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197B1 -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197B1
KR101002197B1 KR1020057002234A KR20057002234A KR101002197B1 KR 101002197 B1 KR101002197 B1 KR 101002197B1 KR 1020057002234 A KR1020057002234 A KR 1020057002234A KR 20057002234 A KR20057002234 A KR 20057002234A KR 101002197 B1 KR101002197 B1 KR 10100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mineral
containing composition
mineral compon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063A (ko
Inventor
히로시 시바타
미에 하타
히로아키 사사키
히로시 고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마그네슘, 칼슘 등의 건강 효능을 갖는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나트륨을 저감시킴으로써 널리 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고, 또한 이것을 가공함으로써, 순환기계 질환이나 생활습관병 등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음식물을 제공한다.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지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로서,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6㎎/ℓ이하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Description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MINERAL COMPOSITION USING MARINE WATER}
본 발명은 해수 유래의 저나트륨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구미화나 사회환경의 변화에 의해 악성신생물 (암) 과 함께 심질환에 의한 사망율이 증가하고 있다. 영양의 과잉섭취, 편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수면부족 등의 요인이 복잡하게 서로 영향을 줌으로써,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혈액의 흐름이 나빠지는 순환기계 장해가 일어나, 그 결과, 심장에 대한 부하가 커짐으로써 허혈성 심질환이 발증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활습관병에 대한 불안과 건강지향의 관점에서, 당질이나 지방분의 섭취를 삼가하고, 또 가공식품의 보급에 의해 부족하기 쉬운 미네랄을 서플리먼트(supplement)나 건강식품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섭취하는 움직임이 일반소비자들에게도 확산됨으로써 건강식품 시장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미네랄 섭취에 관한 조사에서는, 역학적으로는 경수(硬水) 지역에서 심장병이 적고, 연수(軟水) 지역에서 심장병이 많다는 일본에서의 보고 (Kobayashi J. et al. Ber Ohara Inst 11, 12-21 (1957)) 가 있고, 또한, 미국에서는 음료수나 식사 중의 Ca/Mg 의 비가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연간사망률과 강한 플러스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Karppanen H. et al. Adv Cardiol 25, 9-24 (1978)). 또한 최근의 문헌에서는, 뇌혈관질환 등도 포함하여 순환기계 질환과 그 위험인자로서의 NaㆍCa/KㆍMg 의 비에 관한 관계가 논의되고 있고 (이또가와 저, 최신 미네랄 영양학, 60-72), 건강의 유지ㆍ증진을 위한 미네랄 섭취 밸런스의 중요성이 주목되고 있다.
일본인에게는 그 일반적인 식습관으로부터, 종래부터 나트륨의 과잉섭취 (식염환산 약 12g/일 ; 국민영양의 현상 2000년 국민영양조사결과 후생노동성 건강국) 가 계속되고 있어, 식염 10g/일 미만의 섭취가 노력 목표로 되고 있다 (일본인의 영양 소요량 제6차 개정 - 식사섭취기준 - 의 활용 후생성 보건의료국). 이것은 적정한 섭취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식염섭취가 비교적 많은 식습관을 가진 일본인에게 과도한 염분 감소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염분 감소를 약 3g/일로 하자는 의미가 강하다. 과거의 역학연구에 의해 식염섭취량과 고혈압 및 뇌졸증의 발증률 사이에 플러스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점에서 (이또가와 저, 최신 미네랄 영양학, 75),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생활습관병의 예방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칼륨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도 영양 소요량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칼슘에 관해서는 인체에 중요한 미네랄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평균 섭취량이 영양 소요량을 밑돌고 있다. 칼슘은 뼈나 치아의 형성유지에 필수적인 미네랄로, 그 평균 섭취량은 1970년에 500㎎ 을 초과하였지만, 여전히 현재 1일 당 약 50㎎ 부족한 상태이다 (국민영양의 현상, 2000년 국민영양조사결과, 후생노동성 건강국). 칼슘이 부족한 상태에서, 단백질이 많은 식이를 래트에 주게 되면 골 함량 중의 칼슘농도가 저하된다 (Takeda T. et al., J Nutr Sci Vitaminol, 39, 355 (1993)). 