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123B1 -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123B1
KR101922123B1 KR1020120109275A KR20120109275A KR101922123B1 KR 101922123 B1 KR101922123 B1 KR 101922123B1 KR 1020120109275 A KR1020120109275 A KR 1020120109275A KR 20120109275 A KR20120109275 A KR 20120109275A KR 101922123 B1 KR101922123 B1 KR 10192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et
substrate
channel
layer
suppl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473A (ko
Inventor
전우철
성웅제
신재광
오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123B1/ko
Priority to US13/922,395 priority patent/US9053964B2/en
Publication of KR2014004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7Hetero-juncti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883Combination of depletion and enhancement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5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III-V techn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made of compound material, e.g. AIIIB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01L27/0694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comprising components formed on opposite sides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31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4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 H01L29/66462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active layer made of a group 13/15 material, e.g. group 13/15 velocity modulation transistor [VMT], group 13/15 negative resistance FET [NERFET]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 H01L29/7786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 H01L29/7787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two-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HEMT ; with two-dimensional charge-carrier layer formed at a heterojunction interface with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i.e. with wide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active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IS-like HEMT with wide bandgap charge-carrier supplying layer, e.g. direct single heterostructure MOD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29/2003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반도체소자는 기판의 제1면에 구비된 제1 HFET 및 상기 기판의 제2면에 구비된 제2 HF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n형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p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은 모두 HEMT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보다 자세하게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테로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Hetero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이하, HFET)는 화합물 반도체의 이종접합 구조를 이용하는 트랜지스터이다. HFET의 이종접합 계면에 전하가 높은 농도로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전하이동도(charge mobility)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물성적인 특징으로 인해 HFET은 고전력소자 등 다양한 소자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질화갈륨(GaN) 기반의 HFET은 기존 실리콘(Si) 기반의 파워소자(power device)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HFET은 주로 사파이어 기판이나 실리콘 기판 등에 에피택셜(epitaxial) 성장 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있고, 보통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갖는 n형 소자로 제작된다. 이와 관련해서, HFET을 이용해서 다양한 구성의 소자를 제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HFET의 활용성/응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HFET을 이용해서 다양한 구성의 소자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방법이 요구된다.
HFET의 활용성 및 응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방법을 제공한다.
HFET을 이용해서 다양한 구성의 소자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방법을 제공한다.
기판 양면에 HFET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기판의 제1면에 구비된 제1 HFET(hetero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상기 기판의 제1면과 마주하는 제2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2DHG(2-dimensional hole ga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은 n형 HFET일 수 있고, 상기 제2 HFET은 p형 HFET일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게이트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HFET의 드레인은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게이트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HFET의 소오스는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HFET의 드레인은 상기 제2 HFET의 드레인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은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일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은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일 수 있고, 상기 제2 HFET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HFET은 캐스코드(cascode)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소오스는 상기 제2 HFET의 드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플러그(conductive plug)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bonding wire)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HFET의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일부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도전플러그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HFET의 다른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다른 일부는 본딩와이어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적어도 하나는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단일 기판이거나 다중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파워소자(power device)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invert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의 제1면에 제1 HFET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제1면과 마주하는 제2면에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 내에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n형 HFE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p형 HFET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기판에 제1 HFET을 형성하는 단계; 제2 기판에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HFET과 제2 HFET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제2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전플러그와 상기 제2 도전플러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n형 HFE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p형 HFET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일 수 있다.
