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5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50B1
KR101918650B1 KR1020170088282A KR20170088282A KR101918650B1 KR 101918650 B1 KR101918650 B1 KR 101918650B1 KR 1020170088282 A KR1020170088282 A KR 1020170088282A KR 20170088282 A KR20170088282 A KR 20170088282A KR 101918650 B1 KR101918650 B1 KR 10191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astening
housing
holder
flexib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91A (ko
Inventor
다이스케 우에노소노
다카시 츠카모토
마사야 오카모토
나오토 스기에
고타츠 시바야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커넥터는,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하되,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맞닿아,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의 체결 해제를 규제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홀더 체결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급전 커넥터(power feeding connector)가 사용된다. 상기 급전 커넥터는, 급전 장치에 접속된 급전측 커넥터 및 상기 급전측 커넥터가 핏팅 및 접속되고, 또한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수전측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들 커넥터들(충전 커넥터라고도 함)은, 단자들이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terminal receiving chamber)들을 구비한 그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실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 수용실에 설치된 랜스(lance)(하우징 플렉시블 피스; housing flexible piece)에 의해, 상기 단자가 단자 인발(drawing-out)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다(예를 들면, JP-A-2015-011797 참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501)의 유지 신뢰성(holding reli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넥터(500)에는,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503)의 체결 해제(locking release)를 규제하는 리어 홀더(rear holder; 5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501)는, 단자 수용실(507)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503)에 의해 하우징(509)으로부터 유지된다(retained)(1차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503)는, 상기 리어 홀더(505)의 리어 홀더 리테이너(rear holder retainer; 511)에 의해, 체결 해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2차 체결된다). 그 결과, 상기 단자(501)가 이중으로 체결되므로, 단자 유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들 경우들에 있어서의 상기 체결 방향들은 모두 단자 삽입 방향(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에 교차하는(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체결 방향들이다.
하지만, 상술된 JP-A-2015-11797에 개시된 충전 커넥터와 상기 리어 홀더(505)가 설치된 상기 커넥터(500) 모두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501)가 하나의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503)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충전 커넥터 및 커넥터(500)는, 유지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507)이 병렬로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509)의 한정된 횡단면에 있어서는, 복수의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들(503)을 형성하는 것이 공간의 관점에서 볼 때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된 목적은 하기 구성들에 의해 성취된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커넥터는,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하되,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맞닿아,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의 체결 해제를 규제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홀더 체결턱(holder locking protrusion)을 구비한다.
상술된 구성 (1)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커넥터-핏팅되는(connector-fitted) 경우, 상기 커넥터 핏팅 방향에 대한 상기 단자의 유지 및 체결이,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상기 홀더 체결턱의 두 군데에서 행하여지므로, 단자 유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단자에 맞닿아, 상기 단자의 상기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인출되는(coming out)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어 홀더에 형성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 수용실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비해,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는 경우의 맞댐 면적(abutting area)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높은 후방 인출 저지력(resistance to coming-out backward)을 얻을 수 있다.
(2) 상기 커넥터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조립 시에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보다 먼저 상기 단자에 맞닿는다.
상술된 구성 (2)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핏팅 등의 시기에,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리어 홀더에 형성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보다도 높은 상기 커넥터-핏팅 방향에 대한 유지력을 가지며, 또한 상기 단자가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보다 먼저 상기 단자에 맞닿아, 상기 커넥터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킨다.
(3) 상기 커넥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스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구성 (3)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홀더 체결턱이 상기 플렉시블 피스이기 때문에, 상기 단자가 상기 리어 홀더의 단자 삽입 개구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 체결턱이 후퇴하므로, 상기 단자 삽입이 방해받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단자의 삽입 작업성이 향상된다.
