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399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399A
KR20170077399A KR1020150187251A KR20150187251A KR20170077399A KR 20170077399 A KR20170077399 A KR 20170077399A KR 1020150187251 A KR1020150187251 A KR 1020150187251A KR 20150187251 A KR20150187251 A KR 20150187251A KR 20170077399 A KR20170077399 A KR 2017007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ts
lens
beam pattern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972B1 (ko
Inventor
정진영
손우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72B1/ko
Priority to CN201611027711.3A priority patent/CN106969311B/zh
Priority to US15/357,726 priority patent/US10174903B2/en
Publication of KR2017007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2
    • F21S48/12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F21W21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9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 전방으로 로우빔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내로 입사된 상기 광원의 빛이 굴절되며 출사되는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부는 각각 독립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며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파셋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일부는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형 파셋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으로 빔 패턴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하이빔, 턴 시그널, 포지션 램프들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DRL(daytime running light)이 추가되는 경향이다.
각각의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고, 법규에 만족하는 빔 패턴이 조사되도록 각 램프의 렌즈들이 별도로 설계되고 있다.
특히, 로우빔의 경우에는 다른 빔 패턴과 달리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 이하로 빔 패턴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광원과 렌즈 사이에 쉴드를 구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컷-오프 라인을 구현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쉴드를 사용하지 않고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 전방으로 로우빔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내로 입사된 상기 광원의 빛이 굴절되며 출사되는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부는 각각 독립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며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파셋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일부는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형 파셋이다.
상기 경사형 파셋을 통과한 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출사부의 중앙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출사부의 코너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파셋은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이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다른 일부는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이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장방형 파셋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향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에 인접하는 스팟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중심 영역과 상기 출사부의 외곽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의 폭보다 작은 폭은 갖는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에 구비되는 전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입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내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기 복수의 파셋들을 향해 전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상기 전반사부에 입사된 빛을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평행하게 반사시키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사부는 상기 렌즈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사부는 상기 렌즈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출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연결하며 상기 렌즈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사부는, 상기 렌즈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쉴드를 사용하지 않고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되는 로우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렌즈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구현되는 로우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1)와 광원(4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헤드 램프를 구성하는 램프들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렌즈(1)는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우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는 입사부(10), 출사부(30) 및 전반사부(20)를 포함한다. 입사부(10)는 렌즈(1)의 후면을 형성하고, 출사부(30)는 렌즈(1)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반사부(20)는 출사부(30)와 입사부(10)를 연결하며 렌즈(1)의 측면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부(30)는 복수의 파셋들(31. 32)로 구성된다. 각 파셋(31, 32)은 독립적인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복수의 파셋들(31, 32)은 모두 다른 크기 및 곡률을 가질 수도 있고, 복수의 파셋들(31, 32)들은 크기 또는 곡률이 유사한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파셋(31, 32)들의 크기 및 곡률은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되어 각 파셋(31, 32)들을 통과하는 빛들의 조합이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로우빔 패턴(도 6 참고)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셋들(31. 32)은 장방형 파셋(31)과 경사형 파셋(32)을 포함한다.
장방형 파셋(31)은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이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파셋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파셋(31)의 대부분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경계 라인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장방형 파셋(31) 중 출사부(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파셋들은 수평 또는 수직한 경계 라인과 호 형상의 경계 라인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출사부(30)가 원형의 외곽 라인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사부(30)의 외곽 라인의 형상에 따라 출사부(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장방형 파셋(31)은 다양한 형상의 경계 라인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경사형 파셋(32)은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파셋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 파셋(32)은 출사부(30)의 중앙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의 경사형 파셋(32)은 출사부(30)의 중앙부로터 우측 방향으로 제1 경사형 파셋(32a), 제2 경사형 파셋(32b), 제3 경사형 파셋(32c) 및 제4 경사형 파셋(32d)을 포함한다.
제1 경사형 파셋(32a)은 상, 하, 좌측이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고, 우측으로는 제2 경사형 파셋(32b)과 이웃한다.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2 경사형 파셋(32b)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가상의 수직선과 θ1의 각도를 형성하며 우측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경사형 파셋(32a)이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은 대략 사다리꼴이 된다.
