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957B1 -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957B1
KR101930957B1 KR1020117025390A KR20117025390A KR101930957B1 KR 101930957 B1 KR101930957 B1 KR 101930957B1 KR 1020117025390 A KR1020117025390 A KR 1020117025390A KR 20117025390 A KR20117025390 A KR 20117025390A KR 101930957 B1 KR101930957 B1 KR 10193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 device
switched
microprocessor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341A (ko
Inventor
알렉산더 로트
예르그 슈페
카르스텐 샨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345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309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2003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08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system bus, e.g. VME bus, Futurebus, Multi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및 트랜시버(40)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트용 제어 장치(21)에 관한 것이다. 제어 장치(21)는 자동차의 작동 중에 미리 규정된 상태 또는 이벤에서 스위치-오프될 수 있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및/또는 제어 장치(21)는 상기 작동 중에 미리 규정된 상태 또는 이벤트에서 슬립 모드로부터 깨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CONTROL DEVICE FOR A VEHICLE NETWORK AND METHOD FOR THE ENERGY-SAVING OPERATION OF A VEHICLE NETWORK}
본 발명은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CAN, FlexRay 또는 LIN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들은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다. 제어 장치들의 공통점은 이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응하는 버스 라인에 적합하게 접속된다는 것이다. 작동 신호의 스위치-온에 의해, 모든 제어 장치가 스위치-온된다. 이 작동 신호는 내연기관을 구비한 자동차에서 통상 단자 15(KL15), 즉 점화의 스위치-온이다. 또한, 점화의 스위치-오프시, 특정 신호에서 깨어나고 경우에 따라 다른 제어 장치들을 깨우거나 스위치-온하기 위해,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예컨대 중앙 록킹 시스템용 제어 장치이다. 최신 자동차의 문제점은 증가된 전기 에너지 수요이며, 이는 내연기관을 구비한 차량에서 증가된 연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에너지 수요를 감소시키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제 1항 및 청구항 제 6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대상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미리 규정된 상태 또는 이벤트에서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별 제어 장치 또는 제어 장치 그룹은 자동차의 작동 동안에도 에너지 절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작동 신호는 예컨대 전기 차에서 단자-15-신호 또는 시동 신호이다. 제 1 대안에서, 작동이라는 표현은 점화가 스위치-온된 자동차 상태를 포함한다. 제 2 대안에서, 작동이라는 표현은 추가로 점화가 스위치-오프된 자동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라는 표현은 자동차의 주행 상태 또는 차량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들은 예컨대 센서 신호들의 평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제어 장치들이 작동 신호에 의해 먼저 스위치-온된 다음, 의도적으로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대안으로서, 개별 제어 장치들이 작동 신호의 스위치-온 시에 스위치-온되지 않고, 동일하게 슬립 모드로 전환된 다음, 작동 동안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의도적으로 깨워질 수 있다. 또한, 먼저 제어 장치가 작동 신호로 스위치-온된 다음, 미리 규정된 이벤트 및/또는 상태에 의해 슬립 모드로 전환되고 나서, 다른 미리 규정된 이벤트 및/또는 다른 상태에 의해 다시 깨워질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 대안들이 조합될 수도 있다. 모든 조치들은 전기 에너지를 절감시킨다.
깨운다는 것은 제어 장치의 활성화 또는 스위치-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또는 스위치-오프하기 위한 또는 깨우기 위한 이벤트는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메시지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스위치-온 및/또는 슬립 모드 및/또는 스위치-오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의 입력 측이 트랜시버의 수신기의 출력부와 접속되고, 모듈의 출력 측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용 제어 로직 및/또는 트랜시버와 접속된다. 특히, 모듈의 출력 측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트랜시버의 드라이버 및/또는 트랜시버의 제어 로직과 접속된다.
이로 인해, 상응하게 트랜시버 및/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스위치-오프될 수 있거나 또는 에너지 절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립 모드에서, 송신을 위한 드라이버가 스위치-오프되고 수신기는 패시브-경청-상태로 전환된 다음, 깨우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대기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듈은 트랜시버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통합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슬립 모드가 활성화되면, 모듈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코프로세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은 코프로세서 기능에서 송신 작동 및/또는 수신 작동 및/또는 수신 메시지의 평가 및/또는 작동 모드 전환을 실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마스크 및/또는 하나 이상의 DLC-마스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 마스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고 및/또는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신호를 외부의 전압 조절기로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 및/또는 트랜시버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타임-아웃-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아웃-타이머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0에 도달하면, 모듈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가 미리 정해진 값에 도달하면, 모듈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수신 버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송신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버퍼에 의해 메시지들이 수신될 수 있거나 및/또는 송신 버퍼에 의해 메시지들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스터 제어 장치는 이벤트로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가 스위치-온 또는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깨워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리 규정된 상태는 자동차 속도 V이고, V > 0 또는 V > Vgrenz 일 때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가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깨워진다. 다른 상태는 예컨대 시간(t)일 수 있다. 작동 신호의 스위치-온 후 미리 주어진 시간(t0) 후에 개별 제어 장치가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치-오프되거나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깨워지는 제어 장치들은 바람직하게 예컨대 시트 조절 제어 장치, 보조 난방 제어 장치 또는 슬라이딩 루프 제어 장치와 같은 컴퍼트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 에너지 수요를 감소시키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차량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
도 2a는 트랜시버 내에 통합된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을 구비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
도 2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통합된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을 구비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
도 2c는 별도의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을 구비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
도 3은 트랜시버 내에 통합된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의 블록 회로도.
