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838B1 -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 Google Patents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838B1
KR101931838B1 KR1020137032881A KR20137032881A KR101931838B1 KR 101931838 B1 KR101931838 B1 KR 101931838B1 KR 1020137032881 A KR1020137032881 A KR 1020137032881A KR 20137032881 A KR20137032881 A KR 20137032881A KR 101931838 B1 KR101931838 B1 KR 10193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esistor
type
elastic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218A (ko
Inventor
야스요시 세토
후미오 다지마
가즈토 노나카
야스노리 고이케
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4003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연삭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체의 돌출량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는 저항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를 제공한다. 제강 철망통은,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 (28) 와, 그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 (28) 의 각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서로 원주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세워 형성한 복수의 지주 (33) 로 이루어지고, 각 지주 (33) 에는, 연삭식 정백롤 (26) 의 회전에 수반하는 곡립의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장척의 저항체 (34)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저항체 (34) 는 탄성체 (37) 에 의해 정백실 (30) 내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 탄성 지지되고, 또한 곡립으로부터 받는 저항 (압박력) 에 의해 정백실 (30) 내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GRINDING VERTICAL-TYPE GRAIN POLISHER}
본 발명은 연삭식으로 곡립의 정곡을 실시할 때에, 곡립의 이동을 규제하여 곡립에 대한 연삭의 정도를 조절하는 저항체 장치를 구비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곡기로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정곡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 는 종래의 정곡기의 정곡부 횡단면도 (橫斷面圖) 로, 복수의 연삭롤 (102) 과 복수의 스페이서 (103) 를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겹쳐 쌓아 연삭롤체로 형성하고, 이것을 주축 (101) 에 끼워 장착한 상태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연삭롤 (102) 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연삭롤 (102) 의 외주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삭롤 (102) 을 둘러싸도록 다공성 통상체 (105) 가 형성되고, 연삭롤 (102) 과의 사이에 정백실 (104)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다공성 통상체 (105) 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지주 (106) 와 인접한 지주 (10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도 15 에서는 4 개의 지주 (106) 와 4 개의 다공제 통상체 (105) 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각 지주 (106) 에는 정백실 (104) 측으로 돌출되어 저항체 (107) 가 형성된다. 저항체 (107) 는 연삭롤 (102) 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주 방향으로의 곡립의 이동을 억제하여 연삭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저항체 (107) 는, 주축 (101) 의 축 방향으로 길고, 주축 (101) 에 장착된 복수의 연삭롤 (102) 에 걸치도록 연직으로 배치된 장척 (長尺) 의 부재이다.
또한, 각 지주 (106) 에는, 각 저항체 (107) 의 반경 방향으로의 돌출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돌출량 조정 수단 (108) 이 형성되어, 수동으로 저항체 (107) 의 돌출량이 조절된다 (도 15 의 화살표 참조). 또한, 도면 중의 부호 109 는 지주 커버이고, 부호 110 은 제강실 (除糠室) 커버이고, 부호 111 은 정곡 후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홈통이다.
이 구성에서는, 각 지주 (106) 에 형성한 돌출량 조정 수단 (108) 에 의해 각각의 저항체 (107) 와 연삭롤 (102) 외주면의 간격을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정백실 (104) 내에서의 곡립의 이동에 대한 저항 (이동을 억제하는 정도) 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연삭롤 (102) 의 곡립에 대한 연삭 능력을 각각의 저항체의 지점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 정곡하고자 하는 원료 곡립의 성상이나 제품으로서 요구되는 형상 등에 따라, 곡립의 흐름에 대한 저항 상태를 세세하게 조정·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정곡기에 있어서는, 각 지주 (106) 에 형성되는 돌출량 조정 수단 (108) 이 복수 존재하기 때문에 (도 15 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4 개 지점 나타나고, 또한, 주축 (107) 방향으로 복수 개 지점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조정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작업자에 따라서는 돌출량 조정 수단 (108) 에 의한 조정이 서투른 경우도 있어, 저항체 (107) 와 연삭롤 (102) 외주면의 간극이 극단적으로 좁게 설정되면, 간극에 곡립이 끼이거나, 쌀알의 경우에는 싸라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보 제3266167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항체의 돌출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는 저항체 장치를 구비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 제강 철망통과, 그 제강 철망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주축과, 그 주축에 다수의 연삭식 정백롤을 축착 (軸着) 한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와,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 사이에 형성한 정백실과, 상기 제강 철망통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강실 및 저항체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그 저항체 장치에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즉, 저항체 장치는, 상기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 세워 형성된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저항체와 그 탄성 지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선단면 (先端面) 이 상기 정백실 내에 있어서 상기 연삭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선단면이 상기 연삭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대해 연삭 정백롤체의 반경 방향에서 원근으로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고,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항상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한 탄성 지지를 상회할 때, 이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로부터 후퇴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저항체 장치의 상기 복수의 지주는, 제강 철망통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가 되고, 복수의 지주는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의 각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서로 원주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세워 형성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저항체의 각각을 연삭 정백롤체의 축 방향으로 긴 장척으로 형성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각 지주에는, 상기 저항체의 상기 정백실 내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서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압 다이얼의 회동 (回動) 위치에 의해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저항체 장치를 형성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저항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 (一端) 가장자리와 상기 지주가 경첩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타단 (他端) 가장자리가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연계되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주에 외기 취입구와 분풍구를 형성하고, 이 분풍구를 저항체 장치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곡립의 흐름에 관하여 하류측으로서, 저항체에 근접한 지점에 배치하고, 이 분풍구로부터 상기 정백실을 향하여 분풍을 실시하는 구성의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탄성 지지 장치의 탄성 지지가 스프링이나 탄력을 갖는 수지 블록이나 수지편 등 탄성체에 의한 것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탄성 지지 장치의 탄성 지지가 에어 실린더나 에어 댐퍼 등, 에어압에 의한 것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저항체 장치에 있어서, 연삭식 정백롤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체를, 선단면이 상기 연삭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대해 연삭 정백롤체의 반경 방향에서 원근으로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고,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항상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한 탄성 지지를 상회할 때, 이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로부터 후퇴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저항체가 항상 정백실 내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 탄성 지지되어 있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항체의 돌출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이 상태에서는 정백실 내의 곡립은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 (공전이나 자전) 을 받으면서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중에 연삭식 정백롤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곡립의 표면층이 깎인다. 한편, 정백실 내에서 쇄립 (碎粒) (쌀알의 경우에는 싸라기) 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에서는, 곡립의 압박력이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한 탄성 지지력보다 상회하여, 저항체를 정백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정백실에서는 쇄립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하는 정백이 행해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사람에 의해 돌출량을 조절하는 수고가 없어진다.
