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38B1 -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38B1
KR101879538B1 KR1020170051007A KR20170051007A KR101879538B1 KR 101879538 B1 KR101879538 B1 KR 101879538B1 KR 1020170051007 A KR1020170051007 A KR 1020170051007A KR 20170051007 A KR20170051007 A KR 20170051007A KR 101879538 B1 KR101879538 B1 KR 10187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uide groove
groove
conveying path
compon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후루타
유지 고도
마코토 아카이와
노리요시 호카리
히데키 오리하시
아츠시 야마모토
야스히로 미나가와
유키 기우치
요스케 모모세
아츠키 다케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B65G47/1464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using the centrifugal effect to arrange or orientate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 B65G2812/0388Troughs, tub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 B65G2812/0392Screw-, spiral- or ring-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부품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파츠 피더는, 부품 수용기(61)와, 부품 수용기의 축선 둘레에 회전 진동을 부여하는 회전 진동기를 구비하고, 원추대형상의 내면(62a)을 구비하는 동시에, 내면상에 형성되고, 외주측으로 향하여 연재되는 부품 안내홈(62b, 62c, 62d, 62e, 62f, 62g)를 구비한 내저부(62)와, 역원추대형상의 내면(63a)을 구비하는 동시에, 내면상에 형성되고, 내저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는 출발점(63s)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부품 반송로(63b)를 구비한 내주부(63)를 가지고, 부품 안내홈은,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규제한 상태에서 안내한다.

Description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PARTS FEEDER AND PARTS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파츠 피더를 구성하는 부품 수용기의 부품안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6(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츠 피더(4)는, 보울형의 부품 수용기(41)를 회전 진동기(40) 상에 탑재한 구조를 가진다. 부품 수용기(41)는, 다수의 부품을 머물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외주측으로 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원추대형상의 내면(42a)을 구비한 내저부(42)와, 이 내저부(42)의 외주에 마련된 역 원추형상의 내면(42a)을 구비한 내주부(43)를 가진다. 이 내주부(43)에는, 축선 둘레의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부품 반송로(43b)가 마련된다. 상기 부품 수용기(41)가 회전 진동기(40)에 의해 축선 둘레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반송방향의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는 진동을 받으면, 이 진동에 의해 내저부(42)의 원추형상의 내면(42a) 상에 배치된 다수 개의 부품(P)은 서서히 외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내주부(43)의 내주의 최하부에 도달한 부품은, 상기 내주부(43) 상의 부품 반송로(43b)의 출발점(여기서, ‘출발점’은 일본어 원문으로 “登り口”이며, 영어로는 “starting point for an ascent”의 의미입니다만, 이하에서는 ‘출발점’으로 표현함)으로부터 나선형상으로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해간다. 그리고 파츠 피더(4)는, 도시한 부품공급장치(10)에 장착됨으로써 사용된다. 여기서, 부품공급장치(10)에서는 부품 수용기(41)의 외주에 리니어 피더(5)의 진동체(51)가 미세한 간극을 개재시켜 배치되고, 상기 부품 반송로(43b)가 진동체(51)에 마련된 직선형상의 부품 반송로(51b)에 접속된다. 부품 반송로(51b)에서는, 정규의 자세로 정렬된 부품(P)이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반송되어 가고, 공급단(53)에서 도시하지 않은 검사장치나 실장기 등에 공급된다. 
종래의 부품 수용기로서는, 이하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전(帶電)에 의한 부품의 반송불량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내저부 상에 마련된 복수 개의 부품 안내용의 홈이 도중에서 합류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활한 부품의 합류를 목적으로 하여 내저부에서 내주부로 연속된 복수 개의 나선형상의 부품 반송로가 마련되고, 내주부 상에서 복수 개의 부품 반송로가 합류하도록 구성된 구조도 알려져 있다. 더욱이 아래의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끼리의 부착을 저감시키기 위해, 내저부 상의 스파이럴형상 혹은 방사형상의 홈부를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홈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부품 측면끼리 밀착되기 어려운 자세로 되도록 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2002-24092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34360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84156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부품 수용기에 있어서는, 내저부(42) 상을 외주로 이동한 부품(P)이 내주부(43) 상의 부품 반송로(43b) 상을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부품 반송로(43b) 상에서 외주측 부품의 반송방향의 간극에 다른 부품을 삽입하면서, 다른 부품상에 겹쳐 쌓인 부품, 정규의 자세와는 다른 자세로 반송되어 가는 부품 등을 서서히 배제하고, 이 배제된 부품은 내저부(42)로 낙하시켜서 다시 최하부로부터 부품 반송로(43b) 상을 올라가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품 반송로(43b) 상에는 최종적으로 정규 자세의 부품(P)이 일렬로 반송되어 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부품(P)의 반송과정에 있어서 부품 반송로(43b) 상의 부품의 반송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최근, 특히 소형의 부품 공급에 있어서 요청이 강한, 부품(P)의 공급속도의 향상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주부(43) 상의 부품 반송로(43b)는, 하류측(상방측)을 향하여 서서히 나선의 반경이 증가함에 따른 부품의 반송밀도의 저하나, 상기 부품(P)의 선별과정(배제)에 의한 부품의 반송밀도의 저하에 대응하기 위해, 출발점에 가까운 부품 반송로(43b)의 상류부 상에서는 다수 개의 부품이 겹친 상태에서 높은 반송밀도로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당초는 높은 반송밀도로 부품이 반송되어 가는데, 다수 개의 부품이 무질서하게 겹친 자세로 반송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선별 과정에 있어서 많은 부품이 배제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부품(P)이 정규의 자세로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반송되어 가도록 되었을 때에는, 각 부품(P)의 사이에 반송방향으로 많은 간극이 생긴 반송양태로 되고, 부품의 반송밀도가 크게 저하되는 일이 많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그 과제는, 반송과정에 있어서의 반송밀도의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부품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파츠 피더는, 부품 수용기와, 그 부품 수용기의 축선 둘레에 회전 진동을 부여하는 회전 진동기를 구비하는 파츠 피더이고, 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 상에 형성되고, 외주측으로 향하여 연재되는 부품 안내홈을 구비한 내저부와, 역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내저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는 출발점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부품 반송로를 구비한 내주부를 가지고,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상기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가지런히 모으기 위한 부품 정렬수단을 가지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상기 부품을 상기 정규의 자세로 규제한 상태에서 안내하고, 상기 부품 안내홈에 안내 규제된 상기 정규 자세의 상기 부품이 상기 출발점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출발점을 포함하는 상류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겹치는 양태로 상기 부품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적어도 한쪽에 겹치는 양태로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출발점을 포함하는 상류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의 쌍방에 겹치는 양태로 상기 부품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을 상기 쌍방에 겹치는 양태로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을 따로따로 보내는 복수 개의 부품경로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부품경로가 상기 출발점 앞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부품경로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폭방향으로 상호 빗겨난 위치에서 합류하는 경우가 있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빗겨난 위치에서 합류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상기 출발점에 대해 폭방향 및 상하방향의 쌍방으로 상호 빗겨난 위치에서 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渦卷)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와 같은 회전의 방향을 가지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권형상으로 구성된다 함은, 축선 둘레에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외주측으로 나아가는 연재양태를 말하고, 상기 축선 둘레에서 보았을 때에 1주 미만의 길이(범위)를 가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저부는, 복수 개의 상기 부품 안내홈이 상기 축선 둘레에 상호 병행하는 와권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저부 내에 있어서 상호 합류한 후에, 상기 출발점을 향하는 부품경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복수 개의 부품 안내홈은, 상호 축선 둘레의 방위가 다른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저부는, 축선 둘레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의 상기 부품 안내홈과, 그 제1의 부품 안내홈보다도 상기 경사각이 큰 제2의 상기 부품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이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부에서는,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의 적어도 일방에서 타방으로 상기 부품이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쌍방에서 타방으로 각각 상기 부품이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축선 둘레의 전주에 걸쳐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일의 부품 안내홈이 상기 축선 둘레의 전주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개의 부품 안내홈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축선 둘레의 전주에 부품 안내홈이 마련되게 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부품 안내홈이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 개의 홈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각 경우에는, 상기 부품 안내홈의 내주측으로부터 상기 부품 반송로의 출발점으로 이르는 경로가, 상기 부품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비홈형상 영역에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반경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 개의 홈부분 사이의 간극이 상기 홈부분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간극이 상기 부품의 통과 가능한 치수를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호 축선 둘레에 병행하여 복수 개의 상기 부품 안내홈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간극은, 상기 복수 개의 홈부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품 안내홈 사이에 마련된다. 