(1)의 내부가 감압하면, 몸통부(13)가 기둥부(52)와 리브(55) 사이의 간극(56)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면서 우선적으로 쉽게 지름 축소 변형하게 된다. 그 결과, 몸통부(13)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간극(56)이 몸통부(13)에 8개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12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1)의 감압 시에 몸통부(13)가 부정 변형되어 모서리부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라벨의 외관을 확실히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름 방향으로 세로 측벽부(54a)의 내단, 및 지름 방향으로 주단벽부(55b)의 내단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간극(56)이 변형되기 쉬워지며, 감압 흡수 성능을 확실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간극(56) 이외의 부위(예를 들면, 기둥부(52)나 리브(55), 어깨부(12))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병(1)의 내압 변화 (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바닥벽부(53)에 리브(55)가 형성됨은 물론, 리브(55) 및 기둥부(52) 각각의 리브 폭(D1) 및 기둥 폭(D2)이 간극(56)의 개구 폭(D3) 이상의 폭을 갖는다. 이 때문에, 몸통부(13)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을 리브(55) 및 기둥부(52)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 장착 시에, 몸통부(13)를 덮는 라벨이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여, 라벨을 평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라벨이 간극(56)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55)가 패널 바닥벽부(53)에서 병의 축(O)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에서 보아 리브(55)와 겹치는 부분에서는 라벨을 병의 축(O) 방향 전체에 걸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55) 및 기둥부(52)에 의해 몸통부(13)에서 라벨의 지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시에 간극(56)이 변형된 경우에도, 몸통부(13)가 원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라벨의 부정 변위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라벨의 외관에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면서, 몸통부(13)에 감압 흡수 성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벽부(22)가 함몰 주벽부(23)를 병의 축(O)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곡면부(25)를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병(1)의 내압이 변동했을 때에, 가동벽부(22)를 회동시키고, 그의 내압 변동을 흡수시킴으로써, 어깨부(12) 및 몸통부(13) 각각의 지름 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벽부(22)에 의한 감압 흡수 기능이 충분한 경우, 병(1) 내부의 감압 시에 그 가동벽부(22)를 우선적으로 변위시키고, 간극(56)의 변형을 억제(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리브 폭(D1)을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압 강도(kPa)에 대한 흡수 용량(ml)이 몸통부(13)의 형상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했다. 본 검증에서 사용한 병(1)은 내용량 500ml용의 병이다. 또한, 본 검증에서는 감압 시에 바닥벽부(19)가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고, 몸통부(13)만의 흡수 용량을 해석에 의해 검증했다.
다음에는 본 검증에서 사용한 샘플 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5 내지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7의 샘플 병(이하에서는 샘플 1 내지 7이라 함)을 나타내고, 도 11은 비교예의 샘플 병(이하에서는 샘플 8이라 함)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샘플 1은 상술한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병(1)이다. 그리하여, 이하에는 샘플 1을 기준으로 하고, 샘플 1과 각 샘플 2 내지 8의 주된 차이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샘플 2는 패널부(51)의 리브 폭(D1)이 샘플 1에 대해서 작다.
도 6에 도시한 샘플 3은 주단벽부(55b)의 깊이(H2)가 샘플 1에 대해서 작고,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의 차가 샘플 1에 대해서 작다.
도 7에 도시한 샘플 4는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가 샘플 1에 대해서 작고,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의 차가 샘플 1에 대해서 크다.
도 8에 도시한 샘플 5는 패널부(51)의 리브 폭(D1)이 샘플 1에 대해서 크다.
도 9에 도시한 샘플 6은 기둥부(52)의 기둥 폭(D2)이 샘플 1에 대해서 크고, 패널부(51)의 리브 폭(D1)보다도 크다. 이 경우, 리브(55) 중 가상 원(L) 상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d1)와, 기둥부(52) 중 가상 원(L) 상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d2)는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한 샘플 7은 동일한 패널부(51)에서 둘레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세로 측벽부(54a) 끼리 이루는 각도(θ1)가 샘플 1에 대해서 크다.
도 11에 도시한 샘플 8(비교예)은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가 동등하다.
상술한 각 샘플의 구체적인 치수는 이하에 나타내는 표 1에서와 같다. 또한, 상술한 각 치수 중, 리브 폭(D1)은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리브(55)를 구성하는 각 주단벽부(55b) 각각의 연장선과 가상 원(L)의 교점 간의 중간부(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거리를 갖는다. 기둥 폭(D2)은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기둥부(52)를 구성하는 각 세로 측벽부(54a) 각각의 연장선과 가상 원(L)의 교점 간의 중간부(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거리를 갖는다. 또한, 개구 폭(D3)은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세로 측벽부(54a)의 연장선과 가상 원(L)의 교점, 및 주단벽부(55b)의 연장선과 가상 원(L)의 교점 간의, 중간부(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거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 중의 부호 D4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패널부(51)에서 각 세로 측벽부(54a) 각각의 연장선과 가상 원(L)의 교점 간의, 중간부(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거리, 즉, 패널의 폭 치수를 나타낸다(이하에서는 패널 폭(D4)이라 함).
 한편, 깊이 H1은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세로 측벽부(54a)의 연장선 및 접속 부분(53a)의 연장선의 교점과 가상 원(L)의 지름 방향 길이이다. 깊이 H2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 주단벽부(55b)의 연장선 및 접속 부분(53a)의 연장선의 교점과 가상 원(L)의 지름 방향 길이이다.
샘플1 샘플2 샘플3 샘플4 샘플5 샘플6 샘플7 샘플8
깊이H1
(mm)

