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31B1 -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431B1
KR101897431B1 KR1020177033491A KR20177033491A KR101897431B1 KR 101897431 B1 KR101897431 B1 KR 101897431B1 KR 1020177033491 A KR1020177033491 A KR 1020177033491A KR 20177033491 A KR20177033491 A KR 20177033491A KR 101897431 B1 KR101897431 B1 KR 10189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toner
shutter
cov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707A (ko
Inventor
준지 야마베
게이이치 야노
미치하루 스즈키
히데키 기무라
히데키 젬바
다카히로 이쿠마
세이지 데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38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648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41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574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586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41861A1/en
Publication of KR2017013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52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n air flow; Details thereof, e.g. nozzle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노즐 수용체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배치된다.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의 상기 단면부의 투영 면적은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밀봉부의 투영 면적보다 작다.

Description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복사기 또는 프린터의 복수의 기능을 갖춘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분체로서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분체 용기와, 분체 용기에 장착되는 노즐 수용체와,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분체 공급 장치는 현상제인 토너를 분체인 현상제를 수납하는 분체 용기로서 사용되는 토너 용기로부터 현상 장치로 공급(보급)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2-133349호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276659호에 기술된 토너 용기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분체 저장부와, 분체 저장부에 부착된 노즐 수용부와, 노즐 수용부 상에 배열된 개구와,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와 분체 공급 장치의 반송 노즐의 삽입과 함께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가 분체 공급 장치에 부착되는 것과 함께 토너 용기 내에 삽입되는 반송 노즐에 의해 개폐 부재가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개폐 부재는 개구 근처에 위치된 토너를 이동시킨다.
전술한 구성에서, 개폐 부재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토너가 배출되지 않으면, 토너가 압축 및 밀착됨으로써, 예컨대 토너 용기가 분체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들에 대응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즐 수용체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 부재;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개폐 부재는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지지체는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한다.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의 단면부의 돌출부는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의 밀봉부의 돌출부보다 작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를 장착하기 전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분체 용기가 용기 수용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분체 반송 장치에 분체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분체 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분체 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분체 용기가 부착되는 용기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용기 첨단측 커버를 용기 본체(분체 저장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를 규제부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a에 나타낸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를 규제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는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의 구성과 용기 본체 측의 규제부와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외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D-D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에 캡이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용기 첨단측 커버 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7b는 분체 용기의 저면도이고;
도 17c는 분체 용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17d는 분체 용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8b는 분체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용기 본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0은 용기 첨단측으로부터 바라본 노즐 삽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용기 내측에서 바라본 노즐 삽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노즐 삽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용기 본체에 노즐 삽입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4a-24d는 개폐 부재와 반송 노즐의 장착 동작시의 상태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25는 통상적인 노즐 삽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통상적인 노즐 삽입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7a-27d는 통상적인 개폐 부재와 통상적인 반송 노즐의 장착 동작시의 상태를 설명하는 저면도이고;
도 28a는 반송 노즐 삽입측에서 볼 때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셔터 지지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b는 반송 노즐 삽입측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용기 셔터 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29a는 통상적인 용기 셔터 지지체와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셔터 지지체 간의 비교를 위해 통상적인 용기 셔터 지지체의 돌출부와 통상적인 개폐 부재의 돌출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9b는 통상적인 용기 셔터 지지체와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셔터 지지체 간의 비교를 위해 용기 셔터 지지체의 돌출부와 실시 형태에 따른 개폐 부재의 돌출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30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셔터 지지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0b는 도 30a에 나타낸 용기 셔터 지지체의 단면도이고;
도 30c는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1은 용기 셔터 지지체의 다른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2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 구조체의 적용시 개폐 부재가 압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2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 구조체의 적용시 개폐 부재가 압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3a는 통상적인 노즐 삽입 부재와 통상적인 용기 셔터에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 구조체가 적용시 개폐 부재가 압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3b는 통상적인 노즐 삽입 부재와 통상적인 용기 셔터에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축 구조체가 적용시 개폐 부재가 압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4a 및 도 34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5는 비교예에 따른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의 구성과 용기 본체의 규제부와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3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의 구성과 용기 본체의 규제부와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37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7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7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38a-38g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39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9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9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0a-40g는 제2 실시 형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1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1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1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2a-42i는 제2 실시 형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3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3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3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4a-44g는 제2 실시 형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5a-45c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7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6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6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6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7a-47h는 제2 실시 형태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8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8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48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49a-49h는 제2 실시 형태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0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0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0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1a-51h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2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2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2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3a-53g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개구와 돌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4a는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와 개구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4b는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54c는 돌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55는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첨단측 커버의 돌출부와 용기 본체부의 규제부와 개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6a는 제2 실시 형태의 기술을 베어링 장착 구조체에 적용한 형태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6b는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와 통상적인 구성의 설명에서 동일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재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호로 지시되며, 후단의 실시 형태와 통상적인 구성에 대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기재는 단지 여러 가지 예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를 구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은 당연히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면에서, Y, M, C, K는 각각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얀(cyan), 블랙(black)에 대응한 구성 부재에 첨부된 부호이며, 적절히 생략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차후 설명되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포함한다.
도 2는 소정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전자 사진 방식의 텐덤형의 칼라 복사기(이하, "복사기(500)"로 지칭됨)의 전체 구성도이다. 복사기(500)는 흑백 복사기여도 괜찮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대신에,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스캐너의 기능 중 적어도 2개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일 수 있다. 복사기(500)는 복사기 본체(이하, "프린터부(100)"로 지칭됨), 급지 테이블(이하, "급지부(200)"로 지칭됨) 및 프린터부(100) 상에 장착되는 스캐너부(이하, "스캐너부(400)"로 지칭됨)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프린터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분체 용기 수용부로서의 토너 용기 수용부(70)에는 각 색(옐로우, 마젠타, 시얀, 블랙)에 대응하는 분체 용기로서의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가 착탈 가능하게(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너 용기 수용부(70)의 하방에는 중간 전사 장치(85)가 배치되고 있다.
중간 전사 장치(85)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48), 4개의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49M, 49C, 49K), 2차 전사 백업 롤러(82), 복수의 텐션 롤러, 중간 전사 클리닝 기구 등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48)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연신되고 지지를 받는 것과 동시에, 이들 복수의 롤러의 하나인 2차 전사 백업 롤러(8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무단 이동한다.
프린터부(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48)를 향하도록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의 4개의 화상 형성부(46(Y, M, C, K))가 탠덤형으로 배치된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각의 하방에는 4가지 색의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대응하는 분체 보급(공급) 장치로서의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이 배치되고 있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수용된 분체의 현상제인 토너는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 각각에 의해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 46M, 46C, 46K)의 현상 장치로 공급(보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4개의 화상 형성부(46Y, 46M, 46C, 46K)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이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부(100)는 4개의 화상 형성부(46)의 하방에 잠상 형성 수단인 노광 장치(47)를 포함한다. 노광 장치(47)는 스캐너부(400)에 의해 판독된 원고 화상의 화상 정보를 기초로 화상 담지체(후술됨)로서의 광전도체(41Y, 41M, 41C, 41K)의 표면을 노광 주사함으로써, 광전도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정보는 스캐너부(400)에 의해 판독되는 대신에 복사기(500)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광 장치(47)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레이저 빔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노광 수단으로서는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등의 다른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화상 형성부(46Y)는 드럼형의 광전도체(41Y)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46Y)는 대전 기구인 대전 롤러(44Y), 현상 수단인 현상 기구(50Y), 광전도체 클리닝 기구인 클리닝 기구(42Y), 제전 기구 등을 광전도체(41Y)의 주위에 배치한 구성이다. 광전도체(41Y)에 대해 화상 형성 공정(대전 공정, 노광 공정, 현상 공정, 전사 공정, 클리닝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광전도체(41Y) 상에 옐로우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다른 3개의 화상 형성부(46M, 46C, 46K)도 사용되는 토너의 색이 다른 점 이외에는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광전도체(41M, 41C, 41K) 상에 각각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하,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만의 설명을 행하고, 다른 3개의 화상 형성부(46(M, C, K))의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광전도체(41Y)는 구동 모터에 의해 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대전 롤러(44Y)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다(대전 공정). 이후,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노광 장치(47)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광(L)의 조사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노광 주사를 통해 옐로우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노광 공정). 이후,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현상 기구(50Y)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정전 잠상이 옐로우의 토너로 현상되어 옐로우의 토너상이 형성된다(현상 공정).
중간 전사 장치(85)의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와 광전도체(41Y)는 중간 전사 벨트(48)를 사이에 끼워 옐로우에 대응하는 1차 전사 닙(nip)을 형성하고 있다.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에는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 공정을 통해 토너상이 형성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중간 전사 벨트(48)를 가로질러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에 대향하는 1차 전사 닙에 도달하고, 해당 1차 전사 닙에서 광전도체(41Y) 상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 된다(1차 전사 공정). 이때, 광전도체(41Y) 상에는 미전사된 소량의 토너가 잔존한다. 1차 전사 닙에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클리닝 기구(42Y)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광전도체(41Y) 상에 잔존하는 미전사 토너는 클리닝 기구(42Y)에 포함된 클리닝 블레이드(42a)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수된다(클리닝 공정). 최종적으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제전 기구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광전도체(41Y) 상의 잔류 전위가 제거된다. 이 방식으로, 광전도체(41Y) 상에 행해지는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전술한 화상 형성 공정은 옐로우용의 화상 형성부(46Y)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화상 형성부(46M, 46C, 46K)에 대해서도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46M, 46C, 46K)의 하방에 배치된 노광 장치(47)는 화상 정보에 근거한 레이저 광(L)을 화상 형성부(46M, 46C, 46K)의 광전도체(41M, 41C, 41K) 측으로 조사한다. 더 구체적으로, 노광 장치(47)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광(L)를 방출하고 그 레이저 광(L)을 회전 구동된 다각형 거울로 주사하면서 복수의 광학 소자를 통해 각 광전도체(41M, 41C, 41K) 상에 조사한다.
이후, 현상 공정을 거쳐 광전도체(41M, 41C, 41K)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48)를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M, 49C, 49K)와 광전도체(41M, 41C, 41K)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4-색 1차 전사 닙에서 개별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된다.
이때, 중간 전사 벨트(48)는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행하고,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49M, 49C, 49K)의 1차 전사 닙을 차례로 통과한다. 따라서, 광전도체(41Y, 41M, 41C, 41K) 상의 각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1차 전사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겹쳐진 각 색의 토너상에 의해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48)는 2차 전사 롤러(89)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2차 전사 백업 롤러(82)와 2차 전사 롤러(89)의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48)가 배치됨으로써 2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형성된 컬러 토너상은 2차 전사 닙의 위치로 반송된 전사지 등의 기록 매체(P)상에, 예컨대 2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의 작용에 의해 전사된다. 이때, 중간 전사 벨트(48)에는 기록 매체(P)에 전사되지 않았던 미전사 토너가 잔존한다. 2차 전사 닙을 통과한 중간 전사 벨트(48)는 중간 전사 클리닝 기구의 위치에 도달되며, 해당 위치에서 그 표면상의 미전사 토너가 회수된다. 이 방식으로, 중간 전사 벨트(48)에 대해 행해지는 일련의 전사 공정이 완료된다.
다음에, 기록 매체(P)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2차 전사 닙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P)는 프린터부(100)의 하방에 배치된 급지부(200)에 설치된 급지 트레이(26)로부터 급지 롤러(27), 레지스터 롤러 쌍(28) 등을 경유해 반송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급지 트레이(26)에는 기록 매체(P)가 복수 매 적층된다. 급지 롤러(27)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맨 위의 기록 매체(P)가 레지스터 롤러 쌍(28)의 두 개의 롤러 사이의 닙으로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러 쌍(28)으로 반송된 기록 매체(P)는 회전을 정지한 레지스터 롤러 쌍(28)의 롤러 사이의 닙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의 컬러 토너상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따라 레지스터 롤러 쌍(28)이 회전됨으로써 기록 매체(P)가 2차 전사 닙을 향해서 반송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P) 상에 원하는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2차 전사 닙에서 컬러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 기구(86)의 위치로 반송된다. 정착 기구(86)에서는 정착 벨트 및 가압 롤러에 의해 인가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의 표면 상에 전사된 컬러 토너상이 기록 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 기구(86)를 통과한 기록 매체(P)는 배지 롤러 쌍(29)의 롤러 사이의 닙을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배지 롤러 쌍(29)에 의해 장치 외부에 배출된 기록 매체(P)는 출력 화상으로서 스택부(30) 상에 차례로 적층된다. 이 방식으로, 복사기(500)에 있어서의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이하, 화상 형성부(46)에 있어서의 현상 기구(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는 옐로우에 대응한 화상 형성부(46Y)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M, 46C, 46K)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기구(50Y)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51Y), 현상제 규제판으로서의 닥터 블레이드(52Y),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 토너 농도 센서(56Y) 등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51Y)는 광전도체(41Y)와 마주한다. 닥터 블레이드(52Y)는 현상 롤러(51Y)와 마주한다.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는 2개의 현상제 수용부, 즉 제1 및 제2 현상제 수용부(53Y, 54Y) 내에 배치된다. 현상 롤러(51Y)는 내부에 배치된 자석 롤러, 자석 롤러의 주위를 회전하는 슬리브 등을 포함한다.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에는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의 현상제(G)가 수용되고 있다. 제2 현상제 수용부(54Y)는 그 상부측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토너 낙하 경로(64Y)와 연통하고 있다. 토너 농도 센서(56Y)는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의 현상제(G) 중의 토너 농도를 검지한다.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는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교반되면서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의 사이를 순환한다. 제1 현상제 수용부(53Y)내의 현상제(G)는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 중 하나에 의해 반송되면서 현상 롤러(51Y) 내의 자석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 표면상에 공급되어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으로 회전되며,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현상 롤러(51Y) 상을 이동한다. 이때, 현상제(G)중의 토너는 현상제(G) 중의 캐리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해 캐리어와는 역극성의 전위로 대전됨으로써 정전적으로 캐리어에 흡착되고, 현상 롤러(51Y) 상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끌어들일 수 있는 캐리어와 함께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고, 닥터 블레이드(52Y)와 현상 롤러(51Y)가 대향하는 닥터부에 이른다. 현상 롤러(51Y)상의 현상제(G)는 닥터부를 통과할 때 그 양이 적당량으로 조절 및 조정된 후, 광전도체(41Y)와 마주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된다. 현상 영역에서는 현상 롤러(51Y)와 광전도체(41Y)의 사이에 형성된 현상 자기장에 의해 광전도체(41Y) 상에 형성된 잠상에 현상제(G) 중의 토너가 흡착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 롤러(51Y)의 표면상에 남은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에 수반해 제1 현상제 수용부(53Y)의 상방에 도달한다. 이때, 현상제(G)는 현상 롤러(51Y)로부터 이탈된다.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는 토너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Y)에 수용되고 있는 토너가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에 포함되는 토너의 현상에 의한 소비량에 따라 토너 보급 장치(60Y)(후술됨)에 의해 토너 낙하 경로(64Y)를 통해 제2 현상제 수용부(54Y)에 보급된다.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에 보급된 토너는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현상제(G)와 함께 혼합 및 교반되면서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의 사이를 순환한다.
