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300B1 -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300B1
KR102156300B1 KR1020200013492A KR20200013492A KR102156300B1 KR 102156300 B1 KR102156300 B1 KR 102156300B1 KR 1020200013492 A KR1020200013492 A KR 1020200013492A KR 20200013492 A KR20200013492 A KR 20200013492A KR 102156300 B1 KR102156300 B1 KR 10215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ensor
holder
hous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임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택 filed Critical 임병택
Priority to KR102020001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06Focu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concave mirr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01J2005/065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by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외열 차단 수단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외부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도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대향 배치된 측정 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가 수납되는 센서 수납실을 한정하는 홀더 내벽부 및 홀더 내벽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홀더 내벽부와의 사이에서 온도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폐하는 외열 차폐용 격실을 형성하는 홀더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 홀더; 외열 차폐용 격실을 밀폐하는 차폐용 마개 및 센서 홀더를 지지한 채로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차폐용 마개는 종단면이 도치된 철(凸)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진다.
센서 수납실 및 온도센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센서 수납실의 직경은 온도센서의 직경보다 크다.
센서 하우징은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면부와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로 수직 연장된 하우징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 상면부의 중앙부위에는 적외선이 통과하는 적외선 투과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적외선 투과공을 밀폐하는 적외선 투과렌즈가 설치된다.
차폐용 마개는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에 밀착되어 센서 수납실을 밀폐한다.
하우징 외벽부와 홀더 외벽부 사이에는 외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센서 홀더 주위의 공기가 순환되는 대류 통로로 기능한다.
센서 홀더 또는 이에 더하여 센서 하우징은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외열 차단 수단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외부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도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통상의 업소 및 가정에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이나 전기압력밥솥 등을 포함하는데, 발열부가 구비된 본체, 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 및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솥의 내부에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된다.
한편, 발열부는 내솥의 바닥부 및 바닥부와 측판부를 연결하는 곡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솥을 가열한다. 여기서, 발열부는 열판 히터나 유도가열 코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근에는 높은 가열 효율과 온도 조절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유도가열 코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조리기에는 또한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내솥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온도센서는 내솥의 바닥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솥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취사가 시작되면 내솥이 고온 상태가 되어 내솥의 바닥부 하측에 위치하는 온도센서로 내솥의 고온이 천이됨에 따라 온도센서가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유도가열 코일로 이루어진 발열부가 온도센서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유도가열 코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해 온도센서가 일정 부분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두 가지의 복합 작용에 의한 가열로 온도센서가 과열되면 신호검출 정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취사 온도 제어 상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조리 품질의 저하와 온도 제어 계통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기 선행기술1로 제안된 전기조리기의 온도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해 단면도인바, 여기에서 사용된 참조 번호는 본 도면에만 국한하여 유효함을 밝혀둔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어셈블리는 베이스 본체(90)의 바닥면 중앙 부위에 장착되는데,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부(10)가 베이스 본체(90)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0)의 내부에는 둘레벽(11)에 의해 일정 면적의 원형 공간이 형성된다.
커버부(10)의 하부에는 전자파 차폐부재(50)가 위치하고, 차폐부재(5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40)가 장착된다. 여기서 차폐부재(50)는 페라이트 재질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워킹코일 및 이의 작동에 따른 노이즈를 억제하고 온도센서(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부(10)의 상면은 가장자리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부에 물이 흘러도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양측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차폐부재(50)와 온도센서(40)는 홀더부(80) 상에 각각 장착된다. 커버부(10)의 중앙에는 관통구(h)가 형성되고, 관통구(h)의 상부에는 투과판(60)이 장착된다. 홀더부(80)의 하부에는 PCB(70)가 장착되고, 홀더부(80)는 볼트나 나사 등의 고정 부재(30)에 의해 커버부(10)에 고정된다. 온도센서(40)로는 비접촉 온도센서의 하나인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어셈블리에 따르면, 비록 전자파는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하더라도 유도가열용 코일의 가열 등으로 인한 온도센서 주위의 외부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함으로 인해 온도센서가 가열되어 그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출원인을 주 발명자로 하여 하기 선행기술2로 제안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종단면도 및 차폐 구조의 저면도인바, 관련 참조 번호는 본 도면에서만 유효함을 밝혀둔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2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100)는 온도 측정 대상물인 내솥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내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0) 및 차폐 하우징(20)을 구비한다. 온도센서(10)는 그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11)를 구비하고, 장착 브라켓(3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CB, 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차폐 하우징(20)은 적외선이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온도센서(10)가 배치되는 센서 장착홀(24), 외부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 베이스부(21)와 차폐 외벽부(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부 전자파라 함은 전기조리기의 발열부가 유도가열 코일로 이루어진 경우 가열시 내부에 유도 자기장이 형성되어 방출되는 전자파(불요복사)가 될 수 있다.
