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34B1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634B1
KR101914634B1 KR1020177007948A KR20177007948A KR101914634B1 KR 101914634 B1 KR101914634 B1 KR 101914634B1 KR 1020177007948 A KR1020177007948 A KR 1020177007948A KR 20177007948 A KR20177007948 A KR 20177007948A KR 101914634 B1 KR101914634 B1 KR 10191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ell
housing
insulato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716A (ko
Inventor
타카시 타다
카츠미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방수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12, 13)와, 콘택트(12, 13)의 외주부를 덮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쉘(14)과, 콘택트(12, 13) 및 쉘(14)을 보유하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19)과, 하우징(19)의 외주에 배치된 이음매가 없는 방수부재(20)를 구비하고, 쉘(14)은 끼워 맞춤부(15A)와, 쉘측 기판 접속부(15H)와, 쉘측 고정부(15D)와, 쉘측 고정부(15D)의 표면에 형성된 쉘측 방수 형상부(15E)를 갖고, 콘택트(12, 13)는 접점부(12A, 13A)와,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 13C)와, 콘택트측 고정부(12B, 13B)와, 콘택트측 고정부(12B, 13B)의 표면에 형성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13E)를 갖고, 끼워 맞춤부(15A)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한 쌍의 평탄한 쉘 외면(15C)을 갖고, 쉘측 고정부(15D)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15A)의 쉘 외면(15C)보다도 끼워 맞춤축(C)측에 배치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15E)와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13E)와 방수부재(20)는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서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콘택트와 쉘을 구비한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형의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이들 전자기기에 있어서 슬림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방수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이에 수반하여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대해서도 슬림형이면서 방수성을 구비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송되는 전기 신호가 외부로부터의 전자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파에 대한 실드가 이루어진 커넥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수성과 전자파 실드를 겸비한 커넥터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는 하우징(1)을 통형상의 금속제의 쉘(2) 및 도전 접속을 위한 콘택트(3)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한 구조를 갖고 있다. 쉘(2)의 내부에 상대측 커넥터를 수용하는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4)가 형성되고, 콘택트(3)의 일단은 상대층 커넥터 수용부(4) 내에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하는 접점부(3A)를 형성하고, 콘택트(3)의 타단은 하우징(1)의 배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기판(5)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3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1)의 외주부와 기판(5)에 접속된 콘택트(3)의 기판 접속부(3B)를 덮도록 고무로 형성되는 방수 부재(6)가 하우징(1)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쉘(2)의 외주부와 방수 부재(6)의 외주부는 전자기기의 틀체(7)에 의해 덮여 있다.
쉘(2)로 콘택트(3)의 접점부(3A)를 덮음으로써 전자파에 대한 실드 효과를 갖고, 하우징(1)을 쉘(2) 및 콘택트(3)와 함께 일체 성형하면서 방수 부재(6)를 하우징(1)에 대하여 성형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4)로부터 기판(5)이 위치하는 전자기기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특개2013-54844호 공보
그러나, 하우징(1)의 외주부와 콘택트(3)의 기판 접속부(3B)를 덮도록 방수부재(6)를 하우징(1)에 대하여 성형하므로, 커넥터의 제조에 손이 많이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콘택트 및 쉘을 형성하는 금속 재료와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서는, 서로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커넥터를 전자기기의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의 납땜 작업 시에 커넥터가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면 금속 재료의 팽창량과 절연성 재료의 팽창량이 다르고, 하우징이 콘택트 및 쉘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끼워 맞춤축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부터 무리하게 끼워 맞추는, 말하자면 억지 끼워 맞춤이 행해져서 하우징과 콘택트 및 쉘과의 사이에 커다란 응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하우징이 콘택트 및 쉘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일단, 박리가 생기면 하우징을 구성하는 절연성 재료와 콘택트 및 쉘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통하여 커넥터 내부로 물이 침입하고, 방수부재(6)를 하우징(1)에 대하여 성형하고 있어도 커넥터의 방수성이 손상되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는 동시에,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슬림형의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와, 콘택트의 외주부를 덮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쉘과, 콘택트 및 쉘을 보유하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주에 배치되는 이음매 없는 방수 부재를 구비하고, 쉘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끼워 맞춤부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쉘측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와 쉘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쉘측 고정부와, 쉘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쉘측 고정부와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쉘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콘택트는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와, 접점부와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콘택트측 고정부와,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콘택트측 고정부와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끼워 맞춤부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한 한 쌍의 평탄한 쉘 외면을 갖고, 쉘측 고정부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의 쉘 외면보다도 끼워 맞춤측에 배치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와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와 방수 부재는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서로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끼워 