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437B1 - 베이비 카 - Google Patents

베이비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437B1
KR101910437B1 KR1020120124624A KR20120124624A KR101910437B1 KR 101910437 B1 KR101910437 B1 KR 101910437B1 KR 1020120124624 A KR1020120124624 A KR 1020120124624A KR 20120124624 A KR20120124624 A KR 20120124624A KR 101910437 B1 KR101910437 B1 KR 10191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by car
connection point
width direction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248A (ko
Inventor
다케시 데라우치
마사시 다니자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베이비 카(10)는 암레스트(28)와,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각(22) 및 후각(24)과,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40)와, 전각 및 제 1 링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45)와, 후각(24) 및 제 1 링크(4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50)를 갖는다.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는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Pa)와 후각과의 연결 개소(Pb)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베이비 카{STROLLER}
본 발명은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이 가능한 접이식 베이비 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강성 베이비 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유아(乳幼兒)를 승차시키는 베이비 카가 널리 알려져 있다. JP2011-063097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베이비 카의 대부분은 구성 요소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링크재를 적절히 포함하고,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JP2011-063097A에 개시된 베이비 카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전각과 핸들이 접근하도록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접음으로써 베이비 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비 카의 구성 요소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 베이비 카를 보관 등에 알맞은 사이즈로 접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베이비 카의 강성이 저하된다. 베이비 카의 강성이 저하되면, 주행 중이나 접이 조작 중의 베이비 카에 뒤틀림이 생긴다. 주행 중의 베이비 카에 뒤틀림이 생기면, 베이비 카의 조종성이 악화되고, 마찬가지로, 접이 조작 중의 베이비 카에 뒤틀림이 생기면, 베이비 카의 접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는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로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에, 그 상방 부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상기 암레스트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전각의 중간 부분 및 상기 제 1 링크의 하방 부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후각의 중간 부분 및 상기 제 1 링크의 하방 부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구비하고,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와 상기 후각과의 연결 개소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서,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까지 하방으로 뻗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 및 상기 후각에 의해 둘러싸이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 1 링크가 후각에 맞닿고,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1 링크와 제 3 링크의 연결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와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까지의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후각과, 제 1 링크와 제 3 링크의 연결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와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까지의 제 3 링크와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에 피벗 부착된 링크 본체부와, 상기 링크 본체부와 상기 후각 사이를 베이비 카의 폭 방향으로 뻗는 보스(boss)부를 갖고,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후각에 피벗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로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링크 본체부의 두께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보스부의 길이와, 상기 보스부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링크 본체부의 두께의 합계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가 상기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링크로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제 3 링크의 두께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핸들 사이의 극간의 폭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의 굴곡된 개소로부터 상기 후각으로의 연결 개소까지의 부분은 상기 후각을 따라 뻗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가, 상기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가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핸들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비 카의 접이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재로서 기능하는 제 3 링크에 의해, 베이비 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후방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핸들이 전방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핸들이 후방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베이비 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3에는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베이비 카(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5-08208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 2006-117012호 공보) 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전개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난 접힌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또한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 카(10)에 있어서는 핸들(15)을 베이비 카(1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 측으로부터 핸들(15)을 파지해서 베이비 카(10)를 조종하여,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베이비 카(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 측의 위치로부터 핸들(15)을 파지해서 베이비 카(10)를 조종하여, 베이비 카(10)의 후각 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베이비 카(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베이비 카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하게는, 베이비 카(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측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베이비 카(10) 전측이 된다. 한편, 베이비 카(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이란 가로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에 따른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10)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비 카 본체(11)와 베이비 카 본체(11)에 장착된 시트(90), 바구니(93) 및 덮개(95)를 갖고 있다. 베이비 카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15)을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각각 좌우로 배치된 한 쌍 전각(22)과, 각각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후각(24)과, 각각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28)와, 각각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제 1∼3 링크(40, 45, 50)를 갖고 있다. 전각(22)의 하단에는 전륜(23)이 설치되고, 후각(24)의 하단에는 후륜(25)이 설치되어 있다.