2.50

2.50

2.50

2.00

2.50

2.50

2.50

3.00
깊이H2
(mm)

4.28

4.35

3.50

4.00

4.06

4.19

4.26

3.00
리브폭D1
(mm)

10.00

9.00

10.00

10.00

11.00

10.00

10.00

10.00
길이d1
(mm)

8.03

6.99

7.84

8.24

9.11

8.05

8.03
기둥폭D2
(mm)

9.98

11.04

9.98

9.98

9.98

10.62

9.98

10.00
길이d2
(mm)

7.52

8.64

7.52

7.52

7.52

8.18

7.74
개구폭D3
(mm)

8.28

8.25

8.28

8.28

7.78

7.96

8.28

8.27
패널폭D4
(mm)

26.00

25.00

26.00

26.00

26.00

25.40

26.00

25.98
각도θ1
(°)

70.00

70.00

70.00

70.00

70.00

70.00

80.00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샘플 1 내지 7은 감압 강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흡수 용량이 증가 경향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병(1) 내부의 감압에 수반하여, 몸통부(13)가 간극(56)을 둘레 방향으로 좁히면서 우선적으로 지름 축소 변형함으로써, 간극(56) 이외의 부위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병(1)의 내압 변화 (감압)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후, 감압 강도를 증가시키면, 샘플 1 내지 7은 모두 30ml 이상의 흡수 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샘플 8은 감압 강도의 증가에 추종할 수 없고, 감압 도중(15kPa 정도)에 간극(56) 이외의 개소에 국부 변형이 생기는 등의 결과가 되었다. 또한, 각 샘플 1 내지 8에서의 흡수 용량은 샘플 1이 60ml 이상, 샘플 2가 33.8ml, 샘플 3이 40.9ml, 샘플 4가 42.8ml, 샘플 5가 60ml 이상, 샘플 6이 46.3ml, 샘플 7이 53.8ml, 샘플 8(비교예)이 27.4ml가 되었다.
또한, 샘플 1, 3, 4, 8의 비교로부터, 샘플 1, 3, 4와 같이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가 다를 경우에는 샘플 8과 같이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가 동등한 경우보다도 흡수 용량이 커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단,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의 차가 너무 커지면, 성형성 악화나 내용량 저하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의 차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샘플 1, 2, 5의 비교로부터, 리브 폭(D1)이 큰 쪽이 흡수 용량이 커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 경우, 특히 샘플 1, 6의 비교로부터 리브 폭(D1)이 기둥 폭(D2)보다도 큰 경우에 흡수 용량이 커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샘플 1, 7의 비교로부터, 세로 측벽부(54a) 끼리 이루는 각도(θ1)가 작은 경우에 흡수 용량이 커지는 결과가 얻어졌다.
다음에, 리브(55) 및 기둥부(52)의 합계 개수가 다른 9개의 샘플 A 내지 I를 사용하고, 몸통부(13)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S)의 외관이 리브(55) 및 기둥부(52)의 개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리브(55)와 기둥부(52)를 돌기부(57)라 총칭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표 2는 각 샘플 A 내지 H의 사양(돌기부(57)의 개수나 라벨(S)의 둘레 길이)과, 외관 판정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샘플 I는 몸통 직경(φ)이 70mm인 원형의 병에 라벨(S)을 감아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샘플A 샘플B 샘플C 샘플D 샘플E 샘플F 샘플G 샘플H 샘플I
돌기부 개수 5 6 7 8 9 10 11 12 0
라벨둘레길이 212.15 215.14 216.84 217.86 218.51 218.94 219.23 219.43 219.91
라벨고저차T 4.43 2.85 1.93 1.35 0.97 0.71 0.53 0.40 -

최대
가시라벨폭(투영)
68.58

70.00

69.55

70.00

69.85

70.00

69.96

70.00

70.00
가시라벨
둘레길이

119.11

107.57

116.00

108.93

113.63

109.47

111.91

109.71

109.96

최소
가시라벨폭(투영)
65.57

64.30

68.07

67.30

69.03

68.58

69.47

69.20

70.00
가시라벨
둘레길이

89.42

81.15

97.22

90.11

101.26

95.75

103.69

99.45

109.96
가시라벨
둘레길이차
(최대-최소)