맞춤축은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고, 쉘측 고정부는 콘택트측 고정부를 끼워 기판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측 고정부는 각각 커넥터 접속부와 쉘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복수의 분할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쉘측 방수 형상부가 복수의 분할 고정부의 각각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은 각각 대응하는 쉘 외면과 거의 동일면을 형성하면서 방수 부재가 배치되는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부재는 하우징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의 방수 부재용 홈에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우징 외면에 형성된 방수 부재용 홈의 바닥면은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의 내면보다도 끼워 맞춤축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형상의 방수 부재용 홈의 모든 바닥면이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의 내면보다도 끼워 맞춤축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콘택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접점부는 제1 면 상에 형성되고, 접점부의 근방의 제2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미드 플레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점부의 근방의 제1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면서 미드 플레이트 및 쉘에 접속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그랜드 플레이트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콘택트는 미드 플레이트를 끼워 미드 플레이트의 양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콘택트 및 복수의 제2 콘택트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미드 플레이트를 보유하면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노출시킨 채 접점부에 인접하는 콘택트측 고정부의 전부가 압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이1 인슐레이터와, 쉘측 방수 형상부 및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덮는 동시에, 쉘측 고정부 및 제1 인슐레이터를 보유하는 제2 인슐레이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인슐레이터는 미드 플레이트를 보유하면서 관통공이 형성된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에 인접하는 콘택트측 고정부의 후부에 접촉하는 후방 보유부와, 끼워 맞춤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후방 보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는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후방 보유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인슐레이터의 연결부는 제2 인슐레이터에 의해 덮이고, 제1 인슐레이터의 연결부의 표면에 연결부와 제2 인슐레이터와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쉘은 끼워 맞춤부 및 쉘측 고정부를 갖는 외주 쉘과,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 대한 하우징의 배면부로부터 노출된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를 덮는 동시에, 외주 쉘에 접속된 백 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쉘은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쉘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된 쉘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콘택트는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쉘측 고정부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축 방향에서 보아 끼워 맞춤부의 쉘 외면보다도 끼워 맞춤축측에 배치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와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와 방수 부재는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는 동시에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슬림형의 방수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정면측의 경사상방에서 본 사시도, (B)는 정면측의 경사하방에서 본 사시도, (C)는 배면측의 경사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미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복수의 제1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복수의 제2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외주 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콘택트와 제2 콘택트와 외주 쉘의 제1 분할 고정부를 통과하는 YZ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그랜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이용된 제1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인슐레이터의 연결부를 통과하는 YZ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외주 쉘의 제2 분할 고정부를 통과하는 YZ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미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XY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쉘의 제1 분할 고정부를 통과하는 XY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콘택트를 통과하는 XY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콘택트를 통과하는 XY면에서 절단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인슐레이터를 성형하기 전의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방수 부재를 생략한 상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C)에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다. 이 커넥터는 휴대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전자기기 내에서의 기판에 고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축(C)을 따라 연장되면서 금속으로 형성되는 미드 플레이트(11)와, 미드 플레이트(11)를 끼워 미드 플레이트(11)의 양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를 갖고 있다. 각각의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는 끼워 맞춤축(C)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제2 콘택트(13)의 외주부를 덮도록 금속으로 형성되는 쉘(14)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편의상, 끼워 맞춤축(C)을 따라 커넥터의 전부에서 후부로 향하는 방향을 Y방향,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을 X방향, XY면에 수직이면서 제2 콘택트(13)측에서 제1 콘택트(12)으로 향하는 방향을 Z방향이라 부르기로 한다.
쉘(14)은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전부, 즉 -Y방향 부분의 외주부를 덮는 외주 쉘(15)과,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배면부를 덮으면서 외주 쉘(15)에 접속된 백 쉘(16)을 갖고 있다. 외주 쉘(15)은 끼워 맞춤축(C)을 중심축으로 하되 Z방향의 치수보다도 X방향의 치수 쪽이 긴 편평한 통형상의 끼워 맞춤부(15A)를 갖고, 끼워 맞춤부(15A)의 내부에 상대측 커넥터가 삽입되는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전부는 각각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 내로 돌출되어 있다.
