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45B1 - 부압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부압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45B1
KR101894445B1 KR1020167023409A KR20167023409A KR101894445B1 KR 101894445 B1 KR101894445 B1 KR 101894445B1 KR 1020167023409 A KR1020167023409 A KR 1020167023409A KR 20167023409 A KR20167023409 A KR 20167023409A KR 101894445 B1 KR101894445 B1 KR 10189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strip
sheet
conductio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128A (ko
Inventor
요시토 하시카와
Original Assignee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6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by using specific means
    • B21C47/3475Fluid pressure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Abstract

평판형 부압 시트(3)는 받침판(4)과 도통홈부 시트(5)와 부직포 적층 외층(6)과 표층재(7)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판(4)은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베이스가 되는 부재이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5)는 받침판(4)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그 표면에 부압 도통홈(8)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3)에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8)이 형성되어,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단부까지 부압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압 시트 구조{NEGATIVE PRESSURE 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부압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금속 박판의 슬리터 라인(slitter line)에서, 스트립(strip) 표면에 유해한 상처를 내기 어렵고, 안정한 스트립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부압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코일형으로 감긴 장편의 금속 소재의 슬리터 라인을 비롯한 이른바 금속 코일 재료의 프로세싱 라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슬릿 후 권취 전의 텐션 장치로서 롤 브라이들(bridle)이나 벨트식 텐션 장치 등이 배치된다.
이 텐션 장치가 슬릿 가공된 스트립에 대해 권취기의 전단에서 권취 장력을 부여하여, 스트립이 권취 코일로 단단하고 확실하게 권취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텐션 장치로서 여러 조로 슬릿된 스트립을 2개의 탄성 롤에서 서로 눌러서 권취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장치의 구조도 많이 채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텐션 장치에서는 각 스트립의 두께 편차나 절단면의 불균일 혹은 속도 차이로 인해 스트립의 사행(蛇行)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트립의 사행 현상이 발생하면 권취 코일의 측면이 요철 모양으로 되어,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품 코일의 운송중에 코일 가장자리를 손상해서 상품 가치가 훼손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 장력을 부여하는 전단의 탄성 롤(100) 및 후단의 탄성 롤(101)의 사이에 펠트(felt)로 위아래에서 스트립을 서로 누르는 텐션 패드(102)를 배치하여, 스트립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터 라인에 제공되는 시트 모양의 금속 코일은 일반적으로 압연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금속 코일의 양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얇아지게 되어 동일 시트상에서 두께에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된다. 또한, 슬릿 가공시에 각 스트립의 끝면의 절단면에 뾰족해진 버(burr)가 생겨서 이에 기인한 두께의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슬릿 가공 후에 스트립이 권취기에 권취되는 때에, 시트상의 두께의 차이 또는 버에 기인한 두께의 차이가 각 권취 코일의 권취 외경의 차이가 된다. 즉, 두께에 차이가 있는 스트립의 권취 코일 직경이 두께가 얇은 스트립의 권취 코일 직경보다도 커지게 되는 원둘레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코일 직경이 큰 권취기에 권취되는 스트립이 보다 빠르게 권취되는 것으로 된다.
이 권취 속도의 차이에 의해 슬리터 라인의 슬리터보다 하류의 위치에서 스트립에 길이의 차이가 생기고, 각 스트립에서 크기가 다른 루프(loop) 모양의 형상이 된다. 스트립의 표면이 바닥 등에 접촉하면 상처가 생겨서 상품 가치가 손상되기 때문에 스트립의 루프가 생기는 위치에 수 미터 정도 깊이의 루프 피트(loop pit)를 바닥에 설치하여 루프를 늘어뜨려 연속적으로 모으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트립이 루프 피트에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 시작 만곡부에는 스트립을 가이드 하기 위한 세퍼레이터(separator)나 가이드 롤이 배치되어 스트립에 직진성을 부여하고 있다. 만곡부의 통과 후에 스트립은 텐션 장치로 보내지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세퍼레이터도 가이드 롤도 축 롤로 구성되어 여러 조의 스트립에 대해서 일정 회전만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전술한 스트립 사이의 권취 속도의 차이가 문제가 된다. 즉, 세퍼레이터나 가이드 롤이 권취 코일 직경이 커지게 되는 두께가 크고 속도가 빠른 스트립에 동조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권취 코일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두께가 얇은 스트립까지 같은 속도로 텐션 장치로 보내지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권취 코일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두께가 얇은 스트립은 텐션 장치의 앞에서 남은 판이 생겨 스트립의 사행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된다.
이 텐션 장치의 앞에서 스트립의 사행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텐션 장치의 입구측의 만곡부에 소형 펠트식 누름판을 배치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피트 뒤의 만곡부에는 벨트식 텐션 장치(200)의 앞에 패드 개폐용 유압 실린더(201)를 매개로 상하로 쌍을 이루는 경압 펠트 패드(202)가 설치되어 있다. 경압 펠트 패드(202)에 의해 스트립이 상하로부터 서로 눌려서 스트립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릿 작업을 수행하기 쉽게 하는 목적으로 슬리터의 입구측의 전단에 루프 피트가 설치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루프한 코일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 소형의 펠트식 누름판을 배치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슬리터(300)에 연결된 복수 개의 레버(301)의 선단에 펠트(302)를 휘감은 압부 패드(303)가 설치되어 있다. 커티너리(catenary) 가이드(304)와 압부 패드(303)에 의해 코일이 상하로부터 서로 눌려서 코일의 사행이나 판 날뜀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터의 입구측에서 광폭의 코일이 평평한 상태에서 슬리터의 칼날로 도입되지 않으면, 스트립의 절단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코일을 상하로부터 구속하여 슬리터로 안내하는 누름판 구조나 핑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슬리터의 송출측에서도 슬릿된 스트립이 슬리터의 칼날의 영향에 의해 위아래로 날뛰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출할 필요가 있어서 누름판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및 특허문헌 6을 참조.).
