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12B1 -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 - Google Patents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12B1
KR101887512B1 KR1020137022740A KR20137022740A KR101887512B1 KR 101887512 B1 KR101887512 B1 KR 101887512B1 KR 1020137022740 A KR1020137022740 A KR 1020137022740A KR 20137022740 A KR20137022740 A KR 20137022740A KR 101887512 B1 KR101887512 B1 KR 10188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embrane
extract
anion exchange
anion
sea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567A (ko
Inventor
미노루 타나카
하루카 운노
히로아키 카나야마
Original Assignee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산악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산악티스 filed Critical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7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 A23L5/27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chemical treatment, by adsorption or by absorption using adsorption or absorption agents, resins, synthetic polymers, or ion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0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양극(3) 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 제2음이온 교환 막(6)을 배치하고, 두 음이온 교환 막(5·6) 사이에 엑기스 수용실(9)을 형성하여 해산물 엑기스(21)를 수용한다. 제1 음이온 교환 막(5)의 양극 측에 요오드 회수실(8)을 형성한다. 제2 음이온 교환 막(6)의 음극 측에 보충액 수용실(10)을 형성하고,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보충액(24)을 수용한다. 전기투석에 의해, 해산물 엑기스(21)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을 요오드 회수실(8)로 제1 음이온 교환 막(5)을 통과시켜 이동시키고, 보충액(24)에 함유된 염소 이온을 엑기스 수용실(9) 내로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통과시켜 보충한다.

Description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METHOD FOR PROCESSING SEAFOOD EXTRACT, SEAFOOD EXTRACT, FOOD AND DRINK}
본 발명은 전기투석법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유지할 수 있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서식하는 해조류나 어패류 등의 해산물은 해수로부터 직접적으로 혹은 섭식에 의해 간접적으로 요오드를 체내에 받아들여 축적하고 있다. 이들 해산물 중에서도, 해조류는 요오드를 많이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갈조류인 다시마는 해수 중의 요오드 함량의 약 500배∼60000배라고 하는 고농도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다시마 등의 해산물을 원료로서 이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해산물 엑기스에는 요오드가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이들 해산물이나 이 해산물을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해산물 엑기스는, 일본에 있어서는 매우 통상적으로 먹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다시마나, 다시마를 원료로 하여 얻어진 다시마 엑기스 등은, 우려낸 국물(soup stock)을 채취할 때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 이외에, 각종 조미료나 각종 가공식품에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요오드는 인체에 있어서 필수원소이지만, 요오드를 과잉 섭취한 경우에 있어서는, 갑상선 기능저하나 갑상선종 등의 증상을 발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후생노동성에서는 「일본인의 식사섭취기준」으로서, 추정 필요량과 내용(耐容) 상한량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함량을 저감하는 방법이나, 요오드 함량을 저감한 해산물 엑기스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수용액 등으로부터 요오드 이온을 분리하는 처리방법으로는, 복치환 전기투석법(double substitution electrodialysis)으로 수용액으로부터 요오드 이온을 분리하는 처리방법으로서, 요오드 이온의 대 음이온(counter anion)으로서 염소 이온을 사용하고, 음이온 교환 막으로서 1가 음이온 선택투과막을 사용하는, 요오드 이온의 분리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Na, Cl, I를 함유하는 염수로부터의 요오드 제거방법으로서, 이 염수의 산화환원 전위가 400 mV (SHE) 이하가 되도록 하여, 이 염수 중의 요오드를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제거하는, 요오드 제거방법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해조류를 환원성 물질의 존재하에서 추출하여 후코이단(fucoidan)을 얻는 처리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상기 복치환 전기투석법에서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외의 성분(식염분 등)도 동시에 제거되기 때문에, 미처리의 해산물 엑기스에 비하여, 성분에 편향이 있는 해산물 엑기스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되어 있는 특유한 풍미 성분까지도 수지에 흡착되어 버려, 크게 풍미를 손상시키고 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환원성 물질 존재하에서 해조류로부터 요오드를 경감한 엑기스를 얻는 처리방법에서는, 환원성 물질의 첨가에 의해 해산물 엑기스의 풍미가 크게 변화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요오드를 제거하고, 또한,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되어 있는 정미성분(呈味成分) 및 지미성분(旨味成分)인 식염분이나 아미노산의 조성 밸런스를 무너뜨리지 않고, 풍미가 우수한 해산물 엑기스를 얻을 수 있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8-27260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5-305265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공개 제2002/022140호 팜플렛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고, 나아가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유지할 수 있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기투석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찾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양·음 전극 사이에 음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음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에 해산물 엑기스를 수용하고, 이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투석에 의해 상기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해산물 엑기스로부터 제거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으로서, 양극 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음이온 교환 막과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상기 두 음이온 교환 막 사이에 엑기스 수용실을 형성하고, 이 엑기스 수용실 내에 상기 해산물 엑기스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의 양극 측에 요오드 회수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에 보충액 수용실을 형성하고, 이 보충액 수용실에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보충액을 수용하고, 상기 전기투석에 의해, 상기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을 상기 요오드 회수실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충액에 함유된 염소 이온을 상기 엑기스 수용실 내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2)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과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1조로 하고, 이의 복수조를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을 매개로 상기 양·음 전극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요오드 회수실에 물 또는 수용성 전해질 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양극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과의 사이에 제1 양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제1 양이온 교환 막의 양극 측을 양극실로 하고, 상기 음극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과의 사이에 제2 양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제2 양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을 음극실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처리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
(4) 상기 해산물 엑기스가, 고형분 100 질량% 중의 식염 함유량이 5∼50 질량%이고, 또한 이 해산물 엑기스 고형분 중의 식염 함유량/요오드 함유량이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해산물 엑기스.