제강 철망통을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고, 저항체 장치의 지주를 원주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세워 형성하고, 이들 복수의 지주로 상기의 분할된 제강 철망통의 각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고정시키기로 한 구성에서는, 저항체 장치의 지주를 제강 철망통의 장착에 이용할 수 있어, 제강 철망통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 지주에 장착된 저항체는 선단면을 정백실을 향하게 하는 구성이나, 정백실에 분풍을 도입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해진다.
조압 다이얼의 회동 위치에 의해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저항체 장치에 의하면, 저항체의 정백실 내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서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료의 성상이나 제품으로서 요구되는 형상 등에 따라, 곡립의 이동 (흐름) 에 대한 저항체의 저항 상태를 세세하게 조정·변경할 수 있다.
저항체를 축 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판상의 저항체로 하고, 그 일단 가장자리를 경첩에 의해 상기 지주에 지지시키는 한편, 저항체의 탄성 지지력 조절 장치에 연계시켜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상기 저항체의 타단 가장자리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한 구성에서는, 장척 판상의 저항체의 회동에 의한 각도에 의해 저항의 강약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저항체의 구성은, 곡립에 대한 저항의 조절을 곡립의 이동을 따라 실시하기 쉬워, 곡립의 이동을 불필요하게 교란시키는 경우가 적다.
지주에 외기 취입구를 천공 형성함과 함께, 곡립의 이동 방향에 관해서 저항체의 하류측에 상기 정백실을 향하여 분풍을 실시하는 분풍구를 형성한 구성에서는, 저항체와 지주의 간극이 곡립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이거나 적은 영역이기 때문에, 분풍을 받아 들이는 것이 순조롭게 행해진다.
탄성 지지 장치에 있어서, 탄성 지지를 부여하는 부재를 스프링이나 탄성을 갖는 수지 등의 탄성체로 할 때에는, 부재가 저렴하고 구조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탄성 지지 장치에 있어서, 탄성 지지를 부여하는 부재를 에어 액추에이터로 하면 압력 검출 센서 등과 조합하여, 곡립의 이동에 대한 저항체의 저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혹은 적극적으로 조절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에어 댐퍼를 사용하면, 탄성체의 경우에 비해 저항 조절의 응답성이 순조로워 곡립의 이동을 교란시키는 경우가 적다.
도 1 은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일부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실시예 1) 이다.
도 3 은 곡립 공급부의 상측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단면도 (실시예 1) 이다.
도 4 는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 (실시예 1) 이다.
도 5 는 탄성 지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4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실시예 1) 이다.
도 6 은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하측 부분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실시예 1) 이다.
도 7 은 팬 겸용형 풀리의 확대 사시도 (실시예 1) 이다.
도 8 은 제강 철망통을 제거한 상태의 연삭 정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실시예 1) 이다.
도 9 는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 (실시예 2) 이다.
도 10 은 제강 철망통을 제거한 상태의 연삭 정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실시예 2) 이다.
도 11 은 탄성 지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9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실시예 2) 이다.
도 12 는 저항체 장치의 사시도, 동시에 분풍구로부터의 송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 (실시예 3) 이다.
도 14 는 탄성 지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13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실시예 3) 이다.
도 15 는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 (종래예) 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전체 구성)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1) 는, 정곡해야 할 원료 곡립을 공급하는 곡립 공급부 (2) 와, 그 곡립 공급부 (2) 로부터 받아들인 곡립을 하방으로 이송하면서 정곡하는 연삭 정곡부 (3) 와, 그 연삭 정곡부 (3) 에서 정곡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부 (4) 와,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있어서 정백 곡립으로부터 분리된 쌀겨를 집강 (集糠) 하는 집강부 (5) (도 2) 와, 기체 (機體) 및 구동원이 되는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본체 베이스부 (6) 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곡립 공급부)
상기 곡립 공급부 (2) 는, 원료 탱크 (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곡립을 받아들이는 곡립 공급통 (8) 과, 그 곡립 공급통 (8) 에 형성되어 곡립의 수용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는 셔터 기구 (7) (도 2) 와, 상기 곡립 공급통 (8) 으로부터 받아들인 곡립을 원주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산시키는 원뿔 형상의 안내체 (9) 와, 그 안내체 (9) 안쪽에 배치 형성된 상부 베어링부 (10) 와, 곡립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장치 (11) 와, 상기 안내체 (9), 상부 베어링부 (10) 및 유량 조절 장치 (11) 를 수용하는 커버체 (12) 와,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로부터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곡립을 보내기 위한 반송 나선 (13)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셔터 기구 (7) 는, 공급구 (14) 에 형성된 개폐 밸브 (15) 와, 상기 곡립 공급통 (8) 의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 밸브 (15) 를 개폐 구동시키는 에어 실린더 등의 개폐 구동부 (16) 를 갖고 있다.
