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370A -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370A
KR20180107370A KR1020170033840A KR20170033840A KR20180107370A KR 20180107370 A KR20180107370 A KR 20180107370A KR 1020170033840 A KR1020170033840 A KR 1020170033840A KR 20170033840 A KR20170033840 A KR 20170033840A KR 20180107370 A KR20180107370 A KR 2018010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tructure
shield
reflector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370A/ko
Publication of KR2018010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조등에 대한 관련법규를 만족함과 동시에 빛의 손실을 방지하여 광학 효율을 증대시키고, 점등 변환 시 확실한 전환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전조등에 구비되어 리플렉터로부터의 빛을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양단부가 피벗 회전축에 연결되는 쉴드 루프; 및 상기 쉴드 루프의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 각도에 따른 복수 반사면을 갖는 멀티 반사체를 포함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가 제공되며, LED 광원; 상기 LED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을 다중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 및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에서 반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SHIELD STRUCTURE HAVING MULTI SIGNAL PORTION FOR VEHICLE HEAD LAMP AND VEHICLE HEAD LAM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조등에 대한 관련법규를 만족함과 동시에 빛의 손실을 방지하여 광학 효율을 증대시키고, 점등 변환 시 확실한 전환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의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에 사용되는 램프의 종류로는 할로겐램프, HID램프, LED램프 등이 있으며, 전조등의 요건은 국가마다 성능과 배치 기준이 다르지만, 빛이 하향으로 비추는 하향등(low beam: 가시거리 40m) 기능과, 빛이 직진방향으로 비추는 상향등(high beam: 가시거리 100m)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할로겐램프나 HID램프의 전조등은 빛의 반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램프로부터 전방(前方)으로 깔대기 형상의 반사판을 장착됨에 따라 전조등 장착시 필요 이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전력소비가 많으며, 잦은 점멸로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에는 발광 효율과 전력 소비 특성이 우수한 LED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광원에 이용한 차량용 전조등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LED광원의 차량용 전조등은 광축이 상향이 되도록 배치된 LED(10)로부터의 광을, 이 LED의 상부, 측부, 및 후부를 덮는 리플렉터(20)로 반사시킨 후, 비구면 렌즈(30)와 LED(10) 사이에 배치되는 쉴드(40)에 의해 리플렉터(20)로부터의 반사광의 일부를 차폐하여 배광 패턴의 차단 라인을 형성한 후, 이 반사광을 비구면 렌즈(30)를 통해 전방으로 출사시킨다. 이때, 쉴드(40)는 그의 시그널부에 의해 시그널 법규를 만족시키면서 리플렉터 상단에서 반사된 빛을 비구면렌즈로 보내게 된다.
도 2는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종래 차량용 전조등에서 로우빔에서 하이빔으로의 방향 전환(쉴드 닫힘에서 쉴드 개방)에서 빛의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쉴드부에서 단순히 시그널 법규만을 만족하는데 그쳐 로우빔에서 하이빔으로의 전환 시 빛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량 주행 시 로우빔(LOW BEAM) 점등 후 하이빔(HIGH BEAM)으로 전환했을 때에도 상방향으로의 전환감을 느끼는데 부족한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상방향으로의 전환감 부족은 소비자의 하이빔 점등 시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경사로 주행 시 시야 확보 장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614호(2012.11.20.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2273호(2010.12.17.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조등에 대한 관련법규를 만족함과 동시에 빛의 손실을 방지하여 광학 효율을 증대시키고, 점등 변환 시 확실한 전환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차량용 전조등에 구비되어 리플렉터로부터의 빛을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양단부가 피벗 회전축에 연결되는 쉴드 루프; 및 상기 쉴드 루프의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 각도에 따른 복수 반사면을 갖는 멀티 반사체를 포함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멀티 반사체는 상기 쉴드 구조체의 제1 피벗 위치에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쉴드 구조체의 제2 피벗 위치에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 위치는 차량 전조등의 로우빔 상태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피벗 위치는 차량 전조등의 하이빔 상태에서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연장 선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LED 광원; 상기 LED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을 다중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 및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에서 반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로우빔 및 하이빔에 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피벗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피벗 회전축에 연결되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쉴드 루프, 및 상기 쉴드 루프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에 따른 상기 쉴드 루프의 