(5)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해산물 엑기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은 다음 효과를 달성한다.
(1) 엑기스 수용실 내의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등의 음이온은 제1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하여 요오드 회수실로 이동하지만, 이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나트륨 등의 양이온은 제2 음이온 교환 막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해산물 엑기스 중에 머무른다. 그 결과,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을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양이온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엑기스 수용실 내의 해산물 엑기스에는, 보충액 수용실 내의 보충액으로부터 염소 이온 등이 보충되므로, 해산물 엑기스의 pH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전기투석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 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사용되는 해산물 엑기스로는, 바다 또는 기수역(brackish water)에서 서식하는 어패류 또는 해조류 등의 해산물을 원료로 하여 추출한 해산물 엑기스이다.
상기 어패류로는 특정 종류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리비(scallop), 재첩(basket clam), 굴 등의 조개류,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 도미, 가다랭이(bonito), 참치, 연어, 복어 등의 어류, 새우, 게, 크릴새우, 갯가재(squilla) 등의 갑각류, 성게, 해삼 등의 극피동물, 고래 등의 해양성 포유류 등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조개류, 두족류, 어류 등이다.
또한, 상기 해조류도 특정 종류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시마, 미역, 녹미채(hijiki), 후쿠스(fucus), 씨 트럼펫(sea trumpet), 김, 뿔이끼(hornwort) 등의 갈조류, 홑파래(Monostroma nitidum), 바다상추(sea lettuce) 등의 녹조류, 방사무늬돌김(Porphyra yezoensis), 콘드루스(Chondrus) 등의 홍조류, 스피루리나(Spirulina),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등의 미세조류 등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갈조류인 다시마, 미역, 김 등이다.
상기 해산물을 원료로 하여 그 엑기스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물로 추출하는 방법, 열수로 추출하는 방법,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는 방법, 초임계 유체로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일반적인 다시마 엑기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다시마(makombu, Laminaria japonica)(일반 건조(plain dried))에 물을 가하고, 실온에서 약 30분∼1시간 동안 정치하여 흡수(吸水)시킨 뒤, 약 40∼100℃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50∼70℃까지 승온하고, 약 30∼50분간 가온하여 다시마 엑기스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 잔사를 꺼낸 뒤, 추출액을 필터 여과하여 협잡물을 분리하고, 원할 경우 추가로 감압농축기 등으로 적당한 농도까지 농축하여 다시마 엑기스를 얻는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해산물 엑기스의 형상은, 유동성을 갖는 액상이라면 바람직하다. 해산물 엑기스가 고형상 또는 점조성을 갖는 페이스트상 등의 경우는, 물을 가하여 용해 또는 희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해산물 엑기스에는, 해산물의 종류, 추출 조건 및 농축 조건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통상 약 1∼1000 mg / 100 g의 요오드가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처리에 사용되는 해산물 엑기스의 고형분 농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엑기스 성분인 고형분 농도가 지나치게 희박하면, 전기투석장치에 공급하는 액량 전체가 증가하고, 전류밀도가 낮은 상태에서의 운전이 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떨어지고 만다. 한편, 고형분 농도가 농후하다면, 점성이 높아지고 또한 결정성이나 불용성의 침전물을 발생시켜 전기투석장치 내에서의 막힘(clogging)이나 이온 교환 막 표면에서의 막오염(fouling)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해산물 엑기스는, 추출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고형분이 1∼50 질량%의 용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산물 엑기스의 액상의 점도로는, 0.01 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협잡물이 많은 엑기스에 대해서는 전기투석장치 내에서의 막힘을 야기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여과 등의 공정에 의해 상기 협잡물을 사전에 제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온화되어 있는 상태가 적합하며, 원할 경우 산 혹은 알칼리로 pH를 조정할 수 있다. 해산물 엑기스의 pH로는 통상 약 1∼13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8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을, 전기투석법으로 제거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투석법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음 전극(3·4) 사이에 양극(3) 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음이온 교환 막(5)과 제2 음이온 교환 막(6)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 두 음이온 교환 막(5·6) 사이에 엑기스 수용실(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5)의 양극 측에 요오드 회수실(8)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6)의 음극 측에 보충액 수용실(10)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3)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의 사이에 제1 양이온 교환 막(11)이 배치되며, 음극(4)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6)과의 사이에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양극(3)을 배치한 양극실(12)이 제1 양이온 교환 막(11)으로 요오드 회수실(8)과 분획되며, 음극(4)을 배치한 음극실(14)이 제2 양이온 교환 막(13)으로 보충액 수용실(10)과 분획된다. 그리고 상기 엑기스 수용실(9) 내에 해산물 엑기스(21)가 수용되며, 상기 보충액 수용실(10)에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보충액(24)이 수용되어, 전기투석이 행해진다. 상기 두 음이온 교환 막(5·6)은 1조만 설치한 것이어도 좋지만, 이것을 1조로 하여 이의 복수조가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을 매개로 상기 양·음 전극(3·4) 사이에 배치되면, 각조의 음이온 교환 막(5·6) 사이에 형성되는 엑기스 수용실(9)에 각각 해산물 엑기스(21)를 수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해산물 엑기스(21)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 반복 조수는 목적에 따라 설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0∼150 조 정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사용되는 전기투석장치의 일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즉, 이 전기투석장치(1)는, 투석조(2) 내에 양극(3)과 음극(4)이 배치되어 있고, 이 양·음 전극(3·4) 사이에, 양극(3) 측의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 음극 (4)측의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포함하는 한 쌍의 음이온 교환 막이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을 매개로 복수조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제1 음이온 교환 막(5)의 양극 측에는 요오드 회수실(8)이 형성되어 있고, 두 음이온 교환 막(5·6) 사이에는 엑기스 수용실(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2 음이온 교환 막(6)의 음극 측에는 보충액 수용실(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요오드 회수실(8)과 보충액 수용실(10)은 상기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으로 분획되어 있다.
