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129B1 - 가열 측벽을 갖는 조리 물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측벽을 갖는 조리 물품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9129B1 KR101889129B1 KR1020147003456A KR20147003456A KR101889129B1 KR 101889129 B1 KR101889129 B1 KR 101889129B1 KR 1020147003456 A KR1020147003456 A KR 1020147003456A KR 20147003456 A KR20147003456 A KR 20147003456A KR 101889129 B1 KR101889129 B1 KR 101889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resistor
- container
- electric
- electr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3—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assembling coil and co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82—Resistor making
- Y10T29/49083—Heat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기재(31)를 포함하는 용기, 및 그 용기에 제공된 가열 전기 저항체(9)에 접속된 전기 공급원(7)을 포함하는 조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저항체는 용기의 측벽(300) 영역에서 배치되며: 금속 기재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기재 내에서, 성형 된 도전성 금속재 내에, 또는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복수의 도전성 금속 층 내에,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을 익히거나 더욱 일반적으로는 가열하기 위한 용기로 사용되는 조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물품으로서:
- 음식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바닥부와 그 바닥부의 둘레에 세워져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 및 그 용기의 측벽 영역에 배치된 가열 전기 저항체, 및
- 전기 공급을 위하여, 전기 저항체에 부착된 전원(전기 생성원)을
포함하는 물품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즉, 전원은 지역 배전망이 아니고, 물품에 탑재되는 전원이다.
문헌 JP-A-2008142205는 물품의 바닥부 두께 내에 배치된 가열 저항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0)를 포함하는 손잡이(3)를 포함하는 조리 물품(2)을 개시한다(참조번호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함). 따라서, 손잡이 외부의 디바이스에 전기를 공급하는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손잡이를 갖는 조리 물품의 일반적 원리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JP-A-2008142205는 부엌에서 멀리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전기 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또는 컬로트(calotte)의 인덕션에 의한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등의 유형의 열원에서 멀리, 여기저기 이동하거나 서빙용 그릇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리물품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가져오고자 함이다. 그 솔루션은 휴대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아마도 사용하기에 실용적이고 열 효율적인 기구이다.
그럼에도, 특히 열 효율에 관한 문제점은 남아 있는데, 사용 목적이 하기의 경우와 같이 특별히 이동하며 사용하는 것은 아닌 경우에 특히 해당된다. 여기서 목적하는 바와 같이, 제공된 열원 가까이에서, 실내에서 선호되는 사용의 범주에서:
- 컬로트가 가열되었을 때 컬로트의 열손실을 제한함, 및/또는
- 그 컬로트의 균일한 열을 수득함(또는 최소한 그것을 지향함), 및/또는
- 조리 끝에 음식물의 보온을, 특히 뚜껑의 사용과 연계하여, 유리하게 함이
특별히 추구된다.
제안된 해결책은, 상기 개시된 제1 물품은 그것의 컬로트의 기재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층으로 형성된다는 것이고, 가열 전기 저항체가:
- 금속 기재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 상기 기재 내에서:
* 성형 된 도전성 금속 물질 내에 매립되거나,
*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도전성 금속층 내에 매립되어
배치된다는 것이다.
- 접착제가 없다 함은 모든 점착성 접착제를 제외한다는 것이며,
- 금속 기재의 외부라 함은 얇은 층에 의해, 전형적으로는 전기 절연층에 의해 금속기재에 고정되거나, 그 금속기재에 맞대어 있거나 그 금속 기재로부터 분리되어 "표면에서"라는 것이며,
- 금속 결합이라 함은 접촉하도록 위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금속의 원자들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화학적 결합이라는 것이며{예를 들어 교반, 혹은 나아가 롤 본딩(roll-bonding) 작업에서와 같이},
- 변형에 의해 서로 연결된 층들이라 함은, 접촉하고 있는 금속들의 성형 변형(예를 들어 스탬핑, 특히 냉간 스탬핑 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및/또는 물질 확산(롤 본딩에서와 같이)을 사용하여 용해 없이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 여러 다른 금속들 이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ttp://hal-ensmp.archives-ouvertes.fr/docs/00/57/05/47/PDF/Kaabi-Bienvenu-Ryckelynck_MatA_riaux_2010_5_p.pdf 참조).
따라서, 전부 또는 일부에서,
- 측벽 상 온도의 균일화,
- 가급적 가열 속도의 증가, 및
- 일단 가열 종료 후의 보온 기능을
용이하게 하도록 방열 효과를 감소시켜야 한다.
한편, 균일하고 안전한 조리를 보장하고, 특히 바닥부와 측벽 사이의 열 구배를 제한하면서, 물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하고, 나아가, 열 확산에 덜 유리한 물질(용기 전체 내 열 분배의 동일한 효율성을 수득하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대신 스테인리스)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그외에 전형적으로 컬로트의 금속층 내면을 커버 하고 종종 (PTFE 등과 같이) 과도한 고온(300℃ 이상, 나아가 250℃이상)에 민감한 논-스틱(non-stick) 코팅의 수명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그와 같이 적어도 제조 초기에, 상기 컬로트들(그 전기 저항체를 구비한)을 전기 저항체가 없는 컬로트들로부터 구별해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 점에 있어서, 문헌 JP-A-2008142205의 컬로트는 전기 저항체가 바닥부의 금속 벽의 중간에 배치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강한 불을 사용하는 경우를 유리하게 만족시키기 위하여, 저항체의 위치(매립되어 있든지 표면에 있든지)에 상관없이, 안정된 방식으로, 전기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용기의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열원과 대면하여 놓게 되어 있는 하부면을 갖는 컬로트의 바닥부는 상기 외부 열원의 열기에 견디도록 적용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그 바닥부는:
- 다층 기재 구조(기계적 및 열적 이유로, 우선적으로 금속 또는 여러 금속의 합금일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그러한 층을 갖는), 및/또는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 또는
* 기재의 가단성 금속 층에 장착된 자화 가능한(예를 들어, 강자성의) 금속 및/또는 그 가단성 층(하부면 측)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한 금속으로 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이 한편으로 권장된다.
그와 같이 상기한 열원들 중 어떤 외부 열원에서도, 열적 및 기계적 성능이 장시간의 우수한 내구성과 연계될 것이고, 이는 전기 저항체가 단지 용기의 측벽 영역에만 배치된다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그와 같이, 바닥부의 변형을 다루는 문제들과 본 명세서의 제2면에서 상기 제기된 문제들을 각각 최적화하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권장된 가능한 용기들(컬로트라고도 지칭하는) 중에서, 강화 바닥부 및/또는 인덕션 가열 겸용 바닥부가 고려된다. 모노블록을 이루고 동일한 금속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로 되어 있는 바닥부와 측벽을 갖는 그 용기는 유리하게는 외부에서, 그것의 바닥부 하부에서,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강으로 되고, 따라서 자화 가능하거나 강자성인 하부 컵(cup)을 규정하는 금속 층보다 더욱 가단성 있는 금속 층(알루미늄 등의)과 본딩(bonding) 되어 있고, 그 하부 컵을 규정하는 금속 층은 더욱 가단성 있는 상기 금속 층을 커버 한다. 그에 따라, 금형작업(측벽을 구현하기 위한)과 동반되는 온간 스탬핑(다층 바닥부를 구현하기 위한)은 특히 제조 기술로서 적절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용기의 제조와 경우에 따른 용기의 관리의 용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측벽이 기재의 오목한(hollow)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그 반대편을 향하는 외면을 갖는바, 전기 저항체는 측벽의 외면 영역에, 그 자체로 금속 기재에 장착된 증착물인 전기 절연층에 그와 같이 장착된 증착물일 것이 권장된다.