상기 안내체 (9) 는, 그 정상부가 상기 곡립 공급통 (8) 바로 아래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체 (9) 에 낙하한 곡립이, 그대로 원뿔부를 따라 흘러내려가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베어링부 (10) 는 베어링 커버 (17) 와, 그 베어링 커버 (17) 내에 배치 형성한 베어링 (18) (도 3) 으로 구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세워 형성한 주축 (19) 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때,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 (19) 과 베어링 (18) 사이에는 키 (20) 에 의해 끼워 장착되는 칼라 (21) 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곡립 공급부 (2) 와 연삭 정곡부 (3) 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연삭 정곡부 (3) 의 케이싱 (22) 으로부터 곡립 공급부 (2) 의 커버체 (12) 를 상방으로 빼내면, 주축 (19) 으로부터 칼라 (21) 가 빠져, 곡립 공급부 (2) 와 연삭 정곡부 (3) 가 분해된다. 이로써, 연삭 정곡부 (3) 에 형성되는 정백롤 등을 교환할 때에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매우 용이해져, 작업 시간도 단축되게 된다.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고정판 (23) 과,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조절 레버 (25) 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판 (24) 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장치 (11) 의 하방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곡립을 보내기 위해서, 상기 주축 (19) 에 축착된 반송 나선 (13) 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연삭 정곡부)
상기 연삭 정곡부 (3) 는, 연삭 정백롤체 (84), 제강 철망통 (28) 및 제강 커버 (29) 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연삭식 정백롤체 (84) 는 주축 (19) 에 장착된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과, 그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상호 사이에 개재 삽입한 스페이서 (27) (도 4) 를 일체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연삭식 정백롤 (26) 은 횡단면이 동심원상으로, 외주의 표면에 연삭용 숫돌의 연마 입자가 전체 둘레에 매립되어 있다. 연삭식 정백롤 (26) 의 연삭부 (26a) (도 6 참조) 는 아암부 (26b) 를 통하여 보스부 (26c) 에 연결된다.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상호 사이에는 스페이서 (27) 가 개재 삽입되지만, 스페이서 (27) 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부는 분풍구 (32) 로서 정백실 (30) 을 향하고 있다 (도 4 참조).
제강 철망통 (28) 은 다공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 (84) 의 둘레 방향에 약간의 간극을 개재하여 세워 형성된다. 또, 제강 커버 (29) 는 상기 제강 철망통 (28) 의 둘레 방향에 추가로 간극을 개재하여 세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강 철망통 (28) 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 (26) 사이에 정백실 (30) 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강 철망통 (28) 과 상기 제강 커버 사이에 제강실 (31) 이 형성되어 있다.
제강 철망통 (28) 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세로 균열상으로 4 분할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분할된 각각의 제강 철망통 (28) 은 연삭식 정백롤 (26) 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세워 형성된 4 개의 지주 (33) 에 의해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있다.
지주 (33) 는 저항체 장치 (36) 의 일부이다. 즉, 저항체 장치 (36) 는 지주 (33), 저항체 (34), 탄성 지지 장치 (85) 및 조압 다이얼 (38)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주 (33) 의 정백실 (30) 측에는 정백실 (30) 의 공간을 좁히는 저항체 (3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4, 5). 그 저항체 (34) 는 주축 (19) 의 축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이고, 각 지주 (33) 의 상하 2 개 지점에 장착된 복수의 지지 볼트 (35) 에 의해 저항체 (34) 의 장척 방향의 양 단부가 지지되고, 또한, 각 지주 (33) 의 중간부에 장착한 저항체 조절 장치 (36) 에 의해 저항체 (34) 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 (출입 조절 가능) 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체 (34) 는 스프링 (37) 에 의해 항상 정백롤 (26) 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이 탄성 지지력은 조압 다이얼 (38) 의 회동 위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곡립 배출부)
상기 정백실 (30) 의 하단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의해 정곡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부 (4) (도 1, 6) 가 배치 형성된다. 그 곡립 배출부 (4) 는 제강 철망통 (28) 의 일부를 개구하여 형성한 배출구 (39) 와, 그 배출구 (39) 에 접속된 배출홈통 (40) 과, 그 배출홈통 (40) 에 가로로 걸쳐진 축 (41) 에 고착된 분동 레버 (42) 와, 그 분동 레버 (42) 의 일단측에 피벗되어 상기 배출구 (39) 를 폐쇄 가능하게 대치한 저항판 (43) 과, 상기 분동 레버 (42) 의 타단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분동 (44) 을 구비하고 있다.
(집강부)
상기 곡립 배출부 (4) 하방에는, 상기 연삭 정곡부 (3) 에 있어서 정백 곡립으로부터 분리된 쌀겨를 집강하는 집강부 (5) (도 1, 6) 가 배치 형성된다. 그 집강부 (5) 는, 상기 제강실 (31) 하단부와 연통하는 쌀겨 배출통 (45) 과, 그 쌀겨 배출통 (45) 으로부터의 쌀겨를 외부의 쌀겨 흡인팬 (47) 으로 이송하는 쌀겨 배출관 (46)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쌀겨 배출통 (45) 과 상기 쌀겨 배출관 (46) 의 연통부에는, 회전에 의해 제강풍을 발생시키는 팬의 기능을 갖는 풀리 (48)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 (48)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날개 형상의 아암부 (49) 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제강풍이 발생하여, 쌀겨는 보스부 (50) 와 림부 (51) 와 아암부 (49) 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부 (52) 를 통과하여, 상기 쌀겨 배출통 (45) 으로부터 쌀겨 배출관 (46) 을 향하여 쌀겨 배출이 촉진되게 된다.
상기 풀리 (48) 의 상부에는 상기 주축 (19) 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베어링부 (53) 가 배치 형성된다. 그 하부 베어링부 (53) 는 상기 케이싱 (22) 에 고정 형성된 베어링 케이스 (54) 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풀리 (48) 의 회전에 의해 주축 (19) 이 회전 가능해지는 구성이다. 부호 55 는 상기 주축 (19) 에 축착된 곡립 배출롤이며, 그 곡립 배출롤 (55) 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단상으로 복수의 연삭식 정백롤 (26) 을 겹쳐 쌓아 연삭 정곡부 (3) 를 형성하게 된다.