특히, 반경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홈부분 혹은 상기 부품 안내홈 사이의 간극은, 상기 부품이 상기 회전 진동하에 있어서 상기 내저부의 내면상에서 안정적으로 취할 수 있는 어느 한 자세로 통과 가능한 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연장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정규의 자세는, 상기 부품 반송로 및 상기 부품 안내홈의 연재방향을 상기 부품의 연장된 방향으로 일치시킨 자세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부품은 직방체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의 상기 연장된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고, 상기 부품의 폭보다도 큰 폭을 구비하고,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의 전체를 수용 가능한 홈 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홈 저부의 내저면은, 상기 정규의 자세인 상기 부품의 대향하는 외면에 대응하는 면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향하는 외면이 평탄면, 돌곡면, 요곡면이라면, 내저면도 평탄면, 요곡면, 돌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홈 저부의 내저면이 평탄면일 때, 다시 부품의 자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그 내저면이 수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홈 저부의 적어도 외주측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홈 저부의 내저면에 대해 굴절하고, 상기 내저면과의 사이에 비연속인 면 경계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구비한 홈 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연속인 면 경계에 의해, 상기 부품의 외주측의 반송 위치와 상기 부품의 반송 자세를 각각 한정하도록 상기 부품과 상기 내측면이 계합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은, 상방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의 내측면은, 상기와 같이 외주측뿐만 아니라, 상기 홈 저부의 양측의 상기 홈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 과정에 있어서의 반송밀도의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부품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츠 피더의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기의 평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2는 부품 수용기의 각 영역의 경계 및 부품 반송로를 나타내는 평면도(a) 및 축선 둘레의 접선방향에 대한 부품 안내홈의 연재방향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b)이다.
도 3은 부품 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a-IV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a) 및 IVb-IVb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b)이다.
도 5는 부품(P)의 사시도(a), 도 1의 중심으로부터 IVa-IVa선을 따라 도시 우측 외주를 향하는 범위의 단면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b) 및 제2의 부품 안내홈 근방의 단면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c)이다.
도 6은 종래의 파츠 피더를 사용한 부품공급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츠 피더의 실시형태에 탑재하는 반송체인 부품 수용기의 형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아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시하는 부품 수용기 이외의 파츠 피더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 진동기 상에 부품 수용기가 탑재된 일반적인 구조를 채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파츠 피더를 포함하는 부품공급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기(61)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외의 재질에 의해 일체로 마련할 수 있다. 단,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부품 반송로(63c)를 따라 마련되는 부품 선별영역에 부착되는 선별 블록(64)이나 리니어 피더 등의 하류측 장치와의 접속부분에 부착되는 접속 블록(65)(부품 반송로(63c)의 출구(63d)를 구성함) 등을 별도 부재로서 형성하고, 부품 수용기(61)(의 외주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교환 가능하게 하거나, 복잡한 구조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부품 수용기(61)는, 도 6에 나타내는 회전 진동기(40)와 같은 회전 진동기의 진동반상에 고정되는 부착부(61a)와, 이 부착부(61a) 상에 마련되는 보울형상의 반송부(61b)를 가진다. 부착부(61a)는, 홈부 등의 부착구조를 개재시켜, 도시하지 않은 부착구 등을 사용하여 회전 진동기의 상기 진동반에 대해 강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회전 진동기는, 부품 수용기(61)에 대해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진동을 부여한다. 이 회전 진동은,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미소한 각도범위에서 왕복진동하는 진동양태를 나타낸다. 이 진동 양태에 있어서, 일방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왕로기간에서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향하도록 축선(61x)의 상향으로 이동하는 진동성분을 가지고, 타방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로기간에서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되돌아오도록 축선(61x)의 하향으로 이동하는 진동성분을 가진다. 이와 같은 회전 진동이 부품 수용기(61)에 부여됨으로써, 부품 수용기(6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송부(61b)는, 그 상방으로 향한 용기 내부에 있어서,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는 원추대형상(원추형상의 경우를 포함. 이하 동일)의 내면(62a)을 구비하는 내저부(62)와, 이 내저부(62)의 외주측에 마련되고, 내저부(62)를 주위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주형상의 벽에 의해 구성되고,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는 역원추대형상의 내면(63a)을 구비하는 내주부(63)를 가진다. 여기서, 통상 내주부(63)의 외주연의 높이는 내저부(62)의 정부보다도 높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저부(62)는, 일반적으로 부품 저류영역으로 되고, 다수 개의 부품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내저부(62)의 상기 내면(62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1~1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7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주부(63)의 상기 내면(63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20~8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6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내저부(62)의 내면(62a)의 경사각은, 내주부(63)의 내면(63a)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내저부(62)에 있어서는 부품을 대량으로 투입하여도, 회전 진동에 의해 서서히 부품이 외주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후술하는 외주연 홈부(62h)나 부품 안내홈의 최외주에 있는 홈부분에 과잉인 수의 부품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내주부(63)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부품 반송로(63b, 63c)가 하류측으로 향할 때의 지름의 증대를 억제함으로써, 축선(61x) 둘레의 반송로 길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반송밀도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내저부(62)의 외주부에 있어서, 축선(61x)의 둘레에 와권형상으로 형성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이 내면(62a)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도시예에서는 3 개)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이 형성되고, 이들은 상호 병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추대형상의 내면(62a) 상에 복수 조의 와권형상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이 상호 병행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은, 도시예의 경우, 축선(61x) 둘레의 전주에 걸쳐서,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향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와권형상 또한 하방으로 나아가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3d)은, 각각 시단(始端)(62bs, 62cs, 62ds)로부터 종단(終端)(62bt, 62ct, 62dt)까지가 축선(61x)의 둘레에 소정의 각도범위(도시예에서는 1주반)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의 부품 안내홈이 축선(61x) 둘레의 회전 대칭위치에 회전대칭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은, 전체적으로 축선 둘레의 전주에 걸쳐서 복수 개(도시예에서는 적어도 4 개)의 홈부분이 반경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의 부품 안내홈이 축선(61x)의 둘레에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은, 내저부(62) 내의 부품의 편향 등에 의한 부품 반송로(63b, 63c) 상의 부품의 반송밀도의 시간변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내저부(62)의 외주부에 있어서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같은 방향으로 축선(61x)의 둘레에 와권형상 또한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개(도시예에서는 3 개)의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2의 부품 안내홈은, 시단(62es, 62fs, 62gs)으로부터 종단(62et, 62ft, 62gt)까지, 축선(61x) 둘레의 소정의 각도범위(도시예에서는 90도의 범위)에 있어서, 제1의 부품 안내홈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까지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2의 부품 안내홈이 축선(61x) 둘레의 회전대칭위치에 회전대칭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부품 안내홈이 축선(61x)의 둘레에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은, 내저부(62) 내의 부품의 편향 등에 의한 부품 반송로(63b, 63c) 상의 부품의 반송밀도의 시간 변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제2의 부품 안내홈과의 교차부에서는,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각각에 대해, 복수 개(3 개)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이 모두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부품 수용기(61)에 대해서는, 도1(a)에 나타내는 IVa-IVa선을 따른 단면형상이 도 4(a)에 나타나고, 또한, 도 1(a)에 나타내는 IVb-IVb선을 따른 단면형상이 도 4(b)에 나타난다.