신속한 제조 및 장기간 신뢰할 수 있는 물품의 수득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그 외에, 전기 저항체가, 특히 그것이 기재 내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표면에 있는 경우, 보호용 전기 절연물에 의해 개별적으로 피복된 전선들을 포함하기보다는, 기재의 하나의 금속 층(다수의 층들 중 한 층)에 맞대어 평평하게 펼쳐진 전기 절연층과 역학적 및/또는 물리-화학적 보호용 코팅층 사이에 삽입되도록 할 것이 권장된다.
만일 전기 저항체가 금속 기재 내에 매립되어 있다면, 단지 용기의 측벽 영역에서만 기재에 배치되고, 그곳에서 그것을 둘러싸는 상기 금속물질로부터 또는 상기 금속 층들로부터 분리하는 전기 절연 층으로 둘러싸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그 물질 또는 그 금속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도전성이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바닥부 변형을 억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여, 신뢰도, 기대되는 측면 가열의 달성 및 원하는 생산 리듬 및 조건들을 모두 겸비할 것이다. 만일 그것이 기재 내에 매립되면, 개별적으로 피복된 전선(들)을 갖는 저항체마저도 선호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컬로트의 측벽에 마련된 저항체의 전기 공급원은 용기를 들어올리고, 따라서 그 물품을 손으로 잡기 위하여 용기에 장착된 손잡이 상에 마련될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 내에 전형적으로 자유로운 부분인 공간의 부분을,기능적으로 손으로 잡기 위한 최소 크기를 고려하여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 JP-A-2008142205의 조리 물품에 비하여 사용하기에 더욱 실용적이고 공간을 많이 점유하지 않는 조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들이 또한 권장된다:
- 손잡이는 그들 사이에서 분리가능한 장착 수단들에 의해 용기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것(그 경우 전원은 예를 들어 그에 따라 손잡이에 마련된 탈부착 가능 장착 수단들을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임),
- 그 전기 저항체 및 손잡이는 손잡이와 용기가 함께 장착될 때,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제1 및 제2 전기 접촉용 접점을 가질 것(손잡이가 측면으로 자리 잡는 관계로, 상부로 오는 뚜껑과 달리 접촉의 다양한 가능성이 있음).
한편, 바람직하게는, 전기 저항체는 용기의 측벽 둘레 및/또는 높이의 적어도 대부분 상으로 연장될 것이다.
가열 전기 저항체가 측벽 둘레의 현저한 면적에 걸쳐 표면상으로 연장되고, 그 벽 중간의 특정한 영역까지 올라가는 단 2개의 전선이 있는 문헌 JP-A-2008142205에서와 같은 바닥부 상(바닥부 내)이 아니라는 사실은 여기서 유리한데, 이는, 그와 같이 저항체의 전기 공급원을 탑재하는 소자와 접속하는 영역을, 그것이 손잡이인 경우 방사상 위치는 물론 높이에 있어서도 더 많은 융통성을 갖고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손잡이의 장착 상태에서, 그 장착 수단들이 컬로트의 측벽의 내면(음식물 측) 및 외면과 모두 접촉하여, 손잡이의 용이한 장착뿐 아니라 전기접속을, 그 용도를 위하여 마련된 접촉 접점(또는 구역)들이 국지적이든(도1, 도15) 아니든 (도20), 만족시키는 경우, 또 다른 긍정적 특성이 도달된다.
그것은 만일 용기/손잡이의 장착 수단들이 손잡이를 용기에 장착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집게를 형성하는 2개의 조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 접점이 그 조오들 중 하나(적어도) 위에 배치되는 경우 더욱 유익할 것이다.
그러한 유형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손잡이 상에는 집게의 조오들을 포함하고, 컬로트 상에는 조오들이 그 상부를 통하여 유리하게 직접적으로 집게 되는-따라서 그 조오들 중 하나는 상기 제2 전기 접촉 접점들을 구비함- 컬로트 상부 둘레의 가장자리 근방에 측벽의 일부를 포함하는 고정 수단들이 한편으로 고려된다.
양질의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전기 효율을 위하여, 특히 고기를 센 불에 살짝 익히는 조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팬에 관한 것이라면, 저항체의 전기공급원을 탑재한 소자의 전기 접촉용 접점은 탄성 복원 수단들에 의해 밀리도록 하고, 용기의 접점들과의 접촉 저항을 100 moh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ohm 미만으로 제한할 것이 권장된다.
그리고 전기 접촉의 품질을 위하여 하기 사항들이 권장된다:
- 제2 전기 접촉 접점들 상의 상기 탄성 복원 수단들은 돌출된 접점들과 사용될 것이며 제1 접촉 접점들은 오목형 접점들일 것, 또는
- 전원 탑재 소자를 컬로트 상에 고정해야 할 때, 서로에 대한 인덱싱을 위하여 인덱싱 수단들이 전원 탑재 소자와 컬로트 상에 마련될 것.
역시 전기 효율을 위하여, 각각의 전기 접촉 접점은 8 내지 14 A의 전류에 저항하기 위하여 적어도 0.75 mm2의 단면을 갖도록 할 것도 권장된다.
용기를 접대용 접시로 사용하거나 지역 배전망에 연결된 콘센트에서 멀리 사용하는 것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사용되는 경우, 그 손잡이는 속이 빈 본체를 갖도록 권장되고, 손잡이가 구비한 전기 공급 수단은,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그 본체가 구비한 재충전용 접점들에 연결된 배터리 등의 재충전 가능 전기 에너지원을 포함할 것이 권장되고 따라서 손잡이는 습기에 대항하여 상기 재충전 가능 전기 에너지원을 보호하는 밀폐 수단들을 구비할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손잡이가 탈착 가능하다면, 필요한 경우, 그것이 "전기 손잡이"라 할지라도 물 세척(경우에 따라 물속에 담가)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외에 상술한 모든 또는 일부의 특성들을 취하는 조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 및 장점들은 예시로서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음식물 조리를 위한 조리 물품의 수직 단면도이며 사용 가능 손잡이의 내부를 도시.
도2, 도3 및 도4는 가열 저항체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컬로트를 구성할 수 있는 층들의 확대도이며, 도2는 도1(II)의 확대도.
도5 및 도6은 역학적으로 강화된 바닥부의 하부를 각각 도시하는 도7 및 도8의 V-V 및 VI-VI 방향의 단면에 각각 해당하는 도면.
도9 및 도10은 전기 저항체 형태의 2개의 실시예를 도시.
도11은 받침대를 통한 컬로트에 대한 손잡이의 장착을 도시.
도12 및 도13은 우선적으로 "탈부착 가능 손잡이" 솔루션에서, 손잡이의 접점들 및 용기의 접점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
도14는 조오가 개방된 도1의 손잡이만의 외부도.
도15 및 도16은 각각 후드(hood)와 밀폐용 조인트 및 그립 본체를 형성하는 물질 내에 매립된 재충전 가능 에너지원을 각각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손잡이들을 도시.
도17 및 도18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들의 대체예를 각각 도시(단면도).
도19는 전류가 기재 내에 흐를 때, 컬로트 상부의 매우 국지적 부분을 도시.
도20은 컬로트의 기재 내에 전기 에너지가 순환하는 솔루션을 도시.