전각(22)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24)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링크(40)의 상방 부분, 특히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방 부분 중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후단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제 2 링크(45)는 좌측 전각(22)과 좌측의 제 1 링크(40)를 연결하고, 우측의 제 2 링크(45)는 우측 전각(22)과 우측의 제 1 링크(40)를 연결하고 있다. 각 제 2 링크(45)는 그 전방 부분을 전각(22)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후방 부분을 제 1 링크(40)의 하방 부분, 특히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방 부분 중의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 2 링크(45)는 금속제의 본체 바(46a)와, 본체 바(46a)의 후단에 설치된 판 형상 부착 부재(46b)와, 본체 바(46a)의 전단에 설치된 커버 부재(46c)를 갖고 있다. 이 제 2 링크(45)는 판 형상 부착 부재(46b)에 있어서 제 1 링크(5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버 부재(46c)에 있어서 전각(22)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제 3 링크(50)는 좌측의 후각(24)과 좌측의 제 1 링크(40)를 연결하고, 우측의 제 3 링크(50)는 우측의 후각(24)과 우측의 제 1 링크(40)를 연결하고 있다. 각 제 3 링크(50)는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각(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40)의 하방 부분, 특히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방 부분 중의 하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는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Pa)와 후각(24)과의 연결 개소(Pb)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3 링크(5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의 본체 프레임(12)은 폭 방향으로 뻗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 전각(22) 사이를 연결하는 풋레스트(전측 연결바)(32)와, 한 쌍의 제 2 링크(45)을 연결하는 상측 연결바(도시 생략)와, 한 쌍의 후각(24) 사이를 연결하는 후측 연결바(34)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암레스트(28) 사이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36)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베이비 카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15)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15)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뻗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16a)와, 한 쌍의 직선부(16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16b)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대략 U자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15)은 U자의 양단 부분을 대응하는 측의 제 1 링크(40)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개의 축 부재(39)가, 핸들(15) 및 제 1 링크(40)를 관통하여, 이들을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축 부재(39)는 제 2 링크(45)의 판 형상 부착 부재(46b) 및 제 3 링크(50)도 관통하여, 제 2 링크(45) 및 제 3 링크(50)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즉,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15)의 제 1 링크(50)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제 3 링크(50)와 제 1 링크(40)의 회동 축선, 및, 제 1 링크(40)와 제 2 링크(45)의 회동 축선과 일치하고 있으며, 베이비 카의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5)이 프레임 본체(12)에 대하여 요동하고, 핸들(15)의 직선부(16a)는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암레스트(28)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이동 가능한 핸들(15)의 한 쌍의 직선부(16a) 상에는, 직선부(16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부재(19)는 핸들(15)이 대응하는 직선부(16a) 상에 있어서, 직선부(16a)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하방(U자의 단부 쪽)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10)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19)와 각각 걸어맞춰서 핸들(15)의 회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제 1 걸어맞춤부(제 1 걸어맞춤 돌기)(26a) 및 한 쌍의 제 2 걸어맞춤부(제 2 걸어맞춤 돌기)(26b)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에 설치된 제 1 걸어맞춤 돌기(26a)와 슬라이딩 부재(19)가 걸어맞춰져서 서로 걸림으로써, 도 2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5)이 전방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후방에 설치된 걸어 맞춤 돌기(26b)와 슬라이딩 부재(19)가 걸어맞춰져서 서로 걸림으로써,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5)이 후방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걸어 맞춤 돌기(26a)는 암레스트(28)에 설치되고, 제 2 걸어 맞춤 돌기(26b)는 제 1 링크(4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15)은 그 직선부(16a)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18)와, 그 중간부(16a) 상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부재(18)의 슬라이딩을 원격 조작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18a)를 갖고 있다.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에 있어서 핸들(15)이 후방 위치(배면 위치)에 배치되면, 핸들(15) 상의 슬라이딩 부재(18)는 제 1 링크(4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부재(41)에 하방으로부터 맞닿게 된다. 