도 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 통합된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현된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의 블록 회로도.
도 1에는 제어 장치(4)를 통해 서로 접속된 2개의 버스 시스템들(2, 3)로 구성된 차량 네트워크(1)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어 장치(4)는 2개의 버스 시스템들(2, 3) 간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버스 시스템(2)은 제어 장치들(21~23)을 포함하고, 버스 시스템(3)은 제어 장치들(31~33)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버스 시스템(3)이 예컨대 CAN-하이스피드와 같은 시간 임계 시스템이고, 버스 시스템(2)은 특히 컴퍼트 제어 장치가 배치된 예컨대 CAN-로우스피드와 같은 시간 임계 시스템이라고 가정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점화 KL15의 스위치-온에 의해 모든 제어 장치들(4, 21~23, 31~33)이 스위치-온된다. 미리 규정된 상태 및/또는 미리 규정된 네트워크 메시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들(21~23)이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스위치-오프와 슬립 모드 간의 차이는 스위치-오프된 제어 장치가 송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없다는, 즉 네트워크 통신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슬립 모드에서는 잠든 제어 장치(21~23)가 더 낮은 출력 레벨일지라도 여전히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가능한 미리 규정된 상태들은 차량 속도 및/또는 시간 간격 및/또는 다른 주행 또는 차량 상태들이다. 이는 차량 속도 V > 0에서 통상 특정 기능들이 더 이상 실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예컨대, 주행 동안 시트 조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점화의 스위치-온 후 특정 시간 후에 특정 세팅들이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제어 장치들은 감지 가능한 쾌적성 저하 없이 슬립 모드로 되거나 또는 스위치-오프됨으로써,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상기 상태 지속시간은 내부에서 제어 장치 자체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상기 상태 V > 0는 바람직하게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상태(V > 0)는 이벤트(네트워크 메시지)를 야기한다.
슬립 모드에 있는 제어 장치(21~23)가 필요해지면, 상기 장치는 미리 규정된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다시 깨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마스터 제어 장치, 본 경우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4)가 상응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잠든 제어 장치(21~23)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제어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메시지의 직접적인 할당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송신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 메시지를 버스에 전송하고 모든 제어 장치들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제어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가 고유의 작동을 위해 중요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대안으로서, 특정 제어 장치들(21~23)이 처음에 스위치-온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 단자 15에 의해 스위치-오프된 상태로부터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나서, 잠든 제어 장치들은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유사하게 깨워질 수 있다.
슬립 모드에 있는 제어 장치(21~23)가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깨워질 수 있는 것과 같이, 스위치-온된 제어 장치(21~23)도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스위치-오프되며, 이는 바람직하게 마스터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21)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제어 장치들(22 및 2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2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 트랜시버(40) 및 제어 장치 플러그(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 플러그(50)에 의해 제어 장치(21)가 버스 시스템(2) 또는 네트워크(1)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 플러그(50)와 트랜시버(40) 사이에 버스 터미네이팅 저항(R1, R2) 및 유도성 공통 모드 제거(L1)가 배치된다. 트랜시버(40)는 후속 접속된 출력단(42)을 가진 드라이버(41), 수신기(43) 및 제어 로직(44)을 포함한다. 후속 접속된 출력단(42)을 가진 드라이버(4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가 그 출력부(Tx)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응하게, 수신기(43)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메시지는 후속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Rx-입력부로 전송된다. 제어 로직(44)의 입력 측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제어 출력부(Ctrl)에 접속된다. 제어 로직(44)의 출력 측은 드라이버(41) 및 수신기(43)의 제어 입력부들에 접속된다. 제어 로직(44)을 통해 드라이버(41) 및 수신기(43)가 작동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실시예는 도 2a 내지 2c에 따른 총 3개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추가로 제어 장치(21)는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45)을 포함한다. 모듈(45)의 입력 측이 수신기(43)의 출력부와 접속되며 모듈(45)의 출력 측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0)(도 2a, 도 2c 참고) 및/또는 제어 로직(44)의 입력부(도 2b, 도 2c 참고)와 접속된다. 검출된 네트워크 메시지에 따라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또는 드라이버(41) 또는 수신기(43)를 슬립 모드 또는 작동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및/또는 제어 로직(44)용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2a에서 모듈(45)은 트랜시버(40)의 통합 구성 부분이다. 모듈(45)의 출력부는 제어 로직(44)의 입력부와 접속되는 것이 도 2a에 도시된다. 상기 출력부를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로직(44)의 입력부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듈(45)은 수신기(43)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식별자 및 데이터 내용을 비트별로 평가하고 메시지의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검출한다.