29.69

26.43

18.78

18.82

12.38

13.72

8.22

10.26


가시라벨둘레길이차/샘플I의 라벨둘레길이
13.50%

12.02%

8.54%

8.56%

5.63%

6.24%

3.74%

4.67%
라벨고저차T/몸통직경φ
6.33%

4.07%

2.76%

1.93%

1.39%

1.01%

0.76%

0.57%
우선, 본 검증에서 사용한 샘플 A 내지 H를 도 13에 도시한 샘플 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검증에서 사용한 샘플 A의 병(A1)은 몸통 직경(φ)(가상 원(L)의 외경)이 70mm, 둘레 방향에서 돌기부(57)의 폭이 10mm(리브 폭(D1)=기둥 폭(D2)=10mm)가 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이들 돌기부(57) 사이에 간극(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병(A1)은 돌기부(57)가 총 5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부(13)에는 돌기부(57) 및 간극(56)을 덮도록 전체 둘레에 걸쳐 라벨(S)이 감겨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샘플 B 내지 H에 대해서는 샘플 A에 대해서 몸통 직경(φ), 돌기부 폭(리브 폭(D1) 및 기둥 폭(D2))이 동등하고, 돌기부(57)의 수를 1개씩 증가시킨 것이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라벨 고저차(T), 가시 라벨 파장, 및 가시 라벨 폭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라벨 고저차(T)
라벨(S) 중 돌기부(57)를 덮는 부분에서 병의 축(O)까지의 지름 방향을 따른 길이(R1)(가상 원(L) 및 몸통 직경(φ)의 반경에 해당함)와, 라벨(S) 중 간극(56)을 덮는 부분에서 병의 축(O)까지의 지름 방향을 따른 길이(R2)의 차.
(2)가시 라벨 둘레 길이
 몸통부(13)에서 둘레 방향으로 다른 시점마다 시인 가능한 라벨(S)의 둘레 길이.
(3)가시 라벨 폭
몸통부(13)에서 둘레 방향으로 다른 시점마다 시인 가능한 범위의 라벨(S)을 지름 방향으로 투영한 경우의 폭.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고저차(T)에 대해서는 돌기부(57)의 개수를 증가 시킴에 따라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돌기부(57)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간극(56)의 개구 폭(D3)을 축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돌기부(57)에 의한 라벨(S)의 지지 면적을 확보하여, 라벨(S) 중 간극(56)을 덮는 부분의 둘레 길이를 축소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샘플 C 내지 H(돌기부(57)가 7개 이상)의 경우에는 라벨 고저차(T)를 2.00mm 이하로 억제할 수 있고, 라벨(S)의 외관에 위화감을 주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이 경우, 몸통 직경(φ)에 대한 라벨 고저차(T)를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몸통 직경(φ)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고,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시 라벨 파장차(가시 라벨 둘레 길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에 대해서도, 돌기부(57)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하는 경향이 보인다. 즉, 돌기부(57)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몸통부(13)의 횡단면에서 본 형상이 원형(가상 원(L))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둘레 방향에서의 시점마다 시인 가능한 라벨(S)의 둘레 길이가 다른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히, 샘플 C 내지 H, 즉, 돌기부(57)가 7개 이상인 경우에는 가시 라벨 둘레 길이 차를 20.00mm 이하로 억제할 수 있고, 라벨(S)의 외관에 위화감을 주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이 경우, 가시 라벨 둘레 길이 차를 샘플 I의 라벨 둘레 길이(전체 길이)에 대해서 10.0%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원형 병의 라벨 둘레 길이에 의존하지 않고,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57)의 개수가 17개 이상이 되면, 부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돌기부(57)는 16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부(57)의 개수는 응력을 균등하게 분산하기 위해 짝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브(55) 및 기둥부(52)를 각각 짝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간극(56)의 수나 배치 등은 8개 이상(패널부(51)가 4개 이상)이면, 병(1)에 요구되는 강도나 감압 흡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본 형상을 원형으로 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본 형상을 다각형으로 하는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패널부(51)를 몸통부(13)의 중간부(13a) 중, 병의 축(O) 방향으로 양쪽 단부를 회피한 부분에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부를 중간부(13a)에서 병의 축(O)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가 주단벽부(55b)의 깊이(H2)에 비해 짧아지도록 형성했다. 이와는 반대로, 주단벽부(55b)의 깊이(H2)가 세로 측벽부(54a)의 깊이(H1)에 비해 짧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브 폭(D1)이 기둥 폭(D2)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샘플 6과 같이, 기둥 폭(D2)이 리브 폭(D1)보다도 커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패널 바닥벽부(53)에 각각 하나의 리브(55)를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패널 바닥벽부(53)에 리브(55)를 복수 개씩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병(1)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등, 또는 이들의 블렌드 재료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병(1)은 단층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이 중간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 차단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재생재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산소 흡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병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201)은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211), 어깨부(212), 몸통부(213) 및 바닥부(214)를 구비한다. 이들 주입부(211), 어깨부(212), 몸통부(213) 및 바닥부(214)가 각각의 중심축선을 공통 축 상에 위치시키고, 이 순서대로 연이어진 개략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공통 축을 병의 축(O)이라 한다.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주입부(211) 쪽을 상측, 바닥부(214) 쪽을 하측이라 하고, 또한, 병의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며, 병의 축(O)을 중심으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병(201)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리폼이 블로우 성형되고,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입부(2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또한, 주입부(211), 어깨부(212), 몸통부(213) 및 바닥부(214)는 각각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원형을 갖는다.
어깨부(212)와 몸통부(213)의 접속 부분에는 제1 환상 오목 홈(216)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어깨부(212)의 하단에 이어져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다. 몸통부(213) 중, 병의 축(O) 방향으로 양쪽 단부 사이의 중간부(213a)는 양쪽 단부보다도 지름이 작다. 또한, 몸통부(213)의 중간부(213a)에는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수축 라벨 등의 라벨이 감겨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16,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214)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힐부(217)와 바닥벽부(219)를 구비한다. 힐부(217)는 상단 개구부가 몸통부(213)의 하단 개구부에 접속되어 있다. 바닥벽부(219)는 힐부(217)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고, 또한 외주연부가 접지부(218)로 되어 있다.
힐부(217)는 하 힐부(227), 상 힐부(228), 및 연결부(229)를 구비한다. 하 힐부(227)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접지부(218)에 이어지고, 상 힐부(228)는 몸통부(213)에 하측에서 이어진다. 연결부(229)는 이들 하 힐부(227)와 상 힐부(228)를 연결한다.
하 힐부(227)는 상 힐부(228)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연결부(229)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 구성을 갖는다.
