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778B1 -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 Google Patents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778B1
KR101879778B1 KR1020170009053A KR20170009053A KR101879778B1 KR 101879778 B1 KR101879778 B1 KR 101879778B1 KR 1020170009053 A KR1020170009053 A KR 1020170009053A KR 20170009053 A KR20170009053 A KR 20170009053A KR 101879778 B1 KR101879778 B1 KR 101879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rice cake
rice
water
f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17000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이 굳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에 관한 것으로, 소금과 소프트엠을 물에 녹이는 단계; 체친 쌀가루에 상기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찜통에 넣어 일정 시간동안 찌는 단계; 상기 반죽을 일정 시간동안 식힌 후 반죽을 펀칭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Method for producing not hardened rice cake and rice cake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이 굳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곡식의 가루를 찌거나 익힌 뒤 모양을 빚어 먹는 음식으로 주로 찹쌀이나 멥쌀이 사용된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달했으며 첨가되는 곡물과 재료, 만드는 방법, 빚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떡은 대개 곡식을 가루로 빻아서 축축하게 습기가 있는 것을 그대로 시루에 안쳐서 찌거나, 물을 섞어 반죽을 한 후 빚어서 찌거나 삶으며, 번철에 기름을 두르고 지져서 익히기도 한다. 인절미나 흰떡은 떡을 찐 후 안반에 놓고 떡메로 쳐서 만든다. 주로 점성이 강한 찹쌀이나 멥쌀을 사용하며, 밀ㅇ보리ㅇ감자 전분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방이나 계절에 따라서 특색이 있는 견과류 ㅇ건과류 ㅇ나물 ㅇ꽃잎 등을 혼합 또는 첨가한다.
이러한 떡은 한국에서 떡은 관혼상제의 의식 때에는 물론, 철에 따른 명절, 출산에 따르는 아기의 백일이나 돌, 또는 생일, 회갑, 그 밖의 잔치에는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그러나 떡은 저장성이나 보관성이 취약하여 상품화와 그 유통에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떡에 함유된 전분의 노화에 기인되며, 전분의 노화란 전분의 호화상태가 저장기간 중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돌아가 결정화 상태로 변화하면서 전분젤이 단단하게 되고 전분 분자 사이의 일부 물분자가 빠져나와 상분리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저장 안전성을 상실하게 되고 조직감이 단단하여 전분질 식품의 품질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떡의 관능은 예를 들어, 색, 향, 맛, 구강 내에서의 촉촉한 정도나 이에 달라붙는 정도, 구강내에서의 부드러운 정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를 통해 발휘되는데, 조리완료시 시간이 소요되면 전분의 노화에 의해 그 관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결정화에 의하여 질감은 딱딱해지고, 수분의 상실로 촉촉함과 부드러움이 상실되며, 맛과 향 역시 하락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3186호(2012.12.11 등록)는 장기간동안 보관을 가능하게 하여 전국적인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기간 보관가능한 포장떡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알카리수에 찹쌀 또는 멥쌀로 이루어진 곡류를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불린 상기 곡류를 쪄서 찜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찜덩어리를 외기와 차단된 질소환경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찜덩어리에 반복적인 압력을 주어 떡반죽으로 호화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함유된 산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떡반죽을 압출성형한 후 절단하여 떡몸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1595호(2012.10.09 등록)는 효소 및 트레할로스 성분이 함유된 떡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준비된 쌀을 수세 후 쌀 중량 대비 200중량%의 물에 부어 12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상기 침지한 쌀을 체에 내려서 물기를을 뺀 후 롤러밀을 이용하여 쌀가루 형태로 분쇄하는 1차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가 이루어진 쌀가루 75 ~ 90중량%에 물 9.96~25중량%, 그리고 전분 분해 효소 0.04~1.0중량%을 혼합시키는 효소 혼합단계; 상기 효소가 혼합되어진 재료를 롤러밀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2차분쇄단계;(ST 4) 상기 분쇄된 쌀가루 80~95중량%, 설탕 2~10중량%, 트레할로스 3~17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트레할로스 혼합단계; 상기 트레할로스 혼합이 이루어진 쌀가루를 20mesh의 체에 내린 후 떡시루에 넣고 스팀가열을 실시하여 떡을 성형하는 증숙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떡 제조방법은, 떡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화를 지연시키는 트레할로스를 혼합하거나, 조리과정을 변형하는 방법 등이 안출되고 있으나, 이에 의해 떡 고유의 특성이나 고유의 풍미감을 저하시키며, 반죽에서 냄새가 나고 색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31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9159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프트엠을 혼합하여 떡이 굳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소금과 소프트엠을 물에 녹이는 단계; 체친 쌀가루에 상기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찜통에 넣어 일정 시간동안 찌는 단계; 상기 반죽을 일정 시간동안 식힌 후 반죽을 펀칭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에 녹이는 단계는, 물의 온도가 80 ~ 8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는, 쌀가루와 소프트엠의 혼합 비율이 1:0.00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찌는 단계는, 15 ~ 25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는, 체친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반죽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2차로 반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2차로 반죽하는 단계는, 5 ~ 15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반죽을 상온에서 5 ~ 15분 동안 식힌 후에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반죽에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뿌리면서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엠을 혼합하여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 고유의 특성이나 고유의 풍미감을 유지하면서 떡이 굳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반죽에서 냄새가 나거나 반죽 색의 변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떡이 시간이 지나거나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더라도 떡 고유의 말랑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소금과 소프트엠을 물에 녹인다(S100).