기판 양면에 HFET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기판 양면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HFET을 구비시키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반도체소자를 제조함으로써, HFET의 활용성 및 응용성을 높일 수 있고, HFET을 적용한 다양한 소자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소자의 사이즈 축소 및 집적도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SUB10)의 제1면(예컨대, 상면)에 제1 HFET(HT1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면과 마주하는 기판(SUB10)의 제2면(예컨대, 하면)에 제2 HFET(HT20)이 구비될 수 있다. 기판(SUB10)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SUB1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HFET(HT10)과 제2 HFET(HT20)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HFET(HT10, HT20) 중 하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2DHG(2-dimensional hole gas)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HFET(HT10, HT20) 중 하나는 n형 HFE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p형 HFET일 수 있다. 도 1에는 제1 HFET(HT10)이 2DEG를 포함하는 n형 HFET이고, 제2 HFET(HT20)이 2DHG를 포함하는 p형 HFET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HFET(HT10, HT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HFET(HT10)은 기판(SUB10)의 상기 제1면(예컨대, 상면)에 구비된 제1 채널층(C10)과 제1 채널공급층(CS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채널공급층(CS10)에 구비된 제1 게이트전극(G10),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층(C10)은 반도체층일 수 있다. 제1 채널층(C10)은 Ⅲ-Ⅴ족 계열의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채널층(C10)은 질화갈륨계 물질(ex, GaN)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층(C10)은 미도핑된(undoped) GaN층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불순물이 도핑된 GaN층일 수도 있다. 제1 채널층(C10)은 에피택셜(epitaxial) 성장 공정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SUB10)과 제1 채널층(C10) 사이에 소정의 버퍼층(buffer layer)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기판(SUB10)과 제1 채널층(C10) 사이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 차이를 완화시켜 제1 채널층(C10)의 결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Al, Ga, In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화물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버퍼층은 AlN, GaN, AlGaN, InGaN, AlInN, AlGaInN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제1 채널층(C10)과 다른 반도체층일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제1 채널층(C10)에 2DEG를 유발하는 층일 수 있다. 2DEG는 제1 채널층(C10)과 제1 채널공급층(CS10)의 계면 아래의 제1 채널층(C1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제1 채널층(C10)과 분극 특성 및/또는 에너지 밴드갭(bandgap) 및/또는 격자상수가 다른 물질(반도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제1 채널층(C10)보다 분극률 및/또는 에너지 밴드갭이 큰 물질(반도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채널공급층(CS10)은 Al, Ga, In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화물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채널공급층(CS10)은 AlGaN, AlInN, InGaN, AlN, AlInGaN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미도핑된(undoped) 층일 수 있지만, 소정의 불순물이 도핑된 층일 수도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의 두께는 수십 ㎚ 이하일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은, 제1 채널층(C10)과 유사하게, 에피택셜 성장 공정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의 소정 영역에 제1 게이트전극(G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G10)은 금속이나 금속화합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G10) 양측에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은 2DE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채널공급층(CS10)과 제1 채널층(C10)의 일부를 식각(리세스)한 후, 식각 영역(리세스 영역)에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각 영역(리세스 영역)의 깊이는 2DEG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은 2DEG의 측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제1 채널공급층(CS10)의 일부 두께만 식각한 후에, 제1 소오스/드레인전극(S10, D10)을 형성하거나, 식각 없이 제1 채널공급층(CS10)의 상면에 제1 소오스/드레인전극(S10, D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HFET(HT20)은 기판(SUB10)의 상기 제2면(예컨대, 하면)에 구비된 제2 채널층(C20)과 제2 채널공급층(CS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채널공급층(CS20)에 구비된 제2 게이트전극(G20), 제2 소오스전극(S20) 및 제2 드레인전극(D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CS20)은 제2 채널층(C20)에 2DHG를 유발하는 층일 수 있다. 2DHG는 제2 채널층(C20)과 제2 채널공급층(CS20)의 계면에 인접한 제2 채널층(C2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채널층(C20)은 제1 채널공급층(CS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CS20)은 제1 채널층(C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채널층(C20) 및 제2 채널공급층(CS20)은 각각 AlGaN 및 Ga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채널층(C20) 및 제2 채널공급층(CS20)의 물질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2 채널층(C20) 및 제2 채널공급층(CS20)은 에피택셜 성장 공정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CS20)에 구비된 제2 게이트전극(G20), 제2 소오스전극(S20) 및 제2 드레인전극(D20)의 물질/구조는 각각 제1 게이트전극(G10),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제2 소오스전극(S20)은 제1 드레인전극(D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드레인전극(D20)은 제1 소오스전극(S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G20)은 제1 게이트전극(G10)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HFET(HT10)과 제2 HFET(HT2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HFET(HT10)의 제1 게이트전극(G10)은 제2 HFET(HT20)의 제2 게이트전극(G20)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HFET(HT10)의 제1 드레인전극(D10)은 제2 HFET(HT20)의 제2 소오스전극(S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G10)과 제2 게이트전극(G20)은 제1 도전플러그(CP1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고, 제1 드레인전극(D10)과 제2 소오스전극(S20)은 제2 도전플러그(CP2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플러그(CP10, CP20)는 기판(SUB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CS10), 제1 채널층(C10), 기판(SUB10), 제2 채널층(C20) 및 제2 채널공급층(CS20)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비아홀(via hole)(H10, H20)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비아홀(H10, H20) 각각에 제1 및 제2 도전플러그(CP10, CP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CP10)는 2DEG 및 2DHG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비아홀(H10)의 내측면에 절연층(IL10)이 구비될 수 있고, 절연층(IL10) 내에 제1 도전플러그(CP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판(SUB10)이 단일 기판(single substrate)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기판(SUB10)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기판(SUB10)은 복수의 단위 기판이 적층된 구조, 즉, 다중 기판(multi-substrat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SUB100)은 제1 기판(SUB10) 및 제2 기판(SUB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UB10) 아래에 제2 기판(SUB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0)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판(SUB20)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0)과 제2 기판(SUB20)은 동일한 기판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기판(SUB10)의 상면에 제1 HFET(HT10)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기판(SUB20)의 하면에 제2 HFET(HT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HFET(HT10)은 제1 채널층(C10), 제1 채널공급층(CS10), 제1 게이트전극(G10),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HFET(HT20)은 제2 채널층(C20), 제2 채널공급층(CS20), 제2 게이트전극(G20), 제2 소오스전극(S20) 및 제2 드레인전극(D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HFET(HT10)과 제2 HFET(HT20) 각각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G10)과 제2 게이트전극(G20)은 제1 비아홀(H10') 내에 구비된 제1 도전플러그(CP1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고, 제1 드레인전극(D10)과 제2 소오스전극(S20)은 제2 비아홀(H20') 내에 구비된 제2 도전플러그(CP2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비아홀(H10')의 내측면에 절연층(IL10')이 구비될 수 있고, 절연층(IL10') 내에 제1 도전플러그(CP10')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층(IL10')에 의해 제1 도전플러그(CP10')는 2DEG 및 2DHG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기판(SUB10, SUB1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도전플러그들(CP10, CP10', CP20, CP20')에 의해 제1 및 제2 HFET(HT10, HT20)가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제1 및 제2 HFET(HT10, HT20)의 연결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HFET(HT10, HT20)은 본딩와이어(bonding wire)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그 