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44B1 -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844B1
KR101902844B1 KR1020170074165A KR20170074165A KR101902844B1 KR 101902844 B1 KR101902844 B1 KR 101902844B1 KR 1020170074165 A KR1020170074165 A KR 1020170074165A KR 20170074165 A KR20170074165 A KR 20170074165A KR 101902844 B1 KR101902844 B1 KR 10190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creen printing
pistons
conve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백
김재성
이재국
엄정환
조제상
Original Assignee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피스톤을 복수의 열(列)로 정렬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부 전방 측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지하면서, 복수의 열(列) 중 어느 하나의 열(列)에서 진출한 피스톤을 받아 수용한 후 다음으로 인계하는 인계부와, 상기 인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계부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의 상면 중 해당 어느 한 지점이 해당 방향을 향하게 상기 피스톤의 방향을 정정한 후 전달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를 통해 전달받은 피스톤의 외주면에 도료를 스크린 인쇄하는 스크린인쇄부 및 상기 스크린인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인쇄부에서 스크린인쇄를 마친 피스톤을 수거하여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여, 피스톤의 공급,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도막 형성, 배출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품질 저하에 따른 생산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이송 및 도막 형성공정을 실시하므로, 불량품 발생이 낮아지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Piston Coating System Using Screen Printing}
본 발명은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피스톤을 일렬로 줄을 잇도록 하고, 회전하는 원통지그에 거치시켜, 거치된 피스톤의 외주면 중 일부분에 스크린 인쇄한 후,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소재를 보호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재질이 있고 그 외면을 장식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하나의 방법이 도료를 이용하여 외면에 색상을 가하는 도장방법이다.
이러한 소재에 도장을 실시할 때는 한 개씩 개별적으로 도장을 하거나 수작업으로 도장을 가한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고 생산능률 면에서 당연히 문제가 많은 것인데, 종래에도 이러한 효율성과 생산성의 문제로 인하여 최대한 자동으로 도장이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제품을 동시에 도장하는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02-0058219호(2002.07.12)에서는 일예로 피스톤의 외주면에 코팅액을 도장하는 장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도장장치들은 도장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치들과 공간의 배열이 비효율적이고 소재의 공급과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여 중간,중간에 소재가 대기하는 시간이 많거나 적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도장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의 발생이 높았으며, 생산능률이 높지 못하여 자동 도장장치로서 유용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도장에 소요되는 비용의 인상만 반복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자동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도장작업을 이루기 위하여는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타이밍으로 소재를 공급하여 주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도장장치에서는 수작업에 의존하여 소재를 공급하게 되므로 원활한 연속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비능률적인 도장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대형의 도장 가공장치를 사용하여 도장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장 라인을 자동화시키기 위한 작업공간이 보다 많이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지출되는 부분이 크게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스톤의 공급,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도막 형성, 배출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피스톤의 공급과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피스톤의 적체를 예방하고,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도막 형성공정을 실시하여,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품질 저하에 따른 생산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피스톤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이송 및 도막 형성공정을 실시하므로, 불량품 발생이 낮아지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은 다수 개의 피스톤을 복수의 열(列)로 정렬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부 전방 측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지하면서, 복수의 열(列) 중 어느 하나의 열(列)에서 진출한 피스톤을 받아 수용한 후 다음으로 인계하는 인계부와, 상기 인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계부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의 상면 중 해당 어느 한 지점이 해당 방향을 향하게 상기 피스톤의 방향을 정정한 후 전달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를 통해 전달받은 피스톤의 외주면에 도료를 스크린인쇄하는 스크린인쇄부와, 상기 스크린인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인쇄부에서 스크린인쇄를 마친 피스톤을 수거하여 이송하는 제2이송부가 포함되는데, 상기 인계부는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인계된 피스톤을 내부에 수용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좌, 우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로 피스톤의 진입을 안내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순간 이동에도 관성에 의해 피스톤이 상기 캐리어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단속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를 선택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다수 개의 피스톤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상부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간격들 사이로 피스톤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전방 측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스토퍼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피스톤의 진출을 단속하면서, 복수의 열(列)을 차례로 개방하여 복수의 열(列)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스톤들을 차례로 진출시키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의 전방 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레일을 따라 전, 후진하면서 상기 단속부의 개방으로 진출하는 