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91B1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91B1
KR101935191B1 KR1020177025918A KR20177025918A KR101935191B1 KR 101935191 B1 KR101935191 B1 KR 101935191B1 KR 1020177025918 A KR1020177025918 A KR 1020177025918A KR 20177025918 A KR20177025918 A KR 20177025918A KR 101935191 B1 KR101935191 B1 KR 10193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ity
solenoid valve
solenoid
determination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800A (ko
Inventor
하지메 다사카
요오지 이토오
마사히로 하마노
나오노리 이이즈카
노리히라 아마노
창무 허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60W50/045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31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shifting exclusively as a function of speed
    • F16H61/6623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shifting exclusively as a function of speed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sensing 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2Actuator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16H2059/704Monitoring gear ratio in CV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16H2059/706Monitoring gear ratio in stepped transmissions, e.g. by calculating the ratio from input and outpu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controller
    • F16H2061/1268Electric parts of the controller, e.g. a defect solenoid, wiring or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8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n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9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power supply, e.g. the electric 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모니터하는 모니터부(121)와, 모니터 전류값이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에의 지시 전류값과 상이한 것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의 전기 이상 발생을 검지하는 전기 이상 검지부(122)와, 전기 이상의 검지 후, 선택한 변속단과 변속 기구(30)의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의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하는 제1 이상 판정부(125A)와, 전기 이상의 검지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하였을 때의 모니터 전류값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의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하는 제2 이상 판정부(125B)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서는, 시프트 밸브에는 통상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고, 솔레노이드를 조작하여 시프트 밸브를 전환 작동시킴으로써 마찰 결합 요소를 결합 또는 해방하여 변속단을 전환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 시프트 밸브에 무언가의 페일이 발생하면 선택 변속단이 달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페일의 발생을 검지하면, 페일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제어(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하게 된다. 단, 적절한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페일의 원인을 밝혀낼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선택 변속단과 검지된 실제 기어비로부터 기어비 어긋남을 검지하고, 또한 기어비 어긋남의 원인이라고 추정되는 페일된 시프트 밸브가 추정된 경우에, 추정된 시프트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소정 시간만큼 강제적으로 오프하여, 그 원인이 솔레노이드의 페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솔레노이드의 페일이 확인되면, 그것에 따른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769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기어비 어긋남을 검지하면, 그 원인이 되는 시프트 밸브의 페일의 원인이 솔레노이드의 페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어비 어긋남을 검지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예를 들어 차량의 정지 시 등 기어비 어긋남을 검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페일 자체를 검지할 수 없다.
또한, 시프트 밸브의 페일을 검지한 경우에, 그 원인이 솔레노이드의 페일인지 여부까지는 확인되지만, 솔레노이드의 어떠한 종류의 페일인지까지는 확인하고 있지 않다. 솔레노이드의 페일에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에의 전력 공급선이, 지락(지면에의 단락)되어 있거나, 또는 천락(전원에의 단락)되어 있거나, 또는 단선되어 있다고 하는 페일이 있다. 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면, 적절한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예를 들어 기어비 어긋남을 검지할 수 없는 상황에 있어서도 시프트 밸브의 솔레노이드의 페일을 검지할 수 있고, 게다가 솔레노이드의 페일의 종류까지 특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는, 선택한 변속단에 따라서 결합되는 마찰 결합 요소를 갖는 변속 기구와, 상기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모니터하는 모니터 수단과, 상기 모니터 수단에 의한 모니터 전류값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의 지시 전류값과 상이하다는 점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검지 가능한 전기 이상 검지 수단과,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선택한 변속단과 상기 변속 기구의 상태로부터(예를 들어, 기어비 어긋남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제1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하였을 때의 상기 모니터 전류값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제2 이상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하면,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2)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에 요하는 소정 시간(확인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의 판정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변속 기구에 지시한 변속단에 의한 기어비와 실제 기어비가 상이한 기어비 어긋남의 발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복수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주행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정차 중에 상기 변속 기구가 중립으로 되면,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주행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정차 중에 상기 변속 기구가 인터로크되면,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전기 이상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모니터 전류값이 소정 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지락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모니터 전류값이 소정 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천락 이상 및 상기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하는 지락 이상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지락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천락 이상 및 상기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되면,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선택한 변속단에 따라서 결합되는 마찰 결합 요소를 갖는 변속 기구와, 상기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상기한 페일 판정 장치와, 상기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제1 이상 판정 수단 및 제2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한 이상 판정을 병렬하여 행한다.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선택한 변속단과 변속 기구의 상태로부터(예를 들어, 기어비 어긋남이 발생한 것으로부터) 판정을 행하기 때문에, 선택한 변속단과 변속 기구의 상태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기어비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면) 판정할 수 없지만, 전기적으로 이상을 판정하는 제2 이상 판정 수단은 변속 기구의 상태(예를 들어, 기어비 어긋남의 유무)에 관계없이 판정을 행한다. 이로 인해, 판정의 기회가 증대된다.