인이나 나트륨은 가공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있어 인이나 나트륨의 섭취를 삼가하는 것은 물론, 칼슘도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마그네슘에 관해서도 일본인은 1일 당 약 150㎎ 정도 부족하다 (키무라 미에꼬, 마그네슘 (이또가와요시노리, 사이또노보루 편) 81 (1995)). 동물실험에서 마그네슘 결핍에 의한 혈압상승이나 혈중지질의 증가 (Kimura M. et al. Therapeutic Res 12(9), 2759-2773 (1991)), 혈관경의 협착 (Altura BM. et al. Science 223, 1315 (1984)) 등이 알려져 있고, 마그네슘의 보급은 이들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미네랄 워터는 원래 유럽 등 생수를 마실 수 없는 지역에서 보급되었던 것인데,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수돗물의 수질악화나 건강 지향 때문에, 몸에 좋고 맛있는 물에 대한 구매의욕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미네랄 워터에 관해서는 후생노동성에 의해 원수(原水)기준이 정해져 있고, 농림수산성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처리방법의 차이에 따라 4 종류로 분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경도 100 미만인 물을 「연수」, 100 이상인 물을 「경수」로 정의하는데, 일본의 수돗물이나 시판되는 미네랄 워터의 대부분은 연수에 속한다. 연수에는 충분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연수로부터 미네랄 성분을 섭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해수의 경우, 그 미네랄 조성은 인간 혈청 조성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 가 있다 (하라구찌 등, 현대화학 7월호, 16-22 (2000)). 그 중에서도, 표층수와 달리 환경오염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해양생물에 의한 미네랄 이용이 적은 해양 심층수는 청정성이 높고, 또한 미네랄이 풍부하게 유지되고 있어, 그 미네랄 특성을 이용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 적용에 대해서도 많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5974, 동 공보 2001-136942, 동 공보 2001-211864, 동 공보 2001-87762 등).
종래, 해수로부터의 미네랄 성분의 제법으로는, 전통적인 염전법을 대체하는 염의 제조 프로세스로서 현재 널리 도입되어 있는 전기투석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투석법이라 불리는 방법에서는, 양이온막과 음이온막을 교대로 나열한 사이에 해수를 흘려보내고, 양단에 전극을 놓고 직류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액 중에서 이온으로 되어 있는 물질이 그 성질에 의해 양이온은 음극으로,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 때, 양이온은 양이온막을 빠져나갈 수 있지만, 음이온은 양이온막을 빠져나갈 수 없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막과 막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에 번갈아 농축실과 희석실을 형성시키고, 농축실에는 해수의 7∼8배의 염분농도를 함유하는 해수가 제조된다. 1가의 이온은 막을 통과시키지만 2가의 이온은 통과시키기 어려운 막을 교환막으로서 선택하면, 마그네슘ㆍ칼슘 등의 이온은 농축실로 들어갈 수 없고, 희석실측에 남게 된다. 이 희석수는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기 때문에, 미네랄 보급 음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해양 심층수를 원수로 한 미네랄수의 판매도 상업적 규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현시점에서는 이온막으로 1가 이온 투과선택성이 높은 막을 선정하고, 미네랄수의 전기전도도가 10∼12mS/㎝ (나트륨 농도 500ppm 정도) 로 될 때까지 투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기투석법으로 칼슘이나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는 미네랄 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1가 선택성의 양이온 교환막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 을 사용하여 해수 중에 함유되는 1가 양이온을 농축실측으로 이동시키고, 마그네슘, 칼슘 등의 2가 이온을 미네랄실 (상기에서 말하는 희석실) 측에 남기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 때 미네랄실측에 남은 1가 양이온 (주로 나트륨) 의 농도가 낮아지면, 흐르는 전류값이 작아져 전기투석의 효율이 나빠진다. 제염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네랄실측의 전기전도도가 10-12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을 한 경우, 미네랄실측의 2가 이온은 대부분 투석되지 않고 잔존하는데, 본 수법에서는 미네랄실측의 나트륨 이온농도를 500ppm 정도까지 밖에 낮출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해수의 미네랄 조성은 인간 혈청 중의 미네랄 조성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또한, 육지수에 비하여 마그네슘 조성비가 높다는 점에서, 마그네슘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는 현대인에게, 효율적으로 마그네슘 등의 체내 구성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는 공급원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투석법으로는, 2가 이온을 함유하는 미네랄 성분을 무리없이 취득할 수 있으나, 잔존하는 다량의 나트륨 농도 및 2가 이온의 농도에는 편차가 있고, 또한 전기전도도가 10-12mS/㎝에 도달할 때 전기투석을 종료한 경우, 이것에 의해 얻어진 해수 미네랄 함 유 조성물에서 나트륨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기 때문에, 건강상 그 섭취가 제한되어, 유용한 해수 미네랄 성분을 충분히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조건 그대로 전기투석을 계속하는 경우에도, 조작 비용이 증대되는 데다 미네랄 조성이 안정되지 않아, 품질보증면에서의 상품가치가 극단적으로 저하될 뿐이다. 