[저항체 장치]
저항체 장치 (36) 의 내부 기구에 대해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강 철망통 (28) 을 고정시키는 지주 (33) 에는, 저항체 장치 (36) 의 커버체 (36a) 가 고정 형성됨과 함께, 그 커버체 (36a) 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팽출되도록 저항체 장치 (36) 의 본체 (36b) 가 고정 형성된다. 저항체 장치 (36) 는 탄성 지지 장치 (85) 를 구비한다. 탄성 지지 장치 (85) 는 상기 본체 (36b), 스프링 (37), 조압 다이얼 (38), 나사축 (65), 제 1 스프링 (69), 슬라이딩축 (7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36b) 에는 나사공 (도시 생략) 을 천공 형성하고, 그 나사공에 나사축 (65) 을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그 나사축 (65) 과 본체 (36b) 의 간극에 슬라이딩통 (66) 을 끼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 (65) 의 선단부에는 그 나사축 (65) 에 고정 형성된 고정 스프링 받침대 (67) 와 그 나사축 (65)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와, 상기 나사축 (65) 의 고정 스프링 받침대 (67) 및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사이에 끼워 장착된 제 1 스프링 (69) 을 형성하고,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가 제 1 스프링 (69) 의 탄성력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나사축 (65) 의 후단측에는 수나사부 (65a)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수나사부 (65a) 에는 상기 슬라이딩통 (66) 을 도 8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압 다이얼 (38) 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부호 70 은 조압 다이얼 (38) 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부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 (36a) 에는, 상기 나사축 (65) 하방에 그 나사축 (65) 과 평행한 슬라이딩축 (71) 이 삽입 통과되고, 그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측이 상기 지주 (33) 의 중앙 개구부 (33a) 에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부 (71a) 가 조인트부 (72) 를 통하여 저항체 (34) 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측은, 그 슬라이딩축 (71) 에 고정 형성된 제 2 고정 스프링 받침대 (73) 와, 슬라이딩축 (71)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와, 상기 제 2 고정 스프링 받침대 (73) 및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사이에 끼워 장착된 스프링 (37)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와 상기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사이에는 상기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의 가동에 수반하여 동일한 변위량으로 상기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를 가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 (75) 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83 은 연삭식 정백롤 (26) 과 저항체 (34) 의 간극의 크기를 미 (微) 조정할 수 있는 미 (微) 조절 너트이다.
(본체 베이스부)
기체 하부의 본체 베이스부 (6) 의 측부에는 모터 베이스 (56) 가 부설되어 있고, 그 모터 베이스 (56) 에 구동용 모터 (57) 를 고정시킴과 함께, 모터 풀리 (58) 와 상기 풀리 (48) 사이에 V 벨트 (59) 를 연동·연결하여 구동용 모터 (57) 의 회전을 주축 (19) 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 본체 베이스부 (6) 에는 본체 베이스부 (6) 에 대해 모터 베이스 (56) 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모터 풀리 (58) 와 풀리 (48) 의 축심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 장치 (60) 가 부설되어 있다.
이동 장치 (60) 는, 모터 베이스 (56) 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를 거는 훅부 (61) 와, 외주에 나사가 잘린 수나사부 (62) 와, 그 수나사부 (62) 와 나사 결합하는 안쪽 나사를 본체 베이스부 (6) 측에 고정 형성한 암나사부 (63) 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수나사부 (62) 의 선단부 (62a) 를 훅부 (61) 에 고정시키는 한편, 수나사부 (62) 의 헤드부 근방을 암나사부 (63) 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모터 풀리 (57) 와 풀리 (47) 사이에 감겨 장착된 V 벨트 (59) 의 길이가 바뀌어도, 그 변화에 따른 양만큼 수나사부 (62) 를 회전시키면, 본체 베이스부 (6) 와 모터 베이스 (56) 가 상대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V 벨트 (59) 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또한 적당한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체 베이스부 (6) 의 내부에는, 상기 풀리 (48), 모터 풀리 (58) 및 V 벨트 (59) 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쌀겨 배출관 (46) 이 가로로 형성된다.
(작동)
먼저, 구동원이 되는 구동용 모터 (57) 를 작동시켜 풀리 (48), 주축 (19) 및 연삭식 정백롤 (26) 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개폐 구동부 (16) 에 의해 개폐 밸브 (15) 를 개방함으로써, 원료 탱크 등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이 공급구 (14) 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한다. 낙하한 곡립은 그 하방에 있는 안내체 (9)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면서 아래로 흐르고, 조정 레버 (25) 에 의해 적당한 공급 유량으로 조정되어 반송 나선 (13) 으로 이송된다.
반송 나선 (13) 에서는, 곡립을 순차적으로 정백실 (30) 에 보내고, 정백실 (30) 에서는, 곡립은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 (공전이나 자전) 을 받으면서, 연삭식 정백롤 (26) 의 둘레면에 접촉함으로써 곡립의 표면층이 깎이게 된다. 이 때, 정백실 (30) 의 공간을 좁히는 저항체 (34) 가 스프링 (37) 에 의해 정백롤 (26) 측에 탄성 지지되고 있다. 한편, 정백실 (30) 내에서 쇄립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되어 오면, 곡립의 압박력에 의해 저항체 (34) 는 스프링 (37)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눌려져, 정백롤 (26)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정백실 (30) 은 당초 설정한 적정한 압력으로 조절되어, 쇄립이 발생할 위험이 자동적으로 회피된다.
