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4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46B1
KR101943946B1 KR1020170149056A KR20170149056A KR101943946B1 KR 101943946 B1 KR101943946 B1 KR 101943946B1 KR 1020170149056 A KR1020170149056 A KR 1020170149056A KR 20170149056 A KR20170149056 A KR 20170149056A KR 101943946 B1 KR101943946 B1 KR 10194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cage
case body
tub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971A (ko
Inventor
나오키 가타기야마
마사키 이시구로
타카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77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e.g.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과제)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케이스체로의 부착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케이스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커넥터(10)는, 광 커넥터(52)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50)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커넥터이다. 커넥터(10)는, 케이스체(80)에 부착되는 리셉터클(12)과, 케이스체(8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82)상에 탑재되는 어댑터(16)를 구비한다. 어댑터(16)는, 광 커넥터(52)에 접속되는 내부 모듈(162)과, 내부 모듈(16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케이지(164)를 갖는다. 리셉터클(12) 및 케이지(164)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에 접촉하는 접촉부(166)가 형성된다. 리셉터클(12)과 케이지(164)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접촉부(166)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과,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상에 탑재되는 어댑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900)는, 호스트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기판(910) 상에 형성된 케이지(920)와, 케이지(920)에 삽입되는 모듈(93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지(920)의 전단(前端) 부분은, 호스트 장치의 프론트 패널(940)의 개구(942)에 삽입되어 있다. 모듈(930)은, 리셉터클(950)이 프론트 패널(94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케이지(920)에 삽입되어 있다. 케이지(920)는, 그 전단 부분에 복수의 케이지 핑거(922)를 갖고 있다. 케이지(920)는, 케이지 핑거(922)에 의해 프론트 패널(9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케이지(920)와 호스트 장치의 케이스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모듈(930)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케이스체의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상대측 인클로저 어셈블리(970)는, 연장부(972)를 갖고 있다. 연장부(972)를 가짐으로써, 송수신기를 갖는 케이지(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전자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벽의 후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16433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6-029654호
특허문헌 1의 커넥터(900)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의 프론트 패널(940)은, 케이지(920)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리셉터클(950)은 모듈(930)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커넥터(900)에는, 케이스체로의 부착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상대측 인클로저 어셈블리(970)에는, 연장부의 사이즈가 비교적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상대측 인클로저 어셈블리(970)와 케이지의 관계가 불명하고, 특허문헌 2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대책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케이스체로의 부착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케이스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새어나가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커넥터로서, 광 커넥터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케이스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상에 탑재되는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 커넥터에 접속되는 내부 모듈과, 상기 내부 모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케이지를 갖고 있고,
상기 리셉터클 및 상기 케이지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지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통 형상부와, 상기 제1 통 형상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상기 제1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보다도 각각 작은 것이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지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커넥터로서,
제2 커넥터로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 형상부 및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각각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대략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상기 내면은,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組) 갖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은, 복수의 탄성편이고,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상기 2조의 상기 평면 중 적어도 한쪽의 조의 상기 평면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에는, 상기 접촉부로서 한 쌍의 아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 중 적어도 한쪽은 탄성을 갖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케이지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지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 상기 통 형상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통 형상부의 주위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 커넥터로서,
제5 커넥터로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대략 직사각형이고,
상기 통 형상부의 상기 내면은,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 갖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은, 복수의 탄성편이고,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상기 2조의 상기 평면 중 적어도 한쪽의 조의 상기 평면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6 커넥터 중 어느 것으로서,
상기 리셉터클, 상기 케이지 및 상기 접촉부는 각각 금속제인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 커넥터로서,
제1 내지 제6 커넥터 중 어느 것으로서,
상기 리셉터클, 상기 케이지 및 상기 접촉부 중 적어도 1개는, 절연 수지의 표면에 도전막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케이스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과,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상에 탑재되는 어댑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케이스체에 대한 부착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리셉터클 및 어댑터의 케이지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케이스체와 함께 노이즈의 방사를 억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아직 끼워맞춤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의 리셉터클은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의 어댑터는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체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어댑터의 내부 모듈의 상세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B-B선 단면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어댑터의 내부 모듈의 상세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의 리셉터클은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의 어댑터는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체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C-C선 단면도이다.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어댑터의 내부 모듈의 상세는 나타나 있지 않다.
