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58B1 - 건어물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어물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58B1
KR101899858B1 KR1020160160946A KR20160160946A KR101899858B1 KR 101899858 B1 KR101899858 B1 KR 101899858B1 KR 1020160160946 A KR1020160160946 A KR 1020160160946A KR 20160160946 A KR20160160946 A KR 20160160946A KR 101899858 B1 KR101899858 B1 KR 10189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raw material
roller
cutt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604A (ko
Inventor
박태홍
Original Assignee
박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홍 filed Critical 박태홍
Priority to KR102016016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8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8/00Plants, factories, or the like for process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건어물의 가공장치는, 원재료가 인입시켜 안내하도록 한 쌍의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상측의 롤러는 표면으로 절단날이 다수 형성되는 절개롤러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롤러는 원형인 인입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절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에 원재료가 통과되면 절개롤러의 절단날로 하여금 원재료의 외피가 절개되는 절개수단; 상기 절개수단에 의해 절개된 외피를 제거한 원재료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대; 상기 세척대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가공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어물의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of a stockfish}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생선류를 건어물로 가공할 수 있는 건어물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된 원재료의 외피를 탈피하도록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상기 외피가 절개된 원재료의 세척할 수 있는 세척대와, 상기 세척대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지는 건어물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어물은 생선류 등을 건조시킨 것으로 미생물의 발육이 억제되어 보존료 없이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취식이 가능하고 손쉽게 가공이 이루어져 어른들의 안주나 어린이들의 간식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어물은 생산지 주변에 햇빛 및 자연해풍에 의해 건조가공되거나 별도의 건조가공시설에서 건조가공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자연현상에 의해 건조되는 건어물은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고, 건조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조시설을 통해 임의적으로 건어물을 건조하여 건제품을 제조하는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이렇게 건어물을 건조하는 장치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2000-0008727호가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 2000-0008727호는 가열실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오징어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실에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를 순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로써, 이는 짧은 시간에 대량의 오징어가 가공되는 효과는 있지만, 흡입덕트 및 가열실로 하여금 건조실 내부로 오징어를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오징어의 건조공정시에 흡입덕트 및 가열실을 구동하기 위한 유지비용이 고가로 소요되면서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풍으로 하여금 건조실 내의 이물질이 오징어의 표면에 흡착되어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오징어의 표면이 고르게 건조되지 못해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된 원재료의 외피를 탈피하도록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상기 외피가 절개된 원재료의 세척할 수 있는 세척대와, 상기 세척대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져 건어물 생산의 자동화를 구현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건조실 내부 구성으로 인하여 건어물의 건조가공효율이 향상되어 양질의 건어물을 제조할 수 있는 건어물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어물의 가공장치는, 원재료가 인입시켜 안내하도록 한 쌍의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상측의 롤러는 표면으로 절단날이 다수 형성되는 절개롤러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롤러는 원형인 인입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절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에 원재료가 통과되면 절개롤러의 절단날로 하여금 원재료의 외피가 절개되는 절개수단; 상기 절개수단에 의해 절개된 외피를 제거한 원재료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대; 상기 세척대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가공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세척된 원재료의 외피를 탈피하도록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수단과, 상기 외피가 절개된 원재료의 세척할 수 있는 세척대와, 상기 