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161A -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161A
KR20230120161A KR1020220015471A KR20220015471A KR20230120161A KR 20230120161 A KR20230120161 A KR 20230120161A KR 1020220015471 A KR1020220015471 A KR 1020220015471A KR 20220015471 A KR20220015471 A KR 20220015471A KR 20230120161 A KR20230120161 A KR 2023012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packaging
stick
frame
packaging materi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709B1 (ko
Inventor
안영수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2001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0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154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3709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기로 중량측정기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 중량 신호를 입력받아 스틱포장물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한 후 선별장치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 제어하고, 이송장치의 밀대로 받침부 내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을 선별장치 방향으로 배출하여, 선별장치로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물을 선별하되, 특히, 중량측정기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이송장치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중량측정기의 유지보수 및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량측정기를 손쉽게 노출시킬 수 있고, 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중량측정기의 수리 또는 세척등의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진행 후 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에 의해 중량측정기 상부에 이송장치가 위치되어 신속하게 작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스틱포장물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받침부 내로 그대로 진입되어, 스틱포장물 공급과정에서 스틱포장물이 받침부에 충돌되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이송장치의 밀대가 받침부 내의 스틱포장물을 밀어냄과 동시에 받침부 후단에서 받침부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의 이탈을 차단하여, 스틱포장물 배출 및 공급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스틱포장물 공급 및 배출 시간 단축으로 인해 스틱포장물 선별 시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스틱포장물 선별장치{Stick package s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장치 하부에 위치된 중량측정기 상부가 노출되도록, 이송장치 일단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중량측정기를 세척 및 유지보수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차 등의 기호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음용이 편리하고 이동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일회성 포장용기에 포장되어 보관되고 사용된다.
예컨대, 커피믹스의 경우 밀봉된 팩 안에 커피, 설탕, 크림 등이 분말로 혼합되어 있고, 차의 경우 찻잎이나 추출 분말, 과립, 설탕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길쭉한 스틱이나 파우치 형태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포장제품은 저울과 같은 중량 선별 장치에서 중량을 측정한 후 정상품과 불량품을 선별하였으나, 대량 생산 공정에 부합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정해진 높이로 돌출 되어, 그 상면에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틱포장제품을 이동시키는 선별컨베이어와, 이 선별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되고,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틱포장제품을 선별컨베이어 상으로 낙하시키는 임펠러와, 임펠러 일측 상부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스틱포장제품이 임펠러 방향으로 이동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슈터와, 슈터 상부에 설치되어, 슈터 내로 스틱포장제품을 공급하는 이송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관, 슈터 및 임펠러는 일렬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서로 대응하는 갯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송관으로 스틱포장제품을 공급하게 되면, 스틱포장제품이 슈터 상단 방향을 향해 직하방으로 낙하된 후, 슈터에 의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미끄러져 임펠러 내로 공급된다.
이때, 임펠러는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격벽을 형성하고, 이 격벽 사이로 스틱포장제품이 진입되어, 임펠러 상에 안착된다.
여기서, 임펠러는 그 일단에 회전축을 형성하여, 이 회전축을 모터와 연결함으로써, 모터에 의해 임펠러가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임펠러 내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에 의해 회전축에 하중이 부여되고, 이에따라, 모터와 연결된 하중센서에 임펠러 내로 낙하된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이 측정되는 것이다.
이때, 스틱포장제품의 중량이 정해진 오차범위 내의 중량값에 해당되면, 복수개의 임펠러가 좌측가이드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틱포장제품을 선별컨베이어로 낙하시킨 후, 선별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좌측가이드를 통과하여 정상품 적재장소로 공급된다.