이 누름판 구조나 핑거에는 판상의 것이 존재하여 슬리터의 입구측이나 송출측에서 코일 및 스트립을 상하로부터 끼움으로써, 스트립을 평평한 자세로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의 슬릿 폭은 코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 다양한 수의 슬릿 폭 치수의 눌림판이나 핑거가 이용되고 있다.
일본특허 특개평 6-238329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평 5-318221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평 2003-191121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 2013-169552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평 11-58124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 2000-21008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 2010-173842호 공보 일본특허 특개평 7-127631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텐션 장치의 전단 및 슬리터의 전후에서 코일이나 스트립의 사행 방지와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구조가 여러 가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공통적으로 코일이나 스트립의 상하면으로부터 펠트 등을 서로 눌러서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펠트로 강하게 서로 눌러진 코일이나 스트립의 표면에 쓸린 상처나 오염이 부착되고 만다.
스트립의 표면의 긁힌 상처나 얼룩은 고급 표면 처리가 요구되는 용도의 스트립의 경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되어 버린다. 또한, 금속박처럼 스트립의 두께가 0.1mm 미만의 극 박판이라면, 서로 누름에 의하여 변형이 생길 우려도 있다.
또한, 다른 슬릿 폭에 대응하기 위해, 누름판 구조에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게 되는 점이 작업 효율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즉, 누름판 구조의 부품을 슬릿 폭에 맞추는 교환 작업이나 보수 작업이 자주 발생하고 취급이 귀찮아 져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소모품이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스트립 표면에 유해한 상처를 내기 어렵고, 안정한 스트립의 통판을 가능하게 하는 부압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압 시트 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는 도통공과, 상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통공과 연결된 도통홈과, 상기 도통홈의 외측에 설치된 저통기성의 외층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는 도통공에 의해 본체의 내부를 부압으로 할 수 있다. 소정의 흡인 장치로는 예를 들면, 진공 펌프나 이젝터(ejector)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도통공과 연결시킴으로써, 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부압 시트 구조로 부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표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통공과 연결된 도통홈에 의해 도통홈과 도통공이 이어지고, 도통공에 생성된 부압의 영역을 본체의 표면으로까지 넓힐 수 있다. 또한, 도통홈에 의한 부압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즉, 본체의 내부에서 도통공으로부터 떨어진 본체의 단부까지 부압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는 도통공과, 본체의 표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통공과 연결된 도통홈에 의해 본체의 표면에 접하는 스트립에 부압을 미치게 하여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립의 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본체에 스트립을 파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부압에 의한 흡착이라는 것은 본체에 접한 스트립의 표면에 작용하는 대기에 의한 누름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는 도통공과, 본체의 표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도통공과 연결된 도통홈과, 도통홈의 외측에 설치된 저통기성의 외층부에 의해 본체 내부의 부압의 영역을 넓히고, 본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즉, 본체의 내부의 부압도를 높여서 본체와 접한 스트립에 미치는 흡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를 슬리터 라인의 텐션 장치의 전단에 배치함으로써, 텐션 장치로 이송되는 스트립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트립의 한쪽 면에만 부압 시트 구조가 접촉하여 예비 장력을 부여하고, 스트립의 사행 현상을 방지하여 스트립에 직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체를 슬리터 라인의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에 배치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 코일이나 스트립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트립의 한쪽 면에만 부압 시트 구조가 접촉하여 파지함으로써, 튀어오름을 억제하고, 스트립의 사행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를 슬리터 라인의 슬리터의 칼날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함으로써, 슬릿 가공 전후의 코일이나 스트립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스트립의 한쪽 면에만 부압 시트 구조가 접촉하여 코일을 평평한 상태에서 슬리터의 칼날부로 줄줄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릿 후의 스트립이 슬리터의 칼날의 영향으로 위아래로 날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층부의 통기도가 프레이저형 통기도(Frazier type air permeability)로 1.0㎤/㎠·s이하인 경우에는 외층부가 여분의 외기를 흡입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본체의 내부의 부압도가 충분히 높아지게 되어 스트립에 대해서 충분한 파지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립의 폭이 부압 시트 구조의 폭보다 좁은 경우, 혹은 여러 조의 스트립의 각 스트립 사이의 틈새가 있는 경우에도 부압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통공과 연결된 부압 흡입구가 복수 형성되고, 부압 흡입구마다 흡인이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효율 좋게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복수의 부압 흡인구를 단일의 진공 펌프로 연결하고, 본체 표면을 통판되는 스트립의 개수가 적은 때에는 본체 표면상에 스트립이 없는 도통홈 및 도통공에 대응하는 부압 흡인구를 잠금으로써, 부압 흡인율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부압 흡인구마다 진공 펌프에 연결하고, 본체 표면을 통판되는 스트립의 개수가 적은 때에는 본체 표면상에 스트립이 없는 도통홈 및 도통공에 대응하는 부압 흡인구를 잠금으로써, 가동에 필요한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통홈과 외층부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중간 층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한층 더 본체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기 쉽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도통홈의 홈 폭이 크게 형성된 경우에도 도통홈에 생긴 부압을 복수의 통기공에 의해 외층부로 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층부가 도통홈의 사이로 움푹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요철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외층부에 부압을 효율 좋게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도통홈의 홈 폭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3mm를 초과하는 홈 폭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외층부가 도통홈의 외측에 설치된 저통기성의 부직포와, 부직포의 외측에 적층되고, 또한, 부직포보다도 마찰 계수가 크며 미세한 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외층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무수의 틈새에서 본체 내부를 높은 부압도로 유지하면서 외층 부재의 미세한 관통공을 매개로 외층 부재에 접하는 스트립에 파지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층 부재의 마찰성이 스트립의 파지력을 높여 예를 들면, 본체를 텐션 장치의 전단에 배치한 때에 충분한 예비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통공을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생기는 부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통공이 본체의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도통공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도통홈이 본체의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도통홈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스트립이 통판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의 도통홈이 균일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스트립의 슬릿 폭에 관계 없이 균일하게 파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체에 만곡한 외주면이 형성된 경우에는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를 통하는 스트립에 대해서 한층 더 파지력을 미치게 하기 쉬운 것이 된다. 즉, 본체의 외주면을 만곡부에 배치하여 스트립에 따르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도통공이 본체의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도통공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도통홈이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도통홈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본체와 접하는 스트립에 연속적으로 부압을 미치게 할 수 있다. 즉, 본체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부압에 의한 파지력이 생기게 된다.
