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35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354A
KR20160148354A KR1020150085310A KR20150085310A KR20160148354A KR 20160148354 A KR20160148354 A KR 20160148354A KR 1020150085310 A KR1020150085310 A KR 1020150085310A KR 20150085310 A KR20150085310 A KR 20150085310A KR 20160148354 A KR20160148354 A KR 2016014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reflector
shie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920B1 (ko
Inventor
이상형
손우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68
    • F21S48/125
    • F21S48/13
    • F21S48/14
    • F21S48/1721
    • F21S48/328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 전방에 위치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를 통과한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빔 패턴을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광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부 사이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적절한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게 된다.
헤드 램프는 빔 패턴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광원의 전방에 쉴드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쉴드부는 구동부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빔 패턴이 전환되도록 하는 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쉴드 플레이트 및 구동부는 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이격된 공간으로 직접 진행되는 경우 불필요한 영역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쉴드 플레이트 및 구동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5-035376호(2015.02.1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쉴드부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쉴드부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고, 차단된 광을 반사시켜 재사용함으로써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 전방에 위치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를 통과한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빔 패턴을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광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부 사이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광원으로부터 쉴드부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된 광을 재사용하여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가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장착된 방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빔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쉴드부(200), 렌즈부(300) 및 방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는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광원(110) 및 반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 등을 가지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0)으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10)은 LED뿐만 아니라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10)은 방열부(4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광원(110)으로 LED가 사용되는 경우 가장 취약한 것은 온도로서, 광원(110)에서 광이 발생될 때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되고, 고온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라 LED의 발광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사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사부(120)가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차량용 램프(1)의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방향이나 위치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20)가 방열부(400)의 상면에 장착된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광원(1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발생되는 광이 전방으로 반사되도록 하측으로부터 전방에 이르는 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부(120)는 광원(110)의 광 발생 방향이나 반사 방향 등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반사부(120)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반사부(120) 전체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가 광원(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리플렉터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리플렉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120)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를 각각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라 칭하기로 한다.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복수의 광 조사 영역에 각각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이 조사되는 광 조사 영역에 따라 리플렉터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플렉터(121, 122)는 광원(1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리플렉터(121)는 제2 리플렉터(122)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리플렉터(121)에는 제2 리플렉터(12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122a, 1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 돌기(122a, 122b)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리플렉터(121)에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이 형성되고, 제2 리플렉터(122)에 복수의 결합 돌기(122a, 122b)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의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되는 공차를 보상하고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결합 돌기(122a, 122b) 및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 사이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조립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제조 공정 상에서 공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보상하여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리플렉터(121)에는 제2 리플렉터(12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22c)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12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22c) 및 걸림 홈(121c)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의 형상이나 설계 상의 이유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 및 복수의 결합 돌기(122a, 122b)와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121c)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22c)에 의해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가 서로 결합된 반사부(120)는 전술한 광원(110)와 유사하게 방열부(4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가 장착된 방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120)는 광원(110)과 유사하게 방열부(40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리플렉터(12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21d)을 통과하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방열부(4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홈(410)에 삽입되어 방열부(4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플렉터(121)에는 방열부(400)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 돌기(421, 422)가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 홀(121e, 121f)이 형성되어 반사부(120)의 장착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리플렉터(121)에 복수의 장착 홀(121e, 121f)이 형성되고 방열부(400)에 복수의 장착 돌기(421, 422)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장착 홀(121e, 121f)은 전술한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리플렉터(121)가 방열부(400)에 장착될 때 제조 상에서 발생된 공차를 보정하여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 중 일측의 결합 홀(121a)의 크기가 더 크고, 복수의 장착 홀(121e, 121f)은 복수의 결합 홀(121a, 121b)과는 반대로 타측의 장착 홀(121f)의 크기가 더 큰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조립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는 제1 광 조사 영역 및 제2 광 조사 영역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리플렉터(121)는 제1 광 조사 영역으로서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이하, "빔 패턴 영역"이라 함)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제2 리플렉터(122)는 제2 광 조사 영역으로서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즉, 핫존)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리플렉터(121)는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의 전체 영역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제2 리플렉터(122)는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며,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은 전체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전체 영역을 벗어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제1 리플렉터(121) 및 제2 리플렉터(122)에 의해 복수의 광 조사 영역에 각각 조사될 수 있도록 광원(110)이 광축(Ax)으로부터 일측 방향, 예를 들어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쉴드부(200)는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부(200)는 광원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그대로 통과시켜 서로 다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쉴드부(200)는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210)는 구동부(220)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빔 패턴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플레이트(210)가 도 9와 같이 광축(Ax)이나 광축(Ax)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도 10과 같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쉴드 플레이트(210)가 도 11과 같이 구동부(220)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된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쉴드 플레이트(210)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빔 패턴이 전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쉴드 플레이트(210)는 직선 운동이나 병진 운동 등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수도 있으며, 쉴드 플레이트(210)의 위치 가변 방법에 따라 구동부(220)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도 10에서 로우 빔 패턴 영역(P1)은 제1 리플렉터(121)에서 반사된 광(L11)에 의해 형성되고, 고조도 영역(P2)은 제2 리플렉터(122)에서 반사된 광(L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도 12에서 하이 빔 패턴 영역(P3)은 제1 리플렉터(121)에서 반사된 광(L21)에 의해 형성되고, 고조도 영역(P4)은 제2 리플렉터(122)에서 반사된 광(L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쉴드 플레이트(210)는 전술한 도 10과 같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하기 위하여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면(예를 들어, 상면)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쉴드 플레이트(210)의 중앙 부분에 단차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쉴드 플레이트(210)는 차단된 광을 후술할 렌즈부(300)로 반사시켜 근거리 시야가 향상될 수 있도록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면에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플레이트(210)는 양측으로부터 쉴드 플레이트(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구동부(220)의 구동 샤프트(221)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에는 각각 구동 샤프트(221)가 삽입되는 삽입 홀(211a, 212a)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와 같이 2개의 결합부를 통해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쉴드 플레이트(210)의 형상이나 구동부(220)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동부(220)는 쉴드 플레이트(21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쉴드 플레이트(210)와 결합되며, 쉴드 플레이트(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동되어 빔 패턴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20)는 적어도 일측에 통과 홀(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부(400)의 전방에는 통과 홀(222)을 통과한 나사 등과 같은 결합 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결합 홈(430)이 형성되어 구동부(200)가 방열부(4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쉴드부(200)는 쉴드 플레이트(210)의 하측 방향에 구동부(220)가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쉴드 플레이트(2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광원(110)로부터 발생된 광이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로 직접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직접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진행하는 경우,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여 정상적으로 빔 패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0)의 일측에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직접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11)는 광원(110)이 장착되는 방열부(4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어 광원(110)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잇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1)는 광원(11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직접 진행하는 광(L3)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에서 실선은 실제 광 경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차단되지 않은 경우의 광 경로를 나타낸다.
돌출부(111)의 돌출단(111a), 즉 돌출된 끝단은 광원(110)이 장착된 면을 기준으로 광원(110)의 발광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11)의 돌출 높이나 크기는 광원(110)의 광 조사 범위나 쉴드부(200)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이 복수로 구성된 경우 돌출부(111)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광원에 대하여 공용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11)의 돌출 높이가 일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11)는 서로 다른 복수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3에서는 돌출부(111)가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차단된 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1)는 전술한 도 13과 유사하게 광원(11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게 되며, 적어도 일면(예를 들어, 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차단된 광을 반사부(120)로 반사시킴으로써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에서 실선은 실제 광 경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차단되지 않은 경우의 광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11)는 전술한 10과 같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로 진행하는 광(L3)을 차단 및 반사시켜 로우 빔 패턴의 소정 영역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광 사용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11)는 광원(110)에서 발생된 광 중 쉴드 플레이트(210) 및 구동부(220) 사이로 진행하는 광을 제1 리플렉터(121)로 반사시켜 근거리 시야를 향상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렌즈부(300)는 쉴드부(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쉴드부(200)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310)는 필요로 하는 렌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렌즈(310)로는 다양한 렌즈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비구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 홀더(320)는 렌즈(3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방열부(400)와 결합되어 그 내부에 쉴드부(200) 등과 같은 구성 요소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방열부(400)는 광원부(100), 쉴드부(200) 및 렌즈부(300)와 결합되어, 광원부(100), 쉴드부(200) 및 렌즈부(300)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방열부(400)와 더불어 방열 팬(44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열 장치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111: 돌출부
120: 반사부
121: 제1 리플렉터
122: 제2 리플렉터
200: 쉴드부
210: 쉴드 플레이트
220: 구동부
300: 렌즈부
310: 렌즈
320: 렌즈 홀더
400: 방열부