각 로크 부재(41)는 제 1 링크(40) 상에 있어서, 제 1 링크(40)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하방(U자의 단부 쪽)을 향해서, 바꿔 말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비 카가 전개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 있을 경우에, 로크 부재(41)는 제 3 링크(50)와 걸어맞춰져서, 제 3 링크(50)와 제 1 링크의 상대적인 회동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베이비 카(10)가 전개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베이비 카(10)의 베이비 카 본체(11)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부(座部)(91a) 및 배부(背部)(9lb)를 가진 시트(90)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90)의 좌부(91a)는 예를 들면, 제 2 링크(45)나 한 쌍의 제 2 링크(45) 사이를 뻗는 상측 연결바(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시트(90)의 배부(9lb)는 예를 들면 제 2 링크(45)의 판 형상 부착 부재(46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배부 프레임(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 본체(11)에는 바구니(93) 및 덮개(95)가 더 설치되어 있다. 바구니(93)는 예를 들면 제 2 링크(45)에 의해 지지되고, 덮개(95)는 제 1 링크(40)의 상방 부분에 부착된다. 한편, 시트(90), 바구니(93) 및 덮개(95)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만 나타나 있으며, 그 밖의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11))는 이하와 같이 하여,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
핸들(15)이 전방 위치(도 2의 이점쇄선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우선, 핸들(15)을 베이비 카 본체(11)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켜서, 핸들(15)을 후방 위치(도 2의 실선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후방 위치에 배치된 핸들(15) 상의 슬라이딩 부재(19)와 베이비 카 본체(11)의 제 1 링크(40) 상의 제 2 걸어 맞춤부(26b)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핸들(15)을 베이비 카(10)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때, 그 하단 부분에 있어서 제 1 링크(40)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15)은 슬라이딩 부재(19)와 제 2 걸어 맞춤부(26b)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제 1 링크(40)에 대하여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하의 접이 조작 중, 측면 시에 있어서, 즉,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 핸들(15)의 하방 부분은 제 1 링크(40)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원격 조작 장치(18a)를 조작함으로써 제 1 링크(40)와 제 2 링크(45)의 로크 부재(41)를 통한 걸어 맞춤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 장치(18a)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8)를 동작시키고, 동시에, 슬라이딩 부재(18)를 통해서 제 1 링크(40) 상의 로크 부재(41)를 동작시키고, 제 1 링크(40)의 제 3 링크(50)에 대한 고정, 또한, 제 1 링크(40)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이때, 베이비 카(10)는 전개 상태에 있으며, 제 1 링크(40) 및 제 3 링크(50)의 적어도 한쪽이 후각(24)에 맞닿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링크(45)의 하단 부분이 후각(24)의 중간 부분에 맞닿아 있다.
이 상태로부터, 후방 위치에 배치된 핸들(15)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링크(40)는 핸들(15)과 함께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 1 링크(40) 및 제 3 링크(45)가 후각(24)으로부터 이간하고, 제 3 링크(50)는 후각(24)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수반해서, 암레스트(28) 및 제 2 링크(45)는 제 1 링크(40)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베이비 카의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측면 시에 있어서), 핸들(15)이 전각(22)과의 대략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각(22)에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의 치수가 소형화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10)를 전후 방향으로 접으면, 핸들(15)과 전각(22)이 대략 평행하게 유지된 채, 핸들(15)의 배치 위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 결과, 베이비 카(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뿐만 아니라, 베이비 카(10)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도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11))를 접힌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접이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한편, 구성 요소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비 카에 있어서는 강성이 저하되고, 주행 중, 접이 조작 중, 전개 조작 중 등에 외력이 가해지면, 뒤틀림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베이비 카를 주행시킬 때, 조작자(보호자)는 핸들을 파지해서 베이비 카를 조종하고, 베이비 카를 접을 때나 전개할 때도, 조작자는 핸들을 파지해서 베이비 카(10)를 조작한다. 따라서, 핸들과 다른 구성 요소의 연결 개소 근방에, 핸들을 통해서 조작자로부터의 힘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그리고, 핸들과 다른 구성 요소의 연결 개소 근방에서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베이비 카도 그렇듯이, 많은 구성 요소(링크재)가 연결되는 경향이 있으며, 베이비 카의 전체적인 뒤틀림의 원인이 되는 구성 요소간의 어긋남이나 뒤틀림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 베이비 카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베이비 카의 조종성이 악화되고, 베이비 카의 접이 및 전개를 원활하게 행할 수도 없게 된다.