상 힐부(228)는 병의 축(O) 방향으로 몸통부(213)의 양쪽 단부와 함께, 병(201)의 외경이 가장 긴 최대 외경부이다. 또한,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상 힐부(228)의 중간 부분에는 제2 환상 오목 홈(2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힐부(217)의 외주면, 및 몸통부(213)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시보 가공 등에 의해 돌출 높이가 낮은 요철부(217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부(219)는 상승 주벽부(221), 환상의 가동벽부(222), 및 함몰 주벽부(223)를 구비한다. 상승 주벽부(221)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218)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가동벽부(222)는 상승 주벽부(221)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한다. 함몰 주벽부(223)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상승 주벽부(221)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또한, 상승 주벽부(221)에는 요철부(221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21a)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221b)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가동벽부(222)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재해 있다. 가동벽부(222)와 상승 주벽부(221)는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부(2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벽부(222)는 함몰 주벽부(223)를 상측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곡면부(225), 즉 상승 주벽부(221)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인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가동벽부(222)에는 복수 개의 리브(241)가 병의 축(O)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241)는 상측을 향해 곡면 형태로 들어간 복수 개의 오목부(241a)가 지름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함몰 주벽부(223)는 병의 축(O)과 동축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의 상단부에 병의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정벽(224)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함몰 주벽부(223) 및 정벽(224) 전체로 천정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함몰 주벽부(223)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된 다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 주벽부(223)는 하통부(223a), 상통부(223b), 및 환상 단부(223c)를 구비한다. 하통부(223a)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통부(223b)는 정벽(224)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되고, 하통부(223a)보다 지름이 작다. 환상 단부(223c)는 이들 양쪽 통부(223a, 223b)끼리를 연결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통부(223a)는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부(226)를 통해,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2)의 내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곡면부(226)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통부(223a)는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단부(223c)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들어간 오목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단부(223c)는 상승 주벽부(221)의 상단부보다도 상측, 또는 동등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통부(223b)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팽출한 팽출부(223d)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본 형상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팽출부(223d)끼리의 사이에 있는 부분(223e)을 모서리부로 하고, 또한 팽출부(223d)를 변부로 한 다각형을 이루는 각형 통부(223f)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223d)는 바닥면에서 보아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함몰 주벽부(223)의 상통부(223b)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팽출부(223d)는 3개 형성되고, 각형 통부(223f)의 바닥면에서 본 형상은 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병의 축(O) 방향을 따른 종단면에서 봤을 때, 팽출부(223d)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223d)끼리의 사이에 있는 부분(223e)은 바닥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팽출부(223d)의 둘레 방향을 따른 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도 14, 15a,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몸통부(213)의 중간부(213a)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들어간 감압 흡수용 패널부(251)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13)에서,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패널부(251)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기둥부(25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몸통부(213)에는 오목형 패널부(251)와 볼록형 기둥부(25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부(251)는 바닥벽부(253) 및 측벽부(254)를 갖는다. 바닥벽부(253)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보아 병의 축(O) 방향을 길이가 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54)는 바닥벽부(253)의 외주연에서 둘레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세워지고, 바닥벽부(253)를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싼다.
측벽부(254)는 둘레 방향으로 바닥벽부(253)의 양단에 이어져 병의 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세로 측벽부(254a)를 갖는다. 측벽부(254) 중, 세로 측벽부(254a)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의 외측, 즉, 하나의 패널부(251)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 측벽부(254a)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이다. 그리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패널부(251)의 세로 측벽부(254a)끼리의 사이에 기둥부(252)가 위치한다. 기둥부(252)는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본 형상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둘레 방향의 크기가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부(252)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정상부(252a)가 위치한다. 정상부(252a)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몸통부(213)에서 중간부(213a)의 외경이 가장 긴 최대 외경부이다.
한편, 측벽부(254)에는 한 쌍의 가로 측벽부(254b)가 병의 축(O)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로 측벽부(254b)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 바닥벽부(253)의 중앙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252)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255)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보아 병의 축(O) 방향을 길이가 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측벽부(254)와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255)는 패널부(251)의 내측에 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255)의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도 15a를 참조),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면(255a)은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정상면(255a)은 복수 개의 기둥부(252)에서 각 정상부(252a)의 표면 형상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 원(L) 상에 위치하고, 몸통부(213)에서 중간부(213a)의 최대 외경부로 되어 있다.
