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78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787A
KR20150131787A KR1020140059023A KR20140059023A KR20150131787A KR 20150131787 A KR20150131787 A KR 20150131787A KR 1020140059023 A KR1020140059023 A KR 1020140059023A KR 20140059023 A KR20140059023 A KR 20140059023A KR 20150131787 A KR20150131787 A KR 20150131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beam pattern
light
le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경
정진영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787A/ko
Publication of KR2015013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21S41/365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successively reflecting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제 1빔 패턴을 형성하는 실드부, 및 상기 실드부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 1빔 패턴의 광을 투사시키는 제 1렌즈부, 및 상기 제 1렌즈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제 2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2렌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1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11), 리플렉터(12), 실드(13) 및 렌즈(14)를 포함한다.
광원(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리플렉터(12)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며, 리플렉터(12)에 의해 반사된 광은 쉴드(13)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단되면서 렌즈(14)를 통해 투사되며, 실드(13)에 의해 차단된 광은 렌즈(14)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광 손실을 줄이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환경(예를 들어, 주변 차량, 도로 환경, 기상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빔 패턴이 사용되고 있으며, 로우 빔 패턴과 시그널 빔 패턴 등과 같이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차량용 램프를 통해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를 통해 구성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면서도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1352호 (2013.07.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렌즈를 통해 복수의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용이하게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을 재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제 1빔 패턴을 형성하는 실드부, 및 상기 실드부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 1빔 패턴의 광을 투사시키는 제 1렌즈부, 및 상기 제 1렌즈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제 2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2렌즈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렌즈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성으로도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을 이용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광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실드부(200) 및 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운행하거나 어두운 장소를 운행할 때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등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일 수 있다.
광원부(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10) 및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110)으로는 반도체 발광 조사로서 LED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로 하는 광량이나 용도 등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은 LED 뿐만 아니라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반사층이 형성된 타원 곡면이나 자유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는 것은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용 램프(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00)가 렌즈부(300)의 광축(Ax)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만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100)는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00)는 광축(Ax)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거나 광축(Ax)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으며, 광원부(100)의 개수나 배치 방향 등은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의 종류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실드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소정의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광원부(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부(20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축(Ax)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단이 렌즈부(300)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드부(200)는 빔 패턴에 따른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원부(100)가 광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실드부(200)가 광축(Ax) 상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는 실드부(200)의 상면에 의해 차단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드부(200)의 상면 중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드부(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차단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실드부(200)는 상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실드부(200)에 의해 차단되는 광을 렌즈부(300)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시켜 차단된 광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의 차단으로 인한 광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드부(200)에 의해 차단된 광은 렌즈부(300)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근거리 시야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렌즈부(300)는 실드부(200) 전방에 배치되여 실드부(200)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부(200)는 제 1렌즈부(310) 및 제 2렌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렌즈부(310)는 실드부(200)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켜 제 1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빔 패턴은 차량의 야간 주행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빔 패턴이 로우 빔 패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의 종류에 따라 제 1빔 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 1렌즈부(310)는 다양한 렌즈 특성을 가지도록 비구면 렌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렌즈부(3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외부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광도를 가질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을 가지는 