또한 나트륨 등의 1가 이온에 의한 짠맛이나 잡맛은 음식물, 특히 음료수에 사용했을 때에 바람직하지 않다. (기호 조사의 결과에서는, 기존의 경도 250 이상의 미네랄 음료에 대한 소비자의 향미에 대한 만족도는 충분한 것이 아니었다 (2001년 12월 출원인의 미네랄 워터 사용자 대상의 WEB 조사)).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유용한 해수 미네랄 성분을 널리 음식물에 사용하기 위해, 안전하고 또한 향미가 우수한 해수 미네랄 성분에 대해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나트륨 농도가 낮고, 또한 마그네슘 농도가 높으며, 미네랄 조성이 안정된 품질을 갖는 미네랄 함유 조성물을 취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지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로서,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6㎎/ℓ이하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함으로써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6㎎/ℓ이하가 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기투석처리가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10mS/㎝ 미만까지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기투석처리를 복수회로 나누어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투석처리에 있어서 농축실측 나트륨 농도를 낮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음식물 또는 그 첨가물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고, 미네랄수 그대로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이 건조물, 농축물, 희석물 등의 형태, 또한 이들에 비타민류, 폴리페놀류,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당류, 섬유류, 유기산 등의 첨가물을 첨가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건조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미네랄수 또는 그 농축물을 동결건조, 증발건고나 당류 등의 분말화 기재에 포접(包接)시켜 스프레이 드라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해수는 표층수, 중층수, 심층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심층수, 특히 200m 이상 깊이의 해수는, 환경오염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기 때문에 청정성이 높고, 또한 해양생물에 의한 미네랄 이용이 적기 때문에, 미네랄이 풍부하게 유지되고 있어, 본 발명으로의 이용에서 바람 직하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은 조성물로서 매우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 그 자체에 대해 혹은,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음식물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 가열, 냉각, 냉동 등의 처리를 하여도 상관없고,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로서는 통상적인 음식물의 형태로 특별히 한정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캡슐, 정제, 분말제, 젤리 등의 서플리먼트의 형태나 통상의 음식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과즙 음료, 청량 음료, 유산 음료, 탄산 음료, 커피 음료, 차 음료, 야채 음료, 리큐어, 칵테일, 소주, 츄하이(탄산수 함유 소주), 와인, 맥주, 발포주, 위스키, 브랜디, 타블렛, 캔디, 구미 캔디, 쿠키, 젤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향미가 우수하고, 나트륨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은 각종 제품에 음식물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음식물 중의 마그네슘이나 칼슘 등의 미네랄 성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사용량은, 제공하는 음식물의 형상에 맞춰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마그네슘의 섭취량을 지표로 하여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슘의 1회의 섭취량을 1㎎ 내지 700㎎ 함유시키도록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마그네슘, 칼슘 등의 건강효능을 갖는 미네랄 성분의 비율이 높고, 또한, 나트륨 농도가 낮은 점에서, 저염식품이나 건강식품 등의 음식물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음식물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는, 다른 기능성 성분과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다른 