도 9는 도 5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5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고, 커플링 너트는 리셉터클로부터 떨어져 있다. 커넥터의 리셉터클은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의 어댑터는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체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플링 너트는 리셉터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8은 도 17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E-E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의 리셉터클은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의 어댑터는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체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2는 도 2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다. 커넥터의 리셉터클은 케이스체에 부착되어 있고, 커넥터의 어댑터는 기판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체는,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31은 도 30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도 30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F-F선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상대측 커넥터와 도 33의 리셉터클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리셉터클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에 있다.
도 40은 도 39의 상대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조합을 나타내는 F-F선 단면도이다.
도 4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상대측 인클로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4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플러그 커넥터)(50)와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50)와 함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끼워맞춤 방향은, X방향이다.
도 5 내지 도 9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리셉터클(12)과 어댑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12)은,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케이스체(80)에 외측(-X방향)으로부터 부착된다. 리셉터클(12)의 일부는, 케이스체(80)에 형성된 구멍(802)에 삽입되어, 케이스체(80)의 내측(+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16)는, 케이스체(8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82)상에 탑재되어 있다. 어댑터(16)의 일부는, 리셉터클(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리셉터클(12)과 기판(82)은, 케이스체(80) 및 그 외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12)과 어댑터(16)는, 서로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다. 케이스체(80)는 금속제이고,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4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은, 플랜지부(122)와, 제1 각통(角筒) 형상부(제1 통 형상부)(124)와, 제2 각통 형상부(제2 통 형상부)(126)와, 원통 형상부(128)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12)은 금속제이고, 케이스체(80)에 부착되었을 때(도 8 참조), 케이스체(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0 내지 도 13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2)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부이다. 플랜지부(122)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플랜지부(12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도 13 및 도 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2)의 후면에는, 제1 각통 형상부(12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홈(132)이 형성되어 있고, 홈(132)에는 방수 부재(134)가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끼워맞춤 방향과 일치하고 있고, -X방향이 전방, +X방향이 후방이다.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각통 형상부(12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12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각통 형상부(126)는, 제1 각통 형상부(124)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 및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이 케이스체(80)에 부착되었을 때, 제1 각통 형상부(124)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플랜지부(122)로부터 케이스체(80)의 내측(+X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때, 제2 각통 형상부(126)는, 제1 각통 형상부(124)로부터 더욱 케이스체(80)의 내측(+X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원통 형상부(128)는,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 및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이 케이스체(80)에 부착되었을 때, 원통 형상부(128)는, 플랜지부(122)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케이스체(80)의 외측(-X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제1 각통 형상부(124) 및 제2 각통 형상부(126)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대략 직사각형이다. 자세하게는, 이들 형상은, 모퉁이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각통 형상부(126)의 내부 형상이 어댑터(16)(도 6 참조)의 외형에 대응하고 있는 한, 제1 각통 형상부(124) 및 제2 각통 형상부(126)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혹은 원형이라도 좋다. 또한,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제2 각통 형상부(126)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제1 각통 형상부(124)의 외형 및 내부 형상보다도 각각 작다. 또한,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각통 형상부(124)의 내부 형상은, 원통 형상부(128)의 내부 형상보다도 작다. 제1 각통 형상부(124)의 내부 형상은, 원통 형상부(128)의 내부 형상에 대략 내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각통 형상부(124)의 내부 형상을 원통 형상부(128)의 내부 형상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제1 각통 형상부(124)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홈(132)과 거기에 형성되는 방수 부재(134)를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리셉터클(12)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각통 형상부(126)는, 그 내면으로서,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 갖고 있다. 자세하게는, 제2 각통 형상부(126)의 내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면(136) 및 하면(138)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140)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부(12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Z방향이고, 좌우 방향은 Y방향이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어댑터(16)는, 내부 모듈(162)과 케이지(164)를 갖고 있다. 케이지(164)는, 케이스체(80)의 내측(+X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 모듈(162)은, 일부를 제외하고 케이스체(80)의 내측(+X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내부 모듈(162)의 일부는, 케이스체(80)의 외측(-X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 모듈(162)은,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50)(도 3 및 도 4 참조)와 끼워맞춤했을 때, 상대측 커넥터(50)에 포함되는 광(光) 커넥터(52)(도 3 및 도 4 참조)와 접속된다. 내부 모듈(162)은, 예를 들면,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 모듈이나 중계 모듈이다. 케이지(164)는, 사각통 형상의 형상을 갖고, 얇은 금속판을 잘라내고,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케이지(164)는, 기판(82)에 고정되고, 내부 모듈(16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한다. 환언하면, 케이지(164)는, 내부 모듈(162)의 외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164)는, 내부 모듈(162)로부터 방사되는 노이즈를 차폐한다.