한편, 여기서 설명하는 베이비 카에 있어서는, 제 3 링크(50)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비 카(10)의 강성을 향상시켜, 베이비 카(10)에 뒤틀림이 생기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우선,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는 제 1 링크(40)와의 연결 개소(Pa)와 후각(24)과의 연결 개소(Pb)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가, 굴곡 개소(53)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굴곡 개소(5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부분(51) 및 제 2 부분(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의 굴곡 개소(53)가, 제 3 링크(50) 및 제 1 링크(40)의 연결 개소(Pa)와 제 3 링크(50) 및 후각(24)의 연결 개소(Pb)를 연결하는 선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가해지는 힘을, 후각(24)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받을 수 있음과 함께, 제 3 링크(50)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받을 수도 있다. 특히,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르지 않고, 후각(24) 및 제 3 링크(50)의 한쪽이 압축력을 받고 다른 쪽이 인장력을 받게 된다. 즉, 힘을 분산해서 받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힘을 안정되게 받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베이비 카(10)의 주행시나 베이비 카(10)의 접이 또는 전개 조작시에 베이비 카(10)에 다양한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베이비 카(10)로의 뒤틀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베이비 카(10)의 강성이 향상하면, 베이비 카(10)를 밀어서 주행시킬 때의 조종성이 향상하고, 마찬가지로, 베이비 카(10)를 접을 때 및 전개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여기서,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는 조작자로부터 핸들(15)을 통해서 베이비 카(10)에 가해지는 힘, 예를 들면 베이비 카(10)를 주행시킬 때에 베이비 카(10)에 가해지는 힘이나 베이비 카(10)를 접을 때에 베이비 카(10)에 가해지는 힘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기 쉬운 개소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링크(40) 및 제 3 링크(50)를 피벗 부착하기 위한 축 부재(39)에 의해, 핸들(15)이 제 1 링크(40) 및 제 3 링크(50)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핸들(15)을 통한 힘은, 우선은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집중적으로 부가되게 된다. 따라서, 제 3 링크(50)에 의하면, 핸들(15)을 통해서 부가되는 힘에 기인한 베이비 카(10)의 뒤틀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고, 베이비 카(10)의 조작자는 직접적으로 조종성이나 조작성의 향상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후각을 따라 뻗는 링크재는 존재했지만, 이러한 종래의 링크재를 이용한 경우,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큰 뒤틀림이 베이비 카에 발생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비 카(10)에 따르면, 종래의 베이비 카와 비교해서,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이비 카(10)의 조종성이나 조작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는 제 1 링크(40)와의 연결 개소(P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 후각(24)과의 연결 개소(Pb)까지 하방으로 뻗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를 포함하는 제 3 링크(50)의 제 1 부분(51)이, 당해 연결 개소(Pa)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고, 제 3 링크(50)와 후각(24)의 연결 개소(Pb)를 포함하는 제 3 링크(50)의 제 2 부분(52)이, 당해 연결 개소(P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후방을 향해서 가해지는 힘을, 제 3 링크(50)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받을 수 있고, 이러한 힘에 기인한 뒤틀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3 링크(50)와 후각(24) 사이에 극간(S)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 이 극간(S)은 제 3 링크(50)와 후각(2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가해지는 힘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베이비 카(10)에 대한 뒤틀림의 발생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베이비 카(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 1 링크(40)의 하단 영역이 후각(24)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보다 엄밀히 설명하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이 극간(S)은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로부터 제 3 링크(50)와 후각(24)의 연결 개소(Pb)까지의 제 1 링크(40) 및 후각(24)과,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로부터 제 3 링크(50)와 후각(24)의 연결 개소(Pb)까지의 제 3 링크(5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링크(40)와 제 3 링크(50)의 연결 개소(Pa)에 가해지는 힘을, 더 확실하게 분산시켜서 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베이비 카(10)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매우 편리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링크(50)는 제 1 링크(40)에 피벗 부착된 링크 본체부(50)와, 링크 본체부(55)와 후각(24) 사이를 베이비 카의 폭 방향으로 뻗는 보스부(돌출부)(59)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3 링크(50)는 보스부(59)에서 후각(24)에 피벗 부착되어 있고, 보스부(59)는 제 3 링크(50)의 후각(24)에 대한 회동 축선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즉, 제 3 링크(50)가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 뻗는 보스부(59)를 통하여 후각(24)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링크(50)의 링크 본체부(55)는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을 따라 후각(24)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링크(50)의 후각(24)에 대한 회동 축선이 기우는 것이나,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의 뒤틀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한 뛰어난 강성이 베이비 카(10)에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40)로의 연결 개소(Pa)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따른 링크 본체부(55)의 두께는,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따른 보스부(59)의 길이와, 보스부(59)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따른 링크 본체부(55)의 두께의 합계와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핸들(15)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기인한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의 뒤틀림의 발생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1 링크(4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 3 링크(50)는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1 링크(40)와 핸들(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40)로의 연결 개소(Pa)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따른 제 3 링크(50)의 두께는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에 따른 제 1 링크(40)와 핸들(15) 사이의 