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412B1 - 횡형 연삭식 정곡기 - Google Patents
횡형 연삭식 정곡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2412B1 KR102382412B1 KR1020197027087A KR20197027087A KR102382412B1 KR 102382412 B1 KR102382412 B1 KR 102382412B1 KR 1020197027087 A KR1020197027087 A KR 1020197027087A KR 20197027087 A KR20197027087 A KR 20197027087A KR 102382412 B1 KR102382412 B1 KR 1023824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grinding
- milling
- mill
- polishing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정백실 내의 내부 압력을 균등화하여,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균일 도정을 막고, 또,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싸라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는, 제강 정백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주축에 연삭롤을 축장하고, 상기 제강 정백통과 상기 연삭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락하여 구성된다. 상기 횡형 연삭식 정곡기는, 상기 제강 정백통의 내주면에, 상기 곡립 공급부로부터 상기 곡립 배출부에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를 고정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 정백통에는,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삭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정백실 저항체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횡형 연삭식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횡형 연삭식 정곡기로서 특허문헌 1 내지 6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 내지 6 에 기재된 정곡기는, 횡축 연삭롤을 내장함으로써 정백실에 형성되는 다공벽 정백통의 일부 혹은 전부의 내면에 있어서, 곡립을 상기 횡축 연삭롤의 회전 방향으로 선회시키면서 유도 전송 (前送) 시키도록, 경사상으로 나선조 (螺旋條) 를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정백실에 공급된 곡립이 나선조의 경사 가장자리를 따라 완만하게 유도되기 때문에, 장행정의 정백실이여도 강력한 송곡 전자를 사용하지 않고, 정백통측에 있는 나선조에 의해, 막힘을 발생시키거나, 싸라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장행정의 연삭 정곡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6 에 기재된 정곡기는, 정백통의 선단측에 배곡구 (정백미 출구) 가 형성되고, 그 배곡구에, 이것을 피복하도록 배곡용 셔터 (개폐 밸브) 가 장착되고, 그 배곡용 셔터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저항 장치 (분동) 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횡축 연삭롤에 의해 송곡될 때에, 곡립 (정백미) 이 배곡용 셔터의 압력에 저항하여 머신 밖으로 배출하도록 정백실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곡립을 낮은 도정도 (搗精度) 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횡축형이기 때문에 도정실 내의 상부측의 충만도가 낮아지고, 한편으로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곡구 부근에 여분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곡온의 상승이나 기계적인 싸라기의 발생을 유인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백실 내의 내부 압력을 균등화하여,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균일 도정을 막고, 또,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싸라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강 (除糠) 정백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주축에 연삭롤을 축장 (軸裝) 하고, 상기 제강 정백통과 상기 연삭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락한 횡형 연삭식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의 내주면에, 상기 곡립 공급부로부터 상기 곡립 배출부에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를 고정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 정백통에는,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상기 연삭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정백실 저항체를 적어도 하나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정백실 저항체가, 장척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거의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L 자형의 정백실 저항체가,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된 기단부와, 상기 연삭롤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선단부와,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하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정백실 저항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하는 저항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저항편이,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제강 정백통에,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압송풍이 송급 가능해지도록 급풍 덕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제강 정백통을 세로 분할상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부로 형성함과 함께, 그 복수의 분할부 사이에는, 그 분할부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블록부를 개재 삽입하고, 그 연결 블록부 내에 상기 정백실 저항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연결 블록부 내에 상기 급풍 덕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연삭식 정곡기를 복수 연결 형성한 것으로서,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상부에 제 1 연삭식 정곡기를,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중앙부에 스크루 컨베이어를,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하부에 제 2 연삭식 정곡기를 각각 일체적으로 배치하여 장행정 정곡기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제강 정백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주축에 연삭롤을 축장하고, 상기 제강 정백통과 상기 연삭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락한 횡형 연삭식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의 내주면에, 상기 곡립 공급부로부터 상기 곡립 배출부에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를 고정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 정백통에는,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상기 연삭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정백실 저항체를 적어도 하나 형성해 두었으므로, 미립이 제강 정백통의 내주면에 형성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를 따라 곡립 배출부측으로 유동 (공전·자전) 하면서 도정 작용을 받아, 비교적 안정적인 유량을 확보함으로써 막힘을 발생시키거나, 싸라기를 발생시키게 한다는 문제는 없어진다.