모듈이 작동 모드의 변경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다. 이 기준들은 대안적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제 1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식별자를 마스크와 비교한다. 식별자와 마스크의 일치시, 모듈(45)은 드라이버(41) 또는 수신기(43)를 슬립 모드 또는 소정 작동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 로직(44)용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2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데이터 내용을 비트별로 마스크와 비교한다.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규정된 비트의 일치시, 모듈(45)은 드라이버(41) 또는 수신기(43)를 슬립 모드 또는 소정 작동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 로직(44)용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 3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마스크와 비교한다. 상기 수가 마스크에 의해 정해진 수보다 작으면, 모듈(45)은 드라이버(41) 또는 수신기(43)를 슬립 모드 또는 소정 작동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 로직(44)용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비교는 데이터 비트의 수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식별자, 데이터 내용 및 데이터 바이트의 수에 대한 마스크들은 모듈(45)에 저장되거나 또는 제어 출력부(Ctrl)를 가진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모듈(45) 내에서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제어 출력부(Ctrl)가 추가로 모듈(45)의 입력부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도 2a에 도시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추가의 제어 출력부 및 추가의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모듈(45)의 입력부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와 모듈(45) 사이의 데이터 라인이 양방향성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모든 다른 데이터 라인들도 양방향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제어 출력부(Ctrl)에 의해, 모듈(45)에 의한 트랜시버(40)의 작동 모드 전환의 원인을 판독할 수 있다(식별자, 데이터 내용, 메시지 길이의 훼손). 물론,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추가의 데이터 입력부 및 추가의 데이터 라인이 작동 모드 전환의 원인을 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에서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통합 구성 부분이다. 이 경우, 모듈(45)은 하나의 작동 모드 또는 에너지 절감 모드로부터 다른 작동 모드 또는 에너지 절감 모드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 전환을 제어한다. 작동 모드 전환은 바람직하게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가 메시지의 송신 및/또는 수신 작동이 불가능하고 및/또는 데이터의 처리가 실시될 수 없는 작동 또는 에너지 절감 모드인 경우, 모듈(45)은 바람직하게 액티브하다.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이러한 작동 또는 에너지 절감 모드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 작동을 실행한다. 이 경우, 모듈(45)은 소위 코프로세서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기본 기능을 실행한다. 기본 기능은 미리 네트워크 및 제어 장치에 따라 정해지며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 측이 드라이버(41)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직접 접속된다.
따라서, 모듈(45)은 흡사 정지된(중간 상태) 제어 장치(21)의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간 상태는 에너지 수요의 감소,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스위치-오프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통신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거나 또는 일시적으로만 실행된다. 상태 또는 작동 모드 전환은 메시지에 의해 또는 메시지 내에 코딩된 주행 또는 차량 상태에 의해 트리거된다. 상태 또는 작동 모드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마스터 제어 장치는 필요 없다. 또한, 중간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마스터가 필요 없고, 상기 중간 상태는 제어 장치(21) 자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중간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 또는 작동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45)은 바람직하게 수신된 메시지의 평가 및 작동 모드 전환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송신 및 수신 작동을 전적으로 실행한다. 어떤 상태 또는 작동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는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전환 원인에 따라 결정한다.
예컨대, 모듈(45)은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의 프리세팅에 따라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예컨대, 주기적 존재 신호에 대해). 따라서, 예컨대 제어 장치(21)가 에너지 절감 모드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의 통신 가입자라는 것이 네트워크의 다른 가입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본 기능을 기초로 모듈(45)에 의해 송신될 메시지들은 그것의 각각의 기능과 무관하게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의 구성은 모듈(45)에 의해 송신될 메시지를 메시지의 미리 정해진 기능(예컨대, 주기적 존재 신호)에 따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시지의 구성은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에너지 절감 모드 또는 슬립 모드의 활성화 전에 이루어진다.
모듈(45)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식별자 및 데이터 내용을 비트별로 평가하며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모든 메시지들이 타임 아웃에 대해 모니터링되고 및/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수가 카운트된다. 이는 이하에서 나중에 설명된다(예컨대, 도 4 참고).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45)이 작동 모드의 변경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다. 이 기준들은 이 경우 대안적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제 1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식별자를 마스크와 비교한다. 일치시,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마스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제 2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데이터 내용을 비트별로 마스크와 비교한다.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또는 미리 규정된 비트의 일치시,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마스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제 3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데이터 내용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조건의 충족시,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물론, 모듈(45)은 데이터 내용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작동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제 4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데이터 바이트의 수를 마스크와 비교한다. 상기 수가 마스크보다 작으면,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마스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제 5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수신된 메시지를 타임 아웃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타임 아웃이 검출되면,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타임 아웃 조건(예컨대, 타임 아웃에 대한 지속 시간)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제 6 기준에 따라 모듈(45)은 수신된 메시지의 수를 카운트한다. 미리 정해진 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모듈(4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한다. 수신된 메시지의 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하나 또는 다수의 타이머의 경과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주기적 작동 모드 전환을 실시할 수 있다. 타이머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 유닛, 바람직하게는 FIFO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FIFO 메모리를 판독 방식 및/또는 소거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바람직하게 FIFO 메모리와 무관한 데이터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지스터 내에, 상기 기준들 중 하나 또는 다수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했던 수신 메시지들이 저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저장된 메시지를 판독 방식 및/또는 소거 방식으로 액세스한다.
