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633B1 - 풍향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풍향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633B1
KR101928633B1 KR1020167017338A KR20167017338A KR101928633B1 KR 101928633 B1 KR101928633 B1 KR 101928633B1 KR 1020167017338 A KR1020167017338 A KR 1020167017338A KR 20167017338 A KR20167017338 A KR 20167017338A KR 101928633 B1 KR101928633 B1 KR 10192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knob
blowing mode
blade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415A (ko
Inventor
다케히코 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9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divergence, convergence or oscillation of air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케이스 내의 지지부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좌우의 양측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일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날개와,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링크기구에 연결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2개 이상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스위치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한 풍향조정장치이다. 주요부는, 스위치가 중간 날개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한, 링크기구가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스위치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는 구성에 있다.

Description

풍향조정장치{AIRFLOW DIRECTION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냉난방설비나 공조설비 등에 있어서, 전측 개구부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날개(fin)를 통하여 가변하는 풍향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가 링크기구를 통하여 가변되도록 한 풍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의 (a)와 (b)는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차량용 풍향조정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공기를 전측 개구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프레임, 10), 케이스(10) 내의 대향한 지지부(제 2 연결 엘리먼트, 44)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좌우의 양측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일단측이 핀(pin, 42)을 통하여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5개의 날개 (12, 14, 16, 18, 20), 상기 날개 중 4개의 날개(12, 14, 18, 20)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링크기구에 연결(連携)된 스위치로서 버튼(54)이나 작동 엘리먼트(52) 등을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도 16의 (a)의 평행송풍모드와, 상기 날개 중 중간 날개(16)를 사이에 둔 제 1 날개(14와 18), 제 2 날개(12와 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도 16의 (b)의 확산송풍모드로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링크기구는, 리턴 스프링(4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연결 엘리먼트(24)와, 각 날개(12, 14, 16, 18, 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링크기구는, 상기 각 날개의 편측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대략 중간에 설치된 핀(22)과,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설치되어 상기 핀(22)과 끼워 맞추는 슬롯 형상 링크(26, 28, 30, 32, 34)로 이루어진다. 링크(26 및 28)와, 링크(32 및 34)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원호 홈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a)의 평행송풍모드에서 도 16의 (b)의 확산송풍모드로 전환하려면, 버튼(54)을 누르면, 작동 엘리먼트(52)에 의해 제 1 연결 엘리먼트(24)가 스프링(4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래치기구(56)를 통하여 그 이동 후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각 날개(12, 14, 16, 18, 20)는, 각 핀(22)이 대응하는 링크(26, 28, 30, 32, 34)의 홈 형상으로 유도되어 확산송풍모드로 전환된다. 누름 버튼(54)을 재차 누르면, 래치기구(56)가 누름 버튼을 해방하는 결과, 제 1 연결 엘리먼트(24)는 스프링(40)의 탄지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짐과 아울러, 각 날개는 각 핀(22)이 대응하는 링크(26, 28, 30, 32, 34)로 유도되기 때문에 평행송풍모드로 전환된다.
또, 특허문헌 1에는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를 변경한 2개의 변형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 중 특허문헌 1의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링크기구는, 도시하지 않지만, 하측 날개(12 및 14)가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대해서 공통 핀(62)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각 암(arm)을 통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 날개(18 및 20)가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대해서 공통 핀(62)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각 암을 통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 날개(16)가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설치된 슬롯 형상 링크(30)에 핀(22)을 통하여 끼워 맞추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에 개시된 링크기구는, 하측 날개(12 및 14)가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대해서 링크(60 및 70)를 통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 날개(18 및 20)가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대해서 링크(60 및 70)를 통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2개 구성의 중간 날개(16)가 링크로 연결됨과 아울러 제 1 연결 엘리먼트(24)에 설치된 슬롯 형상 링크(30)에 핀(22)을 통하여 끼워 맞추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27704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각 날개가 링크기구를 통하여 연결되는 비교적 큰 제 1 연결 엘리먼트를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 엘리먼트가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점, 제 1 연결 엘리먼트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방 이동하는 버튼 및 작동 엘리먼트, 또한, 이동 후의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기구도 필요하게 되는 점에서 복잡하게 되고, 경량화도 도모하기 어렵다.
또, 링크기구는, 어느 것의 구성이라도 제 1 연결 엘리먼트와 각 날개를 연결하는 구성이며,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의 제 1 연결 엘리먼트에 복수의 슬롯 형상 링크를 형성하는 경우는 양호한 작동을 유지하기 어렵고, 특허문헌 1의 도 3 및 도 4의 구성과 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의 구성의 경우는 제 1 연결 엘리먼트에 더불어서 전용 링크의 수도 많아, 복잡하고 중량적으로도 무거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풍향 조정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간이 구성 및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명백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공기를 전측 개구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의 대향한 지지부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좌우의 양측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일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날개와, 상기 날개의 2개 이상을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상기 링크기구에 연결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상기 날개 중 2개 이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한 풍향조정장치로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중간에 배치된 중간 날개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상기 스위치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풍향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공기를 전측 개구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의 대향한 지지부에 대해 상하의 양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날개와, 상기 날개의 2개 이상을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조작용 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상기 날개의 2개 이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상기 노브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한 풍향조정장치로서, 상기 노브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중간에 배치된 중간 날개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상기 중간 날개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정장치.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중간 날개」는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서는, 최상하단(最上下段)의 날개를 제외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면 4장 구성의 경우는 최상하단 이외의 날개, 즉, 하측으로부터 2번째 또는 3번째의 날개, 5장 구성의 경우는 최상하단 이외의 날개, 즉 하측으로부터 2∼4번째 날개의 어느 하나, 6장 구성의 경우는 최상하단 이외의 날개, 즉 하측으로부터 2∼5번째 날개의 어느 하나라고 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중간 날개는, 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2장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일단측」이나 「타단측」은 엄격한 의미의 일단이나 타단은 아니며, 일단이나 타단에서 중간측으로 변위한 구성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 1 날개의 양 옆 중 상기 중간 날개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날개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 2 날개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과 상기 제 1 날개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에 다른 단부를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2 링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날개가 형태예와 같이 적어도 5장이며, 그 경우는 2개의 링크를 더 추가하면 좋기 때문에 합계 5개의 부재로 실시할 수 있다. 더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케이스 내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부재나 래치기구 등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간이 구성, 그것에 의한 양호한 작동을 실현할 수 있고, 경량화도 도모하기 쉬운 것이 된다.