그리고, 곡립 배출부 (4) 에서는 분동 (44) 의 힘을 받은 저항판 (43) 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곡립이 저항판 (43) 을 개방함으로써 배출이 실시되고, 배출홈통 (40) 을 통하여 기외로 취출된다. 또, 집강부 (5) 에 있어서는, 주축 (19) 에 축착된 풀리 (48) 가 팬 겸용형 풀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강실 (31) 의 쌀겨는 풀리 (48) 의 회전에 의한 제강풍에 의해 균등하게 흡인되어, 쌀겨 배출관 (46) 측을 향한 배출이 매우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저항체 장치 (36) 에 있어서, 저항체 (34) 의 저항 압력 (곡립의 이동을 억제하는 힘) 을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조압 다이얼 (38) 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조압 다이얼 (38) 을 수나사부 (65a) 에 돌려 넣으면, 그 돌려 넣은 양에 의해 바닥면 (38a) 에 맞닿은 슬라이딩통 (66) 이 도 8 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딩통 (66) 의 선단에 맞닿은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가 제 1 스프링 (69)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 (75) 에 의해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의 변위가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에 전달된다. 이로써,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37) 이 압축되어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저항체 (34) 의 저항 압력을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조압 다이얼 (71) 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써,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수반하여, 스프링 (37) 이 신장되어 탄성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외기 도입 구조]
곡립 공급부 (2) 와 연삭 정곡부 (3) 에 형성된 외기 도입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곡립 공급부 (2) 의 커버체 (12) 에는 (도 1, 도 3), 그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76) 가 형성됨과 함께, 유량 조절 장치 (11) 에 개구 (7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나선 (13) 의 상면에는, 취입된 외기를 상기 연삭 정곡부 (3) 내부에 유통시키는 통풍구 (7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삭 정곡부 (3) 의 각 지주 (33) 를 덮는 지주 커버 (79) (도 1) 에 있어서도, 그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80) (도 1) 가 형성된다. 즉, 각 지주 (33)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삭 정곡부 (3) 내에 외기를 취입하는 외기 취입구 (81) 가 형성되고, 취입된 외기는 연삭 정곡부 (3) 내부에 유통시켜, 정곡에 의해 생긴 쌀겨를 정백실 (30) 로부터 제강실 (31) 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곡립 공급부 (2) 에 있어서, 곡립 공급통 (8) 으로부터 안내체 (9) 에 곡립이 아래로 흐를 때에 외기 취입구 (76) 로부터 외기가 취입되고, 개구 (77) 를 거쳐 통풍구 (78) 로부터 반송 나선 (13) 내부에 유입된다. 그리고, 반송 나선 (13) 내부로부터는 연삭식 정백롤 (26) 의 내부를 향하여 외기가 이송되고, 연삭식 정백롤 (26) 의 분풍구 (32) 로부터 정백실 (30) 을 향하여 분풍이 실시된다. 이 정백실 (30) 로 분풍된 바람에 의해 쌀겨가 제강 철망통 (28) 을 통과하여 제강실 (31) 에 이르게 된다.
한편,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삭 정곡부 (3) 에 있어서도, 지주 (33) 에 형성된 외기 취입구 (81) 로부터 외기가 취입되고, 저항체 (34) 의 곡립의 이동에 관한 하류측의 면과 지주 (33) 의 간극에 형성된 분풍구 (82) 로부터 정백실 (30) 을 향하여 분풍이 실시된다. 상기 하류측의 면과 지주 (33) 의 간극은 곡립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 또는 통과가 적은 영역이다. 또, 분풍구 (82) 를 형성함으로써, 곡립의 끼임이나 씹힘이 방지됨과 함께, 저항체 (34) 의 회동이 순조러워진다. 그리고, 분풍구 (82) 로부터 정백실 (30) 로 분풍되는 바람은, 상기 분풍구 (32) 로부터 정백실 (30) 로 분풍되는 바람과 함께, 정백실 (30) 내의 쌀겨를 확실하게 제강실 (31) 로 이송하도록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지주 (33) 에는 연삭식 정백롤 (26) 의 원주 방향으로의 곡립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연직 방향으로 긴 장척의 저항체 (34)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저항체 (34) 는 스프링 (37) (탄성체) 에 의해 정백실 (30) 내를 향하여 미리 설정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돌출되어 있고, 또한 이동하는 곡립의 압박력 에 따라 정백실 (30) 내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탄성 지지력은 정백실 (30) 내의 곡립이 연삭식 정백롤체 (84) 의 회전에 수반하여,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 (공전이나 자전) 을 받으면서, 연삭식 정백롤 (26) 의 둘레면에 접촉함으로써 곡립의 표면층이 깎이는 상태로 하는 것이고, 한편, 어느 때에, 정백실 (30) 내에서 쇄립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되어 오면, 곡립의 압박력에 의해 스프링 (37) (탄성체)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정백롤 (26)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로써, 정곡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항체 (34) 의 돌출량 (곡립의 이동을 억제하는 정도) 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 2]
도 9 ∼ 12 는 실시예 2 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1) 의 전체 구성, 곡립 공급부, 연삭 정곡부, 곡립 배출부, 집강부, 본체 베이스부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또, 설명을 원용한다.
실시예 1 에 대해 실시예 2 는, 저항체 장치 (36) 및 외기 도입 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저항체 장치]
저항체 장치 (36) 는 주축 (19) 의 축 방향으로 길고, 연삭 정백롤체 (84) 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이다 (도 10).
