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245B1 -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 Google Patents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245B1
KR102587245B1 KR1020190072535A KR20190072535A KR102587245B1 KR 102587245 B1 KR102587245 B1 KR 102587245B1 KR 1020190072535 A KR1020190072535 A KR 1020190072535A KR 20190072535 A KR20190072535 A KR 20190072535A KR 102587245 B1 KR102587245 B1 KR 10258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hook
bracket
strength improvement
sw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435A (ko
Inventor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245B1/ko
Priority to US16/594,366 priority patent/US11192431B2/en
Priority to CN201911044395.4A priority patent/CN112092589B/zh
Publication of KR2020014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 E05D15/104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carriag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60J5/0479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without B-pillar or releasable B-pillar, i.e. the pillar is moving with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대형형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하중을 가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강도 시험을 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가 견딜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시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서 차체에 고정 연결되고, 후크 수용부를 갖는 제1 브라켓;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일측에 후크를 갖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STRUCTURE FOR IMPROVING BREAKAWAY RIGIDITY OF OPPOSED SLIDING DOOR}
본 발명은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대형형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하중을 가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강도 시험을 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가 견딜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시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는 차실 개폐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차실 개폐 도어 중 슬라이딩 방식의 경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설치된 리어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와 리어 슬라이딩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 또는 도어에 장착된 로워레일 및 센터레일에 연결된 슬라이더 및 스윙암의 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근래에는 짐의 적재, 좁은 공간에서 승하차성 등의 향상을 위해 B 필라를 제거함으로써 차실의 개방 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B 필라리스 도어가 사용되고 있다.
보통 B 필라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고려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B 필라리스 도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차량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슬라이딩 도어를 보호할 수 있는 등 일정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특히,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강도의 하중에도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법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법규 기준을 만족하는 시험을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시험이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시험 시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10a) 및 리어 슬라이딩 도어(10b)가 닫힌 상태에서 하중(F)이 작용하는 경우, 슬라이딩 도어(10)와 차체(P) 간의 체결 또는 슬라이딩 도어(10) 간의 체결이 약하거나 없으면 스윙암(40)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쉽게 열려버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슬라이딩 도어를 록킹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601106호(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는 연결구조물과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스윙 암의 동작으로, 레일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쇠가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를 록킹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601106호(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는 슬라이딩 도어를 차량에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기 위해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01106호(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차량의 하측에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시험 시 적용되는 하중에도 슬라이딩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상술한 법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서 차체에 고정 연결되고, 후크 수용부를 갖는 제1 브라켓;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일측에 후크를 갖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차체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확장된 수직부를 갖는다.
한편,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후크의 일측이 상기 후크 수용부의 측벽에 닿아 상기 스윙암의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는 상기 레일과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스윙암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에 고정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피메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에는 메일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메일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부는 상기 피메일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메일부는 상기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롯 형태의 홈 형상이다.
한편, 상기 메일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스윙암이 상기 스토퍼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범퍼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에 적용되는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이 사이드 아웃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메일부의 형상이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크므로 메일부가 피메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가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가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어 걸림으로써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가 후크 수용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메일부가 피메일부의 일측에 닿아 하중을 지지하므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탈강도를 시험하기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에 가하는 하중과 이에 따른 스윙암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가 차체 및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중 차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중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슬라이딩 도어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는 슬라이딩 도어에 적용되는 이탈강도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법규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일정 강도의 하중(F)이 가해져도 슬라이딩 도어(10)는 닫혀 있는 상태를 만족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하중(F)은 차체(P)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도어(10)에 가해지는 하중(F)을 의미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는 센터레일(30)(차량의 중부에 형성된 레일)과 로워레일(20)(차량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만 있을 뿐 어퍼레일(차량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은 없다. 