여기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은, 모두 상기 시단(62bs, 62cs, 62ds)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나아가고, 복수 개의 제2의 부품 안내홈(62g, 62f, 62e)과 순차적으로 교차한 후에, 복수 개의 제2의 부품 안내홈(62g, 62f, 62e)의 종단(62gt, 62ft, 62et) 혹은 그 종단에 대해 시계방향에 있는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종단(62bt, 62ct, 62dt)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부품 안내홈(62f, 62g)의 종단(62bt, 62ct, 62dt)은,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중의 최외주의 부분과, 내저부(62)와 내주부(63)의 경계선(BR)(도 2의 2점쇄선을 참조)과의 사이에 있는 외주연 홈부(62h)에 접속된다. 이 외주연 홈부(62h)는, 제2의 부품 안내홈(62g, 62f)의 종단(62gt, 62ft)에서 시작하고, 그 반시계방향의 측에 있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d, 62c)의 홈부분을 경유하여, 축선(61x)의 둘레를 따라 경계선(BR)의 내주측에 단속적으로 마련되고, 최종적으로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 및 그 앞의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외주부에 접속되는 종단(62i)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 반송로(63b)는, 도 2에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규의 자세에 있는 부품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평탄한 반송면(해칭면)과, 이 반송면의 외주측에 입설되는 외측면(해칭면의 외주측에 인접하는 급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부품 반송로(63b)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과 평면시에서 같은 방향(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시계 방향)의 와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부품 반송로(63b)는, 하방으로 향하는 나선형상의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62e, 62f, 62g)과는 역으로, 상방으로 향하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품 반송로(63b)의 하류측에는,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면의 폭이 협소화되거나 오목홈 구조로 되거나 한 부품 반송로(63c)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류측의 부품 반송로(63b)와 (63c)의 구별이나 각 반송로의 형성범위 등은 특히 도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쨌든,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반송로(63b)에 있어서, 광폭의 출발점(63s)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협소화된다. 이로써, 부품 반송로(63b)를 후술하는 정규의 자세에 있는 부품만이 통과하고, 서서히 다른 이자세(異姿勢)에 있는 부품을 낙하시켜 가도록 구성된 부품 선별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부품 반송로(63c)에도, 이자세에 있는 부품을 검출하여 배제하기 위한 부품 선별기구, 상하로 겹치는 부품을 분리하고, 다시 합류시켜서 일렬로 배열시키기 위한 부품 정렬구조 등의, 부품 선별수단이 마련된다. 단, 본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로(63b, 63c)는,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정렬시키기 위한 어떠한 부품 선별수단을 가짐으로써, 부품 반송로(63b, 63c)의 출구(63d)에 있어서, 혹은, 그 출구(63d)에 접속되는 다른 반송기에 마련된 후속의 반송로의 출구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정규의 자세로 일렬로 정렬된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회전 진동기에 의해, 축선(61x) 둘레의 상기 회전 진동이 부품 수용기(61)에 부여되면, 내저부(62)의 내면(62a) 상의 부품은,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이나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f, 62g)의 내부를 나아가고, 종단(62bt, 62ct, 62dt, 62ft, 62gt)으로부터 더 상기 경계선(BR)을 따라 단속적으로 마련된 외주연 홈부(62h)나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d, 62c)의 최외주에 있는 홈부분을 나아가고, 최종적으로 외주연 홈부(62h)의 종단(62i)을 개재시켜, 상기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또한, 상기 내면(62a) 상의 부품은,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내부를 나아감으로써, 그 종단(62et)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여기서, 내저부(62)에 있어서의 외주연 홈부(62h)나 제1의 부품 안내홈의 종단을 경유하여,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든 부품경로는, 기본적으로 하향 구배이기 때문에, 홈의 연재방향을 따라 전진하기 쉬운데, 상기 회전 진동에 의해 부품이 튀어 오르거나, 부품이 홈 저부로부터 멀어지기 쉽기 때문에, 부품의 자세는 변화하기 쉽다. 한편, 부품 반송로(63b, 63c)는 상향 구배가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행속도는 저하되는데, 부품은 상기 회전 진동에 의해서도 반송면으로부터 멀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부품의 자세는 변화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내저부(62) 내에 있어서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가지런히 모아두면, 부품 반송로(63b, 63c)상에서는 자세의 규제작용을 부여하지 않아도 부품의 정규의 자세가 유지되기 쉽다.