미드 플레이트(11)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제1 인슐레이터(17)에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제1 인슐레이터(17)에 보유되어 있고, 제1 인슐레이터(17)에 형성된 끼워 맞춤축(C)과 평행한 복수의 관통공(17A)에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가 각각 압입됨으로써,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가 제1 인슐레이터(17)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외주 쉘(15), 복수의 제1 콘택트(12), 복수의 제2 콘택트(13) 및 제1 인슐레이터(17)의 각각의 후부 부분, 즉 +Y방향 부분에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제2 인슐레이터(18)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1 인슐레이터(17)와 제2 인슐레이터(18)에 의해 하우징(1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음매가 없는 링형상의 방수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백 쉘(16)은 X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용 돌기(16A)를 갖고, 이들 고정용 돌기(16A)를 제2 인슐레이터(18)에 Z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용 홈(18A)에 압입함으로써 제2 인슐레이터(18)의 +Y방향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백 쉘(16)에는 각각 -Z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드 플레이트(11)는 XY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부(11A)를 갖고, 평판부(11A)의 -Y방향측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에 각각 상대측 커넥터 연결부(11B)가 형성되는 동시에, 평판부(11A)의 +Y방향측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에 각각 그랜드 플레이트 접속부(11C)가 +Z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콘택트(12)는 +X방향을 향한 제1 면과 -Z방향을 향한 제2 면을 갖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고, -Y방향 단부에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에 노출되는 접점부(12A)를 갖고, 중간 부분에 하우징(19)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콘택트측 고정부(12B)를 갖고, +Y방향 단부에 도시되지 않은 기판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를 갖고 있다. 접점부(12A)에서의 +Z방향을 향한 제1 면은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에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고, 접점부(12A)와 콘택트측 고정부(12B)가 서로 동일한 XY 평면 상에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콘택트측 고정부(12B)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는 하우징(19)의 배면부로 돌출되고, 콘택트측 고정부(12B)에 대하여 -Z방향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측 부분에 제1 인슐레이터(17)의 관통공(17A)으로의 고정용 돌기(12D)가 돌출 형성되고,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측 부분의 표면 상에 하우징(19)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콘택트(13)는 -Z방향을 향한 제1 면과 +Z방향을 향한 제2 면을 갖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고, -Y방향 단부에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에 노출되는 접점부(13A)를 갖고, 중간 부분에 하우징(19)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콘택트측 고정부(13B)를 갖고, +Y방향 단부에 도시되지 않은 기판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3C)를 갖고 있다. 접점부(13A)에서의 -Z방향을 향한 제1 면은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에 삽입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고, 접점부(13A)와 콘택트측 고정부(13B)가 서로 동일한 XY 평면 상에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콘택트측 고정부(13B)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3C)는 하우징(19)의 배면부로 돌출되고, 콘택트측 고정부(13B)에 대하여 굴곡되어 백 쉘(16)의 -Z방향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측 부분에 제1 인슐레이터(17)의 관통공(17A)으로의 고정용 돌기(13D)가 돌출 형성되고,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측 부분의 표면 상에 하우징(19)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외주 쉘(15)의 구성을 나타낸다. 편평한 통형상의 끼워 맞춤부(15A)는 각각 XY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한 쉘 외면(15C)을 갖고 있다. 끼워 맞춤부(15)의 +Z방향측의 +Y방향 단부로부터 6개의 제1 분할 고정부(15D)가 각각 일단 -Z방향으로 굴곡된 후에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분할 고정부(15D)는 일단 -Z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보아 +Z방향측의 쉘 외면(15C)보다도 끼워 맞춤축(C)측, 즉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제1 분할 고정부(15D)의 Y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의 표면 상에 쉘측 방수 형상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부(15A)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로부터 2개의 제2 분할 고정부(15F)가 각각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2 분할 고정부(15F)의 Y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의 표면 상에 쉘측 방수 형상부(15G)가 형성되고, +Y방향 단부에는 -Z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쉘측 기판 접속부(15H)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17)는 미드 플레이트(11)를 보유하는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와,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로부터 +Y방향측으로 떨어진 후방 보유부(17C)를 갖고 있고,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측 부분 및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측 부분이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에 형성된 대응하는 관통공(17A) 내에 삽입되고,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에 인접하는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 단부 및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3C)에 인접하는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 단부가 후방보유부(17C)에 접촉하여 보유되어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1)는 제1 콘택트(12)의 -Z방향을 향한 제2 면과 제2 콘택트(13)의 +Z방향을 향한 제2 면에 대향하도록 제1 콘택트(12)와 제2 콘택트(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측 부분 및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측 부분과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는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고,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 및 제1 분할 고정부(15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E)는 끼워 맞춤축(C)을 따른 Y방향에서 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인슐레이터(18)는 각각 