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97B1 - 시트 텐션 기구 - Google Patents

시트 텐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97B1
KR102297097B1 KR1020150047207A KR20150047207A KR102297097B1 KR 102297097 B1 KR102297097 B1 KR 102297097B1 KR 1020150047207 A KR1020150047207 A KR 1020150047207A KR 20150047207 A KR20150047207 A KR 20150047207A KR 102297097 B1 KR102297097 B1 KR 10229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elt
sheet
shaped shee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33A (ko
Inventor
타카시 모치즈키
켄지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65H23/245Suction reta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6Sensing longitudinal register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65H23/10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띠형상 시트의 두께가 얇아도 손상시키지 않고 진공 장치에 의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는 시트 텐션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시트 텐션 기구(3)는 띠형상 시트(S)에 가공을 하는 가공 장치(1)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되는 박스통형의 덕트(31)와,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S)를 덕트(31) 위로부터 덕트(31) 내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리도록 흡인하여 텐션을 부여하는 진공 장치(32)와, 덕트(31)의 상단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띠형상 시트(S)를 가이드하는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를 구비한다.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는 덕트(31) 내의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 사이에 진공 장치(32)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간극(G)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덕트 내벽면(313)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텐션 기구{APPARATUS FOR SHEET TENSIONING}
본 발명은 띠형상 시트에 가공을 하는 가공 장치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되어, 반송되고 있는 띠형상 시트를 진공 장치로 흡인하여, 띠형상 시트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시트 텐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시트 텐션 기구로서 띠형상 시트에 프레스 가공을 하는 프레스기나 무늬를 만드는 인쇄기 등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시트 텐션 기구(503)는 박스통형의 덕트(531)와,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S)를 덕트(531) 위에서 덕트(531)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리도록 흡인하여 띠형상 시트(S)에 텐션을 부여하는 진공 장치(532)와, 덕트(531) 내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입구측 내벽 부근과 출구측 내벽 부근의 각각에 배열 설치하는 다수의 안내 롤러(533, 534)를 구비하고, 안내 롤러(533, 534)에 의해 덕트(531) 내의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덕트(531)의 내벽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본 특개 2011-161617호 공보 일본 특개 2007-62289호 공보 일본 특개 평09-103995호 공보
이러한 시트 텐션 기구(503)에서는, 통상, 진공 장치(532)의 효율(진공도)을 높이기 위하여 덕트(531) 내의 기밀성이 높여져 있다. 이 경우, 도 5 중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시트(S)가 복수의 안내 롤러(534)와 밀접하게 접촉하여 대략 밀봉된 상태로 되어, 띠형상 시트(S)가 이웃한 안내 롤러(534) 사이로 끌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안내 롤러(533) 측에서도 마찬가지로 띠형상 시트(S)의 끌려 들어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특히 띠형상 시트(S)의 두께가 얇은 경우(예를 들면, 두께 0.3mm 이하)에는, 띠형상 시트(S)의 반송에 따라,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 단부가 꺾이거나, 띠형상 시트(S)가 전체적으로 주름이 생겨 꺾인 자국이 생기거나, 띠형상 시트(S)가 파단되는 등과 같이 띠형상 시트(S)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띠형상 시트의 두께가 얇은 것이어도, 손상시키지 않고 진공 장치에 의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는 시트 텐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텐션 기구는,
띠형상 시트에 가공을 하는 가공 장치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되는 박스통형의 덕트와,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를 덕트 위로부터 덕트 내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리도록 흡인하여 텐션을 부여하는 진공 장치와,