상기 양극(3)과 상기 요오드 회수실(8)은 반드시 이온 교환 막으로 분획할 필요는 없지만, 이 요오드 회수실(8) 내로 전기투석에 의해 엑기스 수용실(9)로부터 요오드 이온과 함께 염소 이온이 유입되면, 이 염소 이온이 양극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산화되어 염소 가스가 되고, 양극을 부식시키거나, 이온 교환 막을 열화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양극(3)과 이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의 사이에 제1양이온 교환 막(11)이 배치되어 있어, 이 제1 양이온 교환 막(11)의 양극(3) 측에 양극실(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극(4)과 상기 보충액 수용실(10)은 반드시 이온 교환 막으로 분획할 필요는 없지만, 이 음극(4)의 주위와 상기 양극실(12)과의 사이에서 전극액을 순환 등에 의해 공용하면, 상기 보충액 수용실(10) 내의 용액에 함유된 염소 이온이 음극(4)의 주위를 경유하여 상기 양극실(12)로 유입하여, 양극(3)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또한,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을 배치하지 않고, 전극액(15)으로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황산 이온이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통과하여 엑기스 수용실(9) 내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음극(4)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6)과의 사이에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이 배치되어 있어, 이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의 음극(4) 측에 음극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3)으로는, 흑연, 백금, 백금-도금된 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음극(4)으로는, 철, 니켈, 스테인레스 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전극(3·4)이 배치된 상기 양극실(12)과 음극실(14)에는 전극액(15)으로서 약 0.1∼10 %(W/V)의 수용성 전해질 수용액이 수용되어 있다. 이 수용성 전해질의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황산나트륨 용액 등이 사용된다. 이 전극액(15)은 투석조(2)의 외부에 배치된 전극액 저류용기(16)와의 사이에서 순환 펌프(17) 등에 의해 순환된다.
상기 각 양이온 교환 막(7·11·13)으로는, 공지의 양이온 교환 막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온 교환기로서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포스폰산기, 황산 에스테르기, 인산 에스테르기를 갖는 것, 또한 이들 이온 교환기의 복수 종류가 혼재한 양이온 교환 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양이온 교환 막은 중합형, 결합형, 균일형, 불균일형의 구별 없이, 또한 보강심재(reinforcing core)의 유무나, 탄화수소계의 것, 불소계의 것 등, 재료나, 제조방법에서 유래하는 양이온 교환 막의 종류, 형식 등의 구별 없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2N-식염용액을 5 A/dm2의 전류밀도로 전기투석하고, 전류효율이 70% 이상의, 실질적으로 양이온 교환 막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양성(amphoteric) 이온 교환 막이라고 칭하는 것이어도, 상기 양이온 교환 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양이온 교환 막으로는, 예를 들면 네오셉타(Neosepta) CMX(제품명, 아스톰사제), 네오셉타 CIMS(제품명, 아스톰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음이온 교환 막(5·6)으로는, 공지의 음이온 교환 막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4급 암모늄기, 1급 아미노기, 2급 아미노기, 3급 아미노기, 또한 이들 이온 교환기의 복수 종류가 혼재한 음이온 교환 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음이온 교환 막은, 중합형, 결합형, 균일형, 불균일형의 구별 없이,또한 보강심재의 유무나, 탄화수소계의 것, 불소계의 것 등, 재료, 제조 방법에서 유래하는 음이온 교환 막의 종류, 형식 등의 구별 없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2N-식염용액을 5 A/dm2의 전류밀도로 전기투석하고, 전류효율이 70% 이상의, 실질적으로 음이온 교환 막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일반적으로 양성 이온 교환 막이라고 칭하는 것이어도, 상기 음이온 교환 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음이온 교환 막으로는, 예를 들면 네오셉타 AMX(제품명, 아스톰사제), 네오셉타 ACS(제품명, 아스톰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요오드 회수실(8)에는, 물 또는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18)이 사입된다. 이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은, 장치 가동 초기의 전극간의 도전(導電)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물이어도 좋다. 이 수용성 전해질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수용액, 염화칼륨 수용액, 염산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 물 또는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18)은, 투석조(2)의 외부에 배치된 전해질 용액 저류용기(19)와의 사이에서 순환 펌프(20) 등에 의해 순환된다.