소프트엠은 옥수수 전분과 알파아밀라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화방지제로써, 알파아밀라아제는 동물, 식물, 미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동물 소화관의 알파아밀라아제는 음식물의 분해소화에 아주 중요하지만 혈액 중에도 존재하여 이것은 인간의 질병 진단에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80 ~ 85℃ 온도의 물에 소금과 소프트엠을 녹여 사용할 수 있다. 80℃ 이하 또는 85℃ 이상의 물에 녹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엠의 노화방지 효과가 없다.
상술한 단계 S100에서 소금과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체친 쌀가루에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한다(S200).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반죽을 생성하기 전에 쌀가루를 체를 쳐서 쌀가루 사이사이에 공기가 투입되어 공기 포함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떡이 부드럽고 섬세한 질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쌀가루와 소프트엠의 혼합 비율이 1:0.001일 수 있다. 즉, 쌀가루 1kg 당 1g의 소프트엠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량의 소프트엠을 혼합할 경우 떡이 물러질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쌀가루 82.51 ~ 83.73%, 소프트엠 0.07 ~0.09%, 소금 0.2 ~ 0.4% 물 16 ~17%의 혼합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200g당 소프트엠 0.2g, 소금 0.7g, 물 40g을 혼합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쌀가루는 멥쌀 또는 찹쌀을 분쇄하여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잡곡을 혼합할 수도 있다. 분쇄된 쌀 입자의 크기는 30 ~ 90메쉬가 적당하며, 90 메시 이상의 경우는 떡의 성형이 잘되지 않으며, 30 메쉬 이하의 경우는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반죽 생성시 반죽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반죽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할 수 있다. 이때, 쌀가루와 밀가루를 일정 비율로 섞어 체를 쳐서 소금과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거나, 체친 쌀가루에 소금과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혼합하여 생성한 반죽에 체친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할 수 있다.
쌀가루에는 글루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밀가루를 첨가하여 글루텐 작용을 도와줄 수 있다. 글루텐은, 밀가루에 소량의 물을 가해서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든 다음, 이것을 다량의 물 속에서 주무르면 녹말이 물 속에 현탁하여 제거되고, 점착성이 있는 덩어리로 남는 것이며, 글루텐을 50~70%의 에틸알코올과 섞으면 녹는 성분과 녹지 않는 성분이 있는데, 전자를 글리아딘(gliadin), 후자를 글루테닌(glutenin)이라 한다. 글루텐의 양은 밀가루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글루텐의 끈기는 가스를 보유하는 힘이 있으며, 빵이 부푸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또 밀가루가 다른 곡분에 비해 물을 균등하게 흡수하는 것과, 면이 잘 늘어나는 것은 모두 글루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밀가루를 가공 조리하는 데 기본이 되는 성분이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쌀가루 82.27 ~ 83.48%, 밀가루 0.2 ~ 0.3%, 소프트엠 0.07 ~ 0.09%, 소금 0.25 ~ 0.34%, 물 16 ~ 17%의 혼합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200g당 소프트엠 0.2g, 밀가루 0.6g, 소금 0.7g, 물 40g을 혼합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일반 밀가루보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통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할 수도 있다. 통밀가루는, 밀입자를 분쇄한 후 밀기울과 배아의 분리를 하지 않은 전립의 모든 가루로,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며, 그 외에도 비타민류, 무기질, 효소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통밀가루의 식이섬유가 혈당상승억제 효과가 있어서 당뇨 환자들이 먹기에도 무방하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즙짜는 기계를 이용하여 과일로부터 분리된 과일즙을 혼합하여 반죽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과일로는 사과, 복숭아,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 딸기 등일 수 있다. 과일의 맛과 향이 첨가되어 다양한 풍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끓인 팥물을 혼합하여 반죽할 수도 있다. 