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419B1 - 방진 클램프 - Google Patents

방진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419B1
KR101953419B1 KR1020147009941A KR20147009941A KR101953419B1 KR 101953419 B1 KR101953419 B1 KR 101953419B1 KR 1020147009941 A KR1020147009941 A KR 1020147009941A KR 20147009941 A KR20147009941 A KR 20147009941A KR 101953419 B1 KR101953419 B1 KR 10195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amp
delete delete
p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432A (ko
Inventor
타쿠 히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7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5Noise absorbers in the form of specially adapted hangers 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방진 클램프는, 관재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장착 구멍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구멍과 구멍 축이 일치하는 끼워맞춤 구멍과,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주연이 절결되어 형성된 오목 홈이 형성된 방진 부재와,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삽입 가능한 원통 모양의 목 부분과, 상기 오목 홈에 삽통 가능한 고정 리브와, 상기 목 부분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지름 방향 안쪽으로 퇴피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돌기를 갖는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상기 목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돌기가 반경 방향으로 퇴피하고,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오목 홈을 통과한 후, 상기 클립을 상기 방진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진 클램프{VIBRATION-PROOF CLAMP}
본 발명은, 관재를 지지하여 장착 대상물에 장착하는 방진(防振)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등에서 에어컨용이나 연료용 파이프(관재)를 차체에 장착하는 클램프가 사용된다. 클램프는, 파이프를 지지하는 클램프 본체와, 장착 대상물에 걸리는 클립을, 탄성 부재를 통해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클립에는 T자 모양의 리브가 마련되고, 클램프 본체 및 탄성 부재에는 긴 구멍(長孔)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본체의 긴 구멍과 탄성 부재의 긴 구멍을 겹쳐서 배치하고, 클립의 T자 모양 리브를 긴 구멍에 끼워 넣어, 삽입 후에 회전시킴으로써, 클립의 리브를 빠지지 않게 하여 클립과 클램프를 탄성 부재를 통해 고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6-226394호 공보
이 종류의 클램프에서는, 조립 작업의 단순화와 조립 상태에서의 고정성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클램프는, 관재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장착 구멍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구멍과 구멍 축이 일치하는 끼워맞춤 구멍(嵌合孔)과,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주연(周緣)이 절결(切缺)되어 형성된 오목 홈이 형성된 방진 부재와,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삽입 가능한 원통 모양의 목 부분(首部)과, 상기 오목 홈에 삽통(揷通) 가능한 고정 리브와, 상기 목 부분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지름 방향 안쪽으로 퇴피(退避)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돌기를 갖는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상기 목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돌기가 반경 방향으로 퇴피하고,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오목 홈을 통과한 후, 상기 클립을 상기 방진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작업의 단순화와 조립 상태에서의 고정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10)(방진 클램프)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화살표 X, Y, Z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나타낸다. 각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적절히 구성을 확대, 축소 또는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클램프(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3은 장착부 부분을 단면(斷面)으로 나타내며, 도 4는 장착부(22)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10)는, 각종 파이프를 지지하는 클램프 본체(20)와, 장착 대상물에 걸리는 클립(30)과, 클램프 본체(20)와 클립(30) 사이에 개재하는 방진 부재(40)(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클램프(10)가, 연료용, 에어컨용 등으로 사용되는 관재로서의 각종 파이프(12)를 지지한 상태로, 예를 들면 자동차 바디 패널(18) 등의 장착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종 파이프(12)가 장착 대상물에 고정된다.
클램프 본체(2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파이프(12)를 지지하는 지지부(21)와, 방진 부재(40)가 장착되는 장착부(22)를 일체로 구비하는 수지 성형품이다.