내저부(62)의 내면(62a)에 형성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은, 모두 후술하는 홈형상에 의해, 정규의 자세로 부품을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은, 모든 부품을 확실하게 정규의 자세로 규제한 상태에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는, 상기 정규의 자세로 다수 개의 부품이 도입된다. 부품 반송로(63b)는, 출발점(63s)에 가까운 상류부에서는, 반송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폭방향(반경방향)의 어느 곳을 따라서도 평탄한 반송면을 구비하고, 이로써, 폭방향(반경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부품이 겹치는 양태로, 다수 개의 부품이 원활하게 반송되어 간다. 부품 반송로(63b) 상을 반송방향을 따라 와권형상 및 나선형상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부품이 외주측으로 밀어붙여짐으로써 외주측 반송렬의 정렬화가 진행되고, 게다가, 부품 반송로(63b)는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그에 따라 폭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된 여분의 부품이 흔들려 떨어지게 된다. 흔들려 떨어진 부품은 상기 경계선(BR) 내측의 내저부(62)에 낙하한다. 내저부(62)에 낙하한 부품은 다시 정규의 자세로 규제되어 반시계방향으로 반송되고, 상기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그리고 부품 반송로(63b, 63c)로부터의 부품의 내저부(62)로의 낙하위치는, 낙하한 부품이 자세의 규제작용을 받기 쉬운 장소(부품 안내홈) 혹은 그 장소를 통과한 후에 상기 출발점(63s)에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출발점(63s)에 가까운 부품 반송로(63b)의 상류부에는, 내주측에 제1의 부품 안내홈(62b)이 인접하고 있다. 또한, 제1의 부품 안내홈(62b)의 종단(62bt)의 외주측에 인접하는 부품 반송로(63b)의 개소보다도 더 하류측의 반송로 부분에는, 그 내주측에 외주연 홈부(62h)가 인접한다. 이 외주연 홈부(62h)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아가면, 제1의 부품 안내홈(62d)에 합류한다. 그 더욱 하류측에 있는 부품 반송로(63b)의 반송로 부분에서도, 그 내주측에 인접하는 외주연 홈부(62h)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아가면, 제1의 부품 안내홈(62c)에 합류한다. 따라서, 부품 반송로(63b)의 모든 개소로부터 내저부(62)로 낙하한 부품이라도, 반드시 정규의 자세에 대한 규제작용을 받고나서, 최종적으로 외주연 홈부(62h)의 종단(62i)을 거쳐서, 다시 출발점(63s)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교차부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61x) 둘레의 원의 접선 방향에 대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연재방향(Fb, Fc, Fd)의 경사각(θ1)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대해, 축선(61x) 둘레의 원의 접선방향에 대한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연재방향(Fe, Ff, Fg)의 경사각(θ2)은, 상대적으로 크다. 즉, θ1<θ2이다. 이 경사각의 상위에 의해,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품의 전진력이 크고, 또한, 반송되어 가는 부품의 자세 안정성이 높다. 이에 대해,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품의 전진력은 작고, 또한, 반송되어 가는 부품의 자세 안정성은 낮다. 그리고 전진력은, 축선(61x)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회전 진동이 상기 부품 수용기(61)에 부여됨으로써, 축선(61x) 둘레의 원의 접선방향에 생긴다. 단, 상기 전진력을 받은 부품의 이동방향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접선 방향에 대해 약간 외주측으로 경사진 방향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을 따라 반송되어 가는 경우의 부품의 안내거리는 길지만,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을 따라 반송되어 가는 경우의 부품 안내거리는 짧다. 이로써, 내저부(62)에 있어서는, 안내속도 및 안내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부품 안내홈을 통과하는 경로가 마련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저부(62) 내의 부품의 편향에 따른 출발점(63s)에 대한 부품 도입량의 시간적 변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츠 피더로의 부품의 투입은 일반적으로 호퍼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행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부품 투입시의 변동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도, 내저부(62)에 있어서의 부품 도입량의 시간적 변동의 억제작용은 중요하다. 또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안내거리가 긴 것은, 일시적으로 대량의 부품이 투입되었을 때에 부품의 분포를 안내방향으로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과잉의 부품 투입량에 의한 부품자세의 제어불능이라고 한 사태를 회피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더욱이,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에서는, 상기 경사각(θ1)이 작은 것에 의해, 전진력이 홈의 연재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품이 홈 내에 유지될 확률이 높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서는, 상기 경사각(θ2)이 큰 것에 의해, 전진력이 홈의 연재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생기기 때문에, 부품이 홈 내에 유지될 확률이 낮다. 따라서, 상기 교차부의 반시계 방향 측에 있는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하류측 부분에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 상에 있는 부품은, 상기 교차부에 도입되었을 때에, 그 교차부 하류측의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즉, 상기 전진력의 방향에 의해 가까운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는 일이 있고, 이로써,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내의 부품이 증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안내거리가 짧기 때문에 부품의 수용 가능한 수가 작은 제2의 부품 안내홈으로부터 안내거리가 길기 때문에 부품의 수용 가능한 수가 큰 제1의 부품 안내홈에 부품이 효율적으로 이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수용 가능한 수가 작은 제2의 부품 안내홈으로의 부품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부품이 정규의 자세로 확실하게 부품 반송로(63b)에 도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교차부의 반시계 방향 측에 있는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하류측 부분에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상에 있는 부품은, 상기 교차부에 도입되었을 때에, 그 교차부 하류측의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즉, 외주측)을 향하여 나아가는 일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서는, 상기 교차부에 있어서도, 도 2(a) 및 도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홈 측부(62s)는 단차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단차형상의 홈 측부(62s)가 연속하여 홈의 연재방향으로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한편, 내주측에서는, 홈 저부(62t)가 그대로 비홈형성영역(62k)의 내면(62a)을 향하여 측방으로 향하여 상측에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됨으로써, 내주측의 홈 측부에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교차부에 있어서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 각각의 부품의 통과 동작이나, 양 부품 안내홈 사이의 부품의 이행동작(우선, 제2의 부품 안내홈으로부터 제1의 부품 안내홈으로의 이행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홈형성영역(62k)이라 함은, 내저부(62)의 내면(62a)중,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 및 외주연 홈부(62h)가 형성되어 있는 부품 이외의 내면 영역을 말한다.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내를 나아가는 부품은, 상기 교차부에 있어서도, 상기 외주측 단차형상의 홈 측부(62s)(도 2(a) 참조)가 홈의 연재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단차형상의 홈 측부(62s)를 따라 짧은 안내거리로 상기 외주연 홈부(62h)나 출발점(63s)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안내거리가 긴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을 따라 이동하는 부품 안내량의 시간적 변동(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내에 있어서의 홈의 연재방향을 따른 부품의 공간적 변동과 대응함)과는 다른 주기나 타이밍에서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 내에 있어서의 부품 안내량의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부품 반송로(63b)에 대한 부품 도입량의 시간적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간적 변동의 억제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제2의 부품 아내홈이 각각 복수 개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도 생기고, 또한, 상호 다른 양태의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제2의 부품 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도 생기며, 더욱이,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제2의 부품 안내홈과의 사이에 부품이 이행 가능한 교차부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도 생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d)의 종단(62bt, 62dt)으로부터 도출된 부품은, 제2의 부품 안내홈(62g, 62f)의 외주부를 개재시켜, 그들의 종단(62gt, 62ft)으로부터 상기 외주연 홈부(62h)에 도달하고, 전술한 경로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또한, 제2의 부품 안내홈(62f, 62g)만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부품도, 외주연 홈부(62h)에 도달하여, 전술한 경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단,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종단(62et)은 그대로 출발점(63s)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외주연 홈부(62h)의 종단(62i)은,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종단(62et)의 홈 저부보다도 일단 높은 홈 저부를 가지고, 출발점(63s)의 직전 위치에서, 외주측으로부터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종단(62et)에 합류한다. 