기능성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비타민류, 폴리페놀류,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당류, 섬유류, 유기산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해수를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하여 전기투석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전기투석처리는, 통상의 전기투석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전기투석 종료시의 전기전도도를 저전도도 10mS/㎝ 미만까지 조정함으로써 나트륨 농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마그네슘 농도를 증대시켜, 안정된 미네랄 조성을 갖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저전도도로는 사용수나 사용전력의 비용을 감안하여 전기투석 종료시 8mS/㎝ 이하, 특히 6mS/㎝ 가 바람직하다. 전기투석 종료시의 전기전도도를 저전도도, 예컨대 6mS/㎝ 로 하면,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4㎎/ℓ이하, 마그네슘 농도가 20㎎/ℓ이상,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가 4 이상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으로는 AC120 (아사히화성(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10mS/㎝ 미만까지 전기투석처리를 적어도 1회 실행하여 얻어질 수도 있으나, 통상의 제염법에서 사용되는 전기전도도 (12mS/㎝) 까지 처리하여 얻어진 미네랄수를 농축하고, 동 전기전도도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처리하는 전기투석처리를 복수회 실행하는 수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기투석장치에서의 농축실측의 나트륨 농도를 낮게 억제함으로써, 나트륨의 역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나트륨, 칼륨 등의 1가의 이온을 한정없이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농축실측의 나트륨 농도를 20㎎/ℓ이하, 바람직하게는 2㎎/ℓ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 2차 미네랄수의 제조법
심도 330m 의 해수를 사용하여 아사히화성 전기투석장치 (SV1/2 타입) 을 사용하여 전기투석 종료시의 전기전도도가 12mS/cm가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1차 미네랄수를 얻었다.
1차 미네랄수 500㎖ 를 아사히화성 전기투석장치 (S3 타입) 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가 8mS/㎝ 또는 6mS/㎝ 이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2차 미네랄수를 제조하였다. 이 때의 전기전도도와 주된 미네랄의 변화를 표 1 에 나타낸다. 전기투석막은 1차 미네랄수 제조시, 2차 미네랄수 제조시 모두 아사히화성 AC120 타입을 사용하였다. 또한, 개시시의 설정온도는 15℃, 농축실측 전기전도도는 1.5mS/㎝, 순환유량 1.4ℓ/min, 전압 12.5V 의 일정전압으로 전기투석을 실행하였다.
전기투석에서의 전기전도도와 나트륨 농도의 변화
전기전도도
12mS/㎝ 8mS/㎝ 6mS/㎝
Na(ppm) 640 21 2
Ca(ppm) 310 192 122
Mg(ppm) 1300 820 736
경도(㎎/ℓ) 6105 3842 3322
실시예 2 : 미네랄 음료의 제조법
실시예 1 에 기재된 1차 미네랄수 (12mS/㎝) 및 2차 미네랄수 (8mS/㎝, 6mS/㎝) 를 심도 330m 의 해수를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역침투막 SW30HR-380 (고압) SWLE-440 (저압) 2 단계) 으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탈염수 (나트륨 농도 = 1.8㎎/ℓ) 로 희석하여 각 경도의 미네랄수를 제조하였다. 이 때의 각 경도에서의 미네랄 농도의 데이터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해수의 전기투석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전기전도도를 저전도도로 함으로써, 나트륨 농도를 감소시키고, 또한 마그네슘 농도를 증대시킨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전기전도도를 8mS/㎝ 까지 전기투석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6㎎/ℓ이하, 마그네슘 농도가 20㎎/ℓ이상, 또한 마그네슘과 칼슘의 비가 4 이상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각 경도의 미네랄 조성
경도 전도도
①(12mS/cm) ②(8mS/cm) ③(6mS/cm)
Na(ppm) 100 12.3 2.3 1.8
250 27.9 3.0 1.9
300 33.2 3.3 1.9
350 38.4 3.5 1.9
500 54.1 4.2 1.9
1000 106.3 6.7 2.0
Ca(ppm) 100 5.1 5.0 3.7
250 12.7 12.5 9.2
300 15.2 15.0 11.0
350 17.8 17.5 12.8
500 25.4 24.9 18.3
1000 50.8 49.9 36.7
Mg(ppm) 100 21.3 21.3 22.2
250 53.2 53.4 55.4
300 63.9 64.0 66.5
350 74.5 74.7 77.5
500 106.5 106.7 110.8
1000 212.9 213.5 221.5

실시예 3 : 2차 미네랄수를 사용한 음료수의 관능평가
실시예 2 에 따라 경도 250, 300, 350, 500, 1000 으로 조정한 음료수 샘플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전문 패널리스트 6 명으로 실행하여, 선호/비선호 판단의 기초가 되는 종합평가와 5개의 향미 특징에 관해 5 단계 평가로 평가하였다.