XY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18B)을 갖고 있고, 이들 하우징 외면(18B)은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대응하는 쉘 외면(15C)과 거의 동일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13E) 및 쉘측 방수 형상부(15E)와 Y방향에서 중복하는 위치에 환형상의 방수 부재용 홈(18C)이 형성되고, 이 방수 부재용 홈(18C)에 이음매가 없는 방수 부재(20)가 끼워 넣어져 있다. Z방향에서, 방수 부재용 홈(18C)의 바닥면은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보아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내면보다도 끼워 맞춤축(C)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로 인해 Z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방수 부재(20)를 방수 부재용 홈(18C)에 배치해도 방수 부재(20)의 위치에서의 커넥터의 Z방향 높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제1 인슐레이터(17)의 관통공(17A)에 압입되는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 및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외주부를 덮도록 금속으로 형성되는 그랜드 플레이트(21)가 배치되어 있다. 그랜드 플레이트(21)는 제1 인슐레이터(17)를 개재하여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Y방향측 부분의 +Z방향을 향한 제1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평탄부(21A)와, 제1 인슐레이터(17)를 개재하여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Y방향측 부분의 -Z방향을 향한 제1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평탄부(21B)를 갖고, 평탄부(21A)가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미드 플레이트(11)의 한 쌍의 그랜드 플레이트 접속부(11C)가 그랜드 플레이트(21)의 평탄부(21A)에 접속되어 있고, 미드 플레이트(11)가 그랜드 플레이트(21)를 개재하여 외주 쉘(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의 +Y방향 단부는 제2 인슐레이터(18)의 배면부에 노출되고, 백 쉘(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쉘(16)의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16B)를 전자기기 내의 기판에 접속하여 그랜드 위치로 함으로써, 미드 플레이트(11), 그랜드 플레이트(12), 외주 쉘(15) 및 백 쉘(16)이 모두 그랜드 전위가 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랜드 플레이트(21)의 평탄부(21A 및 21B)는 각각 XY면을 따라 연장되고, 접속부(21C)에 의해 Z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평탄부(21A 및 21B)에는 각각 -Y방향으로 향하여 개방된 복수의 노치(21D)가 형성되고, 접속부(21C)에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를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17)의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는 XY면을 따라 연장되는 거의 평판 형상을 갖고,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로부터 +Y방향측으로 떨어진 후방 보유부(17C)는 X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와 후방보유부(17C)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부(17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 후방 보유부(17C) 및 한 쌍의 연결부(17D)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17E)가 형성되고, 한 쌍의 연결부(17D)의 표면 상에는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가 형성되어 있다.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의 +Y방향측 부분에 복수의 제1 콘택트(12)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17A)과 복수의 제2 콘택트(13)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17A)이 서로 Z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로 배열되어 있고,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의 -Y방향측 부분에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가 삽입되는 복수의 콘택트용 홈(17G)이 각각 대응하는 관통공(17A)에 접속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의 +Y방향측 부분의 +Z방향측의 외면 및 -Z방향측의 외면에 각각 그랜드 플레이트(21)의 노치(21D)에 끼워 넣어지는 볼록부(17H)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17)의 연결부(17D)는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고, 연결부(17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는 끼워 맞춤축(C)을 따른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주 쉘(15)의 제2 분할 고정부(15F)도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고, 제2 분할 고정부(15F)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G)도 끼워 맞춤축(C)을 따른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17)의 개구부(17E)는 제2 인슐레이터(18)를 형성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해 충전되고, 제1 인슐레이터(17)의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와 후방 보유부(17C)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가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외주 쉘(15)의 2개의 제2 분할 고정부(15F)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G)가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랜드 플레이트(21)의 노치(21D)에 제1 인슐레이터(17)의 볼록부(17H)가 끼워 넣어지고, 복수의 제1 콘택트(12)가 대응하는 콘택트용 홈(17G)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외주 쉘(15)의 6개의 제1 분할 고정부(15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E)가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가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고, 마찬가지로, 도 14에는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가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제1 인슐레이터(17)의 한 쌍의 연결부(17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가 Y방향에서 방수 부재(20)와 중복하는 위치에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어 있는 모습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는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도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E)는 제1 분할 고정부(15D)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제2 분할 고정부(15F)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 형상부(15G)도 제2 분할 고정부(15F)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인슐레이터(17)의 연결부(17D)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는 연결부(17D)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미드 플레이트(11)가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17B)에 보유되도록 도 8에 나타낸 제1 인슐레이터(17)를 성형함으로써 미드 플레이트(11)와 제1 인슐레이터(17)가 일체화된 1차 성형 부품을 제작하고, 이 1차 성형 부품의 제1 인슐레이터(17)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7A)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를 압입한다.