예들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변형된 구조이고, 도 4는 도 2에서 변형된 구조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HFET(HT10)의 제1 게이트전극(G10)과 제2 HFET(HT20)의 제2 게이트전극(G20)은 제1 본딩와이어(W10, W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HFET(HT10)의 제1 드레인전극(D10)과 제2 HFET(HT20)의 제2 소오스전극(S20)은 제2 본딩와이어(W20, W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본딩와이어(W10, W10') 및 제2 본딩와이어(W20, W20')는 기판(SUB10, SUB100) 외부에 구비된 연결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의 연결 방식과 도 3 및 도 4의 연결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HFET(HT10)의 일부와 제2 HFET(HT20)의 일부는 도전플러그를 이용해서 연결하고, 제1 HFET(HT10)의 다른 일부와 제2 HFET(HT20)의 다른 일부는 본딩와이어를 이용해서 연결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연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HFET(HT10)과 제2 HFET(HT20)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HFET(HT10)은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2 HFET(HT20)은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2 HFET(HT20)의 제2 드레인전극(D20)에 전원단자(VDD)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HFET(HT20)의 제2 소오스전극(S20)은 제1 HFET(HT10)의 제1 드레인전극(D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오스전극(S20) 및 제1 드레인전극(D10)에 연결된 출력단자(Vout)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HFET(HT10)의 제1 소오스전극(S10)은 접지될 수 있다. 제1 HFET(HT10)의 제1 게이트전극(G10)과 제2 HFET(HT20)의 제2 게이트전극(G20)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에 연결된 입력단자(Vin)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단자(VDD)에 통해 소정의 동작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입력단자(Vin)에 소정의 하이(high) 전압이 인가되면, 제1 HFET(HT10)는 온(ON) 상태가 되고 제2 HFET(HT20)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출력단자(Vout)를 통해 로우(low) 레벨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원단자(VDD)에 통해 소정의 동작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입력단자(Vin)에 소정의 로우(low) 전압이 인가되면, 제1 HFET(HT10)는 오프(OFF) 상태가 되고 제2 HFET(HT20)는 온(ON) 상태가 되어, 출력단자(Vout)를 통해 하이(high) 레벨의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입력단자(Vin)에 입력되는 신호와 반대 레벨의 신호가 출력단자(Vout)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도 5의 회로는 인버터(inverter)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로직(logic) 인버터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SUB11)의 제1면(예컨대, 상면)에 제1 HFET(HT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면과 마주하는 기판(SUB11)의 제2면(예컨대, 하면)에 제2 HFET(HT2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HFET(HT11)과 제2 HFET(HT21)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HFET(HT11)은 2DEG를 포함하는 n형 HFET일 수 있고, 제2 HFET(HT21)은 2DHG를 포함하는 p형 HFET일 수 있다. 제1 HFET(HT11)은 제1 채널층(C11), 제1 채널공급층(CS11), 제1 게이트전극(G11), 제1 소오스전극(S11) 및 제1 드레인전극(D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HFET(HT21)은 제2 채널층(C21), 제2 채널공급층(CS21), 제2 게이트전극(G21), 제2 소오스전극(S21) 및 제2 드레인전극(D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층(C11), 제1 채널공급층(CS11), 제1 게이트전극(G11), 제1 소오스전극(S11) 및 제1 드레인전극(D11)의 물질은 각각 도 1의 제1 채널층(C10), 제1 채널공급층(CS10), 제1 게이트전극(G10),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층(C21), 제2 채널공급층(CS21), 제2 게이트전극(G21), 제2 소오스전극(S21) 및 제2 드레인전극(D21)의 물질은 각각 도 1의 제2 채널층(C20), 제2 채널공급층(CS20), 제2 게이트전극(G20), 제2 소오스전극(S20) 및 제2 드레인전극(D20)과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소오스전극(S21)은 제1 소오스전극(S11)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제2 드레인전극(D21)은 제1 드레인전극(D11)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G21)은 제1 게이트전극(G11)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게이트전극(G11)은 제1 드레인전극(D11)보다 제1 소오스전극(S11)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게이트전극(G21)은 제2 드레인전극(D21)보다 제2 소오스전극(S21)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반도체소자는 파워소자의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게이트전극(G11, G21)이 드레인전극(D11, D21)보다 소오스전극(S11, S21)에 가까이 배치되는 것이 동작 특성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전극(G11, G21)과 소오스전극(S11, S21) 및 드레인전극(D11, D2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게이트전극(G11), 제1 소오스전극(S11) 및 제1 드레인전극(D11)은 각각 제2 게이트전극(G21), 제2 소오스전극(S21) 및 제2 드레인전극(D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의 연결은 기판(SUB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 내지 제3 도전플러그(CP11, CP21, CP3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도전플러그(CP11, CP21, CP31)는 제1 내지 제3 비아홀(H11, H21, H3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CP11)에 의해 제1 게이트전극(G11)과 제2 게이트전극(G21)이 연결될 수 있고, 제2 도전플러그(CP21)에 의해 제1 소오스전극(S11)과 제2 소오스전극(S2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도전플러그(CP31)에 의해 제1 드레인전극(D11)과 제2 드레인전극(D2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CP11)는 2DEG 및 2DHG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비아홀(H11)의 내에 제1 도전플러그(CP11)를 감싸는 절연층(IL1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HFET(HT11)과 제2 HFET(HT21)의 연결 방식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HFET(HT11)과 제2 HFET(HT21)은 기판(SUB11) 외부에 형성된 본딩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HFET(HT11)의 제1 게이트전극(G11)과 제2 HFET(HT21)의 제2 게이트전극(G21)은 제1 본딩와이어(W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HFET(HT11)의 제1 소오스전극(S11)과 제2 HFET(HT21)의 제2 소오스전극(S21)은 제2 본딩와이어(W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HFET(HT11)의 제1 드레인전극(D11)과 제2 HFET(HT21)의 제2 드레인전극(D21)은 제3 본딩와이어(W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연결 방식과 도 7의 연결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HFET(HT11)의 일부와 제2 HFET(HT21)의 일부는 도전플러그를 이용해서 연결하고, 제1 HFET(HT11)의 다른 일부와 제2 HFET(HT21)의 다른 일부는 본딩와이어를 이용해서 연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기판(SUB11)이 단일 기판(single substrate)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기판(SUB11)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기판(SUB11)은 복수의 단위 기판이 적층된 구조, 즉, 다중 기판(multi-substrat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기판(SUB11)은 도 2 및 도 4의 기판(다중 기판)(SUB100)과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HFET(H11)과 제2 HFET(H21)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HFET(H11)은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2 HFET(H21)은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HFET(H11)의 제1 게이트전극(G11)과 제2 HFET(H21)의 제2 게이트전극(G21)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HFET(H11)의 제1 소오스전극(S11)과 제2 HFET(H21)의 제2 소오스전극(S2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HFET(H11)의 제1 드레인전극(D11)과 제2 HFET(H21)의 제2 드레인전극(D21)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1, G21)에 제1 HFET(H11)의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HFET(H11, H21) 중 제1 HFET(H11)만 선택적으로 온(ON) 상태가 될 수 있고, 제1 HFET(H11)을 통해 제1 방향(즉, 정방향)(d1)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한편, 게이트전극(G11, G21)에 0V 혹은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HFET(H11, H21) 중 제2 HFET(H21)만 선택적으로 온(ON) 상태가 될 수 있고, 제2 HFET(H21)을 통해 제2 방향(즉, 역방향)(d2)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HFET(H21)은 게이트전압(Vg)이 0V 혹은 음(-)의 전압일 때, 제2 방향(즉, 역방향)(d2)으로 전류를 흘려주는 역할을 하므로, FWD(free wheeling diode) 또는 FRD(fast recovery diode)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의 반도체소자는 파워소자(예컨대, 파워 인버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판(SUB12)의 제1면(예컨대, 상면)에 제1 HFET(HT1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면과 마주하는 기판(SUB12)의 제2면(예컨대, 하면)에 제2 HFET(HT22)이 구비될 수 있다. 