덕트의 상단에서의 띠형상 시트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띠형상 시트를 가이드하는 입구 롤러 및 출구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롤러 및 상기 출구 롤러는, 덕트 내의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에 진공 장치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덕트 내벽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덕트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는 진공 장치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띠형상 시트가 가이드된다. 따라서, 덕트 내의 띠형상 시트는 덕트 내의 공간에 존재하여 덕트 내벽면에 접촉하여 밀착되는 것이 억지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에 스쳐서 상처가 나거나, 띠형상 시트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거나, 띠형상 시트가 파단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상기 입구 롤러 및 상기 출구 롤러는 원호 궤도를 그리도록 다수 배치한 소직경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띠형상 시트가 입구 롤러 위와 출구 롤러 위의 각각의 위치에서 큰 R 원호를 그리도록 가이드되어 덕트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덕트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에 접근하도록 전후로 부풀어 오르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또한 입구 롤러 및 출구 롤러를 구성하는 소직경 롤러에서는, 회전의 관성이 작기 때문에, 띠형상 시트의 반송 스피드가 빨라도, 시트 반송 정지시에 입구 롤러 및 출구 롤러의 회전의 관성에 의해 덕트 내에서의 띠형상 시트의 송입, 송출이 과잉으로 되기 어렵다. 따라서, 덕트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가 격렬하게 상하동하여 펄럭거려서 덕트 내벽면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덕트는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의 대향하는 내벽면에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엠보스 형상의 요철에 의해 덕트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에 진공 장치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에서의 진공 장치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에 밀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진공 장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팬은 덕트의 내압이 일정값 이하가 되면 팬 회전수를 저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가 전후로 부풀어서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면, 덕트의 내압이 저하된다(부압도가 커짐). 그리고, 예를 들면,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과 접촉 또는 접촉 직전에까지 전후로 부풀어 덕트의 내압이 일정값 이하가 되면 진공 장치의 팬 회전수를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진공 장치에 의한 흡인력이 약해져 덕트 내의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의 부풀기가 억제되어, 띠형상 시트가 덕트 내벽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텐션 기구에 의하면, 띠형상 시트의 두께가 얇은 것이어도, 덕트 내에서 손상되지 않고 또한 띠형상 시트의 표면에 이물이 부착되지 않아 진공 장치에 의해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띠형상 시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텐션 기구가 설치된 타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텐션 기구가 설치된 타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텐션 기구의 구성(도 3(a)), 덕트 내벽면의 엠보스 형상(도 3(b), (c))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시트 텐션 기구에 있어서 진공 장치의 팬 회전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시트 텐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에 실시형태로서, 시트 텐션 기구(3)가 띠형상 시트(S)를 프레스 가공하는 타발 장치(가공 장치)(1)의 시트 반송로에 설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텐션 기구(3)는 타발 장치(1)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이저, 실장(實裝), 본딩, 절단, 인쇄, 표면 처리 등과 같은 띠형상 시트(S)에 가공을 하는 여러 가공 장치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하여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S)에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텐션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띠형상 시트(S)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박, PET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필름, 금속과 플라스틱의 복합 필름 등의 여러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 띠형상 시트(S)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태양전지의 전극이나 전지의 세퍼레이터 등에 사용되는 금속박 필름, 액정용 패널 등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띠형상 시트(S)가 두께 0.5mm 이하의 얇은 것인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유의의하게 발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띠형상 시트(S)의 반송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타발 장치(1)는 와인더(2)에 의해 릴(21)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는 띠형상 시트(S)를 간헐 반송 수단(5)에 의해 간헐 이송하여 프레스기(4)로 프레스 가공하고, 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품으로 된 띠형상 시트(S)를 리와인더(7)의 릴(71)에 연속적으로 권취하도록 한 장치이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시트 텐션 기구(3)는 타발 장치(1)에서 와인더(2) 및 리와인더(7)로 연속 반송됨과 아울러 간헐 반송 수단(5)에 의해 프레스기(4)에 간헐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S)의 느슨함 흡수부가 되는 것으로, 와인더(2)와 프레스기(4) 사이의 시트 반송로에 제 1 시트 텐션 기구(3A)가 설치되고, 또한 간헐 반송 수단(5)과 리와인더(7) 사이의 시트 반송로에 제 2 시트 텐션 기구(3B)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 1 시트 텐션 기구(3A)는 박스통형의 덕트(31)와, 덕트(31)의 하방에 배열 설치되어 덕트(31) 내의 내부 공기를 하방으로 흡인하는 진공 장치(32)와, 덕트(31)의 상단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띠형상 시트(S)를 배치시키는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를 구비한다.