여기서, 센터레일(2)은 슬라이딩 도어(10)에 형성되고, 로워레일(5)은 차체(P)에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가 차체 및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중 차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중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는, 차체(P) 및 슬라이딩 도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브라켓(110), 스토퍼(120), 스윙암(40) 및 제2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체(P)의 하부에는 차체(P)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로워레일(20)이 형성되고, 로워레일(20)에는 슬라이더(50)의 일단이 삽입되어 구름 결합되며, 슬라이더(50)는 로워레일(20)의 안내를 받아 차체(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는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10a) 및 리어 슬라이딩 도어(10b)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10)에 적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브라켓(110)은 로워레일(2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차체(P)에 고정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1 브라켓(110)은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10a)와 리어 슬라이딩 도어(10b)가 서로 닫혀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슬라이드 도어(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10)은 사이드 아웃터(22)의 내측에 위치하고, 사이드 아웃터(22)의 개구부를 통해 제1 브라켓(110)의 위치가 확인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차체(P)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브라켓(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1 브라켓(110)의 양측에는 후술할 후크(137)가 관통되는 홀인 후크 수용부(112)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는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10a)와 리어 슬라이딩 도어(10b)에 모두 적용되므로, 후크 수용부(112)가 제1 브라켓(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후크 수용부(112)의 형상이 사각형이라면 후크 수용부(112)는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 등 4개의 측벽으로 구성된다. 다만, 후크 수용부(11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수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120)는 후술할 스윙암(40)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로워레일(20)과 제1 브라켓(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차체(P)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120)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나, 스토퍼(12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스토퍼(120)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슬롯 형태의 홈인 피메일부(12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부(124)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부(124)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나, 후술할 메일부(134)가 삽입될 수 있다면 피메일부(124)의 형상 및 경사 정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 중 제1 브라켓(110), 스토퍼(120) 및 로워레일(20)은 동일한 직선 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차체(P)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후크 수용부(112)와 피메일부(124)는 로워레일(2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스윙암(40)의 일단은 슬라이딩 도어(1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4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슬라이더(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움직이면 스윙암(40)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로워레일(20)을 타고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제2 브라켓(130)은 스윙암(40)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132)와, 제1 브라켓(110)의 후크 수용부(112)를 바라보는 일측부(131)와, 스토퍼(120)의 피메일부(124)를 바라보는 타측부(133)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는 연결부(132)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부(133)는 연결부(132)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부(131) 및 타측부(133)는 연결부(132)와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브라켓(130)의 연결부(132)와 맞닿는 스윙암(40)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는 제1 브라켓(110)의 후크 수용부(112)를 비스듬하게 바라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에는 제1 브라켓(110)에 형성된 후크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도록 후크(137)가 형성된다. 후크(137)는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에서 연장된 수평부(135)와 수평부(135)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수직부(136)를 포함한다. 후크(137)의 걸림 기능은 수평부(135)에서 수직부(136)로 확장되는 지점에서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137)는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브라켓(130)의 일측부(131)는 제1 브라켓(110)의 후크 수용부(112)를 비스듬하게 바라보므로, 제2 브라켓(110)의 일측부(131)에 수직으로 형성된 후크(137)는 후크 수용부(112)에 대해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면서 후크 수용부(112)에 수용된다. 이때, 후크 수용부(112)에 수용된 후크(137)는 후크 수용부(112)의 측벽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에 하중(F)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후크(137)와 후크 수용부(112)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후크(137)가 후크 수용부(112)에 대해 수직되는 자세를 취하면서 후크 수용부(112)에 수용될 수 있으나, 하중(F)이 작용하는 경우 후크(137)와 후크 수용부(112) 간의 간섭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후크(137)가 후크 수용부(112)에 대해 경사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브라켓(130)의 타측부(133)에는 스토퍼(120)의 피메일부(1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일부(134)가 형성된다. 메일부(134)는 피메일부(124)를 바라보고, 피메일부(124)와 대략 동일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메일부(134)는 피메일부(124)에 삽입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피메일부(124)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크므로 메일부(134)가 피메일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일부(134)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메일부(134)는 피메일부(124)의 하측에 삽입된다.
메일부(134)와 제2 브라켓(130)의 타측부(133) 사이에는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히면서 메일부(134)와 스토퍼(120) 간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범퍼(138)가 마련된다. 범퍼(138)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을 갖는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하중(F)이 작용하면 스윙암(40)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후크(137), 메일부(134) 및 피메일부(124)의 경사진 정도는 스윙암(40)의 회전 경로 중 접선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슬라이딩 도어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지면, 슬라이더(50)에 연결된 스윙암(40)의 운동, 즉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 및 슬라이더(50)를 통한 직선운동은 제2 브라켓(130)의 메일부(134)가 스토퍼(120)의 피메일부(124)에 삽입되면서 제한되고, 결국 슬라이딩 도어(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스토퍼(120)는 메일부(134)가 피메일부(124)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메일부(134)가 피메일부(124)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 브라켓(130)의 후크(137)는 제1 브라켓(110)의 후크 수용부(112)에 수용되는데, 이때 후크(137)는 후크 수용부(112)의 측벽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간을 오고 가는 중에 후크(137)와 후크 수용부(112)는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도어(10)가 자연스럽게 열고 닫힐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하중(F)이 작용하는 경우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중(F)이 작용하면 스윙암(4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차체(P)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윙암(40)에 연결된 제2 브라켓(130)은 스윙암(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피메일부(124)의 하측에 삽입된 메일부(134)는 제2 브라켓(13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브라켓(130)의 후크(137)는 제1 브라켓(110)의 후크 수용부(112)의 측벽에 닿게 된다. 이 상태까지는 스윙암(40)이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하중이 더 가해지면 피메일부(124)에 삽입된 메일부(134)는 피메일부(124)의 상측에 닿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후크(137)는 스윙암(40)의 회전으로 후크 수용부(112)의 측벽에 닿은 채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다가, 후크(137)의 수평부(135)와 수직부(136)가 만나는 지점에 후크 수용부(112)의 측벽이 걸리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스윙암(40)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결국 슬라이딩 도어(1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100)에서 하중(F)이 작용하는 경우, 메일부(134)와 피메일부(124) 간의 간섭, 후크(137)와 후크 수용부(112) 간의 간섭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1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슬라이딩 도어 10a : 프론트 슬라이딩 도어
