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76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76B1
KR101937976B1 KR1020160179967A KR20160179967A KR101937976B1 KR 101937976 B1 KR101937976 B1 KR 101937976B1 KR 1020160179967 A KR1020160179967 A KR 1020160179967A KR 20160179967 A KR20160179967 A KR 20160179967A KR 101937976 B1 KR101937976 B1 KR 10193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beam pattern
vehicle
lamp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961A (ko
Inventor
손우영
박선경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76B1/ko
Priority to CN201721870180.4U priority patent/CN207762809U/zh
Publication of KR2018007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1 램프 유닛, 차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과 더불어 로우 빔 패턴에 더하여 원거리 시야 확보를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헤드 램프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통해 안전 운행을 돕는 기본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야간 주행시 차량의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기 때문에 헤드 램프에 의해 보다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심미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각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요구되어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나 비용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용이하게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1352호 (2013.07.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성이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1 램프 유닛, 차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이 점등되어 이미지가 형성될 때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가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서로 다른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 및 제2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빔 패턴 및 제3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교체 과정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도로 환경, 기상 환경, 주변 차량 등과 같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이나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는 렌즈 등과 같은 각종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빔 패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비하여 차량 내측에 배치되어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비하여 차량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제1 광원부(110) 및 제1 반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제1 빔 패턴(P1)으로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4와 같이 소정의 컷 오프 라인(CL)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빔 패턴(P1)은 차량 전방의 충분한 시야 거리가 확보되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를 가지는 고조도 영역(P11) 및 차량 전방 근거리의 넓은 범위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스프레드 영역(P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CL)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방 소점을 지나는 V-V선을 경계로 하여 좌우 상단 높이가 다른 경사 컷 오프 라인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상단 높이가 같은 수평 컷 오프 라인 등과 같이 다양한 컷 오프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원부(11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빔 패턴(P1)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0)가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이 하나의 기판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되는 광원이나 기판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으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은 LED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벌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제1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120)가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반사부(12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부(120)가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는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가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의 발광 방향에 따라 반사면이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의 발광면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은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의 유효 반사 영역에 따라 가능한 한 많은 광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틸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120)의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를 각각 제1 내지 제5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라 칭하기로 하며, 제1 내지 제5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0)에 포함된 광원의 개수와 제1 반사부(120)에 포함된 리플렉터의 개수가 동일하며, 각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각 리플렉터가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리플렉터가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반사부(12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리플렉터가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램프 유닛(100)은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중 차폭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는 제1 리플렉터(121) 및 제5 리플렉터(125)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리플렉터(121) 및 제5 리플렉터(125)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은 제1 리플렉터(121) 및 제5 리플렉터(125)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내지 제4 리플렉터(122, 123, 124)는 반사된 광이 퍼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반면, 제1 리플렉터(121) 및 제5 리플렉터(125)는 베젤(미도시)이나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인하여 반사된 광이 퍼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제1 리플렉터(121) 및 제5 리플렉터(12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대적으로 광이 집중될 필요가 있는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제2 내지 제4 리플렉터(122, 123, 124)를 통해 스프레드 영역(P12)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유닛(20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5 리플렉터(125)에 의해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이 