도 6,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케이지(164)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탄성편(166)(접촉부)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166)은, 케이지(164)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잘라 떼어내고,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다. 탄성편(166)은, 리셉터클(12)의 제2 각통 형상부(126)의 내면에 접촉하고, 케이지(164)를 리셉터클(1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편(166)은, 케이지(164)의 상면, 하면 및 한 쌍의 측면에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편(166)은, 케이지(164)의 어느 면에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리셉터클(12)의 제2 각통 형상부(126)와의 접촉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편(166)은, 제2 각통 형상부(126)의 대향하는 2개의 평면(상면(136) 및 하면(138), 또는 한 쌍의 측면(140))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조의 평면(상면(136), 하면(138) 및, 한 쌍의 측면(140)) 모두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2)을 케이스체(80)에 부착하고, 어댑터(16)를 케이스체(80)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82)상에 탑재하도록 했기 때문에, 케이스체(80)로의 부착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12) 및 케이지(164)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과 접촉하는 탄성편(166)(접촉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12)과 케이지(164)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탄성편(166)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은, 케이스체(80)에 나사고정되어, 케이스체(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모듈(162)로부터의 노이즈를 케이지(164) 및 케이스체(80)로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후술하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A, 10B)에 비해, 케이스체(80)에 형성되는 구멍(802)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의 누출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5 내지 도 2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A)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플러그 커넥터)(50A)와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상대측 커넥터(50A)는, 상대측 커넥터(50)(도 1 참조)와 그 구성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서 커넥터(10A)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도 1 참조)와 그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커넥터(10A)와 커넥터(10)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터(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커넥터(10A)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6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A)는, 리셉터클(12A)과 어댑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12A)에는, 한 쌍의 아암부(210)(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2A)은,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케이스체(80A)에 외측(-X방향)으로부터 부착된다. 리셉터클(12A)에 형성된 아암부(210)는, 케이스체(80A)에 형성된 구멍(802A)의 내부로부터 케이스체(80A)의 내측(+X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어댑터(16)는, 케이스체(80A)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82)상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지(164)는, 케이스체(80A)의 내측(+X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 모듈(162)의 일부는, 케이스체(80A)의 구멍(802A)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27 내지 도 29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A)은, 리셉터클 본체(200)와, 리셉터클 본체(200)에 나사고정된 한 쌍의 아암부(210)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12A)이 제1 실시 형태의 제1 각통 형상부(124) 및 제2 각통 형상부(126)(도 11 참조)를 갖지 않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10A)의 소형화, 환언하면 케이스체(80A)보다 케이스체 내부측(+X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리셉터클 본체(200) 및 아암부(210)는, 각각, 금속제이다. 리셉터클 본체(200)가 케이스체(80A)에 부착되었을 때(그림 25 참조), 아암부(210)는, 리셉터클 본체(200)를 통하여 케이스체(8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본체(200)는, 플랜지부(122A)와, 원통 형상부(128A)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122A)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부이다. 플랜지부(122A)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플랜지부(122A)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2A)의 후면에는, 리셉터클 본체(200)의 개구부(202)를 둘러싸도록 방수 부재용의 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29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부(128A)는, 플랜지부(12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1, 도 23 및 도 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부(128A)는, 리셉터클(12A)이 케이스체(80A)에 부착되었을 때, 플랜지부(122A)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케이스체(80A)의 외측(-X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플랜지부(122A)에는, 커넥터(10A)와 상대측 커넥터(50A)(도 20 참조)가 끼워맞춤했을 때, 그들의 사이를 방수하는 방수 부재(204)가 부착되어 있다.