(4) 임시 체결 기구(temporary locking mechanism)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리어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커넥터 (3)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 및 상기 하우징의 완전 체결 상태(fully locked state)에서는,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게 되고, 또한 상기 리어 홀더 및 상기 하우징의 임시 체결 상태에서는,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술된 구성 (4)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유지 및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체결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의 절곡(bending)으로 인한 상기 단자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리어 홀더에 서브-조립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 및 상기 홀더 체결턱에 유지 및 체결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단자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간략하게 상술되었다. 더욱이, 후술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모드(이하, "실시예"라고 함)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판독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3a는 도 2에 예시된 리어 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임시 체결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단자가 삽입되는 커넥터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상대 커넥터가 핏팅되는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B의 확대도; 및
도 7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수전측 커넥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 또한 차량에 탑재된 급전측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100)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을 구비한 하우징(11), 전선 단부들에 접속된 단자들(13), 및 리어 홀더(15)를 주된 구성요소들로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들은 도 1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들을 따른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은, 커넥터 핏팅부(17), 상기 커넥터 핏팅부(17)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장착 플랜지부(19), 및 상기 장착 플랜지부(19)로부터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에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원통부(21)를 구비한 절연 수지 하우징이다.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의 전단면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의 선단측(distal end side)들이 개방되어 있고, 또한 상대 커넥터(급전측 커넥터)(25)(도 5 참조)의 상대 암단자(counterpart female terminal; 27)들이 상기 개구들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의 선단면은, 덮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상기 장착 플랜지부(19)의 장착 구멍들(20)을 이용하여 차체측에 볼트-고정된다.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후단면에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단자들(13)에 접속되는 전원용 전선들, 접지용 전선들, 및 신호용 전선들과 같은 전선들(71)은, 이들 개구들로부터 상기 차체 안으로 인발된다.
상기 복수의 단자들(13)은 각각의 단자 수용실들(23)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복수의 단자들(13)은, 예를 들면, 상기 전원용 전선들에 접속된 수전용 단자, 상기 접지용 전선들에 접속된 접지용 단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13)는, 도전성 금속을 컷팅함으로써 근사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소정 형상을 가지는 도전성 금속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13)는, 상기 상대 암단자(27)(도 5 참조)가 접촉하는 상대 단자 접촉부(29), 상기 전선(71)에 접속된 전선 접속부(31), 및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29)와 상기 전선 접속부(31) 사이에 설치되어, 원형의 플랜지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33)는, 상기 단자(13)가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유지되는 체결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29)는, 원형의 로드(rod)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13)는 수단자(male terminal)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 접속부(31)는, 상기 전선(71)의 도체(conductor; 73)에 압착(crimped) 및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방수 처리는, 열 수축 튜브(35)로 외주면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전선 접속부(31)와 상기 전선(71)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수용실(23)에는, 상기 단자(13)를 유지 및 고정하는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는, 그 기부(base)가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의 천정면(39)에 접속되는 캔틸레버(cantilever) 모양을 가지며, 또한 상기 기부에 대향하는 자유단이 상기 단자(13)의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후방측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는, 그 돌출 선단의 하면에 체결 단차부(locking stepped portion; 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 단차부(41)는, 상기 단자(13)의 체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플랜지부(33)를 체결하고, 또한 상기 단자(13)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단자(13)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는, 상기 단자(13)의 상기 플랜지부(33)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도 4b 참조). 상기 단자(13)가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결 단차부(41)는,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단면과 일치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단면을 체결한다(도 4c 참조).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공간(43)이, 상기 천정면(39)과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돌출 선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밀어 올려진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돌출 선단을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리어 홀더(15)의 리테이너부(45)가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삽입되므로, 상기 단자(13)에 대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체결 해제가 규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자(13)에 대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체결 해제가 상기 리테이너부(45)에 의해 규제되는 상태는, 상기 단자(13)의 이중 체결 상태라 불리운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외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15)를 완전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한 쌍) 본 체결턱들(47) 및 상기 리어 홀더(15)를 임시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 임시 체결턱들(4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본 체결턱(47)에 있어서는, 그 전단측이 본 홀더 체결 아암(55)의 체결부(59)를 체결하기 위한 홀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그 후단측이 상기 체결부(59)를 계합(engaging) 및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임시 체결턱(48)에 있어서는, 그 전단측이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의 체결부(60)를 체결하기 위한 홀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그 후단측이 상기 체결부(60)를 계합 및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이들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 및 임시 체결턱(48)은 임시 체결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후단면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홀더(15)에는,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13)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단자 삽입 홀더 개구들(단자 삽입 개구들)(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는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한 쌍) 본 홀더 체결 아암(55), 및 상기 하우징(11)에 임시로 체결되는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 임시 홀더 체결 아암들(56)을 구비한다.