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77B1 -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77B1
KR101873177B1 KR1020177006101A KR20177006101A KR101873177B1 KR 101873177 B1 KR101873177 B1 KR 101873177B1 KR 1020177006101 A KR1020177006101 A KR 1020177006101A KR 20177006101 A KR20177006101 A KR 20177006101A KR 101873177 B1 KR101873177 B1 KR 10187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laminated structure
wiring
touch panel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807A (ko
Inventor
다카시 고이케
히로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적층 구조체는 3차원 형상을 갖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구비하며,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판 상에 금속 세선으로 구성된 도전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는 투명 도전 부재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어,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과, 투명 도전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갖는다. 3차원 형상은 적어도 평면부와, 평면부에 연속하여 절곡한 측면부와, 측면부에 연속하며, 또한 측면부에 대하여 절곡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평면부, 측면부 및 돌출부 중, 평면부 및 측면부는 커버 부재와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며, 돌출부는 적어도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배선은 적어도 돌출부에 인회되어 투명 도전 부재의 돌출부의 선단에서 가요성을 갖는 배선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D STRUCTURE, TOUCH PANE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3차원 형상을 갖는 적층 구조체, 이 적층 구조체를 갖는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3차원 형상으로 하여, 측면부에 터치 센서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도 박형화할 수 있는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이 채용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기기에서는, 휴대성, 조작성 및 의장성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곡면 형상의 장치로 함으로써, 신체의 일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입력 부분을 표시 화면 상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능선 부분에도 부여함으로써, 소형의 기기이더라도 조작성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휴대 기기의 외장 커버에 터치 센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면, 부품 개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와 그에 따른 휴대성의 향상이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패널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면, 장치를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어, 의장성이 높은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패널은 평면 형상으로 입력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상술과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입력 기기를 조합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기기의 형상 또는 크기에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시하는 것이 곤란했다.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터치 패널을 3차원적으로 가공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고분자 필름 기재에 도전층을 부여하여 형성된 터치 센서 필름의 형상을 금형 등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변형시키고, 그 후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 기재와 일체화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터치 센서 필름으로서는, 종래의 ITO(Indium Tin Oxide) 투명 도전 필름과 같은, 도전층이 금속 산화물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에서는, 가공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하여, 단선되기 때문에, 3차원적인 가공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금속 세선의 메시 구조를 갖는 타입의 도전 필름이면, 절곡 또는 연신 등의 변형을 행해도, 단선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3차원적인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은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메인 터치 입력면이 되는 평면부와 터치 패널의 측면부를 일체화한 커버 부재 형상의 실현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체를 실현할 수 있으면, 메인 터치 조작을 행하는 터치 패널 평면부 외에 측면부에도 터치 입력을 행하는 영역을 마련할 수 있어, 조작성이나 의장성이 높은 장치가 실현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표면의 주화면과, 이 표면에 대하여 굽혀진 측면부의 서브 화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의 포터블 터미널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서브 화면에도 터치 센서 기능을 갖게 하여 서브 화면에 아이콘 등을 표시하고, 서브 화면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포터블 터미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3/0300697호
터치 패널의 입력 영역의 주변에는, 터치 검출용 센서 전극을, 구동 제어용 전기 회로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은, 통상 터치 기능 자체에는 관여하지 않고, 또 배선 저항값을 낮추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선폭을 갖고 있는 관계로, 의장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터치 패널의 가식(加飾) 인쇄의 하부 등의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변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특정 기능을 갖는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 박형화 및 의장성의 관점에서는 가능한 한 공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요망이 높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3차원 형상의 포터블 터미널과 같이, 측면부에 터치 센서 기능을 마련한 경우, 주변 배선부는, 마찬가지로 측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가 되어, 터치 패널 탑재 제품의 박형화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상술한 주변 배선부 배선에 대하여 아무것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점에서, 평면부와 측면부에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최종 제품 형태에 있어서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근거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3차원 형상으로 하여, 측면부에 터치 센서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도 박형화할 수 있는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차원 형상을 갖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구비하는 적층 구조체로서,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판 상에 금속 세선으로 구성된 도전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는 투명 도전 부재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어,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과, 투명 도전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갖고, 3차원 형상은, 적어도 평면부와, 평면부에 연속하여 절곡한 측면부와, 측면부에 연속하며, 또한 측면부에 대하여 절곡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평면부, 측면부 및 돌출부 중, 평면부 및 측면부는 커버 부재와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며, 돌출부는 적어도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배선은, 적어도 돌출부에 인회되어, 투명 도전 부재의 돌출부의 선단에서 가요성을 갖는 배선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돌출부는, 투명 도전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커버 부재와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는 평면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한쪽의 측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평면부에 대향하고, 또한 평면부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 부재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선 부재는, 외부 기기에 접속된다. 투명 도전 부재는, 커버 부재에 대하여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전층은, 금속 세선으로 구성된 메시 구조의 도전 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전층은, 투명 기판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도전층은, 투명 기판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전층이 편면에 형성된 투명 기판이 2개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와, 적층 구조체의 평면부, 측면부 및 돌출부로 구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돌기가 돌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면부와, 평면부에 연속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측면부와, 측면부에 연속하고, 또한 측면부에 대하여 절곡한 돌출부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적층 구조체를 얻는 공정과, 평면부, 측면부 및 돌출부로 구성된 오목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돌출부는, 투명 도전 부재, 또는 커버 부재와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목부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형상으로 하여, 측면부에 터치 센서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도 박형화할 수 있는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a)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 모식적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다른 예의 주요부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투명 도전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일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투명 도전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 및 제2 배선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 및 제2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의 제1 도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의 제2 도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 패턴과 제2 도전 패턴을 대향 배치시켜 얻어지는 조합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란 양측에 기재된 수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ε이 수치 α~수치 β라는 것은, ε의 범위는 수치 α와 수치 β를 포함하는 범위이며, 수학 기호로 나타내면 α≤ε≤β이다.