세척대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하는 건조실로 이루어져 건어물 생산의 자동화를 구현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 전기히터 및 반사판과 더불어 훈연수단이 구비되어 균일한 건조가공이 이루어지면서도 건어물의 건조가공과정에서 풍미를 향상시켜 양질의 건어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실에 건조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제어수단이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전기히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건조실의 내부온도를 점검하여 전기히터를 구동하는 별도의 작업인원이 필요치 않으므로 생산단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개롤러와 인입롤러 사이에 원재료가 통과되면 절개롤러의 절단날로 하여금 원재료의 외피가 절개되어 작업인력이 별도의 절개과정없이 원재료의 절개가 이루어져 건어물로 가공하기 위한 원재료의 외피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절개롤러와 인입롤러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어 원재료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원재료의 절개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어물의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개롤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실 내부에 형성되는 건어물의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어물의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된 원재료의 외피를 탈피하도록 외피를 절개하는 절개수단(100)과, 상기 외피가 절개된 원재료의 세척할 수 있는 세척대(200)와, 상기 세척대(200)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하는 건조실(300)로 구성되어진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절개수단(100)과 세척대(200) 및 건조실(300)로 원재료가 이송되는 것은 슈트를 통한 자유낙하 및 벨트콘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수단(100)은 원재료가 인입시켜 안내하도록 한 쌍의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중 상측의 롤러는 표면으로 절단날(111)이 다수 형성되는 절개롤러(110)이며, 하측의 롤러는 원형인 인입롤러(1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개수단(100)인 절개롤러(110)와 인입롤러(120) 사이에 원재료가 통과되면 절개롤러(110)의 (111)로 하여금 원재료의 외피가 절개되어 작업인력이 별도의 절개과정없이 원재료의 절개가 이루어져 건어물로 가공하기 위한 원재료의 외피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입롤러(120)의 외측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체(121)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121)의 구성으로 인하여 절개롤러(110)의 절단날(111)이 원재료에 절개할 때 원재료에 발생되는 하중을 완화시켜 원재료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재료의 형태를 온전히 보존하여 상품가치를 유지시켜주고 원재료가 인입되지 않을 때에 탄성체(121)의 합성수지 재질로 인한 충격이 완화되어 절단날(32)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건어물을 가공하기 위한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그 두께는 달라지며, 이때 절개롤러(110)와 인입롤러(120) 사이의 이격거리 또한 원재료 두께에 따라 가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절개롤러(110) 및 인입롤러(120)의 양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13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판(130)에는 인입롤러(120)의 양단부가 이동가능한 이동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롤러(120)의 하측에는 작동실린더(140)가 구비되어, 작동실린더(140)의 작동으로 인해 인입롤러(120)가 이동부(131)에서 이동되어 절개롤러(110)와 인입롤러(1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원재료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원재료의 절개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세척대(200)는 상기 절개수단(100)에 의해 절개된 외피를 제거한 원재료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며, 세척수가 담수된 내부에는 한 쌍의 브러쉬(210)가 다수 구비되어 브러쉬(210)를 통과함으로써 원재료의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건조실(300)은 상기 세척대(200)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를 건조가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300)은 내부에 열기를 발생시키는 전기히터(311) 및 상기 전기히터(311)가 구성되는 건조실(300)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전기히터(31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반사하여 건조실(300) 내부로 유동시키는 반사판(313)이 포함되어 세척과정이 완료된 원재료의 건조가공에 필요한 열기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300)의 상측에서 하부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한 봉 형태의 몸체(32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321)의 상, 하 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거치대(322)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322)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며, 거치대(322)를 수용한 반대측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걸이구(323)가 구성되고, 다수의 원재료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단이 상기 걸이구(323)의 걸이공에 안착되는 안착대(324)로 구성되는 회전체(32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회전체(320)는 후술되는 