상기 엑기스 수용실(9)에는 해산물 엑기스(21)가 사입된다. 이 해산물 엑기스(21)는 투석조(2)의 외부에 배치된 엑기스 저류 용기(22)와의 사이에서 순환 펌프(23) 등에 의해 순환된다.
상기 보충액 수용실(10)에는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보충액(24)이 사입된다. 이 보충액(24)으로는, 특정한 성분의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장치 내에 스케일로서 부착되기 어렵고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염산,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염화칼륨 수용액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충액(24)에 함유되는 염소 이온의 몰 농도는, 특정한 농도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0.1∼6 mol/L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5 mol/L이다. 이 보충액(24)은 투석조(2)의 외부에 배치된 보충액 저류용기(25)와의 사이에서 순환 펌프(26) 등에 의해 순환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엑기스 수용실(9)이나, 보충액 수용실(10), 요오드 회수실(8), 양극실(12) 및 음극실(14)로의 각 용액 및 해산물 엑기스의 공급을, 펌프 등을 이용하여 순환 공급했으므로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용액이나 해산물 엑기스의 공급은, 연속적이어도 단속적이어도 좋다. 한편, 각 용액 및 해산물 엑기스의 온도는 통상 5∼70℃, 바람직하게는 20∼50℃의 범위로 설정되어 상기 전기투석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은 상기 양극(3)과 음극(4)과의 사이에 직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이온 교환 막 전기투석에 의한 이온 치환 처리가 행해진다. 이때, 상기 양극(3)과 음극(4)과의 사이의 전압은, 1조의 두 음이온 교환 막(5·6)과 중간 양이온 교환 막(7) 당 0.2∼2.0 V로 조절되며, 전류는 이온 교환 막 1 dm2 당 0.1∼10 A로 조절된다.
상기 전기투석에 의해, 상기 엑기스 수용실(9) 내의 해산물 엑기스(21)에 함유된 음이온은 제1 음이온 교환 막(5)을 통과하여, 양극 측에 있는 요오드 회수실(8) 내로 이동하고, 이 해산물 엑기스(21)에 함유된 양이온은 제2 음이온 교환 막(6)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음극 측의 보충액 수용실(10) 내로 이동하지 않고 해산물 엑기스(21) 중에 머문다.
또한, 상기 보충액 수용실(10) 내의 보충액(24)에 함유된 음이온은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통과하여, 양극 측에 있는 엑기스 수용실(9) 내로 이동하고, 이 보충액(24)에 함유된 양이온은 중간 양이온 교환 막(7) 또는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을 통과하여, 음극 측의 요오드 회수실(8) 또는 음극실(14) 내로 이동한다.
상기 요오드 회수실(8) 내의 물 또는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18)에 함유된 음이온은 제1 양이온 교환 막(11) 또는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양극 측에 있는 양극실(12) 또는 보충액 수용실(10) 내로 이동하지 않고 요오드 회수실(8) 내에 머물고, 물 또는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18)에 함유된 양이온은 제1 음이온 교환 막(5)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음극 측에 있는 엑기스 수용실(9) 내로 이동하지 않고 요오드 회수실(8) 내에 머문다.
상기와 같이, 엑기스 수용실(9) 내의 해산물 엑기스(21)에 함유된 음이온인 요오드 이온은 양극 측에 있는 요오드 회수실(8) 내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가 제거되거나 혹은 그 함유량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엑기스 수용실(9)의 음극 측에 있는 보충액 수용실(10)로부터는, 예를 들면 염소 이온 등의 음이온이 엑기스 수용실(9) 내로 이동하고, 결과로서 상기 전기투석을 사용한 처리방법으로 의해, 양이온이나 엑기스 성분, 아미노산류 등이 전기투석처리하기 전과 크게 변화되지 않고 유지된 해산물 엑기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의해 얻어진 해산물 엑기스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하면서도, 식염 함유량(염분 상당량)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해산물 엑기스는 고형분 100 질량% 중의 식염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약 5∼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40 질량%이다. 또한, 이 해산물 엑기스 고형분 중의 식염 함유량과 요오드 함유량과의 비(식염 함유량 / 요오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이상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의 조제
다시마(makombu)(일반 건조) 100g에 물 1500mL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50℃까지 승온하여 50분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다시마의 찌꺼기를 꺼낸 뒤, 여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분리하고, 감압농축기(형식: 로타리 증발기 N-1000; 도쿄 리카기카이사제)을 사용하여 Brix 농도 40%까지 농축하여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을 80g 얻었다. 얻어진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의 pH를 측정한 결과, 5.37이었다.
여기에서, 상기 Brix 농도는, 포켓 당도계(형식: APAL-1; 아즈 원사제)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pH는 유리 전극식 수소 이온 농도 지시계(형식: HM-20P; 토아DKK사제)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2)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의 전기투석법에 의한 처리
[실시예 1]
상기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를 전기투석장치(형식: EX-3B; 아스톰사제)를 사용하여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였다. 이 전기투석장치에 사용한 이온 교환 막은, 양이온 교환 막(형식: 네오셉타 CMX-SB; 아스톰사제)과, 음이온 교환 막(형식: 네오셉타 AMX-SB; 아스톰사제)이다.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는, 양극 측에 제1 양이온 교환 막(11)을 배치하고, 차례로,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1조로 하여,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을 매개로 10조 배치하고, 또한 음극 측에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을 배치한, 필터 프레스형으로 하였다. 다시마 엑기스와 접촉하는 음이온 교환 막(5·6)의 각각의 통전 막 면적은 55 cm2로 하였다. 한편,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 간격은 일정하게 하였다.