피스톤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쉬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인계부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중간이송수단과, 상기 중간이송수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이송수단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피스톤들의 상면을 각각 촬영하는 비젼수단과, 상기 중간이송수단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이송수단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피스톤을 테이블 상에 수용하면서 피스톤의 상면 중 해당 어느 한 지점이 해당 방향을 향하게 테이블을 회전시켜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비젼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스톤 상면의 이미지를 기초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의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크린인쇄부는 상기 피스톤의 진출방향인 전, 후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방향을 축으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피스톤을 거치하는 복수 개의 원통지그를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원통지그들을 해당 각도만큼 공전시키는 거치휠과, 상기 거치휠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휠의 회전에 의해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스크린인쇄를 실시하는 스크린인쇄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휠의 일측면과 대향진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통지그에 거치된 피스톤에 선택적으로 면접하여, 상기 원통지그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향전환부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블에 수용된 피스톤을 핑거로 집은 후 전, 후방향을 축으로 직각 회전하여 상기 거치휠의 원통지그에 피스톤을 거치하는 제1에어핑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거치휠에 회전으로 위치에 위치하는 피스톤을 집은 후 전,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치휠의 원통지그에서 스크린인쇄 공정을 마친 피스톤을 수거하는 제2이송부로 반출하는 제2에어핑거와, 상기 제2에어핑거에 의해 반출되는 피스톤을 상면에 안치하면서, 안치된 피스톤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피스톤의 공급,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도막 형성, 배출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피스톤의 공급과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피스톤의 적체를 예방하고,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도막 형성공정을 실시하여, 도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품질 저하에 따른 생산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피스톤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이송 및 도막 형성공정을 실시하므로, 불량품 발생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중 중간이송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중 방향전환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이송부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이송부의 푸쉬수단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이송부에서 인계부로 피스톤을 전달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향전환부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향전환부에서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한 후 제1에어핑거로 제공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에어핑거로 거치휠에 피스톤을 거치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에 스크린인쇄를 실시하기 위해 거치휠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인쇄수단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막이 형성된 피스톤이 제2에어핑거에 의해 제2이송부로 반출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피스톤을 일렬로 줄을 잇도록 하고, 회전하는 원통지그에 거치시켜, 거치된 피스톤의 외주면 중 일부분에 스크린 인쇄한 후, 후공정으로 공급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부터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은 제1이송부(100), 인계부(200), 방향전환부(300), 스크린인쇄부(400) 및 제2이송부(500)를 포함한다.(본 발명에서 방위를 지시하는 일측 및 타측 또는 전방 및 후방은 피스톤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는데, 피스톤이 반출되는 방위가 일측 또는 전방이고, 피스톤이 반입되는 방위가 타측 또는 후방이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한 상기 제1이송부(100)는 스크린인쇄 공정을 실시할 다수 개의 피스톤(1)을 복수의 열(列)로 정렬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제1이송부(100)는 스크린인쇄 공정을 실시할 다수 개의 피스톤(1)을 상면에 놓은 상태로 전방을 향해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는 전방 끝의 구동용 풀리와 후방 끝의 풀리 및 중간의 아이들러(지지 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 벨트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제1가이드레일(120)이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의 상면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다수 개의 피스톤(1)들이 복수의 열(列)로 정렬되어 이송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0)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피스톤의 직경에 대응하는 거리)을 두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 상부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120) 간격(이송통로)들 사이로 피스톤(1)들이 일렬로 줄을 잇도록 정렬되어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기 제1가이드레일(1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됨에 따라 다수 개의 피스톤(1)들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20)을 따라 복수의 열(列)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 전방 측에는 단속부(130)를 구비하는데, 상기 단속부(130)는 전방으로 이송되는 피스톤(1)의 진출을 단속하면서, 복수의 열(列)을 순차로 개방하여 복수의 열(列)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스톤(1)들을 차례로 진출시킨다.
이때 상기 단속부(13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의 좌, 우에 각각 세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131)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31)의 상단을 가로로 연결하는 제1가로바(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로바(13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列)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복수 개의 스토퍼(133)를 구비하는데, 상기 스토퍼(133)들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2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열(列) 각각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133)의 하강으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피스톤(1)의 진출을 단속하면서, 상승으로 복수의 열(列)을 순차로 개방하여 복수의 열(列)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스톤(1)들을 차례로 진출시킨다.