도 2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210)는,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자세하게는, 각 아암부(210)는, 소정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210)는, 접점(또는 접촉면)(212)과, 접점(212)을 지지하는 지지부(214)를 갖고 있다. 지지부(214)는, 탄성을 갖고 있다. 지지부(214)의 일단(고정단)은, 플랜지부(122A)에 형성된 고정부(144)에 나사고정된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암부(210)는, 리셉터클 본체(200)에 접착, 용접, 압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지지부(214)의 타단(자유단)은,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접점(212)은, 지지부(214)의 일단(고정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점(212)은, 지지부(214)의 타단(자유단)의 근처에 위치한다. 접점(212)은, 지지부(21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지지부(214)에 지지된다. 아암부(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점(212)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22를 아울러 참조하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접점(212)의 간격은, 어댑터(16)의 폭보다도 좁다. 어댑터(16)를 한 쌍의 접점(212)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아암부(210)는 어댑터(16)를 사이에 끼우고, 접점(212)은 지지부(214)의 복원력에 의해 어댑터(16)로 밀어붙여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아암부(210)가 케이지(164)에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어댑터(16)의 케이지(164)와 리셉터클(12A)이, 아암부(2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아암부(210)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모두 탄성을 갖고 있지만, 한 쌍의 아암부(210) 중 한쪽이 탄성을 갖고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아암부(21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아암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혹은, 한 쌍의 아암부(210)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고, 다른 한 쌍의 아암부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지(164)의 전단부에는, 그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잘라 떼어내져 굽힘 가공된 복수의 탄성편(1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지(164)는 탄성편(166)을 갖지 않아도 좋다. 환언하면, 케이지(164)의 상면, 하면 및 한 쌍의 측면은, 평면이라도 좋다. 아암부(210)는, 지지부(214)의 탄성에 의해, 탄성편(166)의 유무에 관계없이, 케이지(164)에 접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리셉터클(12A)을 케이스체(80A)에 부착하고, 어댑터(16)를 케이스체(80A)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82)상에 탑재하도록 했기 때문에, 케이스체(80A)로의 부착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12A) 및 케이지(164)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과 접촉하는 아암부(210)(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12A)과 케이지(164)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아암부(210)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1, 도 23 내지 도 25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A)은, 케이스체(80A)에 나사고정되어 케이스체(8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모듈(162)로부터의 노이즈를 케이지(164) 및 케이스체(80A)로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인 아암부(210)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리셉터클(12A)과 케이지(164)의 상호 위치의 불균일이, 제1 실시 형태보다도 큰 경우에서도, 케이지(164)와 리셉터클(12A)의 전기적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30 내지 도 32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B)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플러그 커넥터)(50B)와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상대측 커넥터(50B)는, 상대측 커넥터(50)(도 1 참조)와 그 구성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서 커넥터(10B)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와 그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주로 커넥터(10B)와 커넥터(10)(도 1 참조)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커넥터(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커넥터(10B)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 및 도 3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B)는, 리셉터클(12B)과 어댑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12B)은,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케이스체(80B)에 외부(-X방향)로부터 부착된다. 리셉터클(12B)의 일부는, 케이스체(80B)에 형성된 구멍(802B)에 삽입되고, 케이스체(80B)의 내측(+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16)는, 케이스체(80B)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82)상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지(164)는, 케이스체(80B)의 내측(+X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도 33 내지 도 37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B)은, 플랜지부(122B)와, 각통 형상부(통 형상부)(126B)와, 원통 형상부(128B)를 갖고 있다. 리셉터클(12B)은, 금속제이고, 케이스체(80B)에 부착되었을 때(도 30 참조), 케이스체(8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3 내지 도 37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2B)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부이다. 