한편,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횡축형이기 때문에 정백실 내의 상부측의 충만도가 낮아져, 도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정백실에 배치 형성한 복수의 정백실 저항체가, 연삭롤측으로 밀려나와, 정백실 저항체에 의해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곡립에는 정백실 내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이 부여되어, 곡립의 받아내는 작용에 의해 정백실 내의 충만도가 안정되어, 나선 날개의 이송 작용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도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곡립에 부착된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한편,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 나선 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배곡구 부근에 여분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곡온의 상승이나 기계적인 싸라기의 발생을 유인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정백실에 배치 형성한 복수 개의 정백실 저항체가, 연삭롤과는 반대측으로 후퇴되어, 연삭롤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져, 곡립의 포착이 완화된다. 이로써, 여분의 마찰 저항의 발생이 억제되어, 싸라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강 정백통에,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압송풍이 송급 가능해지도록 급풍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정백실 내에 적극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고, 이로써, 미립에 부착된 강분 (糠粉) 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미립의 냉각 효과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백실 내의 내부 압력을 균등화하여,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균일 도정을 막고, 또,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싸라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횡형 연삭식 정곡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정곡부 커버를 벗겨 정백통이 나타났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 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중앙에서 세로로 파단했을 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은 정백통을 세로 분할상으로 2 분할로 한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정백통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연결 블록부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에 있어서 일점 쇄선의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바닥면측).
도 14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면측).
도 15 은 저항편이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저항편이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다른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제당실로의 분풍과 도정실 내부로의 분풍의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정곡부 커버를 벗겨 정백통이 나타났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 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중앙에서 세로로 파단했을 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은 정백통을 세로 분할상으로 2 분할로 한 절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정백통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연결 블록부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에 있어서 일점 쇄선의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바닥면측).
도 14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면측).
도 15 은 저항편이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저항편이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다른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제당실로의 분풍과 도정실 내부로의 분풍의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횡형 연삭식 정곡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는 정곡부 커버를 벗겨 정백통이 나타났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개략 정면도이며, 도 4 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횡형 연삭식 정곡기 (1) 는, 세로로 긴 박스상의 머신 프레임 (2a) 상부에 배치한 횡형의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와, 머신 프레임 (2a) 중앙부에서, 상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의 하방 위치에 배치한 스크루 컨베이어 (4) 와, 그 머신 프레임 (2a) 하부에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 (4) 의 하방 위치에 배치한 횡형의 제 2 연삭식 정곡기 (5) 로 주요부가 구성된다. 상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스크루 컨베이어 (4)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는 상하로 평행상으로 일체적으로 병설하여, 1 회 통과하는 것만으로 정백이 완료되도록 장행정 정곡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신 프레임 (2a) 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로부터의 겨를 집강 (集糠) 하는 집강 호퍼 (6) 를 형성하고, 그 집강 호퍼 (6) 의 하부에는, 도면 외의 버그 필터 등 집진 장치에 연락하기 위한 집진관 (7) 이 형성된다. 