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1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115B1
KR101932115B1 KR1020170088289A KR20170088289A KR101932115B1 KR 101932115 B1 KR101932115 B1 KR 101932115B1 KR 1020170088289 A KR1020170088289 A KR 1020170088289A KR 20170088289 A KR20170088289 A KR 20170088289A KR 101932115 B1 KR101932115 B1 KR 10193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terminal
rear holder
hold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92A (ko
Inventor
다이스케 우에노소노
다카시 츠카모토
쇼야 우에다
나오토 스기에
고타츠 시바야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커넥터는, 단자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지지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 안으로의 상기 리어 홀더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각각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에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단자들에 접속된 전선들을 지지하는 홀더(리어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JP-A-2015-008099 등 참조). 상기 홀더는, 체결부(locking part)를 포함하는 제1홀더 및 피체결부(locked part)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될 때 상기 전선들을 상기 제1홀더와 협지(interpose)하는 제2홀더를 구비한다.
도 6에 예시된 커넥터(500)는, 단자들(501)을 수용하는 하우징(503), 및 상기 하우징(503)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503)과 함께 상기 단자들(501)을 유지하는 리어 홀더(505)를 구비한다. 상기 리어 홀더(505)에는, 상기 단자들(501)에 접속된 전선들(507)을 셋팅하기 위한 슬릿(509)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500)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자들(501)은 우선 상기 하우징(503)의 단자 수용실들(502)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전선들(507)이 수직 방향으로 당겨져 공간(511)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리어 홀더(505)가 상기 공간(511)을 통과한다. 상기 전선들(507)은 상기 리어 홀더(505)의 상기 슬릿(509)에 셋팅된다.
마지막으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홀더(505)는, 상기 하우징(503)의 후단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단자들(501)은 상기 리어 홀더(505)에 의해 유지(retained)되므로, 상기 커넥터(500)가 완전히 조립된다.
하지만, JP-A-2015-8099에 개시된 상술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들에 접속된 상기 전선들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가, 상기 제1홀더와 상기 제2홀더로 분할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그러므로, 조립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상기 커넥터(500)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들(501)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리어 홀더(505)가 상기 하우징(503)에 조립될 때의 순서가 복잡하고, 또한 상기 전선들(507)이 얽혀 있기(tangled) 때문에, 어려운 작업이 된다. 나아가, 상기 리어 홀더(505)가 상기 하우징(503)에 장착될 때까지, 상기 단자들(501)을 상기 하우징(503)에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들(501)이 정규 위치들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단자들(501)이 상기 정규 위치들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505)가 조립될 때, 단자 유지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 불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된 목적은 하기 구성들에 의해 성취된다.
(1) 커넥터는,
단자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지지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 안으로의 상기 리어 홀더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각각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구성 (1)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 상기 단자들이 상기 리어 홀더에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 유지부들이 상기 단자들을 유지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단자 유지부들에 대한 상기 단자들의 유지 상태는 가시적이므로, 조립 불량이 용이하게 억제된다.
(2) 상기 (1)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지부는,
상기 단자 수용실들에 삽입 및 핏팅되는 복수의 플렉시블 피스들(flexible pieces);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선단부들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기 단자들을 단자 삽입 방향으로 규제하는 전방 체결부들; 및
상기 전방 체결부들에 비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기부측(base side)들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기 단자들을 상기 리어 홀더에 대하여 유지 및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구성 (2)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단자 유지부는, 그 선단측에 상기 전방 체결부와 상기 후방 체결부가 설치된 상기 플렉시블 피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체결부는, 상기 단자들의 상기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을 규제한다. 상기 후방 체결부는, 상기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들이 인출(coming out)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전선들의 상기 단부들에 장착된 상기 단자들은,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장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리어 홀더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단자 유지부들에 있어서의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이 절곡(bend)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 안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들은,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후방 체결부들을 넘어간(climb over) 다음, 그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이 상기 전방 체결부들에 의해 규제되므로, 상기 단자들이 정지된다. 상기 단자들의 상기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은, 상기 전방 체결부들에 의해 결정되는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이 탄성 복귀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의 상기 단자의 인출이 상기 후방 체결부들에 의해 규제된다. 즉, 상기 단자들은, 상기 리어 홀더에 이탈 불가능하게(inseparably)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들이 장착된 상기 리어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은, 상기 리어 홀더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다. 