또한, 정상면(255a)에서 중간부(2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리브 폭(D1)은 패널부(251)에서 중간부(213a)의 접선 방향을 따른 패널 폭(D2)의 10% 이상 38.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리브(255)를 획정하는 벽부 중, 둘레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여 병의 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세로 벽부(255b)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경사져있다. 한편, 리브(255)를 획정하는 벽부 중, 병의 축(O)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가로 리브(255c)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병의 축(O)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리브(255)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함에 따라 병의 축(O) 방향 및 둘레 방향의 폭이 점차 축소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부(253)에서 측벽부(254)의 내주연과의 접속 부분(253a)은 도 15a,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의 축(O) 방향을 따른 종단면에서 봤을 때(도 15b를 참조), 및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봤을 때(도 15a를 참조), 측벽부(254)의 내주연에서 이어져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들어간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병(201) 내부가 감압하면, 패널부(251)에서 바닥벽부(253)와 측벽부(254)의 접속 부분(253a)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벽부(253)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변위한다. 즉, 감압 시에 패널부(251)를 우선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다른 부위(예를 들면, 기둥부(252)나 어깨부(212))에서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병(201)의 내압 변화 (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벽부(253)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255)를 형성했기 때문에, 패널부(251)를 덮도록 몸통부(213)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 장착 시에, 패널부(251)를 덮는 라벨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이 패널부(25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시에 패널부(251)가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변형한 경우라도, 라벨의 변위는 억제된다. 그 결과,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한 위에, 몸통부(213)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리브(255)의 정상면(255a)이 복수 개의 기둥부(252)에 있는 각 정상부(252a)의 표면 형상에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 원(L) 상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리브(255)에서 기둥부(252)와 동일 면상에서 라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널부(251)를 덮는 라벨 부분이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벽부(222)가 함몰 주벽부(223)를 병의 축(O)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곡면부(225)를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병(201)의 내압이 변동했을 때에, 가동벽부(222)를 회동시키고, 그의 내압 변동을 흡수시킴으로써, 어깨부(212) 및 몸통부(213) 각각의 지름 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벽부(222)에 의한 감압 흡수 기능이 충분한 경우, 이 가동벽부(222)를 우선적으로 감압 변위시키고, 상기 패널부(251)의 변형을 억제(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리브 폭(D1)을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D1/D2)과, 병(201) 내부가 감압 상태로 되었을 때의 흡수 용량(ml)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했다. 본 검증에서는 내용량이 500ml이고, 동 형상의 패널부(251)가 몸통부(213)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6개 배치되어 있는 병(201)을 사용했다. 또한, 감압 시에 바닥벽부(219)가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패널부(251)만의 흡수 용량을 해석에 의해 검증했다.
본 시험에서,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은 패널 폭(D2)은 변화시키지 않고, 리브 폭(D1)을 6mm 내지 12mm의 범위에서 1mm씩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했다. 구체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다.
<샘플 21>리브 폭(D1)=6mm, 패널 폭(D2)=26mm(D1/D2=23.1%)
<샘플 22>리브 폭(D1)=7mm, 패널 폭(D2)=26mm(D1/D2=26.9%)
<샘플 23>리브 폭(D1)=8mm, 패널 폭(D2)=26mm(D1/D2=30.8%)
<샘플 24>리브 폭(D1)=9mm, 패널 폭(D2)=26mm(D1/D2=34.6%)
<샘플 25>리브 폭(D1)=10mm, 패널 폭(D2)=26mm(D1/D2=38.5%)
<샘플 26>리브 폭(D1)=11mm, 패널 폭(D2)=26mm(D1/D2=42.3%)
<샘플 27>리브 폭(D1)=12mm, 패널 폭(D2)=26mm(D1/D2=46.2%)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즉, 리브 폭(D1)이 커짐에 따라, 패널부(251)에서 라벨의 지지 부분이 확대되기 때문에, 라벨 장착에 수반되는 라벨에의 외관 불량의 발생은 적어진다. 한편, 흡수 용량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샘플 21 내지 27에서의 흡수 용량은 각각 샘플 21이 27.4ml,샘플 22가 27.3ml,샘플 23이 27.2ml,샘플 24가 26.9ml,샘플 25가 26.6ml,샘플 26이 25.2ml,샘플 27이 22.2ml로 되어 있다.
특히,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이 38.5%보다 높은 경우(샘플 26, 27의 경우)에는 흡수 용량이 대폭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리브 폭(D1)이 커짐에 따라, 바닥벽부(253)의 폭이 축소되고, 감압 시에 패널부(251)의 변위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감압 강도의 증가에 추종할 수 없고, 감압 도중에 패널부(251) 이외의 개소에 국부 변형이 생기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이 38.5% 이하인 경우에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 위에, 26ml이상의 흡수 용량을 유지하고, 충분한 감압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한편,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리브 폭(D1)이 작아짐에 따라), 감압 시에 충분한 감압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외관 저하가 현저해졌다. 이는 리브 폭(D1)이 작아짐에 따라, 패널부(251)에서 라벨의 지지 부분이 축소되기 때문에, 리브(255)와 기둥부(252)와의 간격이 커지고, 몸통부(213)에 감아 부착된 라벨이 패널부(251)의 바닥벽부(253)를 향해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샘플 21에서, 수축 라벨을 장착했을 때의 외관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서,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을 10%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장착된 수축 라벨에 외관 저하가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패널 폭(D2)에 대한 리브 폭(D1)의 비율을 10% 이상 38.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한 위에, 몸통부(213)에 감아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패널부(251) 및 기둥부(252)의 개수나 배치 등은 병(201)에 요구되는 강도나 감압 흡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어깨부(212), 몸통부(213) 및 바닥부(214)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횡단면에서 본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으로 하는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브(255)가 측벽부(254)와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을 두고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브(255)는 적어도 세로 측벽부(254a)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바닥벽부(253)에 각각 하나의 리브(255)를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브(255)를 복수 개씩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병(201)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등, 또는 이들의 블렌드 재료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병(201)은 단층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이 중간체로서는 예를 들면, 가스 차단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재생재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산소 흡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감압 흡수 성능을 유지한 위에, 몸통부에 부착되는 라벨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병을 얻을 수 있다.
1, 201 병
13, 213 몸통부
14, 214 바닥부
18, 218 접지부
19, 219 바닥벽부
21, 221 상승 주벽부
22, 222 가동벽부
23, 223 함몰 주벽부
51, 251 패널부
52, 252 기둥부
53, 253 패널 바닥벽부
54, 254 측벽부
54a, 254a 세로 측벽부
55, 255 리브
55a, 255a 정벽부
55b, 255b 주단벽부
56 간극
D1 리브 폭(리브의 폭 치수)
D2 패널 폭(패널의 폭 치수)
L 가상의 원
O 병의 축

