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42B1 -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42B1
KR101868342B1 KR1020170068785A KR20170068785A KR101868342B1 KR 101868342 B1 KR101868342 B1 KR 101868342B1 KR 1020170068785 A KR1020170068785 A KR 1020170068785A KR 20170068785 A KR20170068785 A KR 20170068785A KR 101868342 B1 KR101868342 B1 KR 10186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wire
keyhole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열
Original Assignee
지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열 filed Critical 지상열
Priority to KR102017006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3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flexible
    • E05B53/005Bowd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승강장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조립 설치되며, 열쇠로 도어로킹장치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는 로킹부작동수단; 일단은 로킹부작동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로킹장치에 연결되어 로킹부의 당김 및 풀림 작동을 수행하는 와이어; 및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며, 프레임에 로킹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로킹장치;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잠금 및 해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Platform door lock and unlock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잠금 및 해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의 적소에는 비상시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열쇠구멍이 설치된다.
즉, 도 1 의 (a)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열쇠구멍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스크린 도어에 열쇠구멍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개방용 열쇠 및 열쇠구멍에 관한 지침서에 의하면, 구조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객을 구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방용 열쇠 및 열쇠구멍의 형태와 부착 위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열쇠구멍을 이용한 종래 도어 로킹 장치의 작동은 도 2(a)(b)(c)와 같다.
즉, 도 2 의 (a)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2 (b)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잠금 및 해제장치의 레버가 동작되기 전 상태도이다.
또한 도 2 (c)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잠금 및 해제장치의 레버가 하강하여 동작된 후 를 보인 상태도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첫째, 종래 기술은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도어에 열쇠구멍을 정확히 설치하지 않으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레버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작동불능 상태까지 올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레버와 도어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은 정확히 수평과 거리가 맞아야 하는데, 정확하게 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둘째, 도어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을 항상 정위치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 즉, 아무 곳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셋째, 정확히 열쇠구멍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어렵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12471호(2008. 03. 04)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5447호(2007. 01. 22)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로킹부작동수단에 열쇠와 브라켓트 그리고 열쇠구멍과 와이어가 구비되고, 도어로킹장치에는 프레임과 로킹부 및 작동아암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도어에 열쇠구멍을 정확히 설치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여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도어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을 항상 정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열쇠구멍의 위치를 제약 없이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장치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정확히 열쇠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간단하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잠금 및 해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조립 설치되며, 열쇠로 도어로킹장치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는 로킹부작동수단; 일단은 로킹부작동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로킹장치에 연결되어 로킹부의 당김 및 풀림 작동을 수행하는 와이어; 및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며, 프레임에 로킹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로킹장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킹부작동수단에 열쇠와 브라켓트 그리고 열쇠구멍과 와이어가 구비되고, 도어로킹장치에는 프레임과 로킹부 및 작동아암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에 열쇠구멍을 정확히 설치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여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을 항상 정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열쇠구멍의 위치를 제약 없이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장치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정확히 열쇠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간단하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잠금 및 해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열쇠구멍이 설치된 상태도이고,
(b)는 스크린 도어에 열쇠구멍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2 의 (a)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
도이며,
(c)는 종래 승강장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도어로킹장치의 로킹상태 정면
도.
