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434B1 -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434B1
KR101896434B1 KR1020180043851A KR20180043851A KR101896434B1 KR 101896434 B1 KR101896434 B1 KR 101896434B1 KR 1020180043851 A KR1020180043851 A KR 1020180043851A KR 20180043851 A KR20180043851 A KR 20180043851A KR 101896434 B1 KR101896434 B1 KR 10189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ick
moving
un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조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434B1/ko
Priority to EP18195024.7A priority patent/EP3566953B1/en
Priority to CN201811085563.XA priority patent/CN110385279B/zh
Priority to ES18195024T priority patent/ES2811364T3/es
Priority to JP2019051065A priority patent/JP679795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2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32Sorting according to weight with associated check-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6Check-weighing of filled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65B65/006Multiple parallel packaging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5/00Arrangements for check-weighing of materials dispensed into remov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부; 진입구를 통해 스틱포장제품이 진입하여 하측의 배출구로 낙하 배출되는 진입슈트가 복수 개 형성된 진입부; 다열로 설치되고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측부;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이동뭉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이동뭉치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디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이동바, 이동바에 복수 개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을 푸시하여 배출하는 푸시바로 이루어진 푸시부; 계측호퍼 전방마다 경사 배치되어 스틱포장제품을 배출시키거나, 실린더유닛을 작동시켜 방향 전환후 배출시켜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계측유닛에서 계측신호를 수신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선별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WEIGHT SEPARATOR OF STICK PACKED GOODS HAVING MULTISERIATE STRUCTURE}
본 발명은 중량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틱포장제품의 이송과 중량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차 등의 기호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음용이 편리하고 이동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일회성 포장용기에 포장되어 보관되고 사용된다.
예컨대, 커피믹스의 경우 밀봉된 팩 안에 커피, 설탕, 크림 등이 분말로 혼합되어 있고, 차의 경우 찻잎이나 추출 분말, 과립, 설탕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길쭉한 스틱이나 파우치 형태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포장제품은 저울과 같은 중량 선별 장치에서 중량을 측정한 후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였으나, 대량 생산 공정에 부합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특허문헌 1에는 프레임과, 상부 좌우측에 설치된 진입프레임에 커터와 홀더가 설치되고, 진입프레임의 하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관이 다수 형성되며, 이송관의 하측에 만곡되어 형성된 다수의 슈터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이송부 슈터의 전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 개의 격벽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분할 설치되어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임펠러와, 다수의 임펠러 각각에 회전축이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임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회전모터와, 다수의 회전모터 각각의 하측에서 수납공간에 투입된 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다수의 하중센서와, 다수의 하중센서로부터 측정된 제품의 중량을 전달받아 선별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선별결과를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품을 이송하는 선별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장치의 구성과 배열이 복잡하고, 중량계측에 의해 선별된 정상품과 불량품이 혼재되어 있고, 이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장치가 없어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제품의 중량을 체크한 후 배출하기 위하여 로드셀에 모터가 함께 연동되어 설치되어 있어 모터의 진동과 외력에 의해 계측오차가 증가하여 정밀한 계측이 곤란하고, 임펠러가 분리되지 않아 이물질 청소 등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257호(2013.01.0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량을 체크하는 고정밀셀에 대하여 제품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계측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계측호퍼가 탈부착되어 이물질 청소 등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제품 길이에 따라 배출홀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여 제품의 임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푸시부에 의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제품의 이송과 중량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된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각 열마다 독립적인 중량 체크와 불량품 선별이 가능하고, 하나의 모터로 다열에 수납된 제품을 동시에 배출하며, 다열의 간격이 최소화되며,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연결된 바디부;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의 진입구를 통해 스틱포장제품이 진입하여 하측의 배출구로 낙하 배출되는 진입슈트가 복수 개 형성된 진입부; 바디부에 다열로 설치되고 