덕트(31)는 직방체 형상을 갖고, 상면에는 띠형상 시트(S)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부(311)가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진공 장치(32)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입구(3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덕트(31) 내에는, 띠형상 시트(S)의 시트 폭에 따라 핸들(39)에 의해 접근·이반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판(38)(도 2 참조)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인더(2)로부터 풀어내는 띠형상 시트(S)를 전후의 입구 롤러(33)와 출구 롤러(34) 사이에 걸쳐서 덕트(31)의 개구부(311) 위에 배치시키고, 한 쌍의 가이드판(38)을 띠형상 시트(S)의 시트 폭에 맞추도록 이동 조절하여 진공 장치(32)를 구동하면, 띠형상 시트(S)가 덕트(31)의 개구부(311)로부터 덕트(31)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는 진공 장치(32)의 흡인에 따라 전후로 부풀어 오르는 경향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덕트(31)의 하부 부근에는, 높이 검지 수단이 되는 복수의 레이저식 센서(37)가 상하에 복수 배열 설치되고, 이들 레이저식 센서(37)에 의해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하사점)가 검지된다. 높이 검지 수단으로서는 레이저식 센서(37) 이외에, 적외선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는 덕트(31)의 외측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덕트(31)의 개구부(311)에서의 덕트 내벽면(313)보다 내측(덕트(31) 내의 전후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원호 궤도를 그리도록 복수개 배치한 소직경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소직경 롤러 중 일부분이 덕트 내벽면(313)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시트(S)는 입구 롤러(33) 위, 출구 롤러(34) 위의 각각의 위치에서, 덕트(31)의 외측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덕트(31)의 개구부(311)에서의 덕트 내벽면(313)보다 내측을 향하여 큰 R 원호를 그리도록 가이드되어 덕트(31) 내에 배치된다. 그러면, 덕트(31) 내에서는,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덕트(31) 내의 전후 방향 중앙측으로 접근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덕트(31)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는 전후로 크게 부풀어 오르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의 접촉이 방지된다.
또한, 입구 롤러(33)와 출구 롤러(34)의 각각은 복수개의 소직경 롤러 대신에 도 3(a) 중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대직경 롤러(33, 34)로 구성해도 된다. 대직경 롤러로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롤러면의 일부분이 덕트 내벽면(313)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띠형상 시트(S)가 덕트(31)의 외측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덕트(31)의 개구부(311)에서의 덕트 내벽면(313)보다 내측을 향하여 큰 R 원호를 그리며 가이드되어 덕트(31)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단,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를 복수의 소직경 롤러로 구성하면, 대직경 롤러에 비해, 회전의 관성이 작기 때문에, 띠형상 시트(S)의 반송 스피드가 빨라도, 간헐 반송 정지시에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의 회전의 관성에 의해 덕트(31) 내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송입, 송출이 과잉하게 되기 어렵다. 따라서, 덕트(31)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가 격렬하게 상하동하여 펄럭이는 것이 억제되어, 띠형상 시트(S)의 덕트 내벽면(313)에 대한 접촉이 방지된다.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는, 덕트(31)의 개구부(311)에서 덕트 내벽면(313)보다도 내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31) 내에서는,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 사이에 진공 장치(32)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간극(G)이 형성된다. 그리고, 덕트(31)의 개구부(311)에서는,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에 의한 밀폐성이 낮게 되어 있어, 진공 장치(32)의 흡인에 의해 개구부(311)에서의 입구 롤러(33) 및 출구 롤러(34)와의 빈 스페이스(311a)로부터 덕트(31) 내에 공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진공 장치(32)의 흡인에 의해 덕트(31) 내에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의 간극(G)에는 개구부(311)로부터 흡입구(312)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도 3(a) 중의 화살표).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가 전후로 부풀어 올라와도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에 접촉하거나 밀착하거나 하는 것이 억지된다. 즉,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는 전후의 내려뜨려진 부분이 간극(G)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타고 최대한 하방으로 거의 똑바로 뻗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전후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횡으로 흔들렸을 때는, 전후 양방의 간극(G)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덕트(31) 내의 전후에서의 내압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압력조절되므로, 횡으로 흔들린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중앙측으로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의 접촉이 억지되므로,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에 스쳐서 상처가 나거나,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덕트(31) 내에는, 도 5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은 복수의 안내 롤러(533, 534)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입구측에서의 이웃한 안내 롤러(533) 사이 및 출구측에서의 이웃한 안내 롤러(534) 사이에서 띠형상 시트(S)가 흡입되어 손상되는 것과 같은 일도 없다.