상기 머신 프레임 (2a) 의 상부 일측에는, 원료 공급 호퍼 (8) 가 형성되고, 머신 프레임 (2a) 의 상부 타측에는, 저항 장치 (분동) 를 내장한 곡립 배출부 (9) 가 형성된다. 부호 2b 는 머신 프레임 (2a) 의 대좌가 되는 프레임이고, 부호 2c 는 정곡부 커버이고, 부호 200 은 정품 (精品) 배출구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연삭식 정곡기 (3) 는, 머신 프레임 (2a) 에 정곡용의 철망이 되는 다공벽 제강 정백통 (10) 을 가로놓고, 그 정백통 (10) 내부에 정곡용의 연삭롤 (11) 및 송곡용의 나선롤 (12) 을 동일한 회전축 (13) 에 축장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삭롤 (11) 과 정백통 (10) 사이에는 정백실 (14) 에 형성하는 한편, 정백통 (10) 의 외측은 제강실 (15) 에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백실 (14) 의 일단측에는, 원료 공급구 (16) 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정백실 (14) 의 타단측에는, 그 정백실 (14) 을 막는 저항 덮개 (17) 와, 그 저항 덮개 (17) 내방측의 곡립 배출구 (18) 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13) 은, 그 양단이 베어링 (19, 19) 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 축착된 제 1 풀리 (20)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2b) 에는 구동용의 모터 (21) 가 설치되어 있고, 그 모터 (21) 의 모터축에 축착된 제 1 모터 풀리 (22) 와 상기 제 1 풀리 (20) 사이에는 벨트 (23) 가 감겨져 있다. 이로써, 모터 (21) 의 회전력이 회전축 (13) 에 전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와 동일한 구성이다. 즉,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에서는, 부호 30 이 다공벽 제강 정백통, 부호 31 이 연삭롤, 부호 32 가 나선롤, 부호 33 이 회전축, 부호 34 가 정백실, 부호 35 가 제강실, 부호 36 이 원료 공급구, 부호 37 이 저항 덮개, 부호 38 이 곡립 배출구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축 (33) 은, 그 양단이 베어링 (39, 39) 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 축착된 제 2 풀리 (40)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21) 의 모터축에 축착된 제 2 모터 풀리 (41) 와 상기 제 2 풀리 (40) 사이에는 벨트 (42) 가 감겨져 있다. 이로써, 모터 (21) 의 회전력이 회전축 (33) 에 전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 (4) 는, 스크루축 (50) 과 그 스크루축 (50) 에 축착된 스크루 날개 (51) 를 컨베이어 케이스 (52) 내에 수용한 것으로, 베어링 (53, 53)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축 (50) 에 축착된 제 4 풀리 (55) 와 상기 회전축 (33) 에 축착된 제 3 풀리 (54) 사이는, 벨트 (56) 및 텐션 (57) 을 개재하여 회전력이 스크루축 (50) 에 전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배출부 (9) 에는, 상기 저항 덮개 (17) 의 압박도를 조절하는 저항 장치 (분동) 가 내장되어 있다. 저항 장치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저항 덮개 (17, 37) 의 회동축 (25, 25) 에 레버 (26, 26) 를 축착하고, 레버 (26, 26) 에 분동 (27, 27) 을 끼워 장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한 저항 장치로 해도 된다. 그리고, 곡립 배출부 (9) 에는, 시료 채취 도어 (28, 28)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연삭식 정곡기 (3)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에는, 도 3, 도 6,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백통 (10) 의 내측의 내주면에, 원료 공급구 (16) 로부터 곡립 배출구 (18) 에 걸쳐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 (6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는 곡립을 지면의 좌측을 향하여 이송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이 나선 날개 (60) 는, 도 3 의 개략 정면도에서는, 경사진 나선 날개 (60) 가 다수 연결 형성되는 것처럼 보이고, 도 7 에서는 정백통 (10) 의 철망면으로부터 나선 날개 (60) 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고, 도 8 의 사시도에서는 정백통 (10) 의 내주면에 나선 날개 (60) 의 호가 그려지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도 6,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정백통 (10 (30)) 은, 다수의 제강공 (80J) 을 구비한 원통을 세로 분할상으로 2 분할로 한 절반부 (80a, 80b) 가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절반부 (80a, 80b) 는, 연결 블록부 (90a, 90b) 에 의해 절반부 (80a, 80b) 의 각 양측 가장자리 (80R) 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 블록부 (90a, 90b) 내에는, 정백실 (14 (34))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 가능한 정백실 저항체 (100a, 100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정백실 저항체 (100) 는, 횡형의 연삭롤 (11 (31))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판상이고 (도 8, 도 9), 또한, 횡단면이 갈고랑이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 즉, 도 6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백실 저항체 (100a, 100b) 는, 횡단면이 거의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정백실 저항체 (100a, 100b) 는, L 자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갈고랑이 (열쇠) 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횡단면에서 보아「く」자형이나,「J」자형이나,「U」자형의 형상을 여러 가지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호 70 은 절반부 (80a, 80b) 를 분해·조립할 때의 손잡이이다.
