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15B1 -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415B1
KR101930415B1 KR1020170002971A KR20170002971A KR101930415B1 KR 101930415 B1 KR101930415 B1 KR 101930415B1 KR 1020170002971 A KR1020170002971 A KR 1020170002971A KR 20170002971 A KR20170002971 A KR 20170002971A KR 101930415 B1 KR101930415 B1 KR 10193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loading
loading box
opening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983A (ko
Inventor
문형근
Original Assignee
문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근 filed Critical 문형근
Priority to KR102017000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4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05B83/20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with two or more wings, which together close a singl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 덮개에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도어의 개폐에 따라 적재함 덮개의 개폐가 제한되는 픽업차량에 설치된 적재함 덮개 개폐제한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된 제1후방도어의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적재함 덮개의 제2후방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 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적재함 덮개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Control unit opening carrying box cover of pick-up car}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 덮개에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도어의 개폐에 따라 적재함 덮개의 개폐가 제한되는 픽업차량에 설치된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차량은 후방에 작은 적재함이 마련된 소형 트럭으로,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에도 적재함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픽업 차량의 적재함은 대부분 덮개가 없기 때문에, 적재화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밧줄로 묶어 매야한다. 그러나, 종래 픽업 차량에서는 적재화물이 적재함 측판을 넘어 적재된 경우, 운행 중에 항상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것이 교통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픽업 트럭의 적재함을 덮기 위한 픽업트럭의 적재함 덮개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0169호에 게시되어 있다. 적재함 덮개는 적재함의 적재공감 및 적재함 덮개의 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회동가능 한 덮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적재함 덮개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뒷문에 이미 잠금장치가 부설되어 있는데도, 덮개 도어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한 추가적으로 별도의 잠금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적재함 덮개는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데 번거러운 사용상의 단점과 함께, 별도의 잠금장치 추가로 인해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169호 :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629호 :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도어의 개폐에 따라 적재함 덮개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 제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 유닛은 상부 및 후방부가 개방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후방도어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후방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를 구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폐 제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직립 상태로 상기 제1후방도어 회동시, 상기 적재함의 적재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적재함의 후방 방향으로 인입형성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가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회동시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에 가압되어 상기기 제2후방도어의 열림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연장되는 경사인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후방도어에 의해 가압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평선상에 대한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를 갖도록 하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걸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후방도어의 가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의 상기 걸림홈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장공을 관통하며 상기 제1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후방도어 열림 시도시 상기 연장부의 장공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의 개방을 제한을 보조하는 개방제한보조돌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경사인입부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적재함의 후방에 설치된 제1후방도어의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적재함 덮개의 제2후방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 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적재함 덮개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이 마련된 픽업차량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픽업차량의 제1 및 제2후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후방도어를 닫을 때의 적재함 덮개 개폐제한유닛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의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1후방도어를 닫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림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의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2후방도어를 닫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100)이 도시되어 있다.
픽업차량(10)은 일반적인 적재함의 덮개가 없는 소형 트럭의 한 형식인 픽업 트럭 (Pick-up truck)에 적재함 덮개(16)를 더 구비한 것으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상부 및 후방부가 개방되는 적재공간(12)이 형성되는 적재함(11)과, 적재함(11)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적재함(11)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후방도어(15)와, 적재함(11)의 개방된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적재공간(12)의 상방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후방도어(18)가 설치되어 적재함(1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16)를 구비한다.
제1후방도어(15)는 직립 상태에서 적재공간(12)의 후방을 폐쇄하며,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적재공간(12)의 후방을 개방한다.
적재함 덮개(16)는 적재공간(12)의 상부 폐쇄를 위해 제2후방도어(18)가 하향 회동 시 하중을 지지하여 하향 회동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19)가 설치된다.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100)은 적재공간(12) 폐쇄를 위해 직립 상태로 제1후방도어(15) 회동시, 적재함(11)의 적재공간(12)과 마주하는 제1후방도어(15)의 내측면에 적재함(11)의 후방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되 제1후방도어(15)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홈(110)과, 제2후방도어(18)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후방도어(18)가 닫힌 상태에서 제1후방도어(15)가 적재공간(12) 후방 폐쇄를 위해 회동시 걸림홈(110)에 수용되되 제1후방도어(15)에 가압되어 제2후방도어(18)의 열림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130)를 구비한다.
걸림홈(11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연장되는 경사인입부(111)와, 경사인입부(1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일정간격으로 연장된 수평인입부(115)를 구비한다.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112)은 후술되는 걸림부재(130)의 걸림부(137)와 접촉된다.
걸림부재(13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이다.