차폐 베이스부(21)의 상면부에는 센서 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 테두리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향 경사진 구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 베이스부(21)의 상면부에 물이 낙하되더라도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센서 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 내주에는 외측을 향해 적외선 투과렌즈(5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확장 개구되어 적외선 투과렌즈(50)와 형합되는 결합 단턱(24a)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센서 장착홀(24)의 상부 개구측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차폐 외벽부(22)는 차폐 베이스부(21)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되되 온도센서(10)의 외부와 이격 배치된다. 차폐 외벽부(22)의 차폐 베이스부(21)와 연결된 부분의 외주면에는 밀폐용 오링(60)이 삽입된다.
차폐 하우징(20)은 또한 차폐 베이스부(21)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차폐 외벽부(22)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며 온도센서(10)가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 내벽부(23)를 더 구비하는데, 차폐 내벽부(23)의 직경은 차폐 외벽부(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차폐 외벽부(22)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따라 제1차폐 유도면(22b,22c)이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차폐돌기(22a)가 돌출되는데, 제1 차폐 유도면(22b,22c)은 차폐 외벽부(22)의 외측으로부터 온도센서(10) 측을 향해 방출되는 전자파의 입사각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폐 외벽부(22)에 반사되는 전자파의 어느 일부분(e1)은 차폐 외벽부(22)에 입사되는 각도에 대응되도록 반사되는데, 각 제1 차폐 유도면(22b,22c)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차폐 외벽부(22)의 외측을 향해 분산되어 에너지 감쇄를 통한 전자파의 소멸이 유도될 수 있다. 전자파의 다른 일부분(미도시)은 제1 차폐돌기(22a)의 첨예한 선단부에 입사되어 산란(scattering)되는데, 이에 따라 전자파의 운동 방향이 바뀌거나 흩어져 에너지가 분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2에서는 차폐 하우징과 차폐 외벽부에 단면이 삼각형인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의 전자파를 반사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온도센서에 도달하는 전자파를 일정 부분 차단함과 함께 발열 면적 증가를 통한 온도센서 주위의 열방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온도센서에 도달하는 열 자체를 차단하는 기능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 : 10-1815036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어셈블리)
선행기술2 : 10-1930898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선행기술3 : 10-1867353호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구조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열 차단 수단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외부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도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대향 배치된 측정 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가 수납되는 센서 수납실을 한정하는 홀더 내벽부 및 홀더 내벽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홀더 내벽부와의 사이에서 온도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폐하는 외열 차폐용 격실을 형성하는 홀더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 홀더; 외열 차폐용 격실을 밀폐하는 차폐용 마개 및 센서 홀더를 지지한 채로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차폐용 마개는 종단면이 도치된 철(凸)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진다.
센서 수납실 및 온도센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센서 수납실의 직경은 온도센서의 직경보다 크다.
센서 하우징은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면부와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로 수직 연장된 하우징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 상면부의 중앙부위에는 적외선이 통과하는 적외선 투과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적외선 투과공을 밀폐하는 적외선 투과렌즈가 설치된다.
차폐용 마개는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에 밀착되어 센서 수납실을 밀폐한다.
하우징 외벽부와 홀더 외벽부 사이에는 외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센서 홀더 주위의 공기가 순환되는 대류 통로로 기능한다.
센서 홀더 또는 이에 더하여 센서 하우징은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에 따르면, 전기 밥솥 등의 전기조리기에 적용되어 복수의 외열 차단 수단을 통해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에 외부의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도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선행기술1로 제안된 전기조리기의 온도센서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해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선행기술2로 제안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종단면도 및 차폐 구조의 저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b에서 A-A선 및 B-B선을 취하여 본 세로 및 가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를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b에서 A-A선 및 B-B선을 취하여 본 세로 및 가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예를 들어 전기밥솥과 같은 전기조리기에서 유도가열 코일이 배치된 발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측정 대상물인 내솥의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크게 온도센서(230), 온도센서(230)를 수용한 채로 외부 열을 차단하는 센서 홀더(210) 및 센서 홀더(210)를 지지한 채로 발열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센서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온도센서(230)는 대향 배치된 측정 대상물, 즉 내솥과 접촉하지 않고도 그 하면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분 내지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해 센서 하우징(200)의 내부에 밀폐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230)의 본체(232)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234)가 하향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PCB; 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230)의 본체(232)는, 예를 들어 대략적인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센서 하우징(200)은 상기 발열부의 중앙부위에 노출되는 하우징 상면부(202)와 하우징 상면부(202)의 하부로 수직 연장된 하우징 외벽부(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상면부(202)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표면에 물이 흘러도 센서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흘려내리도록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상면부(202)의 중앙부위에는 내솥에서 발산된 적외선이 통과하는 적외선 투과공(202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적외선 투과공(202a)을 밀폐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적외선의 투과를 허용하도록 적외선 투과렌즈(26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적외선 투과공(202a)의 주위의 하우징 상면부(202)에는 적외선 투과렌즈(260)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확장 개구된 결합 단턱(202b)이 형성되어 적외선 투과렌즈(260)와 형합된다.
