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61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612A
KR20140119612A KR1020130095765A KR20130095765A KR20140119612A KR 20140119612 A KR20140119612 A KR 20140119612A KR 1020130095765 A KR1020130095765 A KR 1020130095765A KR 20130095765 A KR20130095765 A KR 20130095765A KR 20140119612 A KR20140119612 A KR 20140119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ntact
insulator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266B1 (ko
Inventor
?스케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커넥터에 착탈가능하거나 리셉터클커넥터에 설치하거나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테일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돌출된 환상의 외주벽과 해당 외주벽(38)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요부(40)를 가진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와, 제1회로기판(65)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테일편(51) 및 상기 결합요부 내에 위치되는 접속편(53)을 구비한 해당 리셉터클인슐레이터(50)에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50)와,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도전성부재(58)를 구비한 리셉터클커넥터(35)와,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는 환상의 결합돌출부(18)를 가진 플러그인슐레이터(16)와, 일단이 제2회로기판(21)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일부가 상기 접촉편과 접촉하는 복수의 플러그콘택트(25)를 구비하는 플러그커넥터(15)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부재가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벽 및 상기 테일편에 대향하는 차폐부(59)(60)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들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형 PC(개인용 컴퓨터), 노트형 PC 혹은 태블릿형 PC 등의 전자기기와 전기기기는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을 실장한 회로기판과 별도의 전자부품을 실장한 별도의 회로기판을 내장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두개의 회로기판들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이며, 회로기판(제1회로기판, 리지드기판)에 실장되거나 리셉터클커넥터와 별도의 회로기판(제2회로기판, 리지드기판)에 실장된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리셉터클커넥터는 리셉터클인슐레이터와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인슐레이터는 환상의 외주벽과 외주벽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요부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는 리셉터클커넥터의 장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있다. 각 리셉터클콘택트는 제1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실장된 테일편과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결합요부 내에 위치하는 접촉편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플러그커넥터는 플러그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플러그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인슐레이터는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는 환상의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콘택트는 제3회로기판의 실장면의 회로패턴에 실장된 테일편과 플러그인슐레이터의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접촉편을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커넥터의 결합요부에 플러그커넥터의 결합돌출부를 결합(접속)시키면, 각 플러그콘택트의 접촉편이 각 리셉터클콘택트의 접촉편에 각각 접촉되면서 제1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제2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이 상호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요즘의 전자기기에서는 정보량의 증가와 통신속도의 고속화가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기기내의 잡음대책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에 대하여 잡음내성의 향상 및 주변으로 나가는 잡음의 억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잡음대책을 실시한 커넥터의 한 예이다. 특허문헌 2의 리셉터클커넥터는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커넥터와 유사한 구조이다. 즉,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는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가 지지되어 있고, 각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은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커넥터의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외주벽의 일부에는 금속재질의 도전성 쉘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의 일부는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패턴(그랜드 도통로)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쉘을 회로기판에 접지도통시키고 있으므로 리셉터클커넥터의 리셉터클콘택트(및 플러그콘택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리셉터클콘택트(및 플러그콘택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의 해당 기술을 특허문헌 1에 적용시키면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커넥터의 리셉터클콘택트(및 플러그콘택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리셉터클콘택트(및 플러그콘택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JP 특개2010-33714호 공보 JP 특개2008-1621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각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은 리셉터클커넥터를 측방에서 봤을 때에 도전성 쉘의 회로기판측의 단부보다도 회로기판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의 기술을 특허문헌 1의 적용한 커넥터는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테일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리셉터클커넥터가 설치된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테일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환상의 외주벽과 해당 외주벽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요부를 가진 리셉터클인슐레이터와, 제1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테일편과 상기 결합요부 내에 위치되는 접속편을 구비한 해당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도전성부재를 구비한 리셉터클커넥터와,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는 환상의 결합돌출부를 가진 플러그인슐레이터와,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일단이 제2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었을 때에 일부가 상기 접촉편과 접촉하는 복수의 플러그콘택트를 가진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콘택트의 상기 테일편은 상기 외주벽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성부재는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벽 및 상기 테일편에 대향하는 차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가 외주측차폐부와, 해당 외주측차폐부와 상기 외주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측차폐부와, 상기 외주측차폐부와 상기 내주측차폐부의 상기 일방향측의 단부들이 접속하고 단면형상이 상기 일방향측으로 완곡되게 돌출된 형상인 완곡접속부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외주벽은 상기 리셉터클콘택트가 설치된 콘택트를 부착한 콘택트 부착부를 가지며, 해당 콘택트 부착부 및 리셉터클콘택트의 상기 일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완곡접속부가 상기 일방향측에 위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도전성부재가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외주측에서 외주벽에 대향하는 차폐부를 가지며, 이 차폐부가 외주측에서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과 대향하기 때문에 도전성부재(차폐부)에 의해 리셉터클콘택트의 테일편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테일편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저면부해사시도.