다음에,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토너 보급 장치(60Y)에 토너 용기(32Y)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각 색의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5에서는 옐로우에 대응하는 토너 보급 장치(60Y)와 토너 용기(32Y) 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3가지 색에 대응하는 토너 보급 장치(60M, 60C, 60K)와 토너 용기(32M, 32C, 32K)에 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색 마다 다른 구성이 있는 경우는 특정의 색을 나타내는 부호인 Y, M, C 또는 K를 이용한다. 색 마다 다른 구성이 아닌 경우, 혹은 모든 색에 공통의 구성인 경우에는 Y, M, C, K 부호를 사용하거나 모든 부호를 적절히 생략할 수 있다. 도 4에서, 화살표 Q는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나타내고, Q1은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방향을 나타낸다.
4개의 토너 용기(32(Y, M, C, K)) 중 블랙의 토너가 수용된 토너 용기(32K)는 옐로우, 마젠타, 시얀의 토너가 수용된 토너 용기(32)(Y, M, C)에 비해 직경이 클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은 블랙의 토너가 수용된 토너 용기(32K)의 교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토너 보급 장치(60)는 화상 형성 공정에 이용되는 토너의 색과 토너 용기(32)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 외에는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토너 용기(32Y)를 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프린터부(100)의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된 각 색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중 토너 용기(32Y) 내의 수용되고 있는 옐로우 토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기구(50) 내의 토너 소비에 따라 적절하게 현상 기구로 보급된다. 이때, 토너 용기(32Y) 내의 토너는 토너 보급 장치(60Y)에 의해 보급된다. 토너 보급 장치(60Y)는 토너 용기 수용부(70), 반송관으로서의 반송 노즐(611Y), 본체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614Y), 토너 낙하 경로(64Y), 용기 회전부로서의 구동부(91Y) 등을 포함한다. 나머지 색의 토너 보급 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에 의해 토너 용기(32Y)가 도 5에서 장착 방향(Q)으로 밀어 넣어지는 장착 동작이 수행되고 토너 용기(32Y)가 장착 방향(Q)을 따라 프린터부(100)의 토너 용기 수용부(70) 내에서 이동되면, 그 장착 동작에서 토너 용기(32Y)의 첨단측으로부터 토너 보급 장치(60Y)의 반송 노즐(611Y)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토너 용기(32Y)와 반송 노즐(611Y)이 서로 연통한다. 장착 동작에 따른 연통의 구성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토너 용기(32Y)는 토너 병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토너 용기(32Y)는 주로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회전 불가하게 보관 유지되는 보관 유지부 또는 용기 커버로서의 용기 첨단측 커버(34Y)를 포함하고, 용기측 기어로서의 용기 기어(301Y)와 일체로 형성된 분체 수용부로서 대략적으로 원통형인 용기 본체(33Y)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33Y)는 용기 첨단측 커버(34Y)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보관 유지되고 있다. 도 5에서 세팅 커버(608Y)는 토너 용기 수용부(70)의 용기 커버 수용부(73)의 일부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수용부(70)는 주로 용기 커버 수용부(73), 용기 수용부(72) 및 삽입구 형성부(71)를 포함한다. 용기 커버 수용부(73)는 각 색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용기 첨단측 커버(34Y, 34M, 34C, 34K) 및 용기 본체(33Y, 33M, 33C, 33K)를 보관 유지하는 부분이다. 용기 수용부(72)는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용기 본체(33Y, 33M, 33C, 33K)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삽입구 형성부(71)는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장착 동작에 사용되는 삽입 개구로서의 삽입구(71a)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복사기(500)의 전방측(도 2의 지면 수직 방향 전방측)에 설치된 본체 커버를 개방하면, 토너 용기 수용부(70)의 삽입구 형성부(71)가 노출된다. 이후,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종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로 복사기(500)의 전방으로부터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착탈 조작(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을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방향으로서 취한 착탈 조작)을 실시한다.
용기 수용부(72)는 그 종방향 길이가 각 색의 용기 본체(33Y, 33M, 33C, 33K)의 종방향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용기 커버 수용부(73)는 용기 수용부(72)에 있어서의 종방향(착탈 방향)의 용기 첨단측(장착 방향(Q) 측)에 설치되며, 삽입구 형성부(71)는 용기 수용부(72)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일단측(이탈 방향(Q1) 측)에 설치되고 있다.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는 용기 수용부(72)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따라, 용기 첨단측 커버(34Y, 34M, 34C, 34K)는 먼저 삽입구 형성부(71)를 통과하고 잠시 동안 용기 수용부(72) 위를 활주한 후 용기 커버 수용부(73)에 장착된다.
용기 첨단측 커버(34Y)가 용기 커버 수용부(73)에 장착된 상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와 구동 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용기 회전부)(91Y)로부터 본체 측 기어로서의 용기 구동 기어(601Y)를 통해 용기 본체(33Y)에 구비된 기어인 용기 기어(301Y)에 회전 구동이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33Y)는 도 5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용기 본체(33Y)내의 토너는 용기 본체(33Y)의 회전을 통해 용기 본체(33Y)의 내부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리브(302Y)에 의해 용기 본체의 종방향을 따라 도 5에서 우측 일단으로부터 도 5에서 좌측의 타단으로 반송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반송부로서 나선형 리브(302Y)가 사용된다. 결국, 용기 첨단측 커버(34Y)가 설치된 토너 용기(32Y)의 타단으로부터 반송 노즐(611Y)에 형성된 분체 수용구로서의 노즐 개구(610Y)를 통해 반송 노즐(611Y) 내에 토너가 공급된다. 노즐 개구(610)는 용기 본체(33Y)의 종방향으로 용기 기어(301Y)가 설치되고 있는 위치에 대해 안쪽의 위치에서 셔터 측 개구로서의 셔터 지지 개구(335b)와 연통한다(후술됨). 구체적으로, 용기 기어(301Y)는 노즐 개구(610)와 셔터 지지 개구(335b)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대해 토너 용기의 종방향으로 토너 개구(33a) 측의 두어 용기 구동 기어(601Y)와 서로 맞물린다.
반송 노즐(611Y) 내에는 반송 스크류(614Y)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스크류(614Y)는 구동부(용기 회전부)(91Y)로부터 반송 스크류 기어(605Y)로 회전 구동이 입력될 때 회전되어 반송 노즐(611Y) 내에 공급된 토너를 반송한다. 반송 노즐(611Y)의 반송 방향 하류단은 토너 낙하 경로(64Y)에 접속되고 있다. 반송 스크류(614Y)에 의해 반송된 토너는 토너 낙하 경로(64Y)를 따라 자중 낙하되어 현상 기구(50Y)(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에 보급된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는 각각 수명의 말미(수용하는 토너가 거의 모두 소비되어 용기가 비워질 때)에 신품으로 교환된다. 도 4에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종방향에 있어서의 용기 첨단측 커버(34Y, 34M, 34C, 34K)와는 반대측의 단부, 즉 이탈 방향(Q1) 측에 손잡이(303Y, 303M, 303C, 303K)가 설치된다. 용기 교환 시에는 작업자가 손잡이(303Y, 303M, 303C, 303K)를 잡아당겨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를 떼어낼 수 있다.
구동부(91)의 구성을 도 6을 참조로 아래에 더 설명한다. 도 6에서, 색을 나타내는 부호는 생략한다. 구동부(91)는 용기 구동 기어(601)와 반송 스크류 기어(605)를 포함한다. 용기 구동 기어(601)는 설치 기판(602)에 고정된 구동 모터(603)가 구동되어 그 출력 기어가 회전될 때 회전 구동된다. 반송 스크류 기어(605)는 연결 기어(604)를 통한 출력 기어의 회전을 받는 것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보급 장치(60Y)에서는 반송 스크류(614Y)의 회전수에 의해 현상 기구(50Y)로의 토너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노즐(611Y) 내를 통과한 토너는 현상 기구(50Y)로의 토너 공급량을 제어할 필요없이 토너 낙하 경로(64Y)를 통해 직접 현상 기구(50Y)로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Y)을 토너 용기(32Y) 내에 삽입하도록 된 토너 보급 장치(60Y)에서도 토너 호퍼 등의 토너 일시 저장부를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색에 대응하는 토너 보급 장치(60M, 60C, 60K)의 경우, 토너 공급량은 토너 보급 장치(60Y)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및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및 토너 보급 장치(60Y, 60M, 60C, 60K)은 각각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 외는 거의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 토너의 색을 나타내는 부호 Y, M, C, K는 생략한다.
도 1은 토너 용기(32)를 장착하기 전의 토너 보급 장치(60)와 용기 첨단측의 토너 용기(32)의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토너 용기(32)를 용기 첨단측 커버(34) 위로부터 바라본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용기(32)를 장착한 상태의 토너 보급 장치(60)과 용기 첨단측의 토너 용기(32)의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토너 용기 수용부(70)의 용기 커버 수용부(73)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토너 보급 장치(60)는 내부에 반송 스크류(614)를 갖춘 반송 노즐(611)과 노즐 셔터(612)를 포함한다. 노즐 셔터(612)는 토너 용기(32)가 장착되기 전의 비장착시(도 1의 상태)에 노즐 개구(610)를 폐쇄하고 토너 용기(32)가 장착된 장착시(도 8의 상태)에는 노즐 개구(610)를 개방하도록 반송 노즐(611)의 외부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즐 셔터(612)는 노즐 삽입 부재(후술됨)로서 노즐 삽입 부재(330)에 있어서의 반송 노즐(611)과 접하는 단면보다 장착 방향 하류 측의 플랜지로서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를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첨단면의 중앙에는 장착시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로서의 노즐 삽입구(331)가 제공되며, 비장착시에 노즐 삽입구(331)를 폐쇄하는 개폐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332)가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수용부(70) 상에 배치된 용기 수용부(72)는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착탈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W)으로 4개 섹션으로 구분되어 있고, 용기 본체(33(Y, M, C, K))의 종방향을 따라 삽입구 형성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용부(73)까지 연장되도록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용기 설치부로서의 홈부(74)가 제공된다. 각 색의 토너 용기(32(Y, M, C, K))는 홈부(74) 상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W)으로 배열된 홈부(74)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74a, 74b)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가이드 레일(75, 75)이 설치되고 있다. 가이드 레일(75)은 각각의 측면(74a, 74b)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돌출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용기 커버 수용부(73)의 앞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75, 75)은 토너 용기(32)를 프린터부(100)(토너 용기 수용부(70)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할 때 도 7에 예시된 토너 용기(32) 측의 안내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가이드(361)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개구부로서의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수용부로서의 용기 세트부(615)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 가이드 레일(75)은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를 장착할 경우에 용기 본체(33)의 회전축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 수용부(73)에는 각 색에 대응한 세트 커버(608)가 설치되고 있다. 세트 커버(608)는 그 중앙에 반송 노즐(611)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32)의 장착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된 용기 세트부(615)에 있어서의 장착 방향 내측인 단면(615b)으로부터 장착 방향 상류 측을 향해 용기 커버 수용부(73)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용기 수용부로서의 용기 세트부(615)는 반송 노즐(611)을 둘러싸도록 반송 노즐(611)의 돌출 방향, 즉 토너 용기(32)의 장착 방향 상류 측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세트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베이스에 배치되며, 토너 용기(32)내의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토너 용기(32) 내의 회전 반송 수단이 회전할 때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용기 개구부(33a)의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서 사용된다. 즉,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세트부(615)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용기 개구부(33a)의 반경 방향 위치가 확정된다.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주면(33b)가 용기 세트부(615)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 상에는 내부면(615a)의 일부로서 내부면(615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면(615d)이 등간격으로 4개가 제공된다. 접촉면(615d)과 외부면(33b)은 토너 용기(32)의 회전에 수반해 서로에 대해 활주된다.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과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의 결합에 의해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착탈 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토너 용기(32)의 회전시,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은 회전축으로서 기능하고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은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도 8에서, α는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이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의 일부로서의 접촉면(615d)과 활주 접촉되고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한 반경 방향인 위치를 나타낸다.
아래의 설명에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과 용기 세트부(615)가 활주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반복적으로 설명된다. 결합 상태는 정확하게는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이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에 형성된 접촉면(615d)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은 접촉면(615d)을 생략하는 것에 의해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을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와 결합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트 커버(608)의 폭 방향(W)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개구(608d)가 제공된다. 세트 커버(608)에는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 78)가 개구(608d)를 통해 세트 커버(608)의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608c) 측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 78)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782) 등의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세트 커버(608)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바이어스된다.
이하 토너 용기(32)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용기 본체(33)는 대략 원통형이며, 회전축으로서 원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 있어서 노즐 삽입구(331)가 제공된 토너 용기(32)의 일측(용기 첨단측 커버(34)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용기 첨단측"으로 부르기로 한다. 토너 용기(32)에 있어서 손잡이(303)가 배치되어 있는 타측(용기 첨단측과는 반대측)을 "용기 후단측"으로 부르기로 한다.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은 회전축 방향이며,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를 장착한 상태에서 종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응한다. 용기 본체(33)의 용기 기어(301)보다 용기 후단측은 용기 첨단측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그 내부면 상에는 나선형 리브(302)가 형성되고 있다.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 용기 본체(33)내의 토너는 나선형 리브(302)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용기 후단측)으로부터 타단측(용기 첨단측)을 향하는 반송력이 부여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용기 첨단측의 내벽에는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용기 첨단 측으로 반송된 토너를 상방에 퍼 올리는 스쿠핑부(304)가 제공된다. 각각의 스쿠핑부(304)는 나선형 리브(302)의 반송력에 의해 반송된 토너를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그 스쿠핑 벽면(304f)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 퍼 올린다. 따라서, 삽입된 반송 노즐(611)보다 상방으로 토너를 퍼 올릴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스쿠핑부(304)의 내부면에도 나선형 리브(302)와 유사하게 내부의 토너를 반송하도록 나선 모양으로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가 형성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상의 스쿠핑부(304)보다 용기 첨단 측에는 용기 기어(301)가 형성되고 있다. 용기 첨단측 커버(34) 상에는 용기 첨단측(34)이 용기 본체(33)에 장착될 때 용기 기어(301)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기어 노출 개구부(34a)가 설치되고 있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기어 노출 개구부(34a)로부터 노출된 용기 기어(301)는 해당 용기 기어(301)가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용기 본체(33)의 종방향으로 노즐 개구(610)보다 용기 개구부(33a) 측(용기 개구부(33a)의 근방)에 설치된다. 용기 기어(301)는 용기 구동 기어(601)에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회전 반송 수단을 회전시킨다.