그중에서도, 띠형상 시트(S)의 두께가 얇은 것(예를 들면, 두께 0.5mm 이하)에서는, 원하는 텐션이 가해지도록 진공 장치(3)로 흡인하면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상하로 펄럭이기 쉽고, 또한 전후로 부풀어 오르기 쉽다. 이 경우에도, 간극(G)에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요동하지 않게 되어, 펄럭임, 부풀어 오름 등이 억제되어, 덕트 내벽면(313)과의 접촉도 억제된다. 따라서, 얇은 띠형상 시트(S)(예를 들면, 대체로 두께 0.5mm 이하이지만, 두께 0.05mm 정도도 포함한다.)이더라도 손상시키지 않고 적절하게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간극(G)에 의해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의 전후로의 부풀어 오름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덕트(31) 내에 띠형상 시트(S)가 돌발적으로 많이 도입되었을 때에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의 하부측으로부터의 부풀어 오름이 허용되므로,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의 하사점(하단의 높이) 변화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의 상하의 펄럭임이 억제되어, 띠형상 시트(S)의 주름 생성, 파단 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간극(G)에는, 도 5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이 안내 롤러(533, 534)를 배열 설치하면 진공 장치(32)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이러한 안내 롤러(533, 534)를 간극(G)에 배열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진공 장치(32)의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덕트(31) 상부에서의 전후의 내벽 부근에 여러 개의 안내 롤러(533, 534)를 배열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간극(G)으로의 공기의 받아들임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덕트(31)의 전후의 측벽면에 관통구멍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3(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31)에는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가 대향하는 전후의 덕트 내벽면(313)에 다수의 볼록부를 형성한 엠보스 형상(313a)이 설비되어 있다. 이 엠보스 형상(313a)의 볼록부에 의해서도 덕트(31)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 사이에 진공 장치(32)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가 진공 장치(32)의 흡인에 따라 전후로 부풀어 올라와도, 엠보스 형상(313a)에 의해 간극(G)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확실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에 밀착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에 밀착 등 하여 상처가 생기거나 파단되거나 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진공 장치(32)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팬(32a)을 구비한다. 덕트(31) 내에는 하방 위치에 덕트(31)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발 장치(1)는 압력 센서(35)에 의해 검지되는 덕트(31)의 내압이 일정 압력값 이하가 되면 팬(32a)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팬 제어부(36)(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팬 제어부(36)는 시트 텐션 기구(3)에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런데, 덕트(31) 내에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띠형상 시트(S)가 진공 장치(32)의 흡인에 따라 전후로 부풀어 올라와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 사이의 간극(G)이 좁아지면, 덕트(31)의 내압이 저하된다(부압도가 커짐). 이 경우, 팬 제어부(36)는, 예를 들면,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과 접촉 또는 접촉 직전에까지 전후로 부풀어 올라 압력 센서(35)의 검출 압력값이 일정 압력값 이하가 되면 진공 장치(32)의 팬 회전수를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덕트(31) 내의 띠형상 시트(S)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약해져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S)의 부풀어 오름이 억제되어, 띠형상 시트(S)가 덕트 내벽면(313)으로부터 떨어뜨려진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S)와 덕트 내벽면(313)의 접촉이 방지된다. 또한, 압력 센서(35)를 설치하지 않고, 팬(32a)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덕트(31)의 내압을 감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팬 제어부(36)는 팬 전류값이 일정 전류값 이상이 되면, 덕트(31)의 내압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 장치(32)의 팬 회전수를 저하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2 시트 텐션 기구(3B)도 제 1 시트 텐션 기구(3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시트 텐션 기구(3B)에서는 프레스기(4)에 의해 프레스 가공된 띠형상 시트(S)가 진공 장치(32)의 구동에 의해 덕트(31) 위에서 덕트(31) 내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려진 상태로 배치되고, 띠형상 시트(S)에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텐션이 부여된다.