닫힘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 각각의 반사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멀티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쉴드 루프의 닫힘 상태는 전조등의 로우빔 상태이고, 상기 쉴드 루프의 개방상태는 전조등의 하이빔 상태이며, 상기 멀티 반사체는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우빔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에 의해 일부 차단된 광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 및 하이빔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에 의해 일부 차단된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연장 선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전조등에 대한 관련법규를 만족하면서도 기존 로우빔에서 하이빔으로의 전환 시 손실되던 빛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증대시켜, 어두운 지역 특히 경사로 지역에서의 장애물 식별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빔으로의 점등 전환 시 확실한 전환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확실히 향상시키고, 차량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종래 차량용 전조등에서 로우빔에서 하이빔으로의 방향 전환(쉴드 닫힘에서 쉴드 개방)에서 빛의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쉴드 구조체가 로우빔인 상태(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쉴드 구조체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쉴드 구조체가 하이빔인 상태(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쉴드 구조체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서 로우빔 상태인 쉴드 닫힘 상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서 하이빔으로 전환된 상태인 쉴드 개방 상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과 종래 차량용 전조등에서 하이빔에서의 빛 형성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종래 기술이고, (b)는 본 발명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쉴드 구조체가 로우빔인 상태(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쉴드 구조체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쉴드 구조체가 하이빔인 상태(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쉴드 구조체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100); 상기 LED 광원(100))에 의해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00);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리플렉터(200)로부터의 반사광을 다중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 및 차량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에서 반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출사시키는 비구면 렌즈(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은 일명 1-LED Bi-function 모듈을 갖는 구성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발명의 명확화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LED 광원(100) 및 비구면 렌즈(400)는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고,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리플렉터(200) 및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리플렉터(20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가 구비되는 위치의 직상방에서 바람직하게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의 폭을 갖고 평평하게 형성되는 편평 반사부(210)를 갖는 리플렉터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편평 반사부(210)는 리플렉터 광 경로를 고려하여 하방으로 소정정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편평 반사부(210)를 갖는 리플렉터(20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의 회동에 따른 멀티 반사면에서의 각 반사에 대한 입사광을 신뢰성있게 반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는 로우빔 및 하이빔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액추에이터 등으로 피벗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300)는 피벗 회전축(301)에 연결되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쉴드 루프(shield roof)(310), 및 상기 쉴드 루프(310)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에 따른 쉴드 루프(310)의 닫힘 상태(즉, 로우빔 상태 또는 쉴드 구조체의 제1 피벗 위치) 및 쉴드 루프(310)의 개방 상태(즉, 하이빔 상태 또는 쉴드 구조체의 제2 피벗 위치)에서 각각의 반사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멀티 반사체(320)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반사체(320)는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로우빔 상태인 쉴드 루프(31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310)에 의해 일부 차단된 광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제1 시그널부)(321), 및 하이빔 상태인 쉴드 루프(310)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310)에 의해 일부 차단된 광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제2 시그널부)(322)을 포함한다.
상기 멀티 반사체(320)의 제2 반사면(322)은 상기 제1 반사면(321)의 연장 선상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서 로우빔 상태인 쉴드 닫힘 상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에서 하이빔으로 전환된 상태인 쉴드 개방 상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과 종래 차량용 전조등에서 하이빔에서의 빛 형성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종래 기술이고, (b)는 본 발명이다.