동력수단(33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며, 안착대(324)에 원재료가 안착되어 전기히터(311) 및 반사판(313)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회전체(320)의 몸체(321)와 연결되어 회전체(320)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을 도모하는 동력수단(330)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동력수단(330)에 회전체(320)의 몸체가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동력수단(330)의 토크 및 회전효율을 고려하여 V-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몸체(321)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동력수단(330)으로 하여금 회전체(320)를 정, 역방향으로 구분되게 회전하여 원재료의 양측 표면에 전기히터(311) 및 반사판(313)에서 발생되어지는 열기가 골고루 마찰되게 하고, 회전체(320)의 회전속도도 조절하여 원재료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균일한 건조를 도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0) 상부에 풍력을 발생시켜 전기히터(311) 및 반사판(313)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건조실(300) 내부 공간에 상, 하, 좌, 우로 골고루 유동시킴으로써 회전체(320)의 안착대(324)에 고정된 원재료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제1팬(3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0)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공급덕트(351) 및 상기 공급덕트(351)에 연결되는 가열로(353)로 이루어져 가열로(353)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건조실(300) 내부로 공급하여 원재료를 훈연하는 훈연수단(35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0) 하부에 풍력을 발생시켜 훈연수단(350)에서 공급되는 연기를 건조실(300) 내부 공간에 유동시킴으로써 회전체(320)에 고정된 원재료에 균일하게 훈연하는 제2팬(36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훈연수단(350) 및 제2팬(360)의 구성으로 인하여 건어물의 건조가공과정에서 풍미를 향상시켜 양질의 건어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문(371) 및 건조실(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배기관(373)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훈연수단(350)에 의해 건어물의 훈연시킨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300)의 내부 측면에 각각 라운딩되는 형태로 전기히터(31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반사하여 건조실(300) 내부로 유동시키는 보조반사판(315)이 구비되어 전기히터(311)가 연장되지 못하여 열기가 유동되지 못하는 건조실(300)의 내부 측면에도 보조반사판에 의해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어 운재료의 균일한 건조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건조실(300)은 전기히터(311)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80) 및 건조실(3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9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80)은 건조실(300) 내부에 형성되는 온도감지센서(390)와 연계되어 건조실(300) 내부 온도가 원재료를 건조하기 위해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전기히터(311)를 구동시키고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전기히터(31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인원이 별도로 건조실(300) 내부 온도를 계속적으로 점검하여 전기히터(311)를 구동하지 않아도 건조실(300)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어 원재료의 건조가공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100 : 절개수단 110 : 절개롤러
111 : 절단날 120 : 인입롤러
121 : 탄성체 130 : 거치판
131 : 이동부 140 : 작동실린더
200 : 세척대 210 : 브러쉬
300 : 건조실 311 : 전기히터
313 : 반사판 320 : 회전체
321 : 몸체 322 : 거치대
323 : 걸이구 324 : 안착대
330 : 동력수단 340 : 제1팬
350 : 훈연수단 351 : 공급덕트
353 : 가열로 360 : 제2팬
371 : 개폐문 373 : 배기관
380 : 제어수단 390 : 온도감지센서

Claims (6)

  1. 원재료가 인입되어 안내되도록 한 쌍의 롤러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원재료의 외피가 절개되는 절개수단(100);과 상기 절개수단(100)에 의해 절개된 외피를 제거한 원재료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대(200);와 상기 세척대(200)에 의해 세척된 원재료에 열기를 발생시키는 건조실(300) 내부 구비된 전기히터(311) 및 상기 전기히터(311)가 구성되는 건조실(300)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전기히터(311)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반사하여 건조실(300) 내부로 유동시키는 반사판(313)과, 상기 건조실(300)의 상측에서 하부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한 봉 형태의 몸체(32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321)의 상, 하 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거치대(322)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322)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거치대(322)를 수용한 반대측에 걸이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걸이구(323)가 구성되고, 다수의 원재료가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양측단이 상기 걸이구(323)의 걸이공에 안착되는 안착대(324)로 구성되는 회전체(320)와, 상기 건조실(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회전체(320)의 몸체(321)와 연결되어 회전체(320)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을 도모하는 