팥은, 비타민 B1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곡물로 식욕부진, 수면장애, 기억력 감퇴 등에 도움을 주고, 이노작용이 탁월하여 체내에 쌓여있는 노폐물 배출에 좋고 신장기능을 향상시키며 몸이 자주 붓는 부종제거에도 효과가 있으며, 사포닌과 콜린 함량이 많아서 혈중 중성지방 조절, 항암효과, 성인병 예방 등에 효과가 있으며,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서 당뇨 예방 및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땅콩, 해바라기씨, 아몬드 등의 견과류를 혼합하여 반죽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서 생성한 반죽을 찜통에 넣어 일정 시간동안 쪄준다(S300).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110 ~ 125℃의 온도에서 15 ~ 25분 동안 쪄낼 수 있다. 찌는 시간이 15분 미만이면 떡이 충분히 쪄지기에 부족한 시간이며, 25분을 초과하면 반죽이 질어질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0에서 쪄진 반죽을 일정 시간동안 식힌 후 반죽을 펀칭하여 떡을 제조한다(S400).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반죽을 상온에서 5 ~ 15분(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식힌 후에 5분 ~ 15분간 펀칭할 수 있다. 반죽을 식히는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 떡이 일정 시간(예를 들어, 24시간)을 경과하면 그 경도가 떡의 굳음 방지에 적합하지 않은 정도로 높아지게 되며, 반죽을 식히는 시간이 15분을 초과하는 경우, 식힘 이후 펀칭하는 과정에서 반죽이 모두 식어버리기 때문에 떡 성형시 제조 효율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죽을 펀칭하는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 반죽이 고루 섞이지 않아 굳음 방지에 문제가 있고, 반죽을 펀칭하는 시간이 15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죽이 너무 질겨져 품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반죽에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뿌리면서 펀칭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펀칭기를 이용하여 펀칭할 수 있고, 손으로 치대면서 펀칭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펀칭한 반죽을 노즐을 통해 압출하여 떡을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파우치나 기타 모양으로 성형한 용기에 떡을 포장하여 110 ~ 140℃의 고온에서 15분 ~ 30분 동안 멸균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서 제조된 떡은 송편, 꼬지용 떡, 떡볶이용 떡, 탕용 떡, 강정용 떡 등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은 반죽에 소프트엠을 혼합하여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 고유의 특성이나 고유의 풍미감을 유지하면서 떡이 굳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반죽에서 냄새가 나거나 반죽 색의 변화가 없다. 또한, 떡이 시간이 지나거나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더라도 고유의 말랑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에, 반죽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2차로 반죽할 수 있다(S500). 반죽에 일정한 양의 식용유를 첨가하면 반죽에 윤기가 나고 더 쫀득해질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500에 있어서, 반죽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5 ~ 15분(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반죽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쌀가루 82.38 ~ 83.53%, 소프트엠 0.07 ~ 0.09%, 소금 0.25 ~ 0.34%, 물 16 ~ 17%, 식용유 0.15 ~ 0.19%의 혼합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쌀가루 200g당 소프트엠 0.2g, 소금 0.7g, 물 40g, 식용유 0.4g을 혼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은, 반죽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2차로 반죽하는 경우, 1차로 반죽을 생성할 때 밀가루를 혼합하지 않아야 한다. 반죽에 식용유와 밀가루 두 가지 모두 혼합하게 되면 반죽이 단단해져 떡을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0 : 물에 녹이는 단계
S200 :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S300 : 찌는 단계
S400 : 떡을 제조하는 단계
S500 : 2차로 반죽하는 단계

Claims (10)

  1. 소금과 소프트엠을 물에 녹이는 단계;
    체친 쌀가루에 상기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죽을 찜통에 넣어 일정 시간동안 찌는 단계;
    상기 반죽을 일정 시간동안 식힌 후 반죽을 펀칭하여 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에 녹이는 단계는, 물의 온도가 80 ~ 85℃이며,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는, 쌀가루와 소프트엠의 혼합 비율이 1:0.001이며,