플랜지부(122B)의 4개의 모서리부에는 플랜지부(122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3, 도 35 내지 도 37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2B)의 후면에는, 방수 부재용의 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3, 도 34 및 도 3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통 형상부(126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122B)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통 형상부(126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122B)의 후면(부착면)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는, 각통 형상부(126B)가 케이지(164)(도 31 참조)의 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각통 형상부(126B)는, 케이지(16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부 모듈(162)의 일부도 둘러쌀 수 있다. 한편, 원통 형상부(128B)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122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셉터클(12B)이 케이스체(80B)에 부착되었을 때(도 31 및 도 32 참조), 각통 형상부(126B)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플랜지부(122B)로부터 케이스체(80B)의 내측(+X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원통 형상부(128B)는 플랜지부(122B)로부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케이스체(80B)의 외측(-X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각통 형상부(126B)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대략 직사각형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통 형상부(126B)의 내부 형상이 어댑터(16)(도 31 참조)의 외형에 대응하고 있는 한, 각통 형상부(126B)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혹은 원형이라도 좋다. 또한,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 3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통 형상부(126B)의 내부 형상은, 원통 형상부(128B)의 내부 형상보다도 작다. 이에 따라, 각통 형상부(126B)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리셉터클(12B)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도 33, 도 35 및 도 3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원통 형상부(128B)와 각통 형상부(126B)의 사이에는, 각통 형상부(126B)의 각 변을 따라 4개의 구멍(146)이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통 형상부(126B)의 주위에 적어도 1개의 구멍(146)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구멍(146)은, 플랜지부(122B)의 후면(부착면)상으로 개구하여, 원통 형상부(128B)의 내부 공간으로 통하고 있다.
도 33, 도 35 내지 도 37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통 형상부(126B)는, 그 내면으로서,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 갖고 있다. 자세하게는, 각통 형상부(126B)의 내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상면(136B) 및 하면(138B)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140B)을 갖고 있다.
도 3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지(164)의 탄성편(166)은, 리셉터클(12B)의 각통 형상부(126B)의 내면에 접촉하고, 케이지(164)를 리셉터클(1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3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50B)는, 4개의 가이드 돌기부(502B)를 갖고 있다. 가이드 돌기부(502B)는, 광 커넥터(52)의 선단보다도 후방(+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대측 커넥터(50B)가 낙하한 경우 등에 있어서, 광 커넥터(52)의 선단이 무언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50B)와 리셉터클(12B)(커넥터(10B))이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 가이드 돌기부(502B)는, 리셉터클(12B)의 구멍(146)에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부(502B)는 각통 형상부(126B)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덮어, 노이즈의 차폐에 공헌한다. 상대측 커넥터(50B)를 리셉터클(12B)(커넥터(10B))과 끼워맞춤시킬 때에는, 가이드 돌기부(502B)의 선단이 구멍(146)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 커넥터(10B)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50B)의 끼워맞춤 방향에 따른 축의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다. 여기에서,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가이드 돌기부(502B)의 배치를 비대칭으로 하거나, 적어도 1개의 가이드 돌기부(502B)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거나 해 둠으로써, 가이드 돌기부(502B)의 선단이 구멍(146)에 삽입 가능해지는 상대측 커넥터(50B)의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가이드 돌기부(502B) 중 3개의 가이드 돌기부(502B)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B)와 상대측 커넥터(50B)의 오(誤)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리셉터클(12B)을 케이스체(80B)에 부착하고, 어댑터(16)를 케이스체(80B)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82)상에 탑재하도록 했기 때문에, 케이스체(80B)로의 부착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12B) 및 케이지(164) 중 한쪽에는, 나머지의 한쪽과 접촉하는 탄성편(16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12B)과 케이지(164)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접촉부(166)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3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2B)은, 케이스체(80B)에 나사고정되어 케이스체(8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부 모듈(162)로부터의 노이즈를 케이지(164) 및 케이스체(80B)로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통 형상부(126B)가 플랜지부(122B)의 후면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부 모듈(162)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내부 모듈(162)로부터의 노이즈의 누출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2, 12A, 12B), 케이지(164) 및 접촉부(탄성편(166), 아암부(210))가 모두 금속제라고 했지만,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절연 수지의 표면에 도전막을 형성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2, 12A, 12B)의 각각은, 케이스체(80, 80A 또는 80B)에 부착되어 있지만, 케이스체(80, 80A 또는 80B)를 구성하는 부품, 예를 들면 프론트 패널 등에 부착되어도 좋다.