용기 본체(33)의 용기 기어(301)보다 용기 첨단 측에는 원통형의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기어(301)와 동축이 되도록 제공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에 용기 개구부(33a)와 동축이 되도록 노즐 삽입 부재(330)의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을 압입하는 것으로써 용기 본체(33)에 대해 노즐 삽입 부재(330)를 고정할 수 있다. 토너 용기(32)는 용기 본체(33)에 대해 그 일단 측에 설치된 개구부로서의 용기 개구부(33a)로부터 토너를 충전 후 노즐 삽입 부재(330)를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와 용기 기어(301)의 사이에는 규제자로서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가 형성되고 있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 첨단부에 회전 방향(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을 가진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적어도 일부에는 외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노치 또는 컷아웃부로서 각각 사용되는 개구부(3061)(도 11a~11c 및 도 12를 참조로 후술됨)가 형성된다. 즉,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주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종방향(착탈 방향)이다.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토너 용기(32)(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도 8의 좌하측)으로부터 설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는 종방향으로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관통하고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340)는 규제자로서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결합된다.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결합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 후크(340)ㄴ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도 11a-11c 및 도 12를 참조로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에 형성된 규제자로서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마련한 커버 후크(340)가 회전 방향에 수직한 용기 본체(33)의 착탈 방향으로 통과되는 개구부(3061)를 포함한다.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Q)의 첨단면(34c)에는 용기 본체(33)의 착탈 방향으로 관통되고 용기 개구부(33a)가 삽입되는 관통공으로서의 개구부(34d)가 제공된다. 커버 후크(340)는 그 첨단부(340A)가 개구부(34d)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도 11b에서 파선원(34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첨단부(340A)의 첨단은, 개구부(34d)의 외주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된다.
개구부(3061)는 용기 본체(33)을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해 상대 회전시켰을 때 커버 후크(340)가 착탈 방향으로 통과되는 구멍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구부(3061)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회전 방향으로 3개가 제공된다. 개구부(3061)는 외주 방향의 개구부(3061) 사이의 공간이 커버 후크(340)의 외주 방향의 공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와 개구부(3061)는 회전 방향으로 3개씩 제공되고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커버 후크(340)와 하나의 개구부(3061)가 제공되면 충분하다. 도 11c는 도 11a에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 내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부터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단면(34c)의 중앙 측의 표면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측면은 서로 대향한다. 커버 후크(340)는 첨단면(34c)보다 얇게 형성되며(도 11b에서, 첨단면(34c)보다 후단측으로 리세스됨), 커버 후크(340)와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장착 방향(Q)으로 서로 대향한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용기 본체(33)에 대해서 장착 방향(Q)과 이탈 방향(Q1)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규제는 도 11c에서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용기 기어(301)의 사이를 장착 방향(Q)과 이탈 방향(Q1)으로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해 용기 본체(33)가 회전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회전 방향(A)"은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된 토너 용기(32) 내에서 용기 본체(33)에 대해서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상대 회전하는 방향이고, "장착 회전 방향(R)"은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할 경우에 용기 본체(33)에 대해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커버 후크(340))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3개의 커버 후크(340)와 3개의 개구부(3061)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커버 후크(340)와 하나의 개구부(3061)의 구성과 동작을 대표로 설명한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외경은 중앙의 개구부(34d)의 내경보다 크다.
용기 본체(33)와 용기 기어(30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기 본체(33)와 용기 기어(301)는 용기 본체(33)용으로 사용되는 수지 재료에 따라 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기어(301) 상에 커버 후크 스토퍼(306)가 형성되고, 용기 기어(301) 상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 상에 개구부(3061)가 형성되며, 용기 기어(301)를 용기 본체(33)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프린터부(100)에 토너 용기(32)를 장착할 때 장착중의 토너 용기(32)의 장착 방향 이외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용기 개구부(33a)를 용기 세트부(615)로 안내하는 안내부로서의 슬라이드 가이드(361)가 설치되고 있다. 도 7에서 슬라이드 가이드(361)는 오직 하나가 예시된다.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361)는 용기 본체(3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가이드(361)는 각각의 홈부 내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수용부(72)의 홈부(74)에 형성한 한 벌의 가이드 레일(75)이 삽입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가이드(361)는 토너 용기(32)를 프린터부(1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할 때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있어서 수직 방향(Z)과 착탈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W)으로의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표면 상에는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한 종방향(착탈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용기 결합부(339)가 제공된다. 도 7에서 용기 결합부(339)는 하나만 예시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할 때, 세트 커버(608)에 설치된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도 9 및 도 10 참조)가 용기 결합부(339)와 결합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결합부(339)는 가이드 돌기(339a), 가이드 홈(339b), 범프부(339c) 및 축방향 규제부로서의 결합 구멍(339d)을 포함한다. 용기 결합부(339)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있어서의 좌우에 위치되도록 1조가 배치된다. 즉, 각 결합 구멍(339d)은 용기 개구부(33a)의 중심을 사이에 두어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돌기(339a)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용기 첨단측에 제공되고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 수직한 수직면과 용기 본체(33)의 회전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돌기(339a)는 토너 용기(32)의 장착시에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을 접촉시켜 가이드 홈(339b)으로 안내하도록 각각의 가이드 홈(339b)에 연결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339b)은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측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이다.
가이드 홈(339b)의 용기 후단측은 개별 결합 구멍(339d)에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종단됨으로써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즉, 각각의 가이드 홈(339b)과 각각의 사각형의 결합 구멍(339d)의 사이에는 약 1 mm 폭의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부면이 노출되며, 이 부분은 범프부(339c)로서 사용된다.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는 범프부(339c)를 넘어 결합 구멍(339d)에 진입함으로써 토너 용기(32)와 토너 보급 장치(60)가 서로 결합된다. 이 상태가 토너 용기(32)의 세트 위치(세트 상태)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는 용기 결합부(339)의 결합 구멍(339d) 내에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가 진입하는 것으로써 토너 용기(32)와 토너 보급 장치(60)가 결합 가능하게 되는 용기 결합부(339)의 형상으로서는 결합 구멍(339d)과 같은 관통공의 형상이거나 폐쇄 단부 형상의 비관통형의 결합부와 같은 리세스의 형태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용기 기어(301)에는 구동부(용기 회전부)(91)로부터 용기 구동 기어(601)를 통해 회전 구동이 입력된다. 용기 기어(301)에 구동이 입력되면,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은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며,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은 베어링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용기 기어(301)을 장착하고나 일체적으로 구성한 용기 본체(33)가 회전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기어(301)의 회전 중심은 용기 개구부(33a)의 축선과 동심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보관 유지되는 상태(세트 상태)에 서, 토너 용기(32)의 용기 첨단측인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은 회전축으로서 사용되고 토너 용기(32) 내의 용기 세트부(615)의 내부면(615a)에 의해 지지되며, 용기 결합부(339)의 결합 구멍(339d)은 보급 장치측 결합 부재(78)와 결합된다. 용기 결합부(339)와 용기 개구부(33a)의 사이에 용기 기어(301)가 배치된다.
도 7 및 도 13-19를 참조로 토너 용기(32)의 외형을 아래에 설명한다.
토너 용기(32)를 운송할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를 밀봉하는 밀봉부로서의 캡(307)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첨단부 상에 용기 개구부(33a)에 장착 가능하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3)의 내외간이 예상치 못하게 연통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토너 누출, 공기로부터의 수분이 토너 내로 흡수되는 것에 따른 토너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 용기(32)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캡(307)을 먼저 분리한다. 캡(307)이 분리되고 용기 개구부(33a)가 노출된 상태가 도 7,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다.
도 13은 비스듬히 하방에서 바라본 토너 용기(3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D-D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에 캡(307)을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용기 첨단측 커버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a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저면도이다. 도 17c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우측면도이다. 도 17d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좌측면도이다. 도 18a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후면도이다. 도 18b는 도 13에 도시된 토너 용기(32)의 정면도이다.
도 13-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의 용기 첨단측 커버(34) 상에는 전술한 성분 외에도 복수의 식별 홈(3405~3414)이 배치된다. 식별 홈(3411~3420) 중에 식별 홈(3411~3414)은 도 13~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의 회전 중심과 커버 후크(340)의 리브(341b)을 통과하는 가상선(E)에 대해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부면의 우측에 제공된다. 리브(341b)는 토너 용기(32)가 복사기(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시 토너 용기 수용부(70)의 상부(천장면)와 활주 접촉하고 토너 용기(32)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식별 홈(3405~3414) 중 식별 홈(3405~3410)은 도 16에서 가상선(E)에 대해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부면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 13, 도 14 및 도 15에서, 식별 홈(3411~3414)은 도면의 지면에 대해 법선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되므로 그 참조 부호를 예시하지 않는다.
식별 홈(3405~3414) 중 식별 홈(3407, 3409, 3411, 3412, 3414)은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이탈 방향(Q1))에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첨단면(34c)으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고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부면(34b) 상에 제공된다. 또한, 정방으로부터 바라볼 때 식별 홈(3405, 3406, 3408, 3413)은 식별 홈(3407, 3409, 3410, 3411, 3412, 3414)에 대해 도면에서 첨단면(34c)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얕게 리세스된 오목부이다. 외부면(34b)의 외주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격자형 리브가 식별 홈 각각에 배치된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부면(34b)의 외주의 높이는 식별 홈(3405~3414)과 해당 식별 홈 내에 배치된 격자형 리브 때문에 외주 방향으로 변동된다. 식별 홈 내의 격자형 리브는 장착될 장치의 모델 또는 토너의 종류에 대응하여 적소에 배치된다. 따라서, 식별 홈(3405~3414) 내에 배치된 격자형 리브가 외주 방향으로 제공되는 위치의 조합에 의해, 토너의 종류 또는 장착될 장치의 모델에 대응하는 불규칙성이 형성되고, 격자형 리브는 토너 용기(32)의 종류 등의 정보를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로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결합부(339)는 가상선(E)에 대해 180도만큼 이격된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시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와 토너 용기(32)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용기 기어(301)는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장착한 후 복사기(500)(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 수용부(70)) 상의 기어(601)와 맞물리고 토너 용기(32)의 원통형 용기 본체(33)를 적절하게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17a-17d 및 도 18a-18b는 토너 용기(32)의 6개 도면이다. 그러나,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외형은 토너의 색 또는 토너 용기(32)가 장착되는 장치에 따라 변하므로 6개 도면은 모든 토너 용기(32)에 대해 동일하지 않는다.
도 19는 토너 용기(32)의 첨단측의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분리되는 용기 본체(33)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 리브(302)와 유사하게 내부에 위치된 토너를 반송하도록 스쿠핑부(304)의 내주 상에 나선 형상의 나선형 리브(304a)가 제공된다.
다음에, 용기 본체(33)에 장착되는 노즐 삽입 부재(330)를 설명한다.
도 20-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삽입 부재(330)는 토너 용기(32) 상에 배치되며, 노즐 삽입 개구로서의 수용구(331)를 포함한다. 수용구(331) 내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용기(32)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된다. 노즐 삽입 부재(330)는 개폐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332), 봉지 부재로서의 용기 밀봉부(333), 지지체로서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 압박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 스프링(336), 및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332)는 반송 노즐(611)의 삽입에 따라 압박되는 것에 의해 수용구(33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한편, 반송 노즐(611)의 제거에 따라 수용구(33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도록 왕복동 방식으로 용기 셔터 지지체(334) 내에 삽입되어 용기 셔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즉,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용기 셔터(332)를 지지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내부에 배치되어 용기 셔터(332)를 폐쇄 위치로 가압시키는 코일 스프링이다.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셔터 후단부로서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 셔터 측면부로서의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측면 개구부로서의 셔터 지지 개구(335b) 및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를 포함한다.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일측 단부들은 셔터 후단 지지부(335)에 의해 연결되며, 타측 단부들은 원통형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에 연결된다. 셔터 측면 지지부(335a)와 셔터 지지 개구(335b)는 토너 용기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 측으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까지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대응하는 원통부가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잘려진 컷아웃부의 형태를 가지며, 셔터 지지 개구(335b)는 그 컷아웃부 내에 배치된다.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공간(S1) 내에서 용기 노즐(61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간(S1)은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셔터 후단 지지부(335) 및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에 의해 둘러싸인다. 즉,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수용구(33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수용구(33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의 용기 셔터(33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에 장착되는 노즐 삽입 부재(330)는 용기 본체(33)의 회전시에 용기 본체(33)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노즐 삽입 부재(330)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토너 보급 장치(60)측의 반송 노즐(611)의 주위를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하고 있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반송 노즐(611)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 개구(610)의 바로 위 공간을 교대로 통과한다. 결국, 노즐 개구(610)의 상방으로 토너가 순간적으로 퇴적하는 경우에도, 그 퇴적 토너를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횡단해 무너뜨리므로, 장치가 가동되지 않을 때 퇴적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장치가 재가동될 때 토너의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반송 노즐(611)의 측방에 위치하고 노즐 개구(610)와 셔터 지지 개구(335b)가 서로 대향되면, 도 8의 화살표(β)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가 반송 노즐(611) 내로 공급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폐쇄 부재로서의 첨단 원통부(332c), 슬라이드 영역(332d), 신장부로서의 가이드 로드(332e) 및 셔터 후크(332a)를 포함한다. 첨단 원통부(332c)는 용기 밀봉부(333)의 원통 개구(수용구(331))와 밀착될 용기 첨단측의 부분이다. 슬라이드 영역(332d)은 첨단 원통부(332c)보다 용기 후단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또는 밀봉부로서의 원통부이다. 슬라이드 영역(332d)은 첨단 원통부(332c)보다는 외경이 조금 크고,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내부면 상에서 활주되며, 수용구(331)를 밀봉한다.