또한, 제1 이상 판정 수단의 판정 완료는, 제2 이상 판정 수단의 판정 완료보다도 빠른 경우가 있으므로, 어느 빠른 쪽의 페일 판정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페일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를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이상 판정 수단을 병용함으로써, 서로의 이상 판정 수단의 장점에 의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 및 그 페일 판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구동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판정 장치의 제2 이상 판정 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a)는 정상 시를 나타내고, (b)는 단선 시를 나타내고, (c)는 천락 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논리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며, (a) 내지 (g)는 각각 솔레노이드의 상태, 각종 플래그, 판정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작에 의해 결합, 해방되는 마찰 결합 요소를 갖는 자동 변속기로서,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단순히, CVT라고도 함)의 출력측에 장비된 유단 부변속 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회전 속도에 관해서는 회전수(즉, 단위 시간당 회전수)라고 표현한다.
〔1. 차량의 구동계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 및 그 페일 판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구동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1)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1)의 출력 회전은,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2), 기어 열(구동 카운터 기어, 종동 카운터 기어)(3), 무단 변속기(이하, 단순히 변속기라고도 함)(4), 종감속 장치(5), 차동 기구(6)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륜에 전달된다. 종감속 장치(5)에는 주차 시에 변속기(4)의 출력축을 기계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파킹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차량에는, 엔진(1)의 동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오일 펌프(10)와, 오일 펌프(10)로부터의 유압을 조정하여 변속기(4)의 각 부위에 공급하는 컨트롤 밸브 유닛(C/V, 유압 제어 회로)(11)과, 컨트롤 밸브 유닛(11)을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 컨트롤 유닛(ATCU)(12)이 설치되어 있다.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변속기(4)는,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단순히, CVT라고도 함)(20)와, 부변속 기구(30)가, 엔진(1)으로부터 구동륜(도시 생략)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에 있어서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CVT(20)는, 프라이머리 풀리(21)와, 세컨더리 풀리(22)와, 이들 풀리(21, 22) 사이에 감아 걸치는 V 벨트(23)를 구비한다.
풀리(21, 22)는, 각각 고정 시브와, 이 고정 시브에 대해 시브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되고 고정 시브와의 사이에 V 홈을 형성하는 가동 시브와, 이 가동 시브의 배면에 설치되어 가동 시브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유압 실린더(21a, 22a)를 구비한다.
유압 실린더(21a, 22a)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정하면, V 홈의 폭이 변화되어 V 벨트(23)와 각 풀리(21, 22)의 접촉 반경이 변화되어, CVT(20)의 변속비(Ratio)가 무단계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 밸브 유닛(11)에는, 프라이머리 풀리(21)의 유압 실린더(21a) 및 세컨더리 풀리(22)의 유압 실린더(22a)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 프라이머리 밸브(21V) 및 세컨더리 밸브(22V)가 구비된다.
프라이머리 밸브(21V) 및 세컨더리 밸브(22V)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프라이머리 밸브(21V)는 프라이머리 솔레노이드(Pri SOL)(21S)에 의해 구동되고, 세컨더리 밸브(22V)는 세컨더리 솔레노이드(Sec SOL)(22S)에 의해 구동된다.
부변속 기구(30)는, 전진 2단·후진 1단의 변속 기구이며, 2개의 유성 기어의 캐리어를 연결한 라비뇨형 유성 기어 기구(31)와, 라비뇨형 유성 기어 기구(31)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 요소에 접속되고 그것들의 연계 상태를 변경하는 복수의 마찰 체결 요소〔로우 브레이크(L/B)(32), 하이 클러치(H/C)(33), 리버스 브레이크(R/B)(34)〕를 구비한다.
부변속 기구(30)에서는, 이들 로우 브레이크(L/B)(32), 하이 클러치(H/C)(33), 리버스 브레이크(R/B)(34)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결합(○표) 및 해방(×표)의 조합으로, 전진 제1속(로우), 제2속(하이) 및 후퇴(리버스)의 각 변속단, 그리고 중립(뉴트럴)을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9343155-pct00001
즉, 로우 브레이크(L/B)(32), 하이 클러치(H/C)(33), 리버스 브레이크(R/B)(34)를 모두 해방하면, 부변속 기구(30)는 동력 전달을 행하지 않는 중립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로우 브레이크(L/B)(32)를 결합하면, 부변속 기구(30)는 전진 제1속 선택(감속) 상태로 되고, 하이 클러치(H/C)(33)를 결합하면, 부변속 기구(30)는 전진 제2속 선택(직결) 상태로 되고, 리버스 브레이크(R/B)(34)를 결합하면, 부변속 기구(30)는 후퇴 선택(역전) 상태로 된다.
컨트롤 밸브 유닛(11)에는, 로우 브레이크(32)에 결합용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셀렉트 밸브로서,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가 구비되고, 하이 클러치(33) 및 리버스 브레이크(34)에 결합용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셀렉트 밸브로서,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밸브(33V)가 구비된다.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 및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밸브(33V)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는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L/B SOL)(32S)에 의해 구동되고,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밸브(33V)는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H/C & R/B SOL)(33S)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 유닛(11)에는, 토크 컨버터(2)의 로크업 클러치(2LC)에 결합용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로크업 밸브(2V)가 구비되고, 이 로크업 밸브(2V)도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로크업 솔레노이드(L/U SOL)(2S)에 의해 구동된다.
