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955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955A
KR20180077955A KR1020160182860A KR20160182860A KR20180077955A KR 20180077955 A KR20180077955 A KR 20180077955A KR 1020160182860 A KR1020160182860 A KR 1020160182860A KR 20160182860 A KR20160182860 A KR 20160182860A KR 20180077955 A KR20180077955 A KR 2018007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cement
lamp
present
aim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주
이상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955A/ko
Publication of KR2018007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 반사면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과 더불어 로우 빔 패턴에 더하여 원거리 시야 확보를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주행하는 지역의 도로 환경, 기상 환경, 차종 등에 따라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법규가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서로 다른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램프를 각각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각 지역별 법규를 용이하게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492호(2012.02.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 패턴의 각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면 중 서로 다른 법규를 만족할 필요가 있는 반사면의 교체가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 반사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빔 패턴의 각 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면 중 각 지역 별로 서로 다른 법규를 만족할 필요가 있는 반사면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각 지역 별로 복수의 반사면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도시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밍부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 유닛(10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 유닛(100)은 광원부(110) 및 반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10)가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광원부(110)에 포함되는 광원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 각각은 필요로 하는 광량에 따라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으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은 LED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벌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120)가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반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20)가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은 사출 공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120)의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을 각각 제1 내지 제5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1 내지 제5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은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10)에 포함된 광원의 개수와 반사부(120)에 포함된 반사면의 개수가 동일하며, 각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각 반사면이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반사면이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이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은 복수의 광원(111, 112, 113, 114, 115)으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방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광원 유닛(100)은 제1 내지 제5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에 의해 반사된 광이 조합되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로우 빔 패턴(P1, P2)을 형성하는 경우, 제1 반사면(121)은 로우 빔 패턴(P1, P2)의 고조도 영역(A11, A2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내지 제4 반사면(122, 123, 124)은 로우 빔 패턴(P1, P2)의 스프레드 영역(A12, A22)을 형성하며, 제5 반사면(125)은 로우 빔 패턴(P1, P2)의 컷 오프 라인(CL1, CL2) 및 고조도 영역(A11, A21)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5 반사면(121, 122, 123, 124, 125)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방 소점을 수직하게 지나는 V-V선을 기준으로 좌우 상단 높이가 서로 다른 경사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4는 V-V선을 기준으로 좌우 상단 높이가 같은 수평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경우의 일 예로서, 컷 오프 라인의 형상은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로우 빔 패턴(P1, P2)의 컷 오프 라인(CL1, CL2) 및 고조도 영역(A11, A21)을 형성하는 제5 반사면(125)은 상대적으로 큰 광량이 요구되므로 나머지 반사면에 비하여 방열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5 반사면(125)은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이나 열 전도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광원 유닛(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20)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유닛(100)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장착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나사 결합, 후크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반사부(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각각의 결합 방식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단일의 광원 유닛(100)이 장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유닛이 장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 유닛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에 따라 로우 빔 패턴에 대한 법규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각 지역마다 로우 빔 패턴에 대한 법규가 상이한 경우는 대부분 컷 오프 라인에 대한 법규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로우 빔 패턴의 스프레드 영역은 근거리에 대한 넓은 범위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인 반면, 컷 오프 라인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도로 상황, 기상 상황, 차종 등에 따라 컷 오프 라인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각 지역에 따라 상이한 컷 오프 라인에 대한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광원 유닛(100), 즉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을 각각 제조해야 하나, 이 경우 컷 오프 라인 이외의 스프레드 영역 등에 대한 법규가 동일한 경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반사면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 중 각 지역별로 상이한 법규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교체 가능하게 하고, 나머지 반사면은 공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면은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제5 반사면(125)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면이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제5 반사면(125)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빔 패턴이나 법규 등에 따라 따라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사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120)의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 중 각 지역별로 공용되는 반사면을 "공용 반사면"이라 칭하고, 각 지역 별로 교체되는 반사면을 "교체 반사면"이라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반사면(121, 122, 123, 124)이 공용 반사면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5 반사면(125)이 교체 반사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도 5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 반사면(300)이 위치하는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 영역(12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지역 별로 교체되는 교체 반사면(300)이 개방 영역(120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장착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체 반사면(300)은 전술한 경사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제1 교체 반사면(300a) 및 전술한 수평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제2 교체 반사면(300b)을 포함하며, 각 지역별로 제1 교체 반사면(300a) 및 제2 교체 반사면(300b) 중 어느 하나가 반사부(120)의 개방 영역(120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5 반사면(125)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컷 오프 라인의 형상에 따라 교체 반사면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교체 반사면(300a) 및 제2 교체 반사면(300b)은 각각 복수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게 되며, 복수의 분할 영역의 형성 방향이나 형성 각도 등에 따라 컷 오프 라인의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교체 반사면(300a)은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분할 영역이 서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경사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게 되며, 제2 교체 반사면(300b)은 복수의 분할 영역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수평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20)의 개방 영역(120a)에 각 지역별로 컷 오프 라인에 대한 법규를 만족될 수 있도록 하는 반사면을 위치시킴으로서 교체되는 반사면 이외의 나머지 반사면의 공용이 가능하므로 각 지역별로 공용이 가능한 반사면을 각각 제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 반사면(300)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교체 반사면(300)에는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제1 결합부(31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교체 반사면(300)은 전술한 제5 반사면(125)의 역할을 하는 반사면으로서 각 지역별로 서로 다른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로 교체되는 반사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3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결합부(210)는 삽입 돌기(311)가 삽입되는 삽입 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삽입 돌기(311)가 구 형상을 가지며, 그 직경이 삽입 홈(211)의 개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삽입 홈(211)이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 돌기(311)가 삽입 홈(211)에 삽입되나 외부 힘이 제거될 때는 삽입 홈(211)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삽입 돌기(311)가 삽입 홈(2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교체 반사면(300)을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일정 이상의 외부 힘이 교체 반사면(300)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질 때 삽입 홈(211)이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 돌기(311)가 삽입 홈(211)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체 반사면(300)을 손쉽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시키거나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광원 유닛(100)을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도 각 지역에 따른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어 각 지역 별로 광원 유닛(100)을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교체 반사면(300) 전체가 각 지역별로 교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각 지역 별 교체 반사면 중 일부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반사부(120)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영역이 사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부(120)는 개방 영역(120a)의 일측에 제3 교체 반사면(300c) 및 제4 교체 반사면(300d)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영역(120b)이 반사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교체 반사면(300)은 공통 영역(120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도 7에서 제3 교체 반사면(300c) 및 공통 영역(120b)이 전술한 제1 교체 반사면(300a)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4 교체 반사면(300d) 및 공통 영역(120b)이 제2 교체 반사면(300b)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교체 반사면(300a) 및 제2 교체 반사면(300b)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영역(120b)을 반사부(120)와 일체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을 제3 교체 반사면(300c) 및 제4 교체 반사면(300b)으로 형성하여 개방 영역(120a)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부(120)의 개방 영역(120a) 일측에는 공통 영역(12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교체 반사면(300)은 공통 영역(120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교체 반사면(300)에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교체 반사면(300)이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 보다 정확하게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밍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밍부(400)는 작업자 또는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에이밍 스크류(410) 및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 지점(AP)에 피봇 구조로 결합되는 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밍 스크류(410)는 브라켓(420)의 일단에 형성된 스크류 홈(421)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브라켓(420)은 에이밍 스크류(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브라켓(420)과 결합되는 교체 반사면(300)이 기준 지점(RP)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브라켓(420)의 타단에는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 지점(AP)에 형성되는 수용 홈(320)에 삽입되는 피봇 헤드(4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에이밍 스크류(410)가 회전할 때 피봇 헤드(422)가 수용 홈(320) 내에서 유동되면서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 지점(AP)이 이동하여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이 수행될 때 기준 지점(RP)은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결합 지점, 즉 삽입 돌기(311)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성 위치는 에이밍부(400)의 위치, 즉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 지점(AP)의 위치에 따라 원활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도록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밍 지점(AP)이 도 9와 같이 교체 반사면(30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성 위치는 교체 반사면(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과 같이 에이밍 지점(AP)이 교체 반사면(30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성 위치는 교체 반사면(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이밍 지점(AP)과 기준 지점(RP)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이 수행되기 위한 충분한 회전 범위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 지점(AP)에 따른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성 위치는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체 반사면(300)의 에이밍을 수행할 때 교체 반사면(300)이 기준 지점(AP)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각도 등에 따라 에이밍 지점(AP)이나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의 형성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각 지역별로 교체 반사면(300)이 전체적으로 교체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전술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반사부(120)에 공통 영역(120b)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에이밍부(400)에 의해 교체 반사면(30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교체 반사면(300)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210)는 에이밍 지점(AP)에 따라 교체 반사면(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반사부(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반사면(121, 122, 123, 124, 125) 중 각 지역 별로 상이한 법규를 만족하기 위하여 교체가 필요한 교체 반사면(300)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 별로 공용 반사면의 공용이 가능하게 되어 이로 인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광원부
111, 112, 113, 114, 115: 광원
120: 반사부
121, 122, 123, 124, 125: 반사면
200: 베이스 플레이트
210: 제2 결합부
300: 교체 반사면
310: 제1 결합부
400: 에이밍부