또, 투명이란, 광투과율이 가시광 파장(파장 400nm~800nm)에 있어서, 적어도 60% 이상인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인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주요부 모식적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다른 예의 주요부 모식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적층 구조체(12)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는, 적층 구조체(12)와 컨트롤러(14)와 디스플레이 모듈(18)을 갖고, 적층 구조체(12)와 컨트롤러(14)는, 가요성을 갖는 배선 부재, 예를 들면 플렉시블 회로 기판(15)(이하, FPC(15)라고도 함)으로 접속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은,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장치 및 전자 페이퍼 등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18)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면(18a)에 화상이 표시된다.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면, 터치한 위치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 정전 용량의 변화가 컨트롤러(14)에서 검지되어, 터치한 위치의 좌표가 특정된다. 컨트롤러(14)는, 적층 구조체(12)의 외부 기기이며, 터치 패널의 검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터치 패널이, 정전 용량식이면 정전 용량식의 컨트롤러를, 저항막식이면 저항막식의 컨트롤러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12)는, 적층체(20)와, 커버 부재(24)와 FPC(15)를 갖고, 3차원 형상을 갖는 것이다. 적층체(20)는 커버 부재(24)에 대하여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구조체(12)는, 적어도 평면부(12a)와, 평면부(12a)에 연속하여 형성된 2개의 측면부(12b, 12c)와, 한쪽의 측면부(12c)에 연속하여 형성된 돌출부(12e)를 구비한다. 2개의 측면부(12b, 12c)는, 평면부(12a)의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다. 평면부(12a)가 절곡된 곳을 굽힘부(B)라고 한다. 돌출부(12e)는, 측면부(12c)의 단이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12c)가 절곡된 곳을 굽힘부(Bf)라고 한다.
적층 구조체(12)에서는, 측면부(12b, 12c)는 평면부(12a)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평면으로 구성되고, 돌출부(12e)는 측면부(12c)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부(12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평면이다. 돌출부(12e)는 평면부(12a)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측면부(12b, 12c)는 평면부(12a)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평면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부(12b, 12c)는 곡면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측면부(12b)에 돌출부(12e)를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부(12b)에 돌출부(12e)를 마련해도 된다.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와 측면부(12b, 12c)와 돌출부(12e)로 구성되는 오목부(12d)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이 표시면(18a)을 평면부(12a)를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평면부(12a), 측면부(12c) 및 돌출부(12e)로 둘러싸인 영역(12f)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단이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12e)는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이면(18b)의 하방으로 돌아 들어가고 있다. 컨트롤러(14)는,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이면(18b)에 마련된다.
또한, 적층 구조체(12)는, 디스플레이 모듈(18)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적층 구조체(12)의 적층체(20) 및 커버 부재(24)는, 표시면(18a)에 표시되는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면(18a)의 범위에 맞추어, 평면부(12a) 및 측면부(12b, 12c)를 적절히 투명하게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은, 후술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표시면(18a)에 첩부하여 적층 구조체(1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및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이용하지 않고 적층 구조체(12)에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 에어 갭이라고 불리는 구조가 된다.
영역(12f)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단이 삽입되기 때문에, 돌출부(12e)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위치 결정을 위한 돌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이면(18b)과 돌출부(12e)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기(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와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적층 구조체(12)의 적층체(20)는, 평면부(12a)와 측면부(12b, 12c)와 돌출부(12e)에 대응한 3차원 형상을 갖는다. 적층체(2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22)에 의하여, 커버 부재(24)의 이면에 첩부되어 있다. 적층 구조체(12)에서는, 평면부(12a)와 측면부(12b, 12c)와 돌출부(12e)가 모두 적층체(20)와 커버 부재(24)로 구성되어 있다.
접착제층(22)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적층체(20)를 커버 부재(24)에 접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UV 경화 수지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20)와 커버 부재(24)를 직접 접착할 수 있으면 접착제층(22)은 반드시 마련할 필요는 없다.
커버 부재(24)는, 적층체(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내는 X방향과 Y방향은 직교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12)에서는, X방향으로 뻗는 제1 도전층(40)이,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1 도전층(40)은, 평면부(12a) 및 측면부(12b, 12c)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부(12b, 12c)에 걸쳐 있다. Y방향으로 뻗는 제2 도전층(50)이,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2 도전층(50)은, 평면부(12a), 측면부(12b) 및 측면부(12c)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측면부(12b, 12c)에 터치 센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각 제1 도전층(40)은, 그 일단에 있어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부는 제1 배선(4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1 배선(42)은, 2개의 측면부(12b, 12c) 중, 한쪽의 측면부(12c)에 인회되고, 추가로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인회되어, 선단(13)에 마련된 단자(44)(도 5 참조)에 일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44)(도 5 참조)에는, 선단(13)에 마련된 FPC(15)(도 5 참조)가 접속되어 있으며, FPC(15)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도전층(50)은, 그 일단에 있어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단자부는 도전성의 제2 배선(5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배선(52)은 한쪽의 측면부(12c)에 인회되고, 추가로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인회되어, 선단(13)에 마련된 단자(54)에 일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자(54)에는, 선단(13)에 마련된 FPC(15)가 접속되어 있으며, FPC(15)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도전층(40), 제1 배선(42) 및 단자(44)와 제2 도전층(50), 제2 배선(52) 및 단자(54)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적층 구조체(12)와 컨트롤러(14)와 터치 패널(16)이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은, 평면부(12a)에 대응하는 표시면(18a)을 갖지만, 측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이 없다. 이 경우, 측면부(12b, 12c)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지만, 측면부(12b, 12c)는, 예를 들면 전원의 온 오프를 위한 터치 스위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이, 측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아이콘 등을 표시하고, 아이콘과 기능을 관련지음으로써,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로서 기기 등의 다양한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과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을, 각각 측면부(12c)를 거쳐 돌출부(12e)의 선단(13)까지 인회하고, 제1 배선(42)과 제2 배선(52)의 주변 배선을 집중시킴으로써, 적층 구조체(12)의 두께를 측면부(12c)의 제1 도전층(40)이 뻗는 방향의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화할 수 있다. 이로써, 3차원 형상이고, 또한 측면부(12b, 12c)에 터치 센서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이더라도 박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을, 제2 도전층(5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인출한 경우, 평면부(12a)에 단자부가 필요하게 되지만, 그 단자부는, 외관상 숨길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가식 인쇄의 영역이 커져, 디자인의 제약이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측면부(12c)측에 주변 배선을 집중시킴으로써, 디자인의 제약이 되는 경우도 없다. 