Claims (11)

  1. 원통형의 몸통부에 그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됨은 물론,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패널부끼리의 사이에 기둥부를 갖는 병으로,
    상기 패널부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패널 바닥벽부, 및 상기 패널 바닥벽부의 외주연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는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둘레 방향을 향하는 세로 측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중, 상기 리브 및 상기 기둥부 각각에서 둘레 방향의 크기가 상기 간극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 개구부에서 둘레 방향의 크기 이상인 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이상 형성되는 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벽부, 및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정벽부의 외단과 상기 패널 바닥벽부를 연결하는 주단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의 정벽부 외면은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의 상기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의 외면끼리를 둘레 방향을 따라 잇는 가상의 원 위에 위치하는 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및 상기 리브의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 각각의 지름 방향을 따른 위치가 서로 다른 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은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은 내용량이 280 ml 이상 1,000ml 이하이고,
    상기 세로 측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과, 상기 리브의 상기 주단벽부에서 지름 방향의 내단의 지름 방향 거리가 1.0mm 이상 2.0mm 이하인 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 및 상기 기둥부는 각각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형성된 병.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름 방향으로 횡단면에서 봤을 때, 상기 리브의 상기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면이 상기 각 기둥부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정상부 끼리를 둘레 방향을 따라 잇는 가상 원 위에 위치한 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기 정상면의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는 상기 패널부의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폭 치수의 10% 이상 38.5% 이하로 설정된 병.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패널 바닥벽부에서 병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이어져 상기 몸통부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바닥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의 바닥벽부는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하는 상승 주벽부,
    상기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상의 가동벽부, 및
    상기 가동벽부의 지름 방향으로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하는 함몰 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벽부는 상기 함몰 주벽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형성된 병.
KR1020147023698A 2012-02-29 2013-02-27 KR101955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3363A JP6216492B2 (ja) 2012-02-29 2012-02-29 ボトル
JPJP-P-2012-043363 2012-02-29
JP2012170598A JP6043534B2 (ja) 2012-07-31 2012-07-31 ボトル
JPJP-P-2012-170598 2012-07-31
JPJP-P-2012-170599 2012-07-31
JP2012170599 2012-07-31
JP2012240544A JP6122611B2 (ja) 2012-07-31 2012-10-31 ボトル
JPJP-P-2012-240544 2012-10-31
PCT/JP2013/055151 WO2013129480A1 (ja) 2012-02-29 2013-02-27 ボト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713A KR20140132713A (ko) 2014-11-18
KR101955294B1 true KR101955294B1 (ko) 2019-03-08