확산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산 패턴은 제 1렌즈부(310)의 적어도 일면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확산 패턴이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패턴은 광이 확산되도록 하는 필름 형태나 증착을 통한 확산층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확산 패턴이 제 1렌즈부(3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패턴은 제 1렌즈부(31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확산 패턴이 제 1렌즈부(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제 1렌즈부(310)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확산 패턴이 제 1렌즈부(310)의 외측면에 확산 패턴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확산 패턴은 제 1렌즈부(310)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 패턴은 제 1렌즈부(310)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제 1렌즈부(3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확산 패턴의 형상은 시인성이나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전술한 요철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드부(200)의 전단이 렌즈부(300) 양측을 향하여 곡선 형상을 가지며 변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드부(200)를 통과한 광이 제 1렌즈부(310)를 통해 투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실드부(200)의 전단이 제 1렌즈부(310) 양측을 향하여 곡선 형상을 가지며 변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2렌즈부(320)는 제 1렌즈부(310)의 외측단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렌즈부(320)가 제 1렌즈부(310)의 양측 방향으로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렌즈부(320)는 제 1렌즈부(310)와 별도로 형성되어 볼팅 결합이나 후크 결합 등의 결합 구조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 2렌즈부(320)에 의해 투사되는 광은 제 1빔 패턴과 상이한 제 2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빔 패턴은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도로 표지판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시그널 빔 패턴, 원거리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 제 1빔 패턴의 소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용 빔 패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 2빔 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보강용 빔 패턴은 제 1빔 패턴의 소정 영역의 광도를 증가시키거나 제 1빔 패턴의 폭 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렌즈부(3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입사되고, 입사각, 출사각 및 굴절각 등과 같은 렌즈 특성에 따라 제 2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와 같이 제 1렌즈부(310)에 의해 투사되는 광은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되고,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실드부(20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형성되는 제 1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고, 제 2렌즈부(320)에 의해 투사되는 광은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제 2렌즈부(320)로 입사되어 제 2빔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광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제 2렌즈부(320)로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플렉터(120)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될 수도 있으며, 제 2렌즈부(320)로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별도의 리플렉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렌즈부(320)는 제 1렌즈부(310)의 외측단으로부터 렌즈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를 제 1렌즈부(310)와의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제 1돌출부(321), 제 2돌출부(322), 제 3돌출부(323), 제 4돌출부(324) 및 제 5돌출부(325)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렌즈부(320)가 제 1렌즈부(310)의 외측 형상 중 적어도 일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5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 등에 따라 제 2렌즈부(320)에 포함되는 돌출부의 개수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는 각각 제 2렌즈부(320)로 입사된 광이 출사되는 하나 이상의 출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는 도 6과 같이 각각 제 1렌즈부(310)의 광축에 수직한 면(300a)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출사면(321a, 322a, 323a, 324a, 325a)을 가질 수 있으며, 출사면(321a, 322a, 323a, 324a, 325a)의 경사각(θ1, θ2, θ3, θ4, θ5)은 광이 조사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제 1렌즈부(310)의 외측단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렌즈부(32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제 2렌즈부(320)가 제 1렌즈부(310)의 외측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도 형성 방향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의 가장 높은 부분이 제 1렌즈부(310)의 외측 형상 중 적어도 일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선 형상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돌출부(321, 312, 323, 324, 325)의 형상에 따라 점, 선 또는 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가 각각 단일의 출사면(321a, 322a, 323a, 324a, 325a)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돌출부에 포함되는 출사면의 개수나 형성 각도 등은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돌출부(321, 322, 323, 324, 325)의 출사면(321a, 322a, 323a, 324a, 325a)과 렌즈부(300)의 광축(Ax)에 수직한 면(300a) 사이의 내각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렌즈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빔 패턴이 시그널 빔 패턴인 경우, 렌즈부(30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될 돌출부일수록 출사면과 제 1렌즈부(310)의 광축에 수직한 면과 이루는 내각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렌즈부(310)가 가장 인접하게 형성된 제 1돌출부(321)의 출사면(321a)과 렌즈부(300)의 광축(Ax)에 수직한 면 사이의 내각인 θ1보다 제 2돌출부(322)의 출사면(322a)과 렌즈부(300)의 광축(Ax)에 수직한 면 사이의 내각인 θ2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5돌출부(321, 322, 323, 324, 325)의 출사면(321a, 322a, 323a, 324a, 325a)과 렌즈부(300)의 광축(Ax)에 수직한 면 사이의 내각이 θ1<θ2<θ3<θ4<θ5의 관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렌즈부(320)에 의해 시그널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렌즈부(30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돌출부일수록 차량 내측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큰 경사각이 필요하기 때문에 θ1<θ2<θ3<θ4<θ5가 되도록 제 1 내지 제 5돌출부(321, 322, 323, 324, 325)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제 1렌즈부(310)와 제 2렌즈부(320)는 연결부(33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렌즈부(310)와 제 2렌즈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구조적인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살펴보면 도 7 내지 도 9와 같다.