또한, 모듈(45)은 트랜시버(40)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45)은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제어 출력부(Ctrl)를 통해 트랜시버를 데이터 기술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출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40)의 작동 모드는 모듈(45)의 실제 송신 또는 수신 작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필요한 작동 출력의 추가 감소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모듈(45)이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으면, 모듈(45)은 트랜시버(40)를 바람직하게 온리(only)-수신 작동(listen only)으로 전환한다. 디지털 출력부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제어 장치 주변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전압 조절기의 제어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출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가 액티브 모듈(45)에 의해 작동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모듈(45)은 예컨대 실제 작동 모드에 필요하지 않은, 제어 장치 주변의 제어 장치를 스위치-오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 트랜시버(40) 및 작동에 필요한 제어 장치 주변의 부분이 전압 공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필요한 작동 출력의 추가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출력부들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 의해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레지스터 내에 모듈(45)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 전환에 대한 원인을 기록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상태 레지스터를 판독 방식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모듈(45)은 상기 액세스 시에 액티브하거나 또는 패시브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바람직하게 상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상기 상태 레지스터 내에서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원인(상기 참고)을 해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어떤 기준(들)이 충족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모듈(45)은 해제/차단시 액티브하거나 또는 패시브할 수 있다.
도 2c에서, 모듈(45)은 별도 부품이다. 이 경우, 도 2b에서의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모듈(45)의 출력 측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드라이버(41)와 직접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마스크들, 디지털 출력부들 및 설명된 기준들의 미리 정해진 값들을 구성하기 위해, 상태 레지스터의 판독/기록을 위해 그리고 다른 데이터 기술적 통신을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제어 출력부(Ctrl)를 통해 모듈(45)의 입력부와 접속된다. 이 경우, 데이터 기술적 접속은 양방향성 접속으로서 형성된다. 물론, 제어 장치는 상기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부터 모듈(45)로의 추가의,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성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45)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모듈(45)은 수신 버퍼들(EB1 내지 EBn)을 포함한다. 수신 버퍼들(EB1...EBn)은 n개의 가능한 수신 메시지들의 수신 작동을 실시한다. 이 경우, 각각의 수신 버퍼(EB1...EBn)에는 특정 식별자(표준 또는 확장된 ID)를 가진 수신 메시지가 할당된다. 수신 버퍼들의 입력 측이 도 2a에 도시된 수신기(43)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메시지가 수신기(43)로부터 모듈(45)로 전송되면,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식별자 마스크에 의해 수신 메시지의 식별자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또한, DLC-마스크(M_DLC)에 의해 데이터 바이트의 수의 비교가 이루어지며, 이는 DLC-체크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메시지의 데이터 내용과 데이터-마스크(M_data)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비교는 비트별로 동일한 비트에 대해 이루어진다. 도 3에는 각각 하나의 DLC-마스크(M_DLC) 및 데이터 마스크(M_data)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물론, 각각의 수신 버퍼(EB1...EBn)에는 각각 하나의 이러한 마스크(M_DLC, M_data)가 할당될 수 있다.
모듈(45)의 출력 측이 도 2a에 도시된 제어 로직(44)과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 구성된 메시지, 즉 미리 정해진 식별자를 가진 메시지가 수신되면, 또는
- 구성된 메시지가 수신되고 데이터 바이트의 수가 DLC-마스크(M_DLC)에 저장된 수보다 작으면, 또는
- 구성된 메시지가 수신되고, 데이터 내용과 데이터 마스크(M_data)가 동일한지에 대한 비교가 포지티브이면,
작동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가 발생된다.
데이터 바이트의 수의 비교는 더 큰지에 대해 또는 동일한지에 대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OR-블록(60)을 포함하고, 상기 OR-블록은 수신 버퍼(EB1...EBn) 및 마스크(M_DLC, M_data)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OR-블록과 수신 버퍼(EB1...EBn) 또는 마스크(M_DLC, M_data)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접속은 개략적으로 스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모듈(45)은 버퍼(61)를 포함한다. 버퍼(61) 내에는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수신 메시지가 저장되고 나중에 데이터 기술적으로 조회될 수 있다.
도 4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통합된(도 2b) 또는 별도의 부품(도 2c)으로서 구현된 네트워크 메시지 식별 모듈(45)의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가 도시된다.
모듈(45)은 이 경우 n개의 송신 버퍼들(SB1...SBn)을 포함한다. 송신 버퍼들(SB1...SBn)은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의 프리세팅에 따라 n개의 메시지의 송신 작동을 실행한다. 이 경우, 송신 버퍼들(SB1...SBn)은 트랜시버(40)의 드라이버(41)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도 2b, 도 2c 참고).
송신 버퍼들(SB1...SBn)은 여기서 특히 미리 정해진 식별자(표준 또는 확장된 ID)를 가진 송신 메시지의 주기적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각각의 송신 버퍼(SB1...SBn)에는 예컨대 특정 송신 메시지가 할당될 수 있다. 송신 메시지의 송신 시간, 식별자 및 데이터 내용은 자유로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n개의 수신 버퍼들(EB1, EB2...EBn)을 포함한다. 수신 버퍼들(EB1, EB2...EBn)은 n개의 메시지의 수신 작동을 실행하며, 각각의 수신 버퍼(EB1...EBn)에는 특정 식별자(표준 또는 확장된 ID)를 가진 수신 메시지가 할당된다. 이 경우, 각각의 수신 버퍼에는 식별자 마스크(M_id1, M_id2...M_idn)가 할당된다. 트랜시버(40)의 수신기(43)를 통해 메시지의 수신시(도 2b, 도 2c 참고), 수신 메시지의 식별자의 비교는 식별자 마스크(M_id1, M_id2...M_idn)에 의해 이루어진다. 식별자 마스크(M_id1, M_id2...M_idn)에 의해, 특정 수신 버퍼(EB1, EB2...EBn)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수신 메시지의 식별자 범위, 예컨대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의 식별자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물론, 송신 버퍼들(SB1...SBn)의 수는 수신 버퍼들(EB1...EBn)의 수와 다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바이트의 수의 비교는 DLC-마스크(M_DLC)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는 DLC-체크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메시지의 데이터 내용이 데이터 마스크(M_data)와 비교된다. 도 4에는 각각 하나의 DLC-마스크(M_DLC) 및 데이터 마스크(M_data)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물론, 각각의 수신 버퍼(EB1...EBn)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마스크(M_DLC, M_data)가 할당될 수 있다.