① (12mS/㎝) 의 미네랄수를 사용하여 경도를 조정한 샘플의 경우, 전체적으로 짠맛, 미끈거리는 맛이 느껴지고, 또 경도가 높아지면 쓴맛, 잡맛이 강해진다. 이 때문에 종합평가에서도, 경도 300 에서 "약간 싫음", 경도 350 에서 "싫음"으로 평가되었다.
② (8mS/㎝) 의 미네랄수를 사용하여 경도를 조정한 샘플의 경우, 경도 250, 300 까지의 샘플에서는 짠맛은 느껴지지 않아, 종합평가에서는 "약간 좋음"으로 평 가되었다. 경도 350 의 샘플에서는 약간 짠맛이나 미끈거리는 맛이 느껴지게 되어, 종합평가에서는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이상의 경도에서는, 짠맛이나 잡맛, 미끈거리는 맛이 느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다.
③ (6mS/㎝) 의 미네랄수를 사용하여 경도를 조정한 샘플의 경우, 경도 300 까지의 샘플에서는 짠맛이나 미끈거리는 맛이 느껴지지 않아, 종합평가에서는 "좋음"으로 평가되었다. 경도 350 에서는 "약간 좋음", 경도 500 에서도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도 1000 에서는, 짠맛이나 잡맛, 미끈거리는 맛이 느껴지게 되어, 종합평가에서는 "약간 싫음"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② (8mS/㎝) 의 미네랄수의 경우는 경도 350까지, ③ (6mS/㎝) 의 미네랄수의 경우는 경도 500 까지, ① (12mS/㎝) 의 미네랄수에 대해 향미적인 우위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의해, 실시예 2 에 의해 얻어진 나트륨 농도가 낮고, 또한 마그네슘 농도가 높은 해수 미네랄수는, 종래의 해수 유래의 미네랄수와 비교하여도 향미가 우수하여, 각종 음식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각 샘플의 관능평가결과
경도 평가항목 미네랄수
①12mS/㎝ ②8mS/㎝ ③6mS/㎝
250 종합평가
짠맛
미끈거리는 맛
쓴맛
잡맛
마시기 어려움
3
3
3
2
2
2
4
0
0
0
1
0
5
0
0
0
0
0
300 종합평가
짠맛
미끈거리는 맛
쓴맛
잡맛
마시기 어려움
2
3
3
2
2
2
4
0
1
0
1
0
5
0
0
0
0
0
350 종합평가
짠맛
미끈거리는 맛
쓴맛
잡맛
마시기 어려움
1
3
3
3
3
3
3
2
1
0
1
1
4
1
0
0
1
0
500 종합평가
짠맛
미끈거리는 맛
쓴맛
잡맛
마시기 어려움
1
4
3
3
4
4
3
3
3
2
3
2
3
2
1
2
2
2
1000 종합평가
짠맛
미끈거리는 맛
쓴맛
잡맛
마시기 어려움
1
4
4
4
4
4
1
4
3
4
4
4
2
3
2
2
2
2
평가방법 : 평가는 전문 패널리스트 6 명에 의해 실시하였다. 종합평가는 5 (좋음)ㆍ4 (약간 좋음)ㆍ3 (어느 쪽도 아님)ㆍ2 (약간 싫음)ㆍ1 (싫음) 의 5 단계 평가. 향미 평가는 4 (강하게 느껴짐)ㆍ3 (느껴짐)ㆍ2 (약간 느껴짐)ㆍ1 (조금 느껴짐)ㆍ0 (느껴지지 않음) 의 5 단계 평가.