지지부(21)에는, 파이프(12)를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지지대(23)가 복수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23)에는 각각 파이프의 외형을 따르는 원호면을 갖는 지지편(2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3)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벽(24)이 입설(立設)되어 있으며, 지지벽(24)의 선단부로부터는, 지지대(23)의 중심부로 향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부(25)가 뻗어나와 있다. 가이드부(25)는 파이프(12)의 축 방향으로 늘어서는 3매의 가이드편(25a, 25b, 25c)을 구비하며, 중앙의 가이드편(25b)이 양측의 가이드편(25a, 25c)보다 내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25)의 이간(離間) 거리는, 파이프(12)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파이프(12)가 대향하는 가이드부(25) 사이를 통과할 때, 가이드부(25)가 변형되어 파이프(12)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25)의 선단과 지지편(23a)의 최대 이간 거리는, 파이프(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12)가 지지대(23)에 지지되면, 가이드부(25)는 복원하여, 파이프(12)가 지지부(21)에 확실히 지지되게 된다. 지지대(23)의 외주면측에는 복수의 리브(27)가 입설되어, 리브(27)를 통해 지지부(21)와 장착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2)는 도면에서 Z 방향을 따르는 축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판 모양의 장착벽부(22a)와, 장착벽부(22a)의 외주(外周)에 일체로 형성되는 주벽부(周壁部)(22b)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뒤쪽(裏側)에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방진 부재(40)의 원판부(41)가 수용되는 수용부(22c)(도 4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 상태에서 이 수용부(22c)에 방진 부재(40)의 원판부(41)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장착벽부(22a)의 중앙부에는 장착 구멍(26)이 관통되어 있다. 장착 구멍(26)은, 보스(44)의 원형부(44a)와 클립(30)의 목 부분(31)이 삽입되는 축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형 구멍부(26a)와, 이 원형 구멍부(26a)로부터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홈부(26b)를 갖는 소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홈부(26b)는 180도 위상 차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해 있다.
방진 부재(40)는 예를 들면 고무재를 포함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수지 성형품이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22)와 같은 형상의 원판부(41)(제2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판부(41)의 외연(外緣)으로부터는, 환상(環狀)의 스커트부(42)가 수하(垂下)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방진 부재(40)의 뒤쪽에 있어서 원판부(41)와 스커트부(42)로 둘러싸인 원형의 오목부(40a)(도 4에 나타냄)가 형성되어, 조립 상태에서 이 오목부(40a)에 플랜지부(34)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원판부(41)의 중앙부에는, 중앙부에 긴 구멍(43)이 마련된 보스(44)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44)는 원형으로 된 원형부(44a)와 한 쌍의 돌부(突部)(44b)를 갖고, 보스(44)의 외연은 장착부(22)의 장착 구멍(26)의 내연(內緣)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장착 구멍(26) 내에 끼워넣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스(44)의 선단부에는, 보스(44)의 외형 형상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연(緣)(45)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연(45)의 선단 외주연(45a)은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축심 방향에 대해 경사면을 구성한다.
긴 구멍(43)은, 축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형의 끼워맞춤 구멍(43a)과, 이 끼워맞춤 구멍(43a)의 외주가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한 쌍의 오목 홈(43b)을 갖는 소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 홈(43b)은 180도 위상 차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해 있다. 조립 작업시에 있어서 긴 구멍(43)의 끼워맞춤 구멍(43a)에 목 부분(31)이 삽입 가능하며, 한 쌍의 오목 홈(43b)에 한 쌍의 고정 리브(32)가 삽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연(45)을 장착부(22)의 장착 구멍(26) 안으로 밀어 넣어, 보스(44)를 장착부(22)의 장착 구멍(26) 안으로 끼워넣으면, 플랜지연(45)이 장착부(22)의 앞쪽(表側)(도면에서 상측)에 걸려, 보스(44)의 기단(基端) 부분이 장착 구멍(26) 내에 배치되고, 원판부(41)가 수용부(22c)에 수용되어, 방진 부재(40)가 장착부(22)에 장착된다.
