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98B1 -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898B1
KR101930898B1 KR1020180073127A KR20180073127A KR101930898B1 KR 101930898 B1 KR101930898 B1 KR 101930898B1 KR 1020180073127 A KR1020180073127 A KR 1020180073127A KR 20180073127 A KR20180073127 A KR 20180073127A KR 101930898 B1 KR101930898 B1 KR 10193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temperature sensor
wall portion
wall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힌지코리아,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힌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7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98B1/ko
Priority to JP2019038750A priority patent/JP692801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01J2005/065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by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가 복합적 외부요인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고열에 의한 신호검출의 정밀도 저하가 예방되어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대향 배치된 측정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적외선이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장착홀이 형성되되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센서장착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차폐베이스부와, 상기 차폐베이스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온도센서의 외부와 이격 배치되는 차폐외벽부를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assembly of non-contacting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가 복합적 외부요인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고열에 의한 신호검출의 정밀도 저하가 예방되어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통상의 업소 및 가정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의미하며, 발열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솥의 내부에는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내솥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와 측판부를 연결하는 곡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을 가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부는 열판 히터나 유도가열형 코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높은 가열 효율과 온도 조절의 용이함으로 유도가열형 코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전기조리기에는 열을 발생시켜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솥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온도센서는 상기 내솥의 바닥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솥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취사가 시작되면 상기 내솥이 고온상태가 되어 상기 내솥의 바닥부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온도센서로 상기 내솥의 고온이 천이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가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발열부가 유도가열형 코일로 구비되되 상기 온도센서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도가열형 코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유도가열을 일으켜 상기 온도센서의 가열에도 일부 기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2가지의 복합작용에 의한 가열로 상기 온도센서가 과열되면 신호검출 정밀도가 저하됨에 따라 취사온도 제어상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조리품질의 저하와 온도 제어계통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629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가 복합적 외부요인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고열에 의한 신호검출의 정밀도 저하가 예방되어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향 배치된 측정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적외선이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장착홀이 형성되되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센서장착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차폐베이스부와, 상기 차폐베이스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온도센서의 외부와 이격 배치되는 차폐외벽부를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하우징은 상기 차폐베이스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차폐외벽부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내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내벽부 및 상기 차폐외벽부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차폐외벽부에는 상기 공간부로부터 자연대류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연대류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따라 제1차폐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차폐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차폐내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2차폐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차폐돌기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차폐하우징은 상기 합성수지에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차폐외벽부에는 상기 차폐베이스부와 연결된 부분의 외주를 따라 밀폐오링이 결합되며, 상기 차폐하우징에는 상기 센서장착홀의 상부 개구측을 밀폐하도록 적외선투과렌즈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차폐하우징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장착돌기가 돌출된 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외벽부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장착홀은 상기 온도센서에 전도되는 열이 차단되도록 상부 및 하부 개구측이 밀폐되어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취사가 시작되면 전기조리기에서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내솥의 열기가 차폐하우징에 천이되어 열전도에 의해 차폐외벽부 및 차폐내벽부로 전도되고, 전도된 열기가 상기 차폐외벽부 및 차폐내벽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방출된 다음 자연대류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자연대류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온도센서의 과열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차폐하우징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외부공기와 차단된 밀폐구조로 구비된 센서장착홀은 온도센서 이외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차폐내벽부 및 차폐베이스부로부터 온도센서에 전도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자연대류에 의한 열배출 효과와 더불어 온도센서의 과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온도센서의 외부와 이격 배치되는 차폐외벽부는 외주면 및 내주면에 복수개의 제1차폐돌기가 돌출된 파형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여 각 제1차폐돌기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차폐유도면에 의해 상기 차폐외벽부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다중반사 및 다중굴절되어 그 에너지가 크게 감쇄되므로 전자파에 의한 유도가열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차폐외벽부에서 1차적으로 에너지가 약해진 전자파가 상기 차폐외벽부와 이격 배치되며 유사구조를 갖는 파형 단면의 차폐내벽부에서 한번 더 그 에너지가 감쇄되는 이중차폐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다중차폐 과정에 의한 전자파 차폐 효율 및 그에 의한 유도가열 차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섯째, 온도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차폐하우징과 결합되는 장착브라켓에는 브라켓장착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차폐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결합부에 삽입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기만 해도 결합이 완료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생산성 및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차폐하우징이 합성수지에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됨에 따라 차폐외벽부 내지 차폐내벽부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상기 전도성 소재에 의해 다중 반사가 발생되거나 흡수되어 그의 에너지가 현저히 감쇄되거나 소멸되어 전자파 차폐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C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는 온도센서(10) 및 차폐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는 전기조리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측정대상물로서 구비된 내솥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는 상기 내솥의 바닥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온도센서(10)가 상기 측정대상물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온도센서(10)는 대향 배치된 상기 측정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측정대상물과 접촉되지 않고도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0)는 수분 내지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폐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정대상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11)가 하향 돌출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인쇄회로기판(PCB, 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접속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기 