본 구성을 가지는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지부에는, 상기 전방 체결부와 상기 후방 체결부를 가지는 상기 플렉시블 피스에 의해, 상기 리어 홀더가 용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3) 상기 (2)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후방 체결부에는, 상기 리어 홀더의 후방측에, 상기 플렉시블 피스의 내면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tapered surfac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구성 (3)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전선들의 상기 단부들에 장착된 상기 단자들이,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장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리어 홀더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들이 상기 후방 체결부들의 상기 테이퍼면들에 맞닿는다. 상기 단자들이 같은 방향으로 더욱 삽입되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은, 상기 후방 체결부들이 상기 단자들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상기 테이퍼면들에 맞닿는 상기 단자들로부터 받는 힘의 분력(component force)에 의해 절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이 절곡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 안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들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상기 후방 체결부들을 용이하게 넘어가므로, 상기 단자 유지부들에 대한 유지가 부드럽게(smoothly)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립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간략하게 설명되었다. 더욱이, 후술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모드(이하, "실시예"라고 함)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판독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후단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3은 단자가 장착된 리어 홀더의 측면도;
도 4는 단자가 장착되기 전의 리어 홀더의 후단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5는 단자가 장착된 리어 홀더가 장착되기 전의 하우징의 후단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 있어서, 셋팅된 단자를 구비한 리어 홀더가 그 안으로 삽입되기 전의 하우징의 후단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커넥터의 수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수전측 커넥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 또한 차량에 탑재된 급전측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100)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을 구비한 하우징(11) 및 단자 유지부(15)를 구비한 리어 홀더(13)를 주된 구성요소들로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들은 도 1에 예시된 화살표 방향들을 따른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은, 커넥터 핏팅부(17), 상기 커넥터 핏팅부(17)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장착 플랜지부(19), 및 상기 장착 플랜지부(19)로부터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에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원통부(21)를 구비한 절연 수지 하우징이다.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의 전단면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의 선단측(distal end side)들이 개방되어 있고, 또한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상대 암단자(counterpart female terminal)들이 상기 개구들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 핏팅부(17)의 선단면은, 덮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상기 장착 플랜지부(19)의 장착 구멍들(20)을 이용하여 차체측에 볼트-고정된다.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후단면에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이 개방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25)에 접속되는 전원 및 접지용 전선들(27), 및 단자(29)에 접속되는 신호용 전선들(31)은, 이들 개구들로부터 상기 차체 안으로 인발된다(drawn out).
상기 복수의 단자들(25, 29)은 상기 리어 홀더(13)를 통해 각각의 단자 수용실들(23)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복수의 단자들(25)은, 예를 들면, 전원용 2개의 단자들과 접지용 하나의 단자를 포함한다. 2개의 단자들(29)은, 차체측-신호용 단자들이다. 상기 차체측-신호용 단자들(29)은, 급전측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저장 및 유지된 장치측 신호용 단자들에 접속된 단자 핏팅(terminal fitting)들이다. 차량-탑재 배터리에 대한 급전부에 접속된 상기 신호용 전선들(31)은, 상기 차체측-신호용 단자들(29)의 기단(proximal end)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차체측-신호용 단자들(29)은, 상기 전원용 단자들(25)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또한 근사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차체측-신호용 단자들(29)은, 상기 전원용 단자들(25)과 근사적으로 유사한 유지 구조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전원용 단자들(25)의 유지 구조가 일례로서 설명될 것이고, 상기 차체측-신호용 단자들(29)의 유지 구조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단자(25)는, 도전성 금속을 컷팅함으로써 근사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소정 형상을 가지는 도전성 금속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25)는, 상대 암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접촉하는 상대 단자 접촉부(33), 상기 전선(27)에 접속된 전선 접속부(35),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33)와 상기 전선 접속부(35) 사이에 설치되어, 원형의 플랜지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부(37)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37)는, 상기 단자(25)가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유지되는 체결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33)는, 원형의 로드(rod)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25)는 수단자(male terminal)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 접속부(35)는, 상기 전선(27)의 도체(conductor; 28)에 압착(crimped) 및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방수 처리는, 열 수축 튜브(39)로 외주면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전선 접속부(35)와 상기 전선(27)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은, 각각의 단자들(25, 29)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단자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의 근사적인 중앙부가, 격벽(45)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있어서는, 상기 격벽(45)에 대한 전방측이 상대 암단자 수용부(47)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격벽(45)에 대한 후방측이 리어 홀더 진입부(49)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격벽(45)에 있어서는, 접촉부 삽입 구멍(51)이 뚫려 있다. 상기 접촉부 삽입 구멍(51) 안으로는, 상기 플랜지부(37)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33)가 삽입된다.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33)는, 상기 접촉부 삽입 구멍(51)을 통해 삽입되므로, 상기 상대 암단자 수용부(47)에 돌출하여 배치된다.