(2)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중간 날개의 판 폭 방향인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및 제 2 날개를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평행송풍모드에서 확산송풍모드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치를 중간 날개의 판 폭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기 때문에 스위치 자체를 콤팩트화하기 쉽고, 또한 스위치용 배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2)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당김 조작에 의해 상기 중간 날개의 판 폭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혹은 상기 제 1 날개 또는 상기 제 2 날개를 직접적으로 회전 운동시킴에 의해서도 확산송풍모드에서 평행송풍모드로 전환 가능한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치가 눌려서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제 1 날개나 제 2 날개의 확산송풍모드에 있어서, 스위치를 당김 조작함으로써, 또는 제 1 날개나 제 2 날개를 직접적으로 회전 운동시켜도 평행송풍모드로 전환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우수하다.
(4) 상기 (1) 내지 (3)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 및 상기 제 2 날개는 상기 제 1 링크나 상기 제 2 링크에 설치된 축 구멍에 끼워 맞추는 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중간 날개는 상기 축부 대신에 상기 제 1 링크의 대응하는 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제 1 링크 타단과 스위치의 연결부를 중간 날개의 노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평행송풍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용의 배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 1 날개의 양 옆 중 상기 중간 날개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날개와, 상기 제 2 날개의 양 옆 중 상기 제 1 날개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 3 날개를 가지며,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 1 날개와, 상기 제 2 날개와, 상기 제 3 날개를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2 링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날개가 7장인 경우는 2개의 링크를 더 추가하면 좋기 때문에 합계 5개의 부재로 실시할 수 있다. 더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케이스 내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하는 부재나 래치기구 등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간이 구성, 그것에 의한 양호한 작동을 실현할 수 있고, 경량화도 도모하기 쉬운 것이 된다.
(6) 상기 (5)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대향한 제 2 지지부에 대해 좌우의 양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로형 날개를 가지며, 상기 노브는 상기 가로형 날개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및 상기 제 2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상기 제 2 날개, 상기 제 3 날개를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평행송풍모드에서 확산송풍모드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노브가 가로형 날개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가로형 날개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만으로 가로형 날개의 자세에 따라서 송풍형태가 더욱 변화 가능하게 된다.
(7) 상기 (5) 또는 (6)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전방 이동한 상태에서 후방으로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날게, 또는 상기 제 1 날개 및 상기 제 2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상기 제 2 날개, 상기 제 3 날개를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확산송풍모드에서 상기 지지부와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그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날개를 대략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와 비평행이 되는 경사송풍모드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평행송풍모드와 확산송풍모드를 노브의 전후 이동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하고, 또한, 평행송풍모드와 경사송풍모드를 노브의 가로 이동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한 것으로부터 적은 부품으로 다양한 송풍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서는, 복수의 날개 중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링크기구에 연결된 스위치를 구비하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2개 이상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조정 전환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서, 스위치를 중간 날개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구성과, 링크기구로서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스위치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서는, 복수의 날개 중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조작용 노브를 구비하며, 날개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2개 이상의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조정 전환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서, 노브를 중간 날개에 연결하는 구성과, 링크기구로서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중간 날개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의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날개가 3장인 경우라면 단일의 스위치에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2개의 링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면 좋기 때문에 합계 3개의 부재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풍향조정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날개가 3장인 경우라면 중간 날개에 연결되는 단일의 노브와 중간 날개와 그 양 옆의 날개를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2개의 링크로 연결하면 좋기 때문에 합계 3개의 부재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형태예 1에 관련되는 풍향조정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며, (a)는 평행송풍모드상태에서의 외관도, (b)는 확산송풍모드상태에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 평행송풍모드상태에서의 풍향조정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확산송풍모드상태에서의 풍향조정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풍향조정장치의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b)의 A-A선 모식 단면도, (b)는 (a)의 날개와 링크기구 및 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 (c)는 그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링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3의 (b)의 A1-A1선 모식 단면도, (b)는 (a)의 날개와 링크기구 및 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 (c)는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링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풍향조정장치를 도 5의 (b)의 C 화살표 방향에서 본[또는, 일점쇄선의 날개(30, 31, 33, 34)는 도 6의 (b)의 C1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8은 상기 풍향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 날개의 형상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풍향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 링크를 나타내며, (a)는 도 5의 (c)상태에서의 정면도, (b)와 (c)는 동일 상태에서 스위치를 연결한 상태에서의 정면과 측면도, (d)는 (c)의 D-D선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형태예 2에 관련되는 풍향조정장치를 분해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풍향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부재끼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풍향조정장치를 평행송풍모드상태로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 모식 단면도, (c) 및 (d)는 (a)의 B-B선 모식 단면도와 C-C선 모식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풍향조정장치를 확산송풍모드상태로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 모식 단면도, (c) 및 (d)는 (a)의 B-B선 모식 단면도와 C-C선 모식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풍향조정장치를 경사송풍모드상태로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 모식 단면도, (c) 및 (d)는 (a)의 B-B선 모식 단면도와 C-C선 모식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3의 (b)의 확대도, (b) 및 (c)는 (a)상태에서 노브를 통하여 가로형 날개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6의 (a)와 (b)는 특허문헌 1의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예 1과 형태예 2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풍향조정장치의 구조를 조립도 포함하여 명백하게 한 후, 주된 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발명 주요부를 제외하는 구성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있다.