가이드 로드(332e)는 첨단 원통부(332c)의 원통 내부로부터 용기 후단 측으로 기립한 원통부이며,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코일 내부에 삽입될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드 부분이다. 평면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로드 활주부(332g)는 가이드 로드(332e)의 중간으로부터 원통형 가이드 로드(332e)의 중심축을 가로질러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평면을 포함한다. 가이드 로드 활주부(332g)의 용기 후단측은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외팔보로 분기된다. 셔터 후크(332a)는 가이드 로드(332e)가 기립되는 베이스에 반대측의 외팔보의 단부 상에 제공되어, 용기 셔터 지지체(334) 상에 걸리게 되는 결합부를 형성한다. 셔터 후크(332a)와 가이드 로드 활주부(332g)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 상에 제공되는 관통구로서의 후단 개구부(335d) 내로 삽입되고 셔터 후크(332a)가 후단 개구부(335d) 상에 걸리는 것으로써 셔터 후크(332a)와 가이드 로드 활주부(332g)는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하는 한 쌍의 후크로서 기능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첨단측 단부는 첨단 원통부(332c)의 내벽면에 연접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후단측 단부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반대면인 내벽면에 연접된다. 이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압축한 상태이므로, 용기 셔터(332)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22에서 우측 또는 용기 첨단 방향)으로 작용력을 받는다. 그러나, 용기 셔터(332)의 용기 후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셔터 후크(332a)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후단 개구부(335d) 상에 걸린다. 따라서, 용기 셔터(332)는 도 22에 나타낸 상태에서 셔터 후단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후크(332a)와 셔터 후단 지지부(335) 사이의 걸림 상태와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작용력에 기인하여 용기 셔터(332)의 위치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양자 모두 용기 셔터(332)의 토너 누출 방지 기능을 갖는 첨단 원통부(332c)와 용기 밀봉부(333)의 축방향의 위치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에 대해 결정된다. 따라서, 첨단 원통부(332c)와 용기 밀봉부(333)가 서로 결합되어 토너 누출을 방지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는 원통형으로, 그 외경 및 내경은 용기 후단측으로 다단식으로 감소된다. 해당 직경들은 용기 첨단 측으로부터 용기 후단측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외경부(용기 첨단측으로부터 열거 순서로 위치된 외부면 AA 및 BB)가 외부면 상에 제공되며, 5개의 내경부(용기 첨단측으로부터 열거 순서로 위치된 내부면 CC, DD, EE, FF, GG)가 내부면 상에 제공된다. 외부면 상의 외부면(AA, BB)은 그 경계에서 경사 표면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내부면 상의 제4 내부면(FF)과 제5 내부면(GG)은 그 경계에서 경사 표면으로 연결된다. 내부면 상의 내부면(FF)과 연결된 경사 표면은 후술되는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에 대응하고, 이들 표면의 릿지 라인은 후술되는 5각형 단면의 변에 대응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고 축방향으로 원통부를 절단하는 것으로 얻어진 플래이크 형상을 갖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쌍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로부터 돌출된다. 용기 후단측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단부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에 의해 연결된다.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는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통형 내부면으로서 첨단측 단부로부터 5번째 부분인 내부면(GG)을 포함한다.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제3 내부면(EE)은 45도 등각 이격된 노즐 셔터 배치 리브(337a)의 종방향 첨단을 통과하는 가상 외주이다. 4각 주상(원통형 튜브 형상)의 단면(도 22의 단면도에서의 단면)을 갖는 용기 밀봉부(333)는 내부면(EE)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용기 밀봉부(333)는 제3 내부면(EE)과 제4 내부면(FF)을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으로 연결하는 수직면에 고정된다. 용기 밀봉부(333)의 부착 표면에 반대인 노출된 표면(도 22의 우측)은 원통형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원통형 개구부(용기 개구부)의 내부 바닥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고착 방지 공간)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면(FF)과 연결된 경사 표면에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은 3개의 다른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링형의 밀봉된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면(제4 내부면(FF)과 그것에 연결된 경사 표면), 용기 밀봉부(333)의 장착측의 수직면, 용기 셔터(332)의 첨단 원통부(332c)로부터 슬라이드 영역(332d)까지 외부면에 의해 둘러싸인 링형의 밀봉된 공간이다. 링형의 공간의 단면은 오각형 형태이다.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면과 용기 밀봉부(333)의 단부면 사이의 각도와 용기 셔터(332)의 외부면과 용기 밀봉부(333)의 단부면 사이의 각도는 90도이다.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의 기능을 아래에 설명한다. 용기 셔터(332)에 의해 수용구(331)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용기 셔터(332)가 용기 후단측으로 이동되면, 용기 밀봉부(333)의 내부면이 용기 셔터(332)의 첨단 원통부(332c)에 대해 활주된다. 그러므로, 용기 밀봉부(333)의 내부면이 용기 셔터(332)에 의해 당겨지고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용기 후단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이 제공되지 않고 제3 내경부로부터 연속되는 수직면(용기 밀봉부(333)의 장착면)이 제5 내경부에 서로 수직이 되도록 연결되면, 다음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밀봉부(333)의 탄성 변형부가 용기 셔터(332)에 대해 활주되는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면과 용기 셔터(332)의 외부면 사이에 껴서 재밍을 유발할 수 있다. 용기 밀봉부(333)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와 용기 셔터(332)가 서로에 대해 활주되는 부분, 즉 첨단 원통부(332c)와 내부면(GG) 사이에서 재밍되면, 용기 셔터(332)는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에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수용구(331)는 개폐될 수 없다.
이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노즐 삽입 부재(330)는 그 내부 영역 내에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을 갖추고 있다.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의 내경(내부면(EE) 및 그와 연결된 경사 표면 각각의 내경)은 용기 밀봉부(333)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전체 용기 밀봉부(333)는 밀봉부 재밍 방지 공간(337b) 내로 거의 진입될 수 없다. 또한, 용기 셔터(332)에 의해 당겨지는 것으로 탄성 변형되는 용기 밀봉부(333)의 영역은 한정되므로, 용기 밀봉부(333)는 내부면(GG)으로 유도되어 그 위치에서 재밍되기 전에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수용구(331)가 용기 셔터(332)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 간의 장착 상태로 인해 개폐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밀봉부(333)의 외주와 접촉되는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면 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의 노즐 셔터 배치 리브(337a)가 제공된다. 용기 밀봉부(333)가 노즐 삽입 부재 고정부(337)에 장착되면, 용기 첨단측의 용기 밀봉부(333)의 수직면은 노즐 셔터 배치 리브(337a)의 첨단측 단부에 대해 회전축 방향으로 다소 돌출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할 때, 토너 보급 장치(60)의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작용력을 받아 용기 밀봉부(333)의 돌출부를 압박 변형시킨다.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더 내측으로 이동되어 노즐 셔터 배치 리브(337a)의 용기 첨단측 단부에 연접됨으로써 용기 밀봉부(333)의 첨단측 단면을 용기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밀봉한다.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구(331)에 있어서의 반송 노즐(611) 주위의 밀봉성을 확보하여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작용력을 받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표면의 후측은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연접됨으로써 노즐 셔터(612)의 토너 용기(32)에 대한 종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용기 밀봉부(333)의 용기 첨단측의 단면, 첨단 개구(305)(후술 하는 용기 개구부(33a) 내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용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 공간)의 첨단측의 단면 및 노즐 셔터(612)의 종방향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다.
다음에, 용기 셔터(332)와 반송 노즐(611)의 동작에 대해 도 1, 도 8 및 도 24a~24d를 참조로 설명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하기 전 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수용구(33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측으로 용기 셔터 스프링(336)에 의해 작용력을 받는다. 이때의 용기 셔터(332)와 반송 노즐(611)의 외관을 도 24a에 나타낸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하면,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이 수용구(331)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로 한층 더 밀어넣으면, 용기 셔터(332)의 단면이 되는 첨단 원통부(332c)의 단면(332h)(이하, "용기 셔터의 단면(332h)"으로 지칭됨)과 반송 노즐(611)의 삽입 방향에 위치하는 단면(611a)(이하, "반송 노즐의 단면(611a)"으로 지칭됨)이 서로 접촉된다. 전술한 상태로부터 토너 용기(32)를 한층 더 밀어넣으면, 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가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도 2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이 수용구(331)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어 세트 위치가 된다. 이때, 도 2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는 셔터 지지 개구부(335b)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다.
이후,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면, 스쿠핑부(304)에 의해 반송 노즐(611)보다 상방으로 퍼 올려진 토너가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 내에 낙하되어 도입된다. 반송 노즐(611) 내에 도입된 토너는 반송 스크류(614)가 회전하는 것으로 반송 노즐(611) 내로 토너 낙하 경로(64) 측으로 반송된다. 이후, 토너는 토너 낙하 경로(64)를 통해 현상 기구(50)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도 25, 도 26 및 도 27a~27d를 참조로 종래의 노즐 삽입 부재(330')의 구성을 아래에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노즐 삽입 부재(330)와 동일한 구성 성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된다.
토너 병으로 사용되는 토너 용기(32)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가 토너 용기(32) 내에 밀봉된 직후에 공기를 담고 있고 미리 정해진 점도를 가진다. 그러나, 토너 용기(32) 내의 토너는 운반 도중에 점차적으로 공기가 제거되고 점도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내부의 토너와 공기를 혼합하여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에 장착하기 직전에 미리 정해진 점도를 얻도록 토너 용기(32)를 흔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 토너 용기(32)는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에 장착하기 직전에 흔들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7a~2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을 노즐 삽입 부재(330') 내에 삽입할 때, 용기 셔터(332)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때, 감소된 점도의 토너는 용기 셔터(332)를 안내하는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와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유지된 공간(S1) 내에 잔류한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후단 지지부(33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투영 면적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의 투영 면적보다 크므로 토너는 원통부 내에 퇴적되기 쉽다. 또한,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연결된 부분(335e)이 배제되는 지지체의 단면부(335c)의 회색 음영 영역으로 표시된 투영 면적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의 해칭된 영역으로 표시된 동일 방향의 투영 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또는 약간 그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토너는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셔터 후단 지지부(335')에 대향된 노즐 삽입 부재(330')의 대향면 사이에서 눌려진다.
이때, 토너가 미리 정해진 점도를 가지면, 토너는 셔터 지지 개구(335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비해, 토너 용기(32)를 흔들지 않고 삽입하는 경우와 같이 점도가 낮으면, 토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셔터 후단 지지부(335')에 대향된 용기 셔터 지지체(334')(노즐 삽입 부재(330'))의 대향면 사이에서 압착된다. 토너 용기(32)를 더 밀어 넣으면, 압착된 토너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과 용기 셔터 지지체(334')(노즐 삽입 부재(330'))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사이로 들어간다. 압착되고 응집된 토너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과 용기 셔터 지지체(334')(노즐 삽입 부재(330'))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사이로 들어가면, 용기 셔터(332)는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로부터 분리할 때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토너 용기(32)는 수용구(331)가 개방 상태인 채로 분리됨으로써 토너 누출이 생길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에서, 도 28a, 도 28b 및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삽입 부재(330)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는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체의 단면부인 단면부(335c)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 상에 제공된다. 단면부(335c)에서,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연결된 부분이 아닌 부분은 개방된다. 즉, 상기 부분(335e)이 수평 방향으로 단면부(335c)의 양측에 존재하면, 상기 부분(335e)이 아닌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개방된다. 단면부(335c)는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마주하는 대향면이다.
구체적으로, 용기 셔터(332)는 지지체의 단면부로서의 단면부(335c) 측으로 연장되는 신장부로서의 가이드 로드(332e)를 포함한다.
셔터 후단 지지부(335)는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마주하는 부분인 단면부(335c)를 포함하고, 단면부(335c) 상에 제공된 후단 개구부(335d)를 포함한다. 단면부(335c)는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와 일체로 형성되고, 셔터 측면 지지부(335e)에 연결된 부분이 아닌 부분은 개방된다. 도 2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셔터 후단 지지부(335)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투영 면적 내에서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연결된 부분(335c)이 배제된 지지체의 단면부(335c)의 회색 음영으로 표시된 투영 면적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의 해칭 영역으로 표시된 동일 방향의 투영 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노즐 삽입 부재(330)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면, 다음의 장점이 얻어진다. 용기 셔터(332)가 반송 노즐(611)의 삽입에 의해 이동된 후 토너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도, 토너의 제1 부분이 압착됨이 없이 토너 용기(32) 내로 이동된다. 토너의 제1 부분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에 속하고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으로 단면부(335c)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의해 이동된 토너이다. 또한, 토너의 제2 부분은 근처에 위치된 토너의 제1 부분이 이동되기 때문에 셔터 지지 개구(335b)로부터 멀어지게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토너의 제2 부분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에 속하고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으로 단면부(335c)와 겹쳐지는 영역에 의해 이동된 토너이다.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마주하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면적이 감소되는 경우에 그리고 토너의 점도가 낮은 상태로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에 장착하더라도, 즉 토너 용기(32)를 흔들지 않고 장착하도하도, 토너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노즐 삽입 부재(330)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 사이에 압착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는 용기 셔터(332)를 폐쇄 위치 측으로 가압하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수용 부재로서의 바닥부로서 기능한다. 도 24b~2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의 삽입에 따라 용기 셔터(332)가 이동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압축되는 토너 용기(32)의 장착 공정에서, 단면부(335c)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복원력을 받는다. 따라서,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의 면적이 과도하게 감소되면,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강도가 감소된다. 강도가 감소되면, 토너 용기(32)의 장착 공정 중에 구성 성분이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0b 및 도 3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 후면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 상의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접촉되는 내벽면(335ca)의 후단 개구부(335d)의 개방 에지를 따라 경사면으로서의 경사면(335da)이 제공된다. 도 30a는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 30b는 도 30a의 h-h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0c는 도 30b의 J-J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후단 개구부(335d)의 전체 개방 에지를 따라 제공되는 경사면(335da)은 단면부(335c)로부터 후단 개구부(335d)의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태이다. 다시 말해,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 상에서 경사면(335da)은 후단 개구부(335d)의 개방 에지의 전체 외주를 따라 용기 셔터(322)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으로 상류면(33cca) 상에 제공된다.
경사면(335da)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 사이에 압착된 토너가 평평한 표면에 비해 쉽게 외주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평면부로서 그리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바닥부로서의 단면부(335c)(표면 335ca))의 면적이 최소화되는 경우에도 경사면(335da)이 유지되면, 강도를 유지하면서 토너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28b, 도 30b 및 도 3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 지지체는 용기 셔터 지지체의 종방향으로 단면부(335c)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35cc)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돌출부(335cc)는 개폐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 단면부(335c)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335cc)는 용기 셔터(32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용기 셔터(332)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으로 하류면(335cb)(노즐 삽입 부재(330)를 토너 용기(32)에 장착시 용기 후단면)의 외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경사면(335da)과 돌출부(335cc)의 전술한 구성에 따라,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투영 면적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의 투영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도,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압축에 따른 복원력이 용기 셔터 지지체(334)에 인가될 때 파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의 평평한 가이드부(332g)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대향되도록 제공된다(수직 배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은 노즐 삽입 부재(330)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활주되고, 안내되지 않는 방향의 강도(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평행한 강도)는 안내되는 측보다 낮다. 그러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대향되게 평평한 가이드부(332g)를 배치(수직 배열)하는 것에 의해, 용기 셔터(332)의 평평한 가이드부(332g)가 셔터 지지 개구(335b)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성에 비해,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평행한 힘에 대한 강도가 증가됨으로써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노즐 삽입 부재(330)의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단면부(335c) 사이에 압착되는 토너에 기인한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유리하게도 작아진다.