도21 및 도22는 용기/손잡이의 전기 접촉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 둘레의 손잡이의 각도 위치는 별로 중요하지 않음. 용기/손잡이의 접촉 접점들을 위하여 취한 자리로 인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는 없음. 한편, 본 도면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저항체로 형성된 저항체가 있는 2개의 경우를 도시함; 제1 경우에서는 저항체들이 독립적이고, 제2 경우에서는 저항체들이 서로 접속되어 있음.
도23, 도24, 및 도25는 용기의 부속품으로서, 고려되는 조리 용구 상에 마련된 전기 공급용 충전기와 관련하여 도시.
도2, 도3 및 도4는 가열 저항체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컬로트를 구성할 수 있는 층들의 확대도이며, 도2는 도1(II)의 확대도.
도5 및 도6은 역학적으로 강화된 바닥부의 하부를 각각 도시하는 도7 및 도8의 V-V 및 VI-VI 방향의 단면에 각각 해당하는 도면.
도9 및 도10은 전기 저항체 형태의 2개의 실시예를 도시.
도11은 받침대를 통한 컬로트에 대한 손잡이의 장착을 도시.
도12 및 도13은 우선적으로 "탈부착 가능 손잡이" 솔루션에서, 손잡이의 접점들 및 용기의 접점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
도14는 조오가 개방된 도1의 손잡이만의 외부도.
도15 및 도16은 각각 후드(hood)와 밀폐용 조인트 및 그립 본체를 형성하는 물질 내에 매립된 재충전 가능 에너지원을 각각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손잡이들을 도시.
도17 및 도18은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들의 대체예를 각각 도시(단면도).
도19는 전류가 기재 내에 흐를 때, 컬로트 상부의 매우 국지적 부분을 도시.
도20은 컬로트의 기재 내에 전기 에너지가 순환하는 솔루션을 도시.
도21 및 도22는 용기/손잡이의 전기 접촉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 둘레의 손잡이의 각도 위치는 별로 중요하지 않음. 용기/손잡이의 접촉 접점들을 위하여 취한 자리로 인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는 없음. 한편, 본 도면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저항체로 형성된 저항체가 있는 2개의 경우를 도시함; 제1 경우에서는 저항체들이 독립적이고, 제2 경우에서는 저항체들이 서로 접속되어 있음.
도23, 도24, 및 도25는 용기의 부속품으로서, 고려되는 조리 용구 상에 마련된 전기 공급용 충전기와 관련하여 도시.
이하 내용과 아울러 본 명세서 전반 및 도면들에서, 변형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결합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도1 및 도2에는 특히 조리물품(1)이 도시되어 있다. 그 조리물품은:
-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3a)을 포함한 금속 기재를 기반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적용된 컬로트(3), 및
- 결합 된 조리 용구의 예시로서, 컬로트를 들어올리고 따라서 그 조리물품을 손으로 잡기 위하여 컬로트에 장착된 손잡이(5)를
포함한다.
고정한 조리 용구는 그 용기를 위한 유틸리티(조명, 교반기, 운반용 소자...)일 것이다. 그 조리 용구는 그 자체로, 전기에 의한 또는 용기의 인덕션에 의한 가열 기능(유일한) 외에 다른 기능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손에 그립(grip)할 수 있는 조리 용구에 관한 것일 것이다. 그 경우 특히 그 조리 용구를 이동 및/또는 그것을 작동하기 위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그 조리 용구의 운반 및/또는 그 조리 용구에 의한 용기의 운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가 그 좋은 예이다.
손잡이(5)는 컬로트가 구비하고 있는 가열 전기 저항체(9)에 접속된 전기공급(생성)원(7)을 구비하고 있고, 그것은 그 저항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컬로트는 바닥부(30) 및 그 바닥부의 둘레에 상부를 향하여 상부 개구부(10)까지 세워져 있는 측벽(300)을 갖는다.
전기 저항체(9)는 기재의 금속 층(들)의 외면에서, 측벽 영역에 배치된다. 그것은 우선적으로 트랙 또는 전선이다.
도2에서, 금속 기재는 단일 금속층(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3a)을 포함한다. 내부적으로, 그 기재는 예를 들어 PTFE로 되거나 PTFE를 기반으로 한, 논-스틱 코팅(3b)으로 라이닝 처리된다. 여기서 외면에서는, 금속층(3a)은 전기 절연층(3c)으로 코팅된다. 그 층(3c)은 바람직하게는 증착에 의해 고정된다. 그 층은 바람직하게는 절연층(3c)의 외부에 고정되는 저항체(9)의 전기적 제약을 고려하여 효과적이기 위하여, 적어도 20 내지 5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
전기 저항체(9)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기재 둘레로, 여기서는 절연층(3c)에 맞대어 증착에 의해 고정될 것이다. 따라서, 그 저항체의 고정은 그것의 장착시에, 본 경우에는 증착 시에, 실행될 것이다.
저항체(9)는 전선이 전기 절연용 피복되지 않은 금속 트랙일 수 있다.
그 금속 트랙은 용사(thermal spray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리-화학적 보호를 위하여, 그 경우 보호용 코팅(12) 증착으로 그 저항체를 외부에서 코팅할 것이 권장된다. 산화에 대항한 보호가 권장된다. 전기 절연 코팅(12)이 바람직할 것이다.
저항체(9)는 변형예로서 보호용 코팅(12)에 의해 역학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증착된 중합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 저항체(9)는 도전성 입자들로 충전된 에나멜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증착에 의해 그리고 증착시에 컬로트에 이미 고정된 저항체(9)의 둘레로 고정되게 되는 역학적 및/또는 물리-화학적 보호용 코팅(12)으로 반드시 입힐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 금속 기재는 다수의 금속층(금속 또는 금속 합금)(각각 3a1, 3a2, 3a3 및 3a1, 3a2, 3a3, 3a4, 3a5)을 포함한다.
층(3a1, 3a2, 3a3)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이고, 층(3a1, 3a2, 3a3, 3a4, 3a5)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또는 구리)/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이다.
롤 본딩된 층들이 권장된다.
외부에서도 역시, 전기 절연층(3c)이 삽입되고 외부 보호용 코팅(12)이 존재할 수 있는, 고려되는 기재에 고정된 저항체(9)가 있다. 논-스틱 내부 증착층(3b)은 스테인리스강 상에서는 필수불가결하지 않다.
바닥부(30) 영역에, 기재가 이곳에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기서는 층들(3c, 9)이 없으며, 따라서 코팅(12)이 없는 그 논-스틱 내부 코팅(3b)이 있다.
도2 및 도5에서, 컬로트는 단일 금속 층(3a)(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을 포함한다. 그 층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인덕션 가열이 요구되면, 그 컬로트의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금속으로 된 층 또는 인서트를 포함할 것이다. 도5에서와 같이 내부 코팅(13)이 가능하다.
도5 및 도6에서, 각각의 바닥부(30)는 고려되는 외부 가열원(15)과 대면하여 놓이는 하부 면(14)과 음식물을 수용하는 상부 면(1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열원(15)은 전기 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및 컬로트의 인덕션을 위한 인덕션 코일 중 하나이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시에 바닥부가 약간 아치를 이루고, 그 결과 약 150-200 ℃에서 특히 도5 또는 도6에서 표면(14)이 결국 평면으로 또는 가볍게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된다.
