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357A - 정렬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정렬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357A
KR20120059357A KR1020110116329A KR20110116329A KR20120059357A KR 20120059357 A KR20120059357 A KR 20120059357A KR 1020110116329 A KR1020110116329 A KR 1020110116329A KR 20110116329 A KR20110116329 A KR 20110116329A KR 20120059357 A KR20120059357 A KR 2012005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ing
alignment
guide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731B1 (ko
Inventor
소고 카키우치
히로시 타쿠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지쯔교 비스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지쯔교 비스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지쯔교 비스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65G47/1485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using suction or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대상물의 자세를 항상 안정된 자세로 유지한 채로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송 장치로 인수 인도할 수 있는 정렬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대상물을 일렬로 정렬시켜 반출부(23)에서 반출하는 정렬 공급 장치(10)와, 정렬 공급 장치(10)에 의해 정렬된 대상물이 탑재되는 두 개의 돌조부(32)를 구비한 반송 벨트(31)에 의해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30)와, 정렬 공급 장치(10)에서 반출된 대상물(T)을 반송 장치(30)로 인수 인도하는 인수 인도판(50)과, 반송 장치(30)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대상물에 대하여 검사를 실행하는 검사 장치(60)를 구비한다. 인수 인도판(50)은 그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설편부(51)를 구비하고, 이러한 설편부(51)는 그 하단이 돌조부(32)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정렬 반송 장치{ALIGN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대상물을 일렬로 정렬시켜서 반송하는 정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이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송 장치로 인수 인도되도록 구성된 정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렬 반송 장치는, 정제(錠劑) 등의 대상물을 정렬 장치로 일렬로 정렬시켜 반송 장치로 정렬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반송할 수 있는 장치이며, 예를 들면, 대상물의 형상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대상물을 반송시키면서 다양한 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 반송 장치로서, 종래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08-168727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렬 반송 장치(70)는, 대상물(T)을 정렬시키는 피더(71)와, 정렬된 대상물(T)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75)와, 대상물(T)의 표면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79) 등으로 이루어진다. 피더(71)는, 수평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턴테이블(72)과, 이러한 턴테이블(72)상에 설치되고, 대상물(T)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류 날개(73)와, 정렬된 대상물(T)을 벨트 컨베이어(75)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74)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75)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슬릿(76)이 형성되고, 대상물(T)이 설치된 반송면을 구비한 2개의 한 쌍의 반송용 벨트(77)가 송출구(74)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슬릿(76)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릿(76)의 하방에는 부압 수단에 의해 부압으로 되는 부압실(7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렬 반송 장치(70)에 의하면, 턴테이블(72)상에 투입되는 대상물(T)은 턴테이블(72)의 회전과 정류 날개(73)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고, 송출구(74)의 선단부에서 반송용 벨트(77) 상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반송용 벨트(77) 상으로 반출된 대상물(T)은 슬릿(76)을 매개하여 작용하는 부압실(78)의 흡인 작용에 의해 반송용 벨트(77)상으로 흡착된 상태에서 반송되고, 그 반송 과정에서 검사 장치(79)에 의해 검사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08-168727호 공보
도 7a는 도 6에서 F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b는, 도 7a에서 화살표 G-G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정렬 반송 장치(70)에서는, 송출구(74)를 구성하는 바닥판(74a)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또한, 바닥판(74a)의 하면과 반송용 벨트(77)의 상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바닥판(74a)의 상면과 반송용 벨트(77)의 상면 사이에 큰 단차(d)가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T)은 송출구(74) 상을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바닥판(74a)의 상면에 의해 안정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지만, 송출구(74)의 선단부로부터 반출된 후, 반송용 벨트(77)의 상면으로 인수 인도되는 동안에는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극히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송출구(74)에서 반송용 벨트(77)의 상면으로 이동 탑재되기까지의 인수 인도 과정에서 진동 등의 외부 충격을 받으면, 대상물(T)은 해당 외부 충격에 의해 그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고, 흐트러진 자세,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나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반송용 벨트(77) 상으로 인수 인도되어, 해당 반송용 벨트(77)상으로 흡인되게 된다. 