또한,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 지지체(334) 내에서 서로 마주하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쌍에는 용기 셔터(33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다단부(335f)가 제공된다.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다단부(335f)에 의해 제1 영역(Y1)과 해당 제1 영역(Y1)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 영역(Y2)으로 분할된다. 제2 영역(Y2)은 셔터 후단 지지부(335) 측에 위치되며,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따라서,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공간(S1)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구성은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상에 다단부(335f)가 배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상에 다단부(335f)를 포함하지 않고 폭에 대해 상기 영역(Y1, Y2)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 성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되고 응집된 토너가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과 노즐 삽입 부재(330)의 2개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 사이로 들어가는 경우, 토너 용기(32)를 복사기(500)로부터 분리할 때 용기 셔터(332)가 폐쇄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토너 용기(32)는 수용구(331)가 개방인 상태에서 분리됨으로써 토너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용기 셔터(332)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 상태를 연구하였다. 용기 셔터(332)에 의해 야기되는 압축 상태를 압축비의 사상으로 설명한다. 도 32a는 용기 셔터(332)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2b는 압축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으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표면(335ca)까지의 폐쇄 상태에서의 거리는 압축전 거리(L1)로서 간주한다.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으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의 표면(335ca)까지의 개방 상태에서의 거리는 압축후 거리(L2)로서 간주한다. 압축비는 간단히 L1/L2로서 간주한다.
구체적으로, 단면부(335c)에 반대인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과 단면부(335c) 사이의 거리에 대해 L1은 용기 셔터(32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의 거리를 나타내고 L2는 용기 셔터(322)가 개방 위치에 이Y는 경우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면, L1/L2는 1보다 크고 2이하인 것으로 설정된다.
압축전 거리(L1)와 압축후 거리(L2)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압축비(L1/L2)가 변경되는 토너 응집 상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예시된다. 표 1에서, 스트로크는 용기 셔터(322)의 스트로크(L1-L2)를 나타낸다. 실험의 평가는 ○, △, X로 나타낸다. ○는 토너 응집과 토너 누출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는 토너 응집은 일어나지만 토너 누출은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X는 토너 응집과 토너 누출이 일어난 상태를 나타낸다.
스트로크
L1 L1-L2 L2 압축비 결과
76.5 57.4 19.1 4.01
85.5 57.4 28.1 3/04
115 57.4 57.6 2.00
155 57.4 97.6 1.59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을 통해 L1/L2(압축비)가 1보다 크고 2이하가 되는 것으로 설정되면 압축되고 응집된 토너에 의해 토너 용기(32)가 복사기(500)로부터 분리될 때 용기 셔터(322)가 폐쇄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어 토너 용기(32)가 수용구(331)가 개방 상태로 남겨져서 토너 누출을 야기하면서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비의 변화의 유리한 효과는 본 실시 형태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와 용기 셔터(332)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3a 및 도 3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 사항이 종래의 용기 셔터 지지체(334')와 용기 셔터(332)의 조합에 적용되더라도, L1/L2(압축비)가 1보다 크고 2이하로 설정되면, 압축되고 응집된 토너에 의해 토너 용기(32)가 복사기(500)로부터 분리될 때 용기 셔터(322)가 폐쇄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어 토너 용기(32)가 수용구(331)가 개방 상태로 남겨져서 토너 누출을 야기하면서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3a에서, 압축전 거리(L1)는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표면(335'ca)까지의 폐쇄 상태에서의 거리이다. 도 3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후 거리(L2)는 용기 셔터(332)의 슬라이드 영역(332d)의 후단면(332da)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표면(335'ca)까지의 개방 상태에서의 거리이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 형태의 제3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 성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술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아래 설명되는 바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각 예에서, 조립의 편의를 위해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와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용기 셔터 지지체(334)와의 조립을 통해 노즐 삽입 부재(330)를 제조한 후 노즐 삽입 부재(330)를 용기 본체(33)와 조립하여 토너 용기(32)를 제조한다.
용기 셔터(332)의 셔터 후크(332a)는 용기 셔터 지지체(334)의 후단 개구부(335d) 상에 걸려서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를 제조하는 도중에 셔터 후크(322a)가 무엇에 충돌하거나 실수로 접촉될 수 있는 경우 외부 응력이 셔터 후크(322a)에 인가될 수 있어서, 셔터 후크(322a)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이탈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용기(32)의 제조 공정에서, 노즐 삽입 부재(330)는 다른 장소에서 제작된 후 반송 또는 운반되어 노즐 삽입 부재(330)를 용기 본체(33)와 조립하여 토너 용기(32)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삽입 부재(330)는 노즐 삽입 부재(330)가 반송 또는 운반될 때, 노즐 삽입 부재(330)의 포장을 위한 포장재가 셔터 후크(332a)를 간섭하거나 포장된 노즐 삽입 부재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간섭에 의해 셔터 후크(332a)에 응력이 인가되면, 셔터 후크(332a)는 탄성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용기 셔터(322)의 이탈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도 34a 및 도 3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표면(335cb)으로부터 돌출되는 표면(335cb)로부터의 돌출량(높이)(th1)을 셔터 후크(332a)가 후단 개구부(335d) 상에 걸리는 상태에서 표면(335cb)으로부터의 돌출량(높이)(th2)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한다. 즉, 돌출부(335cc)는 개폐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 셔터 후크(332a)보다 더 돌출된다.
돌출부(335cc)는 개폐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332)가 폐쇄 위치에 위치될 때 셔터 후크(결합부)(332a)에 대해 용기 셔터(332)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방향으로 하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335cb)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높이)(th1)을 셔터 후크(332a)가 후단 개구부(335d) 상에 걸리는 상태에서 표면(335cb)으로부터의 돌출량(높이)(th2)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하면, 셔터 후크(332a)의 외주가 커버된다. 따라서, 셔터 후크(332a)에 인가되는 외부 응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삽입 부재(330)가 반송 또는 운반되는 경우에도, 노즐 삽입 부재(33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가 셔터 후크(332a)를 간섭하거나 포장된 노즐 삽입 부재(330)가 서로 간섭할 가능성이 적어서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체(3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은 적절히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 성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은 제1 실시 형태에 설명된 기술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술이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아래 설명되는 바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아래 설명되는 제4~제7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포함한다.
먼저,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와 용기 본체(33)를 서로 장착해 조립하는 경우, 용기 첨단측 커버(34) 내에 용기 본체(33)를 Q 방향으로 삽입하고,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첨단면(34c)의 중앙에 배치된 개구부(34d)로부터 용기 본체(33)를 장착 방향(Q)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설형(tongue-shaped)의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커버 후크 스토퍼(306) 너머로 통과됨으로써 커버 후크(340)의 첨단이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용기 기어(301)의 사이의 홈에 걸리게 된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전제 외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외경은 개구부(34d)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Q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지만, 용기 본체(33)와 상대 회전되도록 보관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가 토너 용기 수용부(70)에 보관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토너 용기(32)(용기 첨단측 커버(34))에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장착하기 쉽게(탄성 변형 하기 쉽게) 구성하면, 이탈 방향(Q1)으로 밀어내는 힘이 인가되는 경우, 용기 첨단측 커버(34)로부터 용기 본체(33)가 이탈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용기 첨단측 커버(34)로부터 용기 본체(33)가 이탈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커버 후크(340)를 분리하기 어렵게(탄성 변형하기 어렵게) 구성하면,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a~11c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에 마련된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배치된 커버 후크(340)가 회전 방향에 수직한 용기 본체(33)의 착탈 방향으로 각각 통과되는 개구부(3061)를 포함한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규제자로서 사용되며, 개구부(3061)는 노치 또는 컷아웃부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용기 본체(33)의 착탈 방향은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이다. 그러나,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토너 용기 본체(33)에 대해 장착 및 이탈되는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착탈 방향은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되는 방향과 반대인 방향과 같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장착 방향"이란 용어는 "용기 본체(33)의 장착 방향"과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이탈 방향"의 2가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이탈 방향"이란 용어는 "용기 본체(33)의 이탈 방향"과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의 2가지 의미를 가진다. 유사하게,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장착 방향(Q)"이란 용어는 "용기 본체(33)의 장착 방향"과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이탈 방향"의 2가지 의미를 가지며;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이탈 방향(Q1)"이란 용어는 "용기 본체(33)의 이탈 방향"과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의 2가지 의미를 가진다.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Q)으로 위치하는 첨단면(34c)에는 용기 본체(33)의 착탈 방향으로 관통하고 그 내부로 용기 개구부(33a)가 삽입되는 관통공으로서의 개구부(34d)가 제공된다. 커버 후크(340)는 내측 단부(340A)가 개구부(34c)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도 11b에서 점선 원(34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단부(340A)의 첨단은 개구부(34d)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돌출된다. 개구부(3061)는 용기 본체(33)를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해 상대 회전시켰을 때에, 커버 후크(340)를 착탈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구부(3061)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회전 방향으로 3개가 제공된다. 개구부(3061)는 개구부(3061) 사이의 외주 방향의 간격이 커버 후크(340)의 외주 방향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와 개구부(3061)는 회전 방향으로 3개씩 형성하고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커버 후크(340)와 하나의 개구부(3061)가 제공되면 충분하다. 도 11c는 도 11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단면(34c)의 중앙 측의 부분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외측면은 서로 대향다. 커버 후크(340)는 첨단면(34c)보다 얇게 형성되며(도 11b에서 첨단면(34c)에 대해 후단측으로 리세스됨), 커버 후크(340)와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장착 방향(Q)으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용기 본체(33)에 대해서 장착 방향(Q)과 이탈 방향(Q1)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규제는 도 11c에서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용기 기어(301)의 사이에서 장착 방향(Q) 및 이탈 방향(Q1)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해 용기 본체(33)가 회전 가능해진다.
즉, 비교예를 사용하여 설명된 분체 용기의 구성에서, 수용부 상에 제공된 돌출부는 분체 저장부의 규제자 상에 걸리도록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돌출부가 쉽게 이탈되거나 이탈이 어렵게 구성되면, 규제자를 돌출부에 걸리게 하는 것이 어려워져서 작업성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는 분체를 담는 분체 저장부; 분체 저장부에 장착 가능하고 분체 저장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수용부; 분체 저장부와 수용부 중 하나에 있는 돌출부; 분체 저장부와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있으며 분체 저장부의 종방향으로 돌출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한다. 분체 저장부는 수용부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규제부는 수용부가 분체 저장부에 장착될 때 돌출부가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돌출부는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분체 저장부와 수용부 중 하나에 제공되며, 분체 저장부와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가 걸리는 대상으로서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규제부가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는 돌출부가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통과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돌출부가 개구를 통과한 후, 개구와 돌출부 간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결국, 종래의 구성에 비해, 작업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돌출부를 규제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돌출부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커버 후크(340)와 개구부(3061)의 특정 구성을 각각의 예로 설명한다. 제시된 예에서, "회전 방향(A)"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에 대해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상대 회전되는 방향이고, "장착 회전 방향(R)"은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할 경우에 용기 본체(33)에 대해 용기 첨단측 커버(34)(커버 후크(340))가 회전되는 방향이다. 3개의 커버 후크(340)와 3개의 개구부(3061)는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커버 후크(340)와 하나의 개구부(3061)의 구성과 동작을 대표로 설명한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외경은 중앙의 개구부(34d)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
제4 실시예
도 37a 및 도 37b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7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개구부(3061)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7b는 개구부(3061)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37c는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착탈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있어서, 장착 방향(Q)으로 위치하는 단면(306a)은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시 개구부(3061) 측으로의 안내면으로 사용되고, 이탈 방향(Q1)으로 위치하는 단면(306b)은 이탈시 개구부(3061) 측으로의 안내면으로 사용된다.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340)는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한 단부로서의 단면에 돌출 경사부(340a)를 포함한다. 돌출 경사부(340a)는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상방으로 경사진다. 돌출 경사부(340a)는 상부면이 평탄한 경사면이다. 경사부(340a)와 연속하는 커버 후크(340)의 표면은 돌출부의 제2 표면으로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으로 지칭된다. 저면(340b)은 용기 본체(33)로의 용기 커버(34)의 장착 동작시 단면(306a)에 대향된다. 경사부(340a)로부터 연속되고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반대측에 위치된 커버 후크(340)의 표면을 돌출부의 제1 표면으로서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으로 칭한다.