또, 평면부(12a)에 단자부를 마련한 경우, FPC를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지만, 주변 배선을 집중시킴으로써, 그와 같은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42)과 제2 배선(52)의 주변 배선에 대해서는, 적어도 돌출부(12e)에 인회되고 돌출부(12e)의 선단(13)에서 FPC에 접속되는 구성이면, 주변 배선의 배선 경로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면부(12b, 12c)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은 검출을 정확히 행하는 것이 어렵고, 검출을 위한 조정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1 배선(42)이 가능한 한 짧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적층 구조체(12), 및 적층 구조체(12)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돌출부(12e)를 마련함으로써, 컨트롤러(14)까지의 FPC(15)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접속 배선 부분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동작 불량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a)에 나타내는 적층 구조체(12)에서는, 커버 부재(24)를 돌출부(12e)에까지 마련하여, 돌출부(12e)를 적층체(20)와 커버 부재(24)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2e)에 커버 부재(24)를 마련하는 일 없이, 돌출부(12e)를 적층체(20)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커버 부재(24)에 돌출부(12e)가 불필요해져, 도 2(a)에 비하여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어,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층 구조체(12)를 구성하는 적층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b)는, 투명 도전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또한, 적층체(20)는, 적층 구조체(12)와 마찬가지로 3차원 형상을 갖는 것이지만, 도 3(a), (b)에서는 적층체(20)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평면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적층체(20)는, 예를 들면 아래로부터 보호 부재(32) 및 투명 도전 부재(30)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 부재(30)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터치 센서 부분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투명 도전 부재(30)는,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판(36)(도 3(b) 참조) 양면에, 도전성을 갖는 금속 세선(38)(도 3(b) 참조)으로 구성된 복수의 도전층이 형성된 것이다.
투명 도전 부재(30)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36)의 표면(36a)에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된 제1 도전층(40)이 형성되며, 투명 기판(36)의 이면(36b)에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된 제2 도전층(50)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 부재(30)에서는,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이 대향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은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의 도전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 형상이어도 되고, 메시 구조여도 되며, 도전 패턴의 일례는 후술한다.
또한, 1개의 투명 기판(36)의 표면(36a)에 제1 도전층(40)을, 이면(36b)에 제2 도전층(50)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기판(36)이 수축해도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의 위치 관계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투명 기판(36)의 표면(36a)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1 도전층(40)과 접속되는 제1 배선(42)과, 제1 배선(42)이 접속되는 단자(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투명 기판(36)의 이면(36b)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2 도전층(50)과 접속되는 제2 배선(52)과, 제2 배선(52)이 접속되는 단자(54)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32)는, 투명 도전 부재(30), 특히, 어느 하나의 도전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제2 도전층(50)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보호 부재(32)는, 적층 구조체(12)와 동일한 3차원 형상을 갖는다. 보호 부재(32)는, 투명 도전 부재(30), 특히 어느 하나의 도전층을 보호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 부재(32)는 터치 패널의 터치면을 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 부재(32)가 상술한 커버 부재(24)의 기능을 하여, 커버 부재(24)는 불필요해진다. 보호 부재(32)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 및 반사 방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3(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는, 보호 부재(32)/제2 도전층(50)/투명 기판(36)/제1 도전층(40)의 구성이다. 제2 도전층(50)/투명 기판(36)/제1 도전층(40)으로 투명 도전 부재(30)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투명 도전 부재(30)와 보호 부재(32)로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 측면부(12b, 12c) 및 돌출부(12e)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투명 도전 부재(30)와 보호 부재(32)로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 및 측면부(12b, 12c)를 구성하고, 투명 도전 부재(30)로 돌출부(12e)를 구성할 수도 있다.
투명 기판(36)은, 가요성을 갖고, 또한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투명 기판(36)은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을 지지한다. 투명 기판(36)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및 플라스틱판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타이렌,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EVA),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등의 폴리올레핀류, 바이닐계 수지, 그 외에,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아크릴 수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TAC)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광투과성, 열수축성, 및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38)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ITO, Au, Ag 또는 Cu로 형성된다. 금속 세선(38)은, ITO, Au, Ag 또는 Cu에, 추가로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해도 된다. 금속 세선(38)은, 바인더를 포함함으로써, 굽힘 가공하기 쉬워지고, 또한 굽힘 내성이 향상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로서는, 도전성 필름의 배선에 이용되는 것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9236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을, 금속 세선(38)이 교차하여 메시 형상이 된 메시 전극으로 하면, 저항을 낮게 할 수 있으며, 3차원 형상으로 성형할 때에 단선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도 저항값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금속 세선(38)의 선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15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7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며, 4μm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고, 0.5μm 이상이 바람직하며, 1.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이면,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을 비교적 용이하게 저저항으로 할 수 있다.
금속 세선(38)이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에 있어서의 주변 배선(인출 배선)으로서 적용되는 경우에는, 금속 세선(38)의 선폭은 5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이면, 저저항의 터치 패널 전극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금속 세선(38)이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에 있어서의 주변 배선으로서 적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에 있어서의 주변 배선은, 메시 패턴 전극으로 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의 바람직한 선폭은, 상술한 도전층에 채용되는 금속 세선(38)의 바람직한 선폭과 동일하다.
금속 세선(38)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μm~200μm가 바람직하고, 3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01μm~9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0.05μm~5μ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이면, 저저항의 전극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터치 패널 전극을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감광성 할로젠화 은염을 함유하는 유제층(乳劑層)을 갖는 감광 재료를 노광하여, 현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투명 기판(36) 상에 금속박을 형성하여, 각 금속박 상에 레지스트를 패턴 형상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전체면 도포한 레지스트를 노광하여, 현상함으로써 패턴화하여, 개구부의 금속을 에칭함으로써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도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페이스트에 금속 도금을 실시하는 방법, 및 상술한 도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이용한 잉크젯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자부(도시하지 않음), 제1 배선(42), 단자(44), 제2 배선(52) 및 단자(54)도, 예를 들면 상술한 금속 세선(38)의 형성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3(c)에 나타내는 적층체(20a)여도 되고, 도 4(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b)여도 된다.