도 3은 리셉터클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리셉터클커넥터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리셉터클커넥터와 커넥터의 접속상태 사시도.
도 6은 접속상태에 있는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내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플러그커넥터(15)와 리셉터클커넥터(35)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플러그커넥터(1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러그커넥터(15)는 플러그인슐레이터(16)와 다수의 플러콘택트(25)와 두개의 고정편(28)으로 크게 구성된다.
플러그인슐레이터(16)는 절연성 또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좌우방향으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된 판상부재이다. 플러그인슐레이터(16)는 상단부를 구성하는 천정판부(17)와 천정판부(17)의 하면의 주연부 전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환상벽으로 이루어진 결합돌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천정판부(17)와 결합돌출부(18)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결합요부(19)를 구성한다. 결합돌출부(18)의 전벽 및 후벽에는 전후양면 및 하면에 걸쳐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콘택트취부구(21)가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로 요설되어 있다. 또한, 결합돌출부(18)의 전후양벽의 좌우양단의 하부 및 좌우양벽의 하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유인면(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돌출부(18)의 좌우양벽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움푹 패인 고정편취부용 요부(23)가 각각 요설되어 있다. 또한 결합돌출부(18)의 좌우양단부에는 접속용요부(24)가 각각 요설되어 있다.
각 플러그콘택트(25)는 탄성을 가진 동합금(예를 들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과 콜슨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된 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성형한 것이며, 표면에는 금과 주석 등에 의해 도금이 되어 있다. 플러그콘택트(25)는 U자형의 단면을 가진 본체부의 내측부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촉편(26)과 본체부의 외측부분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테일편(27)을 가지고 있다.
각 플러그콘택트(25)는 각 콘택트 취부구(21)에 하방으로 결합고정되어 플러그인슐레이터(16)에 고정된다 (도 1, 도 2, 도 7 참조).
각 고정편(28)은 금속판을 도시된 형상으로 스탬핑 형성한 것이며,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테일편(29)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편(28)은 각고정편취부용 요부(23)의 하방에 삽입고정되고, 각 테일편(29)은 플러그인슐레이터(16)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플러그커넥터(15)는 회로기판(31)(리지드기판, 제2회로기판, 도 7 및 도 8 참조)의 일측면에 형성된 실장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플러그콘택트(25)의 테일편(27)을 회로기판(31)의 실장면(하면)에 형성된 회로패턴 (도시생략)에 땜납부착하고 각 고정편(28)의 테일편(29)을 해당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패턴(도시생략)에 땜납부착한다.(도 7, 도 8 참조) 회로기판(31)의 실장면에는 플러그커넥터(15)와는 별도의 전자부품(예를 들어 고기능용 모듈과 반도체, 대용량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계속해서 리셉터클커넥터(3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커넥터(35)는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와 다수의 리셉터클콘택트(50)와 2개의 고정편(55)과 두 개의 쉘(58)(도전성부재)로 크게 구성된다.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는 절연성이고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부재이다.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는 하부를 구성하는 저판부(37)와, 저판부(37)의 상면의 주연부 전체에서 상방(한방향)으로 돌출된 환상벽으로 구성되는 외주벽(38)과, 저판부(37)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39)를 구비하고 있다. 외주벽(38)에서 내주측으로 이격된 결합돌출부(39)는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형성된다. 외주벽(38)과 결합돌출부(39)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환상의 결합요부(40)를 구성하고 있다.