제2 경사형 파셋(32b)은 상, 하로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고, 좌측으로는 제1 경사형 파셋(32a)과 이웃하고, 우측으로는 제3 경사형 파셋(32c)과 이웃한다.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3 경사형 파셋(32c)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가상의 수직선과 θ2의 각도를 형성하며 우측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경사형 파셋(32b)이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은 대략 사다리꼴이 된다. θ1과 θ2의 각도가 대략 동일한 경우에는 제2 경사형 파셋(32b)이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은 대략 평행사변형이 된다.
제3 경사형 파셋(32c)은 상, 하로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고, 좌측으로는 제2 경사형 파셋(32b)과 이웃하고, 우측으로는 제4 경사형 파셋(32d)과 이웃한다.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4 경사형 파셋(32d)과 이웃하는 경계 라인은 가상의 수직선과 θ3의 각도를 형성하며 우측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3 경사형 파셋(32c)이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은 대략 사다리꼴이 된다. θ2과 θ3의 각도가 대략 동일한 경우에는 제2 경사형 파셋(32b)이 이웃하는 파셋들과 이루는 경계 라인은 대략 평행사변형이 된다.
제4 경사형 파셋(32d)은 상, 하로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고, 좌측으로는 제3 경사형 파셋(32c)과 이웃하고, 우측으로는 출사부(30)의 외곽 라인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방형 파셋(31)과 이웃하는 상하 경계 라인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제3 경사형 파셋(32c)과 이웃하는 좌측 경계 라인은 가상의 수직선과 θ3의 각도를 형성하며 우측 하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지만, 우측의 경계 라인은 호 형상이 된다. 다만, 출사부(30)과 원형의 외곽 라인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우측의 경계 라인의 형상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는 출사부(30)의 중앙부의 우측에 4개의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이 일렬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예 따라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은 출사부(30)의 중앙부의 좌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는 출사부(30)에 4개의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이 일렬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의 개수 및 배열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장방형 파셋(31)의 대부분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경계 라인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장방형 파셋(31)을 통해 출사되는 빛이 생성하는 빔 패턴 역시 대부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경사형 파셋(32)은 경계 라인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므로, 경사형 파셋(32)을 통해 출사되는 빛이 생성하는 빔 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빔 패턴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1)는 경사형 파셋(32)을 통해 출사되는 빛을 이용해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 파셋(32)을 통해 출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L4)은 수평선에 대해 비스듬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 경사형 파셋(32)이 형성하는 빔 패턴(L4)의 일부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중앙으로부터 우측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형 파셋(32)의 파셋면을 설계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빔 패턴은 우측 통행이 강제되는 국가 또는 지역에서 운행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에서 출사되는 빔 패턴이며, 좌측 통행이 강제되는 국가 또는 지역에서 운행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에서 출사되는 빔 패턴에서는 경사형 파셋(32)을 통해 출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L4)의 일부가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형 파셋(32)은 출사부(30)의 중앙부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의 파셋면은 독립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통행 방향에 대해 경사형 파셋(32a, 32b, 32c, 32d)의 위치가 의존적인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부(10)는 렌즈(1)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부(10)는 렌즈(1)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10)는 출사부(30)와 마주하는 제1 입사면(11)과 제1 입사면(11)으로부터 렌즈(1)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입사면(12)을 포함한다.
제1 입사면(11)은 렌즈(1)의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입사면(12)은 제1 입사면(11)을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곡면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부(20)는 출사부(30)의 외곽과 입사부(10)의 외곽을 연결하며 렌즈(1)의 측면부를 형성한다. 제2 입사면(12)의 후단 직경은 출사부(30)의 최외곽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부(30)와 입사부(10)를 연결하는 전반사부(20)는 출사부(30)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사부(20)는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되어 전반사부(20)로 입사되는 빛을 출사부(30)의 복수의 파셋(31, 32)들을 향해 전반사시킨다.
또한, 전반사부(20)는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되어 전반사부(20)로 입사되는 빛을 렌즈(1)의 광축(A)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반사시킬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전반사부(20)는 광원(41)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1)은 렌즈(1)의 입사부(10)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도 5에는 광원(41)이 렌즈(1)의 외부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41)이 입사부(1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원(41)은 렌즈(1)의 광축(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광원(41)은 렌즈(1)의 초점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일부(L2, L3)는 제1 입사면(11)으로 입사되어 전반사부(20)를 거치지 않고 출사부(30)의 파셋(31, 32)들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일부(L1, L4)는 제2 입사면(12)으로 입사되어 전반사부(20)에 의해 전반사되어 출사부(30)의 파셋(31, 32)들을 통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12)는 제1 입사면(11)을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곡면체를 형성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12)으로 입사되는 빛(L1, L4)은 렌즈(1)의 외측 방향으로 더욱 굴절되며 렌즈(1) 내로 입사된다. 따라서, 광원(41)에서 출사된 빛(L1, L4)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반사부(20)에 입사될 수 있다.