이어서, 복수의 제1 콘택트(12)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를 그랜드 플레이트(21)의 개구부(21E)로 통과시키면서 그랜드 플레이트(21)를 1차 성형 부품의 제1 인슐레이터(17)에 위치 맞춤하는 동시에,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차 성형부품에 그랜드 플레이트(21)와 외주 쉘(15)을 도시하지 않는 금형 내에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용융한 절연성 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제2 인슐레이터(18)를 성형한다.
이 때,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와 외주 쉘(15)의 6개의 제1 분할 고정부(15D)가 Y방향에서 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지만, 제1 인슐레이터(17)에는 이 중복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17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한 절연성 수지는 이들 부품 사이에 양호하게 유입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 외주 쉘(15)의 6개의 제1 분할 고정부(15D)와 2개의 제2 분할 고정부(156F), 및 제1 인슐레이터(17)의 한 쌍의 연결부(17D)가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된다. 그리고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 외주 쉘(15)의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 및 제1 인슐레이터(17)의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에 제2 인슐레이터(18)를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가 밀착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인슐레이터(18)의 한 쌍의 고정용 홈(18A)에 백 쉘(16)의 한 쌍의 고정용 돌기(16A)를 압입하여 백 쉘(16)을 제2 인슐레이터(18)에 설치한 후, 제2 인슐레이터(18)의 배면부에 노출되어 있는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의 +Y방향 단부에 백 쉘(16)을 레이저 등으로 용접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 부재용 홈(18C)에 이음매가 없는 방수 부재(20)를 끼워 넣음으로써 커넥터가 제조된다.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3C), 외주 쉘(15)의 쉘측 기판 접속부(15H), 및 백 쉘(16)의 쉘측 기판 접속부(16B)를 각각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기 내의 기판의 대응하는 접속 패드에 납땜 등으로 접속하고, 끼워 맞춤축(C)이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상태로 사용된다.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 및 복수의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에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13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제1 콘택트(12)의 콘택트측 고정부(12B) 및 제2 콘택트(13)의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던 제2 인슐레이터(18)의 절연성 수지가 이들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고,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 내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콘택트(12)의 접점부(12A) 및 제2 콘택트(13)의 접점부(13A)로부터 콘택트측 고정부(12B 및 13B)와 제2 인슐레이터(18)와의 계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13E)에 의해 차단되어, 제2 인슐레이터(18)의 배면부에 노출되어 있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12C 및 13C)에까지 이르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는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D) 및 제2 분할 고정부(15F)에는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외주 쉘(15)의 제1 분할 고정부(156D) 및 제2 분할 고정부(15F)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던 제2 인슐레이터(18)의 절연성 수지가 이들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 내에 노출되어 있는 끼워 맞춤부(15A)로부터 제1 분할 고정부(15D) 및 제2 분할 고정부(15F)와 제2 인슐레이터(18)와의 계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에 의해 차단되어, 제2 인슐레이터(18)의 배면부에까지 이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 인슐레이터(18) 내에 매립되는 제1 인슐레이터(17)의 연결부(17D)에는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15B) 내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인슐레이터(17)의 표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13E)는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가 끼워 맞춤축(C)을 따라 Y방향에서 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중복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 이음매가 없는 방수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수 부재(20)가 전자기기의 틀체 등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커넥터를 전자기기에 탑재했을 때에 방수 부재(20)가 받는 압축력이 제2 인슐레이터(18)를 개재하여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13E),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에, 및 이들 방수 형상부에서의 제2 인슐레이터(18)와의 밀착력이 증강되어 방수효과가 향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우징(19)의 제2 인슐레이터(18)와 제1 콘택트(12), 제2 콘택트(13), 외주 쉘(15) 및 제1 인슐레이터(17) 사이의 방수성을 향상시켜서 장치 내부, 즉 방수 커넥터가 탑재되는 기판측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주 쉘(15)의 쉘측 기판 접속부(15H) 및 백 쉘(16)의 쉘측 기판 접속부(16B)를 각각 도시하지 않는 전자기기 내의 기판의 대응하는 접속 패드에 접속하여 그랜드 전위로 함으로써, 미드 플레이트(11), 그랜드 플레이트(21), 외주 쉘(15) 및 백 쉘(16)이 모두 그랜드 전위가 되고,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신호전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인슐레이터(18)의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18B)이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대응하는 평탄한 쉘 외면(15C)과 거의 동일면을 형성하고,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 부재용 홈(18C)의 바닥면이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보아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내면보다도 끼워 맞춤축(C)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Z방향 높이가 억제되어, 슬림형의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 1의 (A)∼(C)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인슐레이터(18)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가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X방향 단부 및 -X방향 단부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외주 쉘(15)의 한 쌍의 제2 분할 고정부(15F)를 각각 끼워 맞춤축(C)측으로 일단 굴곡시킴으로써, 제2 인슐레이터(18)의 X방향의 폭을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X방향의 폭과 동등한 값으로 하여 X방향의 폭이 작은 소형의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슐레이터(18)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 부재용 홈(18C)의 모든 바닥면이 끼워 맞춤축(C)의 방향에서 보다 외주 쉘(15)의 끼워 맞춤부(15A)의 내면보다도 끼워 맞춤축(C)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가 콘택트측 고정부(12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3E)가 콘택트측 고정부(13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15E)가 제1 분할고정부(15D)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15G)가 제2 분할고정부(15F)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는 연결부(17D)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홈 또는 돌기는 반드시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고, 둘레를 따른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 만으로도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쪽이 보다 우수한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12E 및 13E), 쉘측 방수 형상부(15E 및 15G),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17F)가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대신에 하나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해도 제2 인슐레이터(18)와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는 있다. 단,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한 쪽이 보다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인슐레이터(18)와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홈 또는 돌기는 예를 들어 0.01mm 이상의 고저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콘택트(12)와 복수의 제2 콘택트(13)가 미드 플레이트(11)의 양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2열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콘택트가 1열로 배열된 커넥터에 이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콘택트의 개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이상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보유되어 있으면 된다.
1 : 하우징 2 : 쉘
3 : 콘택트 3A : 접점부
3B : 기판 접속부 4 :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
5 : 기판 6 : 방수 부재
7 : 틀체 11 : 미드 플레이트
11A : 평판부 11B ; 상대측 커넥터 연결부
11C : 그랜드 플레이트 접속부 12 : 제1 콘택트
12A, 13A : 접점부 12B, 13B : 콘택트측 고정부
12C, 13C :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 12D, 13D : 돌기
12E, 13E :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 13 : 제2 콘택트
14 : 쉘 15 : 외주 쉘
15A : 끼워 맞춤부 15B : 상대측 커넥터 수용부
15C : 쉘 외면 15D : 제1 분할 고정부
15E, 15G : 쉘측 방수 형상부 15F : 제2 분할 고정부
15H : 쉘측 기판 접속부 16 : 백 쉘
16A : 고정용 돌기 16B : 쉘측 기판 접속부
17 : 제1 인슐레이터 17A : 관통공
17B :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 17C : 후방 보유부
17D : 연결부 17E : 개구부
17F :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 17G : 콘택트용 홈
17H : 볼록부 18 : 제2 인슐레이터
18A : 고정용 홈 18B : 하우징 외면
18C : 방수 부재용 홈 19 : 하우징
20 : 방수 부재 21 : 그랜드 플레이트
21A, 21B : 평탄부 21C : 접속부
21D : 노치 21E : 개구부
C : 끼워 맞춤축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의 외주부를 덮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쉘과,
    상기 콘택트 및 상기 쉘을 보유하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배치되는 이음매가 없는 방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쉘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끼워 맞춤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쉘측 기판 접속부와, 상기 끼워 맞춤부와 상기 쉘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쉘측 고정부와, 상기 쉘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쉘측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쉘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와, 상기 접점부와 상기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콘택트측 고정부와, 상기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콘택트측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한 쌍의 평탄한 쉘 외면을 갖고,
    상기 쉘측 고정부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상기 끼워 맞춤부의 상기 쉘 외면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축측에 배치되고,
    상기 쉘측 방수 형상부, 상기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 및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서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콘택트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의 근방의 상기 제2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금속으로 형성되는 미드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미드 플레이트를 보유하면서 상기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노출시킨 채 상기 접점부에 인접하는 상기 콘택트측 고정부의 전부가 압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인슐레이터와,
    상기 쉘측 방수 형상부 및 상기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쉘측 고정부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를 보유하는 제2 인슐레이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축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쉘측 고정부는 상기 콘택트측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쉘측 고정부는 각각 상기 끼워 맞춤부와 상기 쉘측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복수의 분할 고정부로 형성되고,