저항체 장치 (36) 의 내부 기구에 대해 도 10,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강 철망통 (28) 을 고정시키는 지주 (33) 에는, 저항체 장치 (36) 의 커버체 (36a) 가 고정 형성됨과 함께, 그 커버체 (36a) 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저항체 장치 (36) 의 본체 (36b) 가 고정 형성된다. 저항체 장치 (36) 는 탄성 지지 장치 (85) 를 구비한다. 탄성 지지 장치 (85) (도 11) 는 상기 본체 (36b), 스프링 (37), 조압 다이얼 (38), 나사축 (65), 제 1 스프링 (69), 슬라이딩축 (7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36b) 에는 나사공 (도시 생략) 을 천공 형성하고, 그 나사공에 나사축 (65) 을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그 나사축 (65) 과 본체 (36b) 의 간극에 슬라이딩통 (66) 을 끼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 (65) 의 선단부에는 그 나사축 (65) 에 고정 형성된 고정 스프링 받침대 (67) 와, 그 나사축 (65)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와, 상기 나사축 (65) 의 고정 스프링 받침대 (67) 및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사이에 끼워 장착된 제 1 스프링 (69) 을 형성하고,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가 제 1 스프링 (69) 의 탄성력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나사축 (65) 의 후단측에는 수나사부 (65a) 를 형성함과 함께, 그 수나사부 (65a) 에는 상기 슬라이딩통 (66) 을 도 8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조압 다이얼 (38) 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부호 70 은 조압 다이얼 (38) 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부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 (36a) 에는 상기 나사축 (65) 하방으로 그 나사축 (65) 과 평행한 슬라이딩축 (71) 이 삽입 통과되고, 그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측이 상기 지주 (33) 의 중앙 개구부 (33a) 에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부 (71a) 가 조인트부 (72) 를 통하여 저항체 (34) 에 연결되어 있다. 저항체 (34) 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경첩 (64) (도 9) 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한 장척의 판이다. 저항체 (34) 는 판의 일단 가장자리와 지주 (33) 가 경첩 (64) 에 의해 지지되고, 판의 타단 가장자리가 탄성 지지 장치 (85) 에 의해 경첩 (64) 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 (회동 가능) 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축 (71) 의 선단측은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슬라이딩축 (71) 에 고정 형성된 제 2 고정 스프링 받침대 (73) 와. 슬라이딩축 (71)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와, 상기 제 2 고정 스프링 받침대 (73) 및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사이에 끼워 장착된 스프링 (37)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와 상기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사이에는, 상기 가동 스프링 받침대 (68) 의 가동에 수반하여 동일한 변위량으로 상기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4) 를 가동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 (75) 가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83 은 연삭식 정백롤 (26) 과 저항체 (34) 의 간극의 크기를 미조정할 수 있는 미조절 너트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 에 있어서, 저항체 (34) 는 정백실 (30) 의 공간에 위치하고, 경첩 (64) 을 중심으로 회동한 자세로 이 공간을 이동하는 곡립의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의 회동한 자세는 연삭 정백롤체 (84) 의 회전에 의한 곡립의 흐름 (이동) 에 관해서 경첩측이 상류, 타단측이 하류측이 되는 경사진 자세이다. 그리고, 저항체 (34) 는 탄성 지지 장치 (85) 의 스프링 (37) 에 의해 정백롤 (26) 측으로 압착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고, 이 탄성 지지력은 조압 다이얼 (38) 의 회동 위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37) 에 의한 탄성 지지력은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는, 정백실 (30) 내의 곡립이 연삭식 정백롤체 (84) 의 회전에 수반하여,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을 받으면서, 연삭식 정백롤 (26) 의 둘레면에 접촉함으로써 곡립의 표면층이 깎이는 상태로 하는 정도의 것이고, 한편,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정백실 (30) 내에서 쇄립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 상태에서는, 곡립의 압박력에 의해 저항체 (34) 가 스프링 (37)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경첩 (64) 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빠져나가도록 회동하여, 정백롤 (26)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곡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항체 (34) 의 돌출량 (곡립의 이동을 억제하는 정도) 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시예 2 에 있어서도, 곡립 공급부 (2) 의 커버체 (12) 의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76) 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삭 정곡부 (3) 의 각 지주 (33) 를 덮는 지주 커버 (79) (도 1) 에 있어서도, 그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80) 가 형성되고, 이들로부터 취입된 외기를 연삭 정곡부 (3) 내부에 유통시켜 정곡에 의해 발생한 쌀겨를 정백실 (30) 로부터 제강실 (31) 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지주 (33) 의 외기 취입구 (81) 로부터 취입된 외기는, 저항체 (34) 의 곡립의 이동에 관한 하류측의 면과 지주 (33) 의 간극에 형성된 분풍구 (82) 로부터 정백실 (30) 을 향하여 분풍된다. 실시예 2 의 경우에는 특히, 저항체 (34) 가 판이고, 그 곡립의 이동에 관해서 상류측의 단 가장자리가 경첩 (64) 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단 가장자리가 연삭 정백롤체 (84) 에 근접하는 경사 상태가 되므로, 저항체 (34) 의 상기 하류측에 곡립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만들기 쉽다. 이 때문에, 이 지점에 형성된 분풍구 (82) 로부터는 곡립에 방해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분풍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3, 14 는 실시예 3 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1) 의 전체 구성, 곡립 공급부, 연삭 정곡부, 곡립 배출부, 집강부, 본체 베이스부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며, 또한 설명을 원용한다.
실시예 2 에 대해 실시예 3 은, 저항체 장치 (36) 및 외기 도입 구조에 있어서, 탄성 지지 장치 (85) 의 탄성 지지 수단을 에어압으로 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저항체 장치]
저항체 장치 (36) 는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축 (19) 의 축 방향으로 길고, 연삭 정백롤체 (84) 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이다.
저항체 장치 (36) 의 내부 기구에 대해 도 13,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강 철망통 (28) 을 고정시키는 지주 (33) 에는, 저항체 장치 (36) 의 커버체 (36a) 가 고정 형성됨과 함께, 그 커버체 (36a) 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팽출하도록 조압 장치 (38) 가 형성되어 있다.
저항체 장치 (36) 는 탄성 지지 장치 (85) 를 구비한다. 탄성 지지 장치 (85) 는 에어 엑추에이터로서, 에어 실린더 (86), 가동 로드 (87) 및 상기의 조압 장치 (38) 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 (86) 는 일단의 장착부 (88) 를 조압 장치 (38) 측의 결합 블록 (89) 에 축 (90)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을 저항체 (34) 에 프리 조인트 구조 (91)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저항체 (34) 는 일단을 지주 (33) 측에 축 (92)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동 로드 (87) 의 진퇴에 의해 축 (92)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삭식 정백롤 (26) 에 대한 돌출도 (경사 각도) 를 조정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 (86) 에는, 컴프레서 (92) 로부터 레귤레이터 (93) 를 통하여 지관 (枝管) (No1) 이 접속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86) 내부에 에어압이 공급되고 있다. 이 에어압은 레귤레이터 (93) 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 (93) 에는 지관 (No1 ∼ No4) 이 접속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4 개 형성한 저항체 장치 (36) 에 있어서의 에어 실린더 (86) 각각으로 배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저항체 장치 (36) 의 저항체 (34) 는 에어압을 받아 상기 경첩 (64)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곡립의 이동을 억제한다.