도 7은 제 2렌즈부(320)에 의해 시그널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실드부(20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제 1렌즈부(310)를 통해 투사된 광이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제 2렌즈부(320)에 입사되어 투사되면서 운전자의 시야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도로 표지판 등의 확인을 위한 시그널 빔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제 2렌즈부에 의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실드부(20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제 1렌즈부(310)를 통해 투사된 광이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제 2렌즈부(320)에 입사되어 투사되면서 운전자의 원거리 시야 확보하기 위한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3)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서 로우 빔 패턴(P1)과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P2)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 2렌즈부(320)에 의해 보강용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의 일 예로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실드부(200)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어 제 1렌즈부(310)를 통해 투사된 광이 로우 빔 패턴(P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 중 리플렉터(120)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제 2렌즈부(320)에 입사되어 로우 빔 패턴(P1)이 소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용 빔 패턴(P4)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빔 패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렌즈부(310)와 제 2렌즈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차량용 램프(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120: 리플렉터
200: 실드부
300: 렌즈부
310: 제 1렌즈부
320: 제 2렌즈부
321, 322, 323, 324, 325: 돌출부

Claims (9)

  1.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제 1빔 패턴을 형성하는 실드부; 및
    상기 실드부를 통과한 광을 외부로 투사시키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 1빔 패턴의 광을 투사시키는 제 1렌즈부; 및
    상기 제 1렌즈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제 2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2렌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렌즈부 및 상기 제 2렌즈부는,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렌즈부와 상기 제 2렌즈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인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빔 패턴은,
    시그널 빔 패턴, 원거리 시야용 빔 패턴 및 상기 제 1빔 패턴의 소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 빔 패턴 중 하나 이상인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렌즈부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상기 리플렉터를 벗어나 진행하는 광인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렌즈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출사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외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출사면과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면 사이의 내각이 서로 상이한 차량용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렌즈부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출사면과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면 사이의 내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40059023A 2014-05-16 2014-05-16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23A KR20150131787A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23A KR20150131787A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787A true KR20150131787A (ko) 2015-11-25

Family

ID=5484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23A KR20150131787A (ko) 2014-05-16 2014-05-16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7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399A (ko) * 2015-12-28 2017-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18069157A1 (de) * 2016-10-11 2018-04-19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scheinwerfer eines kraftfahrzeugs
EP3581847A1 (en) * 2018-06-13 2019-12-18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KR20210142989A (ko) * 2020-05-19 2021-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라이트 장치
KR20220121023A (ko) * 2021-02-24 2022-08-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399A (ko) * 2015-12-28 2017-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18069157A1 (de) * 2016-10-11 2018-04-19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scheinwerfer eines kraftfahrzeugs
EP3581847A1 (en) * 2018-06-13 2019-12-18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US10690308B2 (en) 2018-06-13 2020-06-23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KR20210142989A (ko) * 2020-05-19 2021-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라이트 장치
US11280468B2 (en) 2020-05-19 2022-03-22 Hyundai Motor Company Hidden light apparatus of grill for vehicle
KR20220121023A (ko) * 2021-02-24 2022-08-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DE102021123955B4 (de) 2021-02-24 2023-11-30 Hyundai Mobis Co., Ltd. Leuchte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derselb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80506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2405441B1 (ko) 차량용 램프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50004646U (ko)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9377A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529A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07344A (ko) 차량용 램프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1980Y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KR20200058127A (ko) 차량용 램프
KR102118140B1 (ko) 차량용 램프
KR101744624B1 (ko) 차량용 램프
KR102435180B1 (ko) 차량용 램프
KR10240984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31834B1 (ko) 차량용 램프
KR101937977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