여기에서,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일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b)는, 투명 도전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또한, 적층체(20a)와 적층체(20b) 모두, 적층 구조체(12)를 구성하는 것이며, 적층 구조체(12)와 마찬가지로 3차원 형상을 갖는 것이지만, 적층체(20)와 마찬가지로, 도 3(c) 및 도 4(a), (b)에서는 적층체(20a, 20b)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평면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적층체(20a)는, 도 3(a)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비하여, 보호 부재(32)와 투명 도전 부재(30)의 사이에 접착제층(34)을 갖고, 아래로부터 보호 부재(32), 접착제층(34), 투명 도전 부재(30), 접착제층(34), 보호 부재(32)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3(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착제층(34)은, 보호 부재(32)를 투명 도전 부재(30)에 접착하는 것이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으로 구성된다. 접착제층(34)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보호 부재(32)를 투명 도전 부재(30)에 접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UV(Ultraviolet) 경화 수지 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학적으로 투명이란, 상술한 투명의 규정과 동일하다.
접착제층(34)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해도 되고, 접착 시트를 이용해도 된다.
도 4(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b)는, 도 3(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비하여, 투명 도전 부재(30a)의 구성이 상이한 점 이외에, 그 구성은, 도 3(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 부재(30a)에서는, 투명 기판(36)의 표면(36a)에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된 제1 도전층(40)이 형성되며, 다른 투명 기판(36)의 표면(36a)에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된 제2 도전층(50)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 부재(30a)는, 제2 도전층(50) 상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여 2개의 투명 기판(36)이 적층된 것이다. 이와 같이, 1개의 투명 기판(36)에 도전층을 형성한 것을 적층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적층체(20b)는, 도 4(c)에 나타내는 적층체(20c)의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적층체(20c)는, 투명 도전 부재(30a)와 보호 부재(32)의 사이에 접착제층(34)을 갖는 점 이외에는, 도 4(a), (b)에 나타내는 적층체(20b)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적층체(20c)의 접착제층(34)은, 도 3(c)에 나타내는 적층체(20a)의 접착제층(34)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적층체(20a)의 투명 도전 부재(30), 및 상술한 적층체(20b, 20c)의 투명 도전 부재(30a)는, 모두, 예를 들면 투명 도전 부재(30)와 보호 부재(32)로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 측면부(12b, 12c) 및 돌출부(12e)를 구성할 수 있으며, 투명 도전 부재(30)와 보호 부재(32)로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 및 측면부(12b, 12c)를 구성하고, 투명 도전 부재(30)로 돌출부(12e)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적층체(20, 20a)의 투명 도전 부재(30), 및 상술한 적층체(20b, 20c)의 투명 도전 부재(30a)는, 모두 보호 부재(32)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34)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보호 부재(32) 및 접착제층(34)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된다. 이로써, 상술한 단자(44), 단자(54)에 대한 FPC(15)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도전층(40), 제1 배선(42), 단자(44) 및 FPC(15)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적층체(20)는, 상술과 같이, 3차원 형상을 갖지만, 도 5에서는 적층 구조체(12)를 구성하는 적층체(20)를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있어서, 2개의 굽힘부(B) 사이에 있는 영역(21a)이 적층 구조체(12)의 평면부(12a)에 상당하며, 굽힘부(B)의 외측의 영역(21b, 21c)이 적층 구조체(12)의 측면부(12b, 12c)에 상당하고, 굽힘부(Bf)의 외측의 영역(21e)이 돌출부(12e)에 상당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뻗는 제1 도전층(40)이, Y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마련되어 있다. 굽힘부(B)의 외측의 영역(21b, 21c)에도 제1 도전층(40)이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부(12b, 12c)에 제1 도전층(40)이 배치되게 된다.
각 제1 도전층(40)에는, 측면부(12c)에 상당하는 영역(21c)에서,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1 배선(4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배선(42)은, 각각 영역(21c) 및 영역(21e)에 인회되고, 영역(21e)의 선단(23)에 인회되어, 영역(21e)의 선단(23)에 마련된 단자(44)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44)에 FPC(15)가 접속된다. 또한, 영역(21e)의 선단(23)은,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한다.
측면부(12c)에 상당하는 영역(21c)에 제1 도전층(40)을 배치하고,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을 영역(21c)으로부터 영역(21e)까지 인회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영역(21c)의 X방향에서의 길이를 측면부(12c)의 길이, 즉, 적층 구조체(12)의 두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구조체(12), 및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 굽힘부(B)에 걸쳐 제1 도전층(40)을 배치하고 있으며, 제1 도전층(40)은 굽혀져 있기 때문에, 굽힘부(B)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은 센싱이 어렵고, 센싱하기 위해서는 다른 노이즈를 가능한 한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 배선(42)을,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에 집중시킴으로써, 제1 배선(4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어, 굽힘부(B)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의 센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배선(42)을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에 집중시키는 경우, 복수 개 있는 제1 배선(42)의 90% 이상을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e)에 제1 배선(42)을 집중시키고, 돌출부(12e)의 선단(13)에 FPC(15)를 마련함으로써, 컨트롤러(14)까지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배선(42)의 인회의 형태는, 도 5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0)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같이, 단자(44)를,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이며, 또한 Y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보다, 측면부(12c)에 상당하는 영역(21c)의 X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적층 구조체(12) 및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보다, 제1 배선(42)의 총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굽힘부(B)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의 센싱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적층체(20)에서도,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마찬가지로 FPC(15)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노이즈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제1 배선(42)의 인회의 형태는, 도 7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 및 제1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0)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같이, 3개의 제1 단자(44a), 제2 단자(44b), 제3 단자(44c)를,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 또한 Y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단자(44a)에 3개의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이 접속되고, 제2 단자(44b)에 2개의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이 접속되며, 제3 단자(44c)에 3개의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의 수와, 각 단자에 대한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의 접속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 단자에 대한 접속수는 동일하고, 또한 제1 배선(42)의 길이도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선 저항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센싱 특성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단자를 복수 마련한 경우, 1개의 배선 부재로, 예를 들면 복수의 단자의 수에 따른 분기부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수의 단자가 있어도, 컨트롤러(14)와 1개의 FPC(15)를 접속하면 되어, 컨트롤러(14)와의 접속이 번잡해지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3개의 분기부(17a, 17b, 17c)를 갖는 FPC(17)를 이용한다. 이 경우, FPC(17)의 분기부(17a)는 제1 단자(44a)와 접속되고, 분기부(17b)는 제2 단자(44b)와 접속되며, 분기부(17c)는 제3 단자(44c)와 접속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제1 배선(42)의 인회 형태에서도,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보다, 측면부(12c)에 상당하는 영역(21c)의 X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적층 구조체(12) 및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보다, 제1 배선(42)의 총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굽힘부(B)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의 센싱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7의 적층체(20)에서도,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마찬가지로 FPC(17)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노이즈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44a), 제2 단자(44b), 제3 단자(44c)에, 각각 FPC(15)를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도전층(50), 제2 배선(52), 단자(54) 및 FPC(15)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 및 제2 배선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0)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제2 도전층(50)이, X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마련되어 있다. 굽힘부(B)의 외측의 영역(21b, 21c)에도 제2 도전층(50)이 배치되어 있으며, 측면부(12b, 12c)에 제2 도전층(50)이 배치되게 된다. 이로써, 측면부(12b, 12c)에서의 센싱이 가능하게 된다.