(구조 1)
형태예 1의 풍향조정장치(1)는 도 1의 (a)∼도 3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기를 내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2)와, 케이스(2) 내에서 전측 개구 부근의 좌우로 대향한 축받이용 브래킷{7A, 7B(7)}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좌우의 양측(30a∼34a 및 30b∼34b)면(도 8 참조)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일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이 예에서는 5장)의 가로형 날개[30∼34(3)]와,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4) 및 링크기구(4)에 연결된 스위치(5)와, 케이스(2) 내에서 전측 개구 안쪽의 상하로 대향하고 있는 축받이용 브래킷[9A, 9B(9)]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하의 양측면에 있어서 대략 중간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이 예에서는 5장)의 세로형 날개[6A∼6E(6)]와, 각 날개(6A∼6E)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9C, 도 4 참조) 및 조작용 조작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 특징으로서 세로형 날개(6)에 대해서는, 조작부재(8)를 통하여 각 날개(6A∼6E)를 좌우로 소정각만 회전 운동하여 풍향을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로형 날개(3)에 대해서는, 각 날개(30∼34)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2개 이상의 날개[이 예에서는 제 1 날개인 날개(31, 33), 및 제 2 날개인 날개(30, 34)이다. 날개(3)가 3장 구성의 예라면 제 1 날개인 날개(31, 33)가 된다]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스위치(5)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의 풍향조정장치(1)에 있어서, 주요부는, 스위치(5)가 복수의 날개(3) 중 중간에 배치된 중간 날개(32)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점과, 링크기구(4)가 중간 날개(32)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31, 33)의 판 폭 방향의 타단측에 대응하는 일단(42a, 41a)측[도 9의 (b) 참조]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42b, 41b)측[도 9의 (a) 참조]을 스위치(5)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41, 42)를 가지고 있는 점과, 또한 복수의 날개(3)로서 제 1 날개(31, 33)의 양 옆 중 중간 날개(32)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날개(30, 34), 및 날개(30)를 제 1 날개(31)에, 날개(34)를 제 1 날개(33)에 연동 내지는 동기시키기 위한 2개의 제 2 링크(40, 43)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요부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서술한다.
또한, 케이스(2)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20) 및 전측 프레임(25)과, 가로형 날개(3)를 구성하고 있는 각 날개(30∼34)와, 링크기구(4)를 구성하고 있는 각 링크(40∼44)와, 조작용 스위치(5)와, 세로형 날개(6)를 구성하고 있는 각 날개(6A∼6E)와, 조작부재(8)를 구성하고 있는 노브(8A)와 베이스(8B)와, 브래킷[7과 9 내지는 각 브래킷(7A, 7B, 9A, 9B)]과, 연결부재(9C)는 모두 수지품(樹脂品)이지만, 수지 이외라도 상관없다.
케이스(2)는 도 1의 (a)∼도 3의 (b) 및 도 5의 (a)∼(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체(20)의 전측에 화장프레임인 전측 프레임(25)을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 공간(24)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본체(20)는 외면에 있어서, 후부측에 설치된 걸어맞춤부(21a, 21b)나 전후부에 설치된 위치결정부(22a, 22b), 및 장착부(23) 등을 가지며, 그들을 이용하여 차량 등의 설치부에 장착된다. 내측 공간(24)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전측 프레임(25)측이 공기 흡출구로서, 후단측이 공기 흡입구로서 설정되어 있다. 전측 프레임(25)은 프레임 주위에 일체화된 플랜지부(26)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26)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27)이나 걸어맞춤편부(28a, 28b) 등을 통하여 본체(20)에 장착되어 있다.
내측 공간(24)에는 세로형 날개용의 브래킷(9A, 9B)이 본체 상하의 내면에 장착되고, 가로형 날개용의 브래킷(7A, 7B)이 본체 좌우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9A, 9B)은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5개의 축 구멍(9a)을 대향하여 형성하고 있다. 날개(6A∼6E)는 상하 단부에 각각 돌출된 축부(6a)를 가지며, 브래킷(9A, 9B)에 대해서 그 각 축부(6a)를 대응하는 축 구멍(9a)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각 날개(6A∼6E)는 상단측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축부(6a)보다 한층 하측에 배치된 축부(6b)를 가지며, 그들 축부(6b)가 암 형상의 연결부재(9C)에 설치된 대응하는 축 구멍(9b)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로 인해, 각 날개(6A∼6E)는 조작부재(8) 즉 중간 날개 (6C)에 장착된 베이스(8B), 및 후술하는 중간 날개(32)에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베이스(8B)에 연결되는 노브(8A)를 통하여 좌우로 이동되면, 연결부재(9C)를 통하여 모두가 일체적으로 연동된다.
이것에 대해, 브래킷(7A, 7B)은 도 4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5개의 축 구멍(7a)을 대향하여 형성하고 있다. 날개(30∼34)는 우단부(30a∼34a) 및 좌단부(30b∼34b)의 각 측면에 각각 돌출된 축부(35a∼39a)를 가지며, 브래킷(7A, 7B)에 대해서 그들 각 축부(35a∼39a)를 대응하는 축 구멍(7a)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동일 브래킷 사이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각 날개(30∼34)는 좌단부(30b∼34b)에 설치된 노치부(30c∼34c)를 가지고 있다. 노치부(30c∼34c) 중 노치부(30c와 31c) 및 노치부(33c와 34c)에는 축부 (35a와 36a) 및 축부(38a와 39a)와 대략 평행으로 조금 작은 축부(35b와 36b) 및 축부(38b와 39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간 날개(32)의 노치부(32c)는 노치부 (30c, 31c, 33c, 34c)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부(35b, 36b, 38b, 39b)에 대응하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노치부(32c)는 후술하는 제 1 링크(41, 42)의 대응하는 단부{41b, 42b[및 그들 단부(41b, 42b)와 연결하는 스위치 (5)의 연결부(51)]}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개소로서 이용된다.
또한, 중간 날개(32)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단부(32b)에 있어서 노치부(32c)와 대응하는 주위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32d)와, 좌우 중간부에 있어서 양측의 축부(37a)를 잇는 선상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홈(32e), 및 타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홈(32)과 대향하고 있는 가이드 홈(32f)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오목부(32d)는 스위치(5)측의 돌기부[56, 도 9의 (d) 참조]와 끼워 맞춰서 후술하는 스위치(5)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홈(32e, 32f)은 도 4의 노브(8A)를 좌우 방향으로 소정거리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기 위해 이용된다. 노브(8A)는 가이드 홈(32e, 32f)을 통하여 중간 날개(32)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한 베이스(8B)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링크기구(4)는 도 5의 (a)∼(c) 및 도 9의 (a)∼(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41, 42)와 제 2 링크(40, 43)의 합계 4개의 링크를 가지고 있다. 단, 링크기구(4)로서는 형태예에 대해서, 장치구조가 3장의 날개(31∼33)의 구성이라면 제 2 링크(40, 43)가 생략되고, 반대로 7장의 날개의 구성이라면 나중에 2개의 링크를 추가하게 된다.