이러한 정렬 반송 장치(70)에서는 턴테이블(72)이나 반송용 벨트(77)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같은 외부 충격 진동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대상물(T)은, 반송용 벨트(77)상으로 이동 탑재될 때의 충격에서 그 자세가 흐트러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T)이 이와 같이 흐트러진 자세에서 반송용 벨트(77) 상으로 이동 탑재되어, 해당 반송용 벨트(77)상으로 흡인되어 반송되면, 검사 장치(79)에 의해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대상물을 안정된 자세로 정렬 장치에서 반송 장치로 인수 인도할 수 있는 정렬 반송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대상물을 일렬로 정렬시켜 반출부에서 반출하는 정렬 공급 장치와,
상기 반출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무단(無端)의 환형상(環狀) 반송 벨트를 구비한 벨트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반송 기구는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평행한 환형상의 돌조부를 가지며, 상기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출된 대상물을 상기 반송 벨트의 돌조부 상에 탑재한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기저부가 상기 정렬 공급부의 반출부에 연속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상기 반송 벨트의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출된 대상물을 상기 반송 벨트의 돌조부로 인수 인도하는 인수 인도판으로 구성되는 정렬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수 인도판은, 그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설편부(舌片部)를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설편부의 하단은 상기 돌조부 상면보다 하방의 해당 돌조부 사이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복수의 대상물이 정렬 공급 장치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어 순차 반출부에서 인수 인도판으로 반출된다. 이어서, 상기 인수 인도판에 반출된 대상물은, 해당 인수 인도판 상을 이동한 후, 반송 벨트 상으로 탑재 이동되고, 상기 벨트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다. 그 때, 상기 인수 인도판이 그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설편부를 구비하고, 해당 설편부의 하단이 반송 벨트의 돌조부 상면보다 하방의 해당 돌조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대상물은 항상 이러한 설편부 상면에 접촉하고 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2개의 돌조부 상으로 이동 탑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렬한 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인수 인도판에서 2개의 돌조부 상으로 인수 인도하는 그 과정에 있어서, 해당 대상물을 인수 인도판의 설편부에 의해 항상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생긴다고 하여도, 해당 대상물을 안정한 자세에서 상기 돌조부 상으로 인수인도할 수 있고,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대상물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반송 장치는, 상기 인수 인도판의 상방으로 상기 인수 인도판상의 대상물의 진행 방향에 따라서 설정되며, 상기 대상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세 개의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대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대상물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수 인도판과의 간격이 상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인수 인도판 상을 이동하는 대상물은 그 상면 측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 부재에 의해 그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한 쌍의 측부 가이드 부재에 의해 그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그 결과, 해당 대상물을 인수 인도판에서 이탈시키지 않고 소정의 궤도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대상물을 반송하는 돌조부 사이에, 해당 반송 벨트의 환형 형상의 내측에서 부압을 작용시키는 부압 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부압 수단에 의한 부압이 상기 인수 인도판의 설편부에도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대상물이 설편부상을 이동할 때에, 해당 대상물에 하방측으로의 흡인력이 작용하고, 그러한 흡인력에 의해 해당 대상물을 보다 안정된 자세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돌조부에 인수 인도되기 전부터 서서히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돌조부에 인수 인도 되었을 때부터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경우에 비해 해당 대상물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할 수 있고, 흡인 작용으로 인한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렬 반송 장치에 의하면 대상물을 안정된 자세로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송 장치로 인수 인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렬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2b는 그 화살표 C-C 방향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 모두 정렬 공급 장치에 대하여는, 