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408A - 병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408A
KR20170005408A KR1020167030138A KR20167030138A KR20170005408A KR 20170005408 A KR20170005408 A KR 20170005408A KR 1020167030138 A KR1020167030138 A KR 1020167030138A KR 20167030138 A KR20167030138 A KR 20167030138A KR 20170005408 A KR20170005408 A KR 2017000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wall portion
depth
movable wall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296B1 (ko
Inventor
히로키 오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7000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1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bottom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6Weaken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36Hollow circonferential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병은 바닥부(14)의 바닥벽부(19)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18)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지는 상승 주벽부(21)와,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는 가동벽부(22)를 구비하고, 가동벽부(22)는 상승 주벽부(21)와의 접속 부분(25)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구성되고, 가동벽부(22)에는 복수 개의 리브(26)가 병의 축(O)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리브(26)는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본체 오목부(26a) 및 접속 오목부(26b)를 구비하고, 본체 오목부(26a)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고, 접속 오목부(26b)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본체 오목부(26a)끼리를 병의 지름 방향으로 접속하고,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D1)에 대한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D2)의 비율인 깊이 비율 D2/D1은 2/9보다도 크고 1 이하이다.

Description

병{BOTTLE}
본 발명은 병(bottle)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4월 30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4-09335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합성수지 재료로 바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된 병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병에서는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및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병에서는 가동벽부가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회동(回動)함으로써, 병 내부의 감압을 흡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91860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병에서는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점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병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 형태의 병으로서,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 및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를 구비하고, 가동벽부는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향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가동벽부에는 복수의 리브가 병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리브는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본체 오목부 및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고, 본체 오목부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고, 접속 오목부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본체 오목부끼리를 병의 지름 방향으로 접속하고, 본체 오목부의 깊이 D1에 대한 접속 오목부의 깊이 D2의 비율인 깊이 비율 D2/D1은 2/9보다도 크고 1 이하이다.
이 경우, 깊이 비율 D2/D1을 2/9보다도 크고 1 이하로 함으로써, 병 내부의 감압 시에서의 가동벽부의 상방 이동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깊이 비율 D2/D1이 2/9 이하일 경우에는, 병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를 병의 축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동벽부가 병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 깊이 비율 D2/D1을 2/9보다도 크고 1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병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를 병의 축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켜, 예를 들어, 가동벽부를 병의 축 방향으로 반전 형태로 변형시키거나 할 수 있다.
깊이 비율 D2/D1은 1 미만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 오목부를 접속 오목부보다도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병 내부가 감압 상태로 되었을 때에,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이 더 향상되도록, 가동벽부를 상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깊이 비율 D2/D1은 2.5/9 이상 5/9 이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이 확실하게 향상되도록, 가동벽부를 상측으로 한층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병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병의 바닥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X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깊이 비율이 흡수 용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병(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를 구비하고, 이들 (11) 내지 (14)가 각각의 중심축 선을 공통 축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그 순서로 연이어 형성된 개략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공통 축을 병의 축(O)이라 하고,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주입부(11) 쪽을 상측, 바닥부(14) 쪽을 하측이라 한다. 병(1)을 병의 축(O) 방향에서 본 평면도에서, 병의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병의 지름 방향)이라 하고, 병의 축(O)을 중심으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병(1)은 사출성형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된 프리폼(preform)이 블로우 성형되어 형성되며,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입부(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주입부(11),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가 각각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어깨부(12)와 몸통부(13)의 접속 부분에는 제1 환상 오목 홈(16)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된다.
몸통부(13)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병의 축(O) 방향으로 양쪽 단부 사이는 이들 양쪽 단부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몸통부(13)에는 병의 축(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2 환상 오목 홈(15)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된다.
몸통부(13)와 바닥부(14)의 접속 부분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제3 환상 오목 홈(20)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4)는 상단 개구부가 몸통부(13)의 하단 개구부에 접속된 힐부(17)와, 힐부(17)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며, 또한 외주연부가 접지부(18)로 된 바닥벽부(19)를 구비하는 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힐부(17)에는 제3 환상 오목 홈(20)과 동일한 깊이의 제4 환상 오목 홈(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힐부(17) 중,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지는 힐 하단부(27)는 힐 하단부(27)에 상측에서 이어지면서 제4 환상 오목 홈(31)이 형성된 상 힐부(28)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힐 하단부(27)와 상 힐부(28)의 연결 부분(29)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또한, 상 힐부(28)는 병의 축(O) 방향으로 몸통부(13)의 양쪽 단부와 함께 병(1)의 최대 외경부로 되어 있다.