이상으로부터, 실시형태의 시트 텐션 기구(3)에 의하면, 띠형상 시트(S)의 두께가 얇은 것(예를 들면, 두께 0.5mm 이하)이더라도 덕트(31) 내에서 손상되지 않고 또한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이물이 부착되지 않고 진공 장치(32)에 의해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띠형상 시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 도 2를 참조하여, 간헐 반송 수단(5)은 프레스기(4)의 출구측에 배열 설치되어 띠형상 시트(S)를 프레스기(4)에 간헐 이송하는 것이며, 리니어 모터 구동의 2대의 클램프 기구 부착 슬라이더(51, 52)를 전후에 배열 설치한 것으로 구성된다. 각 슬라이더(51, 52)는 시트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2열의 레일(55) 위의 전후에 설치되고, 각 슬라이더(51, 52)의 양단의 각각에 클램프 기구(53, 5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51, 52)에는, 전자 코일을 구비하고, 또한 2열의 레일(55) 사이에 영구자석(56)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1, 52)의 전자 코일에 여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슬라이더(51, 52)가 레일(55) 위를 주행하는 리니어 모터 구동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51, 52)에 설치하는 클램프 기구(53, 54)는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 단부를 클램프 하는 집게와, 이 집게를 클램프 작동 및 클램프 개방 작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슬라이더(51, 52)는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의 양단을 클램프 기구(53, 54)에 의해 클램프하여 띠형상 시트(S)를 간헐 이송시키도록 구성하고, 일방의 슬라이더(51(또는 52))가 띠형상 시트(S)를 클램프하여 간헐 이송하고 있는 동안에, 타방의 슬라이더(52(또는 51))는 띠형상 시트(S)의 클램프를 개방하여 원점 위치까지 복귀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2대의 슬라이더(51, 52)는 동일한 레일(55) 위에서 동기하여 대향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2대의 클램프 기구 부착 슬라이더(51, 52)를 대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의 양단을 클램프하여 띠형상 시트(S)를 간헐 이송시켜도, 프레스기(4)에서의 고속 프레스 가공에 추종하여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할 수 있다. 클램프 기구(53, 54)는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 양단의 일부를 클램프하는 것뿐이므로, 띠형상 시트(S)와의 접촉 면적이 대단히 적고, 그 때문에 제품이 되는 띠형상 시트(S)의 표면으로의 이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대의 클램프 기구 부착 슬라이더(51, 52)를 동기하여 대향 이동시킴으로써, 각 슬라이더(51, 52)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상쇄되므로, 타발 장치(1)가 슬라이더(51, 52)의 이동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도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슬라이더의 원점 위치로부터 전진 한계까지의 이동(1회의 간헐 이송)이 프레스기(4)에서의 1회의 프레스 가공에 대응하고 있지만, 2대의 슬라이더의 원점 위치로부터 전진 한계까지의 이동(2회의 간헐 이송)이 프레스기(4)에서의 1회의 프레스 가공에 대응하도록 해도 된다.