차폐하우징(2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후술되는 장착브라켓(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적외선이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온도센서(10)가 배치되는 센서장착홀(24)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차폐베이스부(21) 및 차폐외벽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 전자파라 함은 전기조리기의 발열부가 유도가열형 코일로 구비되는 경우 가열시 내부에 유도 자기장이 형성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베이스부(21)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가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상면부에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 테두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향 경사진 구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상면부에 물이 낙하되더라도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장착홀(24)의 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을 통해 상기 측정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차폐하우징(20)에 결합되는 적외선투과렌즈(5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 내주에는 외측을 향해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확장 개구된 결합단턱(24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턱(24a)에는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가 형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에 의해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을 통해 수분 내지 각종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상기 온도센서(10)의 고장 내지 오작동 등이 미연에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 및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는 적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이 밀폐된 상태에서도 적외선이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를 투과하여 상기 온도센서(1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외벽부(22)는 상기 차폐베이스부(21)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온도센서(10)의 외부와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2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베이스부(21)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차폐외벽부(22)는 상기 온도센서(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주면이 상기 온도센서(10)로부터 이격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 및 상기 온도센서(10) 사이에는 후술되는 공간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외벽부(22)에 상기 차폐베이스부(21)와 연결된 부분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는 밀폐오링(6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차폐외벽부(22)에는 상기 차폐베이스부(21)와 연결된 부분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오링삽입홈(22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오링(60)은 상기 오링삽입홈(22d)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베이스부(21)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상기 전기조리기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차폐외벽부(22)가 상기 장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차폐베이스부(21)는 상기 장착부의 개구측 테두리에 걸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오링(60)이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 사이를 밀폐하도록 탄발적으로 압착되어 수분 내지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상기 차폐베이스부(21)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10)가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내벽부(2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직경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직경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내벽부(23)는 상기 센서장착홀(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내벽부(2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베이스부(21)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홀(24)은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베이스부(21) 및 상기 차폐내벽부(2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는 상기 차폐베이스부(21)의 상면부에 형성되고 하부 개구는 상기 차폐내벽부(23)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차폐내벽부(23)의 내부, 즉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0)는 후술되는 센서장착부(32)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센서장착부(32)가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에 형합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센서장착홀(24)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차폐하우징(20)의 재질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적용되는 전기조리기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전자파의 강도는 거리가 2배 증가하면 그 에너지는 4배 감소하는 '역 자승 법칙'에 비추어, 상기 전기조리기에 발열부로서 구비되는 유도가열형 코일 및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폐하우징(20)의 재질이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상기 유도가열형 코일로부터 멀게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방출되는 전자파의 영향이 미약한 경우,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열기가 효과적으로 방출 및 차단되도록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기조리기가 발열면적 극대화를 위해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와 유도가열형 코일 사이의 거리가 매우 인접하게 설계되어 방출되는 전자파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전자파 차폐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에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등의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도성 소재는 다수의 분말 입자로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에 혼입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및 입자크기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폐외벽부(22) 내지 상기 차폐내벽부(23)를 통과하는 전자파는 상기 전도성 소재에 의해 다중 반사가 발생되거나 흡수되어 그의 에너지가 현저히 감쇄되거나 소멸되어 전자파 차폐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하우징(20)이 상기 합성수지에 상기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됨에 따라 미세한 정전기가 제거될 수 있어 정전기에 취약한 상기 온도센서(1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상기 합성수지에 상기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됨으로써 기본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온도센서(1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다양한 내부구조를 갖는 전기조리기에 호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차폐내벽부(23) 및 상기 차폐외벽부(22)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공간부(2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하우징(20)은 상기 공간부(29)의 하측이 개구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에 의해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구된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29)로부터 자연대류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연대류통로(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상부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베이스부(21)와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연대류통로(25)는 고온영역(HT)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온영역(HT)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취사가 시작되면 가열되는 고온의 내솥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차폐하우징(20)의 상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되는 상대적 저온영역(HT)은 상기 고온영역(HT)에 비해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서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연대류통로(25)는 상기 공간부(29)의 하부 개구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격되어 상기 차폐외벽부(22)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상기 전기조리기에 적용되면 상기 공간부(29)의 하부 개구측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29)의 하부 개구측은 상기 상대적 저온영역(LT)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연통홀(31b)과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29)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전기조리기에 적용되는 경우 취사가 시작되면 전기조리기에서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내솥의 열기가 상기 차폐하우징(20)에 천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하우징(20)에 천이된 열기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 및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공간부(29)측으로 방출되거나(h1,h2),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을 통해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h3).