반면, 스틱포장제품 중 어느 하나의 중량이 정해진 오차범위 이상 또는 이하의 중량값에 해당되면, 제어부는 임펠러에서 측정된 복수개의 스틱포장제품을 불량으로 판정한 후, 복수개의 임펠러가 우측가이드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틱포장제품을 선별컨베이어로 낙하시켜, 선별컨베이어에 의해 우측가이드를 통과하여 불량품 적재장소로 복수개의 스틱포장제품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각각의 임펠러가 하우징 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임펠러를 각개로 세척 및 유지보수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임펠러 유지보수시 하우징을 분리하여, 이 임펠러를 유지보수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부가 노출된 상태의 임펠러 내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어, 이 먼지 또는 이물질 무게에 의해 스틱포장제품의 중량 측정값이 정확하지 못하고, 스틱포장제품 중량 측정값 오차로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제품의 선별정확하도 저하되며, 또한, 스틱포장제품이 슈터를 타고 임펠러로 공급되는 도중 스틱포장제품이 일펠러에 충돌되어 임펠러에서 손쉽게 이탈 낙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스틱포장제품 중 어느 하나라도 불량으로 판정되면, 복수개의 스틱포장제품을 모두 불량으로 판정하여, 정상스틱 포장제품과 불량스틱 포장제품을 각각으로 선별할 수 없으며, 불량품적재장소에 정상 및 불량스틱포장제품이 동시에 수납되어, 불량품적재장소에서 정상 및 불량스틱포장제품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정상 및 불량스틱포장제품을 각개로 선별하지 못해 정상스틱포장제품 선별시간이 오래걸리며, 이에따라, 정상 및 불량스틱포장제품 선별기능의 저하와 동시에 생산능률이 현저히 저하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64257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바닥면에 스틱포장물을 떠받치는 받침부가 형성된 중량측정기를 설치하고, 중량측정기 상부에 밀대로 받침부 내에 구비된 스틱포장물을 받침부 후단으로 강제 배출하되, 그 일단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중량측정기 상부를 노출시키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며, 프레임 후단에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스틱포장물을 공급받거나 혹은 이탈 낙하시키는 선별장치를 설치하고, 프레임 외벽에 중량측정기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의 중량에 따라 선별장치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 제어하는 제어기를 형성하면,
제어기로 중량측정기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 중량 신호를 입력받아 스틱포장물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한 후 선별장치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 제어하고, 이송장치의 밀대로 받침부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을 선별장치 방향으로 배출하여, 선별장치에서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물이 선별하되, 특히, 중량측정기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이송장치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중량측정기의 유지보수 및 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는,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고, 그 상면에 스틱포장물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이 받침부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기; 상기 중량측정기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기를 노출시키며, 상,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구비된 스틱포장물을 상기 받침부 후단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받침부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부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이 상기 받침부 후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대를 포함한 이송장치; 상기 중량측정기의 갯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프레임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의 불량 및 정상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받침부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이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하여,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및 상기 프레임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에 측정된 스틱포장물의 중량 신호를 입력받되, 스틱포장물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선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기는, 상기 프레임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받침부와 상기 로드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압되어, 상기 로드셀을 누름 가압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양단에 직립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이 상기 받침부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이드벽면과;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에 정해진 패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스틱포장물이 상기 받침부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타단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프레임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제1회전풀리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축; 상기 지지프레임 일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상기 제1회전풀리와 대향되는 제2회전풀리를 형성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제2회전축; 페루프 구조로, 상기 제1, 제2회전풀리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회전풀리를 따라 순환 작동되는 벨트;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체결된 상기 제1회전축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 양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 전면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되, 그 말단이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축을 상기 제1회전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력조절장치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받침대를 체결부재로 연결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받침대 상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단에 상, 하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잠금쇠를 더 형성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그 일단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잠금쇠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잠금쇠에 걸림되는 손잡이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실린더장치 하방에 구비되도록 상기 프레임 후단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가이드부;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후단 상, 하단이 상기 실린더장치 타단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부를 축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이 상기 프레임 후단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불량선별가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량선별가이드는, 저면에 하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스틱포장물이 상기 프레임 후단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량측정기를 손쉽게 노출시킬 수 있고, 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중량측정기의 수리 또는 세척등의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진행 후 이송장치를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에 의해 중량측정기 상부에 이송장치가 위치되어 신속하게 작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스틱포장물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받침부 내로 그대로 진입되어, 스틱포장물 공급과정에서 스틱포장물이 받침부에 충돌되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이송장치의 밀대가 받침부 내의 스틱포장물을 밀어냄과 동시에 받침부 후단에서 받침부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의 이탈을 차단하여, 스틱포장물 배출 및 공급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스틱포장물 공급 및 배출 시간 단축으로 인해 스틱포장물 선별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능률 향상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로 정상 판별된 스틱포장물을 분류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로 불량 판별된 스틱포장물을 분류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의 이송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의 이송장치를 회전시켜, 중량측정기를 노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의 인장력조절장치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그 내부에 중량측정기(200), 이송장치(300)를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선별장치(400)와 반대되는 타측에 상기 중량측정기(200)로 스틱포장물(S)을 공급하는 공급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선별장치(400)의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부로 낙하되는 불량 스틱포장물(S) 및 상기 선별장치(400)의 불량선별가이드(403)를 통과한 정상 스틱포장물(S)을 각각으로 수용하는 정상수납함(미부호) 및 불량수납함(미부호)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 양측 벽면에 상기 이송장치(300)의 받침대(307)가 설치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단에 상, 하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잠금쇠(1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잠금쇠(101)는 사용자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고,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장치(300)의 손잡이(309)가 걸림되되록 한다.