실시예 4 :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1000㎖ 를 오븐에 의해 증발건조시켜, 해수 미네랄 건조물 5.5g 을 얻었다.
실시예 5 : 미네랄 함유 과즙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과즙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오렌지 과즙 3.0
과당 포도당 액당 11.0
시트르산 0.2
L-아스코르브산 0.0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 8.0
향료 0.15
순수 잔량
(*1)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6 : 미네랄 함유 청량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청량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과당 포도당 액당 11.0
시트르산 0.2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0.005
L-글루타민산나트륨 0.005
L-아스코르브산 0.0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2) 8.0
향료 0.15
순수 잔량
(*2)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7 : 미네랄 함유 우유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우유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특그라뉴당 6.0
과당 포도당 액당 3.0
탈지분유 0.7
발효유 4.0
펙틴 0.5
L-아스코르브산 0.0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3) 8.0
순수 잔량
(*3)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8 : 미네랄 함유 탄산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탄산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4) 8.0
이산화탄소 0.5
순수 잔량
(*4)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9 : 미네랄 함유 커피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커피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특그라뉴당 8.0
탈지분유 5.0
캬라멜 0.2
커피 추출물 2.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5) 8.0
향료 0.1
순수 잔량
(*5)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10 : 미네랄 함유 차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녹차 0.8
말차 0.05
L-아스코르브산 0.04
탄산수소나트륨 0.02
향료 0.1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6) 8.0
순수 잔량
(*6)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11 : 미네랄 함유 야채 음료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야채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믹스 야채즙 40.0
사과과즙 2.0
꿀 5.0
당근퓨레 8.0
L-아스코르브산 0.0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7) 8.0
향료 0.15
순수 잔량
(*7)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12 : 미네랄 함유 리큐어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리큐어 (알코올도수 14%) 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브랜디 5.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8) 8.0
향료 0.15
순수 잔량
(*8)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13 : 미네랄 함유 츄하이(탄산수 함유 소주)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츄하이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스피릿(spirit) 3.0
소주 25.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9) 8.0
시트르산 0.5
향료 0.15
순수 잔량
(*9) 실시예 1 에서 전기전도도가 6mS/㎝ 또는 8mS/㎝ 로 될 때까지 전기투석처리하여 얻어진 해수 미네랄수
실시예 14 : 미네랄 함유 타블렛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포도당 70.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0) 3.0
젖당 20.45
아라비아고무 6.0
L-아스코르브산 0.05
페파민트 파우더 0.5
(*10)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순수 미네랄 건조물
실시예 15 : 미네랄 함유 캔디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캔디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설탕 45.0
물엿 51.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1) 3.0
향료 0.5
페파민트 파우더 0.5
(*11)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해수 미네랄 건조물
실시예 16 : 미네랄 함유 구미 캔디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구미 캔디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분말 젤라틴 9.0
열수 31.05
설탕 24.0
물엿 32.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2) 3.0
페파민트 파우더 0.45
(*12)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해수 미네랄 건조물
실시예 17 : 미네랄 함유 쿠키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쿠키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박력분 32.0
전란(全卵) 16.0
마아가린 18.0
상백당 25.5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3) 2.5
베이킹파우더 0.2
물 잔량
(*13)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해수 미네랄 건조물
실시예 18 : 미네랄 함유 젤리의 제조방법
하기의 조성에 의해 젤리를 제조하였다.