기판(SUB12)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SUB12)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질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은 모두 2DEG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은 모두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HFET(HT12, HT22)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HFET(HT12, HT22)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HFET(HT12)이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이고, 제2 HFET(HT22)이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HFET(HT12)은 기판(SUB12)의 상기 제1면(예컨대, 상면)에 구비된 제1 채널층(C12), 제1 채널공급층(CS12), 제1 게이트전극(G12), 제1 소오스전극(S12) 및 제1 드레인전극(D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층(C12), 제1 채널공급층(CS12), 제1 게이트전극(G12), 제1 소오스전극(S12) 및 제1 드레인전극(D12)의 물질은 각각 도 1의 제1 채널층(C10), 제1 채널공급층(CS10), 제1 게이트전극(G10), 제1 소오스전극(S10) 및 제1 드레인전극(D10)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G12)은 제1 드레인전극(D12)보다 제1 소오스전극(S12)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HFET(HT22)은 기판(SUB12)의 상기 제2면(예컨대, 하면)에 구비된 제2 채널층(C22), 제2 채널공급층(CS22), 제2 게이트전극(G22), 제2 소오스전극(S22) 및 제2 드레인전극(D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층(C22), 제2 채널공급층(CS22), 제2 게이트전극(G22), 제2 소오스전극(S22) 및 제2 드레인전극(D22)의 물질은 각각 제1 채널층(C12), 제1 채널공급층(CS12), 제1 게이트전극(G12), 제1 소오스전극(S12) 및 제1 드레인전극(D12)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G22)은 제2 드레인전극(D22)보다 제2 소오스전극(S22)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드레인전극(D22)은 제1 소오스전극(S12)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제2 소오스전극(S22)은 제1 드레인전극(D12)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HFET(HT22)은 제2 채널공급층(CS22)에 구비된 리세스영역(R2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2)은, 예컨대, 제2 채널공급층(CS22)과 제2 채널층(C22) 사이의 계면까지 형성되거나, 상기 계면보다 깊은 깊이 혹은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2)에 제2 게이트전극(G22)이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2)과 제2 게이트전극(G22) 사이에 소정의 게이트절연층(GI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2)에 의해 그에 대응하는 제2 채널층(C22) 부분에서 2DEG가 끊어지거나 그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2 HFET(HT22)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은 캐스코드(cascode)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HFET(HT12)의 제1 소오스전극(S12)에 제2 HFET(HT22)의 제2 드레인전극(D2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HFET(HT12)의 제1 게이트전극(G12)은 제2 HFET(HT22)의 제2 소오스전극(S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소오스전극(S12)과 제2 드레인전극(D22)은 기판(SUB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도전플러그(CP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게이트전극(G12)과 제2 소오스전극(S22)은 본딩와이어(W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이 캐스코드(cascode) 타입으로 연결된 경우, 이들이 연결된 반도체소자는 '캐스코드 소자'라고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기판(SUB12)이 단일 기판(single substrate)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단일 기판이 아닌 다중 기판(multi-substrate)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일례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SUB120)은 제1 기판(SUB12) 및 제2 기판(SUB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UB12) 아래에 제2 기판(SUB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2)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판(SUB22)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2)과 제2 기판(SUB22)은 동일한 기판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기판(SUB12)의 상면에 제1 HFET(HT12)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기판(SUB22)의 하면에 제2 HFET(HT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소오스전극(S12)과 제2 드레인전극(D22)은 기판(SUB12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도전플러그(CP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게이트전극(G12)과 제2 소오스전극(S22)은 본딩와이어(W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제1 소오스전극(S12)과 제2 드레인전극(D22)의 연결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오스전극(S12)과 제2 드레인전극(D22)은 제2 본딩와이어(W22, W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이트전극(G12)과 제2 소오스전극(S22)을 연결하는 본딩와이어(W12, W12')는 '제1 본딩와이어'라고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리세스영역(R22)을 이용해서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 HEMT(즉, 제2 HFET(HT22))을 구현하였지만,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디플리션 형성층(depletion forming layer)이나 이온주입영역(ion-implanted region)을 이용해서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 HEMT를 구현할 수 있다. 그 예들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디플리션 형성층(DP22)을 이용한 경우이고, 도 14는 이온주입영역(N22)을 이용한 경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CS22)과 제2 게이트전극(G22') 사이에 디플리션 형성층(depletion forming layer)(DP22)이 구비될 수 있다. 디플리션 형성층(DP22)은 p형 반도체층이거나,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층(즉, p-도핑층)일 수 있다. 또한, 디플리션 형성층(DP22)은 Ⅲ-Ⅴ족 계열의 질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플리션 형성층(DP22)은 GaN, AlGaN, InN, AlInN, InGaN 및 AlInG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Mg와 같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디플리션 형성층(DP22)은 p-GaN층 또는 p-AlGaN층일 수 있다. 이러한 디플리션 형성층(DP22)은 제2 채널공급층(CS22)에 의해 제2 채널층(C22)에 유도되는 2DEG에 디플리션 영역(depletion region)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플리션 형성층(DP22)에 의해 그에 대응하는 제2 채널층(C22) 부분의 에너지 밴드갭(energy bandgap)이 높아질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제2 채널층(C22) 부분의 2DEG에 디플리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플리션 형성층(DP22)에 대응하는 2DEG 부분은 끊어지거나, 나머지 영역과 다른 특성(전자 농도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실시예의 제2 HFET(HT22')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HFET(HT22')의 구성이 변화된 것을 제외하면, 도 13의 구조는 도 9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CS22)의 일부 영역 내에 이온주입영역(N22)이 구비될 수 있고, 이온주입영역(N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게이트전극(G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온주입영역(N22)과 제2 게이트전극(G22") 사이에는 게이트절연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온주입영역(N22)은, 예컨대, 아르곤(Ar) 또는 질소(N)와 같은 불순물이 이온주입된 영역일 수 있다. 이온주입영역(N22)은 제2 채널층(C22) 내부까지 형성되거나, 제2 채널층(C22)과 제2 채널공급층(CS22) 사이의 계면까지 형성되거나, 상기 계면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불순물의 이온주입에 의해 제2 채널공급층(CS22) 또는 제2 채널공급층(CS22)과 제2 채널층(C22)의 결정성이 깨어지고 비정질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주입영역(N22)은 비정질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이온주입영역(N22)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2DEG가 형성되지 않거나, 2DEG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실시예의 제2 HFET(HT22")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HFET(HT22")의 구성이 변화된 것을 제외하면, 도 14의 구조는 도 9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리세스영역(도 9의 R22), 디플리션 형성층(도 13의 DP22) 및 이온주입영역(도 14의 N22)을 이용해서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 HEMT(HT22, HT22', HT22")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 다른 방법으로도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5는 도 9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반도체소자(SD1)는 제1 HFET(HT12) 및 이에 연결된 제2 HFET(HT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HFET(HT12)은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HFET(HT12)이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갖는다는 것은 제1 HFET(HT12)이 공핍 모드(depletion mode)(D-mode) 트랜지스터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HFET(HT12)은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HFET(HT12)는 질화물 기반의 HEMT일 수 있다. 