ATCU(12)는, 도시하지 않지만, CPU와, RAM·ROM으로 이루어지는 기억 장치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특히, 컨트롤 밸브 유닛(11)에 관한 출력 신호로서, 프라이머리 풀리(21)의 회전수(프라이머리 회전수(Npri))를 검출하는 프라이머리 회전수 센서(41), 세컨더리 풀리(22)의 회전수(세컨더리 회전수(Nsec))를 검출하는 세컨더리 회전수 센서(42), 차동 기구(6)에 입력되고 구동륜에 출력되는 회전수〔출력 회전수, 차량의 주행 속도(차속(Vsp))에 대응함〕를 검출하는 출력 회전 센서(차속 센서)(43)의 각 속도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셀렉트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47)의 출력 신호, 유온 센서(48), 라인압 센서(51), 프라이머리압 센서(52), 세컨더리압 센서(53), 하이 클러치압 센서(54), 로우 브레이크압 센서(55), 리버스 브레이크압 센서(56)의 각 유압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나, 엔진 컨트롤 유닛(ECU)(9)으로부터의 엔진 정보 등이 입력된다.
기억 장치에는, 변속기(4)의 변속 제어 프로그램, 및 이 변속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변속 맵(도시 생략)이 저장되어 있다. CPU는,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변속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대해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하여 변속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속 제어 신호를,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트롤 밸브 유닛(11)에 출력한다. CPU가 연산 처리에서 사용하는 각종 값, 그 연산 결과는 기억 장치에 적절하게 저장된다.
컨트롤 밸브 유닛(11)은 복수의 유로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1S, 22S, 32S, 33S, 2S) 등의 복수의 유압 제어 밸브로 구성된다. 이 컨트롤 밸브 유닛(11)은, ATCU(12)로부터의 변속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압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의 공급 경로를 전환함과 함께 오일 펌프(10)에서 발생한 유압으로부터 필요한 유압을 조정하여, 이것을 변속기(4)의 각 부위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CVT(20)의 변속비(Ratio), 부변속 기구(30)의 변속단이 변경되어, 변속기(4)의 변속이 행해진다.
부변속 기구(30)에 착안하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는, ATCU(12)가 제1속 선택 지령을 발하고 있을 때, 라인압(PL)을 로우 브레이크압으로 하여 로우 브레이크(32)에 유압을 공급하고, 로우 브레이크(32)를 결합함으로써 제1속 선택 지령을 실현한다.
또한,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는, ATCU(12)가 제2속 선택 지령 또는 후퇴 선택 지령을 발하고 있을 때, 라인압(PL)을, 셀렉트 레버(44)의 조작에 의해 매뉴얼 샤프트(45)를 통해 전환되는 매뉴얼 밸브(46)를 통해 스위치 밸브(35)에 공급한다.
제2속 선택 지령 시에는, 매뉴얼 밸브(46)가 전진 주행 레인지에 위치하여 스위치 밸브(35)를 하이 클러치에의 공급으로 전환하고,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작동에 의한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밸브(33V)로부터 하이 클러치압을 하이 클러치(33)를 향해 공급하여, 하이 클러치(33)를 결합함으로써 제2속 선택 지령을 실현한다.
후퇴 선택 지령 시에는, 매뉴얼 밸브(46)가 후퇴 주행 레인지에 위치하여 스위치 밸브(35)를 리버스 브레이크로의 공급으로 전환하고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작동에 의한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밸브(33V)로부터 리버스 브레이크압을 리버스 브레이크(34)를 향해 공급하여, 리버스 브레이크(34)를 결합함으로써 후퇴 선택 지령을 실현한다.
〔자동 변속기(무단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제어 장치〕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무단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페일 판정 장치는, 부변속 기구(30)의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의 전류 상태를 모니터하는 모니터부(모니터 수단)(121)와, 모니터부(121)의 정보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의 전기 이상을 검지하는 전기 이상 검지부(전기 이상 검지 수단)(122)와,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해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의 전기 이상이 지락(지면에의 단락), 천락(전원에의 단락), 단선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판정 수단)(123)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이들 모니터부(121), 전기 이상 검지부(122), 판정부(123)는, ATCU(12) 내에 장비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및 ATCU(12)에 부설된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지만, ATCU(12)와는 별도의 전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CU(12) 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드라이버(SOL 드라이버)(12D)가 각 솔레노이드 밸브마다 장비되고, 각 솔레노이드 밸브와 ATCU(12) 사이에는, 모니터 전류선(121A)이 접속된다. 또한, ATCU(12) 내에는, 솔레노이드 드라이버(12D)의 작동을 확인하는 전압 모니터 회로(121B)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12D)마다 장비된다.
모니터부(121)는, 모니터 전류선(121A)을 통해 보내지는 전류 정보로부터, 부변속 기구(30)의 각 변속단(제1속, 제2속)의 각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에 공급되고 있는 전류값을 상시 모니터한다.