클립(30)은,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으로, 원통 모양의 목 부분(31)과, 목 부분(31)의 선단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 리브(32)와, 목 부분(31)의 측부 외주면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돌기(33)와, 목 부분(31)의 기단에 마련된 원형의 플랜지부(34)와, 플랜지부(34)의 다른쪽측에 형성되는 걸림부(係止部)(36)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목 부분(31)은 축심(C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모양으로 구성되며, 플랜지부(34)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입설되어 있다. 목 부분(31)의 선단에는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고정 리브(32)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리브(32)는, 목 부분(31)의 선단부에서 목 부분(31)의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서로 180도 위상 차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 리브(32)는 오목 홈(43b)에 삽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목 부분(31)의 선단은 긴 구멍(43)의 내측 형상에 따른 외형 모양을 갖고, 긴 구멍(43)에 삽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돌기(33)는 목 부분(3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 돌기(33)는 180도 위상 차로 배치되어 서로 대향해 있다. 한 쌍의 탄성 돌기(33)는 각각 고정 리브(32)와의 위상 차가 90도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 돌기(33)는 클립(30) 기단측을 향해 외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33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탄성 돌기(33)의 둘레에는 각각 슬릿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부(35)는, 탄성 돌기(33)의 양 옆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과, 탄성 돌기(33)의 일단측(클립 기단측)에 형성되는 슬릿이 연속되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30)을 긴 구멍(43)에 삽입할 때, 탄성 돌기(33)는, 경사면(33a)이 끼워맞춤 구멍(43a)의 내면과 간섭하여 밀리는 것에 의해, 클립(30) 선단측의 단말(端末)을 지점으로 하여 탄성 돌기(33)가 지름 방향 안쪽으로 향해 탄성적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유 상태(복원 상태)에 있어서의 목 부분(31)의 축심(C1)으로부터 탄성 돌기(33)의 외단(外端)까지의 길이는, 끼워맞춤 구멍(43a)의 지름보다 크고, 또, 긴 구멍(43)의 축심(C1)으로부터 오목 홈(43b)의 내벽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자유 상태에서 탄성 돌기(33)의 외경은 오목 홈(43b)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 홈(43b) 내에서 복원된 탄성 돌기(33)는 오목 홈(43b) 내벽에 걸려서 위치결정되어, 클립(30)과 방진 부재(4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플랜지부(34)(제1 플랜지부)는, 축심(C1)을 중심으로 한 원판 모양으로, 스커트부(42)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갖는다. 플랜지부(34)의 두께는 스커트부(42)의 길이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조립 상태에서 플랜지부(34)는 방진 부재(40)의 뒤쪽의 오목부(40a) 내에 수용되어, 원판부(41) 및 스커트부(42)로 덮인다.
걸림부(36)는, 플랜지부(34)의 이면(裏面)으로부터 입설되는 한 쌍의 리브(37)와, 한 쌍의 리브(37) 사이에 걸쳐지는 장착판(38)과, 장착판(38)의 중앙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38a)과, 나사 구멍(38a)을 둘러싸는 복수의 누름편(39)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나사 구멍(38a)에서 스터드 볼트(19) 등의 장착 부재에 의해 걸림 부(36)가 차체의 바디 패널(18)에 걸려, 클립(30)이 장착 대상물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10)의 조립 순서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공정으로서, 클램프 본체(20)의 장착부(22)에 방진 부재(40)를 장착시킨다. 이때, 장착부(22)의 장착 구멍(26)의 형상에 맞춰 방진 부재(40)의 플랜지연(45)을 위치 결정하고, 플랜지연(45)을 장착 구멍(26) 안으로 압입하여, 보스(44)를 장착 구멍(26) 안으로 삽입시킨다. 방진 부재(40)는 고무재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플랜지연(45)의 선단의 외주연(45a)은 테이퍼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연(45)이 장착 구멍(26)에 간섭하여 안쪽으로 변형하면서 탄성 변형해, 플랜지연(45)이 장착 구멍(26) 내를 통해 삽통된다.