하우징 외벽부(204)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상면부(202)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되는데, 경우에 따라 딴몸 제작된 후 하우징 상면부(202))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하우징 외벽부(204)의 직경은 하우징 상면부(20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하우징 상면부(202)와 하우징 외벽부(204)의 면접 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턱에 밀폐용 오링(25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가 전기조리기의 장착부(미도시)에 장착되면 하우징 외벽부(204)가 상기 장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부(202)는 상기 장착부의 개구측 테두리(미도시)에 걸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밀폐용 오링(250)이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및 하우징 외벽부(204)의 외주 사이를 밀폐하도록 탄발적으로 압착되어 수분 내지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참조 번호 206은 하우징 외벽부(204)의 적소, 예를 들어 상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상측 대류용 통공을 나타내고, 208은 하우징 외벽부(204)의 하부에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센서 홀더(210)를 센서 하우징(200) 하부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넣을 경우 센서 홀더(210)가 미끄러져 삽입된 후 걸려서 고정되는 탄발성 경사 검림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센서 홀더(210)는 중간에 외열 차폐용 격실(214)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된 홀더 외벽부(211)와 홀더 내벽부(212)를 구비하는데, 홀더 내벽부(212)에 의해 한정된 공간이 온도센서(230)가 수납되어 안착되는 센서 수납실(213)이 된다. 홀더 외벽부(211)와 홀더 내벽부(21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외열 차폐용 격실(214)의 상부에는 환형 개구가 형성된다. 외열 차폐용 격실(214)의 폭은 1~10㎜, 바람직하게는 2~5㎜로 정해질 수 있다.
참조 번호 220은 종단면이 도치된 철(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열 차폐용 격실(214)의 환형 개구를 막아서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치폐용 마개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차폐용 마개(22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실리콘 러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차폐용 마개(220)는 그 외면(상면)이 하우징 상면부(202)의 하면에 압착 접촉됨으로써 센서 홀더(210) 외부의 열이 센서 수납실(213)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한다.
센서 수납실(213) 역시 온도센서(230)보다 큰 직경 및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온도센서(230) 주위의 센서 수납실(213)에도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센서 홀더(210) 외부의 열이 온도센서(230)로 전달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센서 수납실의 직경과 높이는 1~10㎜, 바람직하게는 2~5㎜로 정해질 수 있다.
참조 번호 216은 센서 홀더(210) 하부에 홀더 외벽부(2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탄발성 경사 걸림턱(208)에 걸려서 고정되는 결합용 걸림돌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합용 걸림돌기(216) 역시 홀더 외벽부(211)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적소에는 하나 이상의 하측 대류용 통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 번호 270은 센서 하우징(200)과 센서 홀더(210) 사이에 형성된 외측 공간부를 나타내는데, 결과적으로 센서 홀더(210)의 하부의 따뜻한 공기가 결합용 걸림돌기(216)에 형성된 하측 대류용 통공(215)을 통해 외측 공간부(270)로 유입된 후에 하우징 외벽부(204)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대류용 통공(206)을 통해 유출되는 대류 현상이 일어나고, 이에 의해 외부의 열이 센서 홀더(210) 주위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의 작용을 정리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온도센서(230), 온도센서(230)를 수용한 채로 외부 열을 차단하는 센서 홀더(210) 및 센서 홀더(210)를 지지한 채로 발열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센서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센서 홀더(210)의 홀더 내벽부(212)에 의해 한정된 센서 수납실(213) 내부에는 온도센서(230)가 수납되고, 홀더 외벽부(211)와 홀더 내벽부(212) 사이에 형성된 외열 차폐용 격실(212)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 개구는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진 차폐용 마개(220)로 막혀서, 결과적으로 외열 차폐용 격실(212) 내부는 단열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공기로 채워진다.
또한 센서 수납실(213)의 직경과 높이가 온도센서(230)의 직경과 높이보다 커서 온도센서(230) 주위의 센서 수납실(213) 내부는 적외선 투과렌즈(260)에 의해 밀폐되어 순환하지 않은 공기로 채워지는데, 이러한 공기층에 의해 온도센서(230)로 전달되는 외부 열이 이차적으로 차단된다.