전기 이상 검지부(122)는, 모니터부(121)에 의해 모니터된 모니터 전류값과,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에의 지시 전류값을 비교하여, 이들 전류값 사이에 일정 이상의 차이가 있으면 그 솔레노이드 밸브(32S, 33S)에 전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한다.
판정부(123)에는,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가 지락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지락 판정부(지락 판정 수단)(124)와,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지락 이상이 아니라고〔이 경우, 천락 이상(전원에의 단락), 단선 이상 중 어느 것임〕판정된 경우에, 그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가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천락 단선 판정부(천락 단선 판정 수단)(125)가 구비된다.
단, 본 페일 판정 장치에서는, 천락 단선 판정부(125)로서, 제1 이상 판정부(제1 이상 판정 수단)(125A)와, 제2 이상 판정부(제2 이상 판정 수단)(125B)의 2개가 구비되고, 이들 제1 이상 판정부(125A)와 제2 이상 판정부(125B)가 병렬적으로 판정 처리를 실시하여, 이들 이상 판정부(125A, 125B) 중 어느 하나에서 판정이 완료되면 출력부(126)로부터 판정 정보를 출력한다.
지락 판정부(124)는,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해 전기 이상을 검지하였을 때의 모니터 전류값이 판정 기준값 이상이면,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서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는 지락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모니터 전류값이 판정 기준값 미만이면,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는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한다.
천락 단선 판정부(125)는, 지락 판정부(124)에서,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가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된 경우에 판정을 실시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는,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한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즉,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 밸브(32S 또는 33S)는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된 후에, 선택된 변속단과 부변속 기구(30)의 상태에 기초하여,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이 부변속 기구(30)의 상태로서는, 뉴트럴 상태, 인터로크 상태가 있다.
또한, 기어비는, 「기어비=입력 회전/출력 회전」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제1속 또는 제2속의 변속단이 지시되어 있을 때, 뉴트럴 상태 또는 인터로크 상태로 되면, 기어비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비(입출력 회전수의 비)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기어비 어긋남을 판정하고 있지만, 실제의 입출력 회전수의 차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기어비 어긋남을 판정해도 된다.
즉, 뉴트럴 상태에서는, 부변속 기구(30)의 실제 변속비(실제 기어비)는 부정 상태로 되므로, 지시한 변속단(여기서는, 제1속 또는 제2속)의 변속비(지시 기어비)와의 사이에 기어비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인터로크 상태」라 함은, 변속 기구의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우 브레이크(32) 및 하이 클러치(33))가 동시에 결합된 상태이며, 이 결합에는 완전 결합과 슬립 결합이 있다.
주행 중의 인터로크 상태에서는,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로우 브레이크(32) 및 하이 클러치(33))가 모두 슬립 결합되게 되므로, 슬립 결합된 각 마찰 결합 요소(로우 브레이크(32) 및 하이 클러치(33))에 의해 달성되는 변속비의 중간적인 변속 불의(不意) 상태로 되기 때문에, 기어비 어긋남이 발생하게 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정지 중인지, 및 전기 이상을 검지한 것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인지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인지에 따라서, 뉴트럴 상태, 인터로크 상태를 판정하고,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여기서는,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는,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 통전하지 않으면 폐쇄(유압 공급 정지)되고,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 통전하면 통전량에 따라서 개방도 증가(유압 공급)하는 노멀 클로즈 밸브이다.
또한, 여기서는, 하이 클러치·리버스 밸브(33V)는,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에 통전하지 않으면 개방(유압 공급)되고,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에 통전하면 통전량에 따라서 개방도 감소되어 폐쇄(유압 공급 정지)되는 노멀 오픈 밸브이다.
따라서,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가 단선 이상이면,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는 상시 폐쇄(유압 공급 정지) 상태로 되고, 로우 브레이크(32)는 결합될 수 없게 되어, 제2속을 지시하면 이것을 달성할 수 있지만, 제1속단을 지시한 경우는 이것을 달성할 수 없어, 주행 중이든 정차 중이든, 부변속 기구(30)는 뉴트럴 상태로 된다.
또한,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가 천락 이상이면,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는 상시 개방(유압 공급) 상태로 되고, 로우 브레이크(32)는 상시 결합되어, 제1속을 지시하면 이것을 달성할 수 있지만, 제2속단을 지시한 경우는 이것을 달성할 수 없어, 인터로크 상태로 되어 기어비가 어긋난다.
한편,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가 단선 이상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밸브(33V)는 상시 개방(유압 공급) 상태로 되고, 하이 클러치(33)는 상시 결합되어, 제2속을 지시하면 이것을 달성할 수 있지만, 제1속단을 지시해도 이것을 달성할 수 없어, 주행 중에는, 로우 브레이크(32) 또는 하이 클러치(33) 중 적어도 한쪽이 슬립 결합 상태로 되고, 부변속 기구(30)는 지시한 기어비(제1속단에 의한 기어비)와 실제 기어비가 상이한 기어비 어긋남 상태로 되어, 정차 중에는 인터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가 천락 이상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밸브(33V)는 상시 폐쇄(유압 공급 정지) 상태로 되고, 하이 클러치(33)는 결합할 수 없게 되어, 제1속을 지시하면 이것을 달성할 수 있지만, 제2속단을 지시한 경우는 이것을 달성할 수 없어, 부변속 기구(30)는 뉴트럴 상태로 되어, 기어비가 어긋난다.