와인더(2)는 릴(21)을 연속회전시키는 서보모터(22)와, 릴(21)의 권취 직경을 검지하는 권취 직경 검지 수단이 되는 초음파식 센서(23)를 구비한다. 또한, 권취 직경 검지 수단으로서는 상기 초음파식 센서(23) 이외에, 레이저식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타발 장치(1)는 와인더(2)에서의 릴(21)로부터의 띠형상 시트(S)의 연속적인 풀어내기 속도를 제어하는 풀어내기 제어부(8)를 구비한다. 이 풀어내기 제어부(8)는 프레스기(4) 내로의 띠형상 시트(S)의 이송 속도에 맞추어, 초음파식 센서(23)에서 검지되는 릴(21)의 권취 직경보다 서보모터(22)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띠형상 시트(S)를 연속적으로 풀어내고, 제 1 시트 텐션 기구(3A)에서의 레이저식 센서(37)에서 검지되는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풀어내기 제어부(8)는 와인더(2)로부터의 띠형상 시트(S)의 연속적인 풀어내기 속도가, 간헐 반송 수단(5)에 의해 프레스기(4) 내에 띠형상 시트(S)를 간헐 이송하는 이송 속도의 평균값과 일치하도록, 릴(21)의 권취 직경에 따라 릴(21)의 회전수, 즉 서보모터(2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게다가, 제 1 시트 텐션 기구(3A)에서의 레이저식 센서(37)에서 검지되는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를 초과하면, 이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서보모터(22)의 회전수를 보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소 범위는, 일례로서, 80mm 이하의 낙차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풀어내기 제어부(8)에 의해 제 1 시트 텐션 기구(3A)에서의 덕트(31) 내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 내에 유지되므로, 고속 프레스 가공을 행하기 위하여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해도 제 1 시트 텐션 기구(3A)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 하단의 급상승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이송 정지시에 띠형상 시트(S)의 이동의 관성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프레스 가공을 행하기 위하여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해도, 시트 이송량에 오차를 생기게 하지 않고 원활한 시트 이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띠형상 시트(S)에 큰 텐션이 걸려 띠형상 시트(S)를 파단시키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타발 장치(1)에서는,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해도, 띠형상 시트(S)의 이송 오차를 생기게 하지 않고 원활한 시트 이송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띠형상 시트(S)의 표면에 이물을 부착시키거나 띠형상 시트(S)를 파단시키는 일도 없다. 따라서,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고, 또한 고품질의 띠형상 시트(S)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와인더(7)도 와인더(2)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타발 장치(1)에는, 띠형상 시트(S)를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리와인더(7)에서의 릴(71)의 권취 속도를 제어하는 권취 제어부(9)를 구비한다. 이 권취 제어부(9)는 프레스기(4) 내로의 띠형상 시트(S)의 이송 속도에 맞추어, 권취 직경 검지 수단이 되는 초음파식 센서(73)(상기 권취 직경 검지 수단(23)과 동일)에서 검지되는 릴(71)의 권취 직경보다 서보모터(72)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프레스 가공된 띠형상 시트(S)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제 2 시트 텐션 기구(3B)에서의 레이저식 센서(37)에서 검지되는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권취 제어부(9)는 리와인더(7)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연속적인 권취 속도가 간헐 반송 수단(5)에 의해 프레스기(4) 내에 띠형상 시트(S)를 간헐 이송하는 이송 속도의 평균값과 일치하도록, 릴(71)의 권취 직경에 따라 릴(71)의 회전수, 즉 서보모터(7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더욱이, 제 2 시트 텐션 기구(3B)에서의 레이저식 센서(37)에서 검지되는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를 초과하면, 이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의 하단의 높이 변동이 미소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서보모터(72)의 회전수를 보정한다. 여기에서의 미소 범위도, 상기와 동일하게, 일례로서 80mm 이하의 낙차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고속 프레스 가공에 대응하여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해도 제 2 시트 텐션 기구(3B)에서의 띠형상 시트(S)의 U자 형상 하단의 급강하가 방지되어, 띠형상 시트(S)의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띠형상 시트(S)를 고속 이송해도, 리와인더(7)의 릴(71)에 띠형상 시트(S)를 원활하게 권취할 수 있다.
프레스기(4)는 상형과 하형과 스트리퍼로 이루어지는 금형(41)과, 상형을 상승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이 금형(41)에 의해 띠형상 시트(S)에 대하여 소정의 프레스 가공을 행한다.