여기서,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는,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을 따라 직접적으로 내주측으로부터 도입되는 부품과, 외주연 홈부(62h)의 종단(62i)을 통과하여, 외주측으로부터 도입되는 부품이, 상호 폭방향의 내외에 겹치고,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홈 저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도 겹치는 양태로 공급된다. 이로써, 각각의 부품 안내홈을 통과해 오는 것에 의해 정규의 자세로 된 부품이 그 자세를 거의 바꾸는 일 없이, 부품 반송로(63b)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는 양태로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단, 제1의 부품 안내홈(62c)의 종단(62ct)으로부터 도출되는 부품의 일부는, 상술한 외주연 홈부(62h)뿐만 아니라,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외주부에도 도입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기(61)에 의해 반송되는 부품(P)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직방체형상으로 구성된다. 도시예의 부품(P)은, SMD(표면실장부품)의 각형(角型) 팁부품이다. 여기서 부품(P)은, 도 5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부품(P)의 그 연장된 방향(E)의 길이(PL)는, 상기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PW) 및 두께(PT)중 어느 쪽보다도 크다. 도시예의 경우, PL>PW>PT로 되어 있다. 이때, 두께(PT)의 값이 가장 작고, 길이(PL) 및 폭(PW)중 어느 하나의 값에 대해서도 반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저부(62)의 내면(62a) 상의 부품(P)의 자세는, 상기 연장된 방향(E)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도시예의 자세와, 이 자세에 대해 표리 반전된 자세의 어느 하나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P)의 정규 자세는, 상기 연장된 방향(E)을 부품 반송로(63b)의 반송방향과 일치시키는 자세이고, 상기 연장된 방향(E)의 정역의 2 개의 방향을 고려한 경우에는, 표리가 반전된 합계로 4 가지의 자세를 포함한다. 그리고 부품(P)의 반송 자세의 수는 전부 12 가지인데, 두께(PT)가 작기 때문에, 도시한 표리중 어느 한 외면을 반송면이나 홈 저부에 대향시킨 자세만을 취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합계 8 가지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내저부(62)에 있어서는, 상기 부품(P)이,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이 형성되는 안내홈 형성영역보다도 내주측으로부터, 축선(61x) 둘레의 전주에 걸친 상기 안내홈 형성영역을 통과하여, 직접적으로 혹은 상기 경계선(BR)의 내측을 따른 외주연 홈부(62h)나 제1의 부품 안내홈(62d, 62c)의 최외주의 홈부분을 개재시켜, 최종적으로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한편, 상기 부품(P)은, 상기 비홈형성영역(62k)만을 통과하여,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형성영역보다도 내주측으로부터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달할 수는 없게 구성되어 있다. 즉, 내저부(62)의 외주부에 마련된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형성영역에는, 상기 부품(P)이 통과할 수 있는 비홈형성영역(62k)은 존재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사이에 부품(P)이 실질적으로 통과 가능한 상기 폭(PW) 이상의 간극 형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엄밀하게는 각 부품 안내홈 사이의 간극은 상기 두께(PT)보다 큰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그 간극은 제1의 부품 안내홈의 몇 둘레에나 걸친 범위에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부품(P)이 제1의 부품 안내홈 내에 낙하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제2의 부품 안내홈이 교차함으로써, 상기 간극 그 자체가 내저부(62)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연 홈부(62h)나 출발점(63s)에 이르는 범위까지 연속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자세 규제작용을 받고 있지 않는 부품(P)이 부품 반송로(63b) 상에 도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P)을 정규의 자세로 하기 위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홈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은, 부품(P)의 상기 연장된 방향(E)의 길이(PL)보다 좁고, 부품(P)의 폭(PW)보다 넓은 폭을 구비하는 홈 저부(62p)와, 이 홈 저부(62p)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된 홈 측부(62q, 62r)를 구비한다(도면중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d)에 붙인 부호를 참조). 홈 저부(62p)는, 도 5(a)에 나타내는 정규의 자세에 있는 부품(P)의 저면과 대응되는 면 형상을 구비하고, 도시예에서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홈 저부(62p)는 수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홈 저부(62p)의 외주측(하측)과 내주측(상측)의 홈 측부(62q)와 (62r)를 구성하는 내측면은, 홈 저부(62p)에 대해 경사지고, 비스듬히 상방으로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홈 저부(62p)와 홈 측부(62q, 62r)와의 면 경계는, 연속되어 있지 않고, 경계선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굴절된 불연속의 면 경계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홈 측부(62q, 62r)의 내측면은, 수평면에 대해 40~50 도 정도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은 평탄한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일단 정규의 자세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P1)(도면중 좌측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및 제1의 부품 안내홈(62c)에 붙인 부호를 참조)의 외면과 이에 대향되는 홈 저부(62p)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동시에, 홈 저부(62p)와 홈 측부(62q, 62r)와의 경계가 면의 굴절에 의해 형성된 능선형상의 불연속인 면 경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P)이 홈 측부(62q, 62r)에 올라앉기 어렵기 때문에, 정규 자세에 있는 상기 부품(P1)의 자세 안정성은 높아진다. 한편, 정규의 자세가 아닌 다른 이자세에 있는 부품(P2)(도면중의 좌측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에 붙인 부호를 참조)는, 상기 연장된 방향(E)이 폭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홈 저부(62p)로부터 이반된 자세가 된다. 즉, 부품(P)의 상기 연장된 방향(E)의 단부 혹은 그 근방이 홈 측부(62q, 62r)의 경사면상 혹은 홈외의 내면(62a)상에 올라앉고, 부품(P)의 외면이 홈 저부(62p)로부터 이반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부품(P)의 자세는 극히 불안정하다. 따라서, 부품(P2)의 자세는 오래 계속되지 않고, 상기 회전 진동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로 용이하게 변화한다. 그리고 홈 측부(62q, 62r)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다른 이자세에 있는 부품이 정규 자세로 변화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비홈형성영역(62k) 상 등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의 부품이 원활하게 부품 안내홈 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또는 3에 기재된 내저부 상의 홈은, 홈의 내면 전체가 요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홈 저부로부터 홈 측부(특히 외주측의 홈 측부)에 이르는 윤곽이 연속되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거나 하기 때문에, 부품(P)의 각부(角部)가 홈의 내면과 점접촉 혹은 선접촉한 상태로 되어, 접촉점의 위치도 변화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의 부품(P)의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홈을 마련하면, 부품(P)의 자세는 변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부품 수용기(41)에서는, 내저부(42) 상에 소위 “유입홈(誘入溝)이라 칭해지는 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홈(42b)은 부품(P)을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뿐이며, 부품 반송로(43b)의 출발점에 도입되는 부품(P)의 자세는 흐트러진다.