이와 같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이상 판정부(125A)는, 제1속을 지시하고 있지만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이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는 단선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제2속을 지시하고 있지만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이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는 천락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의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이상 판정부(125A)는, 제2속을 지시하고 있지만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는 천락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제1속을 지시하고 있지만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솔레노이드(33S)는 단선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주행 중의 기어비 어긋남의 판정은,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 의해 행해진다. 이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서는, 부변속 기구(30)의 입출력 회전 정보(세컨더리 회전수 센서(42) 및 출력 회전 센서(43)의 검출 정보)로부터 실제 변속비를 구하여, 지시 변속단의 변속비와 비교해서 판정함으로써,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인지, 인터로크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로우 브레이크(32)와 하이 클러치(33)가 양쪽 모두 해방 상태로 되면, 부변속 기구(30)는 뉴트럴 상태로 되고, 이 뉴트럴 상태의 정차 중의 판정은, 뉴트럴 판정부(128)에 의해 행해진다. 이 뉴트럴 판정부(128)에서는, 제1속을 지시하는 정차 중이면, 유압 정보(로우 브레이크압 센서(55)의 검출 정보)로부터, 유압이 매우 낮은 역치 이하인 것으로부터 판정한다.
또한, 로우 브레이크(32)와 하이 클러치(33)가 양쪽 모두 결합 상태로 되면, 부변속 기구(30)는 인터로크 상태로 되고, 이 인터로크 상태의 정차 중에서의 판정은, 인터로크 판정부(129)에 의해 행해진다. 이 인터로크 판정부(129)에서는, 제1속을 지시하는 정차 중에, 유압 정보(로우 브레이크압 센서(55)의 검출 정보)로부터, 유압이 매우 높은 역치 이상인 것으로부터 판정한다.
한편, 제2 이상 판정부(125B)는,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한 전기 이상의 검지 후(즉, 전기 이상이 검지된 솔레노이드(32S 또는 33S)(이하, 단순히 「S」라고도 기재함)는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는 판정 후),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시하고, 이때의 모니터 전류값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S)가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즉,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모니터 회로(121B)에 의해 솔레노이드(S)를 오프하였음을 확인하고, 이 솔레노이드(S)의 오프 시에, 모니터 전류선(121A)을 통해 모니터부(121)에 의해 모니터되는 솔레노이드(S)의 모니터 전류값을 얻어,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에의 전력 공급선이 단선되어 있으면, 솔레노이드(S)에는 전류는 상시 흐르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S)에 오프 지시해도 당연히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이에 비해,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에의 전력 공급선이 천락되어 있으면, 솔레노이드(S)에는 전류는 상시 흐르므로,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시해도 당연히 전류는 흐른다.
그래서, 제2 이상 판정부(125B)는,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시하였을 때, 모니터 전류값이 단선 역치(0에 가까운 값) 이하이면 단선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모니터 전류값이 천락 역치(일정 전류 이상의 전류값) 이상이면 천락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단, 제2 이상 판정부(125B)에서는, 전기 이상의 검지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확인 시간) 경과 후에,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시하고, 또한 이 오프 지시로부터 소정의 딜레이 시간의 경과 후의 모니터 전류값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S)가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이 확인 시간에 관한 소정 시간이라 함은,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며, 이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처리 시간은 ATCU(12) 내에서의 처리 속도로서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소정 시간은 미리 설정된다. 또한, 소정의 딜레이 시간은, 솔레노이드(S)의 오프 지시 후에 과도 상태를 거쳐 모니터 전류값이 안정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며, 미리 설정된다.
이것은, 제2 이상 판정부(125B)의 판정 처리는 솔레노이드(S)의 오프 지시를 수반하지만, 솔레노이드(S)를 오프로 하면 제1 이상 판정부(125A)의 판정 처리를 실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제2 이상 판정부(125B)의 판정 처리가 제1 이상 판정부(125A)의 판정 처리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완료를 대기하기 위해서이다.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 처리는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처리보다도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아, 여기서는,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 처리를, 제1 이상 판정부(125A)에서는 판정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ATCU(12) 내에는,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하는 페일 세이프 제어부(제어 수단)(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페일 세이프 제어부(130)에서는,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 또는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가 천락 고장 혹은 단선 고장을 발생하면, 인터로크를 회피하고, 뉴트럴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S)의 천락 고장 혹은 단선 고장에 의해,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 또는 하이 클러치 밸브(33V)를 개방 상태로부터 변경할 수 없게 되면, 정상적인 밸브의 변속단을 사용하도록 하여 뉴트럴을 회피하고, 로우 브레이크 밸브(32V) 또는 하이 클러치 밸브(33V)를 결합 상태로부터 변경할 수 없게 되면, 이 고장난 밸브의 변속단을 사용하도록 하여 인터로크를 회피한다.