비교는 이 경우 비트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것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듈은 제 1 타임-아웃-타이머(T1) 및 제 2 타임-아웃-타이머(T2)를 포함한다. 타임-아웃-타이머들은 이 경우 0부터 미리 정해진 타임-아웃-값까지 (업카운트) 또는 미리 정해진 타임-아웃-값부터 0으로 (다운 카운트) 카운트될 수 있다. 타임-아웃-타이머들(T1, T2)은 이 경우 주기적 작동 모드 전환을 위한 타이머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타임-아웃-타이머들(T1, T2)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0에 도달하면 항상 작동 모드 전환이 트리거된다. 물론, 모듈(45)은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임-아웃-타이머(T1, T2) 및 모든 다른 타임-아웃-타이머들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제 2 수신 버퍼(EB2)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를 포함한다. 제 3 타임-아웃-타이머(3)는 미리 정해진 값(타임 아웃)에 세팅된다. 제 2 수신 버퍼(EB2)에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가 새로 스타트된다. 미리 정해진 값을 나타내는 시간(타임 아웃)에 걸쳐 메시지가 제 2 수신 버퍼(EB2)에 수신되지 않고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가 리셋되지 않으면,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가 작동하여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 한다.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는 이 경우 업 또는 다운 카운트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는 카운터로서도 작동할 수 있고 제 2 수신 버퍼(EB2)에 수신된 수신 메시지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방식은 카운터(C)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 n번째 수신 버퍼에 대해 도시된다. 작동 모드 전환은 카운터(C)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수의 메시지를 n번째 수신 버퍼(EBn)에 수신한 후에 이루어진다.
또한, 모듈(45)은 자유 타임-아웃-타이머 또는 카운터(Tn)를 포함한다. 이는 제어 장치 주변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자유 타임-아웃-타이머(Tn)는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지 않는다.
또한, 모듈(45)은 FIFO 버퍼 또는 FIFO 메모리(F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수신 버퍼들(EB1, EB2...EBn)에 수신된 수신 메시지들이 FIFO 버퍼(FB)에 버퍼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시 마이크로 프로세서(30)가 여전히 수신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면 수신 메시지의 버퍼링이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은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수신 메시지에 추가해서 다른 다이내믹 프로세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FIFO 버퍼(FB)는 링 버퍼로서도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FIFO 버퍼(FB)가 n개의 수신 메시지들을 버퍼링할 수 있다. n개의 버퍼들 중 하나 또는 FIFO 버퍼(FB)의 메모리는 이 경우 항상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수신 메시지를 저장하고, 겹쳐쓰기(overwrite) 되지 않는다. 다른 다이내믹 프로세스 데이터가 저장될 필요가 없으면, FIFO 버퍼(FB)는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수신 메시지만을 저장하기에 충분한 버퍼 크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가 작동 모드 전환을 트리거하는 신호용 입력부로서, 예컨대 스위치 또는 키에 의해 발생된 신호용 입력부로서 또는 주행 상태 또는 차량 상태에 의존하는 신호용 입력부로서 사용된다.
특히,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에 의해 주행 상태 또는 차량 상태에 의존하는 신호가 모듈(45)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모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수신 메시지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주행 상태 또는 차량 상태에 의해서도 스위치-오프하고 다시 스위치-온할 수 있거나 또는 작동 모드를 바꿀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 미러 조절부 또는 중앙 록킹 시스템의 스위치/키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이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를 통해 모듈(45)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압의 과전압 및 부족 전압에 대한 외부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점화 온, 점화 오프, 후진, 충돌, 전기식 테일 게이트의 개방, 램프의 고장 등과 같은 차량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모듈(45)로 전송될 수 있다. 모듈(45)은 신호에 따라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로직이 차량 상태에 의존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신호로부터 모듈(45)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동작 방식이 2개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에서, 파킹 보조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스위치-오프된다(마이크로 프로세서(30) 에너지 절감 모드, 모듈(45) 액티브). 차량은 전진 주행으로부터 정지된다. 자동차 운전자는 후진 기어를 건다. "후진 기어를 건다"는 정보는 메시지로 차량 네트워크에 분배된다. 파킹 보조 시스템의 모듈(45)은 이 메시지를 식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작동 모드 전환을 개시하므로, 파킹 보조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그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스위치-오프 상태에서(마이크로 프로세서(30) 에너지 절감 모드, 모듈(45) 액티브) "점화 오프" 상태를 식별하고 작동 모드 전환을 개시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은 제어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다.
후진 기어에 대한 대안으로서, 모듈(45)은 차량 속도를 평가할 수 있고 속도 한계치에 미달시 작동 모드 전환을 일으킨다.