상기 스토퍼(133)는 각각의 열(列)에서 피스톤(1)을 하나씩 진출시키도록, 복수 개의 스토퍼(133)가 각각 순서에 의해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스톤(1)을 단속부(130)에서 하나씩 진출시킴에 따라 상기 피스톤(1)들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부(130)의 전방 측에는 푸쉬수단(140)을 구비하는데, 상기 푸쉬수단(14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레일(141)에 세로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141)을 따라 전, 후진하는 한 쌍의 지지대(142)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142) 상단을 가로로 연결한 제2가로바(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로바(143)에는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밀대(144)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수단(140)은 상기 단속부(130)의 개방으로 진출한 피스톤(1)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해, 상기 밀대(144)가 상승하면 한 쌍의 지지대(142)가 레일(141)을 따라 해당 거리로 후진하고, 후진이 완료되면 상기 밀대(144)가 하강하여, 상기 피스톤(1)의 배후에 상기 밀대(144)가 위치하게 되면서, 다시 한 쌍의 지지대(142)가 레일(141)을 따라 해당 거리로 전진하면 상기 밀대(144)가 전진하면서 피스톤(1)을 전방으로 밀어준다.
이때 상기 푸쉬수단(1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을 인계부(200)까지 전달되도록 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100)의 상기 푸쉬수단(140) 전방에는 인계부(200)를 배치하는데, 상기 인계부(200)는 상기 제1이송부(100) 전방 측의 좌, 우를 이동 또는 정지하면서, 복수의 열(列) 중 어느 하나의 열(列)에서 진출한 피스톤(1)을 받아 수용한 후 다음으로 인계한다.
이때 상기 인계부(200)에는 상기 피스톤(1)의 진입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 수용되는 캐리어(210)를 구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로 캐리어(210)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210)의 순간 이동에도 피스톤(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2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캐리어(210)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210)를 선택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미부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210)의 전방 측에도 피스톤(1)의 진출을 단속하는 스토퍼(220)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220)의 선택적인 승강으로 상기 인계부(200)에서의 피스톤(1)의 진출을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인계부(200)의 전방에는 방향전환부(300)를 배치하는데, 상기 방향전환부(300)는 상기 인계부(200)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1)의 방향을 해당 방향으로 전환하여 전달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향전환부(300)를 살펴보면, 상기 방향전환부(300)는 중간이송수단(310), 비젼수단(320), 방향전환수단(330)을 포함하는데, 먼저 중간이송수단(310)은 상기 인계부(2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계부(200)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1)들을 전방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은 상기 인계부(200)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1)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1)을 하나씩 인계받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311)이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311)의 간격 사이로 상기 피스톤(1)이 이송되는 이송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311)에 의해 형성된 이송통로의 바닥 중앙에는 피스톤(1)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31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재(312)는 복수 개로 전, 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이송바(31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이송부재(312)가 이송통로의 바닥 중앙을 출몰하면서 상기 피스톤(1)을 전방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12)는 전, 후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측단면이 상측은 폭이 짧고 하측은 폭이 넓은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있어, 상기 피스톤(1)을 이송하기 위해 이송통로의 바닥에서 출현하여 피스톤(1)들의 사이에 각각 위치할 시, 경사면을 이루는 전, 후측면에 의해 피스톤(1)들이 해당 정위치로 안내됨은 물론, 피스톤(1)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바(313) 상에 구비된 이송부재(312) 중 최전단과 최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이송부재(312)에는 상기 피스톤(1)의 스커트를 파지하기 위해 후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송바(313)는 수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승강액츄레이터(314)의 지지로드(315)에 고정하여, 상기 승강액츄레이터(314)의 구동으로 지지로드(315)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이송바(313)는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액츄레이터(314)의 지지로드(315)는 에어실린더(316)의 피스톤로드(317)에 부싱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로드(315)의 신축에 제약을 주지 않으며, 상기 에어실린더(316)의 피스톤로드(317) 신축으로 상기 승강액츄레이터(314)가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계받은 피스톤(1)들을 상기 이송바(313) 상에 구비된 이송부재(312)들을 통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하는데, 이때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311)에 의해 형성된 이송통로의 하부에 구성된 상기 승강액츄레이터(314)가 지지로드(315)를 신장하여, 상기 이송부재(312)들이 이송통로의 중앙으로 출현하면서 상기 피스톤(1)들을 이송부재(312)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다음으로 상기 에어실린더(316)의 피스톤로드(317)이 신장하면, 상기 이송바(313) 상에 구비된 이송부재(312)들이 전방으로 전진하는데, 상기 이송부재(312)들 사이에 위치하는 피스톤(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제한된 길이로 피스톤로드(317)의 신장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상기 승강액츄레이터(314)의 지지로드(315)가 다시 축소하여, 이송통로의 중앙으로 출현한 상기 이송부재(312)들이 이송통로에서 하부로 사라지면서, 상기 에어실린더(316)의 피스톤로드(317) 역시 그 길이가 원상태로 축소되는 것으로, 상기한 과정을 연속반복 실시로,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은 피스톤(1)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이송수단(310) 상부에는 비젼수단(320)은 위치하는데, 상기 비젼수단(320)은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피스톤(1)들의 상면을 각각 촬영한다.