따라서, 본 페일 판정 장치는, 도 3의 논리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기능 고장 진단에 의해, 솔레노이드(S)의 전기 이상이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의 판정 처리를 행하여, 이 판정 처리의 종료 타이밍에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령하고,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전류 판정(전압 감시를 수반함)에 의해, 솔레노이드(S)의 전기 이상이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에서는, 반드시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가 판정되지는 않지만, 판정된 경우에는 판정 결과가 출력부(126)에 입력되고, 한편 제2 이상 판정부(125B)에서는,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가 확실하게 판정되어, 판정 결과가 출력부(126)에 입력된다.
출력부(126)는, 어느 하나의 판정 결과가 입력되면,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를 확정하여, 페일 세이프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의 판정 결과의 쪽이 먼저 출력부(126)에 입력되면, 페일 세이프 제어부(130)는 제2 이상 판정부(125B)를 대기하지 않고 신속하게 페일 세이프 제어를 개시할 수 있고, 제1 이상 판정부(125A)의 판정 결과가 얻어지지 않으면, 제2 이상 판정부(125B)의 판정 결과가 출력부(126)에 입력되어, 페일 세이프 제어부(130)는 확실하게 페일 세이프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변속기(무단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5,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일 판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 도 6의 흐름도는, 판정 확정까지 소정의 제어 주기로 반복된다.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L/B SOL)(32S)의 페일 판정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 전기 이상의 발생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 이상이 없으면 복귀한다.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 전기 이상이 발생하면,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이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20), 지락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지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30),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지락 이상으로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이므로, 스텝 S40으로 진행하여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기능 고장 진단에 의한 판정을 실시함과 함께, 이것과 병렬적으로, 스텝 S60으로 진행하여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전류 판정(전압 감시를 수반함)에 의한 판정을 실시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은, 먼저,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40), 차량이 주행 중이면, 제1속이 지시되어 있음을 전제 조건으로,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2). 또한, 확인 시간은, 전기 이상의 검지 시점으로부터 카운트를 개시하여, 확인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하였다고 판정되면 카운트를 종료하고 0으로 리셋된다.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이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46),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가 아니면, 제2속이 지시되어 있음을 전제 조건으로,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4).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이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48),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면, 차량은 정차 중이며, 부변속 기구(30)는 제1속이 지시되어 있고, 뉴트럴 판정부(128)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이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52),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은, 먼저, 확인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 즉, 전기 이상 발생의 검지(스텝 S10) 및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이 아니라는(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임) 판정이(스텝 S20) 실시된 제어 주기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0).
확인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 오프, 즉,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딜레이 시간을 카운트하고(스텝 S62), 이에 의해 소정의 딜레이 시간의 경과가 판정된 후(스텝 S63),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천락 이상인지 여부, 즉, 천락 이상인지 단선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64). 또한, 딜레이 시간은, 카운트 개시 후에, 소정의 딜레이 시간의 경과가 판정되면 카운트를 종료하고 0으로 리셋된다.
이 결과, 모니터부(121)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66),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모니터부(121)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로우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2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68),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H/C & R/B SOL)(33S)의 페일 판정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 의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에 전기 이상의 발생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10), 이상이 없으면 복귀한다.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에 전기 이상이 발생하면,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이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0), 지락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지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30),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지락 이상으로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한편, 지락 판정부(124)에 의해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이므로, 스텝 S140으로 진행하여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기능 고장 진단에 의한 판정을 실시함과 함께, 이것과 병렬적으로, 스텝 S160으로 진행하여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전류 판정(전압 감시를 수반함)에 의한 판정을 실시한다.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은, 먼저,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40), 차량이 주행 중이면, 제2속이 지시되어 있음을 전제 조건으로,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42).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46),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뉴트럴 상태가 아니면, 제1속이 지시되어 있음을 전제 조건으로, 기어비 어긋남 판정부(127)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44).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48),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면, 차량은 정차 중이며, 부변속 기구(30)는 제1속이 지시되어 있고, 인터로크 판정부(129)에 의해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0).
확인 시간이 경과하고 또한 부변속 기구(30)가 인터로크 상태이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52),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은, 먼저, 확인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 즉, 전기 이상 발생의 검지(스텝 S110) 및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이 아니라는(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과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임) 판정이(스텝 S120) 실시된 제어 주기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0).
확인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 오프, 즉,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딜레이 시간을 카운트하고(스텝 S162), 이에 의해 소정의 딜레이 시간의 경과가 판정된 후(스텝 S163),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천락 이상인지 여부, 즉, 천락 이상인지 단선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164).