그 하부면(14), 및 더욱 일반적으로는 각 바닥부(30)는 고려되는 외부 가열원의 열기에 저항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도7 및 도8로 보충되는 도5 및 도6에서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14)은 그와 같은 이유로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용 압흔(17) 또는, 하부 면(14)이 속해 있는 층(3a)의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보다 더욱 단단한 금속(예를 들어 강철)으로 되고 그 층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 층에 고정된 인서트(19)를 포함한다.
압흔(17)에는 물질이 들어있지 않다. 그 압흔은 그 압흔이 내부에 형성된 금속층을 관통하지 않는다. 이는 인서트가 여기서는 그 층(3a)의 금속인 기재의 두께의 일부 내에 금형 각인(하부로부터)되는 도6 및 도8에서와 같이, 더 단단한 금속으로 된 인서트를 보충하여 존재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압흔(170)(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인서트는 기술된 바와 같이 금형 각인에 의하여 고정되기 용이한 천공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30)를 위한 역학적으로 장시간 내구성 있는 또 다른 솔루션은, 여기서는 스테인리스강/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또는 구리)/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으로 된 5개의 층(3a1, 3a2, 3a3, 3a4, 3a5)이 인서트도 압흔도 없이 기대되는 효과를 보장하는 도4에 해당되는 솔루션이기도 하다. 3중 층(3a1, 3a2, 3a3): 스테인리스강/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도 동일하다.
비록 기재의 내측(오목 면)의 구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전기 저항체(9)는, 제조 효율성(저항체 유형의 보다 넓은 선택범위, 컬로트 제조와 관련된 신뢰도)를 위하여, 측벽(300) 영역에서 기재의 외측(30a1)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그 전기 저항체(9)는 측벽(300)의 가장자리(둘레) 및 높이(H)의 적어도 중요부 상으로 연장될 것이 권장되고, 그 높이(H)는 상부 둘레 가장자리(303)와 전반적으로 수평하고 평평한(하다고 여겨지는) 바닥부(30)(실제로 그 바닥부는 가열에 의한 반복적인 변형에 대한 역학적 저항에 유리하도록 상부를 향해 약간 볼록 형태일지라도) 사이에서 형성된다. 도7 및 도8의 선(C)이 (30)과 (300) 사이의 경계를 상징적으로 표시한다.
전기 저항체(9)는 가열의 균일성을 위한 굴곡을 형성한다.
도1 및 도15에 의하여, 손잡이(5)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컬로트(3)가 속하는 용기(3.1)에, 그러한 탈부착 가능성을 위하여 서로 분리 가능할 장착 수단들(21a, 21b)에 의해 장착될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한다.
그 제1 및 제2 장착수단(21a, 21b)은 손잡이 상에, 그리고 컬로트가 외부에서 그것의 외면(30a2)과 맞닿게, 예를 들어 나사 조임에 의해 탑재하고 있는 받침대(23)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그 경우 도11에서, 그리고 문헌 DE-102007054022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장착 수단들(21a, 21b)은 손잡이와 받침대 상에 형성되고 그 문헌에서 마련된 수단들(4, 8, 11)의 둘레로 구축된 굴곡진 슬라이딩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수단들(21a, 21b)을 손잡이와 컬로트(3) 상에 마련하는 것 또한 적절하다.
손잡이(5)는 전기 저항체(9) 상에 마련된 제1 접점들(25a)과 접촉하게 되는 제2 접점들(25b)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손잡이와 컬로트가 함께 장착되었을 때 분리 가능한 전기 접촉부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한다(도1, 도12, 도13 참조).
저항체(9)에 있어서는, 그 경우 측벽(300)의 가장자리(둘레) 및/또는 높이(H)의 적어도 중요부 상으로 연장될 것이 권장된다.
도1 및 도14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장착 수단들(21a, 21b)은 각각, 손잡이 상에는 집게의 조오(210a, 210b)들을, 컬로트 상에는 그 측벽의 일부분(301)을, 모든 가장자리가 외부 가장자리(305)를 갖는 상부 둘레 가장자리(303)와 매우 근접한 곳에 포함한다.
조오들(210a, 210b)은 상부로부터 그 부분(301)을 집게 된다. 그 조오들 중 하나 또는 다수(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고정식 조오,210b)는 제2 전기 접촉용 접점들(25b)을 구비하고 있다.
병진 운동하는 조오를 갖는 그러한 집게를 갖는 것이 유익했었지만(그러한 운동을 보장하는 더욱 상세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 EP-1991098 참조), 조오들은 특히 다르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고 손잡이-용기의 전기 접촉 또한 실행될 수 있는 받침대 상에서 장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접점들(25a)이, 장착을 위한 집게의 작동시 제2 접점들(25b)에 접촉하기 위하여 그 받침대에 탑재될 것이다.
이동식 조오(210a)를 그 정면에 위치한 고정식 조오(210a)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도1에서 본체(29)에 대하여 종방향(35)을 따라 평행하게 장착된 슬라이드(33)와 제1 및 제2 피봇팅 로드(37, 39)를 사용한다. 제2 로드는 이동식 조오(210a) 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본체(29) 상에 로킹(rocking)하도록 장착된 조작 버튼(41)은 제2 로드(39d)에 외력을 가하고, 그를 통하여 조오(210a)에 의해 종결되는 막대(211a)의 개구부를 횡단하는 돌기(370)를 통하여 관절연결된 체인(33, 37, 39)에 외력을 가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문헌 EP 2007260에 개시되어 있다. 본체(29)는 손잡이를 손에 그립 하기에 적합하고 속이 비어있다. 그 내부에는, 예를 들어 선형의 전기 접속부(43)가 전원(7)과 하나 또는 다수의 접점(25b)을 연결한다.
제1 및 제2 접점들(25a, 25b)에 있어서는, 도12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 움푹 패여 있고(오목) 돌출되어(볼록), 서로의 우수한 상대 위치설정에 유리함을 알 수 있다(도13은 그 역시 가능한 평평한 접속을 도시한다).
한편, 탄성 복원 수단들(27)(용수철 등)을 하나 또는 다수의 제2 접촉 접점 상에(후방에) 하나 또는 다수의 제1 접점들 쪽으로 그 제2 접점들을 자연스럽게 힘을 가하기 위하여 마련할 것이 권장된다. 도12에서, 접점(25b)은 휴식 위치에 있고, 용수철 또는 그에 상응하는 수단에 의해 용기 쪽으로(그러나 용기와는 거리를 두고) 밀리고, 도13에서, 탄성 수단(27)은 압력하에 있으며 저항체(9)의 접촉부쪽으로 접점(25b)에 외력을 가한다.
그 외에,
- 그 접점들(25b)은 용기의 접점들(25a)과의 접촉 저항을 100 mohm으로, 바람직하게는 10 mohm으로 제한할 것이 권장되고,
- 각각의 접점(25a, 25b)은 8 내지 14 A의 전류에 저항하기 위하여 적어도 0.75 mm2의 단면을 가질 것이 권장된다.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5)의 경우에서, 유리하게는 손잡이의 그립 본체(29)의 전방 단부(290) 상에 2개의 접촉 접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고(도14), 특히 접촉 저항을 100 mohm으로, 바람직하게는 10 mohm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용수철 상에 장착되고 약 10 A 전류에 저항가능한 최소 0.75 mm2의 단면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용기 상에 손잡이가 고정된 경우, 따라서 접점(25a, 25b) 없이 고정된 경우, 전기 공급원(7)에서 나온 전선들이 직접적으로 가열 트랙(9)에 용접될 수 있을 것이고, 커넥터는 상기 장착용 받침대(23) 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V의 에너지원으로, 60-100 W에서 0.3-1 ohm의 저항체를 가열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우선적으로 음식물의 가열(주 열원: 가스, 전기 또는 인덕션을 통한 바닥부(3)의 가열에 의해 실시되는)이 아닌 열 손실(측벽의 방열 효과)의 제한 및 컬로트의 균일한 가열을 겨냥한 목적을 위하여 적합하다.