정백실 저항체 (100) 는, 그 선단부 (101) 가 연삭롤 (11 (31)) 의 외주면에 근접한다 (도 6). 이 때의 선단부 (101) 는 중심 방향 (회전축 (13 (33)) 방향) 을 향하고 있다. 또, 선단부 (101) 의 굴곡부 (102) 는 연삭롤 (11 (31)) 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선단부 (101) 의 타방측의 기단부 (103) 는, 연결 블록부 (90a, 90b) 에 내장한 축 (104) 에 축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정백실 저항체 (100) 에는, 탄성 지지 장치 (105) 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 지지 장치 (105) 는, 에어 액추에이터이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 (106), 가동 로드 (107) , 연결간 (連結杆) (108) 및 회동편 (109)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백실 저항체 (100) 는 일단을 연결 블록부 (90a, 90b) 에 내장한 축 (104) 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동 로드 (107) 의 진퇴 (도 6 의 부호 A 의 화살표) 에 의해 축 (104)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삭롤 (11 (31)) 의 외주면으로의 선단부 (101) 의 근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 (106) 에는, 컴프레서로부터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지관이 접속되어 있고 (모두 도시 생략), 내부에 에어압이 공급되고 있다. 이 에어압은,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정백실 저항체 (100) 는, 에어압을 받아 상기 축 (104)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곡립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횡형 연삭식 정곡기 (1) 에서는, 머신 프레임 (2a) 상부에 압송팬 (150) 이 형성되고, 연결 블록부 (90a, 90b) 에 형성한 급풍 덕트 (152a, 152b, 152c, 152d) 를 통하여 정백실 (14 (34)) 내에 적극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머신 프레임 (2a) 상부에 압송팬 (150) 이 형성되고, 그 압송팬 (150) 의 송풍 덕트 (151) 로부터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의 급풍 덕트 (152a, 152b)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의 급풍 덕트 (152c, 152d) 로 각각 분기되어 급풍이 실시된다.
상기 연결 블록부 (90a, 90b) 에는, 상기 급풍 덕트 (152a, 152b, 152c, 152d) 와 함께, 상기 정백실 (14) 과 연통하는 공기실 (153a, 153b, 153c, 153d)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압송팬 (150) 의 송풍 덕트 (151) 가 연락관 등 (도시 생략) 을 통하여 급풍 덕트 (152a, 152b, 152c, 152d) 에 연결되어 있고, 압송풍이 공기실 (153a, 153b, 153c, 153d) 을 거쳐 정백실 (14) 내를 향하여 송풍이 실시된다.
이로써, 제 1 연삭식 정곡기 (3)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에 있어서 제강 효율과 냉각 효율의 양자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연삭식 정곡기 (3) 의 원료 공급 호퍼 (8) (도 1 내지 도 4 참조) 에 공급되는 원료 미립 (현미) 은, 원료 공급구 (16) 로부터 나선롤 (12) 에 의해 적당한 공급 유량으로 조절되어 정백실 (14) 에 공급된다.
정백실 (14) 내에 있어서, 원료 미립은 연삭롤 (11) 의 회전에 의해, 연삭롤 (11) 의 둘레면의 지립과 접촉함으로써 미립의 표면층이 깎인다. 이 때, 정백실 (14) 에서는, 미립이 정백통 (10) 의 내주면에 형성한 나선 날개 (60) 를 따라 곡립 배출구 (18) 측으로 유동 (공전·자전) 하면서 정곡 작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정백실 (14) 내에 있어서, 곡립을 연삭롤 (11) 의 회전 방향으로 선회시키면서, 곡립 배출구 (18) 측으로 유도되어 전진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유량을 확보함으로써 막힘을 발생시키거나, 싸라기를 발생시키게 한다는 문제는 없어진다.
한편, 나선 날개 (60) 를 형성하고 있어도 횡축의 연삭롤 (11) 에 의해 정곡할 때,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횡축형이기 때문에 정백실 내의 상부측의 충만도가 낮아져, 도정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정백실 (14) 내에 배치 형성한 복수 개의 정백실 저항체 (100) 가, 에어 실린더 (106) 의 가동 로드 (107) 의 수축에 의해 연삭롤 (11) 측으로 밀려나와, 정백실 저항체 (100) 의 선단부 (101) 가 연삭롤 (11) 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이로써, 연삭롤 (11) 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이 포착되고, 정백실 (14) 에 공급되는 원료 미립이 정백실 저항체 (100) 의 굴곡부 (102) 측으로 이동하여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이 때, 곡립에는 정백실 (14) 내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이 부여되게 된다 (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백실 저항체 (100) 의 선단부 (101) 가 연삭롤 (11) 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굴곡부 (102) 에서 곡립이 포착되게 되기 때문에, 곡립의 받아내는 작용에 의해 정백실 (14) 내의 충만도가 안정되고, 나선 날개 (60) 의 이송 작용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도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곡립에 부착된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한편,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 나선 날개 (60) 가 형성되어 있으면, 배곡구 부근에 여분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곡온의 상승이나 기계적인 싸라기의 발생을 유인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에어 실린더 (106) 의 가동 로드 (107) 가 신장되어, 연삭롤 (11) 과는 반대측으로 퇴행되어, 정백실 저항체 (100) 의 선단부 (101) 가 연삭롤 (11) 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이로써, 연삭롤 (11) 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의 포착이 완화된다. 이로써, 여분의 마찰 저항의 발생이 억제되어, 싸라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 참조).