계측센서로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계측유닛과, 계측유닛의 상측마다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입슈트에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이 수납되는 계측호퍼를 포함하는 계측부;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이동뭉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이동뭉치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디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이동바, 이동바에 복수 개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을 푸시하여 배출하는 푸시바로 이루어진 푸시부; 계측호퍼 전방마다 경사 배치되어 스틱포장제품을 배출시키거나, 실린더유닛을 작동시켜 방향 전환후 배출시켜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계측유닛에서 계측신호를 수신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선별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을 체크하는 고정밀셀에 대하여 제품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계측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계측호퍼가 탈부착되어 이물질 청소 등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제품 길이에 따라 배출홀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여 제품의 임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푸시부에 의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제품의 이송과 중량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된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각 열마다 독립적인 중량 체크와 불량품 선별이 가능하고, 하나의 모터로 다열에 수납된 제품을 동시에 배출하며, 다열의 간격이 최소화되며,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열 중량 선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열 중량 선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호퍼의 착탈 가능한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열 중량 선별 장치의 작동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는, 스틱포장제품의 이송과 중량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바디부(100), 진입부(200), 계측부(300), 구동부(400), 가이드부(500), 푸시부(600), 선별부(7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0)는 복수 개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하부에 메인프레임(110)이 형성되고, 메인프레임은 복수 개의 받침대(111)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다.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으로 측부프레임(120)이 세워져 설치되고, 측부프레임(120)은 내측에 장홀 형상의 이동홀(121)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 경사프레임(130)이 연결되고, 경사프레임(130)은 상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진입부(200)는 바디부(100)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 설치된다. 양측의 측부프레임(120)의 사이를 지지대(210)가 횡 방향으로 연결하고, 지지대(210)에 후방판(230)이 연결되며, 후방판(230)의 전방에 전방판(220)이 형성되고, 전방판(220)은 스틱포장제품(S)의 진입을 외관상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판(220)과 후방판(230)의 사이에 진입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진입슈트(240)가 다열로 구획 형성된다. 진입슈트(240)는 양측에 한쌍의 안내판(241)들이 서로 이격 형성되어 진입공간을 형성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진입구(242)와 배출구(243)가 형성되며, 스틱포장제품(S)이 상측의 진입구(242)를 통해 진입하여 하측의 배출구(243)로 낙하된다. 이때, 한쌍의 안내판(241)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하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진입구(242)를 통한 스틱포장제품(S)의 진입이 용이하고, 배출구(243)를 통해 하측의 계측호퍼(320)로 정확히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계측부(300)는 바디부(100)에 다열로 설치되어 각 진입슈트(240)로부터 낙하한 스틱포장제품(S)을 세로 방향으로 수납하여 개별적인 중량 체크가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계측부(300)는 메인프레임(110) 상에 다열로 계측유닛(310)이 배치되고, 각 계측유닛(310)마다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계측호퍼(320)가 형성되어 진입슈트(240)에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S)이 중량 계측을 위해 일시적으로 수납된다. 계측유닛(310)은 정밀한 계측센서가 구비되어 계측호퍼(320)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S)의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계측유닛(310)의 상부엔 연결브라켓(330)이 형성되어 계측유닛(310)과 계측호퍼(320)를 연결하여 중량 계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30)은 복수 개의 연결유닛(331)들이 계단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계측유닛(310)이 고정밀 로드셀이어서 넓은 폭이 소요되는 반면, 각 계측유닛(310)의 상측마다 설치되는 계측호퍼(320)는 폭이 좁은 스틱포장제품(S)이 수직 방향으로 수납된 채 크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납해야 해서 좁은 폭을 갖기 때문에 계측유닛(310)들의 배열에 비하여 계측호퍼(320)들이 중앙쪽으로 몰려서 배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구조를 고려하여 연결브라켓(330)을 구성하는 연결유닛(310)들이 중앙을 향해 계단형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계측호퍼(320)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S)의 중량을 계측유닛(310)이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계측호퍼(320)는, 낙하한 스틱포장제품(S)이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에 베이스판(321)이 형성되고, 베이스판(321)의 하부에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력부재(321a)와 접속홈(321b)이 형성되며, 베이스판(321)의 양측에 측판(322)이 세워져 설치되어 연결되고, 양 측판(322)의 전방에 앞판(323)이 연결되되 앞판(323)은 전방의 상부에만 형성되고, 앞판(323)의 하측에는 스틱포장제품(S)이 배출되는 배출홀(323a)이 개방 형성된다. 양 측판(322)의 후방에 뒷판(324)이 연결되되 뒷판(324)은 하부에 출입홀(324a)이 형성되어 푸시바(6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출입홀(324a)에 출몰하게 된다.