이때, 상기 공간부(29)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차폐하우징(20)으로부터 방출된 열기(h1,h2)의 열량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온도가 상승된 상기 공간부(29)의 공기(f)가 자연대류에 의해 상기 상대적 저온영역(LT)으로부터 상기 고온영역(HT)을 향해 상향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 유동된 공기(f)는 상기 자연대류통로(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29)의 하부 개구측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자연대류통로(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29)의 하부 개구측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공간부(29)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전도된 열기가 단열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폐하우징(20)에 천이된 열기가 상기 공간부(29)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하우징(20)으로부터 방출된 열기의 열량을 흡수하여 공기층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상기 자연대류통로(25)를 통해 자연대류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적용된 전기조리기의 발열부가 가열되어 상기 차폐하우징(20)에 열기가 전도되더라도 상기 공간부(29)에 충진된 공기의 단열 효과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10)에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된 상기 공간부(29)의 공기가 자연대류에 의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자연대류통로(25)를 통해 외부로 순환 배출됨에 따라 상기 차폐하우징(20)에 대한 냉각 효과를 부여하여 열기로 인한 상기 온도센서(10)의 신호검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하므로 온도 감지의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따라 제1차폐유도면(22b,22c)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차폐돌기(22a)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제1차폐돌기(22a)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돌출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1차폐돌기(22a)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온도센서(10) 측을 향해 방출되는 전자파의 입사각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은 각각의 상기 제1차폐돌기(22a)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상기 제1차폐돌기(22a)에는 한 쌍의 제1차폐유도면(22b,22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각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반경방향 수선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차폐돌기(22a)는 실질적으로 선단부가 첨예한 삼각 형상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경사진 외면을 갖는 복수개의 상기 제1차폐돌기(22a)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파형(wavy) 단면 프로파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복수개의 상기 제1차폐돌기(22a)가 돌출되어 전체 열 방출 표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차폐하우징(20)에 전도된 열기의 방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을 따라 제2차폐유도면(23b,23c)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차폐돌기(23a)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차폐돌기(23a)는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폐유도면(23b,23c)은 상기 차폐내벽부(23)의 반경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상기 제1차폐돌기(22a)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상기 제2차폐돌기(23a)에는 한 쌍의 제2차폐유도면(23b,23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경사진 외면을 가지면서 열 방출 표면적을 증대시킨 복수개의 상기 제2차폐돌기(23a)가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파형 단면 프로파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차폐돌기(23a)는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된 상기 제1차폐돌기(22a)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상기 제2차폐돌기(23a)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22) 및 상기 차폐내벽부(23)는 상기 제1차폐돌기(22a) 및 상기 제2차폐돌기(23a)가 돌출됨에 따라 전체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폐외벽부(22) 및 상기 차폐내벽부(23)의 표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차폐하우징(20)에 전도된 열기의 방출 효율이 더욱 향상되어 상기 차폐하우징(20)의 과열로 인한 표면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외벽부(22)는 상기 차폐내벽부(23)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차폐외벽부(22)측에는 상기 차폐내벽부(23)보다 더 많은 열기의 열량이 전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외벽부(23)을 통해 상기 차폐내벽부(23)보다 더 많은 양의 열기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가 적용되는 상기 전기조리기의 발열부가 유도가열형 코일로 구비되는 경우 가열시 내부에 유도 자기장이 형성되어 전자파가 상기 온도센서(10) 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센서(10)측으로 방출된 전자파는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해 반사가 유도될 수 있다. 상세히, 공기를 매질로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온도센서(10) 측을 향해 방출되는 전자파는 공기와 다른 매질인 상기 차폐외벽부(22)에 의해 가로막혀 어느 일부분(e1)이 반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외벽부(22)에 반사되는 전자파의 어느 일부분(e1)은 상기 차폐외벽부(22)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반사되는데 각 상기 제1차폐유도면(22b,22c)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측을 향해 분산되어 에너지 감쇄를 통한 전자파의 소멸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의 다른 일부분(미도시)은 상기 제1차폐돌기(22a)의 첨예한 선단부에 입사되어 산란(scattering)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파가 산란된다라 함은 운동 방향이 바뀌거나 흩어져 에너지가 분산되는 난반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전자파가 상기 제1차폐돌기(22a)의 선단부와 같이 뾰족한 모서리 등에 입사되는 경우 산란되는 양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반사 및 산란되는 전자파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파(e2)는 상기 차폐외벽부(22)를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는 전자파는 매질의 변화로 인해 입사되는 각도와 상이하게 굴절되어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입사각도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굴절되어 그의 굴절각도가 수평각도를 초과하게 되면 다른 매질로 입사되지 않고 완전반사(total