힐부(17)의 외주면, 및 몸통부(13)의 하단부 외주면에 요철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충전 공정에서, 다수의 병(1)을 줄지어 반송할 때에, 인접하는 병(1)의 힐부(17) 외주면끼리, 및 몸통부(13)의 하단부 외주면끼리가 서로 밀접하게 붙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 억제되고, 소위 블로킹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제3 환상 오목 홈(20)의 표면 및 제4 환상 오목 홈(31)의 표면에도 요철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부(1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지부(18)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21)와,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가동벽부(22)와,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 이어지는 바닥 중앙부(30)를 구비한다. 가동벽부(22) 및 바닥 중앙부(30)는 지름 방향으로 상승 주벽부(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승 주벽부(21)의 상단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다.
상승 주벽부(21)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된다.
가동벽부(22)는 하측을 향해 돌출한 곡면형태로 형성됨은 물론,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가동벽부(22)와 상승 주벽부(21)는 상측을 향해 돌출한 곡면부(25)를 통해 연결된다. 가동벽부(22)는 함몰 주벽부(23)를 상향 이동시키도록 곡면부(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25)를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바닥 중앙부(30)는 병의 축(O) 상에 배치되어,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측에 위치해 있다. 바닥 중앙부(30)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바닥 중앙부(30)에 있어서 병의 축(O)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바닥 중앙부(30)는 지름 방향으로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함몰 주벽부(23)와 함몰 주벽부(23)의 상단부에 병의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정벽(頂壁)(24)을 구비한다.
함몰 주벽부(23)는 병의 축(O)과 동축으로 설치됨은 물론,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된다. 함몰 주벽부(23)의 상단부에는 정벽(24)이 접속되어 있고, 함몰 주벽부(23) 및 정벽(24)의 전체로 정부가 있는 통 형태를 형성한다. 함몰 주벽부(23)는 횡단면에서 봤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벽(24)은 병의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함몰 주벽부(23)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한 곡면형태로 형성된 만곡벽부(23a)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되는 경사벽부(23c)를 구비한다. 만곡벽부(23a)의 상단은 정벽(24)에 연이어져 있다. 만곡벽부(23a)의 하단은 굴곡부(23b)를 통해 경사벽부(23c)에 연이어져 있다. 경사벽부(23c)의 하단은 지름 방향으로 환상 가동벽부(22)의 내단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벽부(22)에는 복수의 리브(26)가 병의 축(O)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26)는 지름 방향을 따라 바로 위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26)는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브(26)는 가동벽부(22)에 한정하여 배치되어 있어, 평면에서 봤을 때, 바닥 중앙부(30)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리브(26)는 가동벽부(22)에서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본체 오목부(26a) 및 접속 오목부(26b)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오목부(26a)는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도시된 예에서는 5개 배치되어 있다. 본체 오목부(26a)의 내면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구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오목부(26b)는 지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본체 오목부(26a)끼리를 지름 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접속 오목부(26b)의 내면은 리브(26)를 지나는 병(1)의 종단면에서 봤을 때, 하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볼록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종단면에서 봤을 때, 접속 오목부(26b)의 내면은 지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본체 오목부(26a)의 내면끼리를 지름 방향으로 단차 없이 매끄럽게 접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리브(26)는 종단면에서 봤을 때, 병의 축(O) 방향으로 교대로 볼록하게 되는 파형 형태로 형성된다.