또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판(325)이 계측호퍼(320)의 전방에 체결되고, 계측호퍼(320)의 전면에 장공 형상의 길이조절공(325a)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조절공(325a)에 고정볼트(326)가 연결되어 고정볼트(326)의 단부가 앞판(323)에 밀착되면서 계측호퍼(32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볼트(326)의 조임을 풀은 상태에서 이동판(325)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홀(323a)의 크기가 조절된다. 예컨대, 스틱포장제품(S)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이동판(325)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홀(323a)의 크기를 증가시켜 스틱포장제품(S)이 푸시바(620)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스틱포장제품(S)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이동판(325)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홀(323a)의 크기를 감소시켜 스틱포장제품(S)이 임의로 미끄러져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스틱포장제품(S)의 길이에 따라 배출홀(323a)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임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푸시부(600)에 의한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측호퍼(320)는 베이스판(321)의 하부에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력부재(321a) 및 접속홈(321b)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330)의 상부에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부재(332) 및 접속돌기(333)가 형성되어, 자력과 돌기와 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물질 청소 등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게 되고, 이로 인해 중량 계측의 정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진입부(200)와 계측부(300)의 사이에 복수 개의 감지센서(250)가 설치되어 진입슈트(240)에서 계측호퍼(320)로 낙하하는 스틱포장제품을 개별적으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각각 송신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바디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푸시부(600)와 연결되며, 구동모터(410)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축(420)을 회전시켜 푸시부(6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동뭉치(430)에 연결된 푸시부(6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기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가 메인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모터(410)의 상측에 스크류축(420)이 브라켓에 의해 일측의 측부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연결 설치되며, 구동모터(410)의 모터축과 스크류축(420)은 연결벨트(415)와 풀리를 통해 연결되어 스크류축(420)은 구동모터(4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불어, 일측의 측부프레임(120)에는 스크류축(420)의 상·하측에 각각 레일바(450)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이동뭉치(430)가 스크류축(420)에 체결되어 스크류축(420)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뭉치(430)는 상·하부에 각각 이동레일(440)이 연결되고, 이동레일(440)은 레일바(450)와 체결되어 이동뭉치(43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바디부(100)의 타측에 형성되고, 푸시부(600)와 연결되며, 푸시부(600)의 이동을 보조하여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500)는, 타측의 측부프레임(120)의 상·하측에 보조바(530)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푸시부(600)와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뭉치(510)가 구비되며, 가이드뭉치(510)는 상·부에 각각 보조레일(520)이 연결되고, 보조레일(520)은 보조바(530)와 체결되어 이동뭉치(430)의 이동에 따라 푸시부(600)와 연결된 가이드뭉치(510)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조한다.
상기 푸시부(600)는 이동뭉치(430)와 가이드뭉치(510) 사이에 이동바(610)의 양단부가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모터(41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뭉치(430) 및 가이드뭉치(510)와 함께 이동홀(121)의 범위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바(610)에 복수 개의 푸시바(620)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직교하도록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다열로 설치되고, 이동바(61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푸시바(620)는 출입홀(324a)을 통해 계측호퍼(320) 내외로 출몰하면서 각 계측호퍼(320)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S)을 푸시하게 된다. 푸시바(620)는 계측호퍼(320)의 갯수와 일치한다. 더불어, 상기 푸시바(620)는 스틱포장제품(S)의 낙하 전에 계측호퍼(32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위치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진입슈트(240)로부터 스틱포장제품(S)이 푸시바(620) 위로 낙하하여 외력이 완충되므로 고정밀셀로 이루어진 계측유닛(310)에 대한 제품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계측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별부(700)는 계측호퍼(320)마다 그 전방에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정상품은 그대로 배출시키고, 불량품은 실린더유닛(730)을 작동시켜 방향 전환후 배출시킴으로써,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부(700)는, 바디부(100) 전방의 경사프레임(130)의 하향 경사진 상부에 배출슈트(710)가 하향 경사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배출슈트(710)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계측호퍼(320)의 전방에 인접 설치되어 푸시바(620)에 의해 푸시된 스틱포장제품(S)을 전달받아 경사진 배출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더불어, 배출슈트(710)의 단부에 선별슈트(720)가 힌지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게 되고, 선별슈트(720)마다 하부에 실린더유닛(730)이 결합되어 다열로 설치되어 각 선별슈트(720)를 개별적으로 승강 작동시켜 회전시킨다.