각 제2 도전층(50)에는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2 배선(5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배선(52)은 인회되어, 측면부(12c)에 상당하는 영역(21c)을 거쳐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에 마련된 단자(54)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54)에 FPC(15)가 접속된다.
제2 배선(52)을 Y방향의 한쪽의 단으로부터 인출하고, 영역(21c)을 거쳐 영역(21e)에 인회하여, 제2 배선(52)을 영역(21e)에 집중시키고, 영역(21e)의 선단(23)에 FPC(15)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면 영역(21a)의 Y방향의 한쪽의 단에, 단자를 마련하여 FPC를 접속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영역(21a)에 단자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를 숨기기 위한 가식 인쇄의 영역도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제2 배선(52)을 영역(21e)에 집중시키고 영역(21e)의 선단(23)에 FPC(15)를 마련함으로써, FPC(15)의 컨트롤러(14)까지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52)을, 영역(21b)과 영역(21c)의 양쪽 모두에 인회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FPC의 수가 증가하여 FPC의 배선 거리의 총 길이가, FPC가 1개일 때보다 길어진다. FPC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배선 거리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컨트롤러(14)와 FPC의 접속수가 증가하면, 컨트롤러(14)의 구성이 복잡화된다. 또한, 컨트롤러(14)의 FPC(15)와의 접속 개소에서의 노이즈의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에 마련하는 FPC는, 각각 1개이며, 또한 그 배선 거리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제2 배선(52)의 인회의 형태는,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 및 제2 배선의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0)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적층체(20)와 같이, 제2 배선(52)을 Y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인출하여, 각각 영역(21c)으로부터, 돌출부(12e)의 선단(13)에 상당하는 영역(21e)의 선단(23)까지 인회하고, 영역(21e)의 선단(23)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배치된 제1 단자(54a), 제2 단자(54b)에 제2 배선(52)을 접속한다.
이 경우, 제1 단자(54a)에 6개의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이 접속되며, 제2 단자(54b)에 6개의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의 수와, 각 단자에 대한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의 접속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 단자에 대한 접속수는 동일하고, 또한 제2 배선(52)의 길이도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배선 저항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센싱 특성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서도, 제2 배선(52)을 Y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인출하고, 영역(21c)을 거쳐 영역(21e)에 인회하여, 제2 배선(52)을 영역(21e)에 집중시키고, 영역(21e)의 선단(23)에, 2개의 FPC(15)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면 영역(21a)의 Y방향의 양단에 단자를 마련하여, 2개의 FPC를 접속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영역(21a)에 단자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를 숨기기 위한 가식 인쇄의 영역도 작게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제1 단자(54a), 제2 단자(54b)에, 각각 FPC(15)가 접속된다. FPC의 배선 거리의 총 길이를 짧게 하는 것, 및 컨트롤러(14)와의 접속 개소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1개의 배선 부재로, 예를 들면 단자의 수에 따른 분기부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제1 단자(54a), 제2 단자(54b)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개의 분기부를 갖는 FPC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적층체(20)에서도, 돌출부(12e)에 제2 배선(52)을 집중시키고, 영역(21e)의 선단(23)의 Y방향의 양단에 마련한 제1 단자(54a)와 제2 단자(54b)에, 각각 FPC(15)를 마련함으로써, 컨트롤러(14)까지의 FPC(15)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은, 적층체(20), 적층체(20a), 적층체(20b), 적층체(20c)의 어느 구성에서도 상이한 층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FPC(15)가 동일한 층에 접속되는 일이 없고, 제1 도전층(40)과 제2 도전층(50)의 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도 5와 도 8, 도 5와 도 9, 도 6과 도 8, 도 6과 도 9, 도 7과 도 8, 도 7과 도 9 중 어느 조합이어도 된다. 도 5와 도 8의 조합에서는, 돌출부(12e)의 선단(13)의 동일 위치에 FPC(15)를 접속할 수 있다. 도 6과 도 9의 조합에서는, 돌출부(12e)의 선단(13)에, 3개의 단자가 배치되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FPC(17)로 접속할 수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층으로부터 인출되는 복수 개의 배선(제1 배선(42), 제2 배선(52))은, 90% 이상을 돌출부(12e)에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의 배선(제1 배선(42), 제2 배선(52)) 모두를 돌출부(12e)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도전층(40)의 제1 배선(42)의 총 길이를, 제2 도전층(50)의 제2 배선(52)의 총 길이보다 짧게 하기 위하여, 제1 도전층(40)에 접속된 제1 배선(42)이 인회되는 돌출부(12e)에 단자(44)를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선(42)의 총 길이를, 제2 배선(52)의 총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제1 배선(42)으로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굽힘부(B)에 걸쳐 있는 제1 도전층(40)의 센싱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5~9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적층체(2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적층체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적층체(20a, 20b, 20c)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 투명 도전 부재(30, 30a)는, 보호 부재(32)로부터 돌출되어도 되며, 접착제층(34)이 있는 경우에는 보호 부재(32) 및 접착제층(34)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된다.