각 본체 오목부(26a)는 각각 동일 형태 또한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고, 지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리브(26) 각각에 있어서, 복수 개의 본체 오목부(26a)가 배치되어 있는 지름 방향을 따르는 각 위치는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각 접속 오목부(26b)는 각각 동일한 형태 또한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고, 지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리브(26) 각각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속 오목부(26b)가 배치되어 있는 지름 방향을 따른 각 위치는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 D1에 대한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 D2의 비율인 깊이 비율 D2/D1은 2/9보다도 크고 1 이하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깊이 비율 D2/D1은 1 미만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깊이 비율 D2/D1은 2.5/9 이상 5/9 이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병(1)의 내부가 감압 상태로 되면, 바닥벽부(19)의 곡면부(25)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벽부(22)가 상측을 향해 회동함으로써, 가동벽부(22)는 함몰 주벽부(23)(바닥 중앙부(30))를 상측을 향해 들어올리듯이 이동한다. 즉, 감압 시에 병(1)의 바닥벽부(19)를 적극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몸통부(13) 등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병(1)의 내압 변화(감압)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주벽부(21)와 가동벽부(22)의 접속 부분이, 상측을 향해 돌출한 곡면부(25)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승 주벽부(21)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벽부(22)를 쉽게 이동(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벽부(19)의 가동벽부(22)에 복수 개의 리브(26)가 형성되어, 가동벽부(22)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있으므로, 가동벽부(22)에서의 수압면적을 증가시켜, 병(1)의 내압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가동벽부(22)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전술한 깊이 비율 D2/D1을 조정함으로써, 병(1)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 지견을 알아내는 데 있어서, 본원 발명자는 깊이 비율 D2/D1을 서로 다르게 한 복수 개의 병(1) 각각에서의 감압 흡수 성능에 대해 해석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6의 9종류의 병(1)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1)도 리브(26)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성이고, 내용량이 350ml, 병의 높이가 155.58mm, 병의 지름이 66mm, 중량이 21g인 병(1)이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6의 각 병(1)에서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26)의 형태를 다르게 했다. 또한, 표 1에는 해석 결과도 병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본체 오목부의 깊이(mm) 0 0.9 0.9 0.9 0.9 0.9 0.9 0.9 0.9
접속 오목부의 깊이(mm) 0 0 0.2 0.25 0.3 0.4 0.5 0.6 0.9
깊이 비율 D2/D1(%) - 0.0 22.2 27.8 33.3 44.4 55.6 66.7 100.0
바닥벽부 중심의 변위량(mm) 2.6 3.4 4.5 7.12 7.1 6.6 6.2 5.7 5.1
흡수용량(ml) 4.15 5.68 7.69 12.44 12.35 11.16 10.18 9.28 8.04
비교예 1의 병(1)에서는 바닥벽부(19)에 리브(2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였다. 비교예 2의 병(1)에서는 리브(26)에 접속 오목부(26b)가 구비되지 않은 구성으로 했다. 그 때문에, 표 1에서는 비교예 1의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 D1 및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 D2, 및 비교예 2의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 D2를 모두 0으로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6의 병(1)에서는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 D1과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 D2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6의 병(1)에서, 리브(26)는 지름 방향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깊이가 같은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리브(26)의 바닥면은 종단면에서 봤을 때, 지름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해 있다. 또한,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 내지 5의 각 병(1)에서,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 D1은 본체 오목부(26a)의 내면 곡률 반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해석에서는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 내지 6의 각 병(1)에 있어서, 본체 오목부(26a)의 깊이 D1은 변화시키지 않고, 접속 오목부(26b)의 깊이 D2를 변화시킴으로써 깊이 비율 D2/D1을 조정했다.
이들 각 병(1)에 있어서, 감압 강도를 20kPa로 했을 때의 가동벽부(22)의 바닥벽부(19) 중심의 변위량, 흡수용량에 대해 비교했다. 여기서, 바닥벽부(19) 중심의 변위량이란, 바닥벽부(19)에서 병의 축(O) 상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향 변위량이다.
이들 해석 결과는 표 1의 항목명 "바닥벽부 중심의 변위량(mm)", "흡수용량(ml)"의 각 행에 각각 기재했다. 흡수용량의 결과에 대해서는 또한 도 5에 그래프로 하여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그래프에 나타내는 복수의 플롯 중, 가장 왼쪽에 있는 플롯은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그 이외의 플롯은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 순서대로 비교예 2, 3, 실시예 1, 2, 3, 4, 5, 6 각각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해석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의 병(1)에서는 표 1의 항목명 "바닥벽부 중심의 변위량(mm)"의 행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벽부(22)가 크게 변형되는 것이 확인되고, 구체적으로는 모두 바닥벽부(19) 중심의 변위량이 5.0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병(1)에서는 모두 가동벽부(22)가 반전 형태로 변형되었다.