걸림부재(130)는 제2후방도어(18)의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부(131)와, 제2후방도어(18)가 닫힌 상태에서 결합부(1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1후방도어(15)에 의해 가압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연장부(135)와, 연장부(135)의 단부에서 걸림홈(110)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평선상에 대한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112)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를 갖도록 하향되게 연장형성되어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112) 접촉되는 걸림부(137)를 구비한다.
결합부(131)는 제2후방도어의 하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통해 제2후방도어과 결합된다. 하지만 도시된 예와 다르게, 결합부(131)와 제2후방도어(18)는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걸림부재(130)는 제1후방도어(15)가 직립상태로 회동되면서, 걸림부(137)가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적재함의 전방 방향으로 가압에 대한 반발력이 걸림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외부에서 제1후방도어(15)의해 닫힌 상태에서 제2후방도어 개방을 위한 외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 판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걸림부재는 알류미늄이나 강 소재를 이용한 판재가 적용돨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130)는 제1후방도어의 가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135)가 하부로 갈수록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5)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1후방도어(15)에 의해 적재함(11)의 전방측으로 밀려나는 연장부(135)의 회동길이가 증가되어 제1후방도어(15)의 가압이 증가되며 걸림부(137)와 접촉되는 경사인입부(111)에 더 큰 반발력이 발생되어 제2후방도어(18)의 개방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방도어(15)와 제2후방도어(18)가 개방된 상태에서, 먼저 제2후방도어(18)를 하향 회동시켜 적재함(11)의 적재공간(12)의 상부를 폐쇄한다.
제2후방도어(18)가 닫히면, 제1후방도어(15)를 직립상태로 회동시킨다. 제1후방도어(15)가 직립상태로 회동되면서 제2후방도어(18)의 하면에 설치된 걸림부재(130)를 가압되고 걸림부(137)가 걸림홈(110)에 인입되어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112)과 접촉되게 된다. 제1후방도어(15)는 직립상태로 회동되면서 측부에 설치된 잠금장치(17)에 의해 직립상태가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2후방도어(18)는 걸림부재(130)가 제1후방도어(15)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걸림부(137)가 경사면(112)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1후방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별도 개방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며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 개폐제한유닛은 걸림부재의 연장부에 장공(136)이 더 형성되며, 장공(136)을 관통하여 걸림부재(130)를 지지하는 개방제한보조돌기(140)를 더 구비한다.
걸림부재(130)의 연장부(135)는 도 5를 참조하면, 제2후방도어(18)가 닫힌 상태, 하향 회동이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적재함(11)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36)이 형성된다.
개방제한보조돌기(140)는 제1후방도어(15)가 닫힌 상태 즉 직립상태를 기준으로 제1후방도어(15)의 내측면 중 걸림홈(110)의 상방의 위치에 장착되되 제1후방도어(15)내측면에 대해 적재함(11)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개방제한보조돌기(140)는 연장부(135)의 장공(136)을 관통하며 제1후방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제2후방도어(18) 개방 시도시 연장부(135)의 장공(136)의 하단에 접촉되어 제2후방도어(18)의 개방 제한을 보조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3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300)은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212)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걸림부(137)의 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가압돌기(212a)가 형성된다.
가압돌기(21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제1후방도어(15)에 가압되어 걸림홈(110)의 경사인입부(111)로 인입되는 걸림부재(130)의 걸림부(137)와 접촉된다.
가압돌기(212a)는 제1후방도어(15)의 걸림부재(130) 가압에 의해 걸림부(130)를 통해 인가되는 반발력이 면적이 좁아지는 단부로 집중되므로 걸림부(13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제1후방도어(15)의 내측면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410)과, 걸림부재(130)를 구비한다.
브라켓(410)은 제1후방도어(15)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걸림홈(110)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때, 제1후방도어(15)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브라켓(410)은 적재함(11) 후방 방향으로 인입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인입된 길이가 연장되어 걸림부재(130)의 걸림부(137)가 인입되어 접촉되는 경사인입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30)의 걸림부(137)는 경사인입부(111)의 경사면(112)과 접촉되면서 직립상태의 제1후방도어(15)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2후방도어(18)의 개방을 제한한다.