상기 제1 양이온 교환 막(11) 또는 중간 양이온 교환 막(7)과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5)에 의해 분획된 요오드 회수실(8)에는 순수(純水)(18)를, 상기 두 음이온 교환 막(5·6)에 의해 분획된 엑기스 수용실(9)에는 다시마 엑기스(21)를,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6)과 중간 양이온 교환 막(7) 또는 제2 양이온 교환 막(13)에 의해 분획된 보충액 수용실(10)에는 17.45 %(W/V)의 염화나트륨 용액(염소 이온의 몰 농도는 2.99 mol/L)을 포함하는 보충액(24)을, 각각 4 mL/sec의 유속으로 순환 공급했다. 각 용액이나 다시마 엑기스의 총량은 각각 500 mL이다. 한편, 전극액(15)은 5 %(W/V)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했다. 각 용액 및 다시마 엑기스의 온도를 20∼35℃의 범위로 조정하면서, 양·음극(3·4) 사이에 10V의 전압(전류밀도는 최대설정치 5 A/dm2)을 걸어 150분간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여, 실시예 1의 다시마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1의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5.47이었다.
[실시예 2]
상기 다시마 엑기스(미처리품)를 전기투석장치(형식: EX-3B; 아스톰사제)를 사용하여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였다. 이 전기투석장치에 사용한 이온 교환 막은, 양이온 교환 막(형식: 네오셉타 CIMS; 아스톰사제, 1가 양이온 선택투과막)과, 음이온 교환 막(형식: 네오셉타 ACS; 아스톰사제, 1가 음이온 선택투과막)이다.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는, 양극 측에 제1 양이온 교환 막(11)을 배치하고, 차례로, 제1 음이온 교환 막(5)과 제2 음이온 교환 막(6)을 1조로 하여,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7)을 매개로 10조 배치하고, 또한 음극 측에 제2 양이온 교환 막(13)을 배치한, 필터 프레스형으로 하였다. 다시마 엑기스와 접촉하는 음이온 교환 막(5·6)의 각각의 통전 막 면적은 55 cm2로 하였다. 한편,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 간격은 일정하게 하였다.
상기 제1 양이온 교환 막(11) 또는 중간 양이온 교환 막(7)과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5)에 의해 분획된 요오드 회수실(8)에는 순수(18)를, 상기 두 음이온 교환 막(5·6)에 의해 분획된 엑기스 수용실(9)에는 다시마 엑기스(21)를,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6)과 중간 양이온 교환 막(7) 또는 제2 양이온 교환 막(13)에 의해 분획된 보충액 수용실(10)에는 17.45 %(W/V)의 염화나트륨 용액(염소 이온의 몰 농도는 2.99 mol/L)을 포함하는 보충액(24)을, 각각 4 mL/sec의 유속으로 순환 공급했다. 각 용액이나 다시마 엑기스의 총량은 각각 500 mL이다. 한편, 전극액(15)은 5 %(W/V)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했다. 각 용액 및 다시마 엑기스의 온도를 20∼35℃의 범위로 조정하면서, 양·음극(3·4) 사이에 15V의 전압(전류밀도는 최대설정치 5 A/dm2)을 걸어 210분간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여, 실시예 2의 다시마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2의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5.48이었다.
[비교예 1]
상기 다시마 엑기스의 조제에서 얻은 미처리품의 다시마 엑기스를, 통상 탈염 처리하는 전기투석장치(형식: S-3; 아스톰사제)을 사용하여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였다. 이 전기투석장치에 사용한 이온 교환 막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양이온 교환 막(형식: 네오셉타 CMX-SB; 아스톰사제)과, 음이온 교환 막(형식:네오셉타 AMX-SB; 아스톰사제)이다.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는, 양극 측에 양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차례로 음이온 교환 막·양이온 교환 막의 배열조를 1조로 하여, 10조 배치한 필터 프레스형으로 하였다. 다시마 엑기스와 접촉하는 한쪽의 음이온 교환 수지의 통전 막 면적은 55 cm2로 하였다. 각 이온 교환 막의 배치 간격은 실시예 1과 같이 일정하게 하였다.
상기 음이온 교환 막과 그의 양극 측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 막에 의해 분획된 용액실에는 순수를, 음이온 교환 막과 그의 음극 측에 위치하는 양이온 교환 막에 의해 분획된 용액실에는 다시마 엑기스를, 각각 4 mL/sec의 유속으로 순환 공급했다. 상기 순수와 다시마 엑기스의 총량은 각각 500 mL이다. 한편, 전극액(15)은 5 %(W/V)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했다. 그리고 상기 순수와 다시마 엑기스 온도를 20∼35℃의 범위로 조정하면서, 양·음극 사이에 10V의 전압(전류밀도는 최대설정치 5 A/dm2)을 걸어 135분간 전기투석처리를 행하여, 비교예 1의 다시마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비교예 1의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5.60이었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전기투석시간을 135분간 행하는 대신 60분간 행하는 것 이외는 같은 조작을 행하여, 비교예 2의 다시마 엑기스를 얻었다. 얻어진 비교예 2의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5.47이었다.