커버 후크(340)는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와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을 서로 평행한 평행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하기 전 상태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a)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단면(306b)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회전 방향(R)의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길이)을 "c", 장착 회전 방향(R)의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길이)을 "e", 커버 후크(340)의 착탈 방향의 두께가 되는,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과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 사이의 두께를 "d"로 표시한다. 커버 후크(340)는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즉, 회전 방향(R)의 저면(340b)의 길이)는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보다 크다. 커버 후크(340)는 회전 방향에 대해 경사부(340a)가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으로부터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으로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아래의 설명에서, 커버 후크(340)의 구성은 제4~7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개구부(3061)는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면이 돌출 경사부(340a)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개구 경사부(3061a)로서 형성되고 있다. 개구부(3061)는 개구 경사부(3061a)와 대향하는 대면부(3061b)를 포함한다. 대면부(3061b)는 경사면이다. 제4 실시예에서, 개구 경사부(3061a)와 대면부(3061b)는 서로 평행한 평행면이다.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1)는 개구 경사부(3061a)와 대면부(3061b) 사이의 간격을 "t"; 개구부(3061)에 있어서 단면(306b) 측에 둘 수 있는 제1 포트(3061c)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길이)을 "a"; 개구부(3061)에 있어서 제2 포트(3061d)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길이)을 "b"로 한다. 제1 포트(3061c)는 유출 포트(하류단 포트, 유출구 또는 개구부(3061)의 제1 부분)이다. 제2 포트(3061d)는 유입 포트(상류단 포트, 유입구 또는 개구부의 제2 부분)이다.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는 단면(306a)으로 개방된 개구부(3061)의 일단으로서, 분체 저장부로서의 용기 본체(33)에 수용부로서의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장착될 때 돌출부(340)가 개구부(3061)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류 측에 위치된다.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는 단면(306b)으로 개방된 개구부(3061)의 타단으로서,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가 장착될 때 돌출부(340)가 개구부(3061)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와,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1)에서의 커버 후크(340)의 진입 동작을 도 38a~38g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에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도 38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가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3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1) 측으로(이탈 방향(Q1)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커버 후크(340)가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후크(340)는 제2 포트(3061d)의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1)를 피봇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개구부(3061)의 내측으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다소 변형되어 도 3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경사부(340a)를 선두로 개구부(3061)로 진입한다. 이어서, 도 3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와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에 의해 형성된 단부(S2)가 제2 포트(3061d)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3)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는 도 38e와 도 3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601)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측 단부(S4)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포트(3061c)의 단부(S5)를 통과하면, 도 38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는 상면(340c)과 단면(306b)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33) 측의 부재와의 간격(SP1)의 길이가 커버 후크(340)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4)가 제1 포트(3061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면, 커버 후크(340)의 개구부(3061)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1)는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부(3061a)와 접촉시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1)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1)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용기 본체(33)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한 후 개구부(3061)와 커버 후크(340)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는 용이하게 개구부(3061)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39a~39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9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노치 또는 컷아웃부로서의 개구부(3062)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9b는 개구부(3062)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39c는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5 실시예와 관련되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형성한 개구부(3062)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구부(3061)와 상이하다. 개구부(3062)는 개구 경사부(3602a)와 개구 경사부(3602a)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대면부(3062b)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대면부(3062b)는 예각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진 표면이며, 개구 경사부(3602a)보다 작은 각도이며,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3062)는 단면(306a) 측의 제2 포트(3062d)의 폭 "b"과 단면(306b) 측의 제1 포트(3062c)의 폭 "a"가 서로 다르다. 제1 포트(3062c)는 유출 포트(하류단 포트, 유출구 또는 개구부의 제1 부분)이다. 그러므로, 제5 실시예에서, 개구 경사부(3062a)와 대면부(3062b) 간의 간격 "t"는 개구 경사부(3062a)와 대면부(3062b) 간의 최소 간격에 대응하며, 그 치수는 개구 경사부(3062a)의 연장선과 그 연장선에 평행하도록 대면부(3062b)로부터 연장되는 선 간의 치수에 대응한다. 즉, 개구부(3062)는 개구부의 제2 포트 상에서 이탈 방향(Q1)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경사진 안내부로서 대면부(3062b)를 포함한다.
개구부(3062)의 제1 포트(3062c)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a", 개구부(3062)에 있어서 유입 포트, 상류단 포트, 유입구 또는 개구부의 제2 부분으로서의 제2 포트(3062d)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b"로 표시한다.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는 단면(306a) 상으로 개방된 개구부(3062)의 일단의 폭에 대응하고, 제1 포트(3062c)는 단면(306b) 상으로 개방된 개구부(3062)의 타단의 폭에 대응한다. 제5 실시예에서도,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2)의 간격 "t"의 관계와 개구부(3062)의 제1 포트(3062c)의 폭 "a" <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의 관계가 만족된다. 추가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2)에서의 커버 후크(340)의 진입 동작을 도 40a~40g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도 40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상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4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2)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는 동일 자세를 유지하면서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로 진입한다. 이 자세는 도 4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2a)과 접촉될 때까지 유지된다.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2a)과 접촉되면, 도 4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는 대면부(3062b)상에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의 단부(S4)를 피봇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도 4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와 상면(340c)에 의해 형성된 단부(S2)가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13)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2)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는 도 40e와 도 40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602)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측 단부(S4)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포트(3062c)의 단부(S15)를 통과하면, 도 40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는 상면(340c)과 단면(306b)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33) 측의 부재와의 간격(SP1)의 길이가 커버 후크(340)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4)가 제1 포트(3062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면, 커버 후크(340)의 개구부(3062)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2)는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2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2)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2)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2)의 제1 포트(3062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2)와 커버 후크(340)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는 용이하게 개구부(3062)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는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2)를 통과하는 회전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제4 실시예에서보다 작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보다 간격(SP1)을 줄일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41a~41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1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노치 또는 컷아웃부로서의 개구부(306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1b는 개구부(3063)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41c는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6 실시예와 관련되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형성한 개구부(3063)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와 상이하다. 개구부(3063)는 개구 경사면(3063a)과 해당 개구 경사면(3063a)과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대면부(3063b)를 포함한다. 개구부(3063)는 단면(306a) 측의 개구부(3063)의 제2 포트(3063d)에 이탈 방향(Q1)으로 패인 안내부, 함몰부 또는 리세스로서의 오목부(4063)를 포함한다. 오목부(4063)는 단면(306a)에 평행하고 대면부(3063b)에 연속되는 제1 표면(4063a)과 해당 제1 표면(4063a)과 단면(306a)에 연결된 제2 표면(4063b)을 포함한다. 제2 표면(4063b)은 단면(306a)로부터 이탈 방향(Q1)으로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하방 경사진 표면이다.
제6 실시예에서, 개구부(3063)는 개구 경사면(3063a)과 대면부(3063b) 사이의 간격을 "t"; 개구부(3063)에 있어서 단면(306b) 측에 둘 수 있는 제1 포트(3063c)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a"; 개구부(3061)에 있어서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b"로 한다. 제1 포트(3063c)는 유출 포트로 사용된다. 제2 포트(3063d)는 유입 포트(상류단 포트, 유입구 또는 개구부의 제2 부분)로 사용된다. 개구부(3063)의 제2 포트(3063d)는 개구 경사면(3063a)과 단면(306a)에 의해 형성된 단부(S23)와 제2 표면(4063b)과 단면(306a)에 의해 형성된 단부(S34) 사이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에 대응하며, 이 폭을 안내부의 회전 방향의 폭 "b"으로 한다.
또한,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3)의 간격 "t"와, 개구부(3063)의 제1 포트(3063c)의 폭 "a" <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의 관계와,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안내부(4063)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3)에서의 커버 후크(340)의 진입 동작을 도 42a~42i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에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도 42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3)의 제2 포트(3063d)의 안내부(4063)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4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3) 측으로 커버 후크(340)가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안내부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는 도 4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3a)과 접촉될 때까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계속 이동된다.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3a)과 접촉되면, 커버 후크(340)는 도 4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4)를 피봇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2 표면(4063b) 상에서 회전된다. 이어서, 회전 중에 도 4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이 제2 포트(3063d)의 단부(S25)에 접촉되고, 커버 후크(340)는 더 회전된다.
도 4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와 상면(340c)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S2)가 개구 경사면(3063a)과 단면(306a)의 장착 회전 방향(R)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23)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개구부(3063)의 간격 "t"이므로, 커버 후크(340)는 도 42g 및 도 42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603)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장착 회전 방향(R) 상류측의 단부(S4)가 도 42i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3)의 제1 포트(3063c)의 단부(S25)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단면(306b)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의 하류 측에 위치된 용기 본체(33)의 부재 사이의 간격(SP1)의 길이를 커버 후크(340)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4)가 제1 포트(3063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면, 커버 후크(340)의 개구부(3063)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3)는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3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3)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3)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3)의 안내부(4063)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3)와 커버 후크(340)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는 용이하게 개구부(3063)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43a~43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3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노치 또는 컷아웃부로서의 개구부(3064)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3b는 개구부(3064)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43c는 커버 후크(340)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7 실시예와 관련되는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형성한 개구부(3064)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와 상이하다. 개구부(3064)는 개구 경사면(3064a)과 해당 개구 경사면(3064a)과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대면부(3064b)를 포함한다. 개구부(3064)는 단면(306a) 측의 개구부(3064)의 제2 포트(3064d)에 이탈 방향(Q1)으로 패인 안내부, 함몰부 또는 리세스로서의 오목부(4064)를 포함한다. 오목부(4064)는 단면(306a)에 평행하고 대면부(3064b)에 연속되는 제1 표면(4064a)과 해당 제1 표면(4064a)과 단면(306a)에 연결된 제2 표면(4064b)을 포함한다.
제7 실시예에서, 개구부(3064)는 개구 경사면(3064a)과 대면부(3064b) 사이의 간격을 "t"; 개구부(3064)에 있어서 단면(306b)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a"; 개구부(3064)에 있어서 제2 포트(3064d) 측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을 "b"로 한다. 제1 포트(3064c)는 유출 포트(하류단 포트, 유출구 또는 개구부의 제1 부분)로 사용된다. 제2 포트(3064d)는 유입 포트(상류단 포트, 유입구 또는 개구부의 제2 부분)로 사용된다. 개구부(3064)의 제2 포트(3064d)는 개구 경사면(3064a)과 단면(306a)에 의해 형성된 단부(S33)와 제2 표면(4064b) 사이의 장착 회전 방향(R)의 폭에 대응하며, 이 폭을 안내부의 회전 방향의 폭 "b"으로 한다. 대면부(3064b)와 제1 표면(406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35)와 제2 표면(4064b)과 단면(306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S35)는 호형으로 모따기된 형상이다.
또한,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 개구부(3063)의 간격 "t"와, 개구부(3064)의 제1 포트(3064c)의 폭 "a" <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의 관계와,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안내부(오목부)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4)에서의 커버 후크(340)의 진입 동작을 도 44a~44g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에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도 44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4)의 제2 포트(3064d)의 안내부(4064)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4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064) 측으로 커버 후크(340)가 압박된다. 따라서,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의 폭 "c" < 안내부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는 도 4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4a)과 접촉될 때까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자중 낙하되어 계속 이동된다.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4a)과 접촉되면, 커버 후크(340)는 도 4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이 제1 포트(3064c)의 단부(S41)와 접촉되어 커버 후크(340)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커버 후크(340)의 두께 "d" ≤개구부(3064)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와 상면(340c)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S2)가 개구 경사면(3064a)과 단면(306a)의 장착 회전 방향(R)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S33)를 통과한다. 또한, 도 4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604)를 통과하고 도 44f에,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저면(340b)에 있어서 장착 회전 방향(R) 상류측의 단부(S4)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포트(3064c)의 단부(S35)를 통과한다. 따라서, 도 4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단면(306b)이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의 하류 측에 위치된 용기 본체(33)의 부재 사이의 간격(SP1)의 길이를 커버 후크(340)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4)가 제1 포트(3064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면, 커버 후크(340)의 개구부(3064)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4)는 돌출 경사부(340a)가 개구 경사면(3064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3064)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4)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4)의 제1 포트(3064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4)와 커버 후크(340)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는 용이하게 개구부(3064)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제7 실시예에서는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커버 후크(340)를 눌러 개구부에 진입시키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5a~4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접촉시키면서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가 개구부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340b)는 단면(360b)보다 f만큼 하방으로 돌출된다. 용기 본체(33)를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삽입하여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연접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Q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도 45b).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a)의 폭 "e"를 각 개구부의 제2 포트의 폭 "b"보다 좁게 하고 있으므로,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도 4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고 각 개구부의 제2 포트 측에 커버 후크(340)를 위치시키면, 커버 후크(340)는 장착 회전 방향(R)으로의 이동에 따라 하강되기 시작한다(도 45c).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 후크(340)를 포함하는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이탈 방향(Q1)으로 누르는 대신에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커버 후크(340)를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장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5a~45c는 제6 실시예의 개구부에 적용하고 있지만, 제5 및 제7 실시예의 개구부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제8~제10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제10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제4 실시예의 개구부(3601)와 동일하고, 용기 첨단측 커버(34)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는 형상이 다르다. 아래의 설명에서, 커버 후크와 첨단면(34c) 사이의 관계는 도 45a~45c에 나타낸 관계와 동일하지만, 제4~제7 실시예에 설명된 관계가 적용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46a~46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6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개구부(3061)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커버 후크(34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6b는 개구부(3061)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46c는 커버 후크(3401)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8 실시예서는, 커버 후크(3401)는 장착 회전 방향(R)에 위치하는 단부가 되는 단면에 장착 회전 방향(R)으로 경사진 돌출 경사부(3401a)를 포함한다. 돌출 경사부(3401a)는 상부면이 평탄한 경사면이다. 돌출 경사부(3401a)로부터 연속되고 단면(306a)과 대향하는 커버 후크(3401)의 표면을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으로 부른다. 저면(3401b)은 돌출부의 제2 표면이다. 경사부(3401a)로부터 연속되고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표면을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으로 부른다. 상면(3401c)은 돌출부의 제1 표면이다. 돌출 경사부(3401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표면을 커버 후크(3401)의 측면(3401d)으로 부른다.
돌출 경사부(3401a)는 개구 경사면(3061a)과 평행한 경사면이며, 커버 후크(3401)의 측면(3401d)은 개구 경사면(3061a)과는 평행하지 않고 장착 회전 방향(R)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의 폭을 "c";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의 상면(3401c)의 폭을 "e"; 커버 후크(3401)의 착탈 방향의 두께가 되는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과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 사이의 두께를 "d"로 표시한다. 커버 후크(3401)는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의 폭 "e"가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의 폭 "c"보다 크다. 커버 후크(3401)는 장착 회전 방향(R)에 대해서 돌출 경사부(3401a)가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으로부터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으로 이탈 방향(Q1)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8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3401)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의 관계,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의 폭 "e"의 관계 및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의 폭 "c" <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1)에서의 커버 후크(3401)의 진입 동작을 도 47a~47h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4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1)가 도 47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도 47b 및 도 4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1)가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 상에 위치하면, 커버 후크(3401)의 저면(3401b)의 폭 "c" <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가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떨어진다. 따라서, 도 4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1)의 측면(3401d)이 단부(S1)와 접촉된다.
커버 후크(3401)의 측면(3401d)가 단부(S1)와 접촉되면, 도 4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접촉점을 피봇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커버 후크(340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커버 후크(3401)의 돌출 경사부(3401a)와 상면(3401c)에 의해 형성된 단부(S42)가 개구 경사면(3061a)과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면(306a)으로 구성되는 삽입측의 단부(S3)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1)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1)는 도 47f 및 도 47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1)의 측면(3401d)이 대면부(3061b)에 의해 안내되어 개구부(3061)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의 장착 회전 방향(R) 상류측의 단부(S45)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단부(S5)를 통과하면, 도 47h에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과 단면(306b)이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의 하류 측에 위치된 용기 본체(33)의 부재 사이의 간격(SP1)의 길이를 커버 후크(340)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4)가 제1 포트(3061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면, 커버 후크(340)의 개구부(3061)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1)는 돌출 경사부(3401a)가 개구 경사면(3061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1)가 개구부(3061)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1)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1)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1)의 상면(3401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1)와 커버 후크(3401)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1)는 용이하게 개구부(3061)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 48a~48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8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개구부(3061)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34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8b는 개구부(3061)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48c는 커버 후크(3402)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9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3402)는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 측의 형상이 제8 실시예와 상이하다.