10b : 리어 슬라이딩 도어 20 : 로워레일
22 : 사이드 아웃터 30 : 센터레일
40 : 스윙암 42 : 마운팅 브라켓
50 : 슬라이더
100 :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110 : 제1 브라켓
112: 후크 수용부 120 : 스토퍼
124 : 피메일부 130 : 제2 브라켓
131 : 일측부 132 : 연결부
133 : 타측부 134 : 메일부
135 : 수평부 136 : 수직부
137 : 후크 138 : 범퍼
P : 차체 X : 회전축

Claims (9)

  1. 차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차체에 고정 연결되고, 후크 수용부를 갖는 제1 브라켓;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스윙암; 및
    상기 스윙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일측에 후크를 갖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차체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제2 브라켓에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확장된 수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후크의 일측이 상기 후크 수용부의 측벽에 닿아 상기 스윙암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스윙암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차체에 고정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피메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에는 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부는 상기 피메일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부는 상기 차체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롯 형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스윙암이 상기 스토퍼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범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KR1020190072535A 2019-06-18 2019-06-18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KR10258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35A KR102587245B1 (ko) 2019-06-18 2019-06-18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US16/594,366 US11192431B2 (en) 2019-06-18 2019-10-07 Structure for providing separation strength of opposed sliding door
CN201911044395.4A CN112092589B (zh) 2019-06-18 2019-10-30 用于提供相对滑动门的分离强度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35A KR102587245B1 (ko) 2019-06-18 2019-06-18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435A KR20200144435A (ko) 2020-12-29
KR102587245B1 true KR102587245B1 (ko) 2023-10-06

Family

ID=7374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35A KR102587245B1 (ko) 2019-06-18 2019-06-18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2431B2 (ko)
KR (1) KR102587245B1 (ko)
CN (1) CN112092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6311B2 (ja) * 2021-03-12 2023-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CN117120287A (zh) * 2021-03-29 2023-11-24 麦格纳国际公司 用于车辆的滑动门系统
DE102021121532A1 (de) * 2021-08-19 2023-02-23 Audi Aktiengesellschaft Fahrzeug
CN114454696B (zh) * 2022-02-21 2024-03-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无轨侧滑门机械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704A (en) * 1996-08-19 1999-04-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Track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JP4182142B2 (ja) * 2005-07-05 2008-11-19 壽 高橋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DE102005057425A1 (de) * 2005-11-30 2007-07-12 Edscha Ag Verriegelungseinheit
KR20080051698A (ko) * 2006-12-06 2008-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세이프티 후크 구조
US20100019535A1 (en) * 2008-07-25 2010-01-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Door Interlock for Vehicle Sliding Door
JP2012224175A (ja) * 2011-04-19 2012-11-15 Daimler Ag 車両用ドア装置
US8919860B2 (en) * 2011-08-22 2014-12-30 Honda Motor Co., Ltd. Slide door movement system without center rail
KR101886445B1 (ko) * 2012-10-19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601106B1 (ko) 2014-04-09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1637289B1 (ko) * 2014-11-06 2016-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684536B1 (ko) * 2015-06-02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CN105863425B (zh) * 2016-05-13 2023-10-10 威海广泰空港设备股份有限公司 外摆门防自开门装置
CN106401356B (zh) * 2016-09-14 2017-12-08 深圳市方大自动化系统有限公司 列车门的回转型锁闭系统
CN106499275A (zh) * 2016-10-09 2017-03-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滑移门限位块总成及其装配方法
JP6915329B2 (ja) * 2017-03-17 2021-08-04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6887884B2 (ja) * 2017-06-02 2021-06-16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開閉装置
CN107662481B (zh) * 2017-08-31 2020-04-17 金勇� 拱形自动载客汽车
CN208698450U (zh) * 2018-08-24 2019-04-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滑门加强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98650A1 (en) 2020-12-24
CN112092589B (zh) 2024-04-05
KR20200144435A (ko) 2020-12-29
CN112092589A (zh) 2020-12-18
US11192431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245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이탈강도 개선 구조
KR102682817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KR10268286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락 장치
KR102682858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US9821639B2 (en) Vehicle with a sliding door system
US20220289005A1 (en) Sliding door structure
JP465765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CN104847186A (zh) 一种汽车车门锁的防侧碰开启装置
KR102251713B1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JP7135804B2 (ja) 車両下部構造
JPS631743Y2 (ko)
EP3932708B1 (en) A vehicle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door system
KR101998137B1 (ko) 충돌시 개방 방지를 위한 차량의 센터콘솔 구조체
KR102447127B1 (ko) 내부격실문 열림 방지 구조로 형성된 차량용 글로브 박스
CN211549250U (zh) 一种用于塞拉门的门扇限位结构
KR102704253B1 (ko) B필라리스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강성 구조
JPH0244564Y2 (ko)
KR100338284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암레스트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CN115972873A (zh) 一种滑移门约束装置和车辆
KR100210142B1 (ko) 차량용 도어의 임팩트 빔 장착구조
JP2016078476A (ja) 車両の衝突検知用圧力センサの取付構造
JPS5914292Y2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装置
JP4907247B2 (ja) スライドドアのロアアーム部構造
KR200151995Y1 (ko) 차량 측면충돌시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