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도전층(40) 및 제2 도전층(50) 중, 어느 한쪽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X방향 또는 Y방향 중 어느 한쪽의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제1 도전층(40)의 제1 도전 패턴(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1 도전층의 제1 도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전층(40)은 금속 세선(38)에 의한, X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격자(62)로 구성된 제1 도전 패턴(60)을 갖는다. 복수의 격자(62)는 대략 균일한 형상이다. 여기에서 대략 균일이란 완전 일치하는 경우에 더하여, 언뜻 보아 격자(62)의 형태, 크기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제1 도전 패턴(60)은,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과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의 2개의 패턴을 갖는다.
각 제1 도전층(40)은, 일단에 있어서 제1 전극 단자(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1 전극 단자(41)는 각 제1 배선(42)의 한쪽 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1 배선(42)은, 다른 한쪽 단에서 단자(44)(도 5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과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은 제1 비도전 패턴(6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시인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비도전 패턴(64)으로서, 후술하는 단선부를 갖는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시인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노트북 컴퓨터, 터치 패드 등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비도전 패턴(64)으로서, 금속 세선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되지 않고 스페이스로서 존재한다.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과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슬릿 형상의 비도통 패턴(65)을 구비하고, 각 비도통 패턴(65)에 의하여 분할되는 복수의 제1 도전 패턴열(68)을 구비한다.
또한, 시인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도통 패턴(65)으로서, 후술하는 단선부를 갖는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시인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노트북 컴퓨터, 터치 패드 등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도통 패턴(65)으로서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되지 않고 스페이스로서 존재한다.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은, 도 10의 상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한쪽 단이 개방된 슬릿 형상의 비도통 패턴(65)을 구비한다. 다른 한쪽 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은 빗형 구조가 된다.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은, 2개의 비도통 패턴(65)에 의하여 3개의 제1 도전 패턴열(68)이 형성된다. 각 제1 도전 패턴열(68)은 제1 전극 단자(41)와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동 전위가 된다.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은, 도 10의 하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한쪽 단에, 추가의 제1 전극 단자(66)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 형상의 비도통 패턴(65)은 제1 도전 패턴(60) 내에 폐쇄되어 있다. 추가의 제1 전극 단자(66)를 마련함으로써 각 제1 도전 패턴(60)의 검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은, 2개의 폐쇄된 비도통 패턴(65)에 의하여 3개의 제1 도전 패턴열(68)이 형성된다. 각 제1 도전 패턴열(68)은 제1 전극 단자(41)와 추가의 제1 전극 단자(66)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동 전위가 된다. 이 제1 도전 패턴열은 빗형 구조의 변형예 중 하나이다.
제1 도전 패턴열(68)의 수는 2개 이상이면 되고,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7개 이하의 범위에서 금속 세선(38)의 패턴 설계와의 관계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 3개의 제1 도전 패턴열(68)의 금속 세선의 패턴 형상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10에서는, 각각의 제1 도전 패턴열(68)은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의 제1 도전 패턴(60a)에서는, 3개의 제1 도전 패턴열(68) 중에서 가장 상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은, 인접하는 산형의 금속 세선(38)을 교차시키면서 X방향을 따라 뻗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상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은 완전한 격자(62)는 아니고, 하측의 꼭지각을 구비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중앙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은, 인접하는 격자(62)의 한 변끼리를 접촉시켜, X방향을 따라 뻗게 함으로써, 2열에 의하여 구성된다. 가장 하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은, 인접하는 격자(62)의 꼭지각끼리를 접촉시켜, X방향을 따라 뻗게 하고, 추가로 각 격자(62)의 한 변을 뻗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에서는, 가장 상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과 가장 하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열(68)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격자 형상이며, 인접하는 격자(62)의 한 변끼리를 접촉시켜, X방향을 따라 뻗게 함으로써, 2열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2의 제1 도전 패턴(60b)의 중앙의 제1 도전 패턴열(68)은 인접하는 격자(62)의 꼭지각끼리를 접촉시켜, X방향을 따라 뻗게 하고, 추가로 각 격자(62)의 한 변을 뻗게 함으로써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 도전층(50)의 제2 도전 패턴(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적층 구조체의 적층체의 제2 도전층의 제2 도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도전 패턴(70)은 금속 세선(38)에 의한 다수의 격자로 구성된다. 제2 도전 패턴(70)은, Y방향으로 뻗으며, X방향으로 복수 병렬로 제2 도전층(50)이 배열되어 있다. 각 제2 도전층(50)은 제2 비도전 패턴(7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시인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비도전 패턴(72)으로서, 단선부를 갖는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시인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노트북 컴퓨터, 터치 패드 등의 앞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비도전 패턴(72)으로서,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더미 패턴이 형성되지 않고 스페이스로서 존재한다.
각 제2 도전층(50)은 단자(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단자(51)는 도전성의 제2 배선(5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2 도전층(50)은, 일단에 있어서, 단자(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단자(51)는 각 제2 배선(52)의 한쪽 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2 배선(52)은, 다른 한쪽 단에서, 단자(54)(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2 도전 패턴(70)에 있어서, 제2 도전층(50)은 Y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단책 구조로 구성되지만, 단책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전 패턴(70)은, 다른 한쪽 단에, 추가의 제2 전극 단자(74)를 마련해도 된다. 추가의 제2 전극 단자(74)를 마련함으로써 각 제2 도전 패턴(70)의 검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추가의 제2 전극 단자(74)를 구비하지 않은 제2 도전층(50)과 추가의 제2 전극 단자(74)를 구비하고 있는 제2 도전층(50)을 동일 면 상에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추가의 제2 전극 단자(74)를 구비하고 있는 제2 도전층(50)과 제2 전극 단자(74)를 구비하지 않은 제2 도전층(50)을 혼재시킬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의 제2 도전층(50)만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제2 도전 패턴(70)에서는, 교차하는 금속 세선(38)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격자(76)를 포함하고 있으며, 격자(76)는, 제1 도전 패턴(60)의 격자(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격자(76)의 한 변의 길이, 격자(76)의 개구율에 대해서는 제1 도전 패턴(60)의 격자(62)와 동등하다.