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참조), 압송팬 (150) 이 형성되어 있어, 정백실 (14 (34)) 내에 적극적으로 송풍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연삭식 정곡기 (3) 및 제 2 연삭식 정곡기 (5) 에 있어서 미립에 부착된 강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미립의 냉각 효과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강 정백통 (10)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주축 (13) 에 연삭롤 (11) 을 축장하고, 제강 정백통 (10) 과 연삭롤 (11)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 (14) 의 일단을 원료 공급구 (16) 에, 타단을 곡립 배출구 (18) 에 각각 연락한 횡형 연삭식 정곡기 (1) 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 (10) 의 내주면에, 상기 원료 공급구 (16) 로부터 곡립 배출구 (18) 로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 (60) 를 고정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 정백통 (10) 에는, 상기 정백실 (14) 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상기 연삭롤 (11) 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정백실 저항체 (100) 를 복수 형성해 두고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낮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 (분도미 등), 횡축형이기 때문에 정백실 내의 상부측의 충만도가 낮아지기 십상이지만, 제강 정백통 (10) 에 형성한 정백실 저항체 (100) 가, 연삭롤 (11) 측으로 밀려나와, 정백실 저항체 (100) 에 의해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이 곡립의 받아내는 작용에 의해 정백실 (14) 내의 충만도가 안정되어, 나선 날개 (60) 의 이송 작용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도정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곡립에 부착된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높은 도정도로 마무리하고자 하는 경우 (고백도의 정미 등), 나선 날개 (60) 가 형성되어 있으면, 배곡구 부근에 여분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곡온의 상승이나 기계적인 싸라기의 발생이 유인되기 십상이지만, 제강 정백통 (10) 에 형성한 정백실 저항체 (100) 가, 연삭롤 (11) 과는 반대측으로 퇴행되어, 정백실 저항체 (100) 가 연삭롤 (11) 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져, 곡립의 포착이 완화된다. 이로써, 여분의 마찰 저항의 발생이 억제되어, 싸라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백실 저항체 (100) 는 일단을 연결 블록부 (90a, 90b) 에 내장한 축 (104)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로드 (107) 의 진퇴에 의해 축 (104)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삭롤 (11 (31)) 의 외주면으로의 선단부 (101) 의 근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곡립이 정백실 (14) 내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이 부여되는 저항체로서,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해도 된다. 도 10 은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에 있어서 일점 쇄선의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도 13, 도 14 는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저항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저항 장치 (200) 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1) 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6, 도 7, 도 8 에 있어서, 연결 블록부 (90a, 90b) 대신에, 본 실시형태의 저항 장치 (200) 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저항 장치 (200) 는,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인 장척상의 저항편 (201) 과, 저항편 (201) 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주 (202) 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 (202) 는, 도 12,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으로 프레임 구조를 이루어, 내부에 저항편 (201) 을 수납 가능하다. 지주 (202) 의 양측 단부에 에어 실린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203)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 (203) 에 장착된 에어 실린더 (204) 의 로드 (205) 에, 저항편 (201) 이 연결되어 있다.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인 저항편 (201) 은, 회전이 아니라, 에어 실린더 (204) 등의 구동 수단을 사용하여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연삭롤 (11 (31)) 의 외주면으로의 저항편 (201) 의 근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요컨대, 에어 실린더 (204) 의 로드 (205) 를 신축함으로써, 저항편 (201) 의 연삭롤 (11 (31)) 의 외주면으로의 근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저항편 (201) 의 외주와 대향하는 지주 (202) 의 내면에, 저항편 (201) 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저항을 저하시키는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저항을 저하시키는 부재로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이 배치되어 있다.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은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지주 (202) 의 내면에 장착된다. 혹은,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을, 저항편 (201) 의 측면에 장착해도 된다. 혹은,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을, 저항편 (201) 및 지주 (202) 의 내면의 양측에 형성해도 된다.
도 11 에서는, 지주 (202) 의 내면에 배치되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중,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을, 탄성을 갖는 웨이브 와셔 (207) 를 개재하여, 지주 (202) 에 장착하고 있는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이 가동되는 구조가 되어, 저항편 (201) 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탄성을 갖는 부재로서 웨이브 와셔 (207)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웨이브 와셔 (207) 로 지지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은, 지주 (202) 의 측면에 형성된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있고,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이 마모된 경우도, 자동적으로 밀려 나오는 구조로 되고 있어, 저항편 (201) 과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는, 회전식의 정백실 저항체를 사용하는 실시형태에 비하여, 정백실 저항체와 그것을 지지하는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 관리가 용이해진다. 직동식의 정백실 저항체는, 가동하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6) 의 구성에 의해, 저항 장치 (200) 에 대한 장착이 용이하다.