도 9의 (a)∼(d)에 있어서, 최하단의 링크(40)는 1번째의 링크이며, 일단부 (40a)에 설치된 축 구멍(45a)과, 타단부(40b)의 단차부에 설치된 축 구멍(45b)을 가지고 있다. 링크(41)는 2번째의 링크이며, 일단부(41a)에 설치되어 축 구멍(45b)과 연통되는 축 구멍(46a)과, 타단부(41b)의 단차부에 설치된 축부(49b)를 가지고 있다. 링크(42)는 3번째의 링크이며, 일단부(42a)에 설치된 축 구멍(47a)과, 타단부(42b)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축부(49b)와 서로 등을 맞대고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축부(49a)를 가지고 있다. 최상단의 링크(43)는 4번째의 링크이며, 일단부(43a)에 설치된 축 구멍(48a)과, 타단부(41b)의 단차부에 설치되어 축 구멍(47a)과 연통되는 축 구멍(48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장치구조가 상기한 3장의 날개(31∼33)의 경우라면, 제 1 링크(41과 42)는 축 구멍(46a)에 제 1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1)의 축부(36b)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며, 축 구멍(47a)에 제 1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3)의 축부(38b)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 상태에서, 서로의 타단부(41b, 42b)를 후술하는 스위치(5)의 연결부(5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날개(31과 33)는 중간 날개(3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평행송풍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로 스위치(5)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된다.
장치구조가 이 예와 같이 5장의 날개(30∼34)의 경우라면, 상기에 더불어서, 제 1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1)의 축부(36b)를 축 구멍(45a, 46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제 1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3)의 축부(38b)를 축 구멍(48b, 47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며, 또한 제 2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0)의 축부(35b)를 축 구멍(45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제 2 날개를 구성하고 있는 날개(34)의 축부(39b)를 축 구멍(48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 날개(30, 31)와 날개(33, 34)는 중간 날개(3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평행송풍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로 스위치(5)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스위치(5)는 도 4와 도 5의 (a)∼(c) 및 도 9의 (a)∼(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략 U자 형상이며, 내측에 중간 날개(32)의 좌단부(32b)를 배치하는 본체(50)와, 본체(50)의 전측에 일체화된 연결부(51)로 이루어진다. 이 중 본체(50)는 U자 형의 대향한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중간 날개(32)의 오목부(32d)에 끼워 맞추는 볼록부(56)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볼록부(56)는 오목부(32d)에서 스위치(5)를 전후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연결부(51)는 도 9의 (d)와 같이 좌우 중간의 세로 홈(52)을 통하여 2분할 된 링크용 끼움지지편부(53, 54)를 형성하고 있다. 각 끼움지지편부(53, 54)에는 동일 축선 위에 가로 방향의 축 구멍(53a, 54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축 구멍(53a, 54a)에는 상기한 링크(41과 42)가 서로의 타단(41b, 42b)을 겹친 상태에서 대응하는 축부(49a, 49b)가 끼워 맞춰진다. 이에 따라, 이 구조에서는, 제 1 날개(31과 33)가 서로 스위치(5)를 통하여 연결된 제 1 링크{41과 42[2번째의 링크(41)와 3번째의 링크(42)]}에 의해, 도 5의 (a)∼(c)의 평행송풍모드와 도 6의 (a)∼(c)의 확산송풍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작동)
이하, 이상과 같이 제작된 풍향조정장치(1)의 주된 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1) 도 1의 (a)와 도 2의 (a), (b) 및 도 5의 (a)∼(c)는, 각 날개(30∼34)가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각 링크(40∼43)가 직선 위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스위치(5)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평행송풍모드에 있어서, 스위치(5)가 안전성에 대한 배려로부터 노브(8A)의 돌출량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2) 도 1의 (b)와 도 3의 (a), (b) 및 도 6의 (a)∼(c)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로부터, 스위치(5)가 도 5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까지 눌려서 날개(30, 31)와 날개(33, 3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우선, 스위치(5)에 대해 축 구멍(54a, 53a)과 축부(49a, 49b)의 끼워 맞춤에 의해 작동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41, 42)가 도 6의 (c)의 중간에 그려진 화살표 방향, 즉 후방으로 평행 이동되어 링크(41 또는 42)에 작동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40, 43)가 동일 도면의 상하로 그려진 화살표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있다. 물론, 날개(30, 31)나 날개(33, 34)의 회전 운동각은, 스위치(5)의 이동량에 비례한 각도로 되어 다양한 확산송풍형태가 얻어진다.
(3) 확산송풍모드에서 재차 평행송풍모드로 되돌리는 경우는, 스위치(5)를 쥐고서 당김 조작 즉 중간 날개(32)의 판 폭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재차 평행송풍모드로 되돌려진다. 다른 방법은, 날개(30, 31), 날개(33, 34)의 하나를 쥐고서 그 날개를 직접적으로 회전 운동시킴에 의해서도, 확산송풍모드에서 평행송풍모드로 전환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이상의 구조에서는 사용성에도 우수하다.
(4) 이 형태예에서는,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스위치의 볼록부(56)의 형상을 연결부(51)측에서 후단부(50a)로 향하여 점차 낮게 형성하거나, 볼록부(56)의 길이 방향의 중간에 작은 볼록부(58)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5)가 도 5의 (a)∼(c)의 초기위치 및 도 6의 (a)∼(c)의 이동 후의 압입(押入) 위치에 있어서 중간 날개(32)에 대해서 덜컹거리지 않도록 궁리되어 있다. 단, 이들은 생략하거나 변경 가능하다.
