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332Y1 - 페트병 - Google Patents

페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332Y1
KR200409332Y1 KR2020050033750U KR20050033750U KR200409332Y1 KR 200409332 Y1 KR200409332 Y1 KR 200409332Y1 KR 2020050033750 U KR2020050033750 U KR 2020050033750U KR 20050033750 U KR20050033750 U KR 20050033750U KR 200409332 Y1 KR200409332 Y1 KR 200409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neck
main body
pet bottl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김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재 filed Critical 김용재
Priority to KR2020050033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음용하고 남은 페트병의 음료수 보관시 탄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뒤집어서 꺼꾸로 된 상태로 보관할 때 페트병이 넘어지지 않게 보관 가능하게 하면서도 다시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서 음용 가능하게 하는 페트병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존의 페트병 형태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제조원가가 상승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서, 마개(10)가 출구(21)에 체결되고 병목부(22)와 본체부(23)를 구비하며 상기 병목부(22)에 원형의 요부(31)와 철부(32)가 반복되게 형성된 병목주름부(30)가 형성되게 하여 마개(10)를 포함한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페트병(20)으로서; 상기 본체부(23) 저면부에 원형의 요부(41)와 철부(42)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본체부(23) 바닥면(23a)을 경계선(s)으로 하여 내측으로 오목형태의 바닥주름부(40)가 형성되게 하여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삽입될 때 내부압력(p)에 의해 바닥주름부(40)가 본체부(23) 저면부 보다 돌출되는 탄력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다시 원래대로 할 경우에는 바닥주름부(40)를 누르면 병목부(22)가 다시 튀어 나오게 되므로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페트병, 탄산음료수병, 액체보관용기

Description

페트병{PET BOTTLE}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페트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닥주름부의 작용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페트병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페트병의 보관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페트병의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병목 및 바닥주름부 형태의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페트병의 입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개 20 : 페트병
21 : 출구 22 : 병목부
23 ; 본체부 30 : 병목주름부
31,41 : 요부 32,42 : 철부
40 : 바닥주름부
본 고안은 주로 음료수가 수용되는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마개를 처음 개방시켜서 음용한 다음 남은 음료수의 보관시 탄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뒤집어서 꺼꾸로 된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에 페트병이 넘어지지 않게 보관 가능하게 하면서도 다시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서 음용 가능하게 하고 페트병 출구를 옆으로 돌려서 매우 편리한 자세로 음용 가능하도록 개선된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은 수지제로 제조되고 주로 탄산음료수를 비롯하여 각종 음료수가 수용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페트병의 장점은 재질이 수지제로 제조됨으로써 가볍고 저렴하게 공급될 수 있으며 취급시 유리병처럼 깨지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페트병 단점은 탄산 음료수의 보관시 주변 온도(기온)가 높을 경우 탄산가스가 팽창하여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페트병 본체 가운데에 주름부(자바라형태)를 형성시켜 본체가 신축되게 하는 페트병이 개시된 바 있으나 현재에는 냉장쇼케이스 및 가정용 냉장고가 널리 보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팽창을 감안하여 탄산음료를 넣거나 또는 팽창시 페트병 본체가 불룩하게 배가 나온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단점이 해소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페트병에 있어서 아직까지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은 음용하고 남은 음료수를 보관할 때 내부에 있는 탄산가스가 누설되어 다시 음료수를 음용할 때 원래 의 음료수 맛을 음미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마시다 남은 음료수를 보관할 때 병마개를 아무리 세게 잠그어도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병내부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병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누설됨으로써 보관중이던 음료수를 다시 음용할 때 원래의 탄산음료의 맛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이다.
