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159B1 -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 Google Patents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159B1
KR101910159B1 KR1020180062147A KR20180062147A KR101910159B1 KR 101910159 B1 KR101910159 B1 KR 101910159B1 KR 1020180062147 A KR1020180062147 A KR 1020180062147A KR 20180062147 A KR20180062147 A KR 20180062147A KR 101910159 B1 KR101910159 B1 KR 10191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ight
parts
mixing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8006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B01F15/02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6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suction, vacuum, e.g. with a pipette
    • B01F7/00633
    • B01F7/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MANUFACTURING DEVICE FOR SEASONED DRIED RADISH AND MAKING METHOD USING THAT AND SEASONED DRIED RADISH}
본 발명은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린 무에 양념을 혼합할 때에 불린 무와 양념이 수납되는 본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불린 무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면서 양념이 불린 무의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할 수 있고, 구매자가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때에 무의 내부까지 양념이 배인 고품질의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Radish, Raphanus sativus L.)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0002]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뿌리에는 포도당, 자당, 과당의 당분 및 각종의 유기산과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녹말을 분해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디아스타아제, 발암물질을 분해ㆍ해독하고 위벽을 보호하는 오게시타제,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 비타민 C, 칼슘,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도 무에는 이뇨작용, 정장작용, 혈당강하, 소염 및 지혈 등의 생리 활성이 있어 민간에서 널리 상용되어 왔으며,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계통의 항암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폐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말랭이는 이러한 무를 채 썰거나 넓적하게 썰어 말린 것으로서, 건조 과정 중 생성되는 조직감과 향미로 인하여 밑반찬의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건조에 의해 무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인, 유리당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지고 약리성분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말랭이를 이용한 요리는 주로 김치, 무침, 장아찌 등의 형태로 이용되며, 통상 무말랭이에 말린 고춧잎, 미나리, 다진파 등과 마늘, 참기름, 후추, 고춧가루, 설탕, 물엿, 액젓, 생강, 깨 등의 양념을 버무리고 숙성시켜 제조된다.
그런데 무말랭이는 쓴맛이 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장기간 저장 및 유통할 수 있도록 하고 간을 맞추기 위하여 식염 또는 젓갈을 첨가하고 있으나, 염분은 성인병의 원인이 되므로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점점 짠 음식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양념한 무말랭이는 제조 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주재료인 무말랭이와 부재료인 양념이 서로 분리되어 무말랭이와 양념이 어우러진 본래의 맛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72192호에서는 무우를 절단 및 건조하여 간장시럽에 졸인 후 양념(고춧가루, 진간장, 물엿, 마늘, 생강, 참깨), 오징어채, 김을 혼합하여 간장 또는 고추장에 장입하고 숙성시켜 무말랭이장아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63592에서는 무말랭이에 물엿, 액젓, 고춧가루, 양파, 생강, 대추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산초가루를 첨가하여 무말랭이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발명들은 시럽, 오징어채, 김 등을 이용하여 무말랭이의 쓴맛을 상쇄시키고 장기간 식감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한약재를 이용하여 기능성과 저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으나, 이는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무말랭이의 쓴맛을 상쇄하고 저장성을 증가시키므로 양념의 배합이 자유롭지 못하여 무말랭이 요리의 맛을 제약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시 무말랭이와 양념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93945호에는 날치알을 혼합침지액(양파, 무 및 배의 즙액을 혼합)과 레몬 열수추출액에 순차적으로 침지한 후 무말랭이와 혼합하는 날치알 무말랭이 김치의 제조방법에 제시되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07508호에는 절단한 해파리, 물 및 실리콘 고무 볼을 혼합 및 회전시켜 해파리에서 염분을 제거한 후자외선을 조사하고 염장액을 혼합하여 염장하며 이를 무말랭이와 혼합하는 해파리-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한 발명은 염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염분을 줄여서 무말랭이 김치나 무침의 염분농도를 줄이고 날치알, 해파리를 부가하여 무말랭이 요리의 맛과 기능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방법 또한 무말랭이 요리가 가지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지는 못하고 무말랭이와 양념의 분리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은,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불린 