이때, 실린더유닛(730)은, 실린더(732)가 대략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실린더(732)의 하부에는 하부 접속편(731)이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10)의 접속고리(11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며, 실린더(732)에 실린더로드(733)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실린더로드(733)의 상부에 상부 접속편(734)이 형성되어 선별슈트(720)의 접속고리(722)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제어부는 바디부(100)에 설치되거나 바디부(100)와 떨어져 별도로 설치되되, 감지센서(250)로부터 진입슈트(240)에서 계측호퍼(320)로 낙하하는 스틱포장제품에 대한 감지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구동부(400)를 구동시켜 푸시부(600)의 이동을 제어하고, 각 계측유닛(310)에서 계측신호를 수신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개별적으로 판정하며, 그 판정결과에 따라 선별부(700)의 실린더유닛(730)을 개별적으로 승강 제어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해서 분리해낸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1)를 실시하기 위한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장기에서 포장 완료된 스틱포장제품(S)이 진입슈트(240)의 진입구(242)로 진입되어 배출구(243)로 배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고, 이때 감지센서(250)가 스틱포장제품(S)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스틱포장제품(S)이 계측호퍼(320)에 수납되기 전에 푸시바(620)가 계측호퍼(320) 내부로 들어와 인입된 상태로 위치해 있고, 스틱포장제품(S)은 푸시바(620) 위로 낙하하여 외력이 완화된다. 이후 제어부는 감지센서(250)의 감지신호를 수신했기 때문에 곧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10)를 역회전시켜 푸시바(620)를 후방 이동시켜 각 계측호퍼(32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스틱포장제품(S)은 계측호퍼(320)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된다.
다음에, 각 계측유닛(310)이 계측호퍼(320)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S)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측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각 계측신호의 계측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게 된다. 즉, 계측값이 기준값의 하한과 상한 사이에 해당되면 정상품이고, 상한 또는 하한을 벗어나면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이때 스틱포장제품의 포장용기의 중량값은 제외할 수 있다.
스틱포장제품(S)에 대한 중량 계측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10)를 정회전시켜 푸시바(620)를 전방 이동시켜 각 계측호퍼(320)의 내부로 인입시켜 계측호퍼(320)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S)의 하부를 푸시하여 배출슈트(71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의 각 열에 대한 개별적인 판정결과에 따라 정상품으로 판정된 경우 정상품이 통과되는 열에 배치된 실린더유닛(730)의 작동없이 배출슈트(710)와 선별슈트(720)를 일직선 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정상품이 그대로 배출되게 하고, 배출된 정상품은 전방에 설치된 컨베어벨트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정상적으로 이송된다. 반면에 제어부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부는 작동신호를 보내어 불량품이 통과되는 열에 배치된 실린더유닛(730)을 작동시켜 선별슈트(720)가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불량품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하고, 낙하한 불량품은 회수박스 등을 통해 회수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하강시킨 실린더유닛(730)을 상승시켜 원 상태로 복귀시켜 다음에 배출될 스틱포장제품(S)의 선별에 대비하게 된다. 이로써 선별된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리 및 회수하여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크게 증대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1)는 중량을 체크하는 고정밀셀에 대하여 제품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계측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계측호퍼가 탈부착되어 이물질 청소 등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고, 제품 길이에 따라 배출홀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여 제품의 임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푸시부에 의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며, 또한 포장제품의 이송과 중량 체크를 동시에 수행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고, 선별된 정상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각 열마다 독립적인 중량 체크와 불량품 선별이 가능하고, 하나의 모터로 다열에 수납된 제품을 동시에 배출하며, 다열의 간격이 최소화되며,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다열 중량 선별 장치 100. 바디부