형성되고, 제1 리플렉터(121)에 의해 제1 빔 패턴(P1)의 고조도 영역(P11)이 보강되며, 제2 내지 제4 리플렉터(122, 123, 124)에 의해 제1 빔 패턴(P1)의 스프레드 영역(P1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중 제2 램프 유닛(200)에 인접한 제5 리플렉터(125)에 의해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이 형성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광도가 큰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제2 램프 유닛(200)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에서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특정 영역의 광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광도를 가지게 되어 부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보다 차량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5 리플렉터(125)가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보다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리플렉터(121)가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2 광원부(210) 및 제2 반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0)에 비하여 차량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광원부(210)는 전술한 제1 광원부(110)와 유사하게 복수의 광원(211, 212, 213)을 포함하며, 복수의 광원(211, 212, 213)이 하나의 기판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반사부(220)는 제2 광원부(210)의 각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반사부(220)는 전술한 제1 반사부(120)와 유사하게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는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211, 212, 213)은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의 유효 반사 영역에 따라 가능한 한 많은 광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틸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반사부(220)의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을 각각 제6 내지 제8 리플렉터(221, 222, 223)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6 내지 제8 리플렉터(221, 222, 223)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비하여 차량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반사부(220)가 제1 반사부(210)에 비하여 차량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램프 유닛(100)의 제1 내지 제5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와 제2 램프 유닛(200)의 제6 내지 제8 리플렉터(221, 222, 223)는 차폭 방향으로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제1 내지 제8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221, 222, 223)이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1 내지 제8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221, 222, 223)는 차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서로 소정의 단차를 가지며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부(220)은 제1 광원부(210)의 광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리플렉터를 가지며, 각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각 리플렉터가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반사부(220)는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가 복수의 광원(211, 212, 213)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의 위치는 복수의 광원(211, 212, 213)의 발광 방향에 따라 반사면이 복수의 광원(211, 212, 213)의 발광면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제6 내지 제8 리플렉터(221, 222, 223)에 의해 반사된 광이 조합되어 도 5와 같은 제2 빔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빔 패턴(P2)은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원거리 시야 패턴일 수 있으며, 전술한 로우 빔 패턴과 함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7 리플렉터(222)는 제2 빔 패턴(P2)의 고조도 영역(P21)을 형성하며, 제6 및 제8 리플렉터(221, 223)는 제2 빔 패턴(P2)의 스프레드 영역(P22)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6 내지 제8 리플렉터(221, 222, 223)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도 5는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한 제1 빔 패턴(P1) 및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한 제2 빔 패턴(P2)이 함께 형성된 경우의 일 예로서, 로우 빔 패턴인 제1 빔 패턴(P1)의 상측 부근에 원거리 시야 패턴인 제2 빔 패턴(P2)이 형성되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해 제1 빔 패턴(P1)이 형성되고,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제2 빔 패턴(P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는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제1 반사부(120)의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부(120)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중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하는 제5 리플렉터(125)를 이외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가 각각 제1 영역(121a, 122a, 123a, 124a) 및 제2 영역(121b, 122b, 123b, 124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를 통해 둘 이상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제5 리플렉터(125)가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광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5 리플렉터(125)에 의해 반사된 광이 가능한 한 컷 오프 라인(CL) 및 고조도 영역(P11)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반사부(120)의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 각각이 제1 영역(121a, 122a, 123a, 124a) 및 제2 영역(121b, 122b, 123b, 124b)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부(120) 및 제2 반사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가 둘 이상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120)의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중 일부의 리플렉터와 제2 반사부(220)의 복수의 리플렉터(221, 222, 223) 중 일부의 리플렉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둘 이상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리플렉터(121)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2 내지 제4 리플렉터(122, 123, 124)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21)의 제1 영역(121a)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빔 패턴(P1)의 고조도 영역(P1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리플렉터(121)의 제2 영역(121b)은 도 7과 같이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해 제1 빔 패턴(P1)이 형성될 때 제1 빔 패턴(P1)의 상측 방향에 제3 빔 패턴(P3)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빔 패턴(P3)은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도로 표지판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시그널 빔 