(3) 전기투석처리된 다시마 엑기스의 관능평가
상기 미처리품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각각 200mL 비이커에 각 1g 취하여, Brix 농도가 1%가 되도록 열탕에서 용해한 뒤, 외관, 향기, 및 맛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행하였다.
상기 관능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과 평점은 다음과 같다.
· 외관(색조)
평점 3: 맑고(clear),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황색∼옅은 황색을 나타낸다.
평점 2: 혼탁하고(turbid),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황색∼옅은 황색을 나타낸다.
평점 1: 혼탁하고,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황색∼옅은 황색을 나타내지 않고,옅은 갈색을 나타낸다.
· 향기
평점 3: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향기로운(mellow) 향기가 있고, 향기의 밸런스가 좋다.
평점 2: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향기는 있으나, 다소 향기의 밸런스가 나쁘다.
평점 1: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향기가 옅고, 향기의 밸런스가 나쁘다.
· 맛
평점 3: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지미(旨味), 염미(saltiness)를 갖고, 맛의 밸런스가 좋다.
평점 2: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지미, 염미는 있으나, 맛의 밸런스가 나쁘다.
평점 1: 다시마 엑기스 특유의 지미, 혹은 염미가 약하고, 맛의 밸런스가 나쁘다.
상기 관능평가는 상기 평가 기준에 따라 5명의 패널에서 평가를 행하고, 평점의 평균점을 구하여, 이하의 기준을 따라 기호화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평균치 2.5 이상
△: 평균치 1.5 이상, 2.5 미만
×: 평균치 1.5 미만
미처리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외관(색조) × ×
향기
× ×
상기 결과로부터 명확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의 다시마 엑기스는, 미처리품의 다시마 엑기스와 동등한 색조, 풍미를 갖고 있었지만,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각 다시마 엑기스는 모두 미처리품의 다시마 엑기스와는 색조, 풍미가 상이한 것이었다.
(4) 전기투석처리된 각 다시마 엑기스의 함유 성분의 분석
이어서, 상기 전기투석처리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다시마 엑기스에 대하여, 요오드, 식염(염분 상당량), 총 질소, 만니톨 및 유리 아미노산의 함유량과, 고형분량을, 미처리의 다시마 엑기스와 대비하여 측정했다.
상기 각 성분의 함유량은,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a) 요오드 함유량
요오드 함유량의 측정 방법으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각 다시마 엑기스를 비이커에 넣고, 증류수로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뒤, No. 5B 여지로 여과하고, 메스플라스크로 주어진 수준으로 조절하였다. 이 샘플에 18N황산 0.7 mL, 메틸에틸케톤 1.0 mL, 200 ppm 아질산나트륨 용액 1.0 mL을 가하고, 20분간 방치한다. 다시 헥산을 가하여 잘 교반한 후 헥산층을 분취하여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 1 ㎕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프(형식: 6890N; Agilent Technologies사제)에 제공하여 측정했다.
(b) 식염 함유량(염분 상당량)
식염 함유량(염분 상당량)의 측정방법으로는, 볼하드 습식 정량법(Volhard's wet quantitative method)을 이용했다.
각 다시마 엑기스 0.5 g를 200mL 삼각 플라스크에 채취하고, 0.1N-잘산은 용액을 20mL, 13N-진한 질산을 20mL 가하여, 비등수조(boiling water bath) 중에서 30분간 가온한다. 방냉한 뒤, 철 명반 지시약(iron alum indicator)을 5 mL 가하 고, 0.1N-티오시안산칼륨으로 적정하여, NaCl 당량으로서 측정했다.
(c) 총 질소 함유량
총 질소 함유량의 측정방법으로는, 킬달법(Kjeldahl method)을 이용했다.
각 다시마 엑기스 1.5g을 킬달 병에 채취하고, 분해 촉진제(상품명: KJELTABS C; Thompson & Copper사제)과 36N-진한 질산을 가하여 450℃에서 100분간 강열분해한 뒤, 방냉한 후 탈이온수 10 mL를 가하여 자동 킬달 증류 장치(형식: K378; 뷰치(Buchi)사제)에서 총 질소량을 측정했다.
(d) 만니톨 함유량
만니톨 함유량의 측정방법으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각 다시마 엑기스 2 g를 채취하고, 에탄올 50 mL을 가하고, 탈이온수로 100mL로 조절한다. 1 mL을 분취하여 용매를 휘발시킨 뒤, 트리메틸실릴화제를 가하여 트리메틸실릴화하고, 무수 피리딘을 10mL 가하여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 5 ㎕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형식: GC-14A; 시마즈세사쿠쇼사제)에 제공하여 측정했다.
(e) 유리 아미노산 함유량
유리 아미노산 함유량의 측정방법으로는,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를 이용했다.
얻어진 각 다시마 엑기스 1 g를 채취하고, 구연산 리튬 완충액(pH2.4)로 50mL로 조절한 뒤, No. 131 여지로 여과하여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를 아미노산 분석기(형식: JLC-500/V; 니혼덴시사제)에 제공하여 측정했다.