출사부(30)의 파셋(31, 32)들은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각 파셋(31, 32)들을 통과하여 차량 전방에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셋(31, 32)들 중 적어도 일부의 파셋(31a, 31b)는 빛(L2, L3)이 로우빔 패턴 형성을 위해 하방으로 출사되도록 렌즈(1)의 광축(A)에 대해 상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는 별도의 쉴드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곡률 및 크기를 갖는 파셋(31, 32)들을 이용해 로우빔 패턴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렌즈(1)는 출사부(30)에 경사형 파셋(32)을 형성하여 별도의 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부(30)는 3가지 영역(Z1, Z2, Z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Z1)은 출사부(30)의 중심 영역이고, 제3 영역(Z3)은 출사부(30)의 외곽 영역이고, 제2 영역(Z2)은 출사부(30)의 중심 영역과 외곽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출사부(30)에서 제1 영역(Z1)과 제3 영역(Z3)을 제외한 영역이다. 각 영역(Z1, Z2, Z3)에서 경사형 파셋(32)은 제외될 수 있다.
제1 영역(Z1)에 위치하는 파셋들은 제1 영역(Z1)에 위치하는 파셋들에서 출사되는 빛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로우빔 패턴 중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은 로우빔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빔 패턴일 수 있으며, 로우빔의 근거리 영역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에 인접하는 영역까지 분포하는 빔 패턴일 수 있다.
제1 영역(Z1)은 3가지 영역(Z1, Z2, Z3) 중 광원(41)과 가장 인접한 영역이므로, 제1 영역(Z1)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는 다른 영역(Z2, Z3)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에 비해 이미지가 크고 광도가 높다. 따라서, 제1 영역(Z1)의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 중 가장 넓은 영역에 분포하는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제2 영역(Z2)에 위치하는 파셋들은 제2 영역(Z2)에 위치하는 파셋들에서 출사되는 빛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로우빔 패턴 중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L2)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L2)은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보다 폭이 작은 빔 패턴일 수 있으며, 로우빔의 근거리보다는 원거리 및 중간 거리에 형성되는 빔 패턴일 수 있다.
제3 영역(Z3)에 위치하는 파셋들은 제3 영역(Z3)에 위치하는 파셋들에서 출사되는 빛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로우빔 패턴 중 스팟 빔 패턴(L3)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팟 빔 패턴(L3)은 로우빔의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빔 패턴일 수 잇으며, 로우빔의 원거리에 집중 형성되는 빔 패턴일 수 있다.
제3 영역(Z3)은 3가지 영역(Z1, Z2, Z3) 중 광원(41)과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이므로, 제3 영역(Z3)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는 다른 영역(Z1, Z2)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되는 광 이미지에 비해 이미지가 작고 광도가 낮다. 따라서, 제3 영역(Z3)의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 중 가장 좁은 영역에 분포하는 스팟 빔 패턴(L3)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램프는 별도의 쉴드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곡률 및 크기를 갖는 복수의 파셋(31, 32)들을 이용해 로우빔의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L2) 및 스팟 빔 패턴(L3)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로우빔 패턴에서 중앙부에 경사 라인이 형성된 컷-오프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1)는 출사부(30)가 원형의 형상을 가진 반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2)는 출사부(130)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2) 역시 출사부(130)는 3가지 영역(Z1, Z2, Z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Z1)은 출사부(130)의 중심 영역이고, 제3 영역(Z3)은 출사부(130)의 외곽 영역이고, 제2 영역(Z2)은 출사부(130)의 중심 영역과 외곽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출사부(130)에서 제1 영역(Z1)과 제3 영역(Z3)을 제외한 영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Z1)의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의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L1)으로 사용되고, 제2 영역(Z2)의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의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L2)으로 사용되고, 제3 영역(Z3)에 위치하는 파셋들에서 출사된 빔 패턴은 로우빔 패턴의 스팟 빔 패턴(L3)으로 사용된다.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하는 빔 패턴(L4)은 스팟 빔 패턴(L3)에 인접하거나 스팟 빔 패턴(L3)에 일부가 중첩된다.