무말랭이 표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단계와, 찹쌀풀이 도포된 무말랭이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와, 양념과 버무린 무말랭이를 1~15 ℃의 저온에서 5~10 일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6920호(2017년 09월 0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은, 무말랭이 표면에 도포되는 찹쌀풀에 의해 양념이 무말랭이 표면에 양면이 결착되기 때문에 무말랭이 무침을 섭취하면 무말랭이 표면에 양념이 묻은 상태에서 취식을 하는 것처럼 양념이 무말랭이 내부에 배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고품의 무말랭이 무침의 맛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불린 무에 양념을 혼합할 때에 불린 무와 양념이 수납되는 본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불린 무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면서 양념이 불린 무의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할 수 있고, 구매자가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때에 무의 내부까지 양념이 배인 고품질의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또는 중앙 측으로 이송시키며 교반하는 제1교반날개; 상기 제1교반날개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의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 측 또는 양단부 측으로 무말랭이 및 양념을 이동시키는 제2교반날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대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공제공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지는 수분을 모아 분리시키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모아 응축시키는 저장탱크;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찹쌀풀이 도포된 무말랭이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찹쌀풀이 도포된 무말랭이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은, 불린 물말랭이와 양념을 혼합할 때에 무말랭이 및 양념이 수납되는 본체에 진공압이 제공되므로 불린 무에 포함되는 수분이 진공압에 의해 배출되면서 무 내부로 양념이 효과적으로 스며들면서 양념과 무가 혼합되어 무말랭이 무침의 맛을 보다 더 고급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혼합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교반날개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교반날개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혼합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교반날개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의 교반날개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10)와,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2)와, 본체(10)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30)와, 혼합부(30)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혼합부(30)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50)와,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본체(10) 및 커버부재(12)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혼합구동부(50)가 구동되는 동안에 본체(10) 및 커버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10)에 불린 무와, 양념을 수납한 후에 혼합구동부(50)에 전원을 인가하면 혼합구동부(5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혼합부(30)가 회전되면서 무말랭이와 양념을 교반시키면서 무말랭이 무침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본 실시예의 진공제공부(70)가 구동되면서 본체(10) 및 커버부재(12)에 의해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진공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진공압이 제공되면 부린 무에 포함되는 수분이 무와 분리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 본체(10)에 수납되는 양념이 무말랭이 내부로 유입되면서 무말랭이 내부까지 양념이 고르게 유입되면서 무말랭이 무침의 맛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혼합부(30) 및 혼합구동부(50)는, 진공 호모믹서 방식을 채택하여 살균 및 멸균 양념 소스에 수분 조절 후 발효와 숙성을 겸하여 위생적이고 맛있는 독자적인 양념소스를 생산하며, 밀폐된 용기 속에서 진공 포장하여 무방부제 양념소스를 시판 공급한다.
또한, 양념을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위생 펌프배관을 통하여 밀폐된 본체(10) 내부로 직접 공급하여 HACCP GMP기준에 맞는 위생적이고 특별한 양념소스를 생산한다.
또한, 수입 및 국내 생산 양념마늘 다데기, 습식 다데기 등 물류과정에서 대장균 및 여러 가지 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 열 재킷을 통하여 간접 진공 탈기, 멸균을 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혼합부(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2)과, 회전축(32)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축(32)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본체(10)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회전축(32)의 양단부 또는 중앙 측으로 이송시키며 교반하는 제1교반날개(34)와, 제1교반날개(34)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의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교반날개(34)의 내측에 위치되며, 회전축(32)의 중앙 측 또는 양단부 측으로 무말랭이 및 양념을 이동시키는 제2교반날개(37)와, 회전축(32)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1교반날개(34)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36)와, 회전축(32)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2교반날개(37)를 지지하며, 제1지지대(36)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38)를 포함한다.