따라서, 탄산가스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꺼꾸로 뒤집어서 보관토록 함으로써 페트병 내부에 남아 있는 음료수로 하여금 병출구를 폐쇄하도록 하여 페트병 내부에 존재하는 탄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페트병의 출구부분(주둥이 부분)은 페트병 본체에 비해 날렵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페트병을 꺼꾸로 세우는 경우 똑바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옆으로 넘어지게 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에 있어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2672호 및 동 특허출원 제2002-0058262호, 동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0019481호 등이 개시되었으나 이들은 부품이 더 필요 되거나 구조가 사용상으로 불편하고 번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기 실제적으로 제품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0017915호와 같이 자바라 부분이 병주둥이 부분과 몸체부 부분에 구비하여 상기한 병주둥이 부분이 몸체부 내부로 삽입되게 하여 페트병을 꺼꾸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탄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한 것이 개시되었으나 이는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아니하는 병 내부 의 압력과 부피를 감안하지 않고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품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페트병 내부에는 액체 상태의 음료수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위쪽에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탄산가스와 같은 기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개를 닫은 상태에서 병목부 부분을 강제로 가압하여 병 내부로 삽입되려면 그 병목부가 내부로 삽입된 부피만큼 페트병의 내부 체적이 더 늘어나야만 병목부가 페트병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령, 병목부가 병 내부로 삽입되는 체적만큼 페트병의 체적이 더 늘어나지 않으면 병목부는 절대로 병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선행기술은 중간부에 주름관이 있기 때문에 병목부가 페트병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이 늘어날 수 있으나, 실제 이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페트병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은 병목부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보관할 때에 페트병 내부의 탄산가스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페트병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이 펴지면서 몸체의 체적이 증가되게 함으로써 페트병 내부로 삽입된 병목부가 다시 돌출되지 않게 하려는 목적에서 고안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의 페트병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은 페트병 내부압력이 약간만이라도 증가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팽창되는 작용이 되어야 하고, 이는 즉 페트병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을 매우 얇은 두께로 제조하여야 만이 그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선행기술의 페트병은 입구부가 위쪽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병목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반드시 입구부가 밑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만 병목부를 몸체 내부로 삽입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및 조작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페트병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매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즉, 페트병의 입구부가 위쪽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음료수가 몸체 내부에 남아있는 상태이고, 그 남아있는 음료수는 몸체 하측에 존재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음료수 무게에 의해서 몸체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은 완전히 펴진 상태를 갖게 되기 때문에 더 이상 몸체부의 체적이 늘어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병목부를 가압하게 되더라도 병목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선행기술의 페트병은 병 자체를 꺼꾸로 하여 음료수가 입구부 쪽으로 내려간 상태에서만 병목부를 가압하여 몸체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중간부에 있는 주름관이 펴질 수 있는 것이므로 페트병을 매번 사용 및 보관시 때마다 페트병을 꺼꾸로 들고 병목부를 가압하여 삽입시키고 다시 빼내어야 하는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고 번잡하여 실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페트병으로서는 매우 부적합 문제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페트병 몸체부 중간부에 유연한 주름관이 있기 때문에 페트병의 운반 및 취급과 진열등을 할 때에 페트병을 똑바른 상태로 진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잇을 뿐만 아니라 몸체 중간에 설명서와 같은 라벨을 부착시키지 못하거나 문자를 인쇄할 경우 그 문자가 제모양을 갖추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실제로 제품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단부가 받침판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수용 페트병으로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음용하고 남은 페트병의 음료수 보관시 탄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뒤집어서 꺼꾸로 된 상태로 보관할 때 페트병이 넘어지지 않게 보관 가능한 페트병을 제공하는데 있어 페트병을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도 병목부를 본체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하고 다시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서 음용 가능하게 하는 페트병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페트병 형태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제조원가가 상승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페트병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개가 출구에 체결되고 병목부와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병목부에 원형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게 형성된 병목주름부가 형성되게 하여 마개를 포함한 병목부가 본체부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페트병으로서; 상기 본체부 저면부에 원형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본체부 바닥면을 경계선으로 하여 내측으로 오목형태의 바닥주름부가 형성되게 하여 병목부가 본체부 내부에 삽입될 때 내부압력에 의해 바닥주름부가 본체부 저면부 보다 돌출되는 탄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목주름부와 바닥주름부의 요부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페트병(20)의 사시도 및 그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면 페트병(20)은 마개(10)가 체결되는 출구(21)를 가진 병목부(22)와 본체부(23)를 구비하고 그 전체가 수지제로 성형되게 제조된다.