본체가 권취 장치의 전단에 배치된 경우에는 텐션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두께가 0.1mm 이하의 금속박과 같은 극 박판의 스트립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파지력을 미치게 함으로써, 스트립을 권취 코일에 단단하고 확실하게 휘감기 위한 권취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외층부가 저통기성의 부직포로 형성된 경우에는 본체 내부의 부압을 높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즉, 예를 들면, 극 저통기성의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복수의 부직포를 겹쳐서 다층 구조로 하거나 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직포 표면에 얼룩이나 막힘이 생겼을 때에 외층부을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치의 보수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압 시트 구조는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스트립 표면에 유해한 상처를 내기 어렵고, 안정한 스트립의 통판을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부압 시트 구조와 스트립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a) 및 도 2(a)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b)이다.
도 3은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부직포 적층 외층(6)으로 이용한 부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부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밀도 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a)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a) 및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가지는 구조의 개략 단면도(b)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화살표 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설치한 부압 시트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평판형 부압 시트(19)의 부압 조절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다공판이 중간 층부로서 설치된 부압 시트의 개략 단면도(a), 도 9(a)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b) 및 도 9(a)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c)이다.
도 14는 부압 시트 구조를 슬리터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만곡형 부압 시트의 구조와 배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탄성 롤식 텐션 장치의 펠트 가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벨트식 장력 장치의 전단의 펠트 가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슬리터 전단의 펠트 가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되게 한다.
도 1은 부압 시트 구조와 스트립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부압 시트 구조 1은 슬리터 라인을 통판되는 스트립의 하측 또느 도시하지 않은 코일 가공 전의 코일의 하측에 배치된다. 부압 시트 구조 1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 경로의 구조나 배치 위치에 따라 이하에 나타낸 각 실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하에 나타낸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 까지나 일례이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7 내지 도 15에 나타낸 그림은 설명을 위한 개략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조의 크기나 축척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부압 시트 구조의 제1 실시 형태인 평판형 부압 시트(3)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a) 및 도 2(a)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b)이다. 도 7은 도 2(a)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a) 및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설치한 부압 시트 구조의 개략 단면도(b)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부압 시트(3)는 받침판(4)과 도통홈부 시트(5)와 부직포 적층 외층(6)과 표층재(7)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판(4)은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베이스가 되는 부재이며,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5)는 받침판(4)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그 표면에 부압 도통홈(8)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3)에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8)이 형성되고,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단부까지 부압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받침판(4) 및 도통홈부 시트(5)가 본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부직포 적층 외층(6)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도통홈부 시트(5)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 적층 외층(6)의 통기도가 낮기 때문에 외기의 유입량이 극히 미량이되어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내부의 부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부직포 적층 외층(6)은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1.0㎤/㎠·s 이하의 통기도로 되어 있다.