돌출 경사부(3402a)는 개구 경사면(3061a)과 평행한 경사면이다. 커버 후크(3402)의 측면(3402d)은 개구 경사면(3061a)과는 평행하지 않고 장착 회전 방향(R)으로 오목하도록 제공된다. 이 오목부는 측면(3402d)로부터 연속되고 단면(306a)과 평행한 제1 표면(4402a)과 해당 제1 표면(4402a)과 돌출부의 제2 표면으로서의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을 연결하는 제2 표면(4402b)을 포함한다.
커버 후크(3402)에서는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의 폭을 "c";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돌출부의 제1 표면으로서의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의 폭을 "e"; 커버 후크(3402)의 착탈 방향의 두께가 되는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과 상면(3402c) 사이의 두께를 "d"로 표시한다. 커버 후크(3402)는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의 폭 "e"가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의 폭 "c"보다 크다. 돌출 경사부(3402a)는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으로부터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으로 이탈 방향(Q1)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제공된다.
제9 실시예에서는 커버 후크(3402)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의 관계,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의 폭 "e"의 관계 및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의 폭 "c" <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1)에서의 커버 후크(3402)의 진입 동작을 도 49a~49h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4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2)가 도 49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도 49b 및 도 4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2)가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 상에 위치하면, 커버 후크(3402)의 저면(3402b)의 폭 "c" < 개구부(3061)의 제2 포트(3061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2)가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떨어진다. 따라서, 도 4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의 저면(3402b)과 제2 표면(4402b)에 의해 형성된 단부(S54)이 대면부(3061b)와 접촉된다.
단부(S54)가 대면부(3061b)와 접촉하면, 도 4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접촉점을 피봇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커버 후크(340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커버 후크(3402)의 경사부(3402a)와 상면(3402c)에 의해 형성된 단부(S52)가 개구 경사면(3061a)과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면(306a)으로 구성되는 삽입측의 단부(S3)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2)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도 4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의 측면(3602d)과 제1 표면(4402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S56)가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d)의 단부(S1)와 접촉한다. 그러면, 이 접촉부를 피봇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커버 후크(340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2)의 두께 "d" ≤ 개구부(3061)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2)의 단부(S56)는 도 49f 및 도 49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면부(3061b)에 의해 안내되어 개구부(3061)를 통과한다. 커버 후크(3402)의 단부(S56)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측에 위치된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단부(S5)를 통과하면, 도 49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과 단면(306b)이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의 하류 측에 위치된 용기 본체(33)의 부재 사이의 간격(SP1)의 길이를 커버 후크(3402)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55)가 제1 포트(3061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면, 커버 후크(3402)의 개구부(3061)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1)는 돌출 경사부(3402a)가 개구 경사면(3061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2)가 개구부(3061)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2)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1)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1)의 제1 포트(3061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2)의 상면(3402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1)와 커버 후크(3402)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2)는 용이하게 개구부(3061)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50a~50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10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0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개구부(3061)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34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0b는 개구부(3061)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50c는 커버 후크(3403)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제9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3403)는 오목부의 형태가 제9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제9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목부는 측면(3403d)로부터 연속되고 단면(306a)과 평행한 제1 표면(4403a)과, 저면(3403b)까지 연속되는 제2 표면(4403b)과, 제1 표면(4403a)과 제2 표면(4403b)을 연결하는 제3 표면(4403c)을 포함한다. 제3 표면(4403c)은 곡면 형상이다.
개구부(3061)에서의 커버 후크(3403)의 진입 동작을 도 51a~51h에 나타낸다. 도 51a~51h에 나타낸 진입 동작은 도 49a~49h에 나타낸 진입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1 실시예
도 52a~52c는 커버 후크와 개구부의 제1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2a는 용기 본체(33)에 형성한 개구부(3062)와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 돌출부로서의 커버 후크(34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2b는 개구부(3062)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52c는 커버 후크(3404)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개구부(3062)의 형상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한다.
제11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3404)는 장착 회전 방향(R) 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되는 단면에 장착 회전 방향(R)에 경사진 돌출 경사부(3404a)를 포함한다. 돌출 경사부(3404a)는 상부면이 평탄한 경사면이다. 경사부(3404a)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제1 표면(4404a)이 형성된다. 제1 표면(4404a)은 장착 회전 방향(R)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하는 기립면을 포함한다.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은 돌출부의 제2 표면으로서 단면(306a)과 대향하고 있다. 돌출 경사부(3404a)로부터 연속되고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표면을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으로 부른다. 상면(3404c)은 돌출부의 제1 표면이다. 돌출 경사부(3404a)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은 커버 후크(3404)의 측면(3404d)이다. 커버 후크(3404)의 측면(3404d)과 상면(3404c)의 사이에는 제1 표면(4404a)과 평행인 제2 표면(4404b)이 제공된다.
커버 후크(3404)에서는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폭을 "c"; 장착 회전 방향(R)에 있어서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의 폭을 "e"; 커버 후크(3404)의 착탈 방향의 두께가 되는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과 상면(3404c) 사이의 두께를 "d"로 표시한다. 커버 후크(3404)는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의 폭 "e"와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폭 "c"는 동일하다.
제11 실시예에서는 커버 후크(3404)의 두께 "d" ≤ 개구부(3062)의 간격 "t"의 관계, 개구부(3062)의 제1 포트(3062c)의 폭 "a" <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의 폭 "e"의 관계 및 커버 후크(3403)의 저면(3403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된다.
전술한 구성의 개구부(3062)에서의 커버 후크(3404)의 진입 동작을 도 53a~53g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5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장착 회전 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커버 후크(3404)가 도 53a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단면(306a) 상을 이동한다. 도 5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가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 상에 위치하면,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4)가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면서 개구부(3602)의 제2 포트(3062d)로 하강된다. 하강은 도 5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경사부(3404a)가 개구 경사면(3062a)과 접촉될 때까지 계속된다.
돌출 경사부(3404a)가 개구 경사면(3062a)과 접촉하면, 커버 후크(3404)는 대면부(3062b) 상에서 장착 회전 방향(R)의 상류 측에 위치된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단부(S74)를 피봇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도 5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의 경사부(3404a)와 상면(3404c)에 의해 형성된 단부(S72)가 장착 회전 방향(R)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3602)의 제2 포트(3062d)의 단부(1S3)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4)의 두께 "d" ≤ 개구부(3062)의 간격 "t"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도 5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의 단부(S72)가 개구 경사면(3602a)에 접촉하고커버 후크(3404)가 개구부(3602)를 통과한다. 이때, 커버 후크(3404)는 개구 경사면(3602a)과 단부(S72) 사이의 접촉부를 피봇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단부(S74)가,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포트(3062c)의 단부(S15)를 통과한다.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커버 후크(3404)의 측면(3404d)이 제1 포트(3602c)를 통과하고 도 5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과 단면(306b)이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단면(306b)과 이탈 방향(Q1)의 하류 측에 위치된 용기 본체(33)의 부재 사이의 간격(SP1)의 길이를 커버 후크(3404)가 충분히 회전되어 단부(S74)가 제1 포트(3062c)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면, 커버 후크(3404)의 개구부(3062) 내에서의 회전 변위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062)는 돌출 경사부(3404a)가 개구 경사면(3064a)과 접촉시 커버 후크(3404)가 개구부(3062)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후크(3404)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된 개구부(3062)를 통과하면,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과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b)이 서로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면하는 결합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 간의 장착 상태를 보장하고 조립과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62)의 제1 포트(3062c)의 폭 "a" 는 커버 후크(3404)의 상면(3404c)의 폭 "e" 보다 좁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개구부(3062)와 커버 후크(3404)가 대향 상태가 되어도 커버 후크(3404)는 용이하게 개구부(3062)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장착 및 이탈시킬 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기 위한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을 압축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응력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되더라도,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토너 용기(32)의 착탈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1 실시예에서는 커버 후크(3404)의 저면(3404b)의 폭 "c" < 개구부(3062)의 제2 포트(3062d)의 폭 "b"의 관계가 만족되므로, 커버 후크(3404)가 개구부(3062)를 통과하는 회전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제4 실시예에서보다 작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보다 간격(SP1)을 줄일 수 있다.
제4~제11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에 대한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장착 회전 방향(R)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토너 용기(32)에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한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은 반대이다. 따라서,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가 장착되고 용기 본체(33)가 회전되더라도, 각 커버 후크가 각 개구부를 이탈 방향(Q1)으로 통과하고 결합 상태에 있으면, 각 커버 후크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8g를 참조하면,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해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개구 경사면(3061a)의 하단이 돌출 경사부(340a)에 접촉한다고 해도, 개구 경사면(3061a)의 경사면의 도움으로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상승한다. 따라서,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대한 용기 본체(33)의 회전은 규제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조립시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 회전 방향으로 장착 방향(Q) 측으로 용기 본체(33)를 누르면서 회전시키면, 단면(306b) 측으로부터 각 개구부 내로 각 커버 후크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는 서로 분리할 때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결국, 재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4~제11 실시예에서, 커버 후크 스토퍼(306)의 단면(306a)은 개구부를 제외하고 동일한 평면으로서 조립된다. 그러나, 단면(306a)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경사면보다 상류측의 부위가 개구 경사면의 삽입측 단부보다 이탈 방향 측으로 낮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 후크 스토퍼(306)를 상향의 개구부의 제2 포트로 바라보면, 개구부보다 회전 방향 상류 측의 커버 스토퍼(306)의 일부는 제2 포트 측의 개구 경사면의 단부보다 높이가 낮다. 도 54a~54c에서는 제4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개구부(3601)보다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면(3061a)이 개구 경사면(3601a) 측보다 이탈 방향(Q1)으로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3601)보다 장착 회전 방향(R) 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면(3061a)을 개구 경사면(3601a) 측보다 이탈 방향(Q1)으로 낮게 형성하면,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회전시켰을 때 커버 후크(340)의 경사부(340a)와 개구 경사면(3601a)이 대면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첨단측 커버(34)를 조립할 때 이탈 방향(Q1) 측으로 커버 후크(340)를 밀어넣을 필요가 없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커버 후크(340, 3401~3404)와 개구부(3061~3064)는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b에 나타낸 개구부(3064)와 도 52c에 나타낸 커버 후크(3404)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33)와 용기 기어(301)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용기 본체(33) 용으로 사용되는 수지 재료에 따라 용기 본체(33)와 용기 기어(301)를 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a~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기어(301)에 커버 후크 스토퍼(306)을 형성하고, 용기 기어(301) 상에 형성한 커버 후크 스토퍼(306) 상에 전술한 개구부 중 임의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용기 기어(301)을 용기 본체(33)에 일체형으로 장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규제부와 개구부를 용기 본체(33)에 형성하고, 커버 후크를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한다. 그러나, 규제부와 개구부를 용기 첨단측 커버(34)에 형성하고 커버 후크를 용기 본체(33)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반대인 배치를 채용할 수 있다. 도 55에서는 하나의 개구부(3061)를 용기 첨단측 커버(34)의 개구부(34d)에 대향하도록 첨단면(34c)에 형성하고,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부면(33b)에 커버 후크 스토퍼(306)를 회전 방향(외주 방향)으로 형성하고, 커버 후크 스토퍼(306)에 하나의 커버 후크(340)를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돌출부와,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가 걸리는 규제부와, 규제부 상에 돌출부가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적용예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분체 용기를 예로써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와 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 장치(2000)에서는 제1 부재가 되는 판 모양의 프레임(1001)에 관통공(1034)을 형성하고, 기어(1301)를 샤프트(10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1001)의 관통공(1034)에 착탈 가능한 제2 부재로서의 베어링(1035)에 규제부(1306)를 형성한다. 규제부(1306)는 베어링(1306)의 부착 플랜지로서도 기능한다. 규제부(1306) 상에는 돌출부로서의 후크(1340)를 형성하고, 후크(1340)를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3061)를 관통공(1034)에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1035)의 규제부(1306)를 프레임(1001)의 일측 표면(1001a)으로부터 관통공(1034) 내로 삽입한 후 회전시킨다. 따라서, 후크(1340)가 개구부(3061) 내를 프레임(1001)의 표면(1001a)으로부터 타측의 표면(1001b)으로 통과되고 후크(1340)가 프레임(1001)의 타측의 표면(1001b)과 결합되어 장착됨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프레임(1001)과 베어링(1035)의 장착 상태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유익한 효과는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바람직한 효과이며, 여기 기술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체가 압축되어 응집되는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분체가 노즐 삽입 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하고 명쾌한 개시를 위해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그렇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안출할 수 있고 여기 언급된 기본적인 교시 내용의 범위 내에 정당하게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 양태를 더 포함한다.
실시 양태 A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배치될 노즐 삽입 부재로서, 해당 노즐 삽입 부재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삽입되고 제거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반송 노즐의 삽입에 따라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반송 노즐의 제거에 따라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개폐 부재;
상기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로의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로 가압하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의 상기 단면부의 투영 면적은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밀봉부의 투영 면적보다 작은, 노즐 삽입 부재.
실시 양태 B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배치될 노즐 수용체로서, 해당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부의 면적은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의 면적보다 작은,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C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배치될 노즐 수용체로서, 해당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단면부와 겹치는 영역과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단면부와 겹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D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분체 용기로서, 해당 분체 용기는:
분체를 저장하는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되는 수용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배치된 돌출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분체 저장부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저장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시 상기 돌출부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d ≤ t 및 a < e의 관계를 만족하되,
t는 개구 경사면과 해당 개구 경사면에 대향된 대면부 사이의 상기 개구부의 간격이고,
a는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개구부의 제1 포트의 길이이고,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며,
d는 상기 분체 용기를 상기 본체 보급 장치에 대해 장착하고 분리하는 착탈 방향의 상기 돌출부의 두께이고,
e는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돌출부의 제1 표면의 길이이고,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포트에 대향하는 표면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E
실시 양태 D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c < b의 관계를 만족하되,
b는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개구부의 제2 포트의 길이이고,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며,
c는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돌출부의 제2 표면의 길이이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F
실시 양태 D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분체 보급 장치로부터 상기 분체 용기를 이탈시키는 이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이탈 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부를 상기 제2 포트 측에 포함하고,
c < b의 관계를 만족하되,
b는 상기 안내부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개구부의 제2 포트의 길이이고,
c는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돌출부의 제2 표면의 길이이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인, 분체 용기.
실시양태 G
지지 기구로서: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1 부재;
상기 관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하나에 배치된 돌출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가 걸리는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고,
상기 규제자는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 기구.