극간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비 카(10)의 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제 3 링크(50)가, 제 1 링크(40) 및 후각(24)의 양쪽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15)이 제 1 링크(40)로부터 경사지도록, 베이비 카(10)가 뒤틀리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제 3 링크(50)의 굴곡된 개소로부터 후각(24)으로의 연결 개소(Pb)까지의 부분, 즉, 제 3 링크(50)의 제 2 부분(52)은 후각(24)을 따라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로부터, 당해 베이비 카의 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제 3 링크(50)가 돌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3 링크(50) 때문에 접힌 베이비 카(10)의 치수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접힌 베이비 카(10)에 제 3 링크(50)를 조화시킬 수 있어, 의장성에도 뛰어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3 링크(50)에 의해, 베이비 카(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제 3 링크(50)는 베이비 카(10)의 접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링크재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베이비 카(10)의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베이비 카(10)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베이비 카(10)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으로 뻗는 부재(예를 들면, 풋레스트(32)나 후측 연결바(34))가, 전후 방향으로 접힌 상태(도 3의 상태)에서 일직선상에 나열되는 위치에, 굴곡 가능한 힌지를 포함하게 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접힌 상태의 베이비 카(10)를, 또한, 힌지에서 굴곡시켜서 접음으로써,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의 치수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15)이 제 1 링크(40)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핸들(15)이 베이비 카(10)의 프레임 본체(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5)이 후방 위치에 고정되고, 후방 위치로부터 요동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15)의 U자의 단부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 한 쌍의 제 1 링크(40)가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링크(40)가, 암레스트(28)와의 연결 개소를 넘어서 더 뻗고, 핸들(15)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비 카(10)에 있어서도, 후각(24)과 핸들(15)을 구성하는 제 1 링크(40)와의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50)가, 상술한 실시형태의 제 3 링크와 마찬가지로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는, 로크 부재(41)가 제 1 링크(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핸들(15)의 원격 조작 장치(18a)에 의해, 이 로크 부재(41)를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링크(50), 제 1 링크(40) 및 제 2 링크(45)가 베이비 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 순서로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링크(40), 제 3 링크(50), 제 2 링크(45)의 순서로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링크(40), 제 2 링크(45), 제 3 링크(50)의 순서로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링크(50)와 제 1 링크(40)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이, 제 1 링크(40)와 제 2 링크(45)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 제 2 링크(45)와 제 3 링크(50)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 및, 핸들(15)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회동 축선과 일직선상에 정렬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링크(50)와 제 1 링크(40)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이, 제 1 링크(40)와 제 2 링크(45)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 제 2 링크(45)와 제 3 링크(50) 사이에서의 회동 축선, 및, 핸들(15)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회동 축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직선상에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또한,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평행이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로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에, 그 상방 부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상기 암레스트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전각의 중간 부분 및 상기 제 1 링크의 하방 부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후각의 중간 부분 및 상기 제 1 링크의 하방 부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링크를 구비하고,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와 상기 후각과의 연결 개소 사이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하고 굴곡되는 굴곡 개소를 가지며,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에서 상기 굴곡 개소까지 후방으로 뻗어 있는 제 1 부분과, 상기 굴곡 개소에서 상기 후각과의 연결 개소까지 하방으로 뻗어 있는 제 2 부분을 가진 베이비 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와의 연결 개소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후 굴곡되어서, 상기 후각과의 연결 개소까지 하방으로 뻗어 있는 베이비 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 및 상기 후각에 의해 둘러싸이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비 카.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 1 링크가 후각에 맞닿고,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제 1 링크와 제 3 링크의 연결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와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까지의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후각과, 제 1 링크와 제 3 링크의 연결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링크와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까지의 제 3 링크와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비 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에 피벗 부착된 링크 본체부와, 상기 링크 본체부와 상기 후각 사이를 베이비 카의 폭 방향으로 뻗는 보스(boss)부를 갖고,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후각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베이비 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로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링크 본체부의 두께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보스부의 길이와, 상기 보스부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링크 본체부의 두께의 합계와 동일한 베이비 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링크로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제 3 링크의 두께는, 베이비 카의 폭 방향에 따른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핸들 사이의 극간의 폭과 동일한 베이비 카.