이때, 촬영된 피스톤 상면 이미지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메모리에 저장되면서, 추후 피스톤(1)의 방향전환을 실시할 시, 피스톤(1) 상태의 비교자료로 활용된다.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의 전방에는 상기 방향전환수단(330)을 배치하는데, 상기 방향전환수단(3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의 전방에서 진출하는 피스톤(1)을 테이블(331)에 수용하면서 피스톤(1)의 핀보스가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테이블(331)을 회전시켜 피스톤(1)의 방향을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비젼수단(320)에 의해 촬영된 피스톤(1) 상면의 이미지를 기초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330)의 테이블(331)을 회전시켜 피스톤(1)의 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을 통해 전달되는 피스톤(1)의 그 방향은 핀보스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피스톤(1)의 핀보스가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상기 중간이송수단(31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방향전환수단(330)의 테이블(331) 상에 안치되고, 상기 방향전환수단(330)에서 피스톤(1)의 핀보스가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테이블(331)을 회전시켜 피스톤(1)의 방향을 전환한다.
이때 상기 테이블(331)의 하부에는 로우터(332)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로우터(332)의 로터축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블(331)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로우터(332)의 상측 내부에는 보스지지대(333)를 내장하는데, 상기 보스지지대(333)는 테이블(331)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몰하여, 상기 피스톤(1)의 핀보스에 위치해 테이블(331)의 회전에도 상기 테이블(331) 상에 안치된 피스톤(1)의 유동 및 이탈을 단속한다.
상기 로우터(332)의 하부는 고정브라켓(334) 상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브라켓(334)의 일측은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수단(335)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수단(3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브라켓(334)이 해당 높이로 승강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334)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승강스토퍼를 상기 승강수단(335)의 상단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300)의 테이블 상에는 제1에어핑거(340)를 배치하는데, 상기 제1에어핑거(340)는 상기 테이블(331)에 수용된 피스톤(1)을 핑거로 집은 후 전, 후방향을 축으로 직각 회전하여, 스크린인쇄부(400)의 거치휠(410)에 상기 피스톤(1)을 거치한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한 상기 스크린인쇄부(400)는 상기 방향전환부(3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전환부(300)를 통해 전달받은 피스톤(1)의 외주면 일부를 도료로 스크린인쇄한다.
상기 스크린인쇄부(400)의 거치휠(410)은 상기 피스톤(1)의 진출방향인 전, 후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방향을 축으로 회전축(41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411)을 축으로 피스톤(1)을 거치하는 복수 개의 원통지그(412)를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4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411)을 축으로 원통지그(412)들을 해당 각도만큼 공전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거치휠(410)에 3개의 원통지그(412)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지그(412)들은 상기 거치휠(4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120°마다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하며, 상기 거치휠(410)이 회전하면 상기 원통지그(412)가 거치휠(410)의 회전축(411)을 축으로 공전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휠(410)은 원통지그(412)에 피스톤(1)을 거치하고, 상기 원통지그(412)에 거치된 피스톤(1)에 스크린인쇄를 실시 하기 위해 120°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지그(412)에는 외향으로 핀돌기(413)를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1)의 핀보스부에 상기 핀돌기(413)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1)이 원통지그(412)에 거치된다.