제 2 실시예는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차의 충전 과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의 모든 제어 장치가 필요 없다. 모듈(45)에 의해, 소위 선택적 깨움이 하기와 같이 실시되므로, 충전 과정에 필요한, 네트워크의 제어 장치들만이 액티브 상태이다.
예컨대, "점화 오프" 상태 및 점화 플러그의 삽입시, 네트워크의 제어장치가 깨워진다. 따라서, "점화 오프" 상태에서 네트워크의 깨워질 수 있는 제어 장치가 스위치-온된다. 어플리케이션은 제어 장치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필요하지 않다면, 제어 장치는 액티브 모듈(45)에 의해 작동 모드로 되고, 이 경우 제어 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로 유지된다. 충전 과정의 종료에 대한 정보, 예컨대 "충전 종료 전압 도달" 또는 "플러그 빼냄"은 제어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에 분배되고, 모듈(45)에 의해 식별된다. 네트워크가 정지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 장치가 예컨대 충전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차량을 에어 컨디셔닝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깨워진다.
또한, 모듈(45)은 신호를 외부 전압 조절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DA1)를 포함한다. 제 1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DA1)에 의해, 예컨대 파워 드라이버용 제어 장치 주변의 외부 전압 조절기를 스위치-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모듈(45)에 의해 상기 전압 조절기로 데이터 기술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모듈(45)은 신호를 트랜시버(40)(도 2b, 도 2c 참고)로 출력하기 위한 제 2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DA2)를 포함한다. 제 2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DA2)에 의해, 예컨대 트랜시버(40)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모듈(45)에 의해 상기 트랜시버로 데이터 기술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모듈(45)의 출력 측이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접속이라는 표현은 모듈(45)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내로 통합되는 것도 포함한다.
- 구성된 메시지, 즉 미리 정해진 식별자를 가진 메시지가 수신되면, 또는
- 구성된 메시지가 미리 정해진 시간(타임-아웃)에 걸쳐 수신되지 않으면, 또는
- 구성된 메시지가 수신되고 데이터 바이트의 수가 DLC-마스크(M_DLC)에 저장된 수보다 작으면, 또는
- 구성된 메시지가 수신되고, 데이터 내용과 데이터 마스크(M_data)가 동일한지 또는 더 큰지 또는 더 작은지의 비교가 포지티브이면, 또는
- 타임-아웃-타이머(T1, T2)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값 0에 도달하면, 또는
- 미리 정해진 수의 수신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또는
- 외부 신호가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에 의해 모듈(45)로 전송되었으면,
작동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모듈(45)은 수신 버퍼들(EB1, EB2,...EBn)과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 OR-블록(60)을 포함한다. 또한, OR-블록(60)은 마스크들(M_DLC, M_data), 타임-아웃-타이머들(T1, T2), 제 3 타임-아웃-타이머(T3), 카운터(C) 및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OR-블록(60)과 앞서 설명된 부재들 사이의 데이터 접속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접속은 개략적으로 스위치로 도시된다.
21 제어 장치
30 마이크로 프로세서
41 드라이버
44 제어 로직
40 트랜시버
45 모듈

Claims (15)

  1.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및 트랜시버(40)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미리 규정된 상태의 경우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작동 중에 미리 규정된 상태의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깨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장치(21)는 스위치-온 또는 상기 슬립 모드 또는 상기 스위치-오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식별(detecting)하기 위한 모듈(4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21)가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 또는 스위치-오프되거나 깨워지기 위한 상기 상태는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전달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1)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미리 규정된 이벤트의 경우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작동 중에 미리 규정된 이벤트의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깨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를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하거나 스위치-오프하거나 깨우기 위한 이벤트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의 입력 측이 상기 트랜시버(40)의 수신기(43)의 출력부와 접속되고, 상기 모듈(45)의 출력 측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또는 상기 트랜시버(40)의 제어 로직(44) 또는 상기 트랜시버(40)의 드라이버(41)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이 상기 트랜시버(40) 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내에 통합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슬립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모듈(45)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코프로세서(coprocessor)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모듈(45)은 코프로세서 기능에서 송신 작동 또는 수신 작동 또는 수신 메시지의 평가 또는 작동 모드 전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마스크(M_data) 또는 하나 이상의 DLC-마스크(M_DLC) 또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 마스크(M_id1, M_id2, M_id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I/O)에 의해 외부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거나 송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신호를 외부의 전압 제어기로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DA1) 또는 상기 트랜시버(4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인터페이스(D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하나 이상의 타임-아웃-타이머(T1, T2, T3)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아웃-타이머(T1, T2, T3)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0에 도달하면, 상기 모듈(45)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은 하나 이상의 카운터(C)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C)가 미리 정해진 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듈(45)에 의해 작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45)이 하나 이상의 수신 버퍼(EB1, EB2, EBn) 또는 하나 이상의 송신 버퍼(SB1, SBn)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버퍼(EB1, EB2, EBn)에 의해 메시지들이 수신될 수 있거나 상기 송신 버퍼(SB1, SBn)에 의해 메시지들이 송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 장치(21).