외주벽(38)의 전벽(38a)(콘택트취부부)의 전면 및 후벽(38b)(콘택트취부부)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콘택트취부구(42)가 좌우방향을 따라 다수(플러그콘택트(25)와 같은 수) 요설되어 있다. 또한 전벽(38a)의 상면 및 후면과 저판부(37)의 저면(상면)과 결합돌출부(39)의 전면에 걸친 부분에는 대응되는 전벽 (38a)의 콘택트취부구(42)와 연속하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변형사용구(43)가 요설되어 있다. 또한 후벽(38b)의 상면 및 전면과 저판부(37)의 저면(상면)과 결합부(39)에 걸친 부분에는 대응되는?후벽(38b)의 콘택트 취부구(42)와 연속하는 U자형의 단면을 가진 변형사용구(43)가 요설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저판부(37) 하면의 좌우양단부 근방의 2곳은 고정편 취부구(44)가 위를 향하여 요설되어 있고, 외주벽(38)의 좌우양단부의 상면에는 쉘취부구(45)가 위를 향하여 요설되어 있다.
또한, 결합요부(40)의 하면의 좌우양단부에는 접속용돌기(46)가 각각 위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38)의 전벽(38a)과 후벽(38b)의 좌우양단 근방의 상부 및 좌우양벽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위로 향함에 따라서 외주벽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유인면(47)이 형성된다.
각 리셉터클콘택트(50)는 플러그콘택트(25)와 동일한 재질 또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수평인 테일편(51)과, 테일편(51)의 내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내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된 고정편(52)과, 고정편(52)의 내측단부에 연속하는 S자 형상의 탄성접속편(53)을 구비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콘택트(50)는 각 콘택트취부구(42)에 대하여 고정편(52)을 상방에서부터 결합하여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에 고정된다. 리셉터클콘택트(50)(고정편(52))를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콘택트취부구(42))에 고정하면 탄성접촉편(53)이 변형사용구(43)의 내면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탄성접속편(53)은 변형사용구(43)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도 7 참조) 또한 리셉터클콘택트(50)의 테일편(52)이 외주벽(38)의 외주측에 위치한다.(도 2 참조)
각 고정편(55)은 금속판을 도시된 형상과 같이 스탬핑 성형한 것이며 그 하단부에는 수평한 한 쌍의 테일편(56)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편(55)은 각 고정편 취부구(44)에 대하여 하방에서 삽입고정되며, 각 테일편(56)은 저판부(37)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쉘(58)은 상호 전후대칭인 형상이다. 각 쉘(58)은 금속판(도전성재료)를 프레스 성형한 것이며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외주측차폐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외주측차폐부(59)의 내측에는 외주측차폐부(59)와 평행한 평판으로 된 내주측차폐부(60)가 위치되어 있다. 내주측차폐부(60)의 좌우 길이는 외주측차폐부(59) 보다 짧고, 내주측차폐부(60)의 하부는 외주측차폐부(59)의 하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주측차폐부(60)의 상부와 외주측차폐부(59)의 상부에는 완곡접속부(61)가 접속하고 있다. 완곡접속부(61)의 단면형상은 상측을 향하여 완곡되게 돌출된 형상이다.(도 7 및 도 8 등 참조).