또한, 상기 원통지그(412)는 좌, 우로 이송되는 스크린부(400)에 설치된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중심축으로 회전(자전)하게 되고, 전동모터의 일측에는 각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에어핑거(340)에 의해 피스톤(1)이 상기 원통지그(412)의 핀돌기(413)에 거치될 시, 상기 핀돌기(413)의 방향이 해당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원통지그(412)의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휠(410)의 상부에는 스크린인쇄수단(4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스크린인쇄수단(420)은 상기 거치휠(410)의 회전에 의해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1)의 외주면을 따라 스크린인쇄를 실시한다.
상기 스크린인쇄수단(420)은 통상의 스크린인쇄와 같이 도료가 수용된 스크린틀 하부에 피스톤(1)이 위치하면, 상기 스크린틀 구비된 스퀴지가 직선 운동하면서 피스톤(1)이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스크린인쇄가 실시된다.
이때, 상기 거치휠(410)의 일측면과 대향진 타측에는 이탈방지수단(430)이 위치하는데, 상기 이탈방지수단(430)은 상기 피스톤에 스크린인쇄가 실시될 시, 상기 원통지그(412)에 거치된 피스톤(1)에 면접하여, 상기 원통지그(412)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인쇄부(400)의 전방에는 제2이송부(500)를 배치하는데, 상기 제2이송부(500)는 상기 스크린인쇄부(400)에서 스크린인쇄를 마친 피스톤(1)을 수거하여 이송한다.
상기 제2이송부(500)는 제2에어핑거(510) 및 제2이송컨베이어(5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에어핑거(510)는 상기 거치휠(410)에 회전으로 위치에 위치하는 피스톤(1)을 집은 후 전, 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치휠(410)의 원통지그(412)에서 스크린인쇄 공정을 마친 피스톤(1)을 수거하여 반출한다.
이때 상기 제2에어핑거(510)에 의해 반출되는 피스톤은 제2이송컨베이어(520)으로 반출되는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520)는 그 상면에 안치된 피스톤(1)을 전방으로 이송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스톤 100: 제1이송부 110: 제1이송컨베이어
120: 제1가이드레일 130: 단속부 131: 지지다리
132: 제1가로바 133: 스토퍼 140: 푸쉬수단
141: 레일 142: 지지대 143: 제2가로바
144: 밀대 200: 인계부 210: 캐리어
220: 스토퍼 300: 방향전환부 310: 중간이송수단
311: 제3가이드레일 312: 이송부재 313: 이송바
314: 승강액츄레이터 315: 지지로드 316: 에어실린더
317: 피스톤로드 320: 비젼수단 330: 방향전환수단
331: 테이블 332: 로우터 333: 보스지지대
334: 고정브라켓 335: 승강수단 340: 제1에어핑거
400: 스크린인쇄부 410: 거치휠 411: 회전축
412: 원통지그 420: 스크린인쇄수단 430: 이탈방지수단
500: 제2이송부 510: 제2에어핑거 520: 제2이송컨베이어

Claims (8)

  1. 다수 개의 피스톤을 복수의 열(列)로 정렬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부 전방 측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지하면서, 복수의 열(列) 중 어느 하나의 열(列)에서 진출한 피스톤을 받아 수용한 후 다음으로 인계하는 인계부와, 상기 인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인계부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의 상면 중 해당 어느 한 지점이 해당 방향을 향하게 상기 피스톤의 방향을 정정한 후 전달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를 통해 전달받은 피스톤의 외주면에 도료를 스크린인쇄하는 스크린인쇄부와, 상기 스크린인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인쇄부에서 스크린인쇄를 마친 피스톤을 수거하여 이송하는 제2이송부가 포함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계부는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인계된 피스톤을 내부에 수용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좌, 우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로 피스톤의 진입을 안내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순간 이동에도 관성에 의해 피스톤이 상기 캐리어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단속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캐리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를 선택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면에 놓인 다수 개의 피스톤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상부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간격들 사이로 피스톤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안내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전방 측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스토퍼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피스톤의 진출을 단속하면서, 복수의 열(列)을 차례로 개방하여 복수의 열(列)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스톤들을 차례로 진출시키는 단속부와;
    상기 단속부의 전방 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레일을 따라 전, 후진하면서 상기 단속부의 개방으로 진출하는 피스톤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쉬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인계부를 통해 인계받은 피스톤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중간이송수단과;
    상기 중간이송수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이송수단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피스톤들의 상면을 각각 촬영하는 비젼수단과;