이 결과, 모니터부(121)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전기 이상은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66),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천락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모니터부(121)에 의해 전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하이 클러치·리버스 브레이크 솔레노이드(33S)의 전기 이상은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고(스텝 S168), 지락, 천락, 단선의 확정 판정(스텝 S170)에서, 단선 이상이라고 확정하였다고 판정하고, 제어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4의 타임차트를 참조하여, 제1 이상 판정부(125A) 및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 처리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시각 t1에서 솔레노이드(S)가 온 지령되고〔도 4의 (a)〕, 시각 t2에서 솔레노이드(S)의 전기 이상이 발생하면, 판정 처리 시간 t1을 거친 시각 t3에서, 전기 이상 검지부(122)에서 솔레노이드(S)의 전기 이상의 발생이 판정되어, 이상 판정 플래그가 세트되고〔도 4의 (b)〕, 이와 함께 지락 판정부(124)에서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지락 판정부(124)에서 전기 이상이 지락 이상이 아니라고, 즉, 전기 이상이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이라고 판정되면,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 확정 플래그가 세트되고〔도 4의 (d)〕,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해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가 판정된다.
시각 t2에서 솔레노이드(S)의 전기 이상의 발생이 판정되고 나서 확인 시간이 경과한 시각 t4에서,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해 천락 이상인지 단선 이상인지의 판정이 확정되고, 이 타이밍에, 솔레노이드(S)를 오프 지시하는 플래그가 세트되고〔도 4의 (e)〕, 솔레노이드(S)가 오프 지령된다〔도 4의 (a)〕.
제어 주기 t3이 경과한 다음 주기의 시각 t5에서,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확정 플래그가 세트됨과 함께,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에 사용할 판정 전류를 설정한다. 즉, 단선 이상을 판정하는 단선 역치(MIN) 및 천락 이상을 판정하는 천락 역치(MAX)를 설정한다.
시각 t5에서의 솔레노이드(S)의 오프 지시 후, 소정의 딜레이 시간(천락·단선 판정 대기 시간)이 경과한 시각 t6에서,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이 확정된다.
이 경우,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결과가 시점 t5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이 시점으로부터 페일 세이프 처리를 실시할 수 있지만,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 결과가 시점 t6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이 시점으로부터 페일 세이프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하면, 제1 이상 판정부(125A) 및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이상 판정을 병렬하여 행하므로, 제1 이상 판정부(125A)의 판정 결과가 신속하게 얻어지면, 본 제어 장치에 의해, 신속하게 페일 세이프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한편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판정 결과가 얻어지지 않아도, 제2 이상 판정부(125B)의 판정 결과는 얻어지므로, 페일 세이프 처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이상 판정은, 특정한 변속단에 있어서의, 부변속 기구(30)의 뉴트럴 상태나 인터로크 상태라고 하는 부변속 기구(30)의 특정상태에 기초하여 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상 판정을 실시할 수 없지만, 특정 상태가 발생하면 비교적 신속하게 이상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이상 판정에 요하는 시간을 대기하여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을 위한 솔레노이드(S)의 오프 지시를 행하기 때문에, 상기한 상태가 발생하면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한 이상 판정 결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은, 솔레노이드(S)의 오프 지시를 수반하지만, 부변속 기구(30)에 특정 상태가 발생할 것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1 이상 판정부(125A)에 의해 이상 판정을 확정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2 이상 판정부(125B)에 의한 판정에 의해 이상 판정을 확정할 수 있으므로, 판정의 기회가 증대되어, 페일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상 판정부(125A) 및 제2 이상 판정부(125B)의 2개의 이상 판정부를 병용함으로써, 서로의 이상 판정부의 장점에 의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기구로서, 전진 2단의 비교적 심플한 부변속 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일반적인 유단 변속기 등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유단 변속기의 경우,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해방의 조합으로 변속단이 달성되지만, 어느 하나의 마찰 결합 요소를 결합 해방 조작하는 시프트 밸브의 솔레노이드에 전기 이상이 발생하면, 어느 변속단의 지령 시에, 뉴트럴 상태나 인터로크 상태라고 하는 특정 상태가 발생하므로, 제1 이상 판정부에서는 이것에 기초하여 이상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상 판정부에서는, 상기한 특정 상태일 것을 요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의 시프트 밸브의 솔레노이드의 전기 이상의 원인 판정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이상 판정부에 의해, 뉴트럴 상태나 인터로크 상태라고 하는 다양한 특정 상태를 참조하여 솔레노이드의 전기 이상의 원인 판정을 행하고 있지만, 이들 특정 상태 중, 일부의 특정 상태에만 착안하여 솔레노이드의 전기 이상의 원인 판정을 행해도 된다.