또한, 더욱 그 외측에 부직포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인공 피혁으로 구성된 표층재(7)가 배치되어 있다. 표층재(7)가 스트립(2)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표층재(7)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을 매개로 부압을 표면까지 생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층재(7)의 관통공은 구멍 직경이 0.2mm 정도의 크기이며, 각 관통공 사이는 1mm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4), 도통홈부 시트(5), 부직포 적층 외층(6) 및 표층재(7)는 각각이 고정되어, 스트립(2)의 라인을 통판되는 움직임에 의해 끌어당겨져도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 적층 외층(6) 및 표층재(7)는 열화나 얼룩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판(4)을 형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맞게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에 부압 시트 구조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이나 연질의 황동 소재의 박판을 이용하여 만곡부와 아울러 받침판을 절곡 가능하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받침판(4) 및 도통홈부 시트(5)를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평판형 부압 시트의 내부에 부압을 생성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성형 등으로 받침판(4)에 부압 도통홈(8)과 동일한 모양의 홈이 형성된 받침판(4) 및 도통홈부 시트(5)가 일체화된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부압 도통홈(8)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단부까지 부압을 생성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다만, 스트립의 판 폭에 관계없이 균일한 부압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부압 도통홈(8)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부직포 적층 외층(6)이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1.0cm3 /cm2 · s 이하의 통기도가 될 필요는 없다. 다만, 통판되는 스트립에 충분한 파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직포 적층 외층(6)이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1.0㎤/㎠·s 이하의 통기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부직포 적층 외층(6)의 외측에 부직포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인공 피혁으로 구성된 표층재(7)가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부직포 적층 외층(6)이 스트립의 표면과 접촉하는 구조여도 좋다. 다만, 스트립의 표면 사이의 마찰 저항이 커져 스트립에 미치는 파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텐션 장치 전단에서의 예비 장략의 부여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부직포 적층 외층(6)의 외측에 보직포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인공 피혁으로 구성된 표층재(7)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층재(7)를 구성하는 소재는 인공 피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직포 적층 외층(6)보다도 마찰 계수가 큰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고무 소재로 표층재(7)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표층재(7)의 관통공의 구멍 직경이나 관통공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압이 스트립에 미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면 충분한다.
또한, 반드시 받침판(4), 도통홈부 시트(5), 부직포 적층 외층(6) 및 표층재(7)는 각각이 고정될 필요는 없고, 스트립(2)의 라인상을 통판되는 움직임에 끌어당겨져 각각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통기성이 있는 접착 시트 등을 이용하여 전체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통홈부 시트(5)의 일단 측에는 도통홈부 시트(5)를 관통한 부압 도통공(9)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도통공(9)은 진공 펌프로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내부의 공기를 빼낼 때의 공기의 유로가 된다.
또한, 부압 도통공(9)과 진공 펌프 사이에는 부압 공통로(10)가 설치되고,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내부를 부압으로 하는 흡입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3)가 진공 펌프로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압 공통로(10)와 연결하여 도시하지 않은 진공 조절 밸브 및 부압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부압 조절 밸브는 부압 공통로(10)를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흡인 장치로서 대용량의 배기 송풍기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부압 시트 구조에 접한 스트립의 뒷면을 부압 상태로 유지하고, 대기에 의한 압력에서 파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비교적 흡인량은 작지만 고진공도를 발생하는 진공 펌프나 이젝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기 송풍기를 이용한 부압 흡착의 관련 기술로서 흡입 롤 방식이 존재하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7을 참조), 통기도가 본 발명의 레벨보다도 매우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배기 송풍기로 흡입할 필요가 있으며, 특허문헌 7에 기재된 흡입 롤에서는 흡인 경로 구조가 평판형 부압 시트(3)보다도 월등히 커지고 있다.
혹은, 흡입 롤 방식의 장치로서 흡인 효율이 부족한 경우에는 흡인 영역을 조절하는 기구를 롤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특허문헌 8을 참조.).
전술한 2개의 장치와 비교하여 평판형 부압 시트(3)에서는 저통기성 부직포를 적용함으로써, 큰 흡인 구조나 흡인 영역의 조절 구조가 무용으로 되기 때문에, 얇은 시트 형의 구조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부압 공통로(10)가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내부를 부압으로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반드시 부압 조정 밸브 및 부압 게이지가 설치될 필요는 없다. 다만, 내부에 생성시키는 부압을 조절 가능하게 하고, 부압 흡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부압 조정 밸브 및 부압 게이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 도통공(9)은 하나의 부압 도통홈(8)에 대해서 한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3)에서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부압 도통홈(8)이 복수 형성되고, 그 하측에 부압 도통공(9)이 동일한 모양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3)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반드시 부압 도통홈(8) 및 부압 도통공(9)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스트립(2)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다만, 슬릿 폭에 관계없이 스트립에 대해서 균등하게 부압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부압 도통홈(8) 및 부압 도통공(9)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부직포 적층 외층(6)을 이용한 부직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부직포 적층 외층(6)에 이용한 부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부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밀도 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직포의 확대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부직포 적층 외층(6)에 이용한 부직포(43)의 현미경 사진(배율 100배)을 나타낸다. 부직포(43)는 두께가 약 4μm 정도의 섬유를 밀도 높게 얽히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43)는 한 장으로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0.8㎤/㎠·s 정도의 낮은 통기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부직포(43)의 아주 가는 각 섬유 사이에는 μm 사이즈의 틈새가 많이 존재하고 이 틈새를 통해서 부압은 부직포 적층 외층(6)의 표면 전역에 용이하게 이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텐션 장치의 일종인 텐션 패드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44)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부직포(44)는 두께가 약 20~30μm의 섬유를 얽힌 것으로 부직포(43)에 비해 밀도가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44)는 한 장으로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50~100㎤/㎠·s이며, 부직포 적층 외층(6)의 부직포로서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부직포(44)를 프레이저형 통기도 0.8㎤/㎠·s 정도의 낮은 통기도를 가진 소재, 예를 들면, 나일론 직포 등의 고밀도 직포(45)와 짜 맞추어 낮은 통기성을 실현할 수도 있다. 즉, 부직포(45) 끼리의 사이에 고밀도 직포(45)를 끼움으로써 부직포 적층 외층(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고밀도 직포(45), 도 6에 일반적인 직포(46)의 확대 현미경 사진(배율 100배)을 나타낸다.