도 15 는 저항편 (201) 이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에어 실린더 (204) 의 구동에 의해, 저항편 (201) 이 정백실 (14) 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 (204) 는, 컴프레서로부터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지관이 접속되어 있고 (모두 도시 생략), 내부에 에어압이 공급되어 있다. 이 에어압은,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편 (201) 은, 에어압을 받아 정백실 (14) 방향으로 전후진하여, 곡립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저항 장치 (200) 의 지주 (202) 에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 (208) 을 덮도록 공기실 (209) 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실 (209)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로, 압송팬 (150) 으로부터 송풍을, 정백통 (10) 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백실 (14) 과 정백통 (10) 의 상부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실 (209) 의 송풍구 (209a) 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정백통 (10) 의 상부에 퇴적되는 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이, 저항편 (201) 의 측면과 지주 (202) 의 내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 에 있어서도,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로, 압송팬 (150) 으로부터 송풍을, 정백통 (10) 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백실 (14) 과 정백통 (10) 의 상부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수형 또는 횡형의 정곡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횡형 연삭식 정곡기
2a : 머신 프레임
2b : 프레임
2c : 정곡부 커버
3 : 제 1 연삭식 정곡기
4 : 스크루 컨베이어
5 : 제 2 연삭식 정곡기
6 : 집강 호퍼
7 : 집진관
8 : 원료 공급 호퍼
9 : 곡립 배출부
10 : 다공벽 제강 정백통
11 : 연삭롤
12 : 나선롤
13 : 회전축
14 : 정백실
15 : 제강실
16 : 원료 공급구
17 : 저항 덮개
18 : 곡립 배출구
19 : 베어링
20 : 제 1 풀리
21 : 모터
22 : 제 1 모터 풀리
23 : 벨트
25 : 회동축
26 : 레버
27 : 분동
28 : 시료 채취 도어
30 : 다공벽 제강 정백통
31 : 연삭롤
32 : 나선롤
33 : 회전축
34 : 정백실
35 : 제강실
36 : 원료 공급구
37 : 저항 덮개
38 : 곡립 배출구
39 : 베어링
40 : 제 2 풀리
41 : 제 2 모터 풀리
42 : 벨트
45 : 회동축
50 : 스크루축
51 : 스크루 날개
52 : 컨베이어 케이스
53 : 베어링
54 : 제 3 풀리
55 : 제 4 풀리
56 : 벨트
57 : 텐션
60 : 나선 날개
70 : 손잡이
80 : 절반부
90 : 연결 블록부
100 : 정백실 저항체
101 : 선단부
102 : 굴곡부
103 : 기단부
104 : 축
105 : 탄성 지지 장치
106 : 에어 실린더
107 : 가동 로드
108 : 연결간
109 : 회동편
150 : 압송팬
151 : 송풍 덕트
152 : 급풍 덕트
153 : 공기실
200 : 저항 장치
201 : 저항편
202 : 지주
203 : 고정부
204 : 에어 실린더
205 : 로드
206 :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7 : 웨이브 와셔
208 : 홈
209 : 공기실
209a : 송풍구
210 : 홈
2a : 머신 프레임
2b : 프레임
2c : 정곡부 커버
3 : 제 1 연삭식 정곡기
4 : 스크루 컨베이어
5 : 제 2 연삭식 정곡기
6 : 집강 호퍼
7 : 집진관
8 : 원료 공급 호퍼
9 : 곡립 배출부
10 : 다공벽 제강 정백통
11 : 연삭롤
12 : 나선롤
13 : 회전축
14 : 정백실
15 : 제강실
16 : 원료 공급구
17 : 저항 덮개
18 : 곡립 배출구
19 : 베어링
20 : 제 1 풀리
21 : 모터
22 : 제 1 모터 풀리
23 : 벨트
25 : 회동축
26 : 레버
27 : 분동
28 : 시료 채취 도어
30 : 다공벽 제강 정백통
31 : 연삭롤
32 : 나선롤
33 : 회전축
34 : 정백실
35 : 제강실
36 : 원료 공급구
37 : 저항 덮개
38 : 곡립 배출구
39 : 베어링
40 : 제 2 풀리
41 : 제 2 모터 풀리
42 : 벨트
45 : 회동축
50 : 스크루축
51 : 스크루 날개
52 : 컨베이어 케이스
53 : 베어링
54 : 제 3 풀리
55 : 제 4 풀리
56 : 벨트
57 : 텐션
60 : 나선 날개
70 : 손잡이
80 : 절반부
90 : 연결 블록부
100 : 정백실 저항체
101 : 선단부
102 : 굴곡부
103 : 기단부
104 : 축
105 : 탄성 지지 장치
106 : 에어 실린더
107 : 가동 로드
108 : 연결간
109 : 회동편
150 : 압송팬
151 : 송풍 덕트
152 : 급풍 덕트
153 : 공기실
200 : 저항 장치
201 : 저항편
202 : 지주
203 : 고정부
204 : 에어 실린더
205 : 로드
206 :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207 : 웨이브 와셔
208 : 홈
209 : 공기실
209a : 송풍구
210 : 홈
Claims (8)