    상기 중간이송수단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이송수단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피스톤을 테이블 상에 수용하면서 피스톤의 상면 중 해당 어느 한 지점이 해당 방향을 향하게 테이블을 회전시켜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비젼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스톤 상면의 이미지를 기초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의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인쇄부는
    상기 피스톤의 진출방향인 전, 후방향과 직교하는 좌, 우방향을 축으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피스톤을 거치하는 복수 개의 원통지그를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원통지그들을 해당 각도만큼 공전시키는 거치휠과;
    상기 거치휠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휠의 회전에 의해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의 외주면을 따라 스크린인쇄를 실시하는 스크린인쇄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치휠의 일측면과 대향진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통지그에 거치된 피스톤에 선택적으로 면접하여, 상기 원통지그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의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블에 수용된 피스톤을 핑거로 집은 후 전, 후방향을 축으로 직각 회전하여 상기 거치휠의 원통지그에 피스톤을 거치하는 제1에어핑거;를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거치휠에 회전으로 위치에 위치하는 피스톤을 집은 후 전,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거치휠의 원통지그에서 스크린인쇄 공정을 마친 피스톤을 수거하여 반출하는 제2에어핑거와;
    상기 제2에어핑거에 의해 반출되는 피스톤을 상면에 안치하면서, 안치된 피스톤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KR1020170074165A 2017-06-13 2017-06-13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KR10190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165A KR101902844B1 (ko) 2017-06-13 2017-06-13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165A KR101902844B1 (ko) 2017-06-13 2017-06-13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844B1 true KR101902844B1 (ko) 2018-10-04

Family

ID=6386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165A KR101902844B1 (ko) 2017-06-13 2017-06-13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889A (zh) * 2021-11-09 2022-02-25 如皋市天元服饰印业有限公司 一种自动椭圆印花机链式传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92B1 (ko) * 2010-09-17 2011-04-04 김동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KR101460940B1 (ko) * 2014-04-03 2014-11-13 김동수 드럼통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92B1 (ko) * 2010-09-17 2011-04-04 김동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KR101460940B1 (ko) * 2014-04-03 2014-11-13 김동수 드럼통 인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889A (zh) * 2021-11-09 2022-02-25 如皋市天元服饰印业有限公司 一种自动椭圆印花机链式传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6736B2 (en) Workpiece transfer and printing
KR101465283B1 (ko) 중앙정치장치
KR20110020272A (ko) 차세대 스크린 프린팅 시스템
KR870001903A (ko) 음극선관 페이스플레이트(faceplate) 자동 연마방법 및 장치
RU201713528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шин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м процессе и установке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0363658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
CN104321858A (zh) 用于二维基板的加工站与用于加工二维基板的方法
KR101170985B1 (ko) 정렬부재를 구비한 자재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이송 방법
KR20160111601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902844B1 (ko)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KR101878768B1 (ko) 프린트 기판용 반송장치
KR101374670B1 (ko) 카세트 이송 장치
KR20210118503A (ko)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소재 이송형 컨베이어 장치
TW201921153A (zh) 曝光裝置
JP6437707B2 (ja) 基板搬送装置
JP6419483B2 (ja) 菓子類の整列装置
CN112595725A (zh) 一种检测载物台及检测系统
JP2564683B2 (ja) ストレージ装置
KR101240546B1 (ko) 장방형 구조로 배열된 전자 부품의 이동 방법 및 장치
JP2004172438A (ja) 基板搬送装置
JP2718148B2 (ja) アキューム装置
JP4259204B2 (ja) 短尺薄物材料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2022002282A (ja) 搬送装置、基板処理装置
CN115504233A (zh) 旋转装置、料箱转运设备及调节料箱角度的方法
KR20200121563A (ko) 고속 트랜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