(5) 이 형태예에서는, 스위치(5)가 중간 날개(32)의 판 폭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것으로부터, 스위치 자체가 편평하여 콤팩트화하기 쉽고, 게다가 스위치(5)를 배치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스위치(5)와 중간 날개(32)의 사이에 요철(32d, 56) 등의 간이한 가이드 수단을 추가하기 쉬운 점에서도 우수하다.
(6) 이 형태예에서는, 중간 날개(32)가 제 1 링크(41, 42)의 대응하는 단부 (41b, 42b)끼리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비교적 큰 노치부(32c)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링크(41, 42)의 타단(41b, 42b)과 스위치(5)의 연결부 (51)를 그 노치부(32c)에 배치한 도 5의 (b)상태에서 평행송풍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용의 배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조 2)
형태예 2의 풍향조정장치(10)는 도 10∼도 15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기를 내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12)와, 케이스(12) 내의 전측 개구 부근의 좌우로 대향하고 있는 축받이용 브래킷[17A, 17B(17)]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로형 날개(13)와, 케이스(12) 내에서 전측 개구 안쪽의 상하로 대향하고 있는 축받이용 브래킷[19A, 19B(19)]에 대해 상하단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이 예에서는 7장)의 세로형 날개[16A∼16G(16)]와, 각 날개 (16) 중 2개 이상의 날개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14) 및 조작용 노브(1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 특징으로서 가로형 날개(13)에 대해서는 도 15의 (a)∼(c)와 같이 판 폭의 전측을 지점으로 하여 후측이 상하로 소정각만 회전 운동하여 풍향을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로형 날개[16A∼16G(16)]에 대해서는,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도 12의 (a)∼(d) 참조]와, 2개 이상의 날개[이 예에서는 제 1 날개인 날개(16C, 16E), 및 제 2 날개인 날개(16B, 16F), 및 제 3 날개인 날개(16A, 16G)이다. 변형예로서는, 날개(16)가 5장 구성의 예라면, 제 3 날개인 날개(16A, 16G)가 생략되게 된다]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도 13의 (a)∼(d) 참조]를 노브(18)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불어서, 각 세로형 날개(16A∼16G)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에서 노브(18)를 가로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 조작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지지부인 브래킷(17A, 17B)과 비평행이 되는 경사송풍모드로 전환된다.
이상의 풍향조정장치(10)에 있어서, 주요부는 노브(18)가 가로형 날개(13)에 지지됨과 아울러, 세로형 날개(16) 중 중간 날개(16D)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과, 링크기구(14)가 중간 날개(16D)와, 중간 날개(16D)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16C, 16E)를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14B, 14C)와, 또한, 복수의 날개(16)로서 제 1 날개(16C, 16E)의 양 옆 중 중간 날개(16D)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날개(16B, 16F), 및 제 2 날개(16B, 16F)의 외측에 배치된 제 3 날개(16A, 16G)와, 제 2 날개(16B, 16F) 및 제 3 날개(16A, 16G)를 제 1 날개(16C, 16E)에 연동 내지는 동기 시키기 위한 2개의 제 2 링크(14A, 14D)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주요부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서술한다.
또한, 케이스(12)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12A) 및 전측 프레임(12B)과, 가로형 날개(13)와 세로형 날개(16)를 구성하고 있는 각 날개(16A∼16G)와, 링크기구(14)를 구성하고 있는 각 링크(14A∼14D)와, 노브(18)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노브(18A) 및 하측 노브(18B)와, 지지부인 좌우의 브래킷[17A, 17B(17)] 및 제 2 지지부인 상하의 브래킷[19A, 19B(19)]은 모두 수지품이지만, 수지 이외라도 상관없다
케이스(12)는 개략 통형의 본체(12A)와, 본체(12A)의 전측에 장착되는 화장프레임인 전측 프레임(12B)에 의해 내측 공간(12C)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본체 (12A) 및 전측 프레임(12B)은 전측 프레임측의 편부(12b)가 본체측의 받이부(12a)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또, 전측 프레임측의 연결편(12d)이 본체측의 걸림부(12c)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일체의 케이스(12)가 된다. 그리고 케이스(12)는 전측 프레임(12B)에 설치된 장착부(12e) 등을 이용하여 차량 등의 설치부에 장착된다. 내측 공간(12C)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전측 프레임(12B)측이 공기 흡출구로서, 후단측이 공기 흡입구로서 설정되어 있다.
내측 공간(12C)에는 가로형 날개용의 브래킷(17A, 17B)이 본체 좌우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세로형 날개용의 브래킷(19A, 19B)이 본체 상하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17A, 17B)에는 전측(공기를 외부로 흡출하는 측)의 축 구멍(17a)과 후측(내측 공간의 안쪽)의 원호 홈(17b)이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원호 홈(17b)은 축 구멍(17)을 중심으로 한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19A, 19B)에는 7개의 축 구멍(19a∼19g)이 상하로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있다. 각 축 구멍(19a∼19b)은 대략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축 구멍 (19a∼19c) 및 축 구멍(19e∼19g)은 단순한 관통 구멍이다. 이것에 대해, 중간의 축 구멍(19d)은 개략 오목 형상의 홈형, 즉 후술하는 중간 날개(16D)의 축부(16a)를 브래킷 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개(16A∼16G)는 상하의 단면에 있어서 판 폭 방향의 대략 중간에 각각 동일 축선 위에 돌출된 축부(16a)와, 상단면에 있어서 축부(16a)를 돌출하고 있지 않은 후측을 한층 낮은 단차로 형성하고, 그 단차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축부(16b)를 가지고 있다. 각 축부(16a) 중 날개(16A∼16C 및 16E∼16G)의 상하의 축부(16a)는 단순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중간 날개(16D)의 상하의 각 축부(16a)는 상기한 축 구멍(19d)의 더브테일 홈 형상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작은 직경 목 부착으로 되어 있다. 