110. 메인프레임 111. 받침대
112. 접속고리 120. 측부프레임
121. 이동홀 130. 경사프레임
200. 진입부 210. 지지대
220. 전방판 230. 후방판
240. 진입슈트 241. 안내판
242. 진입구 243. 배출구
250. 감지센서 300. 계측부
310. 계측유닛 320. 계측호퍼
321. 베이스판 321a. 자력부재
321b. 접속홈 322. 측판
323. 앞판 323a. 배출홀
324. 뒷판 324a. 출입홀
325. 이동판 325a. 길이조절공
326. 고정볼트 330. 연결브라켓
331. 연결유닛 332. 자력부재
333. 접속돌기 400. 구동부
410. 구동모터 415. 연결벨트
420. 스크류축 430. 이동뭉치
440. 이동레일 450. 레일바
500. 가이드부 510. 가이드뭉치
520. 보조레일 530. 보조바
600. 푸시부 610. 이동바
620. 푸시바 700. 선별부
710. 배출슈트 720. 선별슈트
721. 힌지 722. 접속고리
730. 실린더유닛 731. 하부접속편
732. 실린더 733. 실린더로드
734. 상부접속편 S. 스틱포장제품

Claims (8)

  1.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연결된 바디부;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의 진입구를 통해 스틱포장제품이 진입하여 하측의 배출구로 낙하 배출되는 진입슈트가 복수 개 형성된 진입부;
    바디부에 다열로 설치되고 계측센서로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계측유닛과, 계측유닛의 상측마다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입슈트에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이 수납되는 계측호퍼를 포함하는 계측부;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이동뭉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이동뭉치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디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이동바, 이동바에 복수 개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을 푸시하여 배출하는 푸시바로 이루어진 푸시부;
    계측호퍼 전방마다 경사 배치되어 스틱포장제품을 배출시키거나, 실린더유닛을 작동시켜 방향 전환후 배출시켜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계측유닛에서 계측신호를 수신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선별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측부는 계측유닛 위에 설치되어 계측호퍼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호퍼는,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양측에 입설된 측판, 양 측판의 전방 상부를 연결하는 앞판, 앞판의 하측에 개방 형성된 배출홀, 하부에 출입홀이 형성되도록 양 측판의 후방에 연결된 뒷판, 장공 형상의 길이조절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위치 이동시켜 앞판에 체결함에 따라 배출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동판, 및 길이조절공을 관통하여 이동판을 앞판에 고정 체결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호퍼는 베이스판에 자력부재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자력부재가 구비된 연결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복수 개의 연결유닛들이 계단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3.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연결된 바디부;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측의 진입구를 통해 스틱포장제품이 진입하여 하측의 배출구로 낙하 배출되는 진입슈트가 복수 개 형성된 진입부;
    바디부에 다열로 설치되고 계측센서로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복수 개의 계측유닛과, 계측유닛의 상측마다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입슈트에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이 수납되는 계측호퍼를 포함하는 계측부;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이동뭉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이동뭉치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디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이동바, 이동바에 복수 개가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계측호퍼에 수납된 스틱포장제품을 푸시하여 배출하는 푸시바로 이루어진 푸시부;
    계측호퍼 전방마다 경사 배치되어 스틱포장제품을 배출시키거나, 실린더유닛을 작동시켜 방향 전환후 배출시켜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계측유닛에서 계측신호를 수신하여 정상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선별부를 개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입부와 계측부 사이에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계측부로 낙하하는 스틱포장제품이 감지되고, 스틱포장제품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인 푸시바 위로 낙하하여 외력이 완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로 푸시바를 후방 이동시킨 후에, 계측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로 푸시바를 전방 이동시켜 스틱포장제품을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바디부의 양측에 입설된 측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통해 결합된 전·후방판, 및 전·후방판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진입슈트를 포함하고,