중량측정기(200)는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고, 그 상면에 스틱포장물(S)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201)를 형성하며, 이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201)의 중량을 측정한다.
상기 중량측정기(200)는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어기(500)로 중량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받침부(201)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그 바닥면에 스틱포장물(S)이 안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받침부(201)는 전, 후가 개방되어, 개방된 전단을 통해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받침부(201)는 공급장치(미도시)로 부터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는다.
상기 중량측정기(200)는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100)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202)과, 상기 받침부(201)와 상기 로드셀(202)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100)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압되어, 상기 로드셀(202)을 누름 가압하는 연결부재(2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드셀(202)은 상기 연결부재(203)의 하중에 의해 눌림되면서, 상기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 중량 신호를 상기 제어기(500)로 전달한다.
상기 연결부재(203)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201)와 상기 로드셀(20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3)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받침부(201) 및 로드셀(202)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받침부(201)는 양단에 직립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이드벽면(201a)과, 상기 받침부(201)의 바닥면에 정해진 패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돌기(201b)를 더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벽면(201a)은 스틱포장물(S)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밀대(301)에 의해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엠보싱돌기(201b)는 반구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돌기(201b)는 상기 가이드벽면(201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돌기(201b)는 상기 스틱포장물(S)과 상기 받침부(201) 상면 및 가이드벽면(201a) 사이의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스틱포장제품(S)이 상기 받침부(201) 및 상기 가이드벽면(201a)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이송장치(3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기(200)를 노출시키며, 상,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에 구비된 스틱포장물(S)을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대(301)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에서 중량 측정이 완료된 상기 스틱포장물(S)을 밀어내어, 상기 받침부(201) 상에서 스틱포장물(S)이 배출되도록 강제 한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 갯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장치(300)의 밀대(301)는 상기 받침부(201)을 통과하도록 순환작동되면서 상기 스틱포장물(S)을 밀어내거나 혹은 상기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밀대(301)는 상기 이송장치(300)의 구분동작에 의해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서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스틱포장물(S)을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타격하거나,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서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스틱포장물(S)의 이탈을 차단하거나 혹은 상기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타단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프레임(302)과,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타단 및 상기 프레임(100)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제1회전풀리(303a)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축(303), 상기 지지프레임(302) 일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상기 제1회전풀리(303a)와 대향되는 제2회전풀리(304a)를 형성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제2회전축(304), 페루프 구조로,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를 따라 순환 작동되는 벨트(305),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도록 체결된 상기 제1회전축(303)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30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6) 및 상기 프레임(100) 양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2)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대(30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은 상기 제1회전축(303)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잠금쇠(101)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하부에 위치된 상기 중량측정기(20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은 상기 제2회전축(30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 승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은 상기 받침대(307)에 떠받쳐져 상기 이송장치(300)를 상기 중량측정기(20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지지프레임(302)은 상기 받침대(307)에 떠받쳐져 상기 받침부(307)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2) 전면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되, 그 말단이 상기 제2회전축(304)과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축(304)을 상기 제1회전축(30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력조절장치(308)를 더 형성한다.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는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볼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어,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2회전축(304)을 당기거나 혹은 밀어낸다.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는 상기 제2회전축(304)의 제2회전풀리(304a)에 연결된 상기 벨트(305)를 당겨 상기 벨트(305)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2)과 상기 받침대(307)를 체결부재(B)로 연결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02)을 상기 받침대(307) 상에 고정한다.