본 실시 형태의 상기 구조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에 의하면, 홈 내에 일부가 들어간 부품(P)은 모두 상기의 정규의 자세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이자세로 홈 내에 일부가 들어간 부품(P)은 상기 회전 진동에 의해 단시간에 정규의 자세로 변환된다. 또한, 일단, 정규의 자세로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내에 수용된 부품(P)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아도 홈 외로 튀어나가거나, 다른 이자세가 되거나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많은 부품은 정규의 자세 그대로 홈의 연재방향을 따라 하류측(외주측)으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부품 수용기(61)로의 부품 공급량의 변동을 어느 정도 억제하면,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입되는 모든 부품(P)이 정규의 자세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62g)의 홈 구조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61x)과는 반대측(즉, 외주측)의 홈 측부(62s)가 단차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홈 저부(62t)가 상기 홈 측부(62s)의 측(외주측)으로부터 그 반대측(내주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비홈형성영역(62k)의 내면(62a) 상에 근접하도록 측방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고, 마침내 비홈형성영역(62k)의 내면(62a)에 대해 근소한 면 각도의 차이로 구성되는 능선형상의 경계가 축선(61x) 측(내주측)의 홈 측부에 형성된다. 즉,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 있어서, 외주측의 홈 측부(62s)에는 단차가 마련되는 한편, 내주측의 홈 측부에는 면 경계의 능선만이 있어, 단차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 있어서, 외주측의 홈 측부(62s)와 홈 저부(62t)와의 사이에는, 전술한 제1의 부품 안내홈과 마찬가지로, 굴절함으로써 능선형상으로 구성된 불연속인 면 경계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부품(P)이 홈 측부(62s)에 맞닿을 수 있는 상태에서는, 그 반송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 측부(62s)의 단차가 홈의 전장에 걸쳐서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단차량은, 제2의 부품 안내홈의 내주부나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의 교차부에서 낮고, 그 교차부 사이의 제1의 부품 안내홈 사이의 간극 부분이나 제2의 부품 안내홈의 외주부에서는 깊어지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교차부 내에서는 상기 홈 측부(62s)의 단차가 없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서도, 부품은 홈의 연재방향으로 상기 연장된 방향(E)을 향한 정규의 자세로 규제될 수 있다. 단,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홈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주측의 홈 측부에 단차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홈 폭이 부품(P)의 상기 연장된 방향(E)의 길이(PL)에 가까울수록 커지는 내주부나 외주부에서는, 부품(P)의 자세에 대한 규제 작용이 저하되거나, 다수의 부품(P)이 제2의 부품 안내홈 내에 유입된 경우 등에 있어서, 홈 내에서 복수 개의 부품(P)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부품(P)의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의 시단(62bs, 62cs, 62ds) 또는 종단(62bt, 62ct, 62dt)의 근방, 및 외주연 홈부(62h)의 주요 부분은,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의 상기 단면과 같은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품 수용기(61)를 회전 진동기 상에 탑재하여 고정하고, 상기 회전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파츠 피더에서는, 내저부(62)의 내면(62a) 상에 투입된 다수 개의 부품(P)은,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 및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에 의해 홈의 연재방향을 따라 정규의 자세로 규제되면서, 외주측의 외주연 홈부(62h)나 제1의 부품 안내홈(62d, 62c) 최외주의 홈부분, 혹은 제2의 부품 안내홈(62e)의 외주부에 도달하고, 정규의 자세로 최종적으로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도입된다. 이때 출발점(63s)에 도입되는 부품(P)은 거의 모두가 정규의 자세로 되기 때문에, 다수 개의 부품(P)이 정규 자세로 폭 방향이나 상하 방형으로 겹친 상태에서, 부품 반송로(63b)상을 반송되어 간다.
부품 반송로(63b) 상에서는, 상기 회전 진동을 받으면서 반송되어 가는 과정에서, 가장 외주측에 배치되는 부품의 외주측 반송렬에서는, 부품 사이에 반송방향의 간극이 생기면, 그 간극에 폭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겹쳐 있던 부품이 내주측 혹은 상방측으로부터 들어가는 양태로 정렬화가 진행되어 간다. 또한, 부품 반송로(63b)의 폭은 하류측으로 향하여 서서히 협소화되어 가기 때문에, 반송면에서의 부품의 낙하에 의해 상기 외주측 반송렬 이외의 여분인 부품 반송로(63b) 상의 부품(P)의 수는 서서히 감소되어 간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부품(P)이 정규의 자세로 부품 반송로(63b) 상에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외주측 반송렬에 있어서 정렬화가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 반송로 상에서는 부품의 자세 변화는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남겨진 상기 외주측 반송렬 내의 부품(P)의 대부분은 정규의 자세 그대로이다. 즉, 상기 회전 진동하에서 부품의 외주측 반송렬 중으로의 부품의 삽입이 생기고, 게다가, 부품 반송로(63c)의 반송로의 구조(예를 들어, 국소적으로 반송면의 폭이 협소화되거나, 반송면에 단차가 마련되거나 하는 구조)에 의해 폭방향이나 상하방향의 부품(P)의 겹침이 해소되어 가도, 나머지 부품(P)의 정렬상태의 반송렬 중에는 대부분 정규 자세의 것만이 남고, 다른 이자세의 부품(P)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 반송로(63c) 상이나 그 하류측의 리니어 피더 등 후속의 반송로 상에서 마련된, 다른 이자세의 부품을 배제하는 선별영역을 통과하여도, 부품(P)의 정렬상태의 반송렬중에는 공극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부품(P)의 높은 반송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는, 상기 외주측 반송렬에 대해 내주측이나 상방으로 겹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는 여분의 부품(P)은, 상기 외주측 반송렬중의 부품(P)에 비해 반송면이나 반송측면에 대한 접촉량이 적기 때문에 자세 안정성이 낮다. 따라서, 이 여분의 부품(P)이 반송 도중에서 오랜동안 보존되어 있으면, 어떤 이유로 인해 정규의 자세가 다른 이자세로 변화하고, 부품 반송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반송렬중에 도입되어 버릴 우려가 있으며, 이와 같이 되면, 본 실시형태의 효과는 현저하게 저해된다. 이와 같은 것을 회피하기 위해 부품 반송로(63b, 63c)는 상류측으로부터 부품 정렬수단을 종전대로 구비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있어서는, 부품의 정렬 작용은 어디까지나 부품 반송로(43b, 43c)가 다하는 것이고, 내저부(42)에 형성하는 유입홈(42b)은, 부품 반송로(43b)의 출발점에 대해 다수 개의 부품을 산적 상태가 되도록 공급하면 충분하다고 하는 생각으로, 종래의 부품 수용기(41)는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저부(62) 상에서 부품(P)을 정규의 자세로 하고,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대해 다수 개의 부품(P)을 대부분이 정규의 자세가 되는 양태로 산적 상태가 되도록 공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부품 반송로(63b, 63c)를 통과함으로써 정렬상태로 되었을 때의 부품의 반송밀도를 종래보다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써, 공급 도중에서 배제되는 부품의 수 자체를 줄임으로써, 부품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품의 공급속도를 종래의 1.5 배 정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나는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부품(P) 만을 최종적으로 공급하고 싶은 경우에는, 이것과 표리가 역전된 또 다른 하나의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부품(P)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고,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츠 피더의 경우에는 부품 반송로(63b, 63c) 상에 있어서, 부품공급장치의 경우에는 부품 반송로(63b, 63c)나 리니어 피더 등의 다른 반송기의 후속하는 반송로 상에 있어서, 공지의 자세의 반전 기구 등에 의해, 상기 또 다른 하나의 정규의 자세에 있는 부품을 도시의 정규의 자세로 변환하여 공급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최종적인 반송밀도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대해, 제2의 부품 안내홈(63e)을 통해 공급되는 부품(P)이 내주측의 저위치로부터 도입되고, 제1의 부품 안내홈(62c)의 종단(62ct)이나 외주연 홈부(62h)로부터 공급되는 부품(P)이 종단(62i)에 마련된 외주측의 고위치로부터 도입된다. 이때, 내주측(저위치측)으로부터 도입되는 부품(P)과 외주측(고위치측)으로부터 도입되는 부품(P)은 모두 정규의 자세가 되도록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내주측(저위치측)과 외주측(고위치측)에서 각각 정규의 자세로 규제된 부품(P)이 출발점(63s)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일렬로 부품(P)을 도입하면서 도입 방향으로 압입하는 경우에 비해, 도입시의 부품(P)의 자세 변경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부품 반송로(63b)의 폭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의 부품(P)을 겹쳐서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반송로(63b) 상의 상류부의 부품 반송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부품 반송로(63b) 상에서는, 하류측에 있어서 반송밀도의 저하가 생기거나 하는 것에 대비하여, 상류부의 부품(P)의 반송밀도를 여분으로 높게 해둘 수 있다.