외주측차폐부(59)의 좌우양단부의 하단에는 테일편(62)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주측차폐부(59)의 좌우양단에는 외주측차폐부(59)에 대하여 직교하면서 내측으로 연장된 고정편(62)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전측의 쉘(58)은 외주차폐부(59), 내주측차폐부(60) 및 완곡접속부(61)를 외주벽(38)의 전측(외주측)에 위치시키면서 좌우의 고정편(62)을 좌우의 쉘 취부구 (45)의 상방에서 결합하여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에 고정된다. 그리고 후측의 쉘 (58)은 외주차폐부(59), 내주측차폐부(60) 및 완곡접속부(61)를 외주벽(38)의 후측(외주측)에 위치시키면서 좌우의 고정편(63)을 좌우의 쉘 취부구(45)의 상방에서 결합하여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에 고정된다.
전후의 쉘(58)이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에 고정되면, 전후의 외주측차폐부 (59) 및 내주측차폐부(60)가 외주벽(38)의 전면과 후면의 외주측에 위치되고, 외주측차폐부(59)의 하단부가 각 리셉터클콘택트(50)의 테일편(51)과 전후방향으로 대항하게 된다.(도 7, 도 8 참조). 또한 쉘(58)의 완곡접속부(61) 및 고정부(63)의 상단부가 전벽(38a), 후벽(38b) 및 리셉터클콘택트(50)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7, 도 8 참조)
이와 같은 구조의 리셉터클커넥터(35)는 회로기판(31)과 평행한 기판인 회로기판(65)(리지드기판. 제1회로기판)의 실장면에 형성되어 회로패턴(도시 생략)에 각 리셉터클콘택트(50)의 테일편(51)이 땜납되고, 해당 실장에 형성된 접지패턴에 테일편(56) 및 테일편(62)을 땜납하여 회로기판(65)에 고정(실장)된다 (도 7, 도 8 참조). 회로기판(65)의 실장면에는 리셉터클커넥터(35)와는 다른 전자부품(예를 들어 CPU, 컨트롤러, 메모리 등)이 실장되어 있다.
계속해서 리셉터클터넥터(35)에 플러그커넥터(15)를 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커넥터(15)에 리셉터클커넥터 (35)를 상호 전후위치 및 좌우위치를 일치시키면서 상하방향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플러그커넥터(1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플러그커넥터(15)의 하단부를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의 상단부에 접촉시킨다. 이렇게 하면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의 각 유인면(47)에 플러그인슐레이터(16)의 각 유인면(22)이 각각 접촉되면서 플러그인슐레이터(16)가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에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결합돌출부(18)가 결합요부(40)에 결합되고, 결합요부(19)가 결합돌출부(39)에 결합된다.(도 7, 도 8 참조) 또한 각 플러그 콘택트(25)의 접촉편(26)이 대응하는 리셉터클콘택트(50)의 탄성접촉편(5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탄성접촉편(53)에 대하여 각각 접촉되면서 플러그콘택트(25) 및 리셉터클콘택트(50)를 사이에 두고 회로기판(31)과 회로기판(65)이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커넥터 (15)의 좌우 접속용요부(24)에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의 좌우의 접속용돌기(46)가 결합된다.
또한, 플러그커넥터(15)와 리셉터클커넥터(35)의 좌우위치가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 플러그커넥터(1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리셉터클커넥터(35)에 접속하려고 하면, 플러그인슐레이터(16)의 결합돌출부(18)의 전벽 또는 후벽이 전측의 쉘 (58)의 완곡접속부(61) 또는 후측의 쉘(58)이 완곡접속부(61)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전후 일측의 완곡접속부(61)에 접촉된 결합돌출부(18)의 전벽 또는 후벽(플러그커넥터 (15))가 해당 완곡접속부(61)에 의해 내측(리셉터클인슐레이터 (36))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므로, 이 경우에도 플러그커넥터(15)와 리셉터클커넥터 (35)를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완곡접속부(61)는 완곡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인슐레이터(16)의 결합돌출부(18)의 전벽 또는 후벽을 상처입히거나 파손시킬 우려가 적다.