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에 있어서는, 그 기단(proximal end)이 리어 홀더 본체(57)의 좌우부에 지지되어, 그 삽입 선단이 자유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은, 그 선단에 체결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임시 체결턱(48)에 체결된다.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의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임시 체결턱(48)에 체결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에 임시 체결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의 상기 체결부(60)는,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임시 체결 상태로부터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의 추가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본 홀더 체결 아암(55)에 있어서는, 그 기단이 상기 리어 홀더 본체(57)의 상하부에 지지되어, 그 삽입 선단이 자유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본 홀더 체결 아암(55)은, 그 선단에 체결부(59)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59)는,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본 체결턱(47)에 체결된다. 상기 본 홀더 체결 아암(55)의 상기 체결부(59)가 상기 본 체결턱(47)에 체결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에 완전 체결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본 홀더 체결 아암(55)은,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의 상기 체결부(60)가 상기 임시 체결턱(48)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59)가 상기 본 체결턱(47)으로부터 후단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59)가 체결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리테이너부(45) 및 홀더 체결턱(61)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 체결턱(61)은, 그 선단에 플랜지 맞댐 단차부(63)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에 장착(완전 체결)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부(45)는,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체결 해제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와 접촉하게 된다(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는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단면에 맞닿게 되므로,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에 의해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유지된 상기 단자(13)를 더욱 유지 및 체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61)은, 그 기단이 상기 리어 홀더 본체(57)에 고정되는 캔틸레버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선단이 자유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렉시블 피스이다.
나아가,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돌출 길이는,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수용된 상기 단자(13)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 보다 먼저 상기 플랜지부(33)에 맞닿아 상기 단자(13)를 유지 및 체결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플랜지부(33)와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 사이의 간극(FH)은, 상기 플랜지부(33)와 상기 체결 단차부(41) 사이의 간극(FL)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6 참조).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리테이너부(45)의 상기 삽입 선단은, 상기 단자 수용실(23)의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리테이너부(45)는, 상기 단자(13)를 체결하는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가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단자(13)를 확실하게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이중 체결을 행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임시 체결 기구가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리어 홀더(1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에 대하여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테이너부(45)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테이너부(45)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단자(13)는,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상기 후단면에 대해 개방된 각각의 개구로부터, 상기 내측 원통부(21)에 임시로 체결되는,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5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단자 수용실(23)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소정의 삽입 위치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홀더(15)가, 예를 들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POM(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충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충전 커넥터(100)의 조립 순서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충전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어 홀더(15)가 우선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내측 원통부(21)에 장착된다.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의 상기 체결부(60)가,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임시 체결턱(48)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임시 체결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에 유지된다.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45)는,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직전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리테이너부(45)는,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진입하지 않아,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절곡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상기 리어 홀더(15)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상기 하우징(11)의 홀더 체결턱 플렉시블 공간(65)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홀더 체결턱 플렉시블 공간(65)의 절곡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13)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71)의 단부에 접속된 상기 단자(13)는,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53)를 통해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단자 수용실(23) 안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단자(13)의 상기 플랜지부(33)가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에 맞닿는 경우에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절곡 및 변형되어 아래로 밀려 내려가기 때문에, 상기 단자(13)의 삽입이 허용된다.
상기 단자(13)가 더욱 깊게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들(13)의 상기 플랜지부(33)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체결 단차부(41)에 맞닿게 되므로,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가 절곡 및 변형되어 위로 밀어 올려진다.