플렌지,제1 측부 가이드,제2 측부 가이드 및 상부 가이드만 도시하였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B 부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제1 측부 가이드,제2 측부 가이드 및 상부 가이드는 2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4a는 도 3에 있어서 화살표 D-D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화살표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렬 반송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인수인도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 예에 따른 정렬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있어서 F 부위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b는 화살표 G-G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b에 있어서 화살표 H-H 방향의 단면도이고, 종래 예에 따른 정렬 반송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인수 인도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렬 반송 장치(1)는, 대상물(T)을 일렬로 정렬시켜서 반출부(23)에서 반출하는 정렬 공급 장치(10)와, 상기 반출부(23)에 접속되고, 상기 정렬 공급 장치(10)에서 반출된 대상물(T)을 반송 벨트(31)에 의해 반송하는 반송 장치(30)와, 정렬 공급 장치(10)의 반출부(23)에서 반출된 대상물(T)을 상기 반송 장치(30)의 반송 벨트(31) 상으로 인수 인도하는 인수 인도판(50)과, 상기 반송 장치(30)에 의해 반송되는 대상물(T)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 공급 장치(10)는, 기대(基台)(11)상에 설치된 볼(12)과, 상면에 대상물(T)이 공급되는 회전 테이블(14)과, 대상물(T)의 반송로를 한정하는 가이드 기구(15)와, 대상물(T)을 인수 인도판(50)으로 반출하는 상기 반출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볼(12)은 그 개구부 바깥 둘레에 형성된 플렌지(13)를 구비하고, 볼 구동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 테이블(14)은, 그 주변부의 일부가 플렌지(13)의 상면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볼(12)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테이블 구동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경사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플렌지(13)의 상면과 회전테이블(14)의 주변부가 같은 높이인 위치를 단순히, "이동 탑재 위치"라고 하고, 도 1에서는, 참조 부호 14a로 표시한 부분이 이동 탑재 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가이드 기구(15)는, 상기 이동 탑재 위치(14a)에 있어서 회전 테이블(14)에서 플렌지(13) 상으로 이동한 대상물(T)을 상기 반출부(23)로 향하여 유도하는 반송로를 한정하는 가이드로서, 상기 플렌지(13)의 안쪽 둘레보다 외측에 설치된 외주 가이드(16), 이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제2 측부 가이드(20), 그리고 이 외주 가이드(16) 및 제2 측부 가이드(20)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측부 가이드(18)와, 이들 외주 가이드(16), 그리고 제1 및 제2 측부 가이드(18,20)에 의해 한정되는 반송로의 높이를 한정하는 상부 가이드(22)로 이루어지고, 각각 지지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외주 가이드(16)는, 상기 볼(12)의 중심측(이하, 단순히 "중심측"이라고 한다)의 측면이 원호 형상을 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안내면(案內面)(17)으로 되어 있고, 이 안내면(17)과 상기 플렌지(13)의 안둘레와의 간격이 상기 플렌지(13)의 회전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이하, 단순히 "회전 방향"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그 하류측으로 향하는 것에 따라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측부 가이드(20)는 외주 가이드(16)에서 상기 반출부(23)로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된 것이어서,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는 상기 반송 장치(30)의 상방에 도달해 있다. 또한, 외주 가이드(16)의 안내면(17)에 연속하여 접하는 안내면(21)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안내면(21)은 안내면(17)과 연속하여 접하는 원호 형상을 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안내면(21a)과, 이 안내면(21a)에서 반송 장치(3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안내면(2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측부 가이드(18)는,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가 외주 가이드(16)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반출부(23)를 통하여 반송 장치(30)의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2 측부 가이드(20)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대상물(T)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안내면(21)과 대향하도록 안내면(19)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부 가이드(18,20)는 상기 플렌지(13) 및 상기 반송 벨트(31)와 간섭하지 않도록 근소한 간격을 두고 각각의 상방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22)는, 제1 및 제2 측부 가이드(18,20)사이에 이들과 상기 외주 가이드(16)에 의해 한정되는 반송로를 따라서, 상기 제1 측부 가이드(18)보다 회전 방향 상류측의 위치에서 상기 반출부(23)로 향하여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상부 가이드(22)의 하면과 상기 플렌지(13)의 상면의 간격은 일단의 대상물(T)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반출부(23)는, 상기 상부 가이드(22),제1 측부 가이드(18) 및 제2 측부 가이드(20)가 통과하는 플렌지(13)의 바깥 둘레부이고, 근소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인수 인도판(50)의 베이스부가 연속하여 접하고 있다.