브라켓(410)은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경사인입부(111)와 수평인입부(115)를 구비하는 걸림홈(110)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걸림홈이 형성되지 않은 제1후방도어를 갖는 픽업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어 적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적재함(11)의 후방에 설치된 제1후방도어(15)의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적재함 덮개(16)의 제2후방도어(18)를 잠금 및 잠금해제 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며 적재함 덮개(18)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픽업 차량 11 : 적재함
12 : 적재공간 15 : 제1후방도어
16 : 적재함 덮개 18 : 제2후방도어
100 :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110 : 걸림홈 111 : 경사인입부
112 : 경사면 130 : 걸림부재
131 : 결합부 135 : 연장부
137 : 걸림부

Claims (6)

  1. 상부 및 후방부가 개방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후방도어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후방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를 구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 제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직립 상태로 상기 제1후방도어 회동시, 상기 적재함의 적재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적재함의 후방 방향으로 인입형성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가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회동시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에 가압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의 열림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연장되는 경사인입부와, 상기 경사인입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일정간격 연장된 수평인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후방도어에 의해 가압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평선상에 대한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를 갖도록 하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가 직립상태로 회동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인입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적재함의 전방방향으로 가압에 대한 반발력이 상기 걸림홈에 인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후방도어의 가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 제한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 및 후방부가 개방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후방도어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후방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를 구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 제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직립 상태로 상기 제1후방도어 회동시, 상기 적재함의 적재공간과 마주하는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적재함의 후방 방향으로 인입형성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가 상기 적재공간 폐쇄를 위해 회동시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되 상기 제1후방도어에 가압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의 열림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입된 길이가 연장되는 경사인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후방도어의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후방도어에 의해 가압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연장되되 수평선상에 대한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각보다 작은 경사를 갖도록 하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경사인입부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의 상기 걸림홈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후방도어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장공을 관통하며 상기 제1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후방도어 열림 시도시 상기 연장부의 장공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제2후방도어의 개방을 제한을 보조하는 개방제한보조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 제한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인입부는
    상기 경사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걸리는 다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KR1020170002971A 2017-01-09 2017-01-09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KR10193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71A KR101930415B1 (ko) 2017-01-09 2017-01-09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71A KR101930415B1 (ko) 2017-01-09 2017-01-09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83A KR20180081983A (ko) 2018-07-18
KR101930415B1 true KR101930415B1 (ko) 2018-12-18

Family

ID=6304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971A KR101930415B1 (ko) 2017-01-09 2017-01-09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969B1 (ko) * 2021-03-24 2021-08-11 정소용 공간활용 캠핑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225A1 (en) 2000-02-29 2001-11-08 Muirhead Scott Arthur William Hard truck bed cover
KR200362677Y1 (ko) * 2004-06-28 2004-09-22 김석근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200431629Y1 (ko) 2006-08-16 2006-11-23 이형민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200469157Y1 (ko) * 2012-03-26 2013-10-14 홍기남 차량용 하드탑의 로킹장치
KR200471219Y1 (ko) 2013-01-16 2014-02-12 주식회사 시마스 자동차의 적재실용 덮개의 체결구
KR101602344B1 (ko) 2014-05-29 2016-03-10 김동근 다목적 차량의 하드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41Y2 (ja) * 1989-10-18 1994-11-30 矢崎化工株式会社 幌付貨物自動車等のウィング扉のワンタッチロック金具
KR20160001567U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시마스 픽업 차량용 적재함 덮개 도어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8225A1 (en) 2000-02-29 2001-11-08 Muirhead Scott Arthur William Hard truck bed cover
KR200362677Y1 (ko) * 2004-06-28 2004-09-22 김석근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200431629Y1 (ko) 2006-08-16 2006-11-23 이형민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200469157Y1 (ko) * 2012-03-26 2013-10-14 홍기남 차량용 하드탑의 로킹장치
KR200471219Y1 (ko) 2013-01-16 2014-02-12 주식회사 시마스 자동차의 적재실용 덮개의 체결구
KR101602344B1 (ko) 2014-05-29 2016-03-10 김동근 다목적 차량의 하드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969B1 (ko) * 2021-03-24 2021-08-11 정소용 공간활용 캠핑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83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4559A1 (en) Door latch assembly with damping member of automobile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KR102587245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KR101930415B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100395067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JP2018095220A (ja) 緩衝材
US9517810B2 (en) Glove compartment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JP4407372B2 (ja) 車両のトノボード付後部構造
KR101348958B1 (ko) 테일게이트 래치용 범퍼 부품
CN221067739U (zh) 车辆尾门以及车辆
CN220577380U (zh) 一种货箱及车辆
JP3135441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荷箱後部扉の開扉位置保持装置
JPS62244990A (ja) 自動車用ロツク装置
KR100747888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JP4859885B2 (ja) 箱型荷台の後部ドアのスライド装置
KR200362677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100207196B1 (ko) 화물트럭의 적재함 리어포스트
KR10195461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닫힘 방지구조
KR200162228Y1 (ko) 화물차량의 화물칸 게이트 록킹장치
KR20160001567U (ko) 픽업 차량용 적재함 덮개 도어의 잠금장치
JPH02353Y2 (ko)
JP3533933B2 (ja) 車両の箱型ボデーの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