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892B1 -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6892B1 KR101026892B1 KR1020100091390A KR20100091390A KR101026892B1 KR 101026892 B1 KR101026892 B1 KR 101026892B1 KR 1020100091390 A KR1020100091390 A KR 1020100091390A KR 20100091390 A KR20100091390 A KR 20100091390A KR 101026892 B1 KR101026892 B1 KR 101026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chucking
- block
- squeege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B41F15/423—Driving means for reciprocating squeeg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B41F15/46—Squeegees or doctors with two or more operativ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2—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실질적인 인쇄 작업을 진행하는 스크린 인쇄유닛; 스크린 인쇄유닛의 하부 영역에서 장치본체에 결합되며, 인쇄 작업위치로 패널을 위치 고정시키는 패널 지지유닛;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을 장치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 로봇; 및 스크린 인쇄유닛, 패널 지지유닛 및 취출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회전 가능한 원반 형상을 갖는 인덱스 테이블;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그; 및 상기 지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바깥쪽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패널을 척킹하는 다수의 척킹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정밀도의 인쇄를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택트 타임은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밀도의 인쇄를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택트 타임은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폰이나 스마트 폰 또는 네비게이션, 디지털카레라 등을 보면 평판형으로 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에 테두리와 문양 등이 인쇄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쇄 패턴은 회사 로고나 필요한 버튼 등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쇄 작업을 위한 다양한 인쇄장치가 개발 예정이거나 일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인쇄장치의 경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작이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인쇄를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상 불량률이 높아지는 등 공정 수율이 떨어지며, 또한 인쇄 작업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이 증가하여 생산성 저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정밀도의 인쇄를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택트 타임은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장치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실질적인 인쇄 작업을 진행하는 스크린 인쇄유닛;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며, 인쇄 작업위치로 상기 패널을 위치 고정시키는 패널 지지유닛; 상기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을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 로봇; 및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 및 상기 취출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회전 가능한 원반 형상을 갖는 인덱스 테이블;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그; 및 상기 지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바깥쪽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패널을 척킹하는 다수의 척킹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은, 상기 패널의 제1 변과 상기 제1 변에 교차되는 제2 변을 1차로 척킹하는 제1 척킹블록; 상기 제1 척킹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척킹블록에 상기 패널이 척킹된 후에 상기 제2 변과 마주보는 상기 패널의 제3 변을 가압하여 2차로 척킹하는 제2 척킹블록; 및 상기 제1 및 제2 척킹블록에 상기 패널이 척킹된 후에 상기 제1 변과 마주보는 상기 패널의 제4 변을 가압하면서 3차로 척킹하는 제3 척킹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에는 상기 패널과의 접촉 영역에 접촉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에 의한 척킹 작업 전에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을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승시키고, 척킹 작업 후에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을 하강시키는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그 각각은, 상기 패널이 로딩되는 로딩면을 구비하며, 상기 로딩면에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는 로딩블록; 및 상기 로딩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면이 상기 로딩면보다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출 로봇은, 상기 패널의 양측면을 집게 형상으로 파지하는 집게형 파지 행거; 및 상기 집게형 파지 행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딩블록의 양쪽면에는 상기 집게형 파지 행거의 파지 동작을 위한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은, 일측에서 스텐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텐실 결합부; 상기 스텐실 위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를 압착하는 스퀴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퀴지 결합부; 상기 스퀴지 결합부를 지지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좌우 이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좌우 방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은, 상기 스퀴지 결합부에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단부에 나이프가 착탈 결합되는 나이프 결합부;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스퀴지 결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스퀴지 업/다운 구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나이프 결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나이프 업/다운 구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덱스, 모터 등 구동장치 또는 기계조립시 발생되는 오차와 상관없이 별도의 패널지지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므로, 고정밀도의 인쇄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투입시 간단하게 지그에 인쇄방향만 맞추어 올려 주면 자동으로 얼라인이 되므로,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택트 타임은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스크린 인쇄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지그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되기 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된 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스크린 인쇄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지그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되기 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된 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스크린 인쇄유닛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지그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되기 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척킹된 후의 지그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는 스크린 인쇄방식이 적용된 것으로서, 장치본체(10), 스크린 인쇄유닛(15), 패널 지지유닛(20), 취출 로봇(40), 그리고 이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8)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0)는 장비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강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장치본체(10)의 하부 영역에는 각종 전기 또는 기계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장치본체(10)의 하부에는 다수의 푸트부재(11a,11b)가 마련된다. 다수의 푸트부재(11a,11b) 중 하나의 푸트부재(11a)는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데,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하나의 푸트부재(11b)는 본 실시예의 인쇄장치를 위치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스크린 인쇄유닛(15)은 장치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P)에 대한 실질적인 인쇄 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스크린 인쇄유닛(15)은, 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실 결합부(50), 스퀴지 결합부(60), 나이프 결합부(70), 좌우 이동부재(80) 및 좌우 방향 구동부(90, 도 1 참조)를 구비한다.