에어 실린더 내의 에어압에 의한 탄성 지지력은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는 정백실 (30) 내의 곡립이 연삭식 정백롤체 (84) 의 회전에 수반하여, 저압력하에서 활발한 유동 작용을 받으면서, 연삭식 정백롤 (26) 의 둘레면에 접촉함으로써 곡립의 표면층이 깎이는 상태로 하는 정도의 것이고, 한편,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정백실 (30) 내에서 쇄립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 상태에서는, 곡립의 압박력에 의해 저항체 (34) 를 통하여 가동 로드 (87) 가 에어압에 저항하여 밀려 넣어진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데, 이 압력 변화는 레귤레이터 (93) 가 조정하여, 곡립의 이동이 과잉으로 억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시예 1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곡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항체 (34) 의 돌출량 (곡립의 이동을 억제하는 정도) 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이 때, 에어압에 의한 탄성 지지이므로, 탄성 지지 장치에 있어서, 탄성 지지를 부여하는 부재를 에어 액추에이터로 하면, 압력 검출 센서 등과 조합하여 곡립의 이동에 대한 저항체의 저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혹은 적극적으로 조절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에어 댐퍼를 사용하면, 탄성체의 경우에 비해 저항 조절의 응답성이 순조롭고 곡립의 이동을 교란시키는 경우가 적다.
또한, 실시예 3 에 있어서도, 곡립 공급부 (2) 의 커버체 (12) 의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76) 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삭 정곡부 (3) 의 각 지주 (33) 를 덮는 지주 커버 (79) (도 1) 에 있어서도, 그 둘레벽에 복수의 외기 취입구 (80) 가 형성되고, 이들로부터 취입된 외기를 연삭 정곡부 (3) 내부에 유통시켜 정곡에 의해 발생한 쌀겨를 정백실 (30) 로부터 제강실 (31) 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수직형 또는 가로형의 정곡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정곡기
2 : 곡립 공급부
3 : 연삭 정곡부
4 : 곡립 배출부
5 : 집강부
6 : 본체 베이스부
7 : 셔터 기구
8 : 곡립 공급통
9 : 안내체
10 : 상부 베어링부
11 : 유량 조절 장치
12 : 커버체
13 : 반송 나선
14 : 공급구
15 : 개폐 밸브
16 : 개폐 구동부
17 : 베어링 커버
18 : 베어링
19 : 주축
20 : 키
21 : 칼라
22 : 케이싱
23 : 고정판
24 : 회동판
25 : 조절 레버
26 : 연삭식 정백롤
27 : 스페이서
28 : 제강 철망통
29 : 제강 커버
30 : 정백실
31 : 제강실
32 : 분풍구
33 : 지주
34 : 저항체
35 : 지지 볼트
36 : 저항체 장치
37 : 스프링
38 : 조압 다이얼
39 : 배출구
40 : 배출홈통
41 : 축
42 : 분동 레버
43 : 저항판
44 : 분동
45 : 쌀겨 배출통
46 : 쌀겨 배출관
47 : 쌀겨 흡인팬
48 : 풀리
49 : 아암부
50 : 보스부
51 : 림부
52 : 공간부
53 : 하부 베어링부
54 : 베어링 케이스
55 : 곡립 배출롤
56 : 모터 베이스
57 : 구동용 모터
58 : 모터 풀리
59 : V 벨트
60 : 이동 장치
61 : 훅부
62 : 수나사부
63 : 암나사부
64 : 경첩 (지점)
65 : 나사축
66 : 슬라이딩통
67 : 고정 스프링 받침대
68 : 가동 스프링 받침대
69 : 제 1 스프링
70 : 로크부
71 : 슬라이딩축
72 : 조인트부
73 : 제 2 고정 스프링 받침대
74 : 제 2 가동 스프링 받침대
75 : 연결 부재
76 : 외기 취입구
77 : 개구
78 : 통풍구
79 : 지주 커버
80 : 외기 취입구
81 : 외기 취입구
82 : 분풍구
83 : 미조절 너트
84 : 연삭 정백롤체
85 : 탄성 지지 장치
86 : 에어 실린더
87 : 가동 로드
88 : 장착부
89 : 결합 블록
90 : 축
91 : 프리 조인트
92 : 컴프레서
93 : 레귤레이터

Claims (8)

  1. 상하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 제강 철망통과, 그 제강 철망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주축과, 그 주축에 다수의 연삭식 정백롤을 축착한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와,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 사이에 형성한 정백실과, 상기 제강 철망통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강실 및 저항체 장치를 구비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서,
    상기의 저항체 장치는, 상기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 세워 형성된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저항체와 탄성 지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선단면 (先端面) 이 상기 정백실 내에 있어서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선단면이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대해 연삭식 정백롤체의 반경 방향에서 원근으로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고,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항상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한 탄성 지지를 상회할 때, 이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로부터 후퇴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 지지 장치의 탄성 지지가 에어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저항체 장치의 상기 복수의 지주는, 제강 철망통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가 되고, 복수의 지주는 상기 복수로 분할된 제강 철망통부의 각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서로 원주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세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 각각은, 연삭식 정백롤체의 축 방향으로 긴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에는, 상기 저항체의 상기 정백실 내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압 다이얼의 회동 위치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저항체 장치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5. 상하 방향으로 세워 형성된 제강 철망통과, 그 제강 철망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주축과, 그 주축에 다수의 연삭식 정백롤을 축착한 일체적인 연삭식 정백롤체와,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 사이에 형성한 정백실과, 상기 제강 철망통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제강실 및 저항체 장치를 구비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서,
    상기의 저항체 장치는, 상기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 세워 형성된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저항체와 탄성 지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선단면 (先端面) 이 상기 정백실 내에 있어서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선단면이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외주면에 대해 연삭식 정백롤체의 반경 방향에서 원근으로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고,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해 항상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탄성 지지 장치에 의한 탄성 지지를 상회할 때, 이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상기 연삭식 정백롤체로부터 후퇴되는 것이고,