상기 제1회전축(303)은 상기 제2회전축(304)과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회전풀리(303a)를 회전작동시킨다.
상기 제1회전축(303)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측면으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프레임(100)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축(303)은 상기 프레임(100) 측면으로 노출되되, 그 말단이 상기 구동모터(306)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06)에 의해 회전 작동된다.
상기 제2회전축(304)은 상기 제1회전축(30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벨트(305)가 순환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회전축(304)은 그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의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축(304)은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에 의해 이끌려 상기 제1회전축(30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회전풀리(304a)에 연결된 상기 벨트(305)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2회전풀리(304a)는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제1회전풀리(303a)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벨트(305)가 상기 제1회전풀리(303a) 방향으로 순환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벨트(305)는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를 따라 순환 회전되면서, 상기 밀대(301)가 상기 받침부를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벨트(305)는 어태치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305)는 상,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밀대(301)가 상기 벨트(305) 상에 탈, 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305)는 상기 밀대(301)를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305)는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에 의해 구분 동작으로 순환 회전되면서, 상기 밀대(301)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회전풀리(304a) 상부에 위치시키고, 다른 상기 밀대(301)를 상기 제1회전풀리(303a) 하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벨트(305)는 상기 제1회전풀리(303a)의 회전동력에 의해 순환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306)는 상기 제1회전축(303)을 회전시켜, 이 제1회전축(303)에 형성된 제1회전풀리(303a)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306)는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회전축(303)을 구분 동작으로 회전작동시켜, 상기 제1회전축(30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받침대(307)는 상기 지지프레임(302)을 떠받쳐,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상기 중량측정기(200)를 향해 하방으로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선별장치(4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갯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200)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201)의 불량 및 정상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하여,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물(S)을 선별한다.
상기 선별장치(4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제어기(500) 신호를 전달받되,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각각의 상기 스팀포장물(S)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상기 선별장치(400) 하방으로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선별장치(4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는 실린더장치(401)와, 상기 실린더장치(401) 하방에 구비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가이드부(402),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후단 상, 하단이 상기 실린더장치(401) 타단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40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부(402)를 축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불량선별가이드(403)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장치(401)는 상기 제어기(500)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거나 혹은 원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로 상기 스틱포장물(S)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방으로 이탈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장치(401)는 그 타단에 형성된 로드(미부호)를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의 상단과 연결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가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도록 강제한다.
상기 실린더장치(401)는 로드(미부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402)는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가 회전되는 것을 지지한다.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는 그 전단이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와 동일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정상 판정된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아, 이 스틱포장물(S)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는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원위치에 유지되어,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불량판정된 스틱포장물(S)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방으로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는 저면에 하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스틱포장물(S)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404)을 더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판(404)은 불량판정된 상기 스틱포장물(S)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방으로 미끄러져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제어기(500)는 상기 프레임(100)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200)에 측정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 신호를 입력받되, 스틱포장물(S)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선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로 부터 전달받은 중량 신호를 산출하여, 이 중량 값이 정해진 중량 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상기 선별장치(400)의 불량선별가이드(403)가 원위치에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하방으로 불량 선별된 스틱포장물(S)이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중량측정기(200)에 측정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 값이 정해진 중량 값 이내인 경우, 상기 선별장치(400)의 불량선별가이드(403)가 상기 받침부(201)의 후단과 일치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를 통해 정상 판정된 스틱포장물(S)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선별장치(400)의 실린더장치(40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일렬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공급장치(미도시)에 스틱포장물(S)을 공급하고, 그 상태에서 공급장치(미도시)에 공급된 스틱포장물(S)을 프레임(100) 내에 설치된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 각각으로 공급한다.