제1교반날개(34)는 회전축(32)으로부터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제1지지대(36)의 단부를 따라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제1교반날개(34)는 회전축(32)의 중앙에서 나선 모양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형성되므로 회전축(32)이 정회전될 때에는 본체(10)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본체(10)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축(32)이 역회전될 때에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본체(10) 중앙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2교반날개(37)는 제1교반날개(34)와 비교하여 지름이 작은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축(32)의 중앙부에서 나선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형성되며, 제1교반날개(34)와 반대 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체(10) 내부에서 혼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은 본체(1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이동된 후에 본체(10)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이동되면서 교반되므로 무말랭이와 양념이 효과적으로 혼합된다.
이때, 본체(10) 및 커버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서 진공압이 형성되므로 불린 무에 포함되는 수분이 진공제공부(70)의 작동에 의해 본체(10) 및 커버부재(12)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무말랭이 내부로 양념이 효과적으로 스며들면서 무말랭이 무침의 맛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진공제공부(70)는,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72)과, 배기관(72)에 설치되고, 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거르는 필터부(74)와, 배기관(72)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고, 필터부(74)에 의해 걸러지는 수분을 모아 분리시키는 분기관(74a)과, 분기관(74a)에 설치되고, 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모아 응축시키는 저장탱크(76)와, 배기관(72)에 설치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78)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2)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고, 측 방향으로 굴곡된 후에 다시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게 설치되는 배기관(72)이 설치되고, 배기관(72)에는 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포집하여 거르는 필터부(74)가 구비되고, 필터부(74)에 설치되는 필터부(74)재에 의해 본체(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설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는 냉각작동을 행하게 된다.
배기관(72)의 하단 측에는 진공펌프(78)가 설치되어 배기관(72)을 따라 본체(10)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하고, 배기관(72)의 일측에는 분기관(74a)이 설치되어 필터부(74)에 의해 걸러진 수분이 단수되는 저장탱크(76)가 설치되며, 저장탱크(76)에는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관(76a) 및 배수관(76a)을 개폐하는 배수밸브(76b)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혼합구동부(50)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52)와, 모터(52)와 회전축(32)을 연결하는 체인(54)을 포함하고, 회전축(32)은 본체(10)의 둘레면 외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부재(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제조방법은,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물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와, 무말랭이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말랭이와 양념을 혼합할 때에 약1~5bar의 진공압이 제공되므로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이 배출되면서 수분이 잔존하던 무말랭이 내부의 공극에 양념이 채워지면서 양념과 무말랭이가 혼합되므로 무말랭이를 제조한 초기에도 무말랭이 내부에 양념이 잘 스며들어 무말랭이 무침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불린 무에 양념을 혼합할 때에 불린 무와 양념이 수납되는 본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불린 무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면서 양념이 불린 무의 내부까지 스며들도록 할 수 있고, 구매자가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때에 무의 내부까지 양념이 배인 고품질의 무말랭이 무침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과 무말랭이 무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커버부재
30 : 혼합부 32 : 회전축
34 : 제1교반날개 36 : 제1지지대
37 : 제2교반날개 38 : 제2지지대
50 : 혼합구동부 52 : 모터
54 : 체인 56 : 베어링부재
70 : 진공제공부 72 : 배기관
74 : 필터부 74a : 분기관
76 : 저장탱크 76a : 배수관
76b : 배수밸브 78 : 진공펌프

Claims (5)

  1.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또는 중앙 측으로 이송시키며 교반하는 제1교반날개; 및
    상기 제1교반날개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의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 측 또는 양단부 측으로 무말랭이 및 양념을 이동시키는 제2교반날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대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혼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이동된 후에 상기 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이동되면서 교반되도록 상기 제1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서 나선 모양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서 나선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교반날개와 반대 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제공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지는 수분을 모아 분리시키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모아 응축시키는 저장탱크; 및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고,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4. (a)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무말랭이를 본체에 수납하고, 진공제공부를 구동시켜 무말랭이로부터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상기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또는 중앙 측으로 이송시키며 교반하는 제1교반날개; 및
    상기 제1교반날개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의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 측 또는 양단부 측으로 무말랭이 및 양념을 이동시키는 제2교반날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대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혼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이동된 후에 상기 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이동되면서 교반되도록 상기 제1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서 나선 모양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서 나선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교반날개와 반대 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