스텐실 결합부(50)는 스텐실(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스텐실(1)은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서 인쇄 막의 형상이 패터닝(patterning)된 판상체이며, 소위, 스크린 마스크라 불리기도 한다.
스텐실(1)이 사각의 판체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스텐실 결합부(50)는 스크린 인쇄유닛(15)의 양측에서 상호 동일한 구조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양쪽에서 스텐실(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텐실(1)의 사이즈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스텐실 결합부(50)는 위치 고정된 타입이 아닌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스텐실 결합부(50)는 도 4의 도면에서 좌우 방향 외에도 전후 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텐실 결합부(50), 스텐실(1)의 단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홀더(52)와, 홀더(52)의 주변에 마련되어 홀더(5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스텐실(1)을 단부를 홀더(52) 내의 일측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53)과, 가압판(53)과 연결되어 가압판(53)을 이동시키는 판이동부재(54)를 구비한다. 이에, 홀더(52)의 내부로 스텐실(1)을 단부를 끼워 넣은 후에 판이동부재(54)를 조여 가압판(53)을 이동시킴으로써 손쉽게 스텐실(1)을 해당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스퀴지 결합부(60)는 스퀴지(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고, 나이프 결합부(70)는 나이프(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스퀴지(2)는 스텐실(1) 위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를 압착하는 역할을 하고, 나이프(3)는 스퀴지(2)의 동작 후에 스텐실(1)의 표면에 잉크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스퀴지(2)와 나이프(3)의 역할이 서로 다르고 또한 그 모양 및 재질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이들은 고정체(61,71)와, 스퀴지(2)와 나이프(3)를 사이에 두고 고정체(61,71)에 대해 결합되면서 고정체(61,71)와 함께 스퀴지(2)와 나이프(3)를 지지하는 지지체(62,72)를 구비한다. 지지체(62,72)는 고정체(61,7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는 모두가 좌우 이동부재(80)에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좌우 이동부재(80)의 좌우 방향 이동 시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는 함께 이동된다.
다만, 스퀴지(2)와 나이프(3)가 동시에 스텐실(1)의 표면에 접촉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스퀴지(2)와 나이프(3)의 동작은 상호간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퀴지(2)와 나이프(3)가 결합된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가 개별적으로 또한 유기적으로 업/다운(up/down) 구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퀴지 업/다운 구동부재(65)와 나이프 업/다운 구동부재(75)가 마련된다. 스퀴지 업/다운 구동부재(65)와 나이프 업/다운 구동부재(75)는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와 함께 좌우 이동부재(80)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부재(80)와 함께 동작된다. 참고로, 스퀴지(2)와 나이프(3)는 도면처럼 약간 경사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도면에 보면 스퀴지(2)는 일자형으로 마련되고 나이프(3)는 절곡된 구조로 마련되나 나이프(3) 역시 스퀴지(2)처럼 일자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좌우 이동부재(80)는, 스퀴지 결합부(60)와 나이프 결합부(7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스퀴지 결합부(60) 및 나이프 결합부(70)와 함께 도 4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좌우 이동부재(80)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해 마련되는 좌우 방향 구동부(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이동부재(80)의 좌우 방향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모터, 스프로켓 및 체인 구조에 의해 좌우 이동부재(80)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혹은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 구조에 의해 좌우 이동부재(8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패널 지지유닛(20)은 스크린 인쇄유닛(15)의 하부 영역에서 장치본체(10)에 결합되며, 인쇄 작업위치로 패널(P)을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널 지지유닛(20)은, 인덱스 테이블(21), 다수의 지그(25), 그리고 다수의 척킹블록(31,32,33)을 구비한다.
인덱스 테이블(21)은 회전 가능한 원반 형상을 갖는다. 인덱스 테이블(21)이 회전하면서 이의 동작에 연동하여 스크린 인쇄유닛(15)이 패널(P)에 인쇄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쇄장치의 경우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인덱스 테이블(21)은 그 하부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인덱스 분할 각도에 의해 정해진 피치만큼 또한 정해진 시간만큼 회전 동작된다.