이때, 공급장치(미도시)의 갯수와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갯수는 비례되게 형성됨으로써, 중량측정기(200) 각각으로 스틱포장물(S)이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S)은 상기 받침부(201) 내에서 미끄러져 이동되다가 그 말단이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위치된 상기 이송장치(300)의 밀대(301)에 차단되어,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 받침부(201) 내에 스틱포장물(S)이 체류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때,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위치된 밀대(301)가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을 향해 구분동작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의 스틱포장물(S)에서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받침부(201) 내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이 상기 중량측정기(200)에서 측정된다.
즉, 상기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재(203)가 하방으로 누름 가압되면서, 상기 로드셀(202)을 누름 가압함으로써, 이 로드셀(202)의 변형값을 산출하여 상기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202)에서 측정된 중량값을 상기 제어기(500)로 전달하고, 이때, 상기 제어기(500)가 상기 스틱포장물(S)의 중량값과 정해진 중량값을 비교 산출하여, 스틱포장물(S)의 정상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500)에 측정된 중량값이 정해진 중량값 미만 이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틱포장물(S)을 불량으로 판별하고, 정해진 중량값 이내이면 정상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500)로 스틱포장물(S) 중량을 판별하여, 스틱포장물(S)이 정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선별장치(400)의 실린더장치(4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실린더장치(401)를 작동시킴으로써, 이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가 상기 회전가이드부(402)를 기준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의 전단이 상기 받침부(201)의 후단과 일치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이송장치(300)의 구동모터(306)가 작동되어 상기 제1회전축(303)을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제1회전축(303)에 설치된 제1회전풀리(303a)가 상기 제1회전축(303)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벨트(305)를 순환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벨트(305)는 상기 제1회전축(303)의 제1회전풀리(303a)와 상기 제2회전축(304)의 제2회전풀리(304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풀리(303a)와 상기 제2회전풀리(304a) 사이에서 순환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305)의 상, 하단에 서로 엇갈려 탈, 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밀대(301) 중 상단에 설치된 상기 밀대(301)는 상기 벨트(30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되, 그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201)를 따라 이동되면서 스틱포장물(S)을 상기 받침부(201) 후단 방향으로 밀어내어,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상에서 미끄러져 이동된다.
즉, 상기 받침부(201) 내의 스틱포장물(S)은 엠보싱돌기(201b)에 안착되어, 스틱포장물(S)과 상기 받침부(201) 사이의 마찰면적이 감소되고, 이에따라,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밀대(301)에 밀려 미끄러지듯 이동된다.
또한, 스틱포장물(S)은 상기 받침부(201) 상에서 상기 가이드벽면(201a)에 가이드되어, 상기 받침부(201)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벽면(201a)에 안내되어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밀대(301)는 상기 벨트(305)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도달함과 동시에 구분동작으로 상기 선별장치(400)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면서, 스틱포장물(S)을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방향으로 타격하여, 스팀포장물(S)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내로 진입되도록 하되,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별장치(400)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구분동작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201) 후단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밀대(301)는 상기 벨트(305)를 순환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모터(306)의 제어에 의해 구분동작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면, 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내에서 미끄러져 이동되다가, 상기 밀대(301)에 차단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에 체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305) 상단에는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위치된 상기 밀대(301)와 엇갈리는 다른 상기 밀대(301)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내로 진입된 정상 판별된 스틱포장물(S)은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를 따라 이동된 후,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 후단을 통해 낙하 배출됨으로써, 그 하부에 설치된 정상수납부(미부호)에 정상 판별된 스틱포장물(S)이 수용된다.
반면, 상기 제어기(500)로 스틱포장물(S) 중량을 판별하여, 스틱포장물(S)이 불량으로 판별되면, 상기 선별장치(400)의 실린더장치(401)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실린더장치(401) 작동을 제한 함으로써, 이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가 원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의 가이드판(404)이 상기 받침부(201) 후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300)의 밀대(301)로 상기 받침부(201) 내의 스틱포장물(S)을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하게 되면, 이 스틱포장물(S)이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의 가이드판(404)에 충돌된 후 상기 가이드판(404)에 안내되어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서 하방으로 낙하됨으로써, 그 하부에 설치된 불량수납부(미부호)에 불량 판별된 스틱포장물(S)이 수용된다.