제공해야하는 효과적 전력은 조리물품의 유형과 조리 레시피의 유형에 좌우되는데, 예를 들어:
- 신속한 (약 5-15분) 가열을 위한 단시간의 큰 전력: 물, 수프 등의 가열, 예를 들어 80-90 W,
- 장시간(뭉근히 익히기를 위하여 30분 이상, 나아가 수 시간) 가열을 위한 약한 전력, 예를 들어 40-50W.
20 cm 지름을 갖는 냄비를 위하여, 44W (10 W/m2.℃)의 공지된 통상적 용기(예를 들어 팬)의 측벽 상의 대류에 의한 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100℃로 가열된 방열면에 대하여(예를 들어 PTFE 코팅의 방사율 0.95), 36W의 방열에 의한 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80W의 가열 저항으로(도17 및 도18의 솔루션 또는 단열 코팅(12)을 갖는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유리하게 외부로의 손실 없이) 그 손실을 상쇄하고, 만일 저항체(9)가 80W의 전력을 복구하면(역시 외부로의 손실 없이) 측벽(300)을 가열한다.
모든 경우에 방열 효과를 감소시킨다. 이를 위하여, 저항체 트랙(9)이 전기를 공급받을 때, 그 트랙은 가열되고 그것을 탑재하고 있는 측벽(300)으로 열을 전달하며, 따라서 그 측벽은 다른 한편으로 바닥부(30)에 의해 전달받은 열(가스, 전기 또는 인덕션에 의한 열원)의 전도에 의해서만 더 이상 가열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그 바닥부는 우선적으로 전기 저항체를 갖지 않는다(도1, 도5 내지 도8, 도20 내지 도22 참조).
도1에서는 특히, 전기 공급/생성 수단(7)은 배터리이다. 그것은 손잡이의 속이 빈 본체(29) 내에 수용된다. 본 경우에 그 수단(7)은 재충전 가능 전원(배터리)이다. 그 전원(7)의 재충전(나아가 교체한다고 가정)과 손잡이의 세척을 양립시키기 위하여, 손잡이에 밀폐용 수단들(43)을 구비할 것이 권장된다.
그 밀폐용 수단들(43)-전기 에너지원(7)의 습기, 나아가 액체에 대한 밀폐성을 보장하는-은 그립 본체(29)에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수단들은 본체(29)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나사(47)들에 의해 서로 조여진 (2개의) 외각(29a, 29b)들 사이에 배치된 조인트(45)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도15 참조). 그외에, 전원(7)을 수용하는 본체(29)의 하우징(49)은 밀폐된다. 그것은 후드(51)에 의해 폐쇄된다. 밀폐용 수단들은 후드(51)와 하우징(49)을 둘러싸는 외부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조인트(43a)를 포함한다. 조인트(43a)는 평평한 조인트일 수 있다.
도16에 도시된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원(7)은 그립 본체(29)의 성형시에, 그 그립 본체(29)를 형성하는 물질 내에 피막(53)에 의해 매립된다.
도15 및 도16에서, 용기의 전기 접촉부(25)/전원(7) 장착 소자는 수평일 수도 있음이 보인다.
그러한 조리 물품의 제조에 관하여, 특히 그 물품의 컬로트(3)가 도2 내지 도4의 가정들 중 하나에 따라 실시될 때, 그 컬로트의 제조에 관하여, 이하의 방법을 실시할 것이 권장된다:
- 기재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여, 그 기재가 바닥부(30) 및 그 바닥부의 둘레로 세워진 측벽(300)을 갖도록 하고,
- 그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가열 전기 저항체(9)가 측벽(300)의 영역에서, 컬로트의 외부에, 유리하게는 그 측벽의 금속층(들)(3a1, 3a2, 3a3, 3a4, 3a5)의 외부 둘레(30a1)에서 장착된다.
이는 저항체(9)의 설치 기술, 형태 및 크기를 증착된 코팅(3b)이나 우선적으로 균일해야하는 표면(13)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가열 트랙(9)의 장착은 특히 실크스크린 인쇄, 패드 프린팅, 전사, 용사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그 저항체를 증착에 의해 용기 상에 고정할 것이 권장된다. 심지어 저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들의 증착에 의해 수득할 것이 권장된다. 기대하는 효율성 및 신뢰도가 더욱 우수하게 도달될 것이다.
한편, 그 저항체(9)에 관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그 저항체는 조리 물품이 구비하고 있는 전기 생성원(7)에 접속될 것이다.
컬로트의 형태 부여를 위하여, 특히 금형 각인, 스피닝 가공, 엠보싱, 스탬핑, 특히 온건 스탬핑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항체(9)를 매립하기 위하여, 냉건 또는 온건 스탬핑, 다수의 금속층들의 롤 본딩, 나아가 성형, 더 나아가 용접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롤 본딩에 의한 솔루션에서, 절연체(3c)는 저항체(9)의 전체를 둘러싸지 않을 수 있을 것이고, 인접한 2개의 금속층(예를 들어 3a1, 3a2, 도17)으로 이중면을 만드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그 경우 조리 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기대하는 효율성과 신뢰도를 유리하게 하도록 하기 사항들이 또한 권장된다:
- a) 기재(31)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여, 그 기재(31)가 바닥부(30) 및 그 바닥부의 둘레로 세워지는 측벽(300)을 갖게 하고,
- b) * 그 기재의 오목 형태 부여시에 그 기재 내에 전기 저항체(9)를 매립하거나,
* 단계a) 이전 또는 이후에, 그러한 저항체를 기재가 포함하고 있는 2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 등)의 사이에 삽입한 후 그 저항체를 그 기재 내에 매립하고,
- 상기 저항체(9)를 조리 물품이 구비하고 있는 전기 생성원(7)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저항체(9)를 기재(31) 내에, 상기 2개의 도전성 금속층들을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하면서 매립할 것이 권장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금속성"이라 함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해석해야 한다.
도17 및 도18은 각각 도2 내지 도4의 실시예의 대체예이다.
전기 저항체(9)는 여전히 측벽(300)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나, 여기서 전기 저항체는 상기 기재 내에,
- 성형 된 도전성 금속 물질 내에 매립되거나(도18),
- 접착제 없이, 변형 및/또는 물리-화학적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도전성 금속 층들 사이에 매립된다(도17).
그 경우들에서, 컬로트 제조의 신뢰도 및 저항체의 장기간 작동에 대한 안전성을 위하여, 피복 또는 전기 절연층(3c)으로 둘러싸인 저항체(9)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금속성 물질(3a1)(도18) 또는 그것을 둘러싸는 금속 층(3a1, 3a2)(도17)들은 상기 도2 내지 도4에서 권장된 바와 같이 도전성이다.
도17은 롤 본딩 된 것일 수 있다. 전기 저항체(9)는 2개의 도전성 층(3a1, 3a2)을 포함하는 금속 혼합물 내에 매립된다. 내측에는, 롤 본딩된 것이 역시 내부에서, 층(3a1)과 맞닿게, 상기 이미 언급한 논-스틱 코팅(3a3)으로 내부에서 라이닝처리 될 수 있는 제3 도전성 금속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재를 위하여 연속적으로 내부 층(3a1)에서 외부를 향하여, 그러므로 2개씩 직접 접촉하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알루미늄/절연층/저항체/절연층/페라이트 강을 구할 수 있다.