    상기 쉘측 방수 형상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고정부의 각각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쉘 외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방수 부재가 배치되는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을 갖는 방수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의 방수 부재용 홈에 끼워 넣어져 있는 방수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용 홈 중에서, 상기 한 쌍의 평탄한 하우징 외면에 형성된 부분의 상기 방수 부재용 홈의 바닥면은 상기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상기 끼워 맞춤부의 내면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축측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환형상의 방수 부재용 홈의 모든 바닥면은 상기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서 보아 상기 끼워 맞춤부의 내면보다도 상기 끼워 맞춤축측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근방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미드 플레이트 및 상기 쉘에 접속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그랜드 플레이트를 갖는 방수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택트는 상기 미드 플레이트를 끼워 상기 미드 플레이트의 양면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콘택트 및 복수의 제2 콘택트를 갖는 방수 커넥터.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미드 플레이트를 보유하면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상기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에 인접하는 상기 콘택트측 고정부의 후부에 접촉하는 후방 보유부와,
    상기 끼워 맞춤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상기 후방 보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는 상기 미드 플레이트 보유부와 상기 후방 보유부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와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우징측 방수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쉘측 고정부를 갖는 외주 쉘과,
    상기 끼워 맞춤축의 방향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배면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외주 쉘에 접속된 백 쉘을 갖는 방수 커넥터.
KR1020177007948A 2014-11-14 2015-11-06 방수 커넥터 KR10191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1767A JP5925865B1 (ja) 2014-11-14 2014-11-14 防水コネクタ
JPJP-P-2014-231767 2014-11-14
PCT/JP2015/081349 WO2016076229A1 (ja) 2014-11-14 2015-11-06 防水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716A KR20170044716A (ko) 2017-04-25
KR101914634B1 true KR101914634B1 (ko) 2018-11-02

Family

ID=5595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48A KR101914634B1 (ko) 2014-11-14 2015-11-06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35393B2 (ko)
EP (1) EP3220488B1 (ko)
JP (1) JP5925865B1 (ko)
KR (1) KR101914634B1 (ko)
CN (1) CN106688148B (ko)
ES (1) ES2701299T3 (ko)
TW (1) TWI552455B (ko)
WO (1) WO2016076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5977B1 (ja) 2015-01-29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CN108206360B (zh) 2016-12-19 2021-08-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890779B2 (ja) * 2017-03-30 2021-06-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6742538U (zh) * 2017-05-22 2017-12-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6763827B2 (ja) 2017-06-14 2020-09-3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9003816A (ja) * 2017-06-14 2019-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428190B (zh) * 2017-08-25 2021-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及其制造方法
JP6966259B2 (ja) * 2017-08-25 2021-11-10 日立Astemo株式会社 樹脂封止型車載電子制御装置
US10096956B1 (en) * 2017-11-04 2018-10-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19139835A (ja) * 2018-02-06 2019-08-22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99891B2 (ja) * 2018-07-06 2022-07-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コネクタ及び内視鏡
US10276972B1 (en) * 2018-08-14 2019-04-30 Avertronics, Inc. Power connector
JP7044667B2 (ja) * 2018-08-30 2022-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7128696B2 (ja) * 2018-09-18 2022-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2359B1 (ja) * 2018-10-30 2019-05-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02A (ja) * 2001-12-27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組合せ
JP2009176734A (ja) * 2008-01-28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 携帯電話の防水方法及び防水構造
JP5433776B1 (ja) * 2012-12-28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03871583U (zh) * 2014-05-30 2014-10-0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737B2 (ja) * 1993-12-28 1999-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296521B1 (en) * 2001-01-26 2001-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contacts positioned at lateral ends without increasing dimension thereof
JP4565337B2 (ja) * 2005-11-24 2010-10-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398266B1 (ko) * 2008-01-28 2014-06-2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폰의 방수 방법 및 구조
JP2013054844A (ja) * 2011-09-01 2013-03-21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US8801463B2 (en) * 2012-01-13 2014-08-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TWM443320U (en) * 2012-08-06 2012-12-11 Cheng Uei Prec Ind Co Ltd Receptacle connector
JP6005448B2 (ja) * 2012-09-04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WO2014103591A1 (ja) * 2012-12-28 2014-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104112968B (zh) * 2013-04-18 2016-07-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203800282U (zh) * 2013-11-29 2014-08-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3972719A (zh) * 2014-05-06 2014-08-06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水电连接器