상기에서는, 단일의 상기 중량측정기(200) 및 이송장치(300)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여, 선별장치(400)로 불량 및 정상 판별된 스틱포장물(S)을 선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프레임(100) 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중량측정기(200) , 이송장치(300) 및 선별장치(400) 각각으로 복수개의 스틱포장물(S) 중량의 측정 및 선별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장치(300)의 반복 사용으로, 상기 제1회전풀리(303a)와 제2회전풀리(304a) 사이에 설치된 벨트(305)의 장력이 느슨하게 변형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전단에 설치된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를 상기 제2회전축(304)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2회전축(304)이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30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2회전풀리(304a)에 연결된 상기 벨트(305)를 당기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1회전풀리(303a)와 상기 제2회전풀리(304a) 사이에 연결된 벨트(305)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체결되어, 상기 인장력조절장치(308)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304)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300) 하부에 설치된 중량측정기(200)의 세척 및 유지보수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형성된 손잡이(309)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상기 제1회전축(303)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304)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회전풀리(304a)에 연결된 상기 벨트(305)를 동시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중량측정기(200)가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프레임(100)의 잠금쇠(101)를 상방으로 상승 이동시키되,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손잡이(309)를 상기 프레임(100)의 잠금쇠(101)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잠금쇠(101)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도록 하면, 상기 잠금쇠(101)에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손잡이(309)가 걸림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가 노출된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받침부(201), 연결부재(203) 및 상기 로드셀(202)의 유지보수를 진행하거나 혹은 상기 받침부(201)의 세척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중량측정기(200)의 유지보수 및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잠금쇠(101)를 상방으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309)의 걸림을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309)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상기 프레임(100)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받침대(307)에 안착되어, 상기 중량측정기(2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307)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302)으로 체결부재(B)를 체결하여, 상기 받침대(307)에 상기 지지프레임(302)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장치(300)의 일단을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량측정기(200)의 세척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이송장치(300) 하부에 설치된 중량측정기(200)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구조는, 이송장치(300)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량측정기(200)를 손쉽게 노출시킬 수 있고, 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중량측정기(200)의 수리 또는 세척등의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진행 후 이송장치(300)를 회전시키는 단순 동작에 의해 중량측정기(200) 상부에 이송장치(300)가 위치되어 신속하게 작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스틱포장물(S)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받침부(201) 내로 그대로 진입되어, 스틱포장물(S) 공급과정에서 스틱포장물(S)이 받침부(201)에 충돌되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이송장치(300)의 밀대(301)가 받침부(201) 내의 스틱포장물(S)을 밀어냄과 동시에 받침부(201) 후단에서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S)의 이탈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틱포장물 선별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프레임 101 : 잠금쇠
200 : 중량측정기 201 : 받침부
201a : 가이드벽면 201b : 엠보싱돌기
202 : 로드셀 203 : 연결부재
300 : 이송장치 301 : 밀대
302 : 지지프레임 303 : 제1회전축
303a : 제1회전풀리 304 : 제2회전축
304a : 제2회전풀리 305 : 벨트
306 : 구동모터 307 : 받침대
308 : 인장력조절장치 309 : 손잡이
400 : 선별장치 401 : 실린더장치
402 : 회전가이드부 403 : 불량선별가이드
404 : 가이드판 500 : 제어기
B : 체결부재 S : 스틱포장물

Claims (9)

  1.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설치되고, 그 상면에 스틱포장물(S)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201)를 형성하여, 이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기(200);
    상기 중량측정기(200) 상부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기(200)를 노출시키며, 상,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부(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에 구비된 스틱포장물(S)을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받침부(201)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부(201) 내로 공급되는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대(301)를 포함한 이송장치(300);
    상기 중량측정기(200)의 갯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200)에서 측정된 스틱포장물(S)의 불량 및 정상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이탈 낙하되도록 안내하여, 정상 또는 불량 스틱포장물(S)을 선별하는 선별장치(400); 및
    상기 프레임(100)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기(200)에 측정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 신호를 입력받되, 스틱포장물(S)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선별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기(200)는,
    상기 프레임(100)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부(100)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202)과;