플랜지연(45)이 장착 구멍(26)을 통과한 후에 방진 부재(40)가 복원되어, 플랜지연(45)이 장착부(22)의 표면측에 걸림과 아울러, 장착 구멍(26)에 보스(44)가 안으로 끼워지며, 원판부(41)가 장착부(22)의 뒤쪽의 수용부(22c) 내에 수용되어, 방진 부재(40)가 장착부(22)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제2 공정으로서, 클램프 본체(20)에 장착된 방진 부재(40)의 긴 구멍(43)에 클립(30)의 목 부분(31)을 축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긴 구멍(43)의 형상에 맞춰 클립(30)의 한 쌍의 고정 리브(32)를 오목 홈(43b)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하여, 목 부분(31)을 끼워맞춤 구멍(43a) 안으로 삽입하면, 탄성 돌기(33)가 끼워맞춤 구멍(43a)의 내벽과 간섭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퇴피하도록 탄성 변형하면서, 클립(30)이 긴 구멍(43)에 삽입된다.
그리고 클립(30)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해서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 리브(32)가 오목 홈(43b)을 통과해서 앞쪽으로 빠져나온다. 이때, 클립(30)의 플랜지부(34)가, 방진 부재(40)의 뒤쪽의 오목부(40a) 내에 수용된다. 탄성 돌기(33)는 끼워맞춤 구멍(43a)의 내측에서 안쪽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3 공정으로서, 클립(30)을 방진 부재(40)에 대해 축심(C1)을 중심으로 90도 상대 회전시킨다. 고정 리브(32)가 둘레 방향으로 90도 이동하여 어긋남과 아울러, 탄성 돌기(33)가 둘레 방향으로 90도 이동한다. 그리고 클립(30)을 90 °회전시킨 시점에서 탄성 돌기(33)가 오목 홈(4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한 쌍의 탄성 돌기(33)가 바깥쪽으로 복원되어 벌어져서, 오목 홈(43b)에 끼워진다. 이와 동시에 고정 리브(32)는 끼워맞춤 구멍(43a) 둘레의 플랜지연(45)에 걸린다. 이상에 의해 조립 동작이 종료하며, 클램프 본체(20)와 클립(30)이 방진 부재(40)를 개재하여 고정된다. 또, 플랜지부(34)와 원판부(41)는 동축(同軸)의 원호 모양의 외연을 갖기 때문에, 고정시에 방진 부재(40)와 클립(30)을 상대 회동시키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조립 상태에서, 장착부(22)의 수용부(22c)에 원판부(41)가 배치되고, 플랜지연(45)이 장착 구멍(26)으로부터 돌출하여 장착 구멍(26)의 둘레에 걸린다. 또한, 오목부(40a)에 플랜지부(34)가 배치되고, 탄성 돌기(33)가 오목 홈(43b)에 배치됨과 아울러, 고정 리브(32)가 장착부(22)에 있어서의 장착 구멍(26)의 둘레에 걸려, 고정 리브(32)와 플랜지부(34) 사이에 플랜지연(45)이 협지되게 된다. 즉, 클립(30)의 고정 리브(32)와 클램프 본체(20)가 방진 부재(40)를 협지하여 고정한다. 이 클램프(10)의 지지부(21)에 파이프(12)를 협지시킴과 아울러, 걸림부(36)를 장착 대상물인 바디 패널(18)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관재를 장착 대상물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램프(10)에 의하면, 클립(30)에 고정 리브(32)와 탄성 돌기(33)를 마련한 구성에 의해, 조립 작업의 단순화와 조립 상태에서의 고정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즉, 클립(30)을 긴 구멍(43)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정도의 단순한 조립 동작으로, 삽입시에는 탄성 돌기(33)가 휨 변형하는 것에 의해 클립(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 리브(32)의 통과 후에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탄성 돌기(33)가 오목 홈(43b) 내에 위치 결정되어 회전 방지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고정 리브(32)가 끼워맞춤 구멍(43a) 주위의 플랜지연(45)에 걸려 빠짐 방지가 가능해진다.