실시 양태 A1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사용되는 노즐 수용체로서, 해당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외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기 단면부의 면적은 상기 셔터의 상기 외부면보다 작은,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2
실시 양태 A1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셔터를 폐쇄 위치로 가압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반송 노즐의 삽입에 따라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3
실시 양태 A1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지지체의 상기 단면부 측으로 연장되는 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부는 상기 긴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해당 관통공에서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4
실시 양태 A2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단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5
실시 양태 A4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셔터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단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6
실시 양태 A4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단면부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셔터의 상기 개방 방향으로 상기 후크보다 더 돌출된,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7
실시 양태 A1~A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1 < L1/L2 ≤ 2의 관계를 만족하되,
L1은 상기 셔터가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와 해당 단면부에 대향하는 후단면 사이의 거리이고, L2는 상기 셔터가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와 상기 후단면 사이의 거리인,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A8
실시 양태 A1~A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노즐 수용체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9
실시 양태 A8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분체를 저장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체는 토너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에 배치될 노즐 수용체로서, 해당 노즐 수용체는,
분체 용기로부터 공급된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의 상기 단면부의 투영 면적은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상기 밀봉부의 투영 면적보다 작은,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2
실시 양태 B1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 가압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반송 노즐의 삽입에 따라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3
실시 양태 B1 또는 B2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상기 단면부 측으로 연장되는 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면부는 상기 긴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해당 관통공에서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4
실시 양태 B1~B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단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5
실시 양태 B4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단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6
실시 양태 B4 또는 B5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단면부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폐 부재의 상기 개방 방향으로 상기 후크보다 더 돌출된,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7
실시 양태 B1~B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노즐 수용체에 있어서,
1 < L1/L2 ≤ 2의 관계를 만족하되,
L1은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와 해당 단면부에 대향하는 후단면 사이의 거리이고, L2는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노즐 삽입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면부와 상기 후단면 사이의 거리인, 노즐 수용체.
실시 양태 B8
실시 양태 B1~B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노즐 수용체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9
실시 양태 B8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분체를 저장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체는 토너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0
실시 양태 B9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 입자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1
실시 양태 B8~B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실시 양태 B12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분체 용기로서, 해당 분체 용기는:
분체를 저장하는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되는 수용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배치된 돌출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분체 저장부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저장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시 상기 돌출부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3
실시 양태 B12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개구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경사부가 상기 개구 경사면과 접촉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4
실시 양태 B12 또는 B13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거 가능한 용기측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 상에 배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5
실시 양태 B14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는 분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는 토너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6
실시 양태 B15에 따른 분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 입자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7
실시 양태 B12~B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Y, M, C, K) 토너 용기(분체 용기)
33 용기 본체(분체 저장부)
33a 개구부(용기 개구부)
33b 용기 개구부의 외부면
33c 용기 개구부의 첨단부
34 용기 첨단측 커버
34a 기어 노출 개구부
34b 용기 커버의 외부면
34d 개구부(관통공)
41(Y, M, C, K) 광전도체(상 담지체)
42(Y, M, C, K) 클리닝 기구(광전도체 클리닝 기구)
42a 클리닝 블레이드
44(Y, M, C, K) 대전 롤러(대전 기구)
46(Y, M, C, K) 화상 형성부(화상 형성 유닛)
47 노광 장치
48 중간 전사 벨트
49(Y, M, C, K)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
50(Y, M, C, K) 현상 기구
51(Y, M, C, K)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체)
52(Y, M, C, K) 닥터 블레이드(현상제 규제판)
53(Y, M, C, K) 제1 현상제 수용부
54(Y, M, C, K) 제2 현상제 수용부
55(Y, M, C, K) 현상제 반송 스크류
56(Y, M, C, K) 토너 농도 센서
60(Y, M, C, K) 토너 보급 장치(분체 보급 장치)
64(Y, M, C, K) 토너 낙하 경로
70, 2070 토너 용기 수용부(용기 수용부)
71b 삽입구 베이스
85 중간 전사 장치
86 정착 기구
89 2차 전사 롤러
100 프린터부(복사기 본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200 급지부(급지 테이블)
301 용기 기어(용기측 기어)
302 나선형 리브(회전 반송 수단)
303 손잡이
304 스쿠핑부
305 첨단 개구
306 커버 후크 스토퍼(규제부)
330, 330' 노즐 수용체(노즐 삽입 부재)
331 수용구(노즐 삽입구)
332 용기 셔터(개폐 부재)
332a 셔터 후크
332c 첨단 원통부(마개)
332d 슬라이드 영역(활주부, 밀봉부)
332da 슬라이드 영역의 후단면(활주부의 후단면. 밀봉부의 에지)
332e 가이드 로드(긴 부재)
333 용기 밀봉부(밀봉부)
333a 노즐 삽입 개구의 내부면
334, 334' 용기 셔터 지지부(지지체)
335, 335' 셔터 후단 지지부(셔터 후단부)
335a, 335a 셔터 측면 지지부(측면부)
335b 셔터 지지부의 개구부(셔터 측면 개구)
335c 지지체의 단면부
335ca 내벽면
355cc 돌출부
335d 후단 개구(관통 개구)
335da 테이퍼 표면
336 용기 셔터 스프링(압박 부재)
339 용기 결합부
339a 가이드 돌기
339b 가이드 홈
339c 범프부
339d 결합 구멍(축방향 규제부)
340, 3401~3404 커버 후크(돌출부)
340b, 3401b, 3402b, 3403b, 3404b 커버 후크의 저면(돌출부의 제2 표면)
340c, 3401c, 3402c, 3403c, 3404c 커버 후크의 상면(돌출부의 제1 표면)
400 스캐너부(원고 독해부)
500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
601 용기 구동 기어(본체측 기어)
610 노즐 개구(분체 수용구)
611 반송 노즐
611a 반송 노즐의 첨단(면)
612 노즐 셔터(노즐 개폐 부재)
613 노즐 셔터 스프링(압박 부재)
614 반송 스크류(반송 부재)
615 용기 세트부(용기 수용부)
615a 용기 세트부의 내부면
615c 스프링 고정부
1001 제1 부재
1034 관통공
1035 제2 부재
1061 개구부
1306 후크
1340 돌출부
2000 지지 기구
3061~3064 개구부(노치, 컷아웃부)
3061a, 3062a, 3063a, 3064a 개구 경사면
3061b, 3062b, 3063b, 3064b 개구 경사면의 대면부
3061c, 3062c, 3063c, 3064c 개구부의 제1 포트(유출 포트, 하류단 포트, 유출구, 또는 개구부의 제1 부분)
3061d, 3062d, 3063d, 3064d 개구부의 제2 포트(유입 포트, 상류단 포트, 유입구, 또는 개구부의 제2 부분)
3401a~3404a 돌출 경사부
4063, 4064 가이드부(오목부, 함몰부, 리세스)
G 현상제
Q 장착 방향
Q1 이탈 방향

Claims (6)

  1.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분체 용기로서,
    상기 분체 용기는,
    분체를 저장하는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되는 수용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하나에 배치된 돌출부;
    상기 분체 저장부와 상기 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분체 저장부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 저장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대 회전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를 상기 분체 저장부에 장착할 때 상기 돌출부가 통과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개구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경사부가 상기 개구 경사부와 접촉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인 분체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제거 가능한 용기측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 상에 배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는 분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체는 토너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6. 제1. 3, 4,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33491A 2014-03-17 2015-03-16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897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3806 2014-03-17
JP2014053806A JP6364841B2 (ja) 2014-03-17 2014-03-17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4-120636 2014-06-11
JP2014120636 2014-06-11
JP2014144148A JP6375742B2 (ja) 2014-06-11 2014-07-14 管挿入部材及び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4-144148 2014-07-14
PCT/JP2015/058643 WO2015141861A1 (en) 2014-03-17 2015-03-16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11A Division KR101803167B1 (ko) 2014-03-17 2015-03-16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07A KR20170131707A (ko) 2017-11-29
KR101897431B1 true KR101897431B1 (ko) 2018-09-10

Family

ID=55449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11A KR101803167B1 (ko) 2014-03-17 2015-03-16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7033491A KR101897431B1 (ko) 2014-03-17 2015-03-16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11A KR101803167B1 (ko) 2014-03-17 2015-03-16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557685B2 (ko)
EP (1) EP3120193B1 (ko)
KR (2) KR101803167B1 (ko)
CN (1) CN110780563B (ko)
BR (1) BR112015031576B1 (ko)
ES (1) ES2769009T3 (ko)
HK (1) HK1216783A1 (ko)
MX (1) MX350526B (ko)
RU (2) RU2695298C2 (ko)
SG (2) SG10201804311QA (ko)
TW (2) TWI6464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9758B2 (en) 2016-05-20 2018-04-10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JP6930078B2 (ja) 2016-09-15 2021-09-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RU2741483C2 (ru) 2016-09-30 2021-01-26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с тонером и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тонера
JP6919831B2 (ja) * 2017-05-18 2021-08-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589647B (zh) * 2017-11-01 2024-06-21 珠海纳思达信息技术有限公司 输送嘴接收装置和碳粉筒
US11048189B2 (en) 2019-03-13 202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heet member with two portions to move toner
WO2020214137A1 (en) * 2019-04-14 2020-10-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JP2021173778A (ja) 2020-04-20 2021-11-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14426B2 (ja) 2020-06-05 2024-07-1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80152A (ja) * 2020-11-17 2022-05-2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シャッタユニット
JP2022158083A (ja) 2021-04-01 2022-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80Y1 (ko) 2007-08-10 2007-12-14 박민규 부탄가스용 가스토치
JP4988206B2 (ja) * 2006-01-05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120321341A1 (en) 2010-03-01 2012-12-20 Eisuke Hori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13946A (ja) * 2011-11-25 2013-06-10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2461B (en) 1998-12-22 2007-02-01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222839C (zh) 2000-01-07 2005-10-12 株式会社理光 粉体收纳容器,粉体排出装置及图像形成装置
US6493528B2 (en) * 2000-03-03 2002-12-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21858A (ja) 2000-11-24 2002-08-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装着す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JP3926569B2 (ja) 2001-02-13 2007-06-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229402B1 (en) * 2001-01-31 2012-05-30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268344A (ja) * 2001-03-06 2002-09-18 Fuji Xerox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4095875B2 (ja) *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316139A (ja) 2002-04-25 2003-11-06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KR100493096B1 (ko) 2003-05-07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광 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08598A (ja) 2003-12-22 2005-08-04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CN101794099B (zh) * 2005-03-04 2013-08-07 佳能株式会社 显影剂供给容器和显影剂供给系统
TWI534562B (zh) 2005-04-27 2016-05-21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S2701192T3 (es) * 2005-06-07 2019-02-21 Ricoh Co Ltd Recipiente de tóner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DE602006020532D1 (de) 2005-11-09 2011-04-21 Ricoh Co Ltd Auffüllbehälter für Zwei-Komponenten-Entwickler und Füllmethode
US8050597B2 (en) *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3826B2 (ja) 2007-05-30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03676A (ja) 2007-02-21 2008-09-04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JP5397729B2 (ja) 2008-05-16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5531579B2 (ja) 2008-11-27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容器
JP2010241468A (ja) * 2009-04-07 2010-10-28 Canon Inc 現像剤容器
US8532542B2 (en)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JP5585067B2 (ja) 2009-12-14 2014-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82385B2 (ja)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BR112013013698B1 (pt) 2010-12-03 2020-12-29 Ricoh Company, Ltd recipiente de pó, dispositivo de alimentação de pó e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JP5488571B2 (ja) 2010-12-03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70647B2 (ja) 2011-02-17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116468B2 (en) 2011-03-30 2015-08-25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gripping part includes a powder loading port and a sealing member
JP5834654B2 (ja) * 2011-09-09 2015-12-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G10201502306RA (en) 2011-11-25 2015-05-28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22128B2 (ja) 2011-11-25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8743B2 (ja) * 2012-06-03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2050B2 (ja) 2012-06-03 2018-08-1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002623B1 (ko) 2012-06-03 2019-07-22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5979482B2 (ja) * 2012-06-08 2016-08-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9479B2 (ja) * 2012-06-08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05221B2 (en) 2012-06-08 2016-08-02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6015252B2 (ja) 2012-08-31 2016-10-2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335662B2 (en) 2013-01-29 2016-05-10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US9465317B2 (en) * 2013-02-25 2016-10-11 Ricoh Company, Ltd. Nozzle insertion memb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WI614588B (zh) 2013-03-15 2018-02-11 Ricoh Company, Limited. 粉末容器及影像形成裝置
JP6149509B2 (ja) 2013-05-21 2017-06-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8206B2 (ja) * 2006-01-05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200437580Y1 (ko) 2007-08-10 2007-12-14 박민규 부탄가스용 가스토치
US20120321341A1 (en) 2010-03-01 2012-12-20 Eisuke Hori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13946A (ja) * 2011-11-25 2013-06-10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02638A1 (en) 2017-04-13
BR112015031576B1 (pt) 2022-11-29
MX2015017509A (es) 2016-04-13
SG11201510290UA (en) 2016-10-28
BR112015031576A2 (pt) 2017-07-25
TW201714028A (zh) 2017-04-16
HK1216783A1 (zh) 2016-12-02
TWI646411B (zh) 2019-01-01
RU2018133448A (ru) 2018-11-01
RU2695298C2 (ru) 2019-07-22
TW201807518A (zh) 2018-03-01
US9557685B2 (en) 2017-01-31
RU2668632C2 (ru) 2018-10-02
RU2018133448A3 (ko) 2019-05-21
EP3120193A1 (en) 2017-01-25
US20160124346A1 (en) 2016-05-05
TWI608316B (zh) 2017-12-11
CN110780563B (zh) 2022-04-19
EP3120193A4 (en) 2017-03-22
US10133210B2 (en) 2018-11-20
KR20170131707A (ko) 2017-11-29
ES2769009T3 (es) 2020-06-24
RU2015153592A (ru) 2018-04-18
SG10201804311QA (en) 2018-07-30
KR101803167B1 (ko) 2017-12-28
KR20160020443A (ko) 2016-02-23
CN110780563A (zh) 2020-02-11
MX350526B (es) 2017-09-08
EP3120193B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431B1 (ko)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AU2017225038B2 (en)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6896676B (zh) 粉盒
KR101843298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6662829B (zh) 粉末容器,成像设备和喷嘴接收器
JP5488743B2 (ja)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448507B2 (en)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64627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5742B2 (ja) 管挿入部材及び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44166B2 (ja) 管挿入部材及び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132237A (ja) シャッター機構、粉体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
JP2016148820A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04359B2 (ja) 粉体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