    상기 받침부(201)와 상기 로드셀(202)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100)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하방으로 누름 가압되어, 상기 로드셀(202)을 누름 가압하는 연결부재(2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1)는,
    양단에 직립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201) 상에 안착된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이드벽면(201a)과;
    상기 받침부(201)의 바닥면에 정해진 패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스틱포장물(S)이 상기 받침부(201)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돌기(201b);
    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0)는,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타단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프레임(302)과;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타단 및 상기 프레임(100)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제1회전풀리(303a)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02)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축(303);
    상기 지지프레임(302) 일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체결되고, 그 외면에 상기 제1회전풀리(303a)와 대향되는 제2회전풀리(304a)를 형성하여 제자리 회전되는 제2회전축(304);
    페루프 구조로,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회전풀리(303a, 304a)를 따라 순환 작동되는 벨트(305); 및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도록 체결된 상기 제1회전축(303)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30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6);
    상기 프레임(100) 양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2)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대(30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2) 전면에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되, 그 말단이 상기 제2회전축(304)과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축(304)을 상기 제1회전축(30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장하는 인장력조절장치(308)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지지프레임(302)과 상기 받침대(307)를 체결부재(B)로 연결 고정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02)을 상기 받침대(307) 상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단에 상, 하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잠금쇠(10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이송장치(300)는,
    그 일단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잠금쇠(101)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잠금쇠(101)에 걸림되는 손잡이(309)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4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는 실린더장치(401)와;
    상기 실린더장치(401) 하방에 구비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서 연장 형성된 회전가이드부(402);
    전, 후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후단 상, 하단이 상기 실린더장치(401) 타단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40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치(401)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부(402)를 축으로 정해진 각도 회전되어, 상기 받침부(201) 후단으로 배출되는 스틱포장물(S)을 공급받거나 혹은 스틱포장물(S)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불량선별가이드(40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선별가이드(403)는,
    저면에 하방을 향해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스틱포장물(S)이 상기 프레임(100) 후단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404)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20220015471A 2022-02-07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266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71A KR102663709B1 (ko) 2022-02-07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71A KR102663709B1 (ko) 2022-02-07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161A true KR20230120161A (ko) 2023-08-17
KR102663709B1 KR102663709B1 (ko) 2024-05-1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57Y1 (ko) 2012-11-26 2013-01-09 (주)인테크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57Y1 (ko) 2012-11-26 2013-01-09 (주)인테크 스틱포장용 제품의 중량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6822A (en) Apparatus for the exact weighing of material in lots of mixed-size pieces
CN110254764B (zh) 大米的自动化定量分装称量方法
CN110385279B (zh) 棒状包装产品用多列重量筛选装置
KR100356647B1 (ko) 젤라틴캡슐과같은소형물품을중량측정하는장치
US7790990B2 (en) Combination weigher with peripheral annular recycling table
KR100537291B1 (ko) 일체로 된 배출밸브를 갖추고 분리가능한 호퍼를 구비한 계량혼합기
EP3711870B1 (en) Automatic weight separator for stick packaged products
JP3707794B2 (ja) 材料混合装置
US4548287A (en) Combination weighing machine with vibratory feeding and collecting hopper
US4534429A (en) Combinatorial weighing apparatus
EP0175592B1 (en) Weighing apparatus
JP6957056B2 (ja) 自動重量選別機能を有する整列装置
KR20230120161A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2663709B1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1967257B1 (ko) 제품의 불량선별장치
KR20230120160A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JPH0240505Y2 (ko)
KR20220075017A (ko) 맛김치 정량 충진 장치
JPH0360049B2 (ko)
KR102234563B1 (ko) 과일 적재 시스템
KR102518081B1 (ko) 스틱포장제품 선별장치
KR102663705B1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US7323643B2 (en) In-feed control and dispersion apparatus for fresh food
US503559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element sintered material
US3710980A (en) Rotary volumetric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