상기 격벽(45)의 상기 접촉부 삽입 구멍(51)에 있어서는, 주벽부(peripheral wall part; 53)가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49)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주벽부(53)에 있어서는, 돌출 선단면이, 상기 단자(25)의 상기 플랜지부(37)를 향하여 그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가지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외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13)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 한 쌍) 홀더 체결턱(holder locking protrusion; 55)들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홀더 체결턱(55)에 있어서는, 그 후단측이 안내 경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그 선단측이 체결 수직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 홀더(13)는, 상기 단자 수용실들(23)에 수용된 상기 단자들(25, 29)에 접속된 상기 전선들(27, 31)을 지지한다. 상기 리어 홀더(13)는, 상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상기 후단면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홀더(13)는,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는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 한 쌍) 홀더 체결 아암들(57)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 체결 아암(57)에 있어서는, 그 기단이 리어 홀더 본체(59)에 지지되고, 또한 그 삽입 선단이 자유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 체결 아암(57)은, 그 선단에 체결부(61)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61)는,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홀더 체결턱(55)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61)는 상기 홀더 체결턱(55)의 체결 수직면에 체결되므로, 상기 홀더 체결 아암(57)이 상기 리어 홀더(13)의 후방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리어 홀더(13)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상기 후단면에 상기 리어 홀더(13)를 고정시킨다.
더욱이, 상기 리어 홀더(13)는 단자 수용 원통부(63)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63)에 있어서는, 단자 삽입 홀더 개구들(65)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후단면에 대해 개방되어,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들(25, 29)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63)의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들(65) 안으로는, 상기 접속된 전선들(27, 31)을 구비한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상대 단자 접촉부(33)를 이용하여 선단측으로서 삽입된다.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63)의 상기 선단에는, 상기 단자 유지부(15)가 동축 방식으로 연속해서 일체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6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23)에 대한 삽입 방향의 소정 위치들에 상기 각각의 단자들(25, 29)을 유지한다.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상기 단자 수용실(23)에 삽입 및 핏팅된 복수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을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은,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63)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원통부를, 축선을 따르는 복수의 절삭들에 의해 원주 방향의 복수 개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유지될 단자의 직경에 따라, 대략 2개 내지 4개의 플렉시블 피스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은, 그 선단부들의 내측 대향면들에, 한 쌍의 전방 체결부들(69)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 체결부들(69)은, 상기 단자들(25, 29)의 상기 플랜지부들(37)의 상기 전방면들과 계합되어, 상기 단자들(25, 29)의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을 규제한다. 상기 전방 체결부(69)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플렉시블 피스(67)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내향 돌기(inward protrusion)는, 상기 플랜지부(37)의 전방면에 맞닿는 전방 인출 규제면(front coming-out restraining surface)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은, 상기 전방 체결부들(69)로부터 그 기부측에, 후방 체결부들(71)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 체결부(71)는, 상기 리어 홀더(13)에 대한 상기 단자(25)의 후방 인출을 규제하도록 상기 단자(25)를 체결한다. 상기 후방 체결부(71)에 있어서는, 상기 대향하는 플렉시블 피스(67)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내향 돌기가 상기 플랜지부(37)의 상기 후방면에 맞닿는 후방 인출 규제면을 가진다.