또한, 외주측차폐부(59)와 내주측차폐부(60)가 완곡접속부(61)에 접속되므로 쉘(58)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플러그인슐레이터(16)의 결합돌출부(18)의 전벽과 후벽이 쉘(58)의 완곡접속부(61)(또는 외주측차폐부(59)와 내주측차폐부(60))에 접촉해도 쉘(58)이 파손될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정전기에 대전된 작업자가 손과 치구를 이용하여 플러그커넥터(15)를 파지하면서 리셉터클커넥터(35)와 접속하는 경우, 플러그커넥터(15)가 리셉터클커넥터(35)에 근접하면서 정전기가 리셉터클콘택트(5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완곡접속부(61)와 고정편(63)의 상단부 등으로 떨어져 쉘(58)을 사이에 두고 회로기판(65)의 접지패턴으로 흐르게(도망가는) 되므로 회로기판(65)에 실장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인슐레이터(36)의 외주측(전방 및 후방)에서 외주벽(38)의 전벽(38a) 및 후벽(38b)과 대향하는 전후 쉘(58)의 외주측차폐부(59) 및 내주측차폐부(60)가 각 플러그콘택트(25) 및 각 리셉터클콘택트(50)의 외주측(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전후 쉘(58)의 외주측차폐부(59)의 하부가 각 리셉터클콘택트(50)의 테일편(51)과 전후방향으로 대향한다. 따라서, 전후 쉘(58)에 의해 각 리셉터클콘택트(50)(테일편(51) 포함)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각 리셉터클콘택트(50)(테일편(51) 포함)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쉘(58)은 완곡접속부(61) 및 고정부(63)의 상단부가 전벽(38a), 후벽(38b) 및 리셉터클콘택트(50)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러그커넥터(15)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기판(31)과의 거리(간격)가 짧아진다. 따라서, 전후 쉘(58)로 인하여 각 플러그콘택트(25)에 외부 잡음이 들어가거나 각 플러그콘택트(25)의 잡음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국, 회로기판(31)에 실장된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어 고기능용 모듈과 반도체, 대용량메모리 등)과 회로기판 (65)에 실장된 상기 전자부품(예를 들어 CPU, 콘트롤러, 메모리등) 사이에(대량의) 정보의 고속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각각의 형태에 대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쉘(58)에서 외주차폐부(59)와 내주측차폐부(60)의 한쪽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한편, 외주측차폐부(59) 및 내주측차폐부(60)는 별도의 차폐부(한개 또는 복수)를 외주측차폐부(59) 및 내주측차폐부(60)와 전후방향으로 나열하여 설치해도 좋다.
또한 쉘(58)의 외주측차폐부(59) 또는 내주측차폐부(60)의 하단부를 회로기판(65)의 접지패턴에 땜납해도 좋다.
플러그커넥터(15)에서 고정편(28)을 생략하거나 리셉터클커넥터(35)에서 고정편(55)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쉘(58)의 몸체를 수지로 구성하고 해당 몸체(수지)의 표면을 도전성재료로써 도금과 코팅해도 좋다.
또한, 회로기판(31)(65)을 플러그커넥터(15)와 리셉터클커넥터(35)에 라이트앵글(RA) 모양으로 접속해도 좋다. 또한 리지드 기판 이외의 회로기판(예를 들어 FPC(플랙시블 프런터 회로기판))을 플러그커넥터(15)와 리셉터클커넥터(35)에 접속해도 좋다.