상기 질화물은 질화갈륨계 물질일 수 있다. 제1 HFET(HT12)은 도 9 내지 도 14의 제1 HFET(HT12)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HFET(HT22)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HFET(HT22)이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다는 것은 제2 HFET(HT22)이 증가 모드(enhancement mode)(E-mode) 트랜지스터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HFET(HT22)은 질화갈륨계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HEMT일 수 있다. 제2 HFET(HT22)은 도 9 내지 도 14의 제2 HFET(HT22, HT22', HT22")에 대응될 수 있다.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갖는 제1 HFET(HT12)에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 제2 HFET(HT22)를 연결함으로써, 제1 HFET(HT12)을 노멀리-오프(normally-off) 소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HFET(HT12)은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갖지만, 제1 HFET(HT12)과 제2 HFET(HT22)을 연결한 소자(즉, 반도체소자(SD1))는 제2 HFET(HT22)에 의해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HFET(HT12)와 제2 HFET(HT22)는 캐스코드(cascode)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HFET(HT12)의 소오스, 드레인, 게이트를 각각 S12, D12, G12이라고 하고, 제2 HFET(HT22)의 소오스, 드레인, 게이트를 각각 S22, D22, G22라고 하면, 제1 HFET(HT12)의 소오스(S12)에 제2 HFET(HT22)의 드레인(D2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HFET(HT12)의 게이트(G12)는 제2 HFET(HT22)의 소오스(S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HFET(HT12)와 제2 HFET(HT22)가 연결된 반도체소자(SD1)는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소자(SD1)의 소오스, 드레인, 게이트는 각각 S22, D12, G22 일 수 있다. 즉, 제2 HFET(HT22)의 소오스(S22), 제1 HFET(HT12)의 드레인(D12) 및 제2 HFET(HT22)의 게이트(G22)가 각각 반도체소자(SD1)의 소오스, 드레인, 게이트로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반도체소자(SD1)의 소오스, 드레인, 게이트를 각각 S, D, G로 표시한다. 반도체소자(SD1)의 소오스(S), 드레인(D), 게이트(G)는 각각 제2 HFET(HT22)의 소오스(S22), 제1 HFET(HT12)의 드레인(D12), 제2 HFET(HT22)의 게이트(G22)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HFET(HT22)가 턴-온(turn-on) 되면, 반도체소자(SD1)가 턴-온(turn-on)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HFET(HT12)는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갖기 때문에,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갖는 제2 HFET(HT22)에 의해 반도체소자(SD1)의 온/오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제2 HFET(HT22)가 턴-온(turn-on) 되고, 제1 HFET(HT12)의 드레인(D12)과 제2 HFET(HT22)의 소오스(S22)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드레인(D12)으로부터 소오스(S22)로 소정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문턱전압이 아닌 다른 특성, 예컨대, 내전압 특성이나 역방향 특성 등은 주로 제1 HFET(HT1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HFET(HT12)에 의해 우수한 내전압 특성 및 역방향 특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의 양면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HFET을 형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구성의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HFET의 활용성 및 응용성을 높일 수 있고, HFET을 적용한 다양한 소자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기판의 양면에 HFET을 구비시키고 이들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반도체소자를 구현하기 때문에, 소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거나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생 인덕턴스(parasitic inductance) 등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반도체소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워소자, 논리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는 파워 인버터, RF(radio frequency) 파워 증폭기(amplifier), 캐스코드(cascode) 소자, 전력 변환 시스템, 로직(logic) 인버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적용 분야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소자이면 어떤 것이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제1면(SS1) 상에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0)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10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의 물질은 각각 도 1의 제1 채널층(C10) 및 제1 채널공급층(CS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은 서로 다른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120-1)에 의해 제1 채널층(110-1)에 2DE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a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기판(100)의 제2면(SS2) 상에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의 물질은 각각 도 1의 제2 채널층(C20) 및 제2 채널공급층(CS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은 서로 다른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120-2)에 의해 제2 채널층(110-2)에 2DH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120-2), 제2 채널층(110-2), 기판(100), 제1 채널층(110), 제1 채널공급층(120)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비아홀(H1, H2)을 형성한 후, 제1 및 제2 비아홀(H1, H2) 내에 제1 및 제2 도전플러그(151, 15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151)는 2DEG 및 2DHG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비아홀(H1)의 내측면에 절연층(150)을 형성한 후, 절연층(150) 내에 제1 도전플러그(15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120-2) 상에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200G-2)은 제1 도전플러그(151)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2 소오스전극(200S-2)은 제2 도전플러그(152)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은 2DH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채널공급층(120-2)과 제2 채널층(110-2)의 일부를 식각(리세스)한 후, 식각 영역(리세스 영역)에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각 영역(리세스 영역)의 깊이는 2DHG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은 2DHG의 측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제2 채널공급층(120-2)의 일부 두께만 식각한 후에, 제2 소오스/드레인전극(200S-2, 200D-2)을 형성하거나, 식각 없이 제2 채널공급층(120-2)의 상면에 제2 소오스/드레인전극(200S-2, 200D-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6e를 참조하면, 도 16d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제1 채널공급층(120) 상에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200G-1)은 제1 도전플러그(151)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1 드레인전극(200D-1)은 제2 도전플러그(152)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6e에서 제1 채널층(110-1), 제1 채널공급층(120-1),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은 제1 HFET(HT10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채널층(110-2), 제2 채널공급층(120-2),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은 제2 HFET(HT20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HFET(HT100)은 n형 HFET일 수 있고, 제2 HFET(HT200)은 p형 HFET일 수 있다. 