Family

ID=5139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698A KR101955294B1 (ko) 2012-02-29 2013-02-27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17312B2 (ko)
EP (1) EP2821349B1 (ko)
KR (1) KR101955294B1 (ko)
CN (2) CN105667925B (ko)
AU (1) AU2013226970B2 (ko)
CA (1) CA2865216C (ko)
WO (1) WO2013129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2396S1 (en) * 2012-10-15 2015-06-23 Guangdong Haixing Plastic & Rubber Co., Ltd. Beverage bottle
JP2015030466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減圧吸収ボトル
CH709236A1 (de) * 2014-02-06 2015-08-14 Alpla Werke In einem Extrusionsblasverfahren hergestellter Kunststoffbehälter, insbesondere Kunststoffflasche.
RU2718057C2 (ru) * 2014-04-11 2020-03-30 ДАК АМЕРИКАС ЭлЭлСи Повышение ударопрочности при падении контейнера, изготовленного из ерет с помощью евм
JP6397652B2 (ja) * 2014-04-30 2018-09-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EP3109176A1 (en) * 2015-06-23 2016-12-28 Sidel Participations Container provided with a curved invertible diaphragm
JP6700681B2 (ja) * 2015-07-15 2020-05-2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樹脂製容器
MX2020011255A (es) * 2018-04-26 2020-11-12 Graham Packaging Co Recipiente de relleno presurizado resistente al agrietamiento del anillo de pie.
USD880589S1 (en) * 2018-05-14 2020-04-07 Grizzly Safety Innovations, LLC Modular sign assembly
JP7072999B2 (ja) * 2018-11-30 2022-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7370248B2 (ja) * 2019-12-27 2023-10-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AU2021202920A1 (en) * 2020-05-08 2021-11-25 Orora Packaging Australia Pty Ltd A bottle, and an insert and a mould for making the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110A (ja) * 2002-07-03 2004-02-05 Ball Corp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10285207A (ja) * 2009-06-15 2010-12-24 Kirin Brewery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JP2011098780A (ja) * 2005-04-28 2011-05-19 Amcor Ltd 真空に関連した力に反応する容器の底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129A (en) * 1985-07-30 1993-08-24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having ribs and collapse panels
US4877141A (en) * 1986-10-03 1989-10-31 Yoshino Kogyosho Co., Ltd. Pressure resistant bottle-shaped container
EP0506065B1 (en) 1987-02-17 1995-01-25 Yoshino Kogyosho Co., Ltd. Pressure resistant bottle-shaped container
IT1246079B (it) * 1990-03-22 1994-11-14 So Ge A M Spa Bottiglia in materia plastica particolarmente per il contenimento di bevande
JP3135995B2 (ja) 1992-08-21 2001-02-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US5341946A (en) * 1993-03-26 1994-08-30 Hoover Universal, Inc. Hot fill plastic container having reinforced pressure absorption panels
JPH0710147A (ja) 1993-06-25 1995-01-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
BR9303188A (pt) 1993-09-02 1995-04-25 Celbras Quimica E Textil S A Garrafa plástica para enchimento a quente
AUPN605595A0 (en) 1995-10-19 1995-11-09 Amcor Limited A hot fill container
US6112925A (en) * 1997-02-21 2000-09-05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Enhanced shelf-life pressurized container with ribbed appearance
US5988417A (en) * 1997-11-12 1999-11-23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having improved rigidity
US6062409A (en) 1997-12-05 2000-05-16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Hot fill plastic container having spaced apart arched ribs
US6036037A (en) * 1998-06-04 2000-03-14 Twinpak Inc. Hot fill bottle with reinforced hoops
USD630515S1 (en) * 1998-10-29 2011-01-11 Stokely-Van Camp, Inc. Bottle
US6164474A (en) * 1998-11-20 2000-12-26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Bottle with integrated grip portion
US7137520B1 (en) * 1999-02-25 2006-11-21 David Murray Melrose Container having pressure responsive panels
JP4201100B2 (ja) * 2000-01-25 2008-12-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3842005B2 (ja) * 2000-03-30 2006-1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胴部の補強リブ
US6763968B1 (en) * 2000-06-30 2004-07-20 Schmalbach-Lubeca Ag Base portion of a plastic container
US7900425B2 (en) * 2005-10-14 2011-03-0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ethod for handling a hot-filled container having a moveable portion to reduce a portion of a vacuum created therein
JP4796712B2 (ja) 2001-06-06 2011-10-19 ライオ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D465158S1 (en) * 2001-06-28 2002-11-05 Ball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JP2003104343A (ja) * 2001-09-26 2003-04-09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型容器
USD499609S1 (en) * 2002-09-12 2004-12-14 Pi-Design Ag Coffee mug with closed handle
JP4679038B2 (ja) 2003-02-28 2011-04-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USD503341S1 (en) * 2003-03-07 2005-03-2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A Division Of Conopco, Inc. Bottle
US7198164B2 (en) * 2003-03-31 2007-04-03 Graham Packaging Company, L.P. Hot-fillable container with a waisted dome
US8276774B2 (en) * 2003-05-23 2012-10-02 Amcor Limited Container base structure responsive to vacuum related forces