10, 10A, 10B : 커넥터
12, 12A, 12B : 리셉터클
122, 122A, 122B : 플랜지부
124 : 제1 각통 형상부(제1 통 형상부)
126 : 제2 각통 형상부(제2 통 형상부)
126B : 각통 형상부
128, 128A, 128B : 원통 형상부
130 : 나사공
132 : 홈
134 : 방수 부재
136, 136B : 상면
138, 138B : 하면
140, 140B : 측면
142 : 암나사
144 : 고정부
146 : 구멍
16 : 어댑터
162 : 내부 모듈
164 : 케이지
166 : 탄성편(접촉부)
200 : 리셉터클 본체
202 : 개구부
204 : 방수 부재
210 : 아암부(접촉부)
212 : 접점(접촉면)
214 : 지지부
50, 50A, 50B : 상대측 커넥터(플러그 커넥터)
502, 502B : 가이드 돌기부
52 : 광 커넥터
80, 80A, 80B : 케이스체
802, 802A, 802B : 구멍
82 : 기판

Claims (8)

  1. 광 커넥터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및 분리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케이스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상에 탑재되는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광 커넥터에 접속되는 내부 모듈과, 상기 내부 모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케이지를 갖고 있고,
    상기 리셉터클 및 상기 케이지 중 한쪽에는, 상기 케이스체에 접촉하지 않고, 나머지의 한쪽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지는, 서로 직접 고정되는 일 없이,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통 형상부와, 상기 제1 통 형상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상기 제1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보다도 각각 작은 것이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지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제1 통 형상부 및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각각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2 통 형상부의 상기 내면은,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組) 갖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은, 복수의 탄성편이고,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상기 2조의 상기 평면 중 적어도 한쪽의 조의 상기 평면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에는, 상기 접촉부로서 한 쌍의 아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 중 적어도 한쪽은 탄성을 갖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케이지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로 향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지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이 상기 통 형상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통 형상부의 주위에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통 형상부의 외형 및 내부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이고,
    상기 통 형상부의 상기 내면은,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을 2조 갖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편은, 복수의 탄성편이고,
    상기 복수의 탄성편은, 상기 2조의 상기 평면 중 적어도 한쪽의 조의 상기 평면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상기 케이지 및 상기 접촉부는 각각 금속제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상기 케이지 및 상기 접촉부 중 적어도 1개는, 절연 수지의 표면에 도전막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70149056A 2016-12-06 2017-11-10 커넥터 KR101943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6500 2016-12-06
JP2016236500A JP7011387B2 (ja) 2016-12-06 2016-12-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71A KR20180064971A (ko) 2018-06-15
KR101943946B1 true KR101943946B1 (ko) 2019-01-30

Family

ID=6224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56A KR101943946B1 (ko) 2016-12-06 2017-11-1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8793B2 (ko)
JP (1) JP7011387B2 (ko)
KR (1) KR101943946B1 (ko)
CN (1) CN108155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88853S (ko) * 2017-05-17 2017-10-23
JP1609700S (ko) * 2018-01-24 2018-07-23
USD892057S1 (en) * 2019-01-08 2020-08-04 Medline Industries, Inc. ECG cable connector
CN109904667B (zh) * 2019-03-21 2024-02-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宿迁供电分公司 一种电源接线柱的并联接线装置
JP7249195B2 (ja) * 2019-04-04 2023-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
JP6792673B1 (ja) * 2019-06-25 2020-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USD989000S1 (en) * 2020-07-21 2023-06-13 Vertiv Corporation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7055A1 (en) 2000-12-18 2004-10-07 Uwe Fischer Optical coupling systems and optical connectors