도18에서, 전기 저항체(9)는 성형된 금속 물질(3a1) 내에 매립된다. 그 단일 물질은 전체적으로 저항체를 둘러싼다. 기재(31)는 알루미늄, 나아가 주철로 된 것일 수 있다. 내부에서, 그 기재는 상기 이미 언급한 논-스틱 코팅(3b)으로 라이닝처리될 수 있다.
그 층(3b)은 기재의 변형 이전 또는 이후에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벽(300)의 압력 하의 형성 및 저항체(9)의 배치와 연관하여, 바닥부(3)에 인서트{도6의 (19)와 같은} 및/또는 압흔{도5 및 도6의 (17, 170)과 같은}을 적용함으로써, 바닥부(3)를 전 후에 강화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도19는 전류가 기개 내에 흐를 때의 컬로트 상부의 매우 국지적 부분도이다. 이를 위하여, 저항체(9)의 한 단부는 전기 절연되고, 반대편 단부는 절연되지 않는다.
도20에서, 손잡이(5)의 접점(25b)(하부 접점)은 컬로트의 금속 기재의 전기 절연된 저항체(9)의 제1 단부(25a)와 접촉하는 반면, 그 저항체의 반대편 단부는 상기 전도성 기재로부터 전기 절연되어 있지 않다. 손잡이(5)의 다른 접점(25b)(여기서는 상부 접점)은, 컬로트(기재)의 도전성 금속, 따라서 제2 접점(25a)(여기서는 상부 접점)을 형성하는 그 도전성 금속과 접촉한다. 그 접촉부는 특히 상부 가장자리의 슬라이스(303) 영역(여기서는 테두리(305)의)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가 도전성 기재로 흐를 것이다.
도21 및 도22는 각각:
- 다수의 독립적 저항체(9a1, 9a2등)(그것들의 저항값은 서로 다를 수 있음)를 포함하는 가열 트랙(9)(우선적으로 실크스크린 인쇄 등과 같은 증착에 의해 수득되는)을 도시하고,
- 여기서는 2개의 저항체(9a1, 9a2)(저항값이 새로이 서로 다를 수 있음: R1, R2)를 포함하는 가열 트랙을 도시한다. 그 경우, 저항체들은 직렬이다: Rtot = R1 + R2.
컬로트에 장착해야 하는 손잡이(5)의 위치는(여기서는 수직 접촉) 가열 위치 설정 및 전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데, 여기서 형성된 (U)(도면 참조)를 멀리할수록 가열된 구역과 전기 전력이 더 크다.
따라서, 측면 저항체(9)는, 특히 그것이 증착된 가열 트랙인 경우, 다수의 저항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우에, 그 저항체들은 독립적인데, 즉, 서로 다른 접속 접점을 갖는다. 제2 경우에, 저항체들은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전원(7)을 재충전하기 위하여, 그것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탈부착 가능 손잡이(5)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전자기 접속 수단들(60)을 마련할 것이다.
그 수단들(60)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콘센트 유형의 암 콘센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콘센트는 그립 본체(29) 상에 배치된다. 그 콘센트는 "잭" 플러그 유형의 수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선을 통하여 지역 배전망에 접속 가능하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접속 수단들(60)은 전원(7)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지역 배전망에 연결된, 도24에 도시된 재충전용 베이스(67)상에 마련된 2개의 추가 전기 접속 접점(65a, 65b)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2개의 전기 접속 접점(63a, 6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접속 수단들(60)은 전원(7)에 연결된 2차 인덕션 코일(69)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코일(69)은 재충전 베이스(73) 상에 마련된 1차 인덕션 코일(71)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속을 수용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그립 본체(29)는 그 외면상으로 개방되는 캐비티(75)를 포함한다. 캐비티(75)는 그립 본체(29)의 내부에 수용된 2차 인덕션 코일(6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1차 인덕션 코일에서 2차 인덕션 코일(69)로의 에너지 전송은 그 코일들 사이의 접촉 없이 실행된다. 그 자기적 접속 수단들은 그립 본체(7)의 밀폐성을 보장하며 밀폐 접속 수단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미 이해된 바와 같이, 전원(7)은 일반적으로, 손잡이 상에서보다는, 예를 들어 뚜껑 상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경우, 뚜껑이 둘레 가장자리(303) 상에 놓이면, 뚜껑에 구비될 접점들(25b등)과 용기의 접점(들)(25a)과의 접촉은 열원(15)에 의한 바닥부의 약한 가열을 통하여, 컬로트 내에 위치한 음식물을 약한 불에서 뭉근히 익히는 상황에서 측벽(300)의 가열과 결합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또한 용기의 바닥부는 우선적으로 전기 코일 또는 저항체를 갖지 않을 것임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Claims (20)
- -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용기로서,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둘레로 세워져 있는 측벽(300)을 갖는 기재(31) 및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00)에 배치된 가열용 전기 저항체(9)를 포함하는 용기, 및
- 상기 용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기 저항체(9)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 생성원(7)을
포함하는 조리 물품(1)에 있어서,
상기 기재(31)는 금속성이고 상기 전기 저항체(9)는:
- 상기 기재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 상기 기재 내에,
접착제 없이, 변형 및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서로 결합된 다수의 도전성 금속 층들(3a1, 3a2, 3a3, 3a4, 3a5) 내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기 저항체(9)는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00)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열원(15)의 정면에 놓이는 하부면(14)을 갖는 상기 바닥부(30)가 전기 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상기 용기의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69, 71)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열원(15)의 열기에 견디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 상이한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3a1, 3a2, 3a3, 3a4, 3a5)을 갖는 다층 기재(31) 구조, 및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17, 170), 또는
* 상기 기재의 가단성 금속 층에 고정된 자화 가능 금속 및 상기 가단성 금속 층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된 인서트(19)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9)가, 금속성 기재 내에 매립되어, 금속성인 상기 기재 내에서, 금속 물질(3a1)로부터 또는 상기 전기 저항체(9)를 둘러싸며 도전성인 상기 금속 층들(3a1, 3a2, 3a3, 3a4, 3a5)로부터, 상기 전기 저항체(9)를 분리하는 전기 절연층(3c)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00)은 상기 기재(31)의 오목한(hollow) 내부를 향하는 내면(13)과 그 반대편의 외면(30a2)을 갖고, 가열용 상기 전기 저항체(9)는 상기 측벽의 외면 영역(300)의 전기 절연층(3c)에 고정되고, 전기 절연층 자체도 금속성인 상기 기재에 고정된 증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생성원(7)은 손잡이 또는 뚜껑 등과 같은, 상기 용기의 부속품인 조리 용구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구는 상기 용기를 들어올리고 상기 조리 물품(1)을 손으로 잡기 위하여 상기 용기에 장착된 손잡이(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7항에 있어서,
- 상기 손잡이(5)는 서로 분리 가능한 장착 수단들(21a, 21b)에 의해 상기 용기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고,
- 상기 전기 저항체(9) 및 상기 손잡이(5)는 상기 손잡이(5) 및 상기 용기가 함께 장착되었을 때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제1 및 제2 전기 접촉 접점들(25a, 25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들(21a, 21b)은 전체에서 상기 손잡이(5)를 상기 용기에 장착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2개의 집게 형성용 조오(210a, 210b)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 접점들(25b)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오(210a, 210b)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의 상기 제2 전기 접촉 접점(들)(25b)은, 접촉 저항체(9)를 100 mohm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탄성 복원 수단들(27)에 의해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8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전기 접촉 접점들(25a)은 오목 접점이고,
- 상기 조리 용구(5)의 상기 제2 전기 접촉 접점들(25b)은 돌출되었으며 탄성 복원 수단들(27)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구(5)는:
- 속이 빈 본체(29),
- 상기 본체(29)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기 생성원(7)을 형성하는, 배터리 등의, 재충전 가능 전기 에너지원(7),
- 상기 본체(29)에 마련되어 있고 재충전 가능 전기 에너지원(7)에 연결된 재충전용 접점들(25a, 25b), 및