상기 반송 장치(30)는, 인수 인도판(50)에서 인수 인도된 대상물(T)을 반송하는 상기 반송 벨트(31)와, 이 반송 벨트(31)를 구동하는 벨트 구동 기구(35)와, 반송 벨트(31)의 이동을 제한하는 두 개의 가이드(38)들과, 상기 반송 벨트(31)상에 부압에 의한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부압 기구(3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압 기구(39)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압 박스(40)와, 부압 박스(40)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펌프(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고, 부압 박스(40)는 상면 부재에 외부에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슬릿(41)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반송 벨트(31)는, 상기 슬릿(41)을 따라서 그 상방을 덮도록 부압 박스(40)를 둘러싸고, 전체가 상기 인수 인도판(5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무단의 환형 형상의 타이밍 벨트이며, 외주면에는 대상물(T)이 탑재되는 테이퍼 형상의 2개의 돌조부(32)가 트렌치(33)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트렌치(33)의 하방에는, 반송 벨트(31)의 바깥 둘레에서 내주면으로 향하여 관통한 원형의 흡인구(34)가 반송 벨트(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흡인구(34)는 흡인력을 균일하게 작용시키기 위한 트렌치(42)를 거리에 두고 하방에 슬릿(41)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38)는 반송 벨트(31)의 양측에 따라서 상기 부압 박스(4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구동 기구(35)는, 상기 반송 벨트(31)의 내주면과 맞물리는 치면을 구비하며, 상기 부압 박스(40)와 반송 벨트(31)의 사이에 장방형의 정점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풀리(36)들과, 이 네 개의 풀리(36)들 중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면을 제외한 5면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박스(43)에 의해, 상기 반송 벨트(31), 리브(36) 및 부압 박스(40)는 그 주변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인수 인도판(50)은, 상기 반송 벨트(31)의 돌조부(3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측부 가이드(18,20)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인수 인도판(50)의 베이스부는 플렌지(13)의 회전에 간섭하지 않도록 근소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반송부(23)에 연속하여 접하고 있다.
또한, 인수 인도판(50)의 선단부에는 상기 돌조부(32) 사이의 트렌치(33)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하여 설치되고, 하단이 하나의 정점이 되는 평면으로 보아 삼각 형상의 설편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설편부(51)는 그 하단이 상기 돌조부(32)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편부(51)에도, 상기 부압 기구(39)에 의해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상기 검사 장치(60)는 상기 반송 장치(30)의 상방에 설치되어, 대상물(T)의 형상이 소정의 형상인가 여부를 검사하는 일반적인 검사 장치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정렬 반송 장치(1)에 의해 상기 대상물(T)을 정렬 반송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회전 테이블(14)상에 공급된 대상물(T)은 회전 테이블(14)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회전 테이블(14)의 외주 방향으로 이동되고, 회전 테이블(14)의 바깥 둘레부까지 이동한 대상물(T)은, 이동 탑재 위치(14a)에서 회전 테이블(14)로부터 상기 플렌지(13) 상으로 이동 탑재된다. 이동 탑재된 대상물(T)은 볼(12)의 회전에 따라 플렌지(13) 상에 탑재된 채로, 상기 외주 가이드(16)의 안내면(17)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어서, 플렌지(13)상의 대상물(T)은 상기 상부 가이드(22)의 하방으로 진입한다. 이 때, 2단 이상으로 적층된 상태 또는 기립된 상태인 경우에는, 그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볼(12) 내로 되돌아오고, 소정 높이의 범위 내에 있는 대상물(T) 만이 상부 가이드(22)의 하방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22)의 하방에 진입한 대상물(T)은 제1 측부 가이드의 안내면(19)에 맞닿는다. 이 때, 안내면(19)보다 플렌지의 내주측을 반송되고 있는 대상물(T)도 상기 볼(12) 내로 되돌아온다. 또한, 외주 가이드(16)의 안내면(17)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제2 측부 가이드의 안내면(21)에 맞닿음으로써, 플렌지(13),제1 측부 가이드(18),제2 측부 가이드(20) 및 상부 가이드(22)로 주위를 둘러싼 반송로 내를 플렌지(13)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상기 반출부(23)에서 상기 인수 인도판(50)으로 반출된다.