프레스기(4)의 입구부에는 서보모터 구동되는 상하 1쌍의 백텐션 롤러(42)가 설치되고, 이 상하의 백텐션 롤러(42) 사이에 띠형상 시트(S)가 배치된다. 백텐션 롤러(42)는 간헐 반송 수단(5)의 슬라이더(51, 52)에 의한 띠형상 시트(S)의 간헐 이송과 동기하여 회전 및 회전 정지된다. 백텐션 롤러(42)가 회전 정지됨으로써도, 시트 이송 정지시에 띠형상 시트(S)가 관성력으로 지나치게 이송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프레스기(4)의 출구측에는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의 양단을 클램프 가능하게 하는 클램퍼(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퍼(43)는 시트 이송 정지시에 띠형상 시트(S)의 폭 방향의 양단을 클램프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시트 이송 정지시에 띠형상 시트(S)가 관성력으로 지나치게 이송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간헐 반송 수단(5)은 프레스기(4)의 입구측에 배열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1 타발 장치(가공 장치)
2 와인더
3 시트 텐션 기구
4 프레스기
5 간헐 반송 수단
7 리와인더
31 덕트
32 진공 장치
32a 팬
33 입구 롤러
34 출구 롤러
35 압력 센서
36 팬 제어부
311 개구부
311a 빈 스페이스
312 흡입구
313 덕트 내벽면
313a 엠보스 형상
G 간극
S 띠형상 시트

Claims (5)

  1. 띠형상 시트에 가공을 하는 가공 장치의 시트 반송로에 설치되는 박스통형의 덕트와,
    반송되는 띠형상 시트를 덕트 위로부터 덕트 내로 U자 형상으로 아래로 내려뜨리도록 흡인하여 텐션을 부여하는 진공 장치와,
    덕트의 상단에서의 띠형상 시트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각각에 배열 설치되어 띠형상 시트를 가이드하는 입구 롤러 및 출구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 롤러 및 상기 출구 롤러는, 덕트 내의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와 덕트 내벽면 사이에 진공 장치에 의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덕트 내벽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공 장치는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팬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로 측정한 상기 덕트의 내압이 일정값 이하가 되면, 상기 팬의 회전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텐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롤러 및 상기 출구 롤러는 원호 궤도를 그리도록 다수 배치한 소직경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텐션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U자 형상의 띠형상 시트의 대향하는 내벽면에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텐션 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7207A 2014-04-14 2015-04-03 시트 텐션 기구 KR102297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2705A JP6387492B2 (ja) 2014-04-14 2014-04-14 シートテンション機構
JPJP-P-2014-082705 201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33A KR20150118533A (ko) 2015-10-22
KR102297097B1 true KR102297097B1 (ko) 2021-09-02

Family

ID=5427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07A KR102297097B1 (ko) 2014-04-14 2015-04-03 시트 텐션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87492B2 (ko)
KR (1) KR102297097B1 (ko)
CN (1) CN104973439B (ko)
TW (1) TWI6471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4192A (ja) * 2014-10-23 2016-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KR101683836B1 (ko) * 2016-01-14 2016-12-08 최유해 필름 이송 장력조절용 진공장치
CN106081703A (zh) * 2016-07-29 2016-11-09 广州市程翔机械有限公司 胶条松紧调节装置和方法
CN107953465A (zh) * 2017-11-08 2018-04-24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分切超薄柔性磁片的自动切片机
KR102301669B1 (ko) * 2018-08-10 2021-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기재의 타발시스템 및 타발방법
KR102285157B1 (ko) * 2018-08-20 2021-08-03 진영식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스 제조장치
JP7310168B2 (ja) * 2019-02-22 2023-07-19 東レ株式会社 シート状物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6588181B1 (ja) * 2019-04-25 2019-10-09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帯状ワーク供給装置