- 상기 재충전 가능 전기 에너지원(7)을 습기에 대항하여 보호하기 위한 밀폐 수단들(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9)는 독립적이거나 서로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저항체들(9a1, 9a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9)는 상기 용기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저항체(9)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크스크린 인쇄된 트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 내면(13)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31)를 포함하는 용기를 구비한 조리 물품(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31)가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둘레로 세워져 있는 측벽(300)을 갖게 되도록 상기 기재(31)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31)가 적어도 2 개의 도전성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기재가 포함하는 2 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 사이에 전기 저항체(9)를 배치하여, 접착제 없이, 변형 및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상기 2 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을 서로 접착하여 전기 저항체(9)를 상기 기재 내에 매립하고,
상기 저항체(9)를 상기 조리 물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생성원(7)에 연결하고,
전기 저항체(9)를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00)에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물품(1) 제조 방법. - 내면(13)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31)를 포함하는 용기를 구비한 조리 물품(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31)가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둘레로 세워져 있는 측벽(300)을 갖게 되도록 상기 기재(31)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에 의해 상기 기재(31)를 제작하여,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상기 측벽(300)의 상기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의 외부 둘레(30a1)에 가열용 전기 저항체(9)를 고정하거나,
상기 기재(31)에 적어도 2 개의 도전성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기재가 포함하는 2 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 사이에 상기 전기 저항체(9)를 배치한 다음, 상기 기재에 전기 저항체(9)를 매립하거나,
상기 기재(31)에 적어도 2 개의 도전성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기재가 포함하는 2 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 사이에 상기 전기 저항체(9)를 배치한 다음, 접착제 없이, 변형 및 물리-화학적 금속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상기 2 개의 도전성 금속층(3a1, 3a2)을 서로 접착하여 상기 전기 저항체(9)를 상기 기재 내에 매립하고,
상기 저항체(9)를 상기 조리 물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생성원(7)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 저항체(9)를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00)에만 배치하고,
상기 바닥부(30)가, 외부 열원(15)의 열기에 견디며, 전기 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상기 용기의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69, 71) 중 하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열원(15)의 정면에 놓이는 하부면(14)을 갖도록, 상기 바닥부(30)에:
- 상이한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3a1, 3a2, 3a3, 3a4, 3a5)을 갖는 다층 기재(31) 구조, 및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17, 170), 또는
* 상기 기재의 가단성 금속 층에 장착된 자화 가능 금속 및 상기 가단성 금속 층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된 인서트(19)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내면(13)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재(31)를 포함하는 용기를 구비한 조리 물품(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31)가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둘레로 세워져 있는 측벽(300)을 갖게 되도록 상기 기재(31)에 오목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에 의해 상기 기재(31)를 제작하여,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상기 측벽(300)의 상기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의 외부 둘레(30a1)에 가열용 전기 저항체(9)를 고정하여 상기 저항체(9)가 상기 조리 물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생성원(7)에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에 의해 상기 기재(31)를 제작하고, 상기 오목 형태 부여 단계 이후 또는 이전에, 상기 측벽(300)의 상기 금속 층(3a1, 3a2, 3a3, 3a4, 3a5)의 외부 둘레(30a1)의 상기 측벽(300)에 가열용 전기 저항체(9)를 고정하여 상기 저항체(9)가 상기 조리 물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생성원(7)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가, 외부 열원(15)의 열기에 견디며, 전기 플레이트, 가스열원에 의한 불꽃, 상기 용기의 인덕션 가열을 위한 인덕션 코일(69, 71) 중 하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열원(15)의 정면에 놓이는 하부면(14)을 갖도록, 상기 바닥부(30)에,
- 상이한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3a1, 3a2, 3a3, 3a4, 3a5)을 갖는 다층 기재(31) 구조, 및
- 적어도 하나의:
* 강화용 압흔(17, 170), 또는
* 상기 기재의 가단성 금속 층에 장착된 자화 가능 금속 및 상기 가단성 금속 층보다 더 단단한 자화 가능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된 인서트(19)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공하고,
증착에 의해 상기 전기 저항체(9)를 고정하고,
상기 전기 저항체(9)를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00)에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156376 | 2011-07-13 | ||
FR1156376A FR2977777B1 (fr) | 2011-07-13 | 2011-07-13 | Article culinaire a paroi larerale chauffee et procede |
PCT/FR2012/051637 WO2013007948A1 (fr) | 2011-07-13 | 2012-07-11 | Article culinaire a paroi laterale chauffee et proce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042A KR20140054042A (ko) | 2014-05-08 |
KR101889129B1 true KR101889129B1 (ko) | 2018-09-20 |
Family
ID=4663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3456A KR101889129B1 (ko) | 2011-07-13 | 2012-07-11 | 가열 측벽을 갖는 조리 물품 및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09598A1 (ko) |
EP (1) | EP2731474B1 (ko) |
JP (1) | JP6126089B2 (ko) |
KR (1) | KR101889129B1 (ko) |
CN (1) | CN103813737B (ko) |
ES (1) | ES2690785T3 (ko) |
FR (1) | FR2977777B1 (ko) |
WO (1) | WO20130079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297029A1 (en) | 2014-04-16 | 2015-10-22 | Spectrum Brands, Inc. | Cooking appliance using thin-film heating element |
US9642191B2 (en) * | 2014-04-16 | 2017-05-02 | Spectrum Brands, Inc. | Portable container system for heating a beverage |
JP6454996B2 (ja) * | 2014-07-01 | 2019-01-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吐出装置 |
WO2017153827A1 (en) | 2016-03-07 | 2017-09-14 | Wallbrooke Investments Ltd. | Inducti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
PH12017000160A1 (en) * | 2017-05-29 | 2019-01-07 | Mary Ann B Macaloi | Magical pail/dipper |
CN107773044A (zh) * | 2017-11-06 | 2018-03-09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手柄组件、锅具及灶具套装 |
US20190230742A1 (en) * | 2018-01-25 | 2019-07-25 | Regal Ware, Inc. | Cooking Apparatus with Resistive Coat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80958A (ja) * | 2002-12-04 | 2004-07-02 | Tokyo Gas Co Ltd | 鍋 |