나아가, 상기 후방 체결부(71)에 있어서는, 상기 플렉시블 피스(67)의 내면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73)이, 상기 리어 홀더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73)은, 상기 단자 삽입 방향을 향해 상기 단자들(25, 29)의 중심선들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의 경사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단자 유지부(15)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부(37)의 외경측은 상기 테이퍼면(73)을 가압하므로,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이 확장되어 개방된다. 상기 플랜지부(37)가 상기 후방 체결부(71)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고, 또한 상기 후방 인출 규제면은 상기 플랜지부(37)의 상기 후방면을 체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들(25, 29)이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규제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의 외경측들은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들(49)의 내경측들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49) 안으로 진입하므로,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의 확장 및 개방이 규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 유지부(15)는, 상기 전방 체결부(69) 및 상기 후방 체결부(71)의 변위가, 상기 플랜지부(37)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방지되어, 체결 기구가 절곡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충전 커넥터(100)의 조립 순서가 설명될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들(25, 29)이 우선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들(65) 안으로 각각 삽입된다. 상기 플랜지부들(37)이 상기 단자 수용 원통부들(63)로부터 상기 단자 유지부들(15)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자 삽입 홀더 개구들(65) 안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들(25, 29)은,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의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을 가압한다.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의 상기 테이퍼면들(73)은 상기 플랜지부들(37)에 가압되므로, 상기 한 쌍의 플렉시블 피스들(67)이 확장되어 개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부들(37)은,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을 통과한다.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에 있어서는, 상기 플랜지부들(37)이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이 탄성 복귀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들(37)의 전방면들이 상기 전방 체결부들(69)에 맞닿는 동시에,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이 상기 플랜지부들(37)의 상기 후방면들을 체결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단자 유지부들(15)에 의해 상기 단자들(25, 29)을 유지하는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내측 원통부(21)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선단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상기 단자들(25, 29)은, 상기 내측 원통부(21)의 상기 후단면에서 개방된 상기 단자 수용실들(23)의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들(49) 안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 안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의 상기 외경측들이, 상기 단자 수용실들(23)의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들(49)의 상기 내경측들 안으로 삽입된다. 더욱이, 상기 리어 홀더(13)가 더욱 밀리게 되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홀더 체결 아암들(57)이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홀더 체결턱들(55)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규제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에 유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술된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의 동작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기 전,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에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이 상기 단자들(25, 29)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리어 홀더(13)가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에 대한 상기 단자들(25, 29)의 유지 상태(단자 반-삽입 등의 이상 등)가 가시적이므로, 조립 불량이 용이하게 억제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단자 유지부(15)가, 그 선단부측에 상기 전방 체결부(69)와 상기 후방 체결부(71)가 설치된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체결부(69)는, 상기 플랜지부(37)의 상기 전방면들을 체결하여 상기 단자들(25, 29)의 상기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을 규제한다. 상기 후방 체결부(71)는, 상기 플랜지부들(37)의 상기 후방면들과 계합되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들(25, 29)이 인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 전선들(27, 31)의 상기 단부들에 장착된 상기 단자들(25, 29)은,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장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리어 홀더(13)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에 있어서의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이 절곡되므로, 상기 리어 홀더(13) 안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의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을 넘어간 다음, 그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이 상기 전방 체결부들(69)에 의해 규제되므로, 상기 단자들(25, 29)이 정지된다. 상기 단자들(25, 29)의 상기 단자 삽입 방향 위치들은, 상기 전방 체결부들(69)에 의해 정해지는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이 탄성 복귀하므로,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의 인출이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에 의해 규제된다. 즉, 상기 단자들(25, 29)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리어 홀더(13)에 장착된다.
상기 단자들(25, 29)이 장착된 상기 리어 홀더(13)는 상기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25, 29)은, 상기 리어 홀더(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에 조립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는, 도 6에 예시된 종래 기술의 커넥터(500)로서 상기 전선(27)의 푸싱-어사이드(pushing-aside)와 같은 어려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이, 상기 전방 체결부(69)와 상기 후방 체결부(71)를 구비한 상기 플렉시블 피스(67)에 의해 상기 리어 홀더(13)와 용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기 전선들(27, 31)의 상기 단부들에 장착된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장착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들(49)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의 상기 테이퍼면들(73)에 맞닿는다. 상기 단자들(25, 29)이 같은 방향으로 더욱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은, 상기 테이퍼면들(73)에 맞닿는 상기 단자들(25, 29)로부터 받는 힘의 분력에 의해,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이 상기 단자들(25, 29)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이 절곡되어, 상기 리어 홀더(13) 안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67)의 상기 후방 체결부들(71)을 용이하게 넘어가게 되므로, 상기 단자 유지부들(15)에 대한 유지가 부드럽게 행하여진다.