  13. 각각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21)를 구비한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21)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미리 규정된 상태의 경우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어 장치(21)는 상기 작동 중에 미리 규정된 상태의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부터 깨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장치(21)는 스위치-온 또는 상기 슬립 모드 또는 상기 스위치-오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한 모듈(4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21)가 상기 슬립 모드로 전환 또는 스위치-오프되거나 깨워지기 위한 상기 상태는 네트워크 메시지에 의해 전달되는,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마스터 제어 장치(4)는 이벤트로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21)가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깨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미리 규정된 상태는 자동차 속도 V이고, V > Vgrenz 일 때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21)가 스위치-오프되거나 슬립 모드로 전환되거나 깨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의 작동 방법.
KR1020117025390A 2009-03-31 2010-03-22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KR101930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5197.4 2009-03-31
DE102009015197A DE102009015197A1 (de) 2009-03-31 2009-03-31 Steuergerät für ein Fahr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netzwerkes
PCT/EP2010/001895 WO2010112173A2 (de) 2009-03-31 2010-03-22 Steuergerät für ein fahr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netzwerk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41A KR20120030341A (ko) 2012-03-28
KR101930957B1 true KR101930957B1 (ko) 2018-12-19

Family

ID=4223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390A KR101930957B1 (ko) 2009-03-31 2010-03-22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909963B2 (ko)
EP (1) EP2415202B2 (ko)
KR (1) KR101930957B1 (ko)
CN (1) CN102379099B (ko)
DE (1) DE102009015197A1 (ko)
WO (1) WO20101121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3803B3 (de) * 2010-12-08 2012-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ordnetzes eines Kraftfahrzeugs sowie danach arbeitendes Bussystem
US9566920B2 (en) * 2011-01-21 2017-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ircuit arrangement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EP2538609B1 (de) * 2011-06-22 2016-0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einsparung in einem netzwerkknoten eines automatisierungsnetzwerks
US9002533B2 (en) * 2011-06-28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Message transmiss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DE102011081452B3 (de) * 2011-08-24 2013-02-2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Botschaften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DE102011055670B4 (de) 2011-11-24 2023-01-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nergetisch optimierte Funktionspartitionierung
CN105128783B (zh) * 2015-09-22 2017-03-29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分布式的汽车电能调控方法
DE102015222112A1 (de) * 2015-11-10 2017-05-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thernet-Bus,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m Aufwecken eines Steuergeräts eines Ethernet-Busses
GB2549087B (en) * 2016-03-31 2019-02-13 Jaguar Land Rover Ltd Communications on data buses
US10095650B2 (en) * 2016-04-04 2018-10-09 A-Dec, Inc. High speed controller area network (CAN) in dental equipment
DE102016219595A1 (de) 2016-10-10 2018-04-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ferngesteuerten Aktivieren eines Kraftfahrzeugs und Steuergerät
DE102017200710A1 (de) 2017-01-18 2018-07-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ensorsystems eines Fahrzeugs
DE102017215317A1 (de) * 2017-09-01 2019-03-07 Siemens Mobility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atennetzwerks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mit einem Datennetzwerk
CN113467333B (zh) * 2021-07-28 2022-12-20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开机控制电路及开机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586A (en) * 1990-02-20 1992-01-14 Eaton Corporation Multiplexing of accessories in a vehicle
DE4425419C1 (de) 1994-07-19 1995-12-14 Daimler Benz Ag Kurzreichweitige Ultraschall-Abstandswarn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insbesondere als Einparkhilfe
JP3463433B2 (ja) * 1995-11-07 2003-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多重通信システム
DE19611945C1 (de) * 1996-03-26 1997-11-20 Daimler Benz Ag Einrichtung für den busvernetzten Betrieb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mit Microcontroller sowie deren Verwendung
DE19611944C2 (de) 1996-03-26 2003-03-27 Daimler Chrysler Ag Integrierter Schaltkreis zur Kopplung eines mikrokontrollierten Steuergerätes an einen Zweidraht-Bus
US7369936B2 (en) * 1996-08-22 2008-05-06 Omega Patents, L.L.C. Remote start control system including an engine speed data bus reader and related methods
US7988308B2 (en) * 1997-09-16 2011-08-02 Gentex Corporation Individual mirror control system
WO1999046888A1 (de) 1998-03-10 1999-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zum übertragen von daten
JPH11305878A (ja) 1998-04-17 1999-11-05 Sony Corp 車載用情報処理装置及び自動車
DE19844512C1 (de) * 1998-09-28 2000-12-1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Steuereinrichtung zur Reduzierung der Bordnetzbelastung eines Kraftfahrzeugs
JP4473453B2 (ja) * 1998-12-15 2010-06-0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負荷装置をスイッチオンまたはオフする方法
US6307280B1 (en) * 1999-07-06 2001-10-23 Delphi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for disabling vehicle controls
US6728892B1 (en) * 1999-09-15 2004-04-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onserving power in a can microcontroller and a can microcontroller that implements this method
US6484082B1 (en) * 2000-05-24 2002-1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vehicle network management using virtual networks