    상기 저항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 (一端) 가장자리와 상기 지주가 경첩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타단 (他端) 가장자리가 상기 탄성 지지 장치에 연계되어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외기 취입구와 분풍구를 형성하고, 이 분풍구를 저항체 장치에 있어서의 저항체의 곡립의 흐름에 관하여 하류측으로서, 저항체에 근접한 지점에 배치하고, 이 분풍구로부터 상기 정백실을 향하여 분풍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7.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 지지 장치의 탄성 지지가 탄성체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8.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 지지 장치의 탄성 지지가 에어압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KR1020137032881A 2011-05-13 2012-04-23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KR101931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8283A JP2014039888A (ja) 2011-05-13 2011-05-13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JP-P-2011-108283 2011-05-13
PCT/JP2012/060805 WO2012157402A1 (ja) 2011-05-13 2012-04-23 研削式竪型精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218A KR20140034218A (ko) 2014-03-19
KR101931838B1 true KR101931838B1 (ko) 2018-12-21

Family

ID=4717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881A KR101931838B1 (ko) 2011-05-13 2012-04-23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1371B2 (ko)
JP (2) JP2014039888A (ko)
KR (1) KR101931838B1 (ko)
CN (1) CN103687669B (ko)
BR (1) BR112013028954B1 (ko)
WO (1) WO2012157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4546A1 (en) * 2010-04-12 2011-10-12 Nordson Corporation Powd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lour change in a powder supply system
CN103263954A (zh) * 2013-05-16 2013-08-28 何灏 一种研磨单元及精米系统
JP6090064B2 (ja) * 2013-08-27 2017-03-08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4984796A (zh) * 2015-06-16 2015-10-21 苏细调 内置螺旋压缩机的搅碎机
JP6548014B2 (ja) * 2015-07-24 2019-07-24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5013555B (zh) * 2015-07-28 2017-07-07 昆明理工大学 一种螺旋柔性力三七红子去皮机
JP1566815S (ko) * 2016-06-27 2017-01-16
CN107670753A (zh) * 2016-08-02 2018-02-09 北京东孚久恒仪器技术有限公司 一种立式碾米机
CN111111814B (zh) * 2020-02-26 2021-07-20 宁波粮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砂辊碾米机米刀组件调节装置
CN112675943B (zh) * 2021-01-13 2022-08-12 湖南浩天米业有限公司 一种卧式逆圆锥砂辊碾米机
JP7298634B2 (ja) * 2021-03-01 2023-06-27 株式会社サタケ 精穀機
CN214863824U (zh) * 2021-05-27 2021-11-26 鄂州市兴方磨具有限公司 一种立式砂辊碾米装置
CN116078458A (zh) * 2021-10-29 2023-05-09 深圳市锦禾粮食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率粮食去皮成糠及吸糠装置与系统
CN114151686B (zh) * 2021-11-25 2023-06-09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南平供电公司 一种输电巡检智能管控系统
CN114505115B (zh) * 2022-03-10 2023-06-09 深圳市麦稻科技有限公司 一种谷物磨削机构及谷物磨削装置
CN114534855B (zh) * 2022-03-10 2023-06-09 深圳市麦稻科技有限公司 一种磨削排糠机构及谷物磨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455A (en) * 1984-05-14 1986-04-22 Salete Garces Felipe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JP2010162473A (ja) 2009-01-15 2010-07-29 Mory Grain Mill Laboratories Ltd 精米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537U (ja) * 1984-03-16 1985-10-08 タイワ農機株式会社 循環式精米機における抵抗装置
JPH0822389B2 (ja) * 1987-07-27 1996-03-0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竪軸型摩擦切削式精米機
JP3266167B2 (ja) * 1993-08-06 2002-03-18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PH31195A (en) 1995-05-08 1998-04-24 Satake Eng Co Ltd Abrasive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4610254B2 (ja) 2004-07-29 2011-01-1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米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455A (en) * 1984-05-14 1986-04-22 Salete Garces Felipe Screen and rotor assembly for grain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s
JP2010162473A (ja) 2009-01-15 2010-07-29 Mory Grain Mill Laboratories Ltd 精米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7669B (zh) 2015-04-29
CN103687669A (zh) 2014-03-26
US20140174302A1 (en) 2014-06-26
BR112013028954A2 (pt) 2016-08-09
JPWO2012157402A1 (ja) 2014-07-31
KR20140034218A (ko) 2014-03-19
WO2012157402A1 (ja) 2012-11-22
JP2014039888A (ja) 2014-03-06
US9511371B2 (en) 2016-12-06
JP5935797B2 (ja) 2016-06-15
BR112013028954B1 (pt)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38B1 (ko)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CN102407174B (zh) 研磨式立式碾谷机
KR20180033516A (ko)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2382412B1 (ko) 횡형 연삭식 정곡기
CN104707680B (zh) 精磨装置
CN103920556A (zh) 稻谷剥壳抛光机
CN107372888B (zh) 一种太平猴魁茶叶自动加工设备
CN105188940B (zh) 砻谷机
CN201042701Y (zh) 农用圆锥型离心式风机
CN107873256A (zh) 带式脱粒机
CN210700264U (zh) 一种均匀润湿的大米抛光装置
JP5791916B2 (ja) 精米機用定量供給装置
CN207903605U (zh) 一种编织袋覆膜机的进料机构
TW202023686A (zh) 研磨式縱型碾穀機
JP7439463B2 (ja) 横型穀類脱皮装置
JP4572855B2 (ja) 竪型精米装置
CN105964189A (zh) 一种新型制粒机
CN211532371U (zh) 一种水产养殖用自动喂料装置
CN210494625U (zh) 一种药片包衣装置
JP3294248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5964188A (zh) 一种制粒机
JP3394702B2 (ja) 研米装置
CN107029852A (zh) 一种可分级溢流式对冲数控磨机
CN112693177A (zh) 一种纳米滤纸皱折加工装置
JPH11207198A (ja) 摺落米風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