Claims (6)

  1. 선택한 변속단에 따라서 결합되는 마찰 결합 요소를 갖는 변속 기구와,
    상기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이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모니터하는 모니터 수단과,
    상기 모니터 수단에 의한 모니터 전류값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의 지시 전류값과 상이한 것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 가능한 전기 이상 검지 수단과,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선택한 변속단과 상기 변속 기구의 상태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제1 이상 판정 수단과,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하였을 때의 상기 모니터 전류값으로부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제2 이상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천락 이상 또는 단선 이상을 판정하면, 그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전기 이상의 검지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에 요하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의 판정 처리를 개시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변속 기구에 지시한 변속단에 의한 기어비와 실제 기어비가 상이한 기어비 어긋남의 발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복수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주행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정차 중에 상기 변속 기구가 중립으로 되면,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은, 주행 레인지가 선택되어 있을 때, 정차 중에 상기 변속 기구가 인터로크되면,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중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 가능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이상을 검지하였을 때, 상기 모니터 전류값이 소정 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지락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모니터 전류값이 소정 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천락 이상 및 상기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하는 지락 이상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이상 판정 수단 및 상기 제2 이상 판정 수단은, 상기 지락 이상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천락 이상 및 상기 단선 이상 중 어느 하나라고 판정되면, 상기 천락 이상 또는 상기 단선 이상을 판정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6. 선택한 변속단에 따라서 결합되는 마찰 결합 요소를 갖는 변속 기구와,
    상기 마찰 결합 요소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페일 판정 장치와,
    상기 페일 판정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페일 세이프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20177025918A 2015-03-23 2016-02-1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1935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9729 2015-03-23
JPJP-P-2015-059729 2015-03-23
PCT/JP2016/054536 WO2016152329A1 (ja) 2015-03-23 2016-02-17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フェール判定装置及び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0A KR20170118800A (ko) 2017-10-25
KR101935191B1 true KR101935191B1 (ko) 2019-01-03

Family

ID=5697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18A KR101935191B1 (ko) 2015-03-23 2016-02-17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91053B2 (ko)
EP (1) EP3276228A4 (ko)
JP (1) JP6356335B2 (ko)
KR (1) KR101935191B1 (ko)
CN (1) CN107407407B (ko)
WO (1) WO2016152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80B1 (ko) * 2016-12-12 2018-06-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변속 제어기의 페일 세이프 시험 방법
US11125323B2 (en) * 2017-09-01 2021-09-21 Jatco Ltd Abnormality diagnosing device and abnormality diagnosing method for selection solenoid valve of automatic transmission
JP7069735B2 (ja) * 2018-01-15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WO2020031677A1 (ja) * 2018-08-07 2020-02-13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109687B1 (ko) * 2018-09-27 2020-05-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Tmed 자동변속기 솔레노이드 고장 시 대체 제어방법
CN114341530B (zh) 2019-10-09 2023-07-28 加特可株式会社 自动变速器的控制装置、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2065984B (zh) * 2020-08-21 2021-08-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变速箱选换挡系统故障诊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571A (ja) 1999-08-20 2001-03-06 Kubota Corp トラクタの走行変速装置
KR101049392B1 (ko) 2006-08-03 2011-07-14 도요타 지도샤(주) 자동변속기의 진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6091D0 (en) * 1990-03-17 1990-05-16 Eaton Corp Transducer fault test logic
DE69213563T2 (de) * 1991-06-03 1997-02-20 New Holland Uk Ltd Getriebe-Geschwindigkeits-Übereinstimmungs-Steuerung
US5609067A (en) * 1994-10-14 1997-03-11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control fault detection
JP3158935B2 (ja) 1995-03-03 2001-04-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付き車両用自動変速機及び車両用自動変速機の異常検出方法
JPH11280882A (ja) * 1998-03-30 1999-10-15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故障検出装置
JP3842465B2 (ja) 1998-11-20 2006-11-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US6307376B1 (en) 1998-12-23 2001-10-23 Eaton Corporation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olenoid controlled actuators of a transmission system
JP2000265871A (ja) * 1999-03-17 2000-09-26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JP4109436B2 (ja) * 2001-09-27 2008-07-0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DE102005004339B4 (de) * 2005-01-25 2009-01-08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Verwendung eines Stufenwechselgetriebes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olchen
EP1770314B1 (en) * 2005-09-30 2011-11-16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JP4127310B2 (ja) 2006-12-27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45058B2 (ja) 2007-02-26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
JP5098773B2 (ja) * 2008-04-15 2012-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の故障診断装置および故障診断方法
JP6222399B2 (ja) * 2015-03-20 2017-11-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フェイルセー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571A (ja) 1999-08-20 2001-03-06 Kubota Corp トラクタの走行変速装置
KR101049392B1 (ko) 2006-08-03 2011-07-14 도요타 지도샤(주) 자동변속기의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1053B2 (en) 2020-03-17
JP6356335B2 (ja) 2018-07-11
KR20170118800A (ko) 2017-10-25
EP3276228A1 (en) 2018-01-31
WO2016152329A1 (ja) 2016-09-29
US20180106368A1 (en) 2018-04-19
CN107407407B (zh) 2019-11-26
JPWO2016152329A1 (ja) 2017-10-19
CN107407407A (zh) 2017-11-28
EP3276228A4 (en)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19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페일 판정 장치 및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JP5605504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2009144802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6269400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油圧制御回路
JP6554545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故障判断方法
JP6554546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故障判断方法
JP2006248371A (ja) 車両制御装置、無段変速機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36704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693B1 (ko) 자동 변속기의 이상 검출 장치
WO2017043340A1 (ja)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の故障判断方法
JP6543540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故障判断方法
KR101976942B1 (ko) 차량용 변속기의 고장진단방법
WO2017022771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WO2016152285A1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2016006532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유압회로 및 그 제어방법
CN110770478B (zh) 车辆的控制装置及车辆的控制方法
WO2017022772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JP6405528B2 (ja) 油圧制御装置
JP2005164001A (ja) 動力伝達機構の故障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