날개(16A∼16C 및 16E∼16G)는 상하의 축부 (16a)가 브래킷(19A, 19B)의 대응하는 원형 형상의 축 구멍(19a∼19g)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간 날개(16D)는 상하의 각 축부(16a)가 브래킷(19A, 19B)의 더브테일 홈 형상의 축 구멍(19d)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날개(16A∼16G)는 링크기구(14)를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링크(14A∼14D)에 의해 작동 연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좌우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날개(16D)와, 중간 날개(16D)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16C, 16E)가 2개의 제 1 링크(14B, 14C)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일방의 제 1 날개(16C)와, 제 1 날개(16C)의 외측에 있는 제 2 날개(16B) 및 제 2 날개(16B)의 외측에 있는 제 3 날개(16A)는 제 2 링크(14A)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타방의 제 1 날개(16E)와, 제 1 날개(16E)의 외측에 있는 제 2 날개(16F) 및 제 2 날개(16F)의 외측에 있는 제 3 날개(16G)는 제 2 링크(14D)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중간 날개(16D)에는 원호 홈(16d)이 판 폭 방향의 전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원호 홈(16d)과 전측 가장자리 부분의 사이가 파지 가능한 편부(16c)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날개(16C, 16E) 및 편부 (16c)의 전측 가장자리측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제 1 링크(14B, 14C)는 양단측에 설치된 축 구멍(14a, 14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방의 제 1 링크(14B)는 일단측의 축 구멍(14a)이 제 1 날개(16C)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타단측의 축 구멍(14a)이 중간 날개(16D)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있다. 타방의 제 1 링크(14C)는 일단측의 축 구멍 (14a)이 중간 날개(16D)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어지고, 타단측 축 구멍(14a)이 제 1 날개(16E)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있다. 또, 제 2 링크(14A, 14D)는 제 1 링크(14B, 14C)보다 길게 되어 있으며, 양단측 및 중간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축 구멍(14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방의 제 2 링크(14A)는 일단측의 축 구멍(14a)이 제 3 날개(16A)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타단측의 축 구멍(14a)이 제 1 날개(16C)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며, 중간의 축 구멍(14a)이 제 2 날개(16B)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있다. 타방의 제 2 링크(14D)는 일단측의 축 구멍(14a)이 제 3 날개(16G)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타단측의 축 구멍(14a)이 제 1 날개 (16E)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며, 중간의 축 구멍(14a)이 제 2 날개(16F)의 축부(16b)와 끼워 맞추고 있다.
상기한 가로형 날개(13)는 브래킷(17A 및 17B)의 사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가로형 날개(13)는 좌우의 각 측면에 각각 돌출 설치된 축부(13a) 및 축부(13b)와, 좌우의 중간부에 있어서 후측에 설치된 도피용 개구(13c) 및 개구(13c)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여 바로 앞측을 한층 두껍게 형성한 규제부(13d) 및 규제부(13d)의 중간에 설치된 구멍부(13e)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로형 날개(13)는 브래킷(17A, 17B)에 대해서, 양측의 축부(13a)가 대응하는 축 구멍(17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동일 브래킷 사이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양측의 축부(13b)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17b)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로 인해, 가로형 날개(13)는 판 폭 방향의 후측이 축부(13a)를 지점으로 하여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17b)에 따라서 소정각만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13e)에는 필요에 따라서 미도시의 탄성체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체는 후술하는 조작용 노브(18)에 적당한 정도로 압접하는 것에 의해 노브(18)가 진동 등으로 부주의하게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가로형 날개(13)에는 노브(18)가 소정 치수만 전후 이동 가능하게, 또한 최전방 위치에서 소정 치수만 좌우로 가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노브(18)는 날개(13)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는 상측 노브(18A) 및 하측 노브(18B)와, 양 노브(18A, 18B)의 사이에 있어서 전측에 장착되는 화장 노브(18C)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노브(18A, 18B)는 후측 가장자리의 좌우 중간에 돌출 설치된 대략 ㄴ자형의 편부(18a)와, 대향 내면에 설치되어 규제부(13d)를 도피함과 아울러 노브(18)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단차부(18b)와, 하측 노브(18B)의 내면 전측에 각각 설치되어 화장 노브(18C)를 위치 결정하는 벽부(18c) 및 벽부(18c)의 후측에 설치되어 화장 노브(18C)의 양단측을 걸어 고정하는 걸림고정벽(18d)과, 벽부(18C)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측 노브측의 걸림고정부(미도시)에 걸어 맞추는 돌조부(18e)와, 하측 노브(18B)의 내면 후측에 설치되어 상측 노브측의 대응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18f) 등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노브(18)는 예를 들면, 화장 노브(18C)가 하측 노브(18B)에 대해서 걸림고정벽(18c)에 양단부를 걸어 고정하여 장착된다. 그 후, 상하 노브(18A, 18B)는 날개(13)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어 겹쳐지면, 하측 노브측의 돌조부(18e) 및 걸어맞춤부(18f)가 상측 노브(18A)의 대응부에 각각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 노브를 끼워 맞출 때에는 도 12의 (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하 노브의 각 편부(18a)가 중간 날개(16D)의 원호 홈(16d)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노브(18)는 상하 노브(18A, 18B)가 일체화된 상태에 있어서, 각 편부(18a)의 내측에 중간 날개(16D)의 편부(16c)를 구속하고, 그 구속 형태에 의해 중간 날개(16D)에 연결 내지는 연결되어 있다.
(작동)
이하, 이상과 같이 제작된 풍향조정장치(10)의 주된 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1) 도 12의 (a)∼(d) 및 도 15의 (a)∼(c)는 각 날개(16A∼16G)가 브래킷 (17)에 대략 평행이 되고, 또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각 링크(14A∼14D)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노브(18)가 가로형 날개(13)의 대략 좌우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평행송풍모드에서는 노브(18)가 가로형 날개(13)에 대해서 도 12의 (a)∼(d)의 통상 위치, 즉 단차부(18b)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된 중간 개소에 규제부(13d)의 앞측 가로 부분을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2) 도 13의 (a)∼(d)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로부터 노브(18)가 도 13의 (b)의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까지 잡아 당겨져 날개(16A∼16C)와 날개(16E∼16G)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의 상태이다. 환언하면, 노브(18)는 가로형 날개(13)에 대해서 도 12의 (a)∼(d)의 통상 위치에서 앞측인 도 13의 (b)의 최전방 위치, 즉 단차부(18b)의 후측 단면이 규제부(13d)의 앞측 대응 단면에 닿을 때까지 이동되면, 중간 날개(16D)가 노브(18)로 잡아 당겨져 축 구멍(19d)의 더브테일 홈 형상을 따라서 전방 이동된다. 중간 날개(16D)는 그 전방 이동에 의해, 브래킷(17)과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편부(16c) 내지는 전측이 개구(13c) 내로 들어가 도피된다. 이것과 동기하여 다른 날개(16A∼16C)는 제 1 링크(14B) 및 제 2 링크(14A)를 통하고, 날개(16E∼16G)는 제 1 링크(14C) 및 제 2 링크(14E)를 통하여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로 전환된다. 물론, 날개(16A∼16C)나 날개(16E∼16G)의 회전 운동각은 노브(18)의 잡아당김 량에 비례한 각도로 되어 다양한 확산송풍형태가 얻어진다.