패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빔 패턴(P1)의 상측 방향에 제3 빔 패턴(P3)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으면서도 도로 표지판 등의 용이한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가 모두 제1 빔 패턴(P1) 및 제3 빔 패턴(P3)을 형성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의 제2 영역(121b, 122b, 123b, 124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제3 빔 패턴(P3)의 형성을 위해 서로 중첩되어 충분한 광량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의 제2 영역(121b, 122b, 123b, 124b)이 모두 제3 빔 패턴(P3)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의 제2 영역(121b, 122b, 123b, 124b) 각각은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반사부(120)의 제5 리플렉터(125)가 제1 빔 패턴(P1)의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차량 주행 지역에 따라 컷 오프 라인에 대한 법규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차량 주행 지역에 따라 제5 리플렉터(125)가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120)는 금형 장치를 통해 사출 성형될 수 있는데, 금형 장치에는 제1 내지 제5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 코어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금형 코어는 제1 내지 제5 리플렉터(121, 122, 123, 124, 125) 형상을 가지는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행 지역에 따라 제5 리플렉터(125)를 형성하는 금형 코어를 교체함으로써 차량 주행 지역에 적합한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금형 장치의 금형 코어를 교체하여 차량 주행 지역에 따라 컷 오프 라인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사부(120)의 제1 내지 제4 리플렉터(121, 122, 123, 124)를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제5 리플렉터(125)를 별도로 형성하여 차량 주행 지역에 따라 제5 리플렉터(125)를 교체 장착하여 차량 주행 지역에 적합한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5와 같은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5 리플렉터(125)를 사용하게 되나, 컷 오프 라인(CL)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제1 반사부(120)에서 제5 리플렉터(125)를 분리하고, 교체 대상 리플렉터(126)를 제1 반사부(120)에 조립함으로써 컷 오프 라인(CL)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램프 유닛
110: 제1 광원부
111, 112, 112, 114, 115: 광원
120: 제1 반사부
121, 122, 123, 124, 125: 리플렉터
200: 제2 광원부
211, 212, 213: 광원
220: 제2 반사부
221, 222, 223: 리플렉터

Claims (10)

  1.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1 램프 유닛; 및
    차폭 방향으로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이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상기 로우 빔 패턴과 함께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원거리 시야 확보를 위한 원거리 시야 패턴이며,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중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가까운 일단에 상기 제1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비하여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는,
    3개 이상의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부의 양단 중 상기 제2 램프 유닛과 먼 타단에 위치한 리플렉터가 상기 제1 빔 패턴의 상기 고조도 영역을 보강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반사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빔 패턴의 경사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상기 복수의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영역과 제3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빔 패턴은,
    시그널 빔 패턴인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제1 반사부 및 상기 제2 반사부의 유효 반사 영역에 따라 소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79967A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KR10193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967A KR101937976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CN201721870180.4U CN207762809U (zh) 2016-12-27 2017-12-27 车辆用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967A KR101937976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61A KR20180075961A (ko) 2018-07-05
KR101937976B1 true KR101937976B1 (ko) 2019-01-14

Family

ID=6292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967A KR101937976B1 (ko) 2016-12-27 2016-12-27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7976B1 (ko)
CN (1) CN2077628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53B1 (ko) 2018-06-29 2021-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재
CN109488988A (zh) * 2018-11-23 2019-03-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组合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481A (ja) * 2008-05-14 2009-11-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1081975A (ja) 2009-10-06 2011-04-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及びリフレク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481A (ja) * 2008-05-14 2009-11-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1081975A (ja) 2009-10-06 2011-04-21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及びリフレク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961A (ko) 2018-07-05
CN207762809U (zh)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297B2 (en) Automotive headlamp forming multipl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with a single lamp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EP3361146B1 (en) Shading module for enhancing light intensity of a vehicular headlamp
US11619360B2 (en) Hybrid headlamp systems and methods
KR101937976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US7144143B2 (en) Vehicle headlight
KR101600564B1 (ko) 차량용 램프
KR1015571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42B1 (ko) 차량용 램프
KR101948529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KR101666509B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3B1 (ko) 차량용 램프
KR102250659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CN210424859U (zh) 车辆用灯具
KR101637342B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1B1 (ko) 차량용 램프
KR101740673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7950A (ko) 차량용 램프
KR20180110864A (ko) 차량용 램프
KR102002028B1 (ko) 차량용 램프
KR101937973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795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