  8. 제 1 항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의 굴곡된 개소로부터 상기 후각으로의 연결 개소까지의 부분은 상기 후각을 따라 뻗는 베이비 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더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링크가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핸들을 구성하는 베이비 카.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3 링크의 굴곡 개소가, 상기 제 3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의 연결 개소와 상기 제 3 링크 및 상기 후각의 연결 개소를 연결하는 선분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보다 짧으며,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폭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경우에,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후각을 따라 뻗어 있는 베이비 카.
KR1020120124624A 2011-11-07 2012-11-06 베이비 카 KR101910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3417A JP5944141B2 (ja) 2011-11-07 2011-11-07 ベビーカー
JPJP-P-2011-243417 2011-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248A KR20130050248A (ko) 2013-05-15
KR101910437B1 true KR101910437B1 (ko) 2018-10-22

Family

ID=4819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624A KR101910437B1 (ko) 2011-11-07 2012-11-06 베이비 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4141B2 (ko)
KR (1) KR101910437B1 (ko)
CN (1) CN103085849B (ko)
TW (1) TWI5424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2614B2 (ja) * 2013-07-04 2017-12-0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2015205665A (ja) * 2014-04-23 2015-11-1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育児器具用幌骨およびそれを備えた幌
JP6494979B2 (ja) * 2014-11-04 2019-04-03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771990B2 (ja) * 2016-08-09 2020-10-21 コンビ株式会社 手押しカート
TWI740062B (zh) * 2017-09-13 2021-09-21 日商康貝股份有限公司 嬰兒車
JP6923930B2 (ja) * 2018-07-31 2021-08-25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12969625B (zh) * 2019-04-26 2022-05-10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JP6957045B2 (ja) * 2019-05-3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8454A (ja) * 2010-01-22 2011-08-04 Combi Corp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515B2 (ja) * 1994-11-25 2006-04-12 コンビ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着座装置
JP3958414B2 (ja) * 1997-10-13 2007-08-15 コンビ株式会社 トレー付き折り畳み自在ベビーカー
TWM257306U (en) * 2003-11-12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work structure for baby carriage
KR101327296B1 (ko) * 2005-09-30 2013-1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핸들
CN201347108Y (zh) * 2008-12-31 2009-11-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幼儿推车
KR101585627B1 (ko) * 2009-06-12 2016-01-1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JP5953139B2 (ja) * 2012-06-19 2016-07-2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り畳み式乳母車
JP6144270B2 (ja) * 2012-10-15 2017-06-07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8454A (ja) * 2010-01-22 2011-08-04 Combi Corp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5849B (zh) 2017-08-11
TWI542499B (zh) 2016-07-21
CN103085849A (zh) 2013-05-08
JP2013099971A (ja) 2013-05-23
JP5944141B2 (ja) 2016-07-05
KR20130050248A (ko) 2013-05-15
TW201341242A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437B1 (ko) 베이비 카
KR101790543B1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JP5410312B2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JP4994926B2 (ja) ベビーカー
JP4994925B2 (ja) ベビーカー
KR102393208B1 (ko) 절첩식 유모차
KR20120006497A (ko) 유모차
JP4070944B2 (ja) チャイルドセイフティシート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KR101327296B1 (ko) 유모차의 핸들
JP6400409B2 (ja) 乳母車
JP2008081043A (ja) 作業機の転倒保護フレーム
US9050914B2 (en) Vehicle seat
KR101799331B1 (ko) 유모차
JP6771990B2 (ja) 手押しカート
WO2020218304A1 (ja) 乳母車
JP2009035197A (ja) 車両用シート
WO2022201333A1 (ja) 乳母車
JP201716513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200014211A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