제1 HFET(HT100) 및 제2 HFET(HT20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e의 구조는 도 1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1) 상에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판(100-1),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은 각각 도 16a의 기판(100),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120-1)에 의해 제1 채널층(110-1)에 2DE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1),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도전플러그(151-1, 152-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151-1)는 2DEG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도전플러그(151-1)가 형성되는 비아홀에 절연층(150-1)을 먼저 형성한 후, 절연층(150-1) 내에 제1 도전플러그(15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제1 채널공급층(120-1) 상에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200G-1)은 제1 도전플러그(151-1)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1 드레인전극(200D-1)은 제2 도전플러그(152-1)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채널층(110-1), 제1 채널공급층(120-1),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은 제1 HFET(HT100)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HFET(HT100)은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17d를 참조하면, 제2 기판(100-2) 상에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판(100-2),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의 물질은 각각 도 16b의 기판(100),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120-2)에 의해 제2 채널층(110-2)에 2DH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e를 참조하면, 제2 기판(100-2),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도전플러그(151-2, 15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플러그(151-2)는 2DHG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도전플러그(151-2)가 형성되는 비아홀에 절연층(150-2)을 먼저 형성한 후, 절연층(150-2) 내에 제1 도전플러그(151-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f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120-2) 상에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200G-2)은 제1 도전플러그(151-2)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1 소오스전극(200S-2)은 제2 도전플러그(152-2)에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10-2), 제2 채널공급층(120-2),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은 제2 HFET(HT200)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HFET(HT200)은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17g 및 도 17h를 참조하면, 제1 HFET(HT100)가 형성된 제1 기판(100-1)에 제2 HFET(HT200)가 형성된 제2 기판(100-2)을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HFET(HT100)과 제2 HFET(HT200) 사이에 제1 및 제2 기판(100-1, 100-2)이 구비된 반도체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100-1, 100-2)이 하나의 '기판'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HFET(HT100)의 제1 도전플러그(151-1)와 제2 HFET(HT200)의 제1 도전플러그(151-2)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HFET(HT100)의 제2 도전플러그(152-1)와 제2 HFET(HT200)의 제2 도전플러그(152-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제1 도전플러그(151-1, 151-2)에 의해 제1 게이트전극(200G-1)과 제2 게이트전극(200G-2)이 연결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제2 도전플러그(152-1, 152-2)에 의해 제1 드레인전극(200D-1)과 제2 소오스전극(200S-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7h의 구조는 도 2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제1면(SS1) 상에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판(100-1),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은 각각 도 16a의 기판(100), 제1 채널층(110-1) 및 제1 채널공급층(120-1)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120-1)에 의해 제1 채널층(110-1)에 2DEG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제1 채널공급층(120-1)에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채널층(110-1), 제1 채널공급층(120-1), 제1 게이트전극(200G-1), 제1 소오스전극(200S-1) 및 제1 드레인전극(200D-1)은 제1 HFET(HT10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도 18a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기판(100)의 제2면(SS2) 상에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의 물질은 각각 도 16b의 제2 채널층(110-2) 및 제2 채널공급층(120-2)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120-2)에 의해 제2 채널층(110-2)에 2DHG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제2 채널공급층(120-2)에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10-2), 제2 채널공급층(120-2), 제2 게이트전극(200G-2), 제2 소오스전극(200S-2) 및 제2 드레인전극(200D-2)은 제2 HFET(HT20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도 18b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HFET(HT100, HT200)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본딩와이어(251, 25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본딩와이어(251)에 의해 제1 게이트전극(200G-1)과 제2 게이트전극(200G-2)이 연결될 수 있고, 제2 본딩와이어(252)에 의해 제1 드레인전극(200D-1)과 제2 소오스전극(200S-2)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딩와이어(251, 252)는, 예컨대, 패키지(package) 단계에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8c의 구조는 도 3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e의 제조방법, 도 17a 내지 도 17h의 제조방법, 도 18a 내지 도 18c의 제조방법은 도 4, 도 6, 도 7 및 이들의 변형 구조를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e의 제조방법, 도 17a 내지 도 17h의 제조방법, 도 18a 내지 도 18c의 제조방법을 이용해서 도 4, 도 6, 도 7 및 이들의 변형 구조를 제조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a 내지 도 19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기판(102)의 제1면(SS10) 상에 제1 채널층(112-1) 및 제1 채널공급층(122-1)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2)은, 예컨대, 실리콘(Si), 사파이어(sapphire), 실리콘 카바이드(S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102)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채널층(112-1) 및 제1 채널공급층(122-1)의 물질은 각각 도 9의 제1 채널층(C12) 및 제1 채널공급층(CS12)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채널층(112-1) 및 제1 채널공급층(122-1)은 서로 다른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공급층(122-1)에 의해 제1 채널층(112-1)에 2DE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도 19a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기판(102)의 제2면(SS20) 상에 제2 채널층(112-2) 및 제2 채널공급층(122-2)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층(112-2) 및 제2 채널공급층(122-2)의 물질은 각각 도 9의 제2 채널층(C22) 및 제2 채널공급층(CS22)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채널층(112-2) 및 제2 채널공급층(122-2)은 서로 다른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122-2)에 의해 제2 채널층(112-2)에 2DHG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c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122-2), 제2 채널층(112-2), 기판(102), 제1 채널층(112-1) 및 제1 채널공급층(122-1)을 관통하는 도전플러그(15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d를 참조하면, 제2 채널공급층(122-2)의 일부 영역을 식각(리세스)하여 리세스영역(R2)을 형성한 후, 리세스영역(R2) 상에 게이트절연층(132)을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의 게이트절연층(132) 상에 제2 게이트전극(202G-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게이트전극(202G-2) 양측의 제2 채널공급층(122-2) 상에 제2 소오스전극(202S-2) 및 제2 드레인전극(202D-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드레인전극(202D-2)은 도전플러그(153)에 연결(접촉)될 수 있다. 