CN113979180B (zh) * 2021-11-29 2023-05-26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软薄扁体带高速放带输送装置及方法
CN114772338A (zh) * 2022-05-26 2022-07-22 大连吉星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接触缓冲张力的卷材送料装置
CN116354047B (zh) * 2022-12-12 2023-12-26 费勉仪器科技(南京)有限公司 真空传递装置及真空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408A (ja) * 2002-01-28 2003-07-30 Toray Eng Co Ltd 帯状ワークの緊張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帯状ワークの加工又は検査装置
JP2013139327A (ja) * 2012-01-06 2013-07-18 Toray Eng Co Ltd エアダンサ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225U (ko) * 1976-08-16 1978-03-10
JPS5369012A (en) * 1976-12-01 1978-06-20 Hitachi Ltd Tape cushioning vacuum vessel having air bearing effect
JPS5436910A (en) * 1977-08-30 1979-03-19 Hitachi Denshi Ltd Reel drive device of tape feeder
JPS55139653A (en) * 1979-04-12 1980-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taking-up method
DE3936038C2 (de) * 1989-10-28 1995-04-20 Stiegler Maschf Gmbh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einer intermittierend bewegten Bahn in eine kontinuierlich bewegte Bahn insbesondere für die Herstellung von Beutelketten aus thermoplastischer Kunststoffolie
JP3284385B2 (ja) * 1993-12-17 2002-05-20 コニカ株式会社 写真フィルムの間欠搬送方法
JP3568172B2 (ja) 1995-10-09 2004-09-2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穿孔装置
JP4782427B2 (ja) * 2005-01-11 2011-09-28 アイセル株式会社 打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打抜型
JP4455458B2 (ja) 2005-09-01 2010-04-21 株式会社三條機械製作所 印刷装置
US10106356B2 (en) * 2009-10-06 2018-10-23 Kern Ag Device for cutting paper webs
JP5517155B2 (ja) 2010-02-15 2014-06-11 アイセル株式会社 打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408A (ja) * 2002-01-28 2003-07-30 Toray Eng Co Ltd 帯状ワークの緊張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帯状ワークの加工又は検査装置
JP2013139327A (ja) * 2012-01-06 2013-07-18 Toray Eng Co Ltd エアダン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73439B (zh) 2018-03-02
KR20150118533A (ko) 2015-10-22
TW201540637A (zh) 2015-11-01
JP2015202932A (ja) 2015-11-16
CN104973439A (zh) 2015-10-14
TWI647165B (zh) 2019-01-11
JP6387492B2 (ja)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097B1 (ko) 시트 텐션 기구
JP5517155B2 (ja) 打抜装置
JP3667796B2 (ja) 金属シート制御装置
JP5430019B2 (ja) フィルムの間欠搬送装置及びフィルムの間欠搬送方法
KR100272203B1 (ko) 비금속커터가 부착된 카톤과, 그 커터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카톤에 그 커터를 부착하는 방법
JP6427952B2 (ja) 搬送装置
US20040036755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JP2005225540A (ja) 深絞り包装機用フィルム自動供給装置
US7005030B2 (en) Printing and laminating apparatus
JP2005350174A (ja) 搬送装置
KR101473619B1 (ko) 이송경로의 개폐구조를 구비하는 자동포장장치
JP5755069B2 (ja) 形状保持性材料の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CN214989151U (zh) 一种复卷机
JP2015030167A (ja) 熱成形装置
CN218368768U (zh) 一种热风切膜的全自动拆膜装置
KR101331468B1 (ko) 공기압을 이용하여 웹을 이송하기 위한 권취용 롤러
JP4652215B2 (ja) フイルム挿通装置及び方法
JP2014227261A (ja) フィルムフィード装置及び包装装置
JP3829251B2 (ja) 上包み包装機の包材供給装置
JPH11235759A (ja) フィルム吸着装置
JP2021195194A (ja) 金属薄帯の搬送方法及び金属薄帯の搬送装置
JPH10236409A (ja) 包装機の包装シート供給装置
JP2013234039A (ja) ラベル搬送方法および装置
JPH07228398A (ja) テープ状材料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