상기 플랜지부(33)가 단자 위치 결정부(24)에 맞닿는 소정 위치에, 상기 단자(13)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단차부(41)가,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단면과 일치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플랜지부(33)의 상기 후단면을 체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모든 단자들(13)이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의 본 체결 위치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상기 본 홀더 체결 아암(55)의 상기 체결부(59)는,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본 체결턱(47)에 체결되고, 상기 리어 홀더(15)는, 상기 본 체결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에 유지된다(도 2 참조).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선단이, 상기 단자들(13)의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리테이너부(45)가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진입한다. 상기 플랜지부(33)는,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체결 단차부(41)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선단에 맞닿게 되므로, 상기 단자(13)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플랜지부(33)에 대한 상기 체결 해제 방향으로의 절곡은, 상기 플렉시블 공간(43) 안으로 진입한 상기 리테이너부(45)에 의해 방지되므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가 이중 체결 상태에서 상기 단자(13)를 체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술된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의 동작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전 커넥터(100)가 상기 상대 커넥터(25)에 커넥터-핏팅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핏팅 방향에 대한 상기 단자들(13)의 유지 및 체결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와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두 군데에서 행하여지므로, 단자 유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홀더 체결턱(61)은, 상기 단자(13)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단자(13)에 맞닿고, 또한 상기 단자(13)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13)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어 홀더(15)에 형성된 상기 홀더 체결턱(61)은,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에 비해, 상기 단자(13)를 유지 및 체결할 때의 맞댐 면적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높은 후방 인출 저지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상기 리테이너부(45)가 상기 단자(13)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근사적으로 직교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를 압하(press down)하도록 유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33)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체결 단차부(41)에 의해 확실하게 체결되므로, 상기 단자(13)가 고강도로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는, 상기 플랜지부(33)의 후단면에 맞댐 가능하도록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상대 암단자(27)와의 핏팅 시에, 상기 단자(13)가 상기 상대 암단자(27)와의 마찰력에 의해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부(33)가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에 맞닿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13)는, 상기 상대 암단자(27)로부터의 힘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에 의해 확실하게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규제되므로, 고강도로 유지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3)와 상기 홀더 체결턱(61)의 상기 플랜지 맞댐 단차부(63) 사이의 간극(FH)이, 상기 단자(13)의 상기 플랜지부(33)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상기 체결 단차부(41) 사이의 간극(FL)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핏팅 시에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보다 먼저 상기 단자(13)에 맞닿게 되어, 상기 단자(13)를 유지 및 체결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된 상기 리어 홀더(15)에 형성된 상기 홀더 체결턱(61)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보다 높은 상기 커넥터-핏팅 방향에 대한 유지력을 가지고, 또한 상기 단자(13)가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하중(withstanding load)이 큰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 보다 먼저 상기 단자(13)에 맞닿게 되어,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게 되므로, 상기 충전 커넥터(100)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상기 상대 암단자(27)와의 핏팅 시에는, 상기 단자(13)가 우선 내하중이 큰 상기 홀더 체결턱(61)에 의해 지지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플렉시블 피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상기 플렉시블 피스이기 때문에, 상기 단자(13)가 상기 리어 홀더(15)의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53)로부터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후퇴하므로, 상기 단자 삽입이 방해받지 않는다. 결과적으로는, 환형 모양을 가지는 상기 플랜지부(33)를 포함하는 상기 단자(13)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자(13)의 삽입 방향(둘레 방향)에 관계없이 단자 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단자(13)의 삽입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단자(13)가 상기 단자 수용실(23)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에 유지 및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에 체결되지 않으므로,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의 절곡으로 인한 상기 단자(13)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13)를 상기 하우징(11) 및 상기 리어 홀더(15)에 서브-조립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리어 홀더(15)가 상기 완전 체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13)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 및 상기 홀더 체결턱(61)에 유지 및 체결되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결과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따르면, 단자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있어서 당업계의 당업자에 의한 변경들과 응용들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조합들,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공지된 기술에 의거하여 예측되며, 또한 그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 체결턱(61)이 플렉시블 피스인 경우가 일례로서 설명되었지만, 상기 홀더 체결턱은, 강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절곡되지 않으면서 단자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는, 상기 단자(13)로서 상기 플랜지부(33)를 가지는 절삭부(cut part)가 아니고,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되고, 절삭 및 절상되며(raised), 가요성을 가지는 체결부가, 강성을 가지는 상기 홀더 체결턱에 체결된다. 이러한 예시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경우, 상술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단자의 상기 체결부가 변형되어 상기 홀더 체결턱을 넘어가게 된다(climb over). 이러한 예시에 따르면, 상기 단자를 후방으로 인출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상기 홀더 체결턱의 강성이 증대되므로, 상기 홀더 체결턱의 좌굴 강도(buckling strength)를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높은 후방 인출 저지력이 달성되므로, 상기 단자를 고신뢰성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상기 실시예의 특징이 [1] 내지 [4]에 간략히 요약될 것이다.