US20050109761A1 (en) * | 2003-11-24 | 2005-05-26 | Arlethia Little | Portable, self-heating cooking utensil |
KR200391155Y1 (ko) * | 2005-05-06 | 2005-08-01 | 임규호 | 온도감지 및 표시 기능이 있는 분리형 조리용기의손잡이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2344A (en) * | 1912-12-17 | 1913-05-20 | Jan Mann | Cooking and domestic utensil heated by electricity. |
US2265295A (en) * | 1936-10-09 | 1941-12-09 |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 Rectangular electric roaster |
DE3020069C2 (de) * | 1980-05-27 | 1982-12-09 | Wilhelm Ing.(grad.) 7441 Neckartenzlingen Mack | Koch- oder Brateinrichtung mit einer Heizeinrichtung |
CA1272502A (en) * | 1986-07-07 | 1990-08-07 | Leonard Ineson | Heated cup |
US5643485A (en) * | 1988-04-15 | 1997-07-01 | Midwest Research Institute | Cooking utensil with improved heat retention |
US4908501A (en) * | 1988-10-19 | 1990-03-13 | Arnold Iii Morris A | Portable electrically heated animal drinking water container |
JPH03187180A (ja) * | 1989-12-15 | 1991-08-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調理用ホットプレート |
US5129314A (en) * | 1992-02-07 | 1992-07-14 | Hu Loong Chiang | Electric wok |
US5647271A (en) * | 1992-07-06 | 1997-07-15 | Seb | Kitchenware with thermal conducting system |
JPH0645056A (ja) * | 1992-07-21 | 1994-02-18 | Kyowa Kogyosho:Kk | セラミックヒータ応用調理器 |
JP2558429B2 (ja) * | 1993-08-10 | 1996-11-27 | フジマル工業株式会社 | 電磁調理器用容器 |
US5770837A (en) * | 1994-11-18 | 1998-06-23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Metal plate for electromagnetic heating |
CN2346359Y (zh) * | 1998-10-16 | 1999-11-03 | 吕文广 | 具有复合层的不锈钢器皿 |
JP2001190432A (ja) * | 1999-11-01 | 2001-07-17 | Nikkei Products Co | 容器の着脱式取手 |
US6433317B1 (en) * | 2000-04-07 | 2002-08-13 | Watlow Polymer Technologies | Molded assembly with heating element captured therein |
KR200199996Y1 (ko) * | 2000-05-09 | 2000-10-16 | 주식회사광해물산 | 압력조절수단을 갖는 오일남비 |
US6515262B1 (en) * | 2001-07-11 | 2003-02-04 | George T. C. Li | Deep well cooker with dual heating elements |
US6414274B1 (en) * | 2001-09-05 | 2002-07-02 | Afsaneh Mahyari | Electrical heater lid |
US6498323B1 (en) * | 2001-09-12 | 2002-12-24 | The Holmes Group, Inc. | Heating element for a slow cooker |
US6941857B2 (en) * | 2002-08-14 | 2005-09-13 | Mclemore John D. | Cooking apparatus |
AU2003231677B2 (en) * | 2003-08-07 | 2007-03-08 | Monsanto Company | Cotton cultivar DP 576 BGII |
US7157675B2 (en) * | 2004-04-28 | 2007-01-02 | Imura International U.S.A. Inc.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ntrolled heatable objects |
JP2006102084A (ja) * | 2004-10-05 | 2006-04-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誘導加熱調理器用被加熱容器 |
FR2898032B1 (fr) | 2006-03-06 | 2008-04-18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avec moyens d'ouverture des organes formant pince |
FR2898031B1 (fr) | 2006-03-06 | 2008-04-18 | Seb Sa |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
JP4671949B2 (ja) | 2006-12-07 | 2011-04-20 | 株式会社トーショー | 散薬調剤機 |
US7943888B2 (en) * | 2007-01-16 | 2011-05-17 | Hamilton Beach Brands, Inc. | Slow cooker with nestable containers |
JP2009005788A (ja) * | 2007-06-27 | 2009-01-15 | Hitachi Appliances Inc | ジャー炊飯器 |
FR2919484B1 (fr) * | 2007-08-01 | 2014-02-07 | Seb Sa | Article culinaire a fentes allongees anti-deformation. |
CN201101397Y (zh) * | 2007-08-24 | 2008-08-20 | 许平 | 新型电饭锅内胆 |
DE102007054022B4 (de) | 2007-11-13 | 2018-11-15 | Wmf Group Gmbh | Kochgefäß mit Temperaturerfassung |
CN101238950A (zh) * | 2008-02-25 | 2008-08-13 |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 磁感应加热炊具的底片 |
CN201360913Y (zh) * | 2009-02-27 | 2009-12-16 | 应高峰 | 复底铝锅 |
-
2011
- 2011-07-13 FR FR1156376A patent/FR2977777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7-11 ES ES12744077.4T patent/ES2690785T3/es active Active
- 2012-07-11 CN CN201280034585.8A patent/CN1038137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7-11 US US14/232,485 patent/US201402095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7-11 EP EP12744077.4A patent/EP2731474B1/fr not_active Not-in-force
- 2012-07-11 KR KR1020147003456A patent/KR1018891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7-11 JP JP2014519607A patent/JP6126089B2/ja active Active
- 2012-07-11 WO PCT/FR2012/051637 patent/WO2013007948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80958A (ja) * | 2002-12-04 | 2004-07-02 | Tokyo Gas Co Ltd | 鍋 |
US20050109761A1 (en) * | 2003-11-24 | 2005-05-26 | Arlethia Little | Portable, self-heating cooking utensil |
KR200391155Y1 (ko) * | 2005-05-06 | 2005-08-01 | 임규호 | 온도감지 및 표시 기능이 있는 분리형 조리용기의손잡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813737B (zh) | 2017-06-13 |
JP2014522692A (ja) | 2014-09-08 |
US20140209598A1 (en) | 2014-07-31 |
WO2013007948A1 (fr) | 2013-01-17 |
KR20140054042A (ko) | 2014-05-08 |
FR2977777B1 (fr) | 2014-05-09 |
FR2977777A1 (fr) | 2013-01-18 |
JP6126089B2 (ja) | 2017-05-10 |
ES2690785T3 (es) | 2018-11-22 |
EP2731474A1 (fr) | 2014-05-21 |
CN103813737A (zh) | 2014-05-21 |
EP2731474B1 (fr) | 2018-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9129B1 (ko) | 가열 측벽을 갖는 조리 물품 및 방법 | |
US9833101B2 (en) | Pan and method for making | |
EP1441625B1 (en) | Electron source for food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6686569B2 (en) |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 |
US2164813A (en) | Electric culinary utensil | |
EP3042543B1 (fr) |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cooperant avec un recipient de cuisson | |
EP0836823A1 (en) | Heat accumulating pan and heat insulation cooking container | |
KR20090082961A (ko) |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 |
JP2003250698A (ja) | 電磁調理用容器 | |
CN210124590U (zh) | 烹饪器具 | |
JP2011234803A (ja) | 加熱調理器 | |
JP3173592U (ja) | 調理器具 | |
CN212815880U (zh) | 一种一体式ih电饭锅 | |
CN220695047U (zh) | 烹饪器具 | |
CN215272076U (zh) | 一种具有温控功能的多功能料理锅 | |
CN210124595U (zh) | 烹饪器具 | |
CN221750159U (zh) | 一种无线供电电热厨具 | |
CN213248408U (zh) | 烹饪器具 | |
CN103040351B (zh) | 一种带有护罩的电热内锅及其制造方法 | |
JP3858006B2 (ja) | 電気調理器 | |
KR100779561B1 (ko) | 여행용 쿠커 | |
JP3084759U (ja) | 調理用鍋 | |
JPH0637782Y2 (ja) | 電気加熱式断熱調理器具 | |
JP6045402B2 (ja) | 炊飯器 | |
JP3161202U (ja) | 調理用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