먼저, 로우빔 상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광원(100)으로부터의 빛은 리플렉터(200)에 반사되고, 리플렉터(200)에서 반사된 빛은 닫힌 상태(통상의 전조 상태)의 쉴드 구조체(300)를 구성하는 쉴드 루프(310)에 의해 일부 제한적으로 차단된 광이 멀티 반사체(320)의 제1 반사면(제1 시그널부)(321)에 의해 반사되어 비구면 렌즈(400) 측으로 조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빔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쉴드 구조체(300)는 피벗 회전 구동하게 되고, 이때 쉴드 구조체(300)와 함께 멀티 반사체(320)도 회전 구동하게 되어 멀티 반사체(320)의 제2 반사면(제2 시그널부)(322)이 리플렉터(200)에서 반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에 따라 하이빔 상태에서 LED광원(100)으로부터의 빛은 쉴드 구조체(300)의 쉴드 루프(310)에 의해 일부 제한적으로 차단되지만 제2 반사면(322)에 의해 반사되어 비구면 렌즈(400) 측으로 조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멀티 반사체(320)에 의하여 하이빔 상태에서도 1차적으로 전조등 시그널 법규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빛의 손실 없이 멀티 반사체(320)의 제2 반사면(322)을 통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도 9의 (a)와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도 9의 (b)에서와 같이 빛 형성 영역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 효율 증대뿐만 아니라, 확장된 영역을 통한 가시적 효과로 소비자(운전자)로 하여금 하이빔으로의 전환감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전조등에 대한 관련법규를 만족하면서도 기존 로우빔에서 하이빔으로의 전환 시 손실되던 빛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효율을 증대시켜, 어두운 지역 특히 경사로 지역에서의 장애물 식별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빔으로의 점등 전환 시 확실한 전환감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확실히 향상시키고, 차량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LED 광원 200: 리플렉터
300: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 310: 쉴드 루프
320: 멀티 반사체 321: 제1 반사면(제1 시그널부)
322: 제2 반사면(제2 시그널부) 400: 비구면 렌즈

Claims (9)

  1. 차량용 전조등에 구비되어 리플렉터로부터의 빛을 렌즈 측으로 반사시키는 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양단부가 피벗 회전축에 연결되는 쉴드 루프; 및
    상기 쉴드 루프의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 각도에 따른 복수 반사면을 갖는 멀티 반사체를 포함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반사체는
    상기 쉴드 구조체의 제1 피벗 위치에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쉴드 구조체의 제2 피벗 위치에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 위치는 차량 전조등의 로우빔 상태에서의 위치이고,
    상기 제2 피벗 위치는 차량 전조등의 하이빔 상태에서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연장 선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6. LED 광원;
    상기 LED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을 다중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 및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에서 반사되는 광을 출사시키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로우빔 및 하이빔에 대한 신호에 근거하여 피벗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멀티시그널 쉴드 구조체는
    피벗 회전축에 연결되는 양단부를 구비하는 쉴드 루프, 및 상기 쉴드 루프 내측에 구비되고, 피벗 회전에 따른 상기 쉴드 루프의 닫힘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 각각의 반사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멀티 반사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루프의 닫힘 상태는 전조등의 로우빔 상태이고, 상기 쉴드 루프의 개방상태는 전조등의 하이빔 상태이며,
    상기 멀티 반사체는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우빔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에 의해 일부 차단된 광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 및 하이빔 상태에서 상기 쉴드 루프에 의해 일부 차단된 이외의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조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제1 반사면의 연장 선상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170033840A 2017-03-17 2017-03-17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KR20180107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40A KR20180107370A (ko) 2017-03-17 2017-03-17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40A KR20180107370A (ko) 2017-03-17 2017-03-17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70A true KR20180107370A (ko) 2018-10-02

Family

ID=6386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840A KR20180107370A (ko) 2017-03-17 2017-03-17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6205A (zh) * 2018-11-16 2020-05-26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车灯装置及高速照明车灯模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6205A (zh) * 2018-11-16 2020-05-26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车灯装置及高速照明车灯模块
CN111196205B (zh) * 2018-11-16 2021-08-10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车灯装置及高速照明车灯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6696B2 (en) Vehicle light with movable reflector portion and shutter por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illuminated area of light incident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hicle light during driving
JP539850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552381B2 (ja) 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US8511873B2 (en) Optical unit
JP200709922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101650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KR20120130543A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7155124B2 (ja) 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EP2100771B1 (en) Vehicle headl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230128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US6644828B2 (en) Vehicular headlamp
US7021791B1 (en) Vehicular headlamp apparatus
JP531787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09012553A (ja) 車両用灯具
JP5358118B2 (ja) 車両用前照灯
US7144143B2 (en) Vehicle headlight
KR20180107370A (ko) 멀티 시그널부를 갖는 차량 전조등용 쉴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JP5636485B2 (ja) 灯具ユニット
JP53235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1238378A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9211854A (ja) 車両用前照灯
KR100679626B1 (ko) 컷오프 경계 영역의 조명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프로젝션 램프
JP201009275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