제2 채널층(112-2), 제2 채널공급층(122-2), 제2 게이트전극(202G-2), 제2 소오스전극(202S-2) 및 제2 드레인전극(202D-2) 등은 제2 HFET(HT202)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HFET(HT202)은 HEMT일 수 있고, 노멀리-오프(normally-off)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e를 참조하면, 도 19d의 구조를 위·아래로 뒤집은 상태에서, 제1 채널공급층(122-1) 상에 제1 게이트전극(202G-1), 제1 소오스전극(202S-1) 및 제1 드레인전극(202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소오스전극(202S-1)은 도전플러그(153)에 연결(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소오스전극(202S-1)은 도전플러그(153)에 의해 제2 드레인전극(202D-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9e에서 제1 채널층(112-1), 제1 채널공급층(122-1), 제1 게이트전극(202G-1), 제1 소오스전극(202S-1) 및 제1 드레인전극(202D-1)은 제1 HFET(HT10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HFET(HT102)은 HEMT일 수 있고, 노멀리-온(normally-on)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f를 참조하면, 제1 게이트전극(202G-1)과 제2 소오스전극(202S-2)을 연결하는 본딩와이어(25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f의 구조는 도 9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2-1) 상에 제1 채널층(112-1) 및 제1 채널공급층(122-1)을 형성한 후, 이들을 관통하는 도전플러그(153-1)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제1 채널공급층(122-1)에 제1 게이트전극(202G-1), 제1 소오스전극(202S-1) 및 제1 드레인전극(202D-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a의 단계를 통해서, 제1 기판(102-1) 상에 제1 HFET(HT102)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HFET(HT102)은 도 19f의 제1 HFET(HT10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제2 기판(102-2) 상에 제2 채널층(112-2) 및 제2 채널공급층(122-2)을 형성한 후, 이들을 관통하는 도전플러그(15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공급층(122-2)의 일부 영역을 식각(리세스)하여 리세스영역(R2)을 형성한 후, 리세스영역(R2)을 덮는 게이트절연층(132)을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영역(R2)의 게이트절연층(132) 상에 제2 게이트전극(202G-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전극(202G-2) 양측의 제2 채널공급층(122-2)에 제2 소오스전극(202S-2) 및 제2 드레인전극(202D-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b의 단계를 통해서, 제2 기판(102-2) 상에 제2 HFET(HT202)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 HFET(HT202)은 도 19f의 제2 HFET(HT20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0c 및 도 20d를 참조하면, 제1 HFET(HT102)가 형성된 제1 기판(102-1)에 제2 HFET(HT202)가 형성된 제2 기판(102-2)을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HFET(HT102)과 제2 HFET(HT202) 사이에 제1 및 제2 기판(102-1, 102-2)이 구비된 반도체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102-1, 102-2)이 하나의 '기판'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HFET(HT102)의 도전플러그(153-1)와 제2 HFET(HT202)의 도전플러그(153-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도전플러그(153-1, 153-2)에 의해 제1 소오스전극(202S-1)과 제2 드레인전극(202D-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0e를 참조하면, 제1 게이트전극(202G-1)과 제2 소오스전극(202S-2)을 연결하는 본딩와이어(25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0e의 구조는 도 1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f의 제조방법 및 도 20a 내지 도 20e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a 내지 도 19f의 제조방법 및 도 20a 내지 도 20e의 제조방법을 변형하여 도 11 내지 도 14 및 이들의 변형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기판의 양면에 HFET을 형성하거나, 두 기판에 각각 HFET을 형성한 후 웨이퍼 본딩(wafer bonding) 공정을 통해 하나의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HFET은 기판 내에 형성된 도전플러그로 연결하거나, 기판 외부의 본딩와이어로 연결할 수 있다. 혹은, 하나의 반도체소자에서 상기 도전플러그와 본딩와이어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HFET을 적용한 다양한 구성의 소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소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거나 배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단일 기판 혹은 다중 기판)의 제1면에 복수의 제1 HFET을 구비시키고, 상기 기판의 제2면에 복수의 제2 HFET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HFET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2 HFET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해서,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을 갖는 반도체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5의 반도체소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채널층 및 채널공급층의 물질로 질화갈륨계 물질 이외에 다른 물질이 적용될 수 있고, 제1 HFET과 제2 HFET의 연결 관계도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단일 기판 혹은 다중 기판)의 양면에 동일한 특성을 갖는 HFET을 형성하여 이들을 이용해서 반도체소자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6a 내지 도 20e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방법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C10∼C12 : 제1 채널층 C20∼C22 : 제2 채널층
CS10∼CS12 : 제1 채널공급층 CS20∼CS22 : 제1 채널공급층
CP10, CP11 : 제1 도전플러그 CP20, CP21 : 제2 도전플러그
CP31 : 제3 도전플러그 CP12 : 도전플러그
D10∼D12 : 제1 드레인전극 D20∼D22 : 제2 드레인전극
G10∼G12 : 제1 게이트전극 G20∼G22 : 제2 게이트전극
HT10∼HT12 : 제1 HFET HT20∼HT22 : 제2 HFET
H1, H10, H11 : 제1 비아홀 H2, H20, H21: 제2 비아홀
H31 : 제3 비아홀 IL10, IL11 : 절연층
R2, R22 : 리세스영역 S10∼S12 : 제1 소오스전극
S20∼S22 : 제1 소오스전극 SUB10∼SUB12 : 기판(제1 기판)
SUB20∼SUB22 : 제2 기판 SUB100, SUB120 : 기판
W10∼W12 : 제1 본딩와이어 W20∼W22 : 제2 본딩와이어
W31 : 제3 본딩와이어 100, 102 : 기판
100-1, 102-1 : 제1 기판 100-2, 102-2 : 제2 기판
110-1, 112-1 : 제1 채널층 110-2, 112-2 : 제2 채널층
120-1, 122-1 : 제1 채널공급층 120-2, 122-2 : 제2 채널공급층
150, 150-1, 150-2 : 절연층 151, 151-1, 151-2 : 제1 도전플러그
152, 152-1, 152-2 : 제2 도전플러그 153, 153-1, 153-2 : 도전플러그
200D-1, 202D-1 : 제1 드레인전극 200D-2, 202D-2 : 제2 드레인전극
200G-1, 202G-1 : 제1 게이트전극 200G-2, 202G-2 : 제2 게이트전극
200S-1, 202S-1 : 제1 소오스전극 200S-2, 202S-2 : 제2 소오스전극
253, 254 : 본딩와이어 HT100, HT102 : 제1 HFET
HT200, HT202 : 제2 HFET

Claims (31)

  1. 기판의 제1면에 구비된 제1 HFET(hetero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및
    상기 기판의 제1면과 마주하는 제2면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1 HFET은 제1 채널층 및 제1 채널공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층은 상기 기판의 제1면과 상기 제1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HFET은 제2 채널층 및 제2 채널공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기판의 제2면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제1 채널공급층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된 반도체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반도체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2DEG(2-dimensional electron gas)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2DHG(2-dimensional hole gas)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은 n형 HFET이고,
    상기 제2 HFET은 p형 HFET인 반도체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게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HFET의 드레인은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와 연결된 반도체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게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HFET의 소오스는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1 HFET의 드레인은 상기 제2 HFET의 드레인과 연결된 반도체소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은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인 반도체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은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이고,
    상기 제2 HFET은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인 반도체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은 캐스코드(cascode) 타입으로 연결된 반도체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소오스는 상기 제2 HFET의 드레인에 연결된 반도체소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게이트는 상기 제2 HFET의 소오스에 연결된 반도체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플러그(conductive plug)에 의해서 연결된 반도체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bonding wire)에 의해서 연결된 반도체소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의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일부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도전플러그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HFET의 다른 일부와 상기 제2 HFET의 다른 일부는 본딩와이어에 의해서 연결된 반도체소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적어도 하나는 질화갈륨계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단일 기판이거나 다중 기판인 반도체소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구비된 반도체소자.
  18. 청구항 1에 기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파워소자.
  19. 청구항 1에 기재된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인버터.