Claims (6)

  1. 광원과 상기 광원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방열부;
    상기 광원부 전방에 위치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 및
    상기 쉴드부를 통과한 광을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부는,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빔 패턴을 전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광원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부 사이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원이 장착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원이 장착되는 면을 기준으로 돌출단이 상기 광원의 발광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돌출 높이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광을 상기 반사부로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부로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제1 광 조사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리플렉터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제2 광 조사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차단된 광을 상기 제1 리플렉터로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085310A 2015-06-16 2015-06-16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10A KR10244192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10A KR10244192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54A true KR20160148354A (ko) 2016-12-26
KR102441920B1 KR102441920B1 (ko) 2022-09-08

Family

ID=5773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10A KR10244192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789A (ko) * 2018-11-21 2020-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6944A (ja) * 2012-05-24 2013-12-0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3258078A (ja) * 2012-06-13 2013-12-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4041802A (ja) * 2012-08-23 2014-03-06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4056792A (ja) * 2012-09-14 2014-03-2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4082048A (ja) * 2012-10-15 2014-05-0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5531153B2 (ja) * 2011-03-04 2014-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灯火装置及び同装置の取付構造
JP2015035376A (ja) 2013-08-09 2015-02-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2015097192A (ja) * 2013-10-11 2015-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1153B2 (ja) * 2011-03-04 2014-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灯火装置及び同装置の取付構造
JP2013246944A (ja) * 2012-05-24 2013-12-0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3258078A (ja) * 2012-06-13 2013-12-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14041802A (ja) * 2012-08-23 2014-03-06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4056792A (ja) * 2012-09-14 2014-03-2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4082048A (ja) * 2012-10-15 2014-05-0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5035376A (ja) 2013-08-09 2015-02-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2015097192A (ja) * 2013-10-11 2015-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789A (ko) * 2018-11-21 2020-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920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59B1 (ko) 차량용 램프
CN110094689B (zh) 智能头灯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80045377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101666507B1 (ko) 차량용 램프
KR101717692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9524A (ko) 차량용 램프
KR102348887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01846U (ko) 차량용 램프
KR102396854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12B1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KR10195979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107177A (ko) 차량용 램프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674495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1936A (ko) 차량용 램프
KR101744624B1 (ko) 차량용 램프
CN220338283U (zh) 车辆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