고정시에는 클립(30)의 고정 리브(32)와 클램프 본체(20)의 장착부(22)에 의해 방진 부재(40)를 협지하여 축 방향의 고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방진 부재(40)를 개재시킨 것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이 파이프(1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진 효과가 얻어진다. 또 원판부(41)의 주위가 클램프 본체(20)의 장착부(22)로 둘러싸이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회전 방향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립(30)을 회전시킬 때에는 탄성 돌기(33)가 오목 홈(43b)에 들어간 시점에서 급격히 토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자는 클립(30) 장착시의 클릭감(節度感)을 얻을 수 있고, 탄성 돌기(33)가 소정 위치에 배치된 것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탄성 돌기(33)의 외경과 오목 홈(43b)의 내경을 거의 같은 직경으로 한 것에 의해, 탄성 돌기(33)와 방진 부재(40)가 끼워 맞춰져서 확실하게 또 정확하게 걸린다.
또한, 방진 부재(40)의 보스(44)의 외경과 클램프 본체(20)의 장착 구멍(26)의 내경을 거의 동일 직경으로 한 것에 의해, 회전 방향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34)와 오목부(40a)를 동심원 모양으로 구성하고, 플랜지부(34)의 외연이 스커트부(42)의 내부 형상을 따르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상대 회전 동작이 안내되어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실시 가능하다. 또한, 각부의 구체적 구성이나 재질 등은 상기 실시 형태에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클램프 본체(20)를 도면 상측에 배치하고, 클립(30)을 도면 하측에 배치했지만, 클램프 본체(20)와 클립(30)의 위치가 상하 반대여도 좋고, 또한, 클램프(10)를 옆으로 눕힌 상태로 사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건 중 일부를 생략해도 본 발명은 실현 가능하다.
또, 2011년 10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237735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7)

  1. 관재가 지지되는 지지부가 마련됨과 아울러, 장착 구멍이 형성된 클램프 본체와,
    탄성 재료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 구멍과 구멍 축이 일치하는 끼워맞춤 구멍(嵌合孔)과,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주연(周緣)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오목한 한 쌍의 오목 홈이 형성된 방진 부재와,
    상기 끼워맞춤 구멍의 내측 형상에 따른 외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삽입 가능한 원통 모양의 목 부분(首部)과, 상기 오목 홈에 삽통(揷通) 가능한 한 쌍의 고정 리브와, 상기 목 부분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보다 삽입방향 기단측(基端側)의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지름방향의 안쪽으로 퇴피(退避)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탄성 돌기를 가지는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 리브는, 각각 한 쌍의 상기 오목 홈의 내측 형상에 따른 외형 모양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탄성 돌기는, 자유 상태에서 상기 오목 홈의 내벽과 같은 지름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클립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목 부분의 외주면에서, 상기 탄성 돌기의 양 측부와 상기 탄성 돌기의 상기 클립의 기단측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슬릿에 의하여, 상기 탄성 돌기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탄성 돌기와 한 쌍의 상기 고정 리브는 각각 원통 모양의 상기 클립의 둘레의 대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 돌기와 상기 고정 리브는 둘레방향에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끼워맞춤 구멍에 상기 목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돌기가 반경방향으로 퇴피하고,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오목 홈을 통과한 후, 상기 클립을 상기 방진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클립의 중심 축선을 따른 슬릿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클립 선단측의 단말을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안쪽으로 후퇴 가능하고,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방진 부재의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클립의 상기 고정 리브와 상기 클램프 본체가 상기 방진 부재를 협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클램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목 부분의 기단측에, 원형의 플랜지부와, 장착 대상물에 고정되는 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방진 클램프.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의 외연(外緣)과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기 장착 구멍의 내연(內緣)이 같은 지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클램프.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원호 모양의 외연을 가지는 제1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방진 부재에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동축(同軸)인 원호 모양의 외연을 가지는 제2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클램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7009941A 2011-10-28 2012-10-18 방진 클램프 KR10195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7735 2011-10-28