    상기 찌는 단계는, 15 ~ 25분 동안 실시하며,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는, 체친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반죽에 식용유를 첨가하여 2차로 반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로 반죽하는 단계는, 5 ~ 15분 동안 실시하며,
    상기 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반죽을 상온에서 5 ~ 15분 동안 식힌 후에 펀칭하며,
    상기 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반죽에 소프트엠을 녹인 물을 뿌리면서 펀칭하며,
    상기 반죽을 생성하는 단계 및 2차로 반죽하는 단계는 쌀가루 82.38 ~ 83.53%, 소프트엠 0.07 ~ 0.09%, 소금 0.25 ~ 0.34%, 물 16 ~ 17%, 식용유 0.15 ~ 0.19%를 포함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의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KR1020170009053A 2017-01-19 2017-01-19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KR101879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53A KR101879778B1 (ko) 2017-01-19 2017-01-19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53A KR101879778B1 (ko) 2017-01-19 2017-01-19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778B1 true KR101879778B1 (ko) 2018-07-18

Family

ID=6304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53A KR101879778B1 (ko) 2017-01-19 2017-01-19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46A (ko) * 2020-10-16 2022-04-25 양동욱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44B1 (ko) * 2007-01-17 2008-04-24 강장래 떡케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4632A (ko) * 2011-04-07 2012-10-17 한국식품연구원 망개떡용 기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03972A (ja) * 2012-05-30 2014-01-16 Nisshin Oillio Group Ltd 餅又は団子用の老化防止剤、当該老化防止剤を使用する餅又は団子の製造方法、及び、当該老化防止剤を含む餅又は団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44B1 (ko) * 2007-01-17 2008-04-24 강장래 떡케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4632A (ko) * 2011-04-07 2012-10-17 한국식품연구원 망개떡용 기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03972A (ja) * 2012-05-30 2014-01-16 Nisshin Oillio Group Ltd 餅又は団子用の老化防止剤、当該老化防止剤を使用する餅又は団子の製造方法、及び、当該老化防止剤を含む餅又は団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46A (ko) * 2020-10-16 2022-04-25 양동욱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KR102554494B1 (ko) * 2020-10-16 2023-08-16 선명숙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9190B (zh) 一种膨化高膳食纤维食品的生产方法
KR102049591B1 (ko) 옥수수 빵의 제조방법
KR101176372B1 (ko) 쌀가루를 이용한 호두과자용 프리믹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832B1 (ko) 쌀가루를 함유한 호두과자 제조방법
KR100806218B1 (ko) 비타민 빵의 제조방법
KR20110043854A (ko) 마를 함유하는 밀면 제조방법
KR101231221B1 (ko) 미강을 주재료로 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778B1 (ko)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굳지 않는 떡
CN1194628C (zh) 保健黑米酥
KR102000908B1 (ko) 장단콩가루가 함유된 면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면류
KR102077906B1 (ko) 빵나무 열매의 분말로 제조된 국수, 가래떡의 제조방법
KR20210071636A (ko) 수수 그래놀라 원물 제조 방법
KR20210080938A (ko) 양배추를 이용한 빵 반죽의 제조방법 및 그 반죽을 이용한 빵
KR101091830B1 (ko) 쌀가루를 함유한 호두과자용 반죽 제조방법
KR101570077B1 (ko) 단감분말 포함 산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산자
CN101524127A (zh) 即食米加工方法
KR101590300B1 (ko) 수삼 전병 제조방법
KR102126074B1 (ko) 옥수수 반죽 반제품의 제조방법
KR20180027005A (ko) 쓴메밀국수의 제조방법
KR101821175B1 (ko) 들깨가 함유된 치자현미국수 제조방법
KR101680967B1 (ko) 앉은뱅이밀을 이용한 밀가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밀빵, 국수면의 제조방법
KR20160080878A (ko)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20060033683A (ko) 발아통밀 식빵의 제조방법
CN107821535A (zh) 一种改性青稞馅料的制备方法及月饼以及月饼的制备方法
JP2005245410A (ja) 焙煎発芽穀物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