그리고 도시예에서는, 두 개의 부품경로를 출발점(63s)에서 합류시키고 있는데, 3 개 이상의 부품경로를 합류시켜도 좋다. 또한, 동일 높이의 내주측과 외주측의 부품경로의 합류에 의해, 폭방향으로 겹침을 가지는 양태로, 다수 개의 부품을 출발점(63s)에 도입하거나, 혹은 배수관 구조 등을 마련함으로써, 홈 저부끼리 수직방향의 상하에 위치하는 관계에 있는 복수 개의 부품경로를 구성하고, 이들의 부품경로의 합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겹침을 가지는 양태로, 다수 개의 부품을 출발점(63s)에 도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이 각각 축선(61x) 둘레의 상호 다른 위치(방위나 각도의 시단에서 종단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복수 개 마련됨으로써, 혹은, 상호 다른 구조(리드각이나 형성범위)를 가지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을 마련함으로써, 나아가서는, 상호 교차하는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을 마련하고, 교차부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동일한 부품 안내홈을 통과하거나 다른 부품 안내홈으로 이행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의 반송밀도의 향상효과에 더하여 내저부(62)의 내면(62a) 상의 부품의 흐트러짐 등에 기인하는 부품 반송로(63b)에 대한 부품 도입량의 시간적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의 부품 안내홈(62b, 62c, 62d)과 제2의 부품 안내홈(62e, 62f, 62g)은, 상호 안내거리, 안내속도, 안내방향, 홈 구조 등의 상위를 가짐으로써, 더욱이, 상기 시간적 변동의 억제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에 대해 앞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각각 부품이 정규의 자세로 한 상태에서 공급되는 복수 개의 부품경로가 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63s)으로의 도입시에 있어서 부품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부품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많은 부품을 상호 겹치게 한 양태로 부품 반송로(63b) 상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부품 안내홈에 의해 규제된 부품의 정규의 자세를 흐트리지 않고, 부품 반송로(63b) 상에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에 있어서, 정규의 자세의 부품의 외면과 면 접촉할 수 있는 면형상을 가지는 홈 저부(62p, 62t)와, 그 적어도 한쪽(외주측)의 홈 측부(62q, 62r, 62s)와의 사이에 비연속의 면 경계를 가짐으로써, 특히, 홈 저부와 외주측의 홈 측부와의 사이를 연속한 면 구성으로 한 경우에 생기는 부품의 홈 저부로부터의 이반 상태에서 기인하는 자세 안정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고, 정규의 자세에 있는 부품의 자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확실하게 규제하여 부품 반송로(63b)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저부(62)의 외주부에는, 내저부(62)의 내주부와, 내저부(62)와 내주부(63)와의 경계선(BR)을 따른 외주연 홈부(62h)와의 사이에,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안내홈 형성영역이 마련된다. 이 안내홈 형성영역에서는, 부품(P)의 통과 가능한 비홈형성영역(62k)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부품(P)은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에 의해 정규의 자세로 규제되지 않으면 외주연 홈부(62h)나 출발점(63s)에 도달하지 않으며, 그 결과, 부품 반송로(63b)에도 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 반송로(63b)에는, 제1 및 제2의 부품 안내홈에 의해 정규의 자세에 대한 규제작용을 받은 부품(P)만이 도입되기 때문에, 상기의 부품 반송로(36c)의 하류부에 있어서의 부품(P)의 반송밀도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고, 부품(P)의 공급속도의 향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츠 피더의 부품 수용기 및 파츠 피더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라면,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61: 부품 수용기
61a: 부착부
61b: 반송부
61x: 축선
62: 내저부
62a: (내저부의) 내면
62b, 62c, 62d: 제1의 부품 안내홈
62bs, 62cs, 62ds: 시단
62bt, 62ct, 62dt: 종단
62e, 62f, 62g: 제2의 부품 안내홈
62es, 62fs, 62gs: 시단
62et, 62ft, 62gt: 종단
62h: 외주연 홈부
62i: 종단
62k: 비홈형성영역
62p, 62t: 홈 저부
62q, 62r, 62s: 홈 측부
63: 내주부
63a: (내주부)의 내면
63b, 63c: 부품 반송로
63s: (부품 반송로(63b)의) 출발점
64: 선별 블록
65: 접속 블록

Claims (15)

  1. 부품 수용기와, 그 부품 수용기의 축선 둘레에 회전 진동을 부여하는 회전 진동기를 구비하는 파츠 피더이고,
    상기 부품 수용기는, 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상에 형성되고, 외주측으로 향하여 연재되는 부품 안내홈을 구비한 내저부와, 역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내저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는 출발점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부품 반송로를 구비한 내주부를 가지고,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가지런히 모으기 위한 부품 정렬수단을 가지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부품을 상기 정규의 자세로 규제한 상태에서 안내하고,
    상기 부품 안내홈에 의해 안내 규제된 상기 정규의 자세의 부품이 상기 출발점에 도입되는 파츠 피더로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출발점을 포함하는 상류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겹치는 양태로 상기 부품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부품을 상기 적어도 한쪽에 겹치는 양태로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와 같은 회전의 방향을 가지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축선 둘레의 축선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의 상기 부품 안내홈과, 그 제1의 부품 안내홈보다도 상기 경사각이 큰 제2의 상기 부품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이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고,
    그 교차부는,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 및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의 각각의 부품의 통과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 및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은, 각각이 상기 교차부를 넘은 후에, 상기 내저부와 상기 내주부의 경계선을 따라 마련된 상기 출발점을 향하는 경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 사이의 적어도 일방에서 타방으로의 부품의 이동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출발점을 포함하는 상류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송로의 폭방향과 상하방향의 쌍방에 겹치는 양태로 상기 부품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을 상기 쌍방에 겹치는 양태로 도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점에 대해 상기 부품 안내홈의 안내 규제에 의해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을 따로 따로 보내는 복수 개의 부품경로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부품경로가 상기 출발점의 앞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부품경로는, 상기 출발점에 대해 폭방향 및 상하방향의 쌍방으로 상호 빗겨난 위치에서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6. 부품 수용기와, 그 부품 수용기의 축선 둘레에 회전 진동을 부여하는 회전 진동기를 구비하는 파츠 피더이고,
    상기 부품 수용기는, 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상에 형성되고, 외주측으로 향하여 연재되는 부품 안내홈을 구비한 내저부와, 역원추대형상의 내면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내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내저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는 출발점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는 부품 반송로를 구비한 내주부를 가지고,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부품을 정규의 자세로 가지런히 모으기 위한 부품 정렬수단을 가지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 수용기가 상기 회전 진동을 받았을 때에, 부품을 상기 정규의 자세로 규제한 상태에서 안내하고,
    상기 부품 안내홈에 의해 안내 규제된 상기 정규의 자세의 부품이 상기 출발점에 도입되는 파츠 피더로서,