(3) 확산송풍모드에서 재차 평행송풍모드로 되돌리는 경우는 노브(18)를 쥐고서 누름 조작하면, 중간 날개(16D)가 원래의 통상 위치까지 이동된다. 그것과 동기하여 다른 날개(16A∼16G)나 대응하는 링크(14A∼14D)를 통하여 브래킷(17)과 대략 평행한 상태인 평행송풍모드로 전환된다. 다른 방법은 날개(16A∼16C)나 날개(16E∼16G)의 하나를 쥐고서 그 날개를 직접적으로 회전 운동시킴에 의해서도, 확산송풍모드에서 평행송풍모드로 전환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이상의 구조에서는 사용성에도 우수하다.
(4) 도 14의 (a)∼(d)는 평행송풍모드의 상태로부터 노브(18)가 도 14의 (c)의 화살표 방향으로 최대까지 가로 이동되어 모든 날개(16A∼16G)가 브래킷(17)과 비평행으로 거의 같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경사진 경사송풍모드의 상태이다. 환언하면, 노브(18)는 통상 위치인 평행송풍모드의 상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인 우측 또는 좌측, 즉 단차부(18b)의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개소의 단면이 규제부(13d)의 앞측 대응 단면에 닿을 때까지 이동되면, 중간 날개(16D)가 상하의 축부(16b)를 지점으로 하여 노브(18)의 이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브래킷(17)과 비평행이 되는 경사 상태가 된다. 이것과 동기하여 다른 날개(16A∼16C)는 제 1 링크(14B) 및 제 2 링크(14A)를 통하여, 날개(16E∼16G)는 제 1 링크(14C) 및 제 2 링크(14E)를 통하여 각각 날개(16D)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브래킷(17)과 비평행이 되는 경사송풍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이 경사송풍모드는 각 날개(16A∼16G)가 노브(18)의 가로 이동의 정도 내지는 각 날개(16)의 회전 운동 정도에 따른 각도로 되기 때문에 목 흔듬 송풍모드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5) 이상의 형태예에서는 노브(18)가 단일의 가로형 날개(13)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도 15의 (a)∼(c)와 같이 브래킷(17)에 대한 가로형 날개(13)의 회전 운동 구성을 궁리하는 것만으로 그 날개(13)의 자세에 따라서 송풍형태가 더욱 변화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5의 (b)는 날개(13)가 동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인 하향으로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날개(13)는 양측의 브래킷(17)에 대해 축부(13b)가 원호 홈(17b)의 홈 상측 내단에 축부(13b)가 닿아서 규제될 때까지, 축부(13a)를 지점으로 하여 반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상향 경사의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5의 (c)는 날개(13)가 동일 도면의 화살표 방향인 상향으로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날개(13)는 양측의 브래킷(17)에 대해 축부(13b)가 원호 홈(17b)의 홈 하측 내단에 축부(13b)가 닿아서 규제될 때까지, 축부(13a)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하향 경사의 상태로 되어 있다. 날개(13)는 상향 경사의 상태, 하향 경사의 상태의 어느 하나의 형태라도 제 1 날개(16C, 16E) 및 중간 날개[16D, 의 편부(16c)]의 전측 가장자리측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곡면에 가볍게 맞닿는 것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도 15의 (a)의 평행 상태로 되돌려진다.
또한, 본 발명의 풍향조정장치는 독립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으며, 세세한 부분은 이상의 설명을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케이스로서는 전측 프레임을 본체에 나중에 붙이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전측 프레임을 폐지하거나, 본체 형상이나 전측 프레임 형상도 임의이다. 또, 형태예 1에서는 세로형 날개를 생략하거나, 형태예 2에서는 가로형 날개를 작동하지 않는 비가동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3년 12월 1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2013-256623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공기를 전측 개구부에서 외부로 흡출하도록 설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의 대향한 지지부에 대해 상하의 양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날개와, 상기 날개의 2개 이상을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및 조작용 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서로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와, 상기 날개의 2개 이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확산송풍모드를 상기 노브를 통하여 조정 전환 가능한 풍향조정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중간에 배치된 중간 날개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회전 운동 가능하거나,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노브는 상측 노브 및 하측 노브를 가지고, 상기 상측 노브 및 하측 노브는 후측 가장자리의 좌우 중간에 형성된 편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상측 노브 및 하측 노브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각 편부의 내측에 중간 날개의 편부가 구속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중간 날개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날개에 대응하는 일단측을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타단측을 상기 중간 날개에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1 링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 1 날개의 양 옆 중 상기 중간 날개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 2 날개와, 상기 제 2 날개의 양 옆 중 상기 제 1 날개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 3 날개를 가지며,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제 1 날개와, 상기 제 2 날개와, 상기 제 3 날개를 각각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2개의 제 2 링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의 대향한 제 2 지지부에 대해 좌우의 양단측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로형 날개를 가지며, 상기 노브는 상기 가로형 날개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및 상기 제 2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상기 제 2 날개, 상기 제 3 날개를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평행송풍모드에서 확산송풍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전방 이동한 상태에서 후방으로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및 상기 제 2 날개, 또는 상기 제 1 날개, 상기 제 2 날개, 상기 제 3 날개를 상기 링크기구를 통하여 확산송풍모드에서 상기 지지부와 평행이 되는 평행송풍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그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날개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와 비평행이 되는 경사송풍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정장치.