인덱스 테이블(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취출 로봇(40)의 도 2의 평면 구조에서 좌측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인데, 만약에 취출 로봇(40)이 도 2의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인덱스 테이블(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그(25)는 인덱스 테이블(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하나의 지그(25)에 하나의 패널(P)이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수의 지그(25)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지그(25)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지그(25)는 패널(P)이 로딩되는 로딩면(26a)을 구비하는 로딩블록(26)과, 로딩블록(26)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면이 로딩면(26a)보다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블록(27)을 구비한다.
연결블록(27)이 로딩블록(26)보다 약간 상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인쇄 작업 대상의 패널(P)은 로딩블록(26)의 상면인 로딩면(26a)에 로딩되기에 편리하다.
로딩면(26a)에는 다수의 진공홀(26b)이 형성된다. 진공홀(26b)들은 실질적인 인쇄 작업이 진행되기 전에 진공압에 의해 패널(P)을 견고하게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로딩블록(26)의 양쪽면에는 후술할 집게형 파지 행거(41)의 파지 동작을 위한 한 쌍의 홈부(26c)가 더 형성된다.
다수의 척킹블록(31,32,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5)를 기준으로 하여 인덱스 테이블(21)의 바깥쪽과 인덱스 테이블(21)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며, 패널(P)을 향해 이동되면서 패널(P)을 척킹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척킹블록(31,32,33)은, 인덱스 테이블(21)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패널(P)의 바깥쪽 장변인 제1 변과 제1 변에 교차되는 단변인 제2 변을 1차로 척킹하는 제1 척킹블록(31)과, 제1 척킹블록(31)과 연결되며 제1 척킹블록(31)에 패널(P)이 척킹된 후에 제2 변과 마주보는 패널(P)의 제3 변을 가압하여 2차로 척킹하는 제2 척킹블록(32)과, 인덱스 테이블(21)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3 척킹블록(33)을 구비한다. 제3 척킹블록(33)은 제1 및 제2 척킹블록(31,32)에 패널(P)이 척킹된 후에 제1 변과 마주보는 패널(P)의 제4 변을 가압하면서 3차로 척킹한다.
제1 내지 제3 척킹블록(31,32,33)은 도 6처럼 후퇴 위치에 있다가 차례대로 전진되면서 도 7처럼 패널(P)을 척킹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척킹블록(31,32,33)은 제1 내지 제3 수평이동 액추에이터(31a,32a,33a)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내지 제3 수평이동 액추에이터(31a,32a,33a)는 공압 실린더, 유압 혹은 유공압 복합 실린더일 수도 있고, 아니면 리니어 모터일 수도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및 제3 수평이동 액추에이터(32a,33a)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되고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수평이동 액추에이터(31a) 역시 공압 실린더로 적용된다.
스크린 인쇄유닛(15)의 정밀한 인쇄 위치 조절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슬라이더(38a)와 좌우 슬라이더(38b)가 레일(38c,38d)에 의해 연결되면서 동력전달부(38e)에 의해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스크린 인쇄유닛(15)은 전후 슬라이더(38a)에 연결되어 정밀한 인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정한 만큼의 거리를 알아볼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38a) 측에 다이얼게이지를 부착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수동 조절을 위한 다수의 레버(38f)가 더 마련된다.
제1 내지 제3 척킹블록(31,32,33)에는 패널(P)과의 접촉 영역에 접촉핀(34)이 결합된다. 패널(P)과의 면 접촉보다는 점 접촉을 이루는 것이 패널(P)의 유동을 방지하여 인쇄 공차를 줄이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접촉핀(34)이 마련된다. 접촉핀(34)은 직접적으로 패널(P)에 닿기 때문에 마모가 적은 강도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널 지지유닛(20)은 제1 및 제3 척킹블록(31,33)에 각각 연결되며 다수의 척킹블록(31~33)에 의한 척킹 작업 전에 제1 및 제3 척킹블록(31,33)을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승시키고, 척킹 작업 후에 제1 및 제3 척킹블록(31,33)을 하강시키는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36,3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36,37) 역시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취출 로봇(40)은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P)을 장치본체(10)로부터 취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취출 로봇(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의 양측면을 집게 형상으로 파지하는 집게형 파지 행거(41)와, 집게형 파지 행거(41)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를 구비한다.
집게형 파지 행거(41)는 로딩블록(26)의 양쪽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홈부(26c)에 끼워지는 형태로 패널(P)을 파지하기 때문에 패널(P)의 파지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취출 로봇(40)은 도 4의 점선에서 실선, 혹은 실선에서 점선으로 이동되면서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P)을 장치본체(10)의 외측으로 취출시킨다. 따라서 취출 로봇(40)은 컬럼(43)의 상단 레일(44)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취출 로봇(40)의 일련의 동작 역시 컨트롤러(18)에 의해 컨트롤된다.