    각 진입슈트는 상·하측에 각각 진입구와 배출구가 개방 형성되고, 양측에 한쌍의 안내판 이격 형성되며, 한쌍의 안내판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하측을 향해 점점 좁아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연결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축, 일측의 측부프레임의 스크류축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레일바,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뭉치, 이동뭉치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레일바와 체결되어 이동뭉치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타측의 측부프레임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보조바, 이동뭉치와 이동바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뭉치의 이동에 따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뭉치, 가이드뭉치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보조바와 체결되어 가이드뭉치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레일을 포함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바디부에 결합되고 계측호퍼 전방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계측호퍼에서 푸시바에 의해 푸시된 스틱포장제품을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배출슈트, 배출슈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선별슈트, 선별슈트마다 각각 결합되어 개별적으로 승강 작동되어 선별슈트를 회전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틱포장제품이 정상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선별슈트를 배출슈트와 일직선 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스틱포장제품이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선별슈트를 하강시켜 불량품이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8. 삭제
KR1020180043851A 2018-04-16 2018-04-16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KR10189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51A KR101896434B1 (ko) 2018-04-16 2018-04-16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EP18195024.7A EP3566953B1 (en) 2018-04-16 2018-09-18 Multi-row weight sorting apparatus for stick packed products
CN201811085563.XA CN110385279B (zh) 2018-04-16 2018-09-18 棒状包装产品用多列重量筛选装置
ES18195024T ES2811364T3 (es) 2018-04-16 2018-09-18 Aparato con múltiples filas para la clasificación por peso, para productos envasados en barritas
JP2019051065A JP6797958B2 (ja) 2018-04-16 2019-03-19 スティック包装製品用多列重量選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51A KR101896434B1 (ko) 2018-04-16 2018-04-16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434B1 true KR101896434B1 (ko) 2018-09-07

Family

ID=6359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51A KR101896434B1 (ko) 2018-04-16 2018-04-16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66953B1 (ko)
JP (1) JP6797958B2 (ko)
KR (1) KR101896434B1 (ko)
CN (1) CN110385279B (ko)
ES (1) ES2811364T3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35B1 (ko) 2020-02-06 2020-07-09 주식회사 엠앤티 자동화 공정의 정렬 시스템
CN113317302A (zh) * 2021-07-20 2021-08-31 海南农佳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除草系统及杂草碾压装置
KR102308841B1 (ko) 2021-03-25 2021-10-06 (주)아남자동기 교환이 편리한 자동 스틱포장기용 열융착장치
KR20220132078A (ko) * 2021-03-22 2022-09-30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제품 선별장치
KR20230120161A (ko) * 2022-02-07 2023-08-1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20230120160A (ko) * 2022-02-07 2023-08-1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CN117260834A (zh) * 2023-11-20 2023-12-22 江苏君华特种工程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peek挤出机棒料长度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86B1 (ko) * 2019-12-26 2020-05-15 주식회사 인테크코리아 자동 중량 선별 기능을 갖는 정렬 장치
CN111923264B (zh) * 2020-08-05 2021-06-25 浙江天台祥和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件自动配料装置及其配料方法