따라서, 경사 라인을 형성하는 빔 패턴(L4)을 형성하는 경사형 파셋(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 빔 패턴(L3)을 형성하는 출사부(130)의 제3 영역(Z3)에 위치하는 것이 경사형 파셋(32)의 파셋면을 설계함에 있어 유리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 파셋(32)은 제3 영역(Z3) 중 출사부(130)의 코너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형 파셋(32)과 인접하는 장방형 파셋(31)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렌즈(2)의 설계가 보다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렌즈 10: 입사부
11: 제1 입사면 12: 제2 입사면
20: 전반사부 30: 출사부
31: 장방형 파셋 32: 경사형 파셋
32a: 제1 경사형 파셋 32b: 제2 경사형 파셋
32c: 제3 경사형 파셋 32d: 제4 경사형 파셋
41: 광원 A: 광축
Z1: 제1 영역 Z2: 제2 영역
Z3: 제3 영역

Claims (15)

  1.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차량 전방으로 로우빔을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입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내로 입사된 상기 광원의 빛이 굴절되며 출사되는 출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사부는 각각 독립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며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파셋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일부는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형 파셋인,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셋을 통과한 빛은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 중 경사 라인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출사부의 중앙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출사부의 코너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셋은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이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인,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다른 일부는 이웃하는 파셋과 이루는 경계 라인이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장방형 파셋인,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해 하향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로우빔의 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에 인접하는 스팟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파셋은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셋들 중 상기 출사부의 중심 영역과 상기 출사부의 외곽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파셋들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와이드 스프레드 빔 패턴의 폭보다 작은 폭은 갖는 미드 스프레드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 사이에 구비되는 전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입사부를 통해 상기 렌즈 내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기 복수의 파셋들을 향해 전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상기 전반사부에 입사된 빛을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해 평행하게 반사시키는 곡률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는 상기 렌즈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사부는 상기 렌즈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반사부는 상기 출사부와 상기 입사부를 연결하며 상기 렌즈의 측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는,
    상기 렌즈의 내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87251A 2015-11-20 2015-12-28 차량용 램프 KR10193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51A KR101937972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CN201611027711.3A CN106969311B (zh) 2015-11-20 2016-11-18 车辆用灯具
US15/357,726 US10174903B2 (en) 2015-11-20 2016-11-21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51A KR101937972B1 (ko) 2015-12-28 2015-12-2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399A true KR20170077399A (ko) 2017-07-06
KR101937972B1 KR101937972B1 (ko) 2019-04-11

Family

ID=5935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51A KR101937972B1 (ko) 2015-11-20 2015-12-2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9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325A1 (ja) * 2011-04-19 2012-10-26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Led照明装置及びled照明装置用レンズ
JP2013246939A (ja) * 2012-05-24 2013-12-0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4099280A (ja) * 2012-11-13 2014-05-2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KR20150131787A (ko) * 2014-05-16 2015-11-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325A1 (ja) * 2011-04-19 2012-10-26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Led照明装置及びled照明装置用レンズ
JP2013246939A (ja) * 2012-05-24 2013-12-0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14099280A (ja) * 2012-11-13 2014-05-2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KR20150131787A (ko) * 2014-05-16 2015-11-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972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11B (zh) 车辆用灯具
EP1794490B1 (en) Led collimator element with a semiparabolic reflector
US9719645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having a complex headlight lens
US7178960B2 (en) Vehicular illumination lamp
JP6232225B2 (ja) 車両用灯具
JP2009059700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投光モジュール
WO2021106956A1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686240B2 (ja) 車両用灯具
JP5692520B2 (ja) 灯具ユニット
JP5152563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987286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101937972B1 (ko) 차량용 램프
KR20100095811A (ko) 헤드램프용 렌즈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JP7268339B2 (ja) 車両用導光体、光源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KR102091488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6818B1 (ko) 차량용 램프
KR102118139B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2B1 (ko) 차량용 램프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JP2021170505A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220043782A (ko) 차량용 램프
KR20200034476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