컨트롤러(18)는 스크린 인쇄유닛(18), 패널 지지유닛(20) 및 취출 로봇(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컨트롤러(18)는 패널 지지유닛(20)에 의해 패널(P)이 인쇄 작업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스크린 인쇄유닛(18)에 의해 인쇄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 다음, 취출 로봇(40)에 의해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P)을 취출시키는 일련의 프로세서를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MEMORY),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MEMORY)는 중앙처리장치와 동작으로 연결되는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서포트 회로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에 의한 컨트롤 프로세스는 아래의 동작 설명에서 추가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척킹블록(31,32)과 제3 척킹블록(33)이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36,37)에 의해 대략 수 밀리미터 정도 업(up)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덱스 테이블(21)에 의해 패널(P)이 인쇄 작업위치에 도달되면, 우선 제1 척킹블록(31)이 동작되어 패널(P)의 바깥쪽 장변인 제1 변과 제1 변에 교차되는 단변인 제2 변을 1차로 척킹한다. 사실 제1 척킹블록(31)에 의한 척킹 동작은 척킹이라는 의미보다는 위치를 잡는 역할일 수 있다.
다음, 제2 척킹블록(32)이 제2 변과 마주보는 패널(P)의 제3 변을 가압하여 제1 척킹블록(31)과 함께 2차로 척킹한다. 이처럼 제1 및 제2 척킹블록(31,32)에 패널(P)이 척킹된 후에는 제3 척킹블록(33)이 제1 변과 마주보는 패널(P)의 제4 변을 가압하면서 3차로 척킹한다.
제1 내지 제3 척킹블록(31~33)에 의한 척킹이 완료되면,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36,37)에 의해 제1 및 제2 척킹블록(31,32)과 제3 척킹블록(33)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다운(down)되고, 이어 로딩블록(26)의 진공홀(26b)들로 진공압이 형성됨으로써 패널(P)은 흔들림 없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패널(P)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 고정한 상태에서 인쇄를 진행하게 되면 단지 전용 지그(미도시)에 위치시켜 인쇄하는 경우보다 정밀도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패널(P)의 위치고정이 완료되면, 스크린 인쇄유닛(15)에 의한 인쇄 작업이 진행된다. 즉 스텐실 결합부(50)에 스텐실(1)을 결합시킨 후에, 스퀴지(2)가 스텐실(1) 위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를 압착하면, 스텐실(1)로부터의 잉크는 패널(P)의 표면으로 재전이되면서 인쇄된다.
스크린 인쇄유닛(15)에 의한 인쇄 작업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척킹블록(31~33)이 순차적으로 후퇴되고, 이어 제1 및 제2 척킹블록(31,32)과 제3 척킹블록(33)이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36,37)에 의해 대략 수 밀리미터 정도 다시 업(up)되어 초기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덱스 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해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P)이 취출위치에 도달되면, 도 4의 화살표처럼 취출 로봇(40)의 집게형 파지 행거(41)가 패널(P)을 집어 취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에 따르면, 높은 정밀도의 인쇄를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P)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택트 타임은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장치본체 11a,11b : 푸트부재
15 : 스크린 인쇄유닛 18 : 컨트롤러
20 : 패널 지지유닛 21 : 인덱스 테이블
25 : 지그 31,32,33 : 척킹블록
34 : 접촉핀 36 : 제1 업/다운 구동부
37 : 제3 업/다운 구동부 50 : 스텐실 결합부
60 : 스퀴지 결합부 70 : 나이프 결합부
80 : 좌우 이동부재 90 : 좌우 방향 구동부
15 : 스크린 인쇄유닛 18 : 컨트롤러
20 : 패널 지지유닛 21 : 인덱스 테이블
25 : 지그 31,32,33 : 척킹블록
34 : 접촉핀 36 : 제1 업/다운 구동부
37 : 제3 업/다운 구동부 50 : 스텐실 결합부
60 : 스퀴지 결합부 70 : 나이프 결합부
80 : 좌우 이동부재 90 : 좌우 방향 구동부
Claims (8)
- 장치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실질적인 인쇄 작업을 진행하는 스크린 인쇄유닛;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며, 인쇄 작업위치로 상기 패널을 위치 고정시키는 패널 지지유닛;
상기 인쇄 작업이 완료된 패널을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 로봇; 및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 상기 패널 지지유닛 및 상기 취출 로봇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회전 가능한 원반 형상을 갖는 인덱스 테이블;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그; 및
상기 지그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바깥쪽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안쪽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패널을 척킹하는 다수의 척킹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은,
상기 패널의 제1 변과 상기 제1 변에 교차되는 제2 변을 1차로 척킹하는 제1 척킹블록;
상기 제1 척킹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척킹블록에 상기 패널이 척킹된 후에 상기 제2 변과 마주보는 상기 패널의 제3 변을 가압하여 2차로 척킹하는 제2 척킹블록; 및