그리고 병목부(22)에 원형의 요부(31)와 철부(32)가 반복되게 형성된 병목주름부(30)가 형성되게 하여 누름력에 의해 마개(10)를 포함한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완전히 삽입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23)의 저면부에는 원형의 요부(41)와 철부(42)가 반복되게 형성된 바닥주름부(40)가 오목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로 삽입될 때 하단부로 가압되는 내부 압력(p)에 의해 바닥주름부(40)가 본체부(23)의 바닥면(23a)을 경계선(s)으로 하여 돌출되는 탄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닥주름부(40)가 내부압력(p)에 의해서 가압되는 상태가 되면 그 바닥주름부(40)는 경계선(s)까지 서서히 내려가는 상태가 되다가 경계선(s)를 통과하는 순간에 탄력에 의해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급속히 돌출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바닥면(23a)이 되는 경계선(s)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바닥주름부(40)에 인위적으로 가압력(w)을 주게 되면 서서히 경계선(s)으로 이동하다가 그 경계선(s)을 통과하는 순간에 급속히 상승하여 실선 도시와 같은 오목형태의 바닥주름부(40)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주름부(40)가 위,아래쪽으로 이동하다가 경계선(s)을 기점으 로 그 경계선(s)을 넘는 순간 탄력을 받아서 순간적으로 옥목형태 또는 볼록형태로 전환되는 작용을 하는 것은 그 경계선(s)과 일치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 바닥주름부(40)가 압축되는 상태가 되다가 경계선(s)을 넘는 순간 펼쳐지는 탄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용하고 남은 음료수(d)를 보관하려고 할 때에는 마개(10)를 출구(21)에 완전히 체결되게 한 상태(도 2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마개(10) 부분에 가압력(w)을 주게 되면 병목주름부(30)가 있기 때문에 병목부(22)가 밑으로 밀려 들어 가게 됨으로써 마개(10)를 포함하여 병목부(22) 전체가 본체부(23)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탄산가스(g)가 압축되기 때문에 그 압축되는 압력이 음료수(d)에 가압력을 주게 됨으로써 오목형태로 있던 바닥주름부(40)가 내부압력(p)으로 가압되어 그 바닥주름부(40)가 본체부(23) 바닥면(23a) 보다 돌출되게 팽창되고 그로 인해 별다른 이상이 없이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병목부(22)에 가압력(w)을 주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페트병(20)을 들고 병목부(22)를 가압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페트병(20)을 꺼꾸로 들고 탁자와 같은 지면(k)에 병목부(22)를 대고 눌러서 가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음료수(d)를 음용하고 남은 페트병(20)은 주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페트병(20)을 냉장고의 보관하려는 장소에다가 꺼꾸로 들고 누르면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삽입되면서 도 5와 같이 보관장소의 지면(k)에 세워지는 상태가 된다.
즉, 도 5와 같이 페트병(20) 전체를 꺼꾸로 뒤집어서 보관하게 되면 보관장소가 어디가 되었든 지면(k)에 닿는 부분은 본체부(23) 상단부가 되고, 그 본체부(23) 상단부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평탄면을 가지기 때문에 일부로 쓰러뜨리지 않는 한 페트병(20)은 옆으로 넘어지지 않게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페트병(20)이 꺼꾸로 보관되므로 음료수(d)가 출구(21)를 폐쇄시키므로 탄산가스(g)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보관 중에 페트병(20) 주변온도(기온)가 상승되면 본체부(23) 내부의 탄산가스(g)가 팽창될 수 있으나 마시다 남은 음료수(d)가 담긴 페트병(20)을 보관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냉장고에서 냉장 보관하므로 보관 중에 탄산가스(g)가 팽창될 우려는 실생활에서 거의 없다.
그러나 냉장보관이 아닌 경우 주변온도의 상승에 의해서 탄산가스(g)가 팽창하더라도 페트병(20)이 터질 정도의 온도 상승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가령 온도 상승에 의해서 탄산가스(g)가 다소 팽창하게 되더라도 그 팽창되는 부피는 그다지 많지 않고 팽창압력도 미약하기 때문에 병목부(22)가 다시 튀어 나올 정도가 아니므로 전혀 염려할 사항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체부(23)의 배가 불룩 나온 상태로 팽창되는 경우라면 이것은 비정상적인 사용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페트병(20) 제조시에 페트병(20)이 탄산가스(g) 팽창압력으로는 터지지 않도록 제조되기 때문 에 안전에는 전혀 문제되지 아니한다.
한편, 다시 음료수(d)를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외부로 돌출되어 나온 바닥주름부(40)를 지면(k)에 놓고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w)에 의해서 바닥주름부(40)가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내부의 탄산가스(g)가 압축되어 내부압력(p)이 생기기 때문에 그 내부압력(p)에 의해서 병목주름부(30)를 가진 병목부(22)가 본체부(23)로부터 저절로 튀어 나오게 된다.
이때, 병목주름부(30)는 본체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최하단부분(30a)이 병목경계선(s')을 통과하는 순간 병목주름부(30)가 튀어 오르려는 탄력에 의해서 약간의 내부압력(p)만이 작용되어도 저절로 튀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용이하게 튀어 나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바닥주름부(40)를 가압하는 것은 페트병(20)을 바닥에 놓은 다음 누르는 가압력(w)으로 가압되게 하여 병목부(22)가 돌출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페트병(20)을 들고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페트병(20)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때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병목부(22)를 손으로 잡아 빼는 것이 아니라 페트병(20)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불룩 나온 상태의 바닥주름부(40)를 지면(k)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병목부(22)가 저절로 튀어 나오기 때문에 페트병(20)을 매우 용이하게 원래 상태대로 복귀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 병목주름부(30) 및 바닥주름부(40)의 요부(31,41)는 도 7a와 같이 뾰족한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도 7b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크기가 작은 페트병(20)일 경우는 도 7a와 같이 제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크기가 비교적 큰 페트병(20)일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요부(31,41)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과 같이 병목부(22)에 병목주름부(30)가 있기 때문에 그 병목부(22)를 음용하기 좋은 각도로 옆으로 기울일 수 있어서 음료수(d)를 음용하기에 보다 편리하게 이용될 수도 있으며, 도 9와 같이 병목부(22)를 회전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병목부(22)만을 회전시켜 음료수(d)를 따를 수 있게 되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크고 작은 페트병(20)에 관계없이 실시될 수 있는 구조이며, 본체부(23)에 아무런 구조를 가지지 않게 되므로 문자 인쇄 또는 라벨을 부착시키는데 전혀 지장이 초래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음양각적인 디자인을 가지도록 제조 가능하다.