또한, 반드시 부직포 적층 외층(6)은 한 장의 부직포(43)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여러 장의 부직포를 겹쳐서 통기도를 낮추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평판형 부압 시트(3)의 부압 도통공(9) 및 부압 공통로(1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단면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평판형 부압 시트(3)는 복수의 부압 도통공(9)에 대해서 단독의 부압 공통로(10)가 설치된 구조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압 공통로의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평판형 부압 시트(11)에는 두 개의 부압 공통로(12)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칸막이(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부압 공통로(12)에는 부압 조정 밸브가 설치되어 부압을 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11)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복수의 부압 공통로(12)를 설치하고, 영역마다 부압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판되는 스트립(2)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2)에 미치는 파지력을 바꿀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부압 시트 구조의 제2 실시 형태인 평판형 부압 시트(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화살표 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설치한 부압 시트 구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부압 시트(14)는 받침판(4)과 도통홈부 시트(15)와 부직포 적층 외층(6)과 표층재(7)을 구비하고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14)에는 도통홈부 시트(15)의 표면에 부압 도통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14)에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16)이 형성되고, 평판형 부압 시트(14)의 단부까지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15)의 일단 측에는 도통홈부 시트(15)를 관통한 부압 도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압 도통공(17)과 진공 펌프의 사이에는 부압 공통로(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14)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압 도통공(17)은 한 개의 부압 도통홈(16)에 대해서 한 개 설치되어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14)에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부압 도통홈(16)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 하측에는 부압 도통공(17)이 동일한 모양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14)와 전술한 평판형 부압 시트(3)는 부압 도통홈의 형성 방향이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14)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판형 부압 시트(14)의 부압 도통공(17) 및 부압 공통로(18)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의 단면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평판형 부압 시트(14)에 대해서도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설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평판형 부압 시트(19)에는 두 개의 부압 공통로(20)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칸막이(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19)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복수의 부압 공통로(20)를 설치하고, 영역마다 부압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판되는 스트립(2)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2)에 미치는 파지력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구조라면 표층재(7)의 표면에 스트립(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효율적으로 부압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이하,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부압 시트(19)의 두 개의 부압 공통로(20)에는 각각 부압 조절 밸브(22)가 설치되고, 부압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러 조의 스트립(2)을 통판하는 때에, 영역(23)에는 스트립(2)이 표층재(7)상에 존재하고, 영역(24)은 스트립(2)이 통판되지 않는 영역으로 한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19)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두 개의 부압 공통로(20)가 단일의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있으면 영역(24) 측의 부압 조절 밸브(22)를 닫음으로써, 영역(23) 측을 효율 좋게 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부압 공통로(20)가 별도의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있으면, 영역(24) 측의 부압 공통로(20)에 연결된 진공 펌프의 가동을 중단하고 본 구조의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판형 부압 시트(14) 및 평판형 부압 시트(19)와 같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16)이 형성된 구조에서는 복수의 부압 공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부압 흡인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부압 시트 구조의 제 3 실시 형태인 평판형 부압 시트(2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다공판이 중간 층부로서 설치된 부압 시트의 개략 단면도(a), 도 9(a)의 화살표 B 방향의 단면도(b) 및 도 9(a)의 화살표 C 방향의 단면도(c)이다.
도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 부압 시트(25)는 받침판(4)과 도통홈부 시트(26)와 중간층(27)과 부직포 적층 외층(6)과 표층재(7)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형 부압 시트(25)에는 도통홈부 시트(26)의 표면에 홈 폭이 3mm이상의 부압 도통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형 부압 시트(25)에는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부압 도통홈(28)이 형성되어, 평판형 부압 시트(26)의 단부까지 부압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26)의 일단 측에는 도통홈부 시트(26)를 관통한 부압 도통공(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압 도통공(29)과 진공 펌프의 사이에는 부압 공통로(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시트(25)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간층(27)은 다수의 통기공(31)이 형성된 펀칭 메탈로 구성되어 통기공(31)을 매개로 부압 도통공(29) 및 부압 도통홈(28)에 생긴 부압을 부직포 적층 외층(6)에 미치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3(b)에는 부압 도통공(29) 및 부압 공통로(30)가 존재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도 13(c)에는 부압 도통공(29) 및 부압 공통로(3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b)에서 화살표 Z는 평판형 부압 시트(25)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부압 도통홈(28)의 폭이 크게 형성된 구조여도 평판형 부압 시트(25)의 내부에 충분히 부압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층(27)에 의해 부직포 적층 외층(6)이 부압 도통홈(28)의 사이로 움푹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부직포 적층 외층(6)의 면상에 요철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까지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압 시트 구조이며, 슬리터 라인의 스트립이 수평 방향으로 통판되는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우선, 평판 형상의 부압 시트 구조는 슬리터 라인의 텐션 장치의 전단에 배치할 수 있다.