USD506142S1 (en) * 2003-08-29 2005-06-14 Aquion Partners L.P. Container
KR100798013B1 (ko) * 2003-11-26 2008-01-24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합성 수지제 용기
US7097060B2 (en) * 2003-12-05 2006-08-29 Amcor Limited Container with non-everting handgrip
AU2005209521B8 (en) * 2004-01-30 2011-03-03 Yoshino Kogyosho Co., Ltd. Neck of a synthetic resin bottle
USD499603S1 (en) * 2004-04-26 2004-12-14 Sylmark Holdings Limited Sport bottle blender
US7178684B1 (en) * 2004-07-16 2007-02-20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Hourglass-shaped hot-fill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748551B2 (en) 2005-02-18 2010-07-06 Ball Corporation Hot fill container with restricted corner radius vacuum panels
US7364046B2 (en) * 2005-02-24 2008-04-29 Amcor Limited Circumferential stiffening rib for hot-fill containers
USD541106S1 (en) * 2005-04-08 2007-04-24 Sylmark Holdings Limited Sport bottle
JP4683275B2 (ja) * 2005-05-10 2011-05-1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樹脂製収納容器
USD546699S1 (en) * 2005-05-26 2007-07-17 Sidel Participations Bottle of oil
US7296702B2 (en) * 2005-07-05 2007-11-20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bottle
JP4642601B2 (ja) * 2005-08-23 2011-03-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USD585753S1 (en) * 2005-11-25 2009-02-03 Sidel Participations Bottle
US7661548B2 (en) * 2006-01-25 2010-02-16 The Quaker Oats Company Hot-fill container with improved top-load performance
FR2899204B1 (fr) * 2006-04-04 2008-06-20 Eaux Minerales D Evian Saeme S Bouteille en matiere plastique presentant une portion de prehension
WO2007137254A2 (en) * 2006-05-22 2007-11-29 Constar International Inc. Circumferential rib
US7861876B2 (en) * 2006-09-22 2011-01-04 Ball Corporation Bottle with intruding margin vacuum responsive panels
USD592455S1 (en) * 2007-05-23 2009-05-19 Sigg Switzerland Ag Drinking bottle
JP5024666B2 (ja) 2007-05-29 2012-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のくびれ部
US20080314862A1 (en) * 2007-06-20 2008-12-25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container with easy label removal
JP4990713B2 (ja) 2007-07-31 2012-08-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JP5057306B2 (ja) 2008-01-31 2012-10-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USD602783S1 (en) * 2008-02-15 2009-10-27 Sidel Participations Bottle
US8286814B2 (en) * 2008-04-17 2012-10-1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Volumetrically efficient hot-fill type container
US20090321383A1 (en) * 2008-06-30 2009-12-31 Lane Michael T Single serve container
CN103057778B (zh) 2008-11-27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合成树脂制瓶体
JP5471042B2 (ja) 2009-06-01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
US8567624B2 (en) * 2009-06-30 2013-10-29 Ocean Spray Cranberries, Inc. Lightweight, high strength bottle
USD643729S1 (en) * 2009-07-09 2011-08-23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O2011027134A1 (en) * 2009-09-07 2011-03-10 Daniel Sutherland Improved bottle
JP5688630B2 (ja) * 2009-10-29 2015-03-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丸形壜体
US9352873B2 (en) * 2009-12-04 2016-05-31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configured for case-less shipping
JP5553212B2 (ja) 2010-04-30 2014-07-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丸形壜体
USD668157S1 (en) * 2010-08-05 2012-10-02 Societe Anonyme Des Eaux Minerales D'evian Bottle
USD647804S1 (en) * 2010-08-18 2011-11-01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
US8919587B2 (en) * 2011-10-03 2014-12-3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lastic container with angular vacuum panel and method of same
ES2710432T3 (es) * 2011-12-05 2019-04-25 Niagara Bottling Llc Recipiente plástico con nervaduras de profundidad vari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110A (ja) * 2002-07-03 2004-02-05 Ball Corp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11098780A (ja) * 2005-04-28 2011-05-19 Amcor Ltd 真空に関連した力に反応する容器の底部構造
JP2010285207A (ja) * 2009-06-15 2010-12-24 Kirin Brewery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26970A1 (en) 2014-08-21
CN104093638A (zh) 2014-10-08
US20150041426A1 (en) 2015-02-12
EP2821349A1 (en) 2015-01-07
CN105667925B (zh) 2018-03-30
CN104093638B (zh) 2016-03-23
WO2013129480A1 (ja) 2013-09-06
AU2013226970B2 (en) 2017-02-02
EP2821349B1 (en) 2024-04-03
US20160009474A1 (en) 2016-01-14
KR20140132713A (ko) 2014-11-18
CN105667925A (zh) 2016-06-15
EP2821349A4 (en) 2015-10-14
CA2865216A1 (en) 2013-09-06
US10017312B2 (en) 2018-07-10
CA2865216C (en) 2019-09-03
US10081476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294B1 (ko)
AU2011309311B2 (en) Bottle
KR101826117B1 (ko)
KR20170005408A (ko)
JP5035680B2 (ja) 合成樹脂製壜体
US8998026B2 (en) Bottle forme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to cylindrical shape with bottom
JP6122611B2 (ja) ボトル
JP6798770B2 (ja) 円形ボトル
JP2014105026A (ja) ボトル
JP6043534B2 (ja) ボトル
EP3028951B1 (en) Pressure reduction absorbing bottle
JP6216492B2 (ja) ボトル
JP7122855B2 (ja) 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