(f) 고형분량
고형분량의 측정방법으로는, 상압가열건조법을 이용했다.
얻어진 각 다시마 엑기스 0.5 g를 채취하고, 105℃에서 3시간의 건조를 행하고, 고형분량을 측정했다.
상기 측정 결과를, 모두 미처리품에 함유된 각 성분의 질량을 100으로 했을 때의, 전기투석처리된 다시마 엑기스에 함유된 각 성분의 질량비, 즉 잔존율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78438424-pct00001
상기 분석 결과로부터 명확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미처리품에 대하여, 식염 함유량(염분 상당량), 총 질소 함유량,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고형분을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 그러면서도 요오드 함유량을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은 요오드 함유량을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었지만, 식염 함유량(염분 상당량), 질소 함유량,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고형분이 크게 변동되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정도로 요오드 함유량을 저하시키면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식염 함유량의 잔존율을 높게 할 수 있었지만, 그 식염 함유량은 미처리품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대폭으로 낮고, 고형분의 잔존율도 낮은 것이었다.
미처리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다시마 엑기스의 고형분 100 질량% 중의 식염 함유량, 요오드 함유량 및 식염 함유량/요오드 함유량의 비율을 표 3에 나타낸다.
다시마 엑기스의 고형분 100 질량% 중의 함유량
미처리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식염 함유량(질량%) 38.3 39.5 40.0 0.4 28.4
요오드 함유량(질량%) 1.140 0.064 0.037 0.003 0.290
식염 함유량/요오드 함유량 34 617 1081 133 98
상기 실시형태나 실시예에서 설명한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이나 해산물 엑기스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이며, 해산물 엑기스의 종류나 처리에 사용하는 전기투석장치, 이온 교환 막의 종류, 각 실의 배치수나 용적, 수용성 전해질 용액이나 보충액의 종류 등은, 상기 실시 형태나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해산물 엑기스로서 다시마 엑기스를 사용했으므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하고, 또한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양호하게 유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지극히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다른 종류의 해산물 엑기스를 이용한 것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의해 얻어진 해산물 엑기스는,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를 제거 혹은 그 함유량을 저감한 것임과 동시에, 미처리물이 갖는 해산물 엑기스 본래의 풍미나 정미, 외관 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각종 조미료나 각종 가공식품 등에 특히 적합하다.
3: 양극
4: 음극
5: 제1 음이온 교환 막
6: 제2 음이온 교환 막
7: 중간 양이온 교환 막
8: 요오드 회수실
9: 엑기스 수용실
10: 보충액 수용실
11: 제1 양이온 교환 막
12: 양극실
13: 제2 양이온 교환 막
14: 음극실
18: 물 또는 희박한 수용성 전해질 용액
21: 해산물 엑기스(다시마 엑기스)
24: 보충액

Claims (5)

  1. 양·음 전극 사이에 음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음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에 해산물 엑기스를 수용하고, 이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투석에 의해 상기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해산물 엑기스로부터 제거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으로서,
    양극 측으로부터 차례로 1가 음이온 선택투과막인 제1 음이온 교환 막과 1가 음이온 선택투과막인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상기 두 음이온 교환 막 사이에 엑기스 수용실을 형성하고, 이 엑기스 수용실 내에 상기 해산물 엑기스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의 양극 측에 요오드 회수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에 보충액 수용실을 형성하고, 이 보충액 수용실에 0.1∼6 mol/L로 염소 이온을 함유하는 보충액을 수용하고,
    상기 전기투석에 의해, 상기 해산물 엑기스에 함유된 요오드 이온을 상기 요오드 회수실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충액에 함유된 염소 이온을 상기 엑기스 수용실 내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통과시켜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과 제2 음이온 교환 막을 1조로 하고, 이의 복수조를 각각 중간 양이온 교환 막을 매개로 상기 양·음 전극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요오드 회수실에 물 또는 수용성 전해질 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양극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음이온 교환 막과의 사이에 제1 양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제1 양이온 교환 막의 양극 측을 양극실로 하고,
    상기 음극과 이것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2 음이온 교환 막과의 사이에 제2 양이온 교환 막을 배치하고, 이 제2 양이온 교환 막의 음극 측을 음극실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처리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산물 엑기스가, 고형분 100 질량% 중의 식염 함유량이 5∼50 질량%이고, 또한 이 해산물 엑기스 고형분 중의 식염 함유량/요오드 함유량이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산물 엑기스.