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스트립의 한쪽 표면에 미치게 하여 스트립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한 예비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압 시트 구조의 내부의 통기도가 낮게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 후의 여러 조의 스트립 끼리의 간극에서 공기가 빨아들여져도 부압을 유지하고 파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점은 스트립의 슬릿 폭이 다른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며, 모든 슬릿 폭의 스트립에 대응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펠트로 상하에서 끼워 누르는 텐션 패드의 사행 방지 구조에 비해 부드러운 것이 되며, 스트립의 표면에 쓸린 상처나 오염이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부압에 의해 충분한 예비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의 부압 시트 구조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은 본 구조에 의해서는 전혀 상처가 나지 않아서 한쪽 면에 손상이 없는 스트립으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긴 모습이 정돈된 제품 코일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압 시트 구조를 길게 함으로써, 스트립과의 접촉 면적이 커져서 한층 더 표면에 쓸린 상처가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된다. 또한, 스트립의 표면의 한쪽 면은 다른 구조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쓸린 상처나 오염이 붙는 일이 없어서 예비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판 형상의 부압 시트 구조는 슬리터 라인의 권취 코일의 전단에 배치하여 권취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예를 들면, 두께가 0.1mm 미만의 금속박과 같은 두께가 극히 얇은 금속 스트립을 장력 부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부압 시트 구조는 부압에 의한 파지력과 표층재의 마찰력에 의해 스트립에 권취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부압 시트 구조는 슬리터 라인의 슬리터의 입구측과 송출측의 양방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 가공 전의 코일 (35) 및 스트립(2)의 통판 라인을 따라 슬리터의 칼날(32)의 근방까지 이르러 부압 시트 구조(33)를 배치함으로써, 코일(35) 및 스트립(2)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미치게 하여 안정하게 통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압 시트 구조(33)에는 전술한 평판형 부압 시트(3)와 달리 스트립(2)에 접하는 부분이 불소 수지로 구성된 표층재(34)로 되어 있다. 또한, 표층재(34)에는 다수의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층재(34)에는 미세한 관통공을 매개로 부압 시트 구조(33)의 내부의 부압이 표층재(34)의 표면에 미치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층재(34)를 구성하는 불소 수지는 마찰 계수가 작은 소재이며, 부압 시트 구조(33)로부터 스트립(2)의 표면에 미치는 마찰 저항은 표층재(7)에 인공 피혁을 이용한 평판형 부압 시트(3)로부터 스트립(2)의 표면에 미치는 마찰 저항보다도 작은 것으로 된다.
슬리터의 전후에서 코일(35) 및 스트립(2)의 누름판에 필요로 하는 파지력은 텐션 장치의 전단에서 스트립(2)으로 예비 장력을 부여할 때의 파지력보다도 작은 힘으로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과도한 파지력은 코일(35) 및 스트립(2)의 원활한 통판에는 오히려 방해가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표층재(34)의 코일(35) 및 스트립(2)에 대한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파지력을 낮추고 슬리터의 누름판에 적절한 파지력을 실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파지력의 조절은 전술한 부압 조정 밸브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드시 부압 시트 구조(33)에 표층재(34)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대상이 되는 스트립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서는 부직포로 구성된 부직포 적층 외층이 코일 및 스트립과 접촉하는 부재로 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마찰 저항을 적게하고 스트립의 통판을 원활한 통판과 누름판의 양방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 부압 시트 구조(33)에 표층재(3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압 시트 구조(33)는 슬리터의 입구측에는 슬릿 가공 전의 광폭의 코일(35)을 부압으로 파지하고, 코일(35)의 상하 움직임을 억제하여 플래트한 상태에서 코일(35)을 슬리터의 칼날(3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슬리터의 송출측에는 부압으로 스트립(2)을 파지하고, 슬리터의 칼날(32)의 영향으로 스트립(2)이 상하로 날뛰는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압 시트 구조(33)에서는 스트립의 슬릿 폭에 관계없이 파지력이 부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립의 슬릿 폭에 맞춘 부재의 준비를 할 필요가 없다. 즉, 스트립의 슬릿 폭마다의 부품의 교환이 불필요하여, 사용하는 편리함이 매우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터의 입구측과 송출측의 양방으로 배치하는 부압 시트 구조(33)에서는 필수가 아니지만, 전술한 평판형 부압 시트(14) 및 평판형 부압 시트(19)와 같이, 코일(35) 및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이 형성된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터의 입구측과 송출측에서 판을 억제하는 경우, 가능한 한 슬리터의 칼날(32)의 근방에서 억제함으로써, 코일(35) 및 스트립(2)의 상하 움직임을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35) 및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이 형성된 구조이면, 부압 도통홈의 슬리터의 칼날(32)의 근방의 홈의 깊이를 얕게 함으로써, 부압 시트 구조(33)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면서 그 영역까지 부압을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슬리터의 칼날(32)의 근방까지 억제하는 구조를 실현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억제하다」라는 것은 스트립 뒷면의 부압에 의해 표면측으로부터 대기압이 작용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제4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부압 시트 구조는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에 배치하기 위한 구조로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만곡형 부압 시트(3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만곡형 부압 시트의 구조와 배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만곡형 부압 시트(36)는 전술한 평판형 부압 시트(3)와 동일한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하의 점이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만곡형 부압 시트(36)는 슬리터 라인의 벨트식 장력 장치(37)의 전단의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38)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만곡형 부압 시트(36)는 만곡면을 가지는 받침판(39)을 구비하고 있다. 