KR1020167017338A 2013-12-12 2014-12-11 풍향조정장치 KR101928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6623 2013-12-12
JP2013256623 2013-12-12
PCT/JP2014/082863 WO2015087975A1 (ja) 2013-12-12 2014-12-11 風向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15A KR20160091415A (ko) 2016-08-02
KR101928633B1 true KR101928633B1 (ko) 2018-12-12

Family

ID=53371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98A KR20150068900A (ko) 2013-12-12 2014-11-26 풍향조정장치
KR1020167017338A KR101928633B1 (ko) 2013-12-12 2014-12-11 풍향조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098A KR20150068900A (ko) 2013-12-12 2014-11-26 풍향조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4004B2 (ko)
EP (1) EP3081412B1 (ko)
JP (1) JP6120992B2 (ko)
KR (2) KR20150068900A (ko)
CN (1) CN105813872B (ko)
WO (1) WO2015087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3868B (zh) * 2013-12-06 2018-01-09 株式会社利富高韩国 安装用于车辆通气孔的翼状旋钮的结构
JP6534526B2 (ja) * 2015-01-13 2019-06-26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用操作ノブ
JP6260543B2 (ja) * 2015-01-13 2018-0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ジスタ
KR101683508B1 (ko) 2015-06-26 2016-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장치
JP6500235B2 (ja) * 2015-11-16 2019-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6385007B2 (ja) * 2015-11-30 2018-09-05 株式会社ニフコ 風向調整装置
KR101684192B1 (ko) * 2015-12-10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DE102015017009B4 (de) * 2015-12-30 2018-04-2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Auslassvorrichtung
JP6629168B2 (ja) * 2016-11-10 2020-01-15 株式会社ニフコ 風向調整装置
US10752088B2 (en) * 2016-12-09 2020-08-25 Tesla, Inc. Infotainment system with air-vent control
JP2019038390A (ja) 2017-08-25 2019-03-14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KR102394803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US10807443B2 (en) * 2017-10-31 2020-10-20 Honda Motor Co., Ltd. Air vent for a vehicle HVAC system
CN107856502B (zh) * 2017-11-09 2019-12-3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出风口组件
IT201800002534A1 (it) 2018-02-09 2019-08-09 Plastic Components And Modules Automotive S P A Diffusore di aerazione per veicoli.
KR102598528B1 (ko) * 2018-05-16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CN110103676A (zh) * 2019-04-19 2019-08-0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出风调节装置及具有该调节装置的车辆
CN110341439B (zh) * 2019-07-09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口导风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588292A (zh) * 2019-07-27 2019-12-20 浙江智动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的出风口叶片结构
CN110500756B (zh) * 2019-09-07 2023-08-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组件、控制方法及空调
US11940171B2 (en) * 2021-01-19 2024-03-26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Diffuser adjustmen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CN113212116B (zh) * 2021-06-03 2022-06-14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联动控制的出风口
CN114056057B (zh) * 2021-12-30 2024-01-16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交通工具的通风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91Y2 (ja) * 1980-09-17 1984-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吹出口構造
JPS5972440U (ja) * 1982-11-06 1984-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吹出しグリル装置
JPS5991531U (ja) * 1982-12-10 1984-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吹出しグリル装置
JPS60178741U (ja) * 1984-05-07 1985-11-27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風向切替装置
JPH0387155U (ko) * 1989-12-22 1991-09-04
JPH0461247U (ko) * 1990-10-01 1992-05-26
US5364303A (en) * 1993-07-09 1994-11-15 Summit Polymers, Inc. Air vent adjustable vanes for controlling air flow direction
FR2710879B1 (fr) * 1993-10-06 1996-01-05 Peugeot Aérateur perfectionné, notamment pour planche de bord de véhicule automobile.
US5690550A (en) 1996-04-24 1997-11-25 Manchester Plastics, Inc. Diffuser outlet assembly
DE20100740U1 (de) 2001-01-16 2001-05-31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zur Fahrzeugklimatisierung
JP4379188B2 (ja) * 2004-04-22 2009-12-09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4890203B2 (ja) * 2006-11-20 2012-03-07 豊和化成株式会社 車室内用空気吹出装置
JP5404713B2 (ja) * 2011-08-11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左右風向調整装置およびこれを装備し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DE102011115178B4 (de) 2011-09-28 2014-10-09 Audi Ag Luftausströmer eines Lüftungs- und Heizungsmoduls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Umschaltung zwischen einer Spotstellung und einer Diffus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13872A (zh) 2016-07-27
JPWO2015087975A1 (ja) 2017-03-16
JP6120992B2 (ja) 2017-04-26
KR20160091415A (ko) 2016-08-02
KR20150068900A (ko) 2015-06-22
WO2015087975A1 (ja) 2015-06-18
US20160313025A1 (en) 2016-10-27
EP3081412A4 (en) 2017-11-15
US10254004B2 (en) 2019-04-09
EP3081412A1 (en) 2016-10-19
EP3081412B1 (en) 2020-07-01
CN105813872B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3B1 (ko) 풍향조정장치
KR100772466B1 (ko) 차량의 공기 조화용 통기구
JP4506758B2 (ja)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JP5772775B2 (ja) 空調用レジスタ
US9758020B2 (en) Register
JP2015044505A (ja) 空調用レジスタ
JP5210119B2 (ja) レジスタ
JP6008733B2 (ja) レジスタ
JP6163182B2 (ja) 薄型レジスタ
WO2017094619A1 (ja) 風向調整装置
JP2019011009A (ja) レジスタ
JP6077375B2 (ja) レジスタの操作ノブ
JP2009160981A (ja) レジスタ
JP3215056U (ja) レジスタ
JP2013112256A (ja) 空調用レジスタ
JP6459935B2 (ja)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JP2019038407A (ja) 空調用薄型レジスタ
JP2007170693A (ja) エアアウトレット
JP3829691B2 (ja) 風向調整装置
JP5028349B2 (ja) レジスタ
JP5680478B2 (ja) 風向調整装置
JP5623939B2 (ja) レジスタ
JP6608406B2 (ja) 車両用レジスタ装置
JP2014141136A (ja) レジスタ
JP2020015374A (ja) 空調用レ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