reflection)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폐외벽부(22)에 의해 일부 전자파가 차폐되어 다중반사되거나 산란을 통해 소멸되고, 상기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다중굴절되어 에너지가 크게 감쇄되고 그의 양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외벽부(22)에 파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제1차폐돌기(22a)에 의해 상기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는 전자파가 다중반사 및 다중굴절되어 에너지가 크게 감쇄되므로 전자파에 의한 상기 온도센서(10)의 유도가열을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에 의한 상기 온도센서(10)의 고장 내지 오작동이 방지되어 내구성 및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여 상기 공간부(29) 내측으로 입사된 전자파는 상기 공간부(29)의 공기와 다른 매질인 상기 차폐내벽부(23)에 의해 가로막혀 상술한 원리와 같이 일부분이 반사되거나 산란되고 나머지는 상기 차폐내벽부(23)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29)의 내측으로 입사된 전자파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에 돌출된 제1차폐돌기(22a)와,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에 돌출된 제2차폐돌기(23a)에서 재차적으로 반사, 산란 및 굴절됨에 따라 에너지 감쇄를 통한 전자파의 소멸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29) 측에 입사된 일부 전자파가 상기 차폐내벽부(23) 및 상기 차폐외벽부(22)에 의해 반사되거나 산란되고 상기 차폐외벽부(22)의 외측으로 굴절되어 통과되어 소멸됨에 따라 상기 차폐내벽부(23)를 통과하는 전자파의 양과 세기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외벽부(22)에서 1차적으로 에너지가 약해진 전자파가 상기 차폐내벽부(23)에서 한번 더 그 에너지가 감쇄되는 이중차폐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차폐외벽부(22)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에너지가 감쇄된 일부 전자파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 및 상기 차폐내벽부(23)의 외주면에 재차적으로 반사, 산란 및 굴절되어 에너지가 소멸되므로 다중차폐 과정에 의한 전자파 차폐 효율 및 그에 의한 유도가열 차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차폐외벽부(22) 및 상기 차폐내벽부(23)에 의한 유도가열 방지 효과와 더불어 상기 전기조리기의 발열부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전도되는 열기 또한 외부로 순환 배출되므로 상기 온도센서(10)에 작용되는 고온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시너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0)가 장착되되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3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브라켓(30)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장착돌기(31a)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장착브라켓(30)은 몸체부(31), 상기 센서장착부(32) 및 기판장착부(3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하우징(20)과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31)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하단부 내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제한부(28)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31)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하단부 내주측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31)의 상면부가 상기 삽입제한부(28)에 걸림되어 삽입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1)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1)가 균일하게 지지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외벽부(22)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돌기결합부(2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결합부(26)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의 수량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결합부(26)는 상기 차폐외벽부(22)의 하단부 테두리 일측이 하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결합부(26)의 일측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장착홈(26a)이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홈(26a)의 하측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걸림되도록 걸림턱(27)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는 상기 몸체부(31)가 상기 차폐외벽부(22)의 하단부 내주 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돌기결합부(26)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는 상기 장착홈(26a) 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는 상기 장착홈(26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턱(27)에 의해 걸림되어 하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브라켓(30)이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상기 돌기결합부(26)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착브라켓(3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기만 해도 상기 차폐하우징(20) 및 상기 장착브라켓(3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브라켓(30)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구조를 통해 생산성 및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장착브라켓(30)은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31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홀(31b)은 상기 장착브라켓(30)이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29)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31b)을 통해 상기 공간부(29)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장착부(32)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일체로 상향 돌출되며 상기 센서장착홀(24)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장착부(32)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내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이 밀폐되도록 상기 센서장착부(32)가 형합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31)의 상면부에는 상기 센서장착부(32)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실링접촉면(31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장착부(32)가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실링접촉면(31d)에는 상기 차폐내벽부(23)의 하단부(23d)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하우징(20) 및 상기 장착브라켓(30)의 상호 접촉면에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이 밀폐되도록 구리스(grease) 등과 같은 