상기 제1 및 제2 척킹블록에 상기 패널이 척킹된 후에 상기 제1 변과 마주보는 상기 패널의 제4 변을 가압하면서 3차로 척킹하는 제3 척킹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에는 상기 패널과의 접촉 영역에 접촉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척킹블록에 의한 척킹 작업 전에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을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승시키고, 척킹 작업 후에 상기 제1 및 제3 척킹블록을 하강시키는 제1 및 제3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그 각각은,
상기 패널이 로딩되는 로딩면을 구비하며, 상기 로딩면에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는 로딩블록; 및
상기 로딩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면이 상기 로딩면보다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로봇은,
상기 패널의 양측면을 집게 형상으로 파지하는 집게형 파지 행거; 및
상기 집게형 파지 행거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블록의 양쪽면에는 상기 집게형 파지 행거의 파지 동작을 위한 한 쌍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은,
일측에서 스텐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텐실 결합부;
상기 스텐실 위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를 압착하는 스퀴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퀴지 결합부;
상기 스퀴지 결합부를 지지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좌우 이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좌우 방향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인쇄유닛은,
상기 스퀴지 결합부에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단부에 나이프가 착탈 결합되는 나이프 결합부;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스퀴지 결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스퀴지 업/다운 구동부재; 및
상기 좌우 이동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나이프 결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나이프 업/다운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390A KR101026892B1 (ko) | 2010-09-17 | 2010-09-17 |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390A KR101026892B1 (ko) | 2010-09-17 | 2010-09-17 |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6892B1 true KR101026892B1 (ko) | 2011-04-04 |
Family
ID=4404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1390A KR101026892B1 (ko) | 2010-09-17 | 2010-09-17 |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68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2844B1 (ko) * | 2017-06-13 | 2018-10-04 |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3031A (ja) * | 1998-09-28 | 2000-04-11 | Tani Denki Kogyo Kk | ウェハ用半田印刷装置 |
KR100982081B1 (ko) * | 2010-03-17 | 2010-09-13 | 김동수 | 스크린 프린터 |
-
2010
- 2010-09-17 KR KR1020100091390A patent/KR1010268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3031A (ja) * | 1998-09-28 | 2000-04-11 | Tani Denki Kogyo Kk | ウェハ用半田印刷装置 |
KR100982081B1 (ko) * | 2010-03-17 | 2010-09-13 | 김동수 | 스크린 프린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2844B1 (ko) * | 2017-06-13 | 2018-10-04 | 동양피스톤 주식회사 |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한 피스톤 도막 형성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08091B (zh) | 一种转盘式自动送料、缝纫、卸料工装 | |
JPH10508545A (ja) | 薄板材片を把持操作する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る薄板材片用マニピュレータ | |
JPH0839151A (ja) | 板材折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 |
KR101026892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인쇄장치 | |
KR101033285B1 (ko) | 스크린 인쇄방식이 적용된 패드 인쇄기 | |
CN201350488Y (zh) | 一种条状金属折弯装置 | |
JP3582450B2 (ja) | へミング装置およびへミング方法 | |
JP6215805B2 (ja) | 圧入装置 | |
JP2016007609A (ja) | ワーク操作用ロボットにおけるワーククランプ装置及びその方法 | |
KR100982081B1 (ko) | 스크린 프린터 | |
JPS63299828A (ja) | プレスロボツト | |
JPWO2017216948A1 (ja) | スクリーン印刷装置 | |
JP2794097B2 (ja) | 大型鋼構造物製作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板状部品位置合わせ装置 | |
JP3668424B2 (ja) |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方法 | |
JPH0420561Y2 (ko) | ||
JP6589128B2 (ja) | Acf貼着装置 | |
US11940482B2 (en) | Inspection device | |
CN208232601U (zh) | 一种自动化喷印系统 | |
KR100832143B1 (ko) | 트랜스퍼 프레스 금형의 핑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시뮬레이션 방법 | |
CN220074492U (zh) | 一种机电设备安装辅助装置 | |
JP2001269737A (ja) | ワーク操作用ロボットにおけるワーククランプ装置 | |
JP4499241B2 (ja) |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の原点位置決め方法 | |
JPH06126576A (ja) | 平削り盤におけるレールの芯出し装置 | |
CN114193064B (zh) | 一种焊接夹具及其配套的上下料工装 | |
CN220765505U (zh) | 一种空心砌块搬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