10...커넥터 15...플러그커넥터
16...플러그인슐레이터 17...천정판부
18...결합돌출부 19...결합요부
21...콘택트취부구 22...유인면
23...고정편취부용 요부 24...접속용요부
25...플러그콘택트 26...접촉편
27...테일편 28...고정편
29...테일편 31...회로기판(제2회로기판)
35...리셉터클커넥터 36...리셉터클인슐레이터
37...저판부 38...외주벽
38a...전벽(콘택트 취부부) 38b...후벽(콘택트 취부부)
39...결합돌출부 40...결합요부
42...콘택트취부구 43...변형용사구
44...고정편 취부구 45...쉘취부구
46...접속용돌부 47...유인면
50...리셉터클콘택트 51...테일편
52...고정편 53...탄성접촉편
55...고정편 56...테일편
58...쉘(도전성부재) 59...외주측차폐부
60...내주측차폐부 61...완곡접속부
62...테일편 63...고정편
65...회로기판(제1회로기판)

Claims (3)

  1. 일방향으로 돌출된 환상의 외주벽과 해당 외주벽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요부를 가진 리셉터클인슐레이터와, 제1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는 테일편과 상기 결합요부 내에 위치되는 접속편을 구비한 해당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된 복수의 리셉터클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에 지지되는 도전성부재를 구비한 리셉터클커넥터와,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는 환상의 결합돌출부를 가진 플러그인슐레이터와, 해당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일단이 제2회로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결합요부에 결합되었을 때에 일부가 상기 접촉편과 접촉하는 복수의 플러그콘택트를 가진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콘택트의 상기 테일편은 상기 외주벽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성부재는 상기 리셉터클인슐레이터의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벽 및 상기 테일편에 대향하는 차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외주측차폐부와,
    해당 외주측차폐부와 상기 외주벽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주측차폐부와,
    상기 외주측차폐부와 상기 내주측차폐부의 상기 일방향측의 단부들이 접속하고 단면형상이 상기 일방향측으로 완곡되게 돌출된 형상인 완곡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은 상기 리셉터클콘택트가 설치된 콘택트를 부착한 콘택트 부착부를 가지며, 해당 콘택트 부착부 및 리셉터클콘택트의 상기 일방향측의 단부보다도 상기 완곡접속부가 상기 일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95765A 2013-03-28 2013-08-13 커넥터 KR101473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8465A JP6045953B2 (ja) 2013-03-28 2013-03-28 コネクタ
JPJP-P-2013-068465 201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612A true KR20140119612A (ko) 2014-10-10
KR101473266B1 KR101473266B1 (ko) 2014-12-16

Family

ID=5183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765A KR101473266B1 (ko) 2013-03-28 2013-08-13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45953B2 (ko)
KR (1) KR101473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11A (ko) * 2019-12-25 2022-05-1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564B2 (ja)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DE102016113976A1 (de) 2015-07-29 2017-02-02 Dai-Ichi Seiko Co., Ltd. Elektrische Platinenverbindungs-Verbindervorrichtung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628685B2 (ja) * 2016-05-16 2020-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CN216413336U (zh) * 2019-06-20 2022-04-2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以及多极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640B1 (ja) * 2012-10-05 2014-0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11A (ko) * 2019-12-25 2022-05-1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5953B2 (ja) 2016-12-14
JP2014192102A (ja) 2014-10-06
KR101473266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66B1 (ko) 커넥터
JP6117415B1 (ja) コネクタ
KR20190016120A (ko) 커넥터
US10566741B2 (en) Shielded connector
TW201521289A (zh) 連接器
US9263836B2 (en) Electrical connector reducing antenna interference
US8444439B2 (en) Connector mounting apparatus having a bracket with recesses abutting resisting tabs of a member received therein
US8096834B2 (en)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conduction mechanism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1943946B1 (ko) 커넥터
CN108323138B (zh) 收发器模组
US11431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etallic cage having elastic grounding fingers around the mounting portion
JP2023160980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US20200091654A1 (en) Electric connector
US9401568B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22839A (ko) 콘택트
TWI746721B (zh) 電連接器及其組件
US20090239404A1 (en) Fixture
US7666031B2 (en) Connector
EP3051634B1 (en) Connector
JP6266734B1 (ja) コネクタ
US920322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8277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hielding device for EMI thereof
US8632361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313170B (zh) 接线端子和相应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