유성윤활제가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하우징(20) 및 상기 장착브라켓(30)의 상호 접촉면이라 함은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상기 장착브라켓(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실링접촉면(31d) 및 상기 차폐내벽부(23)의 하단부(23d)를 포함하는 상호 간의 접촉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장착홀(24)은 상기 온도센서(10)에 전도되는 열이 차단되도록 상부 및 하부 개구측이 밀폐되어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센서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이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에 의해 밀폐되고 하부 개구측이 상기 센서장착부(32)가 형합 삽입되고 상기 유성윤활제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센서장착홀(24)의 내부에는 밀폐된 공기층으로서 상기 단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장착홀(24)은 상기 적외선투과렌즈(50) 및 상기 온도센서(10)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0)를 제외한 상기 단열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하우징(2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외부공기와 차단된 밀폐구조로 구비된 센서장착홀(24)은 상기 온도센서(10) 이외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폐내벽부(23) 및 상기 차폐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온도센서(10)에 전도되는 열기를 차단하여 자연대류에 의한 열배출 효과와 더불어 상기 온도센서(10)의 과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폐하우징(20)의 내측으로 수분 내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실링 성능이 더욱 보강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내벽부(23)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차폐돌기(23a)가 돌출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상기 단열공간 측으로 대면되는 표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단열공간 측으로 방출되는 열기가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0) 측으로 작용되는 열기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고장 내지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착부(32)의 단부에는 상기 온도센서(10)의 하단부가 끼움 삽입되도록 결합홈부(32a)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센서(10)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장착부(32)의 단면적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0)가 상기 결합홈부(32a)에 끼움 삽입되어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온도센서(10)의 외면 및 상기 센서장착부(32)의 외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결합홈부(32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센서장착부(32)가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에 형합 삽입되어 상기 센서장착홀(24)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센서장착부(32)의 외면 및 상기 결합홈부(32a)의 내면 사이 두께로 인해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장착홀(24)의 내주면과의 접촉이 방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차폐하우징(20)과의 접촉을 통해 직접적으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고장 내지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32a)의 바닥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1)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삽입홀(3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삽입홀(32b)은 상기 센서장착부(32) 및 상기 몸체부(3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1)의 하면부에 하부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11)는 상기 단자삽입홀(32b)을 관통하여 끝단이 상기 단자삽입홀(32b)의 하부 개구측으로부터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단자(11)가 상기 단자삽입홀(32b)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기 온도센서(10)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홈부(32a)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센서장착부(32)에 상기 온도센서(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부(32)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상기 돌기결합부(26)에 삽입 및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에 삽입되는 높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내벽부(23)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31a)가 상기 돌기결합부(26)에 삽입 및 결합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몸체부(31)의 상면부에 밀착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장착브라켓(30)이 상기 차폐하우징(20)의 하부에 결합되면 상기 차폐내벽부(23)의 단부가 상기 몸체부(31)의 상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센서장착부(32)는 상기 센서장착홀(24)의 하부 개구측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장착부(33)는 상기 몸체부(3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장착되도록 장착공간(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장착부(33)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상기 장착공간(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장착공간(33a)의 개구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33a)은 상기 단자삽입홀(32b)과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상기 장착공간(33a)에 삽입 및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삽입홀(32b)을 관통한 상기 접속단자(11)의 끝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0)는 상기 센서장착부(3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온도센서 20: 차폐하우징
21: 차폐베이스부 22: 차폐외벽부
22a: 제1차폐돌기 23: 차폐내벽부
23a: 제2차폐돌기 24: 센서장착홀
25: 자연대류통로 29: 공간부
30: 장착브라켓 31a: 브라켓장착돌기
50: 적외선투과렌즈 60: 밀폐오링
100: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Claims (5)