US20070041687A1 (en) * 2003-05-30 2007-02-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having a simple mechanism for releasing from a cage
JP2009164338A (ja) * 2008-01-07 2009-07-2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ラガブル光送受信モジュール実装装置と実装方法
US20090269077A1 (en) 2008-04-28 2009-10-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luggable transceiver wi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382B2 (en) * 1999-12-01 2003-02-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luggable module and receptacle
US20070036489A1 (en) * 2005-08-15 2007-02-15 Barbara Grzegorzewska Industrial interconnect system incorporating transceiver module cage
WO2010116462A1 (ja) 2009-03-30 2010-10-14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CN102081202A (zh) * 2009-09-17 2011-06-01 泰科电子公司 光纤连接器组件
US8272790B2 (en) * 2009-11-24 2012-09-25 Amphenol Fiber Optics Outdoor transceiver connector
CN201974546U (zh) 2010-12-30 2011-09-1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适配器组件
JP2013029640A (ja) 2011-07-28 2013-0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トランシーバ
JP2013029639A (ja) 2011-07-28 2013-0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および、電磁ノイズ反射体
JP5869274B2 (ja) 2011-09-22 2016-02-24 日本オクラロ株式会社 通信装置用ケージ
CN102590960A (zh) * 2011-12-06 2012-07-18 聚信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通信设备
US8979558B2 (en) * 2012-03-12 2015-03-17 Fci Americas Technology Llc Interposer assembly
CN202957402U (zh) * 2012-12-10 2013-05-2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插座及电连接器插头
JP2015014641A (ja) * 2013-07-03 2015-01-22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通信装置
EP2975700B1 (en) 2014-07-18 2019-08-21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Enclosure assembly
JP5801462B1 (ja) * 2014-10-10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内蔵プラグ
JP5905950B1 (ja) * 2014-10-29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内蔵プラグ
JP5860948B1 (ja) 2014-12-24 2016-0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内蔵プラ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7055A1 (en) 2000-12-18 2004-10-07 Uwe Fischer Optical coupling systems and optical connectors
US20070041687A1 (en) * 2003-05-30 2007-02-2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having a simple mechanism for releasing from a cage
JP2009164338A (ja) * 2008-01-07 2009-07-2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ラガブル光送受信モジュール実装装置と実装方法
US20090269077A1 (en) 2008-04-28 2009-10-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luggable transceiver wi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8793B2 (en) 2018-07-10
CN108155522A (zh) 2018-06-12
KR20180064971A (ko) 2018-06-15
JP7011387B2 (ja) 2022-02-10
JP2018092051A (ja) 2018-06-14
CN108155522B (zh) 2019-07-05
US20180156995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946B1 (ko) 커넥터
US9960522B2 (en) Connector
CN109643861B (zh) 用于高速信号传输的ffc/fpc连接器
US9293869B2 (en) Electrical connector both preventing scrapping to an insulative body and reducing antenna interference
JP2010282016A (ja) 光トランシーバ
US9872419B1 (en) Transceiver module having improved metal housing for EMI containment
JP2019140014A (ja) 電気コネクタ
US10170868B1 (en) Connector
KR20140119612A (ko) 커넥터
JP7028589B2 (ja) 撮像装置
KR101503130B1 (ko) 전자부품
KR20220155901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7242653A (ja) ホストシステム
JP3753706B2 (ja) コネクタ
JP6343494B2 (ja) コネクタ
US20230063034A1 (en) Electronic component
JP2020202080A (ja) 電子部品ユニット
JP5458414B2 (ja) 光トランシーバ
JP2016024863A (ja) コネクタ
JP2016024862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取付方法
KR101565207B1 (ko) 전자 부품
US10488894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on a PCI express card
JP2005005014A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JP2015216198A (ja) 電子機器
TWM493175U (zh) 高頻電子連接器的電磁波防護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