- 제강 정백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주축에 연삭롤을 축장하고, 상기 제강 정백통과 상기 연삭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락한 횡형 연삭식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의 내주면에, 상기 곡립 공급부로부터 상기 곡립 배출부에 곡립을 이송하기 위한 볼록상의 나선 날개를 고정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강 정백통에는,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삭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정백실 저항체를 적어도 하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를 복수 연결 형성한 것으로서,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상부에 제 1 연삭식 정곡기를,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중앙부에 스크루 컨베이어를, 세로로 긴 박스상 머신 프레임의 하부에 제 2 연삭식 정곡기를 각각 일체적으로 배치하여 장행정 정곡기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실 저항체는, 장척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L 자형, く자형, J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L 자형, く자형, J자형 또는 U자형의 정백실 저항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단부와, 상기 연삭롤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선단부와,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하는 굴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실 저항체를 지지하는 지주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와 상기 정백실 저항체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정백실 저항체는,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하는 저항편인,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편은,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키는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에는, 상기 정백실측을 향하여 압송풍이 송급 가능해지도록 급풍 덕트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 정백통은 세로 분할상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부로 형성함과 함께, 그 복수의 분할부 사이에는, 그 분할부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블록부를 개재 삽입하고 있고, 그 연결 블록부 내에 상기 정백실 저항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부 내에 상기 급풍 덕트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횡형 연삭식 정곡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29325 | 2017-02-20 | ||
JP2017029325 | 2017-02-20 | ||
PCT/JP2018/006005 WO2018151315A1 (ja) | 2017-02-20 | 2018-02-20 | 横型研削式精穀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976A KR20190113976A (ko) | 2019-10-08 |
KR102382412B1 true KR102382412B1 (ko) | 2022-04-01 |
Family
ID=6316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7087A KR102382412B1 (ko) | 2017-02-20 | 2018-02-20 | 횡형 연삭식 정곡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30608A1 (ko) |
JP (1) | JP7024739B2 (ko) |
KR (1) | KR102382412B1 (ko) |
CN (1) | CN110325281A (ko) |
TW (1) | TWI733988B (ko) |
WO (1) | WO20181513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75941A (zh) * | 2020-12-07 | 2021-04-20 | 湖南洞庭春米业有限公司 | 一种带鼓风组件的小麦自动化扬谷装置 |
JP7298634B2 (ja) * | 2021-03-01 | 2023-06-27 | 株式会社サタケ | 精穀機 |
CN113019505B (zh) * | 2021-03-01 | 2023-07-04 | 安徽东亚机械有限公司 | 一种卧式逆圆锥砂辊碾米机 |
CN112916083B (zh) * | 2021-04-29 | 2022-06-10 | 江西省绿能农业发展有限公司 | 一种自动化大米去壳装置的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100546A1 (fr) | 2001-06-11 | 2002-12-19 | Seirei Kogyo Kabushikigaisha | Machine de concassage de riz de type broyage horizontal |