  1. 대향 배치된 측정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적외선이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장착홀이 형성되되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센서장착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차폐베이스부와, 상기 차폐베이스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온도센서의 외부와 이격 배치되는 차폐외벽부를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차폐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하우징은 상기 차폐베이스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기 차폐외벽부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내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내벽부 및 상기 차폐외벽부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차폐외벽부에는 상기 공간부로부터 자연대류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연대류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외벽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따라 제1차폐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차폐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차폐내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2차폐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2차폐돌기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하우징은 상기 합성수지에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복합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차폐외벽부에는 상기 차폐베이스부와 연결된 부분의 외주를 따라 밀폐오링이 결합되며,
    상기 차폐하우징에는 상기 센서장착홀의 상부 개구측을 밀폐하도록 적외선투과렌즈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차폐하우징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장착돌기가 돌출된 장착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외벽부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상기 브라켓장착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장착홀은 상기 온도센서에 전도되는 열이 차단되도록 상부 및 하부 개구측이 밀폐되어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20180073127A 2018-06-26 2018-06-26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193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27A KR101930898B1 (ko) 2018-06-26 2018-06-26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JP2019038750A JP6928017B2 (ja) 2018-06-26 2019-03-04 非接触式温度センサ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27A KR101930898B1 (ko) 2018-06-26 2018-06-26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898B1 true KR101930898B1 (ko) 2019-03-11

Family

ID=6575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27A KR101930898B1 (ko) 2018-06-26 2018-06-26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28017B2 (ko)
KR (1) KR101930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300B1 (ko) 2020-02-05 2020-09-16 임병택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20210043299A (ko) * 2019-10-11 2021-04-21 (주)쿠첸 온도 센싱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065A (ko) * 1999-11-24 2001-06-15 최재철 건축용 합성수지 시트
KR100862947B1 (ko) 2006-09-07 2008-10-15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 모듈
KR20110089405A (ko) * 2008-10-23 2011-08-08 카즈 유럽 에스에이 표유 복사 차폐부를 갖는 비접촉식 의료용 온도계
KR20160041041A (ko) * 2013-08-09 2016-04-15 세미텍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장치
KR20170096887A (ko) * 2016-02-17 2017-08-25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801A (ja) * 2009-05-07 2010-11-18 Apisute:Kk 赤外線撮像システム
JP5641339B2 (ja) * 2011-02-28 2014-12-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赤外線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誘導加熱調理器
JP2013186038A (ja) * 2012-03-09 2013-09-19 Panasonic Corp 赤外線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065A (ko) * 1999-11-24 2001-06-15 최재철 건축용 합성수지 시트
KR100862947B1 (ko) 2006-09-07 2008-10-15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 모듈
KR20110089405A (ko) * 2008-10-23 2011-08-08 카즈 유럽 에스에이 표유 복사 차폐부를 갖는 비접촉식 의료용 온도계
KR20160041041A (ko) * 2013-08-09 2016-04-15 세미텍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장치
KR20170096887A (ko) * 2016-02-17 2017-08-25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299A (ko) * 2019-10-11 2021-04-21 (주)쿠첸 온도 센싱 모듈
KR102261563B1 (ko) 2019-10-11 2021-06-07 (주)쿠첸 온도 센싱 모듈
KR102156300B1 (ko) 2020-02-05 2020-09-16 임병택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3473A (ja) 2020-01-09
JP6928017B2 (ja)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898B1 (ko)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JP504798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89669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887054B1 (ko) 적외선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JPWO2010073490A1 (ja) 誘導加熱調理器
EP3376116A1 (en) Ligh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102156300B1 (ko)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CN208425902U (zh) 烹饪设备及其红外测温装置
US20210120997A1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3015278A (zh) 用于微波炉中相机窗格玻璃的透明金属涂层
KR101971765B1 (ko) 광원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218915026U (zh) 一种烹饪器具及烹饪套组
CN211673722U (zh) 烹饪煲体和烹饪器具
CN215336501U (zh) 电磁灶和烹饪系统
CN219613636U (zh) 一种盖体及烹饪器具
CN211484132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CN211582708U (zh) 发热装置及烹饪器具
ES2760558T3 (es) Dispositivo de aparato de cocción
CN209995890U (zh) 烹饪器具
JP5932495B2 (ja) 加熱調理器
RU28032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ее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в крышке
CN220423752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211484131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CN217488321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US20220221154A1 (en) Light Cooking Device and Light Cook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