[1] 단자(13)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을 구비한 하우징(11)으로서, 상술된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는 상술된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37)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11), 및
상술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술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의 계합 시에 상술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의 체결 해제를 규제하는 리어 홀더(15)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술된 리어 홀더는, 상술된 각각의 단자 수용실 내에 상술된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홀더 체결턱(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100).
[2] 상술된 [1]의 상기 커넥터로서, 상술된 홀더 체결턱은, 상술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보다 먼저 상술된 단자에 맞닿게 되어,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상술된 [1] 또는 [2]의 상기 커넥터로서, 상술된 홀더 체결턱은, 상술된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상술된 [3]의 상기 커넥터로서, 임시 체결 기구(상기 임시 체결턱들(48) 및 상기 임시 홀더 체결 아암(56))가, 상술된 하우징과 상술된 리어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술된 리어 홀더는, 상술된 하우징에 대하여 완전 체결 상태에서 상술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게 되며, 또한 상기 임시 체결 상태에서는 상술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Claims (5)

  1. 커넥터로서,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하되,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는,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에 맞닿아,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의 체결 해제를 규제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 내에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홀더 체결턱을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조립 시에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보다 먼저 상기 단자에 맞닿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스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체결턱은, 상기 단자를 유지 및 체결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스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임시 체결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 홀더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완전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리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임시 체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 플렉시블 피스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커넥터.
KR1020170088282A 2016-07-13 2017-07-12 커넥터 KR101918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8795 2016-07-13
JP2016138795A JP6475669B2 (ja) 2016-07-13 2016-07-1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91A KR20180007691A (ko) 2018-01-23
KR101918650B1 true KR101918650B1 (ko) 2018-11-15

Family

ID=6078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82A KR101918650B1 (ko) 2016-07-13 2017-07-1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60515B2 (ko)
JP (1) JP6475669B2 (ko)
KR (1) KR101918650B1 (ko)
CN (1) CN107623225B (ko)
DE (1) DE102017211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5669B2 (ja) * 2016-07-13 2019-0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8124197A1 (de) * 2018-10-01 2020-04-0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mit stabiler Rastvorrichtung
DE102018126448A1 (de) * 2018-10-24 2020-04-3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02019113494A1 (de) * 2019-05-21 2020-11-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US10985493B1 (en) * 2019-10-04 2021-04-20 R.A. Phillips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JP7189179B2 (ja) * 2020-06-03 2022-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193657A (ja) *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US11791571B2 (en) * 2020-06-26 2023-10-17 Ge Aviation Systems Llc Crimp pin electrical connector
JP7182095B2 (ja) * 2020-09-14 2022-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23019470A (ja) * 2021-07-29 2023-02-09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JP7375840B2 (ja) 2022-02-03 2023-11-08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240030643A1 (en) * 2022-07-21 2024-01-2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nd blocking fea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26681A1 (en) * 2013-06-26 2016-05-0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661A (en) * 1995-03-15 1999-04-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JPH0740306Y2 (ja) * 1990-02-19 1995-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397249A (en) * 1991-08-14 1995-03-14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er