(조성) (배합%, 중량)
그라뉴당 15.0
젤라틴 5.0
오렌지엑기스 5.0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14) 1.5
페파민트 파우더 0.4
순수 잔량
(*14)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해수 미네랄 건조물
본 발명의, 안정적으로 마그네슘, 칼슘 등의 건강 효능을 갖는 미네랄 성분의 비율을 높여, 나트륨, 칼륨 등의 1가 이온을 저감한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은, 해수 유래의 미네랄 조성물로서, 저염식품이나 건강식품 등, 나트륨 첨가량이 문제가 되는 식품에도 널리 응용할 수 있고, 음료수로 가공했을 때의 관능적인 짠맛이나 잡맛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건강 효능에 있어서도, 이 미네랄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마그네슘이나 칼슘의 섭취로 기대할 수 있는 순환 기계 질환이나 생활습관병 등의 예방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해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1차 미네랄수를 수득하는 제1공정, 및 상기 1차 미네랄수를 전기투석처리하여 2차 미네랄수를 수득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6㎎/ℓ이하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나트륨 농도가 4㎎/ℓ이하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이, 경도 100 (EDTA법) 의 수용액으로 조정했을 때에, 마그네슘 농도가 20㎎/ℓ이상인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마그네슘과 칼슘의 중량비 (Mg/Ca) 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가 해양 심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가 200m 이상 깊이의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에 있어서 전기투석처리가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10mS/㎝ 미만까지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처리에 있어서 농축실측 나트륨 농도를 20㎎/ℓ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 있어서 전기투석처리가 1가 양이온 선택적 투석막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 12mS/㎝ 미만까지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미네랄 성분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7002234A 2002-08-09 2003-08-08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KR101002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32809 2002-08-09
JP2002232809A JP2004065196A (ja) 2002-08-09 2002-08-09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063A KR20050059063A (ko) 2005-06-17
KR101002197B1 true KR101002197B1 (ko) 2010-12-20

Family

ID=317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234A KR101002197B1 (ko) 2002-08-09 2003-08-08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81918A1 (ko)
JP (1) JP2004065196A (ko)
KR (1) KR101002197B1 (ko)
CN (1) CN100355666C (ko)
MY (1) MY146800A (ko)
TW (1) TW200406160A (ko)
WO (1) WO2004014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384A (ja) * 2004-03-29 2005-10-13 Aroma Kagaku Kikai Kogyo:Kk 海水から理想的な飲料水を製造する方法
JP2005320278A (ja) * 2004-05-07 2005-11-17 Suntory Ltd 自律神経調節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FR2872046B1 (fr) * 2004-06-28 2006-09-15 Pascal Hemmery Compostion a base d'eau de mer, son procede de preparation, son utilisation pour l'hygiene de l'appareil genital feminin et dispositif pour son utilisation
US20060147559A1 (en) * 2005-01-06 2006-07-06 National Research Laboratories, Ltd. Methods for Altering the Mineral Content of Foods
JP5090657B2 (ja) * 2006-04-04 2012-12-05 明王物産株式会社 ミネラル水の粉末
JP2008067641A (ja) * 2006-09-14 2008-03-27 Shizuoka Gyunyu Kyodo Kumiai 乳飲料と加工乳
US7854956B2 (en) * 2007-03-07 2010-12-21 Exportadora De Sal, S.A. De C.V. Low sodium sal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S2316284B1 (es) * 2007-06-06 2010-01-26 Alvaro Fernando Torres Rico Bebida elaborada mediante la mezcla de cerveza y bebidas de tipo energetico y/o isotonico.