또한, 보관시 뒤집어서 보관하다가 사용시 다시 원래 상태대로 하기 위해 뒤집게 되는데 이때 음료수(d)가 본체부(23)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 음료수(d)에 있던 알갱이등과 같은 내용물이 자연히 섞여지게 되므로 음료수(d)와 알갱이 내용물이 섞이도록 페트병(20)을 일부로 흔들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반드시 페트병(20)에만 실시되는 것이 아니고 수지제로 된 화장품용기나 생수병과 같은 액체 또는 젤 상태의 내용물이 담기는 보관용기에는 모두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마요네즈나 케찹 등을 보관하는 수지제 마요네즈용기 및 케찹용기 등에 실시되는 경우 꺼꾸로 보관하게 되면 그 용기들이 옆으로 넘어지지 않게 보관될 뿐만 아니라 보관 도중에 젤 상태의 내용물(마요네즈, 케찹)이 출구(21) 쪽으로 흘러 내려와 있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시에 바닥주름부(30)를 가압하여 병목부(22)가 원래 상태대로 돌출되게 하더라도 젤 상태의 내용물은 출구(21) 부분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되므로 내용물을 짜 낼때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는 용기가 넘어지지 않게 보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음용하고 남은 페트병의 음료수 보관시 탄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뒤집어서 꺼꾸로 된 상태로 보관할 때 페트병이 넘어지지 않게 보관 가능하게 하면서도 다시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귀시켜서 음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기존의 페트병 형태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제조원가가 상승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페트병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마개(10)가 출구(21)에 체결되고 병목부(22)와 본체부(23)를 구비하며 상기 병목부(22)에 원형의 요부(31)와 철부(32)가 반복되게 형성된 병목주름부(30)가 형성되게 하여 마개(10)를 포함한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되는 페트병(20)으로서; 상기 본체부(23) 저면부에 원형의 요부(41)와 철부(42)가 반복되게 형성되고 본체부(23) 바닥면(23a)을 경계선(s)으로 하여 내측으로 오목형태의 바닥주름부(40)가 형성되게 하여 병목부(22)가 본체부(23) 내부에 삽입될 때 내부압력(p)에 의해 바닥주름부(40)가 본체부(23) 저면부 보다 돌출되는 탄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목주름부(30)와 바닥주름부(40)의 요부(31,41)가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KR2020050033750U 2005-11-30 2005-11-30 페트병 KR200409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50U KR200409332Y1 (ko) 2005-11-30 2005-11-30 페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750U KR200409332Y1 (ko) 2005-11-30 2005-11-30 페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332Y1 true KR200409332Y1 (ko) 2006-02-22

Family

ID=4175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750U KR200409332Y1 (ko) 2005-11-30 2005-11-30 페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3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408A (ko) * 2014-04-30 2017-01-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408A (ko) * 2014-04-30 2017-01-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KR102247296B1 (ko) * 2014-04-30 2021-05-0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479B2 (en) Device to retain carbonation
US6170715B1 (en) Beverage dispenser
US3349965A (en) Chargeable package for liquids
US20150344177A1 (en) Container
US20060226171A1 (en) Bag type squeeze bottle
HRP20040330A2 (en) Container for a flowable product, process of manufacture and the use thereof
MXPA06012598A (es) Surtidor de bebida carbonatada.
EP0973429B1 (en) Method of producing a frothed liquid
US6065300A (en) Self-cooling container with internal beverage vessel having a vessel wall with reversible wall bulges
BRPI0409323B1 (pt) recipiente para produto com parede delgada
US20090014446A1 (en) Pressure top for beverage-containing vessels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5704222A (en) Refrig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9332Y1 (ko) 페트병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US11952201B2 (en) Gravity-oriented one-way valv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BRPI1009159A2 (pt) Dispositivo para a conservação de bebidas refrigerantes em geral, com ou sem contéudo de álcool, embaladas em garrafas ou embalagens similares, de plástico, vidro ou outro material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H0687234U (ja) 液態食品用ビン
KR20120002952A (ko) 산화방지용 용기
JP3135772U (ja) 清涼飲料水用袋容器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KR200363592Y1 (ko) 가스 누출 방지 용기
GB2319238A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433697Y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KR200381472Y1 (ko) 가변용적형 탄산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