WO2017018337A1 (ja) | 2015-07-24 | 2017-02-02 | 株式会社サタケ | 研削式竪型精穀機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78894A (en) * | 1958-11-26 | 1963-02-26 | Satake Toshihiko | Rice hulling and polishing machine |
JPS521882B2 (ko) | 1973-10-26 | 1977-01-18 | ||
JPS516671A (ja) | 1974-07-05 | 1976-01-20 | Hitachi Ltd | Ichichoseikiko |
JP3417152B2 (ja) | 1995-06-21 | 2003-06-16 |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 球面継手組立体及びこれを自動車のエンジン排気系統のマニフォールドに取り付けて球面継手機構を形成する方法 |
JP3663248B2 (ja) * | 1996-02-07 | 2005-06-22 | 株式会社タイワ精機 | 精米機における送穀部の付着糠防止装置 |
CN202096968U (zh) * | 2011-05-31 | 2012-01-04 | 开封市茂盛机械有限公司 | 卧式小麦碾刷组合机 |
JP6090064B2 (ja) * | 2013-08-27 | 2017-03-08 | 株式会社サタケ | 研削式竪型精穀機 |
WO2015068838A1 (ja) * | 2013-11-11 | 2015-05-14 | 加藤 進 | 破砕・爆砕装置、製粉方法、穀物粉、食品及び接着剤 |
JP6481280B2 (ja) * | 2014-07-26 | 2019-03-13 | 株式会社サタケ | 横軸型精米機 |
CN104525293B (zh) * | 2014-12-18 | 2017-05-17 | 湖北五丰粮食机械有限公司 | 一种上吸风多功能碾米机 |
JP6511846B2 (ja) * | 2015-02-10 | 2019-05-15 | 株式会社サタケ | 機能性白米を製造するための搗精管理方法 |
US20180242605A1 (en) * | 2015-08-26 | 2018-08-30 | Satake Corporation | Superheated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
-
2018
- 2018-02-20 JP JP2018568665A patent/JP7024739B2/ja active Active
- 2018-02-20 CN CN201880012925.4A patent/CN110325281A/zh active Pending
- 2018-02-20 KR KR1020197027087A patent/KR1023824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2-20 US US16/486,925 patent/US2020023060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2-20 WO PCT/JP2018/006005 patent/WO201815131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2-21 TW TW107105724A patent/TWI733988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100546A1 (fr) | 2001-06-11 | 2002-12-19 | Seirei Kogyo Kabushikigaisha | Machine de concassage de riz de type broyage horizontal |
WO2017018337A1 (ja) | 2015-07-24 | 2017-02-02 | 株式会社サタケ | 研削式竪型精穀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838716A (zh) | 2018-11-01 |
US20200230608A1 (en) | 2020-07-23 |
TWI733988B (zh) | 2021-07-21 |
WO2018151315A1 (ja) | 2018-08-23 |
JP7024739B2 (ja) | 2022-02-24 |
CN110325281A (zh) | 2019-10-11 |
KR20190113976A (ko) | 2019-10-08 |
JPWO2018151315A1 (ja) | 2019-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82412B1 (ko) | 횡형 연삭식 정곡기 | |
JP5935797B2 (ja) | 研削式竪型精穀機 | |
KR102480244B1 (ko) | 연삭식 수형 정곡기 | |
CN109395803B (zh) | 一种大米加工装置 | |
CN104707680B (zh) | 精磨装置 | |
CN212611040U (zh) | 一种多级处理自动开棉机 | |
CN104204316B (zh) | 梳理机的吸嘴 | |
CN105188940B (zh) | 砻谷机 | |
CN207971075U (zh) | 一种交错式大米去石装置 | |
CN107983676A (zh) | 一种用于钨钢生产的垫板清洁装置 | |
CN208591886U (zh) | 一种均匀下料的大米加工用储料仓 | |
KR102283366B1 (ko) | 연미 장치 | |
CN208786882U (zh) | 一种糙米清筛装置 | |
CN209238016U (zh) | 适用于砻碾组合米机的出米控制调节设备 | |
CN102784758A (zh) | 一种风选溜筛清粮机 | |
CN108067448A (zh) | 一种用于清理烧结垫板的刷除装置 | |
CN205925796U (zh) | 一种大米精深加工用砻谷装置 | |
KR102256397B1 (ko) | 연미 장치 | |
US847371A (en) | Apparatus for converting feathers into down. | |
CN112044495A (zh) | 一种有机大米加工用碾米装置 | |
CN203695095U (zh) | 抛光滚筒清粮机 | |
CN207390509U (zh) | 一种周转箱清吹装置用可滑动支撑架 | |
RU101402U1 (ru) | Линия переработки шин | |
RU186762U1 (ru) | Вальцедековый станок с механизмом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деки | |
CN213316065U (zh) | 一种双层圆筒清杂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