CN101481167B (zh) * 2008-01-09 2011-05-04 财团法人石材暨资源产业研究发展中心 矿物质组合物的制造方法
JP4977652B2 (ja) * 2008-06-21 2012-07-18 エヌワイケー株式会社 塩類含有水の淡水化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251412B2 (en) * 2011-12-13 2019-04-09 Watermins Llc Liquid dietary supplement formulation compositions
CN103315285B (zh) * 2012-03-22 2014-11-19 台湾海洋深层水股份有限公司 深层海水浓缩矿物质在制备减少肌肉组织损伤的食品中的应用
US10104901B2 (en) * 2012-04-17 2018-10-23 Luberski, Inc. Optimizing egg production characteristics via seawater mineralization
US10201153B2 (en) 2012-04-17 2019-02-12 Luberski, Inc. Optimizing egg production characteristics via seawater mineralization
JP6061333B2 (ja) * 2012-11-14 2017-01-18 赤穂化成株式会社 海水由来のカルシウム含有剤
JP6270099B2 (ja) * 2013-07-22 2018-01-31 株式会社クラレ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成分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CN105211994A (zh) * 2014-06-17 2016-01-06 三得利控股株式会社 碳酸水及其制造方法
KR101553833B1 (ko) 2014-10-06 2015-09-18 한국식품연구원 통전가열을 이용한 사골육수 제조방법
JP6807160B2 (ja) * 2016-03-15 2021-01-06 雪印種苗株式会社 サイレージ調製用乳酸菌及びサイレージ調製用添加剤
JP2018014978A (ja) * 2016-07-29 2018-02-01 室戸海洋深層水株式会社 ミネラル分としてマグネシウム及びカルシウムを含んだ清涼飲料水
CN106721692B (zh) * 2016-11-17 2020-10-27 黑龙江省科学院火山与矿泉研究所 一种即食五大连池重碳酸型矿泉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558082B (zh) * 2018-05-03 2021-07-30 自然资源部天津海水淡化与综合利用研究所 一种深海低钠功能浓缩液的制备方法
US20220195491A1 (en) * 2018-06-29 2022-06-23 Viktor Veniaminovich Tets Compositions for modulating gut microbiota
CN112130595B (zh) * 2020-09-23 2022-09-20 四川鼎德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凝土原材料配合比的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16C (zh) * 1995-12-05 2002-08-21 徐宝安 一种海水淡化方法及装置
JPH1080678A (ja) * 1996-09-06 1998-03-31 Yoshimichi Kijima 海水抽出液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5061B2 (ja) * 2000-01-07 2008-02-13 赤穂化成株式会社 深層水由来のミネラル成分含有の鉱泉水飲料
JP4104105B2 (ja) * 2001-02-14 2008-06-1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ミネラル飲料製造方法
JP2003159031A (ja) * 2001-11-21 2003-06-03 Goshu Yakuhin Kk 海洋深層水由来ミネラル補給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4154A1 (ja) 2004-02-19
CN1681402A (zh) 2005-10-12
KR20050059063A (ko) 2005-06-17
TW200406160A (en) 2004-05-01
JP2004065196A (ja) 2004-03-04
MY146800A (en) 2012-09-28
US20050281918A1 (en) 2005-12-22
CN100355666C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97B1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US6884444B1 (en) Drinks with the use of seawa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89807A (zh) 不加糖或人造甜味剂的运动饮料
US20090186128A1 (en) Beverage health formulations
JP6278988B2 (ja) 植物系電解液組成物
JP4965351B2 (ja) マスキング剤
CN102715486A (zh) 一种食用菌风味调味品及其生产方法
CN103005058A (zh) 一种樱花奶茶及其制造方法
RU2511268C2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яблочный напиток
KR20100114974A (ko)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020045598A (ko)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식품 및 음용수 제조 방법
JP4607164B2 (ja) 飲料の製造方法
JPS63160567A (ja) 健康飲料組成物
CN102342559A (zh) 一种绿豆饮料及其制造工艺
KR20100117691A (ko) 매실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 소금 제조 및 그 제조방법
CN112515065A (zh) 一种绿芦笋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80101293A (ko) 해양 심층수 함유 식해
JP2004065162A (ja) 清涼飲料
RU2538121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напитка "со вкусом маракуйи"
RU241561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ислородного напитка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Pushpa et al. Formulation of hypotonic electrolyte re-hydration whey drinks from paneer and cheese whey
KR101189844B1 (ko) 맛 좋고 몸에 좋은 마그네슘이 강화된 미네랄 워터
CN101959431A (zh) 使身体苗条适中的燃烧脂肪的水
JP2007267747A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8740A (ja) 海水を利用した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