DE10033257A1 (de) 2000-07-10 2002-01-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in- und Ausschalten von einem an einen Bus angeschlossenen Gerät in einem Kraftfahrzeug
JP3578058B2 (ja) * 2000-07-13 2004-10-20 株式会社デンソー 多重通信システム
FR2827056B1 (fr) * 2001-07-06 2003-12-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reveil de stations associes pour la mise en oeuvre d'au moins une fonction repartie, notamment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3829679B2 (ja) * 2001-10-09 2006-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制御装置
DE10225578A1 (de) 2002-06-10 2003-12-1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Verfahren und Chipeinheit zum Ansprechen und/oder Aktivieren eines Teilnehmers
US20040010349A1 (en) * 2002-07-12 2004-01-15 Larry Perez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genset using a controller area network bus interface
JP2004106694A (ja) * 2002-09-18 2004-04-0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250616C1 (de) 2002-10-30 2003-11-20 Siemens Ag Bordnetz
DE10358584A1 (de) * 2002-12-30 2004-07-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ecken von Teilnehmern eines Bussystems und entsprechender Teilnehmer
EP1475765A3 (de) * 2003-05-08 2006-05-2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Durchfahrtsmöglichkeit für ein Fahrzeug
DE10339421A1 (de) * 2003-08-27 2005-04-14 Daimlerchrysler Ag Netzwerk-Managementverfahren
DE10346508B4 (de) * 2003-10-02 2007-10-11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Sichtverhältnisse in einem Kraftfahrzeug
US7210049B2 (en) * 2004-01-21 2007-04-24 Delphi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rea network wake-up system and method
EP1727717B1 (de) * 2004-03-23 2015-09-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ystem zum unterstützen eines fahrzeugführers bei anhalte- und anfahrvorgängen
JP2005284596A (ja) * 2004-03-29 2005-10-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83694B2 (ja) * 2004-06-22 2010-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システム
CA2606612A1 (en) * 2005-05-06 2006-11-16 Jerome Arnold Power Sleep alert device
US7797803B2 (en) * 2005-07-05 2010-09-21 Falb Margo B Seat belt buckle
JP2007030630A (ja) * 2005-07-25 2007-02-08 Aisin Aw Co Ltd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US7496770B2 (en) 2005-09-30 2009-02-24 Broadcom Corporation Power-efficient technique for invoking a co-processor
DE202005016196U1 (de) 2005-10-15 2007-02-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steuersystem
US7539888B2 (en) 2006-03-31 2009-05-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ssage buffer for a receiver apparatus on a communications bus
JP4432929B2 (ja) * 2006-04-25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DE102006057230A1 (de) * 2006-12-05 2008-07-03 Volkswagen Ag Parklenkassistenzsystem mit verbesserter Ein- und Ausschaltlogik
US20080201023A1 (en) * 2007-02-20 2008-08-21 Darrel Berglund Method for reducing quiescent power draw and machine using same
FR2917555A3 (fr) * 2007-06-13 2008-12-19 Renault Sas Systeme multiplexe de vehicule automobile.
CN101836486B (zh) * 2007-10-22 2014-04-30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wlan的位置感知背景接入点扫描
JP4518150B2 (ja) * 2008-01-11 2010-08-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制御装置
US8174382B2 (en) * 2008-11-21 2012-05-08 Mahle International Gmbh Diagnostic system having a wake-up circuit
TWI338646B (en) * 2008-12-18 2011-03-11 Univ Nat Pingtung Sci & Tech Parking assisting system
JP5551388B2 (ja) * 2009-07-21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節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2173A3 (de) 2011-01-06
US9164574B2 (en) 2015-10-20
DE102009015197A1 (de) 2010-10-14
WO2010112173A2 (de) 2010-10-07
CN102379099A (zh) 2012-03-14
EP2415202A2 (de) 2012-02-08
CN102379099B (zh) 2015-11-25
US20150331478A1 (en) 2015-11-19
EP2415202B1 (de) 2013-07-17
US8909963B2 (en) 2014-12-09
US20150067372A1 (en) 2015-03-05
EP2415202B2 (de) 2016-11-16
US20120042186A1 (en) 2012-02-16
KR20120030341A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957B1 (ko) 차량 네트워크용 제어장치 및 차량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작동 방법
CN108933719B (zh) 车载can网络管理方法、车载can网络、车辆
CN103282895B (zh) 以高数据率串行传输数据的装置和方法
US911272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enabling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device to operate in different power modes based upon the payload of a wake-up message
US7881344B2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wakeup method for un-wakeup node
US9599971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bus system having master and slave controllers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CN106184070A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系统
CN209765306U (zh) 整车控制器和车辆
US10497189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control device
JP2012049885A (ja) トランシーバ及び通信装置
JP2005529393A (ja) ユーザをアドレス指定および/またはアクティブにする方法およびチップユニット
CN109547313B (zh) 网络状态管理方法和装置
US20060075086A1 (en) Method and system between subnetwork operation and full network operation
CN111095867A (zh) 车辆的光纤以太网网络的管理系统
KR101784525B1 (ko) 버스 시스템 작동 방법
US201402450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 item of wake-up information in users of a can bus system
JP5780310B2 (ja) 電子制御装置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
CN108810088B (zh) 车辆网络中的通信节点和通信节点的操作方法
CN107888472B (zh) 一种车辆网络管理方法、控制网关、控制器及汽车
JP2010098477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電子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209928230U (zh) 一种电子排挡背光灯功能休眠唤醒装置
Yi et al. Power saving using Partial Networking in automotive system
JP2021048477A (ja) 車両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50027898A1 (en) Method of control of the different operating states of a data bus system
US20230231738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4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19

Effective date: 201808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