받침판(39)은 만곡부(38)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 (40)에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받침판(39)의 외측에는 절곡 가능한 연질 플라스틱 성질의 도통홈부 시트(4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41)의 표면에는 부압 도통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에 대해서는 평판형 부압 시트(3)와 공통되며, 만곡부(38)를 통과하는 스트립(2)의 표면에 접하여 파지력을 생성시킨다. 또한, 도 15는 만곡형 부압 시트(36)의 개략도이며, 평판형 부압 시트(3)와 공통된 부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화살표 Z는 만곡형 부압 시트(36)가 진공 펌프에 의해 흡인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만곡형 부압 시트(36)는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38)를 따라 위치하는 구조체이며, 스트립(2)에 부압에 의한 파지력을 미쳐서 만곡부에서의 뛰어오름이나 사행을 억제하고, 스트립(2)에 대해서 직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38)의 긴 부분에 스트립(2)의 통판을 가이드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스트립(2)의 통판을 충분히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스트립(2)의 라인상의 통판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만곡형 부압 시트(36)에는 필수가 아니지만, 전술한 평판형 부압 시트 (14) 및 평판형 부압 시트(19)와 같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이 형성된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부압 도통홈이 형성된 구조에 따르면, 부압 도통홈과 연결되는 부압 도통공이 스트립(2)의 통판되는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즉, 부압 도통공을 만곡한 면을 따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제조상 이점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전술 한 바와 같이, 텐션 장치의 전단의 루프 피트뿐만 아니라, 슬리 터의 전단에 설치된 루프 피트의 만곡부에 본 구조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슬릿 가공 전의 코일에 대해서 파지력을 미치게 하여 코일의 사행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받침판(39)이 만곡면을 갖는 것일 필요는 없으며,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를 따라 배치 가능한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절곡 가능한 알루미늄 소재의 판이나 두께가 3mm~5mm 정도의 연질의 황동 재질의 박판을 채용하고, 만곡부의 곡선에 대응시키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통홈부 시트(41)의 소재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루프 피트의 솟아오른 만곡부를 따라 배치 가능한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합성 고무를 소재로 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부압 시트 구조는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스트립 표면에 유해한 상처를 내기 어렵고, 안정한 스트립의 통판을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1 부압 시트 구조 2 스트립
3 평판형 부압 시트 4 받침판
5 도통홈부 시트 6 부직포 적층 외층
7 표층재 8 부압 도통홈
9 부압 도통공 10 부압 공통로
11 평판형 부압 시트 12 부압 공통로
13 칸막이 14 평판형 부압 시트
15 도통홈부 시트 16 부압 도통홈
17 부압 도통공 18 부압 공통로
19 평판형 부압 시트 20 부압 공통로
21 칸막이 22 부압 조정 밸브
23 영역(스트립이 존재) 24 영역(스트립이 없음)
25 평판형 부압 시트 26 도통홈부 시트
27 중간층 28 부압 도통홈
29 부압 도통공 30 부압 공통로
31 다수의 통기공 32 슬리터의 칼날
33 부압 시트 구조 34 표층재
35 코일 36 만곡형 부압 시트
37 벨트식 텐션 장치 38 만곡부
39 받침판 40 세퍼레이터
41 도통홈부 시트 42 부압 도통홈
43 부직포 44 일반적인 부직포
45 고밀도 직포 46 일반적인 직포

Claims (11)

  1.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도통홈부 시트가 구비되어 금속 슬리터 라인상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흡인 장치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는 도통공;
    상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도통공과 연결된 도통홈;
    상기 도통홈의 외측에 설치되고, 통기도가 프레이저형 통기도로 1.0㎤/㎠·s이하인 외층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통홈과 상기 외층부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층부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부압 시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통공은 상기 본체의 상기 금속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상기 도통공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도통홈은 상기 본체의 상기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된 스트립의 통판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상기 도통홈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는 부압 시트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통공은 상기 본체의 상기 금속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상기 도통공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도통홈은 상기 본체의 상기 금속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스트립의 통판 방향으로 복수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한 상기 도통홈 끼리가 일정 간격을 가지는 부압 시트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공과 연결된 부압 공통로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부압 공통로마다 흡인이 제어가능하게 구성된 부압 시트 구조.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상기 도통홈의 외측에 설치된 저통기성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외측에 적층되고, 또한, 상기 부직포보다도 마찰 계수가 크며 미세한 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외층 부재로 구성된 부압 시트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통공을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부압 시트 구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만곡한 외주면이 형성된 부압 시트 구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권취 장치의 전단에 배치된 부압 시트 구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부는 저통기성의 부직포로 형성된 부압 시트 구조.