여기에서, 도 12는, 빗형 구조의 제1 도전 패턴(60)과 단책 구조의 제2 도전 패턴(70)을 대향 배치시켜 얻어지는 조합 패턴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 도전 패턴(60)과 제2 도전 패턴(70)은 직교되어 있으며, 제1 도전 패턴(60)과 제2 도전 패턴(70)에 의하여, 조합 패턴(80)이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조합 패턴(80)은, 더미 패턴을 갖지 않는 제1 도전 패턴(60)과 더미 패턴을 갖지 않는 제2 도전 패턴(70)을 조합한 것이다.
조합 패턴(80)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격자(62)와 격자(76)에 의하여 소격자(82)가 형성된다. 즉, 격자(62)의 교차부가 격자(76)의 개구 영역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소격자(82)는, 격자(62) 및 격자(76)의 한 변의 절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한 변을 갖는다. 그 길이의 한 변은, 예를 들면 125μm 이상, 450μm 이하의 길이의 한 변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상, 350μm 이하의 길이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1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평판 형상의 적층체(20)의 전체면에 접착제층(22)(도 2(a) 참조)을 통하여 커버 부재(24)가 적층된 것을 준비한다. 또한, 접착제층(22)(도 2(a) 참조)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접착제층은 없어도 된다.
적층체(20)는, 굽힘부(B)를 경계로 평면부(12a)에 대응하는 영역(21a), 측면부(12b, 12c)에 상당하는 영역(21b, 21c)으로 구획되며, 추가로 굽힘부(Bf)를 경계로 돌출부(12e)에 상당하는 영역(21e)으로 구획되어 있다. 영역(21e)에까지 커버 부재(24)가 있다.
적층체(20)를, 커버 부재(24)와 함께 굽힘부(B)에서, 적층체(20)가 내측이 되도록 양단을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부(12b, 12c)를 형성하며, 또한 굽힘부(Bf)를 측면부(12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해 돌출부(12e)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형상으로 한다. 이때, 측면부(12b, 12c)는 평면부(12a)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고, 돌출부(12e)는 평면부(12a)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며, 평면부(12a)에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12e)의 선단(13)에 FPC(15)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오목부(12d)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표시면(18a)을 향하게 하여, 평면부(12a), 측면부(12c) 및 돌출부(12e)로 둘러싸인 영역(12f)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단을 삽입하고, 걸치도록 하여,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d)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끼워넣어,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장착한다. 이 장착은, 예를 들면 상술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표시면(18a)에 첩부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및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장착해도 된다.
그리고, FPC(15)를 컨트롤러(14)에 접속한다. 이로써,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형성할 수 있다.
영역(12f)은 커버 부재(24)로 둘러싸여 있으며, 커버 부재(24)를,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한 경우,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영역(12f)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걸쳐도 안정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체면에 커버 부재(24)가 적층된 적층체(20)의 절곡은,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절곡을 실시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적층체(20)의 절곡에는, 수지 재료의 절곡의 공지의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 측면부(12b, 12c)와 돌출부(12e)는, 1단계의 절곡으로 형성해도 되고, 측면부(12b, 12c)를 형성한 후, 돌출부(12e)를 형성하는 2단계의 절곡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2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4(a)~(c)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에 있어서, 도 13(a)~(c)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2 예에서는, 도 13(a)~(c)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1 예와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2 예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1 예에 비하여,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20)의 영역(21a)과 영역(21b, 21c)에 커버 부재(24)가 적층되어 있지만, 영역(21e)에 커버 부재(24)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21e)은 적층체(2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층체(20)를, 커버 부재(24)와 함께 굽힘부(B)에서, 적층체(20)를 내측으로 하여 양단을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부(12b, 12c)를 형성하여 입체적인 형상으로 한다. 커버 부재(24)가 적층체(20)의 전체면에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돌출부(12e)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적층체(20)의 선단(23)에 FPC(15)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오목부(12d)측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의 표시면(18a)을 향하게 하여, 오목부(12d)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수납하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d)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장착한다. 이 장착은, 상술한 제1 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상술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OCA) 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OCR)를 표시면(18a)에 첩부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체(20)를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이면(18b)측으로 굽혀 돌출부(12e)를 형성하고, FPC(15)를 컨트롤러(14)에 접속한다. 이로써,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3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예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5(a) 및 (b)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에 있어서, 도 13(a)~(c)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와 동일 구성물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3 예에서는, 도 13(a)~(c)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의 제1 예와 동일한 공정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3 예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제1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장착 방법이 상이한 점 이외에는, 상술한 제조 방법의 제1 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조 방법의 제3 예에서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면에 커버 부재(24)가 마련된 적층체(20)를, 평면부(12a), 측면부(12b, 12c) 및 돌출부(12e)를 갖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입체적 형상은, 도 13(b)에 나타내는 평면적인 형상을 입체적으로 본 것이다.