JP2015225712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JP5733456B1 (ja) * 2014-06-27 2015-06-10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04045829U (zh) * 2014-07-16 2014-12-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243301U (zh) * 2014-09-19 2015-04-01 蔡周贤 电连接器
TWM496259U (zh) * 2014-09-26 2015-02-21 Jess Link Products Co Ltd 防水電連接器模組及其防水外殼
JP6133258B2 (ja) * 2014-10-17 2017-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813846B1 (ja) * 2014-10-27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813847B1 (ja) * 2014-10-27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04361372U (zh) * 2014-11-14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497868U (zh) * 2014-12-05 2015-03-21 Simula Technology Inc 利用塗膠平面塗佈防水膠之防水連接器
CN104538782B (zh) * 2014-12-19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水型插座电连接器
CN104538781B (zh) * 2014-12-19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水型插座电连接器
JP5905977B1 (ja) * 2015-01-29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CN105449443B (zh) * 2015-02-11 2018-03-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4733950B (zh) * 2015-03-09 2024-03-29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防水型插座电连接器
CN104752888A (zh) * 2015-03-31 2015-07-0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防水与防干扰的插座电连接器
CN105470697B (zh) * 2015-04-02 2018-06-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6452529B2 (ja) * 2015-04-10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3883B1 (ja) * 2015-07-29 2016-12-27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防水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05337093B (zh) * 2015-08-19 2018-11-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449398A (zh) * 2015-12-03 2016-03-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组件
CN205376880U (zh) * 2015-12-03 2016-07-06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429282U (zh) * 2015-12-18 2016-08-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376882U (zh) * 2015-12-23 2016-07-06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5703144B (zh) * 2016-01-14 2020-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5576416B (zh) * 2016-01-14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9887485B2 (en) * 2016-03-07 2018-02-06 Amphenol Corporation Ruggedized electrical connector
CN107332034B (zh) * 2016-04-28 2019-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205752743U (zh) * 2016-05-06 2016-11-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790641U (zh) * 2016-05-06 2016-12-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724167U (zh) * 2016-05-06 2016-11-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404033B (zh) * 2016-05-20 2019-12-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7404034B (zh) * 2016-05-20 2019-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632068B2 (ja) * 2016-05-31 2020-01-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34425B1 (en) * 2016-07-21 2017-04-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85740B1 (en) * 2016-10-13 2017-06-2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connector
US9768545B1 (en) * 2016-10-13 2017-09-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proof connector
US9761988B1 (en) * 2017-01-18 2017-09-12 Assem Technology Co., Ltd.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02A (ja) * 2001-12-27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組合せ
JP2009176734A (ja) * 2008-01-28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 携帯電話の防水方法及び防水構造
JP5433776B1 (ja) * 2012-12-28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03871583U (zh) * 2014-05-30 2014-10-0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25865B1 (ja) 2016-05-25
TW201626652A (zh) 2016-07-16
WO2016076229A1 (ja) 2016-05-19
JP2016096039A (ja) 2016-05-26
US20180054020A1 (en) 2018-02-22
CN106688148A (zh) 2017-05-17
EP3220488A1 (en) 2017-09-20
US9935393B2 (en) 2018-04-03
EP3220488B1 (en) 2018-10-24
TWI552455B (zh) 2016-10-01
EP3220488A4 (en) 2017-11-22
CN106688148B (zh) 2019-03-15
ES2701299T3 (es) 2019-02-21
KR20170044716A (ko)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634B1 (ko) 방수 커넥터
TWI605643B (zh) 連接器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103553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liable waterproof performance
KR101673194B1 (ko) 방수 커넥터
JP5905977B1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KR101887984B1 (ko) 방수 커넥터
CN110875548B (zh) 防水连接器
KR20170046175A (ko) 방수 커넥터
JP6840636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4130691A (ja) 防水コネクタ
WO2017006622A1 (ja) 防水コネクタ組立体
KR101886694B1 (ko) 방수 커넥터
TW202123561A (zh) 基板對基板連接器及其安裝構造
CN112600003B (zh) 连接器
JP6404156B2 (ja) コネクタ
JP2013080673A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JP2013080674A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