  5. (a) 무를 절단하고 건조하여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무말랭이 100 중량부에 해양심층수 5~15 중량부 및 액젓 3~7 중량부를 첨가하고 1~3 시간 불린 다음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불린 무말랭이를 준비하는 단계; 및
    (c) 무말랭이를 본체에 수납하고, 진공제공부를 구동시켜 무말랭이로부터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물엿 5~10 중량부, 고추가루 3~7 중량부, 간장 2~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찹쌀풀 1~4 중량부, 생강 0.5~3.0 중량부, 깨 0.5~3.0 중량부 및 L-글루타민산나트륨 0.1~2.0 중량부로 구성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무말랭이 및 양념이 투입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
    상기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혼합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가 회전되면서 혼합작용을 행하도록 상기 혼합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혼합구동부; 및
    무말랭이와 양념이 혼합될 때에 무말랭이에 포함되는 수분을 상기 본체 및 커버부재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양념을 무말랭이 내부까지 침투시키도록 상기 혼합구동부가 구동되는 동안에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상기 진공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코일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을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또는 중앙 측으로 이송시키며 교반하는 제1교반날개; 및
    상기 제1교반날개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의 코일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앙 측 또는 양단부 측으로 무말랭이 및 양념을 이동시키는 제2교반날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날개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대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서 혼합되는 무말랭이 및 양념은 상기 본체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이동된 후에 상기 본체의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이동되면서 교반되도록 상기 제1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서 나선 모양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서 나선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교반날개와 반대 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루게 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말랭이 무침.
KR1020180062147A 2018-05-30 2018-05-30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KR10191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47A KR101910159B1 (ko) 2018-05-30 2018-05-30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47A KR101910159B1 (ko) 2018-05-30 2018-05-30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159B1 true KR101910159B1 (ko) 2018-10-19

Family

ID=6410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147A KR101910159B1 (ko) 2018-05-30 2018-05-30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230A (zh) * 2019-05-15 2019-07-23 无穷食品有限公司 卤制装置和卤制系统
CN110252225A (zh) * 2019-05-19 2019-09-20 南京汇科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低密度聚氨酯组合料生产用混合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920B1 (ko) * 2016-06-21 2017-09-08 이지연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920B1 (ko) * 2016-06-21 2017-09-08 이지연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무말랭이 무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230A (zh) * 2019-05-15 2019-07-23 无穷食品有限公司 卤制装置和卤制系统
CN110252225A (zh) * 2019-05-19 2019-09-20 南京汇科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低密度聚氨酯组合料生产用混合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159B1 (ko) 무말랭이 무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말랭이 무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말랭이 무침
KR101921283B1 (ko)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갈비
RU229899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московские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луком"
KR101583804B1 (ko) 갓 피클과 이의 제조방법
CN103892320A (zh) 一种具有酱香风味鸡翅的制备方法
CN106307144A (zh) 洋葱杀菌发酵鸡肉料理包及其制备方法
RU22996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язык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хреном"
KR101678726B1 (ko) 함초, 줄풀, 조릿대잎 및 옻진액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염식 약초 간장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2108B1 (ko) 동결건조를 이용한 김치 스낵의 제조방법
KR102037760B1 (ko)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KR101796721B1 (ko) 저염 김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20105141A (ko) 인스턴트 밥식품
JP4202099B2 (ja) 粉末状の加工卵
KR102613144B1 (ko) 전복 게우젓 및 그 제조방법
CN104489524A (zh) 一种鸭血块蚕豆酱及其制备方法
KR102421160B1 (ko) 상온 유통이 가능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516552B1 (ko) 소한마리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소한마리탕
CN115336721B (zh) 一种瘦身鱼鱼饼及其加工工艺
KR102278205B1 (ko) 매생이 크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생이 크림 파스타
KR100854912B1 (ko) 전복 고추장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950B1 (ko) 돈가스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돈가스 소스
KR102004706B1 (ko) 오이절임 제조방법
CN108850889A (zh) 以八角叶为基料的水产食品专用腌制调理组合物及制备方法与应用
CN108618050B (zh) 一种泡椒用发酵液
KR101943587B1 (ko) 파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발효액을 이용한 발효양념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