JP2595577Y2 (ja) * 1992-08-10 1999-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リヤホルダ抜出構造
JP2813716B2 (ja) * 1993-02-24 1998-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解除構造
JP2926676B2 (ja) * 1993-09-24 1999-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結合型コネクタ
US5522740A (en) * 1994-09-29 1996-06-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hat facilitates fully inserting a terminal
JPH08222321A (ja) * 1995-02-17 1996-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8222312A (ja) * 1995-02-17 1996-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463832B2 (ja) * 1995-05-02 2003-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を備えたコネクタ
JP3168396B2 (ja) * 1995-11-29 2001-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付コネクタ
JP3544777B2 (ja) * 1996-01-31 2004-07-21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66368B2 (ja) * 1996-02-05 2003-11-10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716234A (en) * 1996-10-03 1998-0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ock retention
JP4083947B2 (ja) * 1999-12-27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01357955A (ja) * 2000-06-16 2001-12-26 Yazaki Corp 同一成形金型内においてのハウジングとリアホルダとの係合構造
US6551145B2 (en) * 2000-12-19 2003-04-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6817900B2 (en) * 2001-07-31 2004-11-16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locking structure
JP2003059577A (ja) * 2001-08-10 2003-0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783854B2 (ja) * 2002-02-19 2006-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16052B2 (en) * 2002-02-21 2004-04-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atch
US6814632B1 (en) * 2002-06-04 2004-11-09 Raytheon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contact body with integral nonmetallic sleeve
JP2004063115A (ja) * 2002-07-25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088189B2 (ja) * 2003-04-14 2008-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60430B2 (ja) * 2003-10-16 2007-08-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249980B2 (en) * 2005-07-05 2007-07-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Connecting device for bunched conductors
US8231409B2 (en) * 2007-02-26 2012-07-31 Fci Automotive Holding Connector having a front grid actuated by a counterpart connector
JP2008287898A (ja) * 2007-05-15 2008-11-27 Mitsubishi Cable Ind Ltd コネクタ
JP2011076974A (ja) * 2009-10-01 2011-04-14 Yazaki Corp コネクタ
JP5508927B2 (ja) * 2010-04-22 2014-06-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
JP6130244B2 (ja) 2013-06-27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及び充電コネクタ
JP2015101797A (ja) 2013-11-21 2015-06-04 村田機械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ユニット
JP6276113B2 (ja) * 2014-06-02 2018-02-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75669B2 (ja) * 2016-07-13 2019-0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26681A1 (en) * 2013-06-26 2016-05-0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0515B2 (en) 2018-05-01
CN107623225B (zh) 2019-04-12
CN107623225A (zh) 2018-01-23
KR20180007691A (ko) 2018-01-23
JP2018010786A (ja) 2018-01-18
US20180019532A1 (en) 2018-01-18
JP6475669B2 (ja) 2019-02-27
DE102017211983A1 (de)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650B1 (ko) 커넥터
KR101932115B1 (ko) 커넥터
KR101520585B1 (ko) 통합 가동 단자 안정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US7661987B2 (en) Connector with small cavity arranged at least partly between two large cavities
US9455523B1 (en) Right angle connection assembly
JP6656206B2 (ja) コネクタ
JP2018139209A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GB2438478A (en) Connector with lock securing member having a lock releasing portion
CN110226266B (zh)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US20100144193A1 (en) Wire harness and wire harness assembling method
JP6914232B2 (ja) コネクタ構造
JP2006216434A (ja) ロックコネクタ
JP2965498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8134235B (zh) 电连接器
US6929499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6193745B2 (ja) 電気コネクタ、ハーネス、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2013140821A (ja) コネクタ
JP2004006071A (ja) コネクタ
JP2020198256A (ja) ハウジング
CN104813549A (zh) 端子拔出夹具
JP7202531B2 (ja) コネクタ
KR101891780B1 (ko)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CN219226695U (zh) 电气连接器
JP6930561B2 (ja) コネクタ
JP7063848B2 (ja) 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