결과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상기 충전 커넥터(100)에 따르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립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있어서 당업계의 당업자에 의한 변경들과 응용들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조합들,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공지된 기술에 의거하여 예측되며, 또한 그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 유지부(15)가 상기 플렉시블 피스(67)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가 일례로서 기술되었지만, 상기 단자 유지부는, 강성을 가질 수도 있고, 절곡되지 않으면서 단자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는, 상기 단자들(25, 29)로서 상기 플랜지부(37)를 구비한 절삭부가 아니고,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되고, 절삭 및 절상(raised)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체결부가, 강성을 가지는 상기 단자 유지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예시에서는,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의 상기 체결부가 변형되어, 상술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단자 유지부의 상기 후방 체결부를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예시에 따르면, 상기 단자가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상기 후방 체결부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단자 유지부의 높은 후방 인출 저지력(resistance to coming-out backward)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자를 고신뢰성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들(25, 29)이, 상기 단자 유지부(15)에 의해 유지될 상기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홀더(13)의 상기 리어 홀더 진입부들(49)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이 일례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상기 단자 유지부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기술과 유사한 슬릿(도 6의 슬릿(509) 참조)이 상기 리어 홀더의 측면에서 개방되고, 또한 단자 유지부가 상기 리어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된 단자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의 실시예의 특징이 [1] 내지 [3]에 간략하게 요약될 것이다.
[1] 단자들(25, 29)이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23)을 구비한 하우징(11), 및 상술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술된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술된 단자에 접속된 전선(27)을 지지하는 리어 홀더(13)를 포함하는 커넥터(충전 커넥터(100))로서,
상술된 리어 홀더는, 상술된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대한 삽입 방향의 소정 위치에 상술된 각각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충전 커넥터(100)).
[2] 상술된 [1]의 상기 커넥터(충전 커넥터(100))로서,
상술된 단자 유지부는, 상술된 단자 수용실들에 삽입 및 핏팅된 복수의 플렉시블 피스들(67), 상술된 플렉시블 피스들의 선단부들에 형성되고, 상술된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술된 단자들의 단자 삽입 방향 부분들을 규제하는 전방 체결부들(69), 및 상술된 전방 체결부들로부터 상술된 플렉시블 피스들의 기부측들에 형성되고, 상술된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술된 단자들을 상술된 리어 홀더에 대하여 유지 및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들(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충전 커넥터(100)).
[3] 상술된 [2]의 커넥터(충전 커넥터(100))로서,
상술된 후방 체결부의 리어 홀더 후방측에는, 상술된 플렉시블 피스의 내면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충전 커넥터(100)).

Claims (3)

  1. 커넥터로서,
    단자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들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단자에 접속된 전선을 지지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홀더는, 각각의 단자 수용실 안으로의 상기 리어 홀더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서 각각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유지부는,
    상기 단자 수용실들에 삽입 및 핏팅되는 복수의 플렉시블 피스들;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선단부들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기 단자들을 단자 삽입 방향으로 규제하는 전방 체결부들; 및
    상기 전방 체결부들에 비해, 상기 플렉시블 피스들의 기부측들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들과 계합되어, 상기 단자들을 상기 리어 홀더에 대하여 유지 및 체결하는 후방 체결부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체결부에는, 상기 리어 홀더의 후방측에서, 상기 플렉시블 피스의 내면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KR1020170088289A 2016-07-13 2017-07-12 커넥터 KR10193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8796 2016-07-13
JP2016138796A JP6402145B2 (ja) 2016-07-13 2016-07-1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92A KR20180007692A (ko) 2018-01-23
KR101932115B1 true KR101932115B1 (ko) 2018-12-24

Family

ID=6078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89A KR101932115B1 (ko) 2016-07-13 2017-07-1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55391B2 (ko)
JP (1) JP6402145B2 (ko)
KR (1) KR101932115B1 (ko)
CN (1) CN107623210B (ko)
DE (1) DE102017211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2761B2 (en) 2015-10-22 2022-05-24 Pure Watercraft, Inc. Battery fleet charging system
EP3478570A4 (en) 2016-08-01 2020-01-22 Pure Watercraft, Inc. ELECTRICAL PROPULSION SYSTEMS WITH TRANSMISSION TRAI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1595923S (ko) * 2017-05-17 2018-01-29
USD880427S1 (en) 2017-11-13 2020-04-07 Pure Watercraft, Inc. Cable connector
USD884644S1 (en) * 2017-11-13 2020-05-19 Pure Watercraft, Inc. Power connector