인수 인도판(50)으로 반출된 대상물(T)은, 후방에서의 압력에 의해 인수 인도판(50) 상을 이동하고, 상기 설편부(51)에서 상기 반송 벨트(31)의 돌조부(32)의 상면으로 인수 인도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물(T)은 인수 인도판(50)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약간 경사진 설편부(51) 상을 반송 벨트(31)의 돌조부(32)로 향하여 내려가고, 돌조부(32)의 상면에 접하여 반송되는 것으로, 설편부(51)에서 돌조부(32)로 인수 인도된다. 대상물(T)이 설편부(51) 상을 내려가고 있을 때는, 상기 부압 기구의 흡인력에 의해 대상물(T)이 설편부(51) 상에 확실하게 접해지고, 설편부(51)에 의해 안정하게 지지된 상태가 된다. 대상물(T)은 이와 같인 안정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돌조부(32)와 접하기 때문에, 인수 인도하는 과정에 있어서, 언제나 안정하게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T)의 이동 경로는 설편부(51)의 경사를 따라 약간 하강하는 궤도를 그린다.
인수 인도판(50)에서 반송 벨트(31)의 돌조부(32)로 인수 인도된 대상물(T)은 상기 반송 벨트(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검사 장치(60)에 향하여 반송되고, 해당 검사 장치(60)에 의해 소정의 검사가 실행된다. 이 때, 돌조부(32) 상의 대상물(T)은, 상기 부압 기구(39)의 흡인력에 의해 돌조부(32)상에 흡착된 상태로 반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렬 반송 장치(1)에 의하면, 정렬된 대상물(T)을 인수 인도판(50)에서 반송 벨트(31)의 돌조부(32)로 인수 인도하는 과정에 있어서, 대상물(T)은 인수 인도판(50)의 설편부(51)에 의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의해, 설사 외부 충격이 발생한다고 하여도, 대상물(T)은 그 자세를 흐트러짐 없이 안정된 자세로 돌조부(32)로 인수 인도된다. 또한, 대상물(T)은 완만한 하강 경사의 궤도로 돌조부(32)로 인수 인도되기 때문에, 돌조부(32)의 상면에 접할 때의 충격이 억제되어, 돌조부(32)의 상면에 인수 인도될 때의 대상물(T)의 자세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반송 장치(30)에 의해 반송되는 대상물(T)의 자세를 소정의 안정된 자세로 할 수 있어서, 검사 장치(60)에 있어서 검사 실행시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수 인도판(50) 및 반송 벨트(31)의 상방에 제1 측부 가이드(18),제2 측부 가이드(20) 및 상부 가이드(22)를 설치함으로써, 인수 인도하는 과정에 있어서 대상물(T)의 중첩이나 인수 인도판(50)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대상물(T)을 소정의 궤도 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부압 기구(39)에 의해 흡인력을 설편부(51) 및 반송 벨트(31)에 작용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설편부(51)의 상면을 이동 중의 대상물(T)에 대하여도 흡인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대상물(T)을 설편부(51)상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고, 돌조부(32)의 상면으로 인수 인도할 수 있다. 또한, 돌조부(32)로 인수 인도되기 전부터 대상물(T)에 대하여 서서히 흡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돌조부(32)로 인수 인도 되었을 때부터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경우에 비해, 대상물(T)에 작용하는 작용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할 수 있고, 흡인 작용으로 인한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반송 벨트(31)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대상물(T)의 미세한 움직임이 방지되는 것이어서 검사 장치(60)에서 검사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채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송 벨트(31)는, 복수개의 돌조부(32)들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트렌치의 하방에 슬릿(41)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대상물(T)을 복수 열로 나누어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의해 많은 대상물(T)을 반송할 수 있고, 단위 시간당 처리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벨트(31)는 상기 부압 박스(40)의 상면 부제에 설정된 슬릿(41)을 사이에 끼우도록 구비된 2개 한 쌍의 반송 벨트로 구성되어, 각각이 돌조부를 이루는 구성이어도 좋다.