  20. 기판의 제1면에 제1 HFET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제1면과 마주하는 제2면에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HFET은 제1 채널층 및 제1 채널공급층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층은 상기 기판의 제1면과 상기 제1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HFET은 제2 채널층 및 제2 채널공급층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기판의 제2면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제1 채널공급층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 내에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4. 제 20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n형 HFET이고, 다른 하나는 p형 HFET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5. 제 20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이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6. 제1 기판에 제1 HFET을 형성하는 단계;
    제2 기판에 상기 제1 HFET과 다른 특성을 갖는 제2 HFET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HFET과 제2 HFET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제2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HFET은 제1 채널층 및 제1 채널공급층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층은 상기 제1 기판의 제1면과 상기 제1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HFET은 제2 채널층 및 제2 채널공급층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제2 기판의 제1면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기 제1 채널층 및 상기 제2 채널층은 상기 제1 채널공급층과 상기 제2 채널공급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플러그와 상기 제2 도전플러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HFET과 상기 제2 HFET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0. 제 26 내지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n형 HFET이고, 다른 하나는 p형 HFET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1. 제 26 내지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HFET 중 하나는 노멀리-온(normally-on) HEMT이고, 다른 하나는 노멀리-오프(normally-off) HEMT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20109275A 2012-09-28 2012-09-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75A KR101922123B1 (ko) 2012-09-28 2012-09-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3/922,395 US9053964B2 (en) 2012-09-28 2013-06-20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HFE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275A KR101922123B1 (ko) 2012-09-28 2012-09-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473A KR20140042473A (ko) 2014-04-07
KR101922123B1 true KR101922123B1 (ko) 2018-11-26

Family

ID=5038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275A KR101922123B1 (ko) 2012-09-28 2012-09-28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53964B2 (ko)
KR (1) KR101922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2401B2 (en) * 2013-08-16 2016-11-22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Integrated circuit with first and second switching devices, half bridge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6156015B2 (ja) * 2013-09-24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517987B (zh) * 2013-09-27 2019-01-2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存储控制单元、集成电路及集成电路的制造方法
KR102021887B1 (ko) * 2013-12-09 2019-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FR3017995A1 (fr) * 2014-02-27 2015-08-2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lectronique a transistor hemt polarise en inverse
WO2015194127A1 (ja) * 2014-06-17 2015-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9985121B1 (en) * 2015-04-13 2018-05-29 Hrl Laboratories, Llc P-type diamond gate-GaN heterojunction FET structure
US9419121B1 (en) 2015-07-17 2016-08-1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carrier channels
US9583607B2 (en) 2015-07-17 2017-02-2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functional barrier layer
US9876102B2 (en) * 2015-07-17 2018-01-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multiple carrier channels
WO2017069461A1 (ko) * 2015-10-23 2017-04-27 (주)기가레인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10083963B2 (en) 2016-12-21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Logic circuit block layouts with dual-side processing
WO2019066872A1 (en) 2017-09-28 2019-04-04 Intel Corporation MONOLITHIC INTEGRATION OF A THIN FILM TRANSISTOR ON A COMPLEMENTARY TRANSISTOR
US10680091B2 (en) * 2017-12-27 2020-06-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JP7045035B2 (ja) * 2017-12-27 2022-03-31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
US11502191B2 (en) * 2019-02-14 2022-11-15 Intel Corporation Transistors with backside field plate structures
WO2020191357A1 (en) * 2019-03-21 2020-09-24 Transphorm Technology, Inc. Integrated design for iii-nitride devices
CN117334738A (zh) * 2019-04-12 2024-01-02 广东致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11952282A (zh) * 2019-05-16 2020-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晶体管及其制备方法
US11296083B2 (en) * 2020-03-06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Three-dimensional (3D), vertically-integrated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electrically coupled by integrated vertical FET-to-FET interconnects for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cell circuits
WO2022060741A1 (en) * 2020-09-15 2022-03-24 Analog Devices, Inc.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s combined in a face-to-face arrangement
US20220336600A1 (en) * 2021-04-20 2022-10-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Ohmic electrode for two-dimensional carrier gas (2dcg) semiconductor device
CN113690236B (zh) * 2021-06-30 2023-06-09 华灿光电(浙江)有限公司 高电子迁移率晶体管芯片及其制备方法
CN113594245B (zh) * 2021-07-23 2024-03-01 王晓波 一种双面型三维hemt器件及其制备方法
WO2023233760A1 (ja) * 2022-05-31 2023-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6325A1 (en) * 2009-05-28 2011-06-0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monolithic integrated composite group III-V and group IV semiconductor device
KR101103858B1 (ko) * 2008-12-24 2012-01-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냉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본딩된 반도체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980A (en) 1988-04-22 1989-05-16 Hughes Aircraft Company Making complementary integrated p-MODFET and n-MODFET
JP3135939B2 (ja) 1991-06-20 2001-02-19 富士通株式会社 Hemt型半導体装置
FR2689683B1 (fr) 1992-04-07 1994-05-20 Thomson Composants Microondes Dispositif semiconducteur a transistors complementaires.
JPH07176688A (ja) * 1993-12-20 1995-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5847419A (en) * 1996-09-17 1998-12-08 Kabushiki Kaisha Toshiba Si-SiG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998683B2 (en) 2002-10-03 2006-02-14 Micron Technology, Inc. TFT-based common gate CMOS inverters, and computer systems utilizing novel CMOS inverters
US6867078B1 (en) * 2003-11-19 2005-03-1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a microwav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high operating voltage
JP4705412B2 (ja) 2005-06-06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17485A (ja) 2007-11-02 2009-05-28 Panasonic Corp 窒化物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58B1 (ko) * 2008-12-24 2012-01-1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냉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본딩된 반도체 기판
US20110136325A1 (en) * 2009-05-28 2011-06-0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monolithic integrated composite group III-V and group IV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53964B2 (en) 2015-06-09
US20140091366A1 (en) 2014-04-03
KR20140042473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123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777673B2 (en) Asymmetrical blocking bidirectional gallium nitride switch
US9502398B2 (en) Composite device with integrated diode
US8981380B2 (en) Monolithic integration of silicon and group III-V devices
US9362267B2 (en) Group III-V and group IV composite switch
CN104319238B (zh) 形成高电子迁移率半导体器件的方法及其结构
KR101922122B1 (ko) 노멀리 오프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KR20130004707A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질화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질화물 반도체 파워소자
JP2007242853A (ja) 半導体基体及びこれを使用した半導体装置
CN112534570B (zh) 具有增强模式和耗尽模式晶体管二者的单片微波集成电路
US9076850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US952049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056506A (ja) 半導体装置
US20130175542A1 (en) Group III-V and Group IV Composite Diode
KR20150044741A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US20240047451A1 (en) Nitride-based semiconductor ic 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12272A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2013197590A (ja) Iii−v族及びiv族複合ダイオード
US20230223399A1 (en) Resistor and resistor-transistor-logic circuit with ga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34119B2 (ja) 半導体装置
KR20150044326A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일체화된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728419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KR20140016800A (ko)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CN117913133A (zh) 双向开关晶体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