USD891362S1 (en) 2017-11-13 2020-07-28 Pure Watercraft, Inc. Battery pack
EP3692604A4 (en) 2017-11-13 2021-06-02 Pure Watercraft, Inc. CABLE CONNECTION ASSEMBLIES FOR MARINE PROPULS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183739B2 (en) 2017-11-13 2021-11-23 Pure Watercraft, Inc. Batteries for electric marine propulsion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6964932B2 (ja) * 2018-01-25 2021-11-10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6709817B2 (ja) * 2018-03-27 2020-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808342B (zh) * 2018-07-16 2024-09-06 广东林一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插电连接的结构
DE102018124197A1 (de) * 2018-10-01 2020-04-0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mit stabiler Rastvorrichtung
JP6996487B2 (ja) * 2018-12-25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183802B2 (ja) * 2019-01-11 2022-12-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183803B2 (ja) * 2019-01-11 2022-12-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548782B2 (ja) * 2020-01-27 2024-09-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375243B1 (ko) * 2020-07-16 2022-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커넥터
DE102020124893A1 (de) * 2020-09-24 2022-03-24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JP7428740B2 (ja) * 2022-03-09 2024-0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4067919A (ja) 2022-11-07 2024-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US20240235097A1 (en) * 2023-01-09 2024-07-11 Applied Materials,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substrate support assembly
KR102578955B1 (ko) * 2023-02-08 2023-09-15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화학기상증착장치의 전기 배선용 암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3479A1 (en) 2012-10-22 2014-04-24 Ls Cable & System Ltd.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160126681A1 (en) * 2013-06-26 2016-05-0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727B2 (ja) * 1994-02-25 1999-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防水栓カバー
JP3669525B2 (ja) * 1995-05-25 2005-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結露対策用防水コネクタ
EP1130688B1 (en) * 2000-03-01 2007-06-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Connector
US6764351B2 (en) * 2001-08-27 2004-07-20 Campagnie Deutsch GmbH Electrical connector
JP2004348989A (ja) * 2003-05-20 2004-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付きサブコネクタ
US6910920B2 (en) * 2003-09-04 2005-06-28 Gem Terminal Ind. Co., Ltd. Structure for engaging blades with an inner frame of a plug
JP5338562B2 (ja) * 2009-08-21 2013-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651436B2 (ja) * 2010-11-15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190769A (ja) * 2011-03-10 2012-10-04 Smk Corp 車両充電ケーブル用ソケットコネクタ
WO2012137211A1 (en) * 2011-04-07 2012-10-1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Process for contact doping
JP5582093B2 (ja) * 2011-05-17 2014-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CN103794922B (zh) 2012-10-31 2016-06-01 Ls电线有限公司 电动车充电器的连接器
CN106571545B (zh) * 2015-10-12 2019-03-12 莫列斯有限公司 导电端子及电连接器组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3479A1 (en) 2012-10-22 2014-04-24 Ls Cable & System Ltd.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160126681A1 (en) * 2013-06-26 2016-05-0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3210B (zh) 2019-09-17
KR20180007692A (ko) 2018-01-23
DE102017211984A1 (de) 2018-01-18
JP6402145B2 (ja) 2018-10-10
CN107623210A (zh) 2018-01-23
JP2018010787A (ja) 2018-01-18
US10355391B2 (en) 2019-07-16
US20180019535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115B1 (ko) 커넥터
KR101918650B1 (ko) 커넥터
KR101918428B1 (ko) 커넥터 조립체
US9438000B2 (en) Shield connector for a shield cable
US9570899B2 (en) Connector with rubber plug, retainer for retaining rubber plug and a guide formed on a rear part of the retainer for accommodating bending of wires
JP6434939B2 (ja) コネクタ
CN102646879B (zh) 连接器装置
US9455525B2 (en) Connector with flexible conductive member to isolate terminal from vibrations in a wire
US10741976B1 (en) Shield connector and male shield terminal
EP2688156A1 (en) Connector
US10454200B2 (en) Connector with locking wire holder
KR20130127510A (ko) 고전압 커넥터 조립체
CN108780955A (zh) 包括至少一个插头连接器的插头连接装置
US9570831B2 (en) Retaining structure for terminal fitting
JP2018133278A (ja) 充電インレット
EP2768088B1 (en) Shield connector
JP6146618B2 (ja) コネクタ
CN110311248A (zh) 连接器
KR200479351Y1 (ko) 커넥터
CN217643491U (zh) 车载摄像头fakra一体化防水连接器
KR101891780B1 (ko)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JP2017135118A (ja) 端子
US20150333466A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Terminal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