  5. 제3항에 따른 해산물 엑기스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KR1020137022740A 2011-02-02 2011-12-06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 KR101887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0670 2011-02-02
JP2011020670 2011-02-02
PCT/JP2011/078163 WO2012105123A1 (ja) 2011-02-02 2011-12-06 海産物エキスの処理方法および海産物エキス並びに飲食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67A KR20140017567A (ko) 2014-02-11
KR101887512B1 true KR101887512B1 (ko) 2018-08-10

Family

ID=4660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40A KR101887512B1 (ko) 2011-02-02 2011-12-06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64810B2 (ko)
EP (1) EP2671457B1 (ko)
JP (1) JP5757962B2 (ko)
KR (1) KR101887512B1 (ko)
CN (1) CN103338656B (ko)
TW (1) TWI518040B (ko)
WO (1) WO2012105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4926B2 (ja) * 2014-01-24 2016-11-16 株式会社くらこん ヨウ素低減昆布の製造方法
JP5890880B1 (ja) * 2014-09-29 2016-03-22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ヨウ素を低減化させた褐藻類の製造法
JP2016174554A (ja) * 2015-03-19 2016-10-0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昆布からのヨウ素除去方法とその装置
CN106334451B (zh) * 2016-10-17 2018-01-12 厦门市科宁沃特水处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产调味汁电渗析低钠化处理工艺
JP6956953B2 (ja) * 2017-03-23 2021-11-02 株式会社アストム 逆電気透析方法及びその利用
CN116669834A (zh) * 2020-11-09 2023-08-29 加州理工学院 电渗析器和用于从海水中捕获co2的电渗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602A (ja) * 2007-04-25 2008-11-13 Toho Earthtech Inc ヨウ素イオンの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551A (en) * 1934-01-11 1938-08-30 Algin Corp Of America Method of treating seaweed
US3433726A (en) * 1962-06-08 1969-03-18 Ionics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 milk products
US5049250A (en) * 1989-08-14 1991-09-17 Allied-Signal Inc. Electrodialytic treatment of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amino acids
JP2002022140A (ja) 2000-06-30 2002-01-23 Sumitomo Heavy Ind Ltd 石炭焚きボイラー用排ガス処理装置
CN1592626A (zh) * 2000-09-13 2005-03-09 宝生物工程株式会社 内环境稳定维持剂
JP2002187707A (ja) * 2000-12-15 2002-07-05 Ise Chemicals Corp ヨウ素含有かん水中からの溶解物の採取方法
WO2003014028A1 (fr) 2001-08-02 2003-02-20 Kabushiki Kaisha Toho Earthtech Procede de separation selective d'ion iod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sel alcalin d'ion iode
GB0319042D0 (en) * 2003-08-13 2003-09-17 Univ Surrey Osmotic energy
JP4429066B2 (ja) * 2004-04-20 2010-03-10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塩水からのヨウ素除去方法
CN101193823A (zh) * 2005-06-09 2008-06-04 株式会社荏原制作所 电透析装置、排水处理方法及氟处理系统
FR2894247B1 (fr) 2005-12-07 2008-02-15 Solvay Procede pour l'epuration d'une solution aqueuse chargee en iodure, calcium, magnesium
CN201010552Y (zh) * 2007-03-08 2008-01-23 希昭济 使用电解或电透析方式处理饮料水和酒类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602A (ja) * 2007-04-25 2008-11-13 Toho Earthtech Inc ヨウ素イオン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3373A1 (en) 2013-12-05
EP2671457B1 (en) 2017-10-18
CN103338656A (zh) 2013-10-02
CN103338656B (zh) 2015-11-25
WO2012105123A1 (ja) 2012-08-09
EP2671457A1 (en) 2013-12-11
EP2671457A4 (en) 2017-01-04
JP5757962B2 (ja) 2015-08-05
US10264810B2 (en) 2019-04-23
TW201233639A (en) 2012-08-16
JPWO2012105123A1 (ja) 2014-07-03
TWI518040B (zh) 2016-01-21
KR20140017567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512B1 (ko) 해산물 엑기스의 처리방법 및 해산물 엑기스와 음식품
KR101002197B1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KR100944538B1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함유 고경도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JP2002292371A (ja) 海洋深層水より分離した淡水と濃縮深層水とミネラル濃縮液と濃縮塩水と苦汁と特殊塩
KR101367477B1 (ko) 해수 전기분해 알칼리 수로부터 마그네슘염과 칼슘염을 포함한 미네랄 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음료의 제조방법
US3865961A (en) Electrodialyzing wine to remove sulfur-containing compounds
JP2000033377A (ja) 還元性電解水
JP5581392B2 (ja) 酒精を用いた塩蔵発酵食品の脱塩方法
JP4087890B1 (ja) カキ肉を原料とした塩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7267B2 (ja) 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2017063694A (ja) 昆布エキス加工品の製造方法
KR100858030B1 (ko) 다시마 액상 소금제조방법
KR20200083326A (ko) 천연 미네랄 자원으로부터 미네랄의 선택적인 분리방법 및 이로부터 분리된 조성물
JPS6027359A (ja) 調味エキスの製造方法
KR101295445B1 (ko) 해수 전기분해 알칼리 수로부터 마그네슘염과 칼슘염을 포함한 미네랄 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 정제의 제조방법
EP0835610B1 (fr) Déminéralisation de produits et dérivés laitiers
JP5189743B2 (ja) 塩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04054B2 (ja) ソフトタイプの清酒、およびその製造法
JP3765716B2 (ja) 飲料用濃縮梅果汁の製造方法
SU1836297A3 (ru) Cпocoб oпpechehия бopcoдepжaщиx boд
JPS6357085B2 (ko)
JPS6098959A (ja) 調味エキスの製造方法
JPS58128110A (ja) カルシウムイオン飲料の製造方法
JPS61216657A (ja) 食品へのコク味付与方法
JP2002335900A (ja) 低ナトリウム濃度の梅肉エキ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