JP2011237735A JP5848950B2 (ja) 2011-10-28 2011-10-28 防振クランプ
PCT/JP2012/076996 WO2013061862A1 (ja) 2011-10-28 2012-10-18 防振ク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432A KR20140071432A (ko) 2014-06-11
KR101953419B1 true KR101953419B1 (ko) 2019-02-28

Family

ID=4816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941A KR101953419B1 (ko) 2011-10-28 2012-10-18 방진 클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3964B2 (ko)
EP (1) EP2772672B1 (ko)
JP (1) JP5848950B2 (ko)
KR (1) KR101953419B1 (ko)
CN (1) CN103890472B (ko)
WO (1) WO2013061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3187B2 (en) * 2013-07-17 2020-03-31 Aesculap Implant Systems, Llc Spinal interbody device, system and method
US9541223B2 (en) 2014-06-30 2017-01-10 Newfrey Llc Two-shot tube retention pocket tube clamp, mold and process
CN105240367B (zh) * 2015-09-25 2017-11-0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塑料件卡扣结构
US9689511B1 (en) * 2016-06-16 2017-06-27 The Monadnock Company Tie wrap plastic anch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JP6882732B2 (ja) * 2016-12-26 2021-06-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サブフレーム
CA3071463C (en) * 2017-08-30 2021-07-20 Richard Martin BRANDVOLD Cable support bracket
KR102452937B1 (ko) * 2018-05-21 2022-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동발생 부품의 방진 고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8843861A (zh) * 2018-07-09 2018-11-20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加热炉炉底汽化冷却管路下支座装置
US10718253B2 (en) * 2018-08-14 2020-07-21 The Pullman Company Exhaust system isolator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JP7222311B2 (ja) * 2019-06-04 2023-02-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配管の固定構造
JP7352629B2 (ja) * 2019-06-12 2023-09-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長尺部材の保持具
US20220090717A1 (en) * 2020-01-17 2022-03-24 James Phil Starck Quick connect device for recreational and industrial uses
CN111478243B (zh) * 2020-05-07 2021-03-09 于浩 一种垂直悬挂的缆绳支撑装置
CN112139168A (zh) * 2020-07-10 2020-12-29 芜湖懒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清理机器人
USD982417S1 (en) * 2020-10-27 2023-04-04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CN216114790U (zh) * 2021-07-26 2022-03-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固定夹及冰箱
CN113915442B (zh) * 2021-10-09 2023-04-18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吸能装置及用于核电站的流体运输系统
DE102022102369A1 (de) * 2022-02-01 2023-08-03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KG. Elastisches La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631A (ja) * 1998-10-14 2000-04-25 Kitagawa Ind Co Ltd 固定具
JP2006226394A (ja) * 2005-02-17 2006-08-31 Nifco Inc 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3967A1 (fr) * 1974-06-04 1976-01-02 Itw De France Piece de fixation imperdable et positionnee
JPS5929409U (ja) 1982-08-20 1984-02-23 株式会社ニフコ 部品取付け用クリツプ
JPH068323Y2 (ja) * 1988-06-29 1994-03-02 株式会社ニフコ 回転式係止構造
DE9011879U1 (ko) * 1990-08-16 1990-10-18 A. Raymond Kg, 7850 Loerrach, De
JPH0736884Y2 (ja) 1992-06-30 1995-08-23 株式会社日本パイプコンベヤ研究所 パイプコンベヤ
US5271588A (en) * 1992-07-17 1993-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piece tube clamp
JPH07194775A (ja) * 1993-12-29 1995-08-01 Nifco Inc 遊技機の板面突出部品取り付け構造
DE19529897A1 (de) * 1995-08-14 1997-02-20 United Carr Gmbh Trw Halteelement aus Kunststoff
JP3947617B2 (ja) * 1998-04-16 2007-07-25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防振保持具
JP2000018433A (ja) * 1998-07-03 2000-01-18 Pop Rivet Fastener Kk パイプ等の保持具
EP1461557A1 (en) 1999-11-05 2004-09-29 Larkin Limited Support device
CN1524169A (zh) 2001-03-28 2004-08-25 纽弗雷公司 防振夹具
US6915990B2 (en) * 2001-05-29 2005-07-12 Newfrey Llc Pipe holding fastener
US6612795B2 (en) * 2001-09-26 2003-09-02 Illinois Tool Works Inc. Quarter turn panel fastener
JP2003214559A (ja) * 2002-01-22 2003-07-30 Nifco Inc クランプ、および管状物の固定方法
NL1019891C2 (nl) * 2002-02-01 2003-08-04 Starquick Internat Ltd Bevestiging van een voorwerp, zoals een pijpbeugel.