  11. 삭제
KR1020167023409A 2014-03-07 2014-03-07 부압 시트 구조 KR101894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5997 WO2015132961A1 (ja) 2014-03-07 2014-03-07 負圧シート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28A KR20160114128A (ko) 2016-10-04
KR101894445B1 true KR101894445B1 (ko) 2018-09-03

Family

ID=5405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09A KR101894445B1 (ko) 2014-03-07 2014-03-07 부압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16897A1 (ko)
EP (1) EP3115138B1 (ko)
JP (1) JP6066014B2 (ko)
KR (1) KR101894445B1 (ko)
CN (1) CN106170359B (ko)
WO (1) WO2015132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4377B2 (en) * 2018-12-21 2024-01-30 The Boeing Company High-density robotic system
US11584503B2 (en) * 2018-12-21 2023-02-21 The Boeing Company High-density robotic system
CN112339276B (zh) * 2019-08-06 2022-11-15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纤维增强热塑性预浸片材叠层成型生产线装置及工艺
JP7256773B2 (ja) * 2020-04-24 2023-04-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平坦性制御方法、塗膜の形成方法、平坦性制御装置、及び塗膜形成装置
JP7199606B1 (ja) 2022-04-07 2023-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静止誘導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936A (ja) 2002-08-30 2004-05-20 Toshiba Mach Co Ltd サクションロール装置
JP2005093938A (ja) * 2003-09-19 2005-04-07 Shin Etsu Polymer Co Ltd 基板保持具
JP5201511B2 (ja) * 2009-01-19 2013-06-05 株式会社タカトリ ウエハの保持テ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925Y2 (ko) * 1986-12-24 1993-11-08
JPH05318221A (ja) 1991-02-15 1993-12-03 Sumikura Ind Co Ltd カテナリーガイド上の板押え装置
JP3033627B2 (ja) * 1991-12-17 2000-04-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金属条のスリッティング装置
JPH0722775B2 (ja) 1992-12-08 1995-03-15 山王鉄工株式会社 金属帯板の張力付与装置
JPH07127631A (ja) 1993-11-05 1995-05-16 Berumateitsuku:Kk 吸気幅可変型サクションローラ
JPH1158124A (ja) 1997-06-13 1999-03-02 Nkk Corp 高珪素鋼帯のスリット設備
JP2000021008A (ja) 1998-07-03 2000-01-21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0312989A (ja) * 1999-04-28 2000-11-14 Toyota Motor Corp 薄板のクランプ方法
JP2001137955A (ja) * 1999-11-08 2001-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メンブレ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1121A (ja) 2001-12-21 2003-07-08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案内用フィンガー構造
JP2003312909A (ja) * 2002-04-22 2003-11-06 Hikoyama Seiki Kk 自己吸引式サクションロール及びこのサクションロールを用いたフィルム状基材の搬送装置
DE102004031997A1 (de) * 2004-07-01 2006-01-26 Infineon Technologies Ag Gehäuse für ein Halbleiter-Bauelement und Halbleiter-Bauelement-Test-System zum Testen der Kontaktierung bei übereinander angeordneten Halbleiter-Bauelementen
US7044416B2 (en) * 2004-07-28 2006-05-16 Gonzalo Salvador Tensioning board for slit metal rewinding
CN101229598B (zh) * 2008-01-23 2010-06-02 北京航空航天大学 组合式蒙皮型面切边柔性多点支撑装置
TWI439351B (zh) * 2008-09-29 2014-06-01 Nitto Denko Corp Adsorption tablets
JP4625516B2 (ja) * 2008-10-06 2011-02-02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スリット入りエンドレスベルト
JP2010173842A (ja) 2009-02-02 2010-08-12 Daiei Seisakusho:Kk サクションロール
DE102009028215B3 (de) * 2009-08-04 2010-09-09 Voith Patent Gmbh Kombination eines Pressfilzes mit einem Presswalzenbezug und/oder einem Saugwalzenbezug für eine Papiermaschine
US8552790B2 (en) * 2010-07-21 2013-10-08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rmonic rejection of signal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201642B2 (ja) * 2011-07-19 2013-06-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吸着装置および処理装置
JP5050131B1 (ja) 2012-02-18 2012-10-17 和信産業株式会社 スリッタスタンド及びスリッタライン
CN202894114U (zh) * 2012-11-17 2013-04-24 柳州六和方盛机械有限公司 钢板剪料自动送料机构
CN102909285B (zh) * 2012-11-17 2015-02-25 柳州六和方盛机械有限公司 钢板剪料自动送料机构
US9663315B2 (en) * 2013-02-06 2017-05-30 Jdc, Inc. Suction roll device
CN105377460B (zh) * 2014-02-03 2017-04-19 Jdc股份有限公司 纵切生产线的环线量吸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2936A (ja) 2002-08-30 2004-05-20 Toshiba Mach Co Ltd サクションロール装置
JP2005093938A (ja) * 2003-09-19 2005-04-07 Shin Etsu Polymer Co Ltd 基板保持具
JP5201511B2 (ja) * 2009-01-19 2013-06-05 株式会社タカトリ ウエハの保持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32961A1 (ja) 2017-03-30
JP6066014B2 (ja) 2017-01-25
EP3115138A4 (en) 2017-10-25
EP3115138A1 (en) 2017-01-11
CN106170359B (zh) 2018-10-02
KR20160114128A (ko) 2016-10-04
US20170216897A1 (en) 2017-08-03
EP3115138B1 (en) 2021-01-27
WO2015132961A1 (ja) 2015-09-11
CN106170359A (zh)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445B1 (ko) 부압 시트 구조
TWI480218B (zh) Suction roller device
KR101629492B1 (ko) 슬리터 라인의 루프량 흡수장치
KR102297097B1 (ko) 시트 텐션 기구
US20100084502A1 (en) Endless belt with slits for belt-type band sheet coiling tension applying apparatus
JP4726225B2 (ja) 印刷装置、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2018154418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保護シートの分離装置
JP2014101159A (ja) 搬送装置
JP2009509061A (ja) 繊維束加圧装置
JP2016069067A (ja) テープ結束機
JP2012111616A (ja) 搬送装置
JP4699680B2 (ja) ゴムシート加工装置
JP5950018B2 (ja) 薄板状基材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US81925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moving web
JP2011148576A (ja) 枚葉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製造装置
JP2011207617A5 (ko)
JP2012171080A (ja) シート吸着装置
JP2014231431A (ja) 分離取出装置、及び分離取出方法
JP2009242056A (ja) 連続シート搬送装置
EP227300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moving web
JP2021509389A (ja) 光ファイバに張力をかけて通す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8023875A (ja) 枚葉印刷機の横針装置
JP2012245626A5 (ko)
CA2708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moving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