Claims (13)

  1.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켜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체 반사면인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 오프 라인은,
    경사 컷 오프 라인 또는 수평 컷 오프 라인인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반사면은,
    상기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차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교체 반사면은,
    상기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교체 반사면이 위치하도록 개방된 개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교체 반사면은,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개방 영역 일측에 형성되는 공통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영역은,
    서로 다른 교체 반사면 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영역인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반사면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반사면의 에이밍을 수행하는 에이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이밍부는,
    에이밍 스크류; 및
    상기 교체 반사면의 에이밍 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단에 상기 에이밍 스크류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홈; 및
    타단에 상기 교체 반사면의 에이밍 지점에 형성된 수용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피봇 헤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에이밍부의 위치에 따라 형성 위치가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교체 반사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에이밍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반사면은,
    금속 또는 열 전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82860A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KR20180077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60A KR20180077955A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860A KR20180077955A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955A true KR20180077955A (ko) 2018-07-09

Family

ID=6291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860A KR20180077955A (ko) 2016-12-29 2016-12-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844B2 (en) Vehicular lamp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KR101027944B1 (ko) 차량용 전조등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10220145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7722210B2 (en) Automotive lamp and reflector for low beam and advanced forward lighting system
KR101937976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7955A (ko) 차량용 램프
JP7490514B2 (ja) 車両用灯具
US9296331B2 (en) Vehicle headlight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42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CN210424859U (zh) 车辆用灯具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KR101666509B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3B1 (ko) 차량용 램프
KR102150265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37342B1 (ko) 차량용 램프
CN213065964U (zh) 一种汽车前照灯双光照明装置
JP4743124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740673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107370A (ko)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KR102002030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92826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