JP3978076B2 (ja) * 2002-05-14 2007-09-19 竹内工業株式会社 固定具
JP4278347B2 (ja) * 2002-06-17 2009-06-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係止部品脚部の取付構造
CN1475689A (zh) 2002-08-12 2004-02-18 艾姆哈特有限公司 用于管路等的紧固件
JP4002812B2 (ja) * 2002-10-08 2007-11-07 株式会社ニフコ クランプ
DE102005032535B4 (de) * 2005-07-12 2008-03-27 A. Raymond & Cie Vorrichtung zum Befestigen wenigstens eines Gegenstandes an einem mit einem Befestigungsbolzen versehenen Trägerteil
JP2007332999A (ja) * 2006-06-12 2007-12-2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管等の振動吸収クランプ
JP5191813B2 (ja) * 2007-07-26 2013-05-08 株式会社ニフコ 固定具、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及び固定具の固定解除方法
JP4806385B2 (ja) * 2007-11-05 2011-11-02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DE102009038911B4 (de) 2009-08-26 2021-05-20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Kabelbandes an einem Trägerteil
JP5326171B2 (ja) * 2009-08-31 2013-10-3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長尺部材の保持具
JP2013249937A (ja) * 2012-06-04 2013-12-12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防振パイプ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631A (ja) * 1998-10-14 2000-04-25 Kitagawa Ind Co Ltd 固定具
JP2006226394A (ja) * 2005-02-17 2006-08-31 Nifco Inc 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432A (ko) 2014-06-11
CN103890472A (zh) 2014-06-25
US9133964B2 (en) 2015-09-15
US20140259565A1 (en) 2014-09-18
EP2772672B1 (en) 2017-06-21
EP2772672A4 (en) 2015-07-29
WO2013061862A1 (ja) 2013-05-02
JP5848950B2 (ja) 2016-01-27
EP2772672A1 (en) 2014-09-03
CN103890472B (zh) 2016-03-02
JP2013096452A (ja)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419B1 (ko) 방진 클램프
JP2534201Y2 (ja) グロメット
US7908713B2 (en) Operating knob
US20130043625A1 (en) Stop Cap
JPH11341650A (ja) グロメット
MX2013012644A (es) Tuerca en jaula de autocentrado.
US20150307123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JP2016138564A (ja) グロメット組付構造
JP2016005382A (ja) 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2018068000A (ja) 軸受保持構造およびモータ
JP2021028524A (ja) 固定具
JP5713860B2 (ja) 固定機構及び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ー
JP3207149U (ja) 分析装置用の外装固定機構
JP6505666B2 (ja) 動力伝達装置
JP2014222694A (ja) 通気部材、通気部材取付冶具および電子装置
US20220176874A1 (en) Holding element for holding a component to be secured, and holding system with such an element
CN211107270U (zh) 一种组合开关安装组件及车辆转向机构
JP2014005863A (ja) 支持部材および支持部材を備えるヒンジ装置
JP2024069080A (ja) 締結構造
JP6482382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13015158A (ja) ボールシー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
US20130309086A1 (en) Fan bearing retaining structure
JP2006070975A (ja) 取付具
JP5868260B2 (ja) リテーナクリップ固定構造
JP4963173B2 (ja) 計器用指針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