1:정렬 반송 장치 10:정렬공급 장치
12:볼 13:플렌지
14:회전테이블 18:제1 측부 가이드
20:제2 측부 가이드 22:상부 가이드
23:반출부 30:반송 장치
31:반송 벨트 32:돌조부
33:트렌치 34:흡인구
50:인수 인도판 51:설편부
60:검사 장치

Claims (3)

  1. 복수의 대상물을 일렬로 정렬시켜서 반출부에서 반출하는 정렬 공급 장치;
    상기 반출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무단의 환형상 반송 벨트를 구비한 벨트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반송 기구는 상기 반송 벨트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평행한 환형상의 돌조부를 갖고, 상기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출된 대상물을 상기 반송 벨트의 돌조부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반송 장치; 및
    기저부가 상기 정렬 공급부의 반출부에 연속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상기 반송 벨트의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정렬 공급 장치에서 반출된 대상물을 상기 반송 벨트의 돌조부로 인수 인도하는 인수 인도판으로 구성되는 정렬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수 인도판은 그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설편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설편부의 하단은 상기 돌조부 상면보다 하방의 해당 돌조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인도판의 상방으로, 상기 인수 인도판 상의 대상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설정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세 개의 가이드 부재로서, 상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대치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대상물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측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수 인도판과의 간격이 상기 대상물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반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반송 벨트의 상기 대상물을 반송하는 돌조부 사이에 상기 반송 벨트의 환형상 내측에서 부압을 작용시키는 부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압 수단에 의한 부압은 상기 인수 인도판의 설편부에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반송 장치.
KR1020110116329A 2010-11-30 2011-11-09 정렬 반송 장치 KR101879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6266 2010-11-30
JP2010266266A JP5643069B2 (ja) 2010-11-30 2010-11-30 整列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357A true KR20120059357A (ko) 2012-06-08
KR101879731B1 KR101879731B1 (ko) 2018-07-18

Family

ID=4633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329A KR101879731B1 (ko) 2010-11-30 2011-11-09 정렬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3069B2 (ko)
KR (1) KR101879731B1 (ko)
CN (1) CN1025305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3006A (zh) * 2017-01-10 2017-08-15 无锡市通达滚子有限公司 一种可以对针齿实现自动送料的进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9629U (ja) * 1983-04-12 1984-10-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汎用部品の整列供給装置
DE3444132A1 (de) * 1984-12-04 1986-06-05 Fried. Krupp Gmbh, 4300 Essen Stetigfoerderer fuer stueckgueter
JPH0761563A (ja) * 1993-08-26 1995-03-07 Kanto Plant Service Kk 円錐形物品の供給装置
JPH08168727A (ja) * 1994-12-19 1996-07-02 Sanyo Electric Co Ltd 小物物品の検査装置
JP4127576B2 (ja) * 1998-08-04 2008-07-30 Juki株式会社 素子搬送装置
CN200988690Y (zh) * 2006-12-04 2007-12-12 全利机械股份有限公司 具备负压输送道的合流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16588A (ja) 2012-06-21
CN102530532A (zh) 2012-07-04
JP5643069B2 (ja) 2014-12-17
KR101879731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510B1 (ko) 캡슐 취급 장치 및 캡슐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캡슐 처리 장비
WO2015151276A1 (ja) 収容ユニット及び電子部品搬送装置
KR20160124377A (ko) 정제 검사 장치
JP3665667B2 (ja) 小物物品の整列装置
KR20120059357A (ko) 정렬 반송 장치
KR101551784B1 (ko) 워크 반송 장치
JP2007031131A (ja) ワークの整列供給装置
JP6537373B2 (ja) 製剤搬送装置
WO2017163399A1 (ja) 製剤搬送装置
JP2013145223A (ja) 試験紙搬送装置
JP2018095411A (ja) 搬送装置
JP6754571B2 (ja) 物品供給装置
JP6577228B2 (ja) 小型成形品の供給中継装置
JP2008200234A (ja) 錠剤の搬送ガイド方法及び錠剤の搬送ガイド
JP2004115273A (ja) チップ自動分離搬送装置
KR20210111161A (ko) 정렬 공급 장치
JPWO2015129514A1 (ja) 整列供給装置及び整列方法
JPH0522416U (ja) 錠剤等の整列供給装置
JP7322768B2 (ja) 搬送分離装置
EP4357272A1 (en) Conveyance belt and conveyance apparatus
US10486916B2 (en) Article supplying device
JP2017109826A (ja) 容器整列搬送装置
JP2009289780A (ja) 基板搬送装置
JP6682265B2 (ja) 物品供給装置
CN115140535A (zh) 排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