다음으로,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d)에 대하여, 평면부(12a)와 측면부(12b, 12c)의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슬라이드시켜 삽입하고, 끼워넣는다. 그리고,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8)의 이면(18b)의 컨트롤러(14)와 FPC(15)를 접속한다. 이로써,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어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FPC(15)를 마련한 후에,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장착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8)을 장착한 후에 FPC(15)를 장착해도 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또는 변경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2 적층 구조체
12a 평면부
12b, 12c 측면부
12e 돌출부
14 컨트롤러
15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16 터치 패널
18 디스플레이 모듈
20, 20a, 20b, 20c 적층체
22, 34 접착제층
24 커버 부재
30, 30a 투명 도전 부재
32 보호 부재
36 투명 기판
38 금속 세선
40 제1 도전층
42 제1 배선
44, 54 단자
50 제2 도전층
52 제2 배선
60 제1 도전 패턴
70 제2 도전 패턴

Claims (17)

  1. 3차원 형상을 갖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구비하는 적층 구조체로서,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판 상에 금속 세선으로 구성된 도전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는 투명 도전 부재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과,
    상기 투명 도전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3차원 형상은, 적어도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속하여 절곡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연속하며, 또한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절곡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평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 중,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상기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은, 적어도 상기 돌출부에 인회되어, 상기 투명 도전 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선단에서 가요성을 갖는 배선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투명 도전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평면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한쪽의 상기 측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평면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평면부와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사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적층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하여 상기 3차원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금속 세선으로 구성된 메시 구조의 도전 패턴을 갖는 적층 구조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투명 기판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투명 기판의 편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층이 편면에 형성된 상기 투명 기판이 2개 적층되어 있는 적층 구조체.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구조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구조체와, 상기 적층 구조체의 상기 평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로 구성되는 오목부에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되어 있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구조체를 갖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연속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절곡한 상기 돌출부로 구성된 3차원 형상의 적층 구조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평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돌출부로 구성된 오목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장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투명 도전 부재, 또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투명 도전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장착되는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7006101A 2014-09-11 2015-08-04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5317 2014-09-11
JPJP-P-2014-185317 2014-09-11
PCT/JP2015/072112 WO2016039047A1 (ja) 2014-09-11 2015-08-04 積層構造体、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807A KR20170041807A (ko) 2017-04-17
KR101873177B1 true KR101873177B1 (ko) 2018-06-29

Family

ID=554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101A KR101873177B1 (ko) 2014-09-11 2015-08-04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92574A1 (ko)
JP (1) JP6220985B2 (ko)
KR (1) KR101873177B1 (ko)
CN (1) CN106575180A (ko)
TW (1) TWI664560B (ko)
WO (1) WO20160390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9228B2 (en) 2020-05-2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an active p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9928A (ja) *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タッチパネル研究所 非平板状のタッチパネル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7352B2 (ja) * 2016-07-05 2019-10-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式3次元センサ
KR101904969B1 (ko) 2016-07-29 2018-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249979B (zh) * 2016-08-31 2019-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电极结构以及触控显示装置
JP7083236B2 (ja) * 2016-11-21 2022-06-10 天馬微電子有限公司 電気振動方式の触覚提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6816460B (zh) 2017-03-01 2020-04-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显示面板及柔性触控显示装置
CN107039396B (zh) * 2017-04-28 2020-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走线结构、显示基板及显示装置
US12004392B2 (en) 2017-04-28 2024-06-04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421927B1 (ko) * 2017-06-01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07526478A (zh) * 2017-09-08 2017-12-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053427B1 (ko) * 2017-09-14 2019-12-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7728850B (zh) * 2017-11-03 2020-08-0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
JP6576498B2 (ja) * 2018-03-09 2019-09-18 Nissha株式会社 Fpc一体型静電容量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3239B1 (ko) * 2018-06-08 2022-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0858107A (zh) * 2018-08-22 2020-03-0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US10999925B2 (en) * 2018-09-19 2021-05-04 Ii-Vi Delaware, Inc. Stretchable conductor circuit
KR102017767B1 (ko) * 2018-09-28 2019-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92924B1 (ko) * 2018-10-30 2023-0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969988B (zh) * 2018-12-19 2024-05-07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传感器
DE102019219598A1 (de) * 2018-12-19 2020-06-25 Apple Inc. Ultradünne berührungssensoren
US11853515B2 (en) 2018-12-19 2023-12-26 Apple Inc. Ultra-thin touch sensors
CN109963409B (zh) * 2019-04-10 2021-0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侧面导线的制造方法和基板结构
CN110262691B (zh) 2019-06-20 2021-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和驱动方法、触控显示面板
KR102319542B1 (ko) * 2019-08-28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R3107944B1 (fr) * 2020-03-05 2022-02-11 Bordes Jacques Système LED sans dissipateur thermique
JP6971354B2 (ja) * 2020-05-13 202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携帯用情報機器、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携帯用情報機器の製造方法
KR102480860B1 (ko) * 2020-08-27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30020612A (ko) * 2021-08-03 202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부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2846A1 (ja) 2011-03-31 2012-10-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7524A1 (en) * 2009-07-27 2011-01-27 Chien Lung Chen Dual-substrate capacitive touch panel
JP4944975B2 (ja) * 2010-04-14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106026B (zh) * 2012-03-30 2016-10-26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电子设备和触摸面板
KR101515623B1 (ko)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JP5840096B2 (ja) * 2012-05-28 2016-0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2014002540A (ja) * 2012-06-18 2014-01-09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3543979A (zh) * 2012-07-17 2014-01-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出语音的方法、语音交互的方法及电子设备
JP5347096B1 (ja) * 2012-09-13 2013-11-20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US9395836B2 (en) * 2012-10-01 2016-07-19 Atm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rders of a touch sensor
TWI489336B (zh) * 2012-11-22 2015-06-21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觸控顯示模組
JP2014149608A (ja) * 2013-01-31 2014-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可撓性電極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4157400A (ja) * 2013-02-14 2014-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
TW201435670A (zh) * 2013-03-08 2014-09-16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TWM480117U (zh) * 2014-02-24 2014-06-11 Hannstouch Solution Inc 觸控面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2846A1 (ja) 2011-03-31 2012-10-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スクリ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9228B2 (en) 2020-05-27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nsor for an active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5180A (zh) 2017-04-19
JP6220985B2 (ja) 2017-10-25
US20170192574A1 (en) 2017-07-06
JPWO2016039047A1 (ja) 2017-06-08
TWI664560B (zh) 2019-07-01
TW201610783A (zh) 2016-03-16
KR20170041807A (ko) 2017-04-17
WO2016039047A1 (ja)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77B1 (ko) 적층 구조체,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333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31398A1 (ja) 積層構造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JP5347096B1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JP6170420B2 (ja)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WO2010016174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946578B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333555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0606425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9148141B2 (en) Layout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203849A1 (zh) 触控基板、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TW201207687A (en)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6264364B2 (ja)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CN107544627B (zh) 可携式电子装置
WO2018110123A1 (ja) 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機器
US20100039407A1 (e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with predetermined sensing areas
JP6216285B2 (ja) 入力装置
US9495026B2 (en) Touch panel and touch-controlled display device
US11360623B2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JP6613512B1 (ja) 電子機器
US20140353020A1 (en) Touch panel
KR20110136117A (ko) 다중 인식이 가능한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35410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