여기서, 비교예 3의 병(1)에서의 깊이 비율 D2/D1은 2/9(22.2%)로 되어 있고, 실시예 6의 병(1)에서의 깊이 비율 D2/D1은 1(100%)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해석으로부터, 깊이 비율 D2/D1이 2/9보다도 크고 1 이하임으로써, 병(1) 내부의 감압 시에서의 가동벽부(22)의 상향 이동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1의 항목명 "흡수용량"의 행, 및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병(1)에서는 흡수용량이 10.0ml 이상 확보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실시예 1의 병(1)에서의 깊이 비율 D2/D1은 2.5/9(27.8%)로 되어 있고, 실시예 4의 병(1)에서의 깊이 비율 D2/D1은 5/9(55.6%)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해석으로부터, 깊이 비율 D2/D1이 2.5/9 이상 5/9 이하임으로써, 충분한 흡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병(1)에 의하면, 깊이 비율 D2/D1을 2/9보다도 크고 1 이하로 함으로써, 병(1) 내부의 감압 시에서의 가동벽부(22)의 상향 이동량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병(1)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깊이 비율 D2/D1이 2/9 이하일 경우에는 병(1)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22)를 병의 축(O)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동벽부(22)가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깊이 비율 D2/D1을 2/9보다도 크고 1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병(1) 내부의 감압 시에, 가동벽부(22)를 병의 축(O)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키고, 예를 들어, 가동벽부(22)를 병의 축(O) 방향으로 반전 형태로 변형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깊이 비율 D2/D1을 1 미만으로 했을 경우에는, 본체 오목부(26a)를 접속 오목부(26b)보다도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병(1) 내부가 감압 상태로 되었을 때에, 병(1)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이 더 향상되도록, 가동벽부(22)를 상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깊이 비율 D2/D1을 2.5/9 이상 5/9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병(1)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이 확실하게 향상되도록 가동벽부(22)를 상측으로 한층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 중앙부(30)가 함몰 주벽부(23) 및 정벽(24)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닥 중앙부(30)가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을 이루는 평면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바닥 중앙부(30)가 종단면에서 봤을 때, 병의 축(O) 방향으로 돌기를 이루는 만곡 판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오목부(26a)의 내면이 종단면에서 봤을 때 볼록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 오목부(26b)의 내면이 종단면에서 봤을 때 오목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거나,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승 주벽부(21)를 예를 들어, 병의 축(O)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거나 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가동벽부(22)를 예를 들어, 지름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돌출시키거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장하거나 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그에 더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함몰 주벽부(23)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함몰 주벽부(23)를 병의 축(O)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직경으로 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요철부(17a)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병(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등, 또는 이들의 블렌드 재료 등,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병(1)은 단층 구조체에 한정하지 않고, 중간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이 중간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재생재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산소 흡수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깨부(12), 몸통부(13) 및 바닥부(14) 각각의 병의 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본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다각형 형태로 하거나 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고, 또한 상기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병에 따르면, 병 내부의 감압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병
14 바닥부
18 접지부
19 바닥벽부
21 상승 주벽부
22 가동벽부
23 함몰 주벽부
25 곡면부(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
26 리브
26a 본체 오목부
26b 접속 오목부
O 병의 축

Claims (3)

  1.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 형태의 병으로서,
    바닥부의 바닥벽부가
    외주연부에 위치하는 접지부와,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상기 접지부에 이어져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승 주벽부와,
    상기 상승 주벽부의 상단부에서 병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동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벽부는 상기 상승 주벽부와의 접속 부분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동벽부에는 복수 개의 리브가 병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본체 오목부 및 접속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오목부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접속 오목부는 병의 지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본체 오목부끼리를 병의 지름 방향으로 접속하고,
    상기 본체 오목부의 깊이 D1에 대한 상기 접속 오목부의 깊이 D2의 비율인 깊이 비율 D2/D1은 2/9보다도 크고 1 이하인 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비율 D2/D1은 1 미만인 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비율 D2/D1은 2.5/9 이상 5/9 이하인 병.