동력수단(330)과, 상기 건조실(300) 상부에 풍력을 발생시켜 발생되는 열기를 건조실(300) 내부 공간에 유동시킴으로써 회전체(320)에 고정된 원재료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제1팬(340)과, 상기 건조실(300) 하부 일측에 연결되는 공급덕트(351) 및 상기 공급덕트(351)에 연결되는 가열로(353)로 이루어져 가열로(353)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건조실(300) 내부로 공급하여 원재료를 훈연하는 훈연수단(350)과, 상기 건조실(300) 하부에 풍력을 발생시켜 훈연수단(350)에서 공급되는 연기를 건조실(300) 내부 공간에 유동시킴으로써 회전체(320)에 고정된 원재료에 균일하게 훈연하는 제2팬(360)과, 상기 건조실(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문(371) 및 건조실(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배기관(373)이 포함되어 건조 가공되는 건조실(3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의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개수단은 한 쌍의 롤러 중 상측의 롤러는 표면으로 절단날(111)이 다수 형성된 절개롤러(110)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롤러는 원형인 인입롤러(120)의 외측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체(121)로 이루어져 원재료에 발생되는 하중을 완화시켜 원재료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절개롤러(110) 및 인입롤러(120)의 양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판(130)에는 인입롤러(120)의 양단부가 이동 가능한 이동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롤러(120)의 하측에는 작동실린더(140)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실린더(140)의 작동으로 인해 인입롤러(120)가 이동부(131)에서 이동되어 절개롤러(110)와 인입롤러(1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하여 상기 절개롤러(110)와 인입롤러(120) 사이에 원재료가 통과되면 절개롤러(110)의 절단날(111)로 하여금 원재료의 외피절개시 원재료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원재료의 절개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세척대(200)는 절개수단(100)에 의해 절개된 외피를 제거한 원재료를 세척수가 담수된 내부에 한쌍의 브러쉬(210)가 다수 구비된 브러쉬(210)를 통과함으로써 원재료가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의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60946A 2016-11-30 2016-11-30 건어물의 가공장치 KR10189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46A KR101899858B1 (ko) 2016-11-30 2016-11-30 건어물의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46A KR101899858B1 (ko) 2016-11-30 2016-11-30 건어물의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04A KR20180061604A (ko) 2018-06-08
KR101899858B1 true KR101899858B1 (ko) 2018-09-18

Family

ID=6259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46A KR101899858B1 (ko) 2016-11-30 2016-11-30 건어물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5448B (zh) * 2018-09-13 2020-09-11 湖南文理学院 一种能够进行调节的连续式鱼鳞去除机
KR101966035B1 (ko) * 2018-09-17 2019-04-04 하창영 생선 비늘 탈피 장치
KR102568048B1 (ko) * 2022-08-23 2023-08-18 김정헌 어류 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577A (ja) * 1998-09-17 2000-03-28 Mayekawa Mfg Co Ltd 漁獲物の開き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2000354997A (ja) * 1999-06-14 2000-12-26 Sakino Seiki:Kk スライス装置
KR101245914B1 (ko) * 2010-12-21 2013-03-20 황보창수 건조오징어의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755B1 (ko) * 2004-12-28 2006-07-25 서원명 과메기 훈제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577A (ja) * 1998-09-17 2000-03-28 Mayekawa Mfg Co Ltd 漁獲物の開き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2000354997A (ja) * 1999-06-14 2000-12-26 Sakino Seiki:Kk スライス装置
KR101245914B1 (ko) * 2010-12-21 2013-03-20 황보창수 건조오징어의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04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58B1 (ko) 건어물의 가공장치
KR101066976B1 (ko) 쌀국수 제조설비
CN108527580B (zh) 一种造纸用木材原木削皮装置
CN108450974A (zh) 一种全自动剁辣椒生产加工设备及其生产加工方法
CN205358095U (zh) 一种小型米粉生产线
CN209205843U (zh) 一种锯片去毛刺清洗流水线
CN207941745U (zh) 一种烤盘自动在线清洗装置
CN104543861A (zh) 一种香芋生产线
JP5995391B1 (ja)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CN204132319U (zh) 魔芋干片生产线
CN203991465U (zh) 一种用于清洗和烘干工件的超声波清洗型烘炉
KR101883470B1 (ko) 건어물의 가공방법
CN207940308U (zh) 一种食品机
US20050250432A1 (en) Carcass processing apparatus
US7950986B2 (en) Carcass processing apparatus
CN212390780U (zh) 一种用于米粉加工的烘干设备
CN112914046B (zh) 一种羊副产品即食方便产品生产线
CN109275697A (zh) 一种自动化鲍鱼片生产设备
JP2013165683A (ja) 釜炒り茶用保管装置と釜炒り茶製造方法
CN213428065U (zh) 一种鸡爪去皮装置
CN203262225U (zh) 一种用于海产品加工的烘干机
CN209065080U (zh) 预煮机
CN209825176U (zh) 一种洋蓟饲料机
CN207669367U (zh) 一种螺旋面筋串全自动旋切机
CN116369565B (zh) 一种竹笋小食品加工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