    상기 부품 반송로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부품 반송로와 같은 회전의 방향을 가지는 상기 축선 둘레의 와권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저부는, 상기 축선 둘레의 접선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의 상기 부품 안내홈과, 그 제1의 부품 안내홈보다도 상기 경사각이 큰 제2의 상기 부품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이 교차하는 교차부를 가지고,
    그 교차부는,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 및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의 각각의 부품의 통과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 및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은, 각각이 상기 교차부를 넘은 후에, 상기 내저부와 상기 내주부의 경계선을 따라 마련된 상기 출발점을 향하는 경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과 상기 제2의 부품 안내홈 사이의 적어도 일방에서 타방으로의 부품의 이행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저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이 상기 축선 둘레에 상호 병행하는 와권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저부 내에 있어서 상호 합류한 후에, 상기 출발점을 향하는 부품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은, 상호 상기 축선 둘레의 방위가 다른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연장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정규의 자세는, 상기 부품의 연장된 방향을 상기 부품 반송로 및 상기 부품 안내홈의 연재방향과 일치시킨 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은, 상기 부품의 상기 연장된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고, 상기 부품의 폭보다도 큰 폭을 구비하고, 상기 정규의 자세를 취하는 상기 부품의 전체를 수용 가능한 홈 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저부의 내저면은, 상기 정규의 자세인 상기 부품의 대향하는 외면에 대응하는 면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품 안내홈은, 상기 홈 저부의 적어도 외주측의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홈 저부의 내저면에 대해 굴절하고, 상기 내저면과의 사이에 비연속인 면 경계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구비한 홈 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방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츠 피더.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츠 피더와, 그 파츠 피더의 상기 부품 반송로의 출구에 접속되는 후속의 반송로를 구비하는 리니어 피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KR1020170051007A 2017-02-17 2017-04-20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 KR101879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7691 2017-02-17
JP2017027691A JP6243560B1 (ja) 2017-02-17 2017-02-17 パーツフィーダ及び部品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38B1 true KR101879538B1 (ko) 2018-07-18

Family

ID=6057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07A KR101879538B1 (ko) 2017-02-17 2017-04-20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43560B1 (ko)
KR (1) KR101879538B1 (ko)
CN (1) CN108455230B (ko)
TW (1) TWI626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4914B2 (ja) * 2018-11-14 2022-01-2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ボウルフィーダ
KR20200115093A (ko) * 2019-03-29 2020-10-07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부품 피더 및 부품 피더용 에어 분출 장치
US20210379546A1 (en) * 2020-06-09 2021-12-09 Seoul Viosys Co., Ltd. Led mixer using vibratory bowl fee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5860A (en) * 1987-07-31 1989-02-06 Showa Denko Kk Manufacture of electrode
JPH06171739A (ja) * 1992-12-10 1994-06-21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整列装置
JP2002240922A (ja) * 2000-12-12 2002-08-28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搬送機
JP2005343601A (ja) * 2004-06-01 2005-12-15 Daishin:Kk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2011184156A (ja) * 2010-03-10 2011-09-22 Sinfonia Technology Co Ltd ワーク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882B2 (ja) * 1996-07-26 2006-08-30 神鋼電機株式会社 部品整送装置
JP3525664B2 (ja) * 1996-12-24 2004-05-10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パーツフィーダ
CN204324315U (zh) * 2014-12-10 2015-05-13 深圳市高士达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多轨道、均匀分料功能的振动盘
CN105129377A (zh) * 2015-06-24 2015-12-09 中山市兴全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耳塞送料的自动排序振动盘
CN105129376A (zh) * 2015-06-24 2015-12-09 中山市兴全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玩具枪枪嘴配件送料的选向排序振动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5860A (en) * 1987-07-31 1989-02-06 Showa Denko Kk Manufacture of electrode
JPH06171739A (ja) * 1992-12-10 1994-06-21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整列装置
JP2002240922A (ja) * 2000-12-12 2002-08-28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搬送機
JP2005343601A (ja) * 2004-06-01 2005-12-15 Daishin:Kk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2011184156A (ja) * 2010-03-10 2011-09-22 Sinfonia Technology Co Ltd ワーク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31314A (ja) 2018-08-23
JP6243560B1 (ja) 2017-12-06
TW201831386A (zh) 2018-09-01
TWI626204B (zh) 2018-06-11
CN108455230A (zh) 2018-08-28
CN108455230B (zh)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538B1 (ko) 파츠 피더 및 부품공급장치
CN102502191B (zh) 微型轴杆同向排料送料装置
JP2021169373A (ja) ベルト搬送システム
JP4635281B2 (ja) 循環式リニアフィーダ
CN205837772U (zh) 换向交接传动带
RU2015103207A (ru) Вращающийся конвейерный барабан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машинах, применяемых в табач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тержнеобразных элемен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барабана и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стержней
JP2013544731A (ja) 容器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装置
WO2016002703A1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KR101968949B1 (ko) 과일선별기 이송장치
US4872545A (en) Apparatus for handling bodies of generally cylindrical configuration
JPH0524632A (ja) 偏平円柱形状の部品用振動部品整送装置
JPS6127856Y2 (ko)
CN210642417U (zh) 一种复合嘴棒生产过程中的消隙分离装置
JPH0127928B2 (ko)
JP7299480B2 (ja) ボウルフィーダ
JPH05270643A (ja) 原子燃料用ペレットの定方向化装置
JP7136038B2 (ja) 部品供給装置
JP3689347B2 (ja) 部品供給装置
TWM558128U (zh) 振動送料盤之橫向出料篩選結構
KR102065963B1 (ko) 부품 피더 및 그의 제조 방법
JP3546476B2 (ja) 部品の整送装置
JP7004914B2 (ja) ボウルフィーダ
JP2021084807A (ja) 部品供給装置
KR20120059357A (ko) 정렬 반송 장치
SU1463655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винтовой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