KR1020167030138A 2014-04-30 2015-02-12 KR102247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3353A JP6397652B2 (ja) 2014-04-30 2014-04-30 ボトル
JPJP-P-2014-093353 2014-04-30
PCT/JP2015/053795 WO2015166682A1 (ja) 2014-04-30 2015-02-12 ボト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408A true KR20170005408A (ko) 2017-01-13
KR102247296B1 KR102247296B1 (ko) 2021-05-03

Family

ID=5435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38A KR102247296B1 (ko) 2014-04-30 2015-02-12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67127B2 (ko)
EP (1) EP3138782B1 (ko)
JP (1) JP6397652B2 (ko)
KR (1) KR102247296B1 (ko)
CN (1) CN106255645B (ko)
AU (1) AU2015254468B2 (ko)
CA (1) CA2946512C (ko)
WO (1) WO2015166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114A1 (ja) * 2017-11-07 2019-05-16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JP7114276B2 (ja) * 2018-03-05 2022-08-0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EP3763630B1 (en) * 2018-03-05 2023-09-06 Suntory Holdings Limited Plastic bottle
JP7162517B2 (ja) * 2018-12-18 2022-10-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角形ボトル
CN112874968B (zh) * 2020-12-31 2023-01-24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一次性真空保鲜软桶及真空保鲜取水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332Y1 (ko) * 2005-11-30 2006-02-22 김용재 페트병
US20090159556A1 (en) * 2003-05-23 2009-06-25 Amcor Limited Container base structure responsive to vacuum related forces
JP2012091860A (ja) 2010-09-30 2012-05-17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77042A1 (ko) 1977-03-29 1978-11-03
FR2379443A1 (fr) * 1977-02-04 1978-09-01 Solvay Corps creux en matiere thermoplastique
JPS60182309U (ja) * 1984-05-15 1985-12-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軸延伸ブロ−成形壜体の底部構造
JPH0199949A (ja) * 1987-10-09 1989-04-18 Toyo Seikan Kaisha Ltd 耐圧プラスチック容器
FR2822804B1 (fr) 2001-04-03 2004-06-04 Sidel Sa Recipient, notamment bouteille, en matiere thermoplastique dont le fond comporte une empreinte en croix
JP2002370721A (ja) * 2001-06-13 2002-12-24 Toyo Seikan Kaisha Ltd 合成樹脂製ボトル
FR2904808B1 (fr) 2006-08-08 2011-03-04 Sidel Participations Fond de corps creux obtenu par soufflage ou etirage soufflage d'une preforme en materiau thermoplastique, corps creux conprenant un tel fond
JP2013079096A (ja) * 2011-10-04 2013-05-02 Daiwa Can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CN105667925B (zh) 2012-02-29 2018-03-30 株式会社吉野工业所
JP6216492B2 (ja) 2012-02-29 2017-10-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9556A1 (en) * 2003-05-23 2009-06-25 Amcor Limited Container base structure responsive to vacuum related forces
KR200409332Y1 (ko) * 2005-11-30 2006-02-22 김용재 페트병
JP2012091860A (ja) 2010-09-30 2012-05-17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8782B1 (en) 2019-01-02
JP2015209240A (ja) 2015-11-24
US10167127B2 (en) 2019-01-01
EP3138782A4 (en) 2017-12-20
CA2946512A1 (en) 2015-11-05
KR102247296B1 (ko) 2021-05-03
CA2946512C (en) 2021-09-28
WO2015166682A1 (ja) 2015-11-05
CN106255645A (zh) 2016-12-21
EP3138782A1 (en) 2017-03-08
CN106255645B (zh) 2018-09-07
AU2015254468B2 (en) 2019-06-13
US20170036803A1 (en) 2017-02-09
JP6397652B2 (ja) 2018-09-26
AU2015254468A1 (en)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078B1 (ko)
KR20170005408A (ko)
KR20140125281A (ko)
JP6307370B2 (ja) ボトル
JP6040013B2 (ja) ボトル
US8998026B2 (en) Bottle forme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to cylindrical shape with bottom
US9555927B2 (en) Bottle
JP6798770B2 (ja) 円形ボトル
JP5793300B2 (ja) ボトル
JP5986733B2 (ja) ボトル
JP6718768B2 (ja) 減圧吸収ボトル
JP2012076747A (ja) ボトル
JP2019189268A (ja) 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