더욱이 외부 열이 센서 하우징(200)과 센서 홀더(210) 사이에 형성된 외측 공간부(270)에 정체되지 않고 하측 대류용 통공(215), 외측 공간부(270) 및 상측 대류용 통공(206)을 통해 센서 홀더(210) 주위를 끊임없이 순환함으로써 센서 홀더(210)의 홀더 외벽부(211)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센서 하우징(200) 및 센서 홀더(210)는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외부 전자파가 온도센서(230)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센서 하우징(200) 또는 센서 홀더(210)를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등의 복합 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인바, 이러한 전도성 소재는 다수의 분말 입자로 구비되어 합성수지에 혼입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및 입자 크기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음을 밝혀둔다.
200: 센서 하우징, 202: 하우징 상면부,
202a: 적외선 투과공, 202b: 결합 단턱,
204: 하우징 외벽부, 206: 상측 대류용 통공,
208: 탄발성 경사 걸림턱, 210: 센서 홀더,
211: 홀더 외벽부, 212: 홀더 내벽부,
213: 센서 수납실, 214: 외열 차폐용 격실,
215: 하측 대류용 통공, 216: 결합용 걸림돌기,
220: 차폐용 마개, 230: 온도센서,
232: 본체, 234: 접속 단자,
240: 인쇄회로기판, 250: 밀폐용 오링,
260: 적외선 투과렌즈, 270: 외측 공간부

Claims (7)

  1. 대향 배치된 측정 대상물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통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가 수납되는 센서 수납실을 한정하는 홀더 내벽부 및 홀더 내벽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홀더 내벽부와의 사이에서 온도센서로 전달되는 외부 열을 차폐하는 외열 차폐용 격실을 형성하는 홀더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 홀더;
    외열 차폐용 격실을 밀폐하는 차폐용 마개 및
    센서 홀더를 지지한 채로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되,
    센서 하우징은 측정 대상물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면부와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로 수직 연장된 하우징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 상면부의 중앙부위에는 적외선이 통과하는 적외선 투과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적외선 투과공을 밀폐하는 적외선 투과렌즈가 설치되며,
    차폐용 마개는 종단면이 도치된 철(凸) 형상으로 된 실리콘 러버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상면부의 하부에 밀착되어 센서 수납실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서 수납실 및 온도센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센서 수납실의 직경은 온도센서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우징 외벽부와 홀더 외벽부 사이에는 외측 공간부가 형성되어 센서 홀더 주위의 공기가 순환되는 대류 통로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7. 청구항 1, 3 및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센서 홀더 또는 이에 더하여 센서 하우징은 전도성 소재가 혼입된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20200013492A 2020-02-05 2020-02-05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215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92A KR102156300B1 (ko) 2020-02-05 2020-02-05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92A KR102156300B1 (ko) 2020-02-05 2020-02-05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300B1 true KR102156300B1 (ko) 2020-09-16

Family

ID=7266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92A KR102156300B1 (ko) 2020-02-05 2020-02-05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317A (ko) * 2015-12-21 2016-01-14 (주)파트론 비접촉식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자 장치
KR101815036B1 (ko) 2016-02-17 2018-01-08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어셈블리
KR101867353B1 (ko) 2016-02-17 2018-06-15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구조체
KR101930898B1 (ko) 2018-06-26 2019-03-11 (주)힌지코리아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317A (ko) * 2015-12-21 2016-01-14 (주)파트론 비접촉식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자 장치
KR101815036B1 (ko) 2016-02-17 2018-01-08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어셈블리
KR101867353B1 (ko) 2016-02-17 2018-06-15 (주)쿠첸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구조체
KR101930898B1 (ko) 2018-06-26 2019-03-11 (주)힌지코리아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95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ндукционным нагревом
JP4125646B2 (ja) 誘導加熱装置
KR200492809Y1 (ko) 전자조리기
US8766195B2 (en) Distance detection induction device
JP5235678B2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7070960A1 (zh) 空气处理装置
KR102156300B1 (ko) 전기조리기의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1930898B1 (ko) 비접촉식 온도센서 조립체
KR100370001B1 (ko) 온도감지장치
JP2006308504A (ja) 赤外線検出装置
JP200928942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19738B1 (ko) 적외선검출장치, 가열조리장치 및 가열조리장치의 조리실 온도 측정방법
KR101867353B1 (ko)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구조체
CN210688385U (zh) 厨房电器
KR101896033B1 (ko) 조리기의 비접촉 온도센서 조립체
JP2009259835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2115716U (zh) 电磁加热装置
CN218545899U (zh) 感应烹饪器具
JP2638473B2 (ja) 電磁炊飯器
KR101815036B1 (ko) 전기 밥솥의 비접촉식 온도 센서 어셈블리
CN219981078U (zh) 一种精准测温电磁炉
CN219613636U (zh) 一种盖体及烹饪器具
CN219641512U (zh) 粉尘浓度检测装置
CN211457413U (zh) 加热装置
ES2760558T3 (es) Dispositivo de aparato de coc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