CN114850043B (zh) * 2022-05-12 2024-05-10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一种物流仓库高效拣货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302690B (zh) * 2023-11-27 2024-02-02 山西心言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品类菌包打眼分类包装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60A (ja) * 1994-07-08 1996-01-23 Kubota Corp 長もの野菜選別機の供給構造
KR200464257Y1 (ko) 2012-11-26 2013-01-09 (주)인테크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
KR101655023B1 (ko) * 2015-04-09 2016-09-06 (주)화소 스틱제품 무게불량 감지장치
JP2017136559A (ja) * 2016-02-04 2017-08-10 日立化成株式会社 鉛蓄電池の極板自動選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122A (ja) * 1986-10-08 1988-04-25 Tokihisa Masuda ウエイトチエツカ−
JP3102367U (ja) * 2003-12-18 2004-07-02 株式会社プラスワンテクノ スティック包装機
KR101409184B1 (ko) * 2012-12-11 2014-06-19 주식회사 한독자동기 스틱 제품 포장기
JP5895259B2 (ja) * 2013-04-18 2016-03-30 株式会社夕原テクノグループ 計量機能を有する包装機
KR101547859B1 (ko) * 2013-11-07 2015-08-28 (주)에이치에스팩 중량선별장치
KR101507366B1 (ko) * 2014-08-21 2015-03-31 전인식 스틱형 포장제품용 다열 중량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60A (ja) * 1994-07-08 1996-01-23 Kubota Corp 長もの野菜選別機の供給構造
KR200464257Y1 (ko) 2012-11-26 2013-01-09 (주)인테크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
KR101655023B1 (ko) * 2015-04-09 2016-09-06 (주)화소 스틱제품 무게불량 감지장치
JP2017136559A (ja) * 2016-02-04 2017-08-10 日立化成株式会社 鉛蓄電池の極板自動選別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35B1 (ko) 2020-02-06 2020-07-09 주식회사 엠앤티 자동화 공정의 정렬 시스템
KR20220132078A (ko) * 2021-03-22 2022-09-30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제품 선별장치
KR102518081B1 (ko) * 2021-03-22 2023-04-0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제품 선별장치
KR102308841B1 (ko) 2021-03-25 2021-10-06 (주)아남자동기 교환이 편리한 자동 스틱포장기용 열융착장치
CN113317302A (zh) * 2021-07-20 2021-08-31 海南农佳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除草系统及杂草碾压装置
KR20230120161A (ko) * 2022-02-07 2023-08-1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20230120160A (ko) * 2022-02-07 2023-08-1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2663709B1 (ko) * 2022-02-07 2024-05-14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2663705B1 (ko) * 2022-02-07 2024-05-14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CN117260834A (zh) * 2023-11-20 2023-12-22 江苏君华特种工程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peek挤出机棒料长度检测装置
CN117260834B (zh) * 2023-11-20 2024-02-09 江苏君华特种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eek挤出机棒料长度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6953A1 (en) 2019-11-13
EP3566953B1 (en) 2020-07-15
JP6797958B2 (ja) 2020-12-09
CN110385279B (zh) 2021-05-04
CN110385279A (zh) 2019-10-29
ES2811364T3 (es) 2021-03-11
JP2019181461A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434B1 (ko) 스틱포장제품용 다열 중량 선별 장치
JP6957056B2 (ja) 自動重量選別機能を有する整列装置
JP6895695B2 (ja) 個別計測及び選別型自動重量選別装置
CN206387485U (zh) 一种用于检验粮食杂质含量的计量装置
KR101967257B1 (ko) 제품의 불량선별장치
JPS5852523A (ja) 自動計量装置
JPH0360049B2 (ko)
US11959794B2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article suppliers
CN112955718B (zh) 组合计量装置
JPS61149282A (ja) 物品の選別装置
JPH0829242A (ja) 計量方法と計量装置
KR102215065B1 (ko) 포장제품 중량 선별 및 정량제품을 일정 갯수로 포장하기 위한 제품 이송장치
CN210618682U (zh) 一种在线检测送料装置
JP2003128009A (ja) スティック状食品包装体の集積装置
KR101547859B1 (ko) 중량선별장치
JP2003121248A (ja) 組合せ計量装置
KR102663709B1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CN211253239U (zh) 一种整理转载上料装置
CN219295848U (zh) 一种辅食营养包检测堆叠输送装置
CN218309390U (zh) 一种雪糕棒自动打码检测生产设备
CN213274500U (zh) 自动静态检重秤
JP3642927B2 (ja) 重量計への被計量物供給装置
KR102023662B1 (ko) 복수포장제품용 제품의 부족분보충장치 및 방법
JP3617863B2 (ja) 組合せ秤
JP3311593B2 (ja) シュート型重量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