도 5 는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도어로킹장치의 로킹해제 상태
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제품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잠김 상태 정면사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의 잠김 상태사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의 해제 상태사진.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해제상태 정면사진.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는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승강장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조립 설치되며, 열쇠(101)로 도어로킹장치(200)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는 로킹부작동수단(10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단은 로킹부작동수단(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로킹장치(200)에 연결되어 로킹부(210)의 당김 및 풀림 작동을 수행하는 와이어(11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115)의 타단이 연결되며, 프레임(211)에 로킹부(2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로킹장치(200)가 구비되어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로킹부작동수단(100)은 도 3, 8, 9 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작동홈(112)이 형성된 브라켓트(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브라켓트(110)에 고정 설치되며, 열쇠(101)를 꽂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열쇠구멍(111) 모듈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열쇠구멍(111)의 끝단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115)의 선단에 연결되어 열쇠(101)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링크(113)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와이어(115)의 외부에는 와이어(115)가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와이어보호튜브(116)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보호튜브(116)의 일단은 브라켓트(110)에 돌출된 튜브고정편(114)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보호튜브(116)의 타단은 프레임(211)에 돌출된 튜브고정편(224)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15)의 일측 끝단은 링크(113)에, 와이어(115)의 타측 끝단은 작동편(217)에 고정 설치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로킹부(210)는 도 4, 5 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211)의 회전축(213)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115)가 연결되게 작동편(217)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2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후크바(212)에 조립 설치되며, 상단에 로킹해제휠(215)과 하단에 지지휠(216)이 구비된 후크레버(2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휠은 미끄럼 방지용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211)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220)이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힌지축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도 5 와 같이 하강된 작동편(217)을 다시 도 4 와 같이 상부로 원상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22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3 은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도어로킹장치(200)의 로킹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는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 로킹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 잠금 및 해제장치에 적용된 도어로킹장치(200)의 로킹해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는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해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제품 사진으로, 로킹부작동수단(100)과 와이어(115) 그리고 도어로킹장치(200)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잠김 상태 정면사진으로,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 로킹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100)의 잠김 상태사진으로, 링크(113)가 작동홈(112)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로킹부작동수단(100)의 해제 상태사진으로, 링크(113)가 작동홈(112)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 및 해제장치의 해제상태 정면사진으로,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해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특징은 승객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 등에 설치되는 열쇠구멍(111)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로킹부작동수단(100)과 도어로킹장치(200)의 사이에 와이어(115)가 설치되어서 가능하다.
즉, 로킹부작동수단(100)을 먼저 조립 설치하거나 또는 도어로킹장치(200)를 먼저 설치하거나 관계없이 최종 와이어(115)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열쇠구멍(111)의 위치를 제약 없이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에 열쇠구멍을 정확히 설치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여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고, 또한 도어에 설치되는 열쇠구멍을 항상 정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열쇠구멍의 위치를 제약 없이 선택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서 장치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정확히 열쇠구멍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간단하고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이후의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상시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으로, 도 4 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열쇠(101)를 열쇠구멍(111)에 꽂은 후 어느 일측으로 돌린다.
그러면 열쇠구멍(111)과 일체로 축설된 링크(113)가 작동홈(112)에서 회전 작동하고, 이 과정에서 와이어(115)는 당겨지게 된다.
이때 와이어(115)는 와이어보호튜브(116)에 내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고, 와이어보호튜브(116)의 일단과 타단은 튜브고정편(114)(224)에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와이어(116)만 이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작동편(217)을 당기거나 미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115)의 당김 작동에 의해 작동편(217)이 하강하면 도 5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작동편(217)이 하강하면서 작동아암(220)을 누르게 되면 작동아암(2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작동편(217)의 하강에 의해서는 이와 연결된 후크레버(214)와 후크바(212)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해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된 작동아암(22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22)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최초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잠금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로킹부작동수단
101: 열쇠
110: 브라켓트
111: 열쇠구멍
115: 와이어
200: 도어로킹장치
211: 프레임
210: 로킹부
220: 작동아암

Claims (5)

  1.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사용환경의 조건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장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조립 설치되며, 열쇠로 도어로킹장치를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키는 로킹부작동수단;
    일단은 로킹부작동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로킹장치에 연결되어 로킹부의 당김 및 풀림 작동을 수행하는 와이어; 및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며, 프레임에 로킹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로킹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로킹부는, 프레임의 회전축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게 작동편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 후크바에 조립 설치되며, 로킹해제휠과 지지휠이 구비된 후크레버; 및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작동수단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도어 또는 도어 고정틀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작동홈이 형성된 브라켓트;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며, 열쇠를 꽂아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열쇠구멍; 및
    일단은 열쇠구멍의 끝단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되어 열쇠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 작동하는 링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외부에는 와이어가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와이어보호튜브가 끼워지되,
    와이어보호튜브의 일단은 브라켓트에 돌출된 튜브고정편에 고정 설치되고,
    와이어보호튜브의 타단은 프레임에 돌출된 튜브고정편에 고정 설치되고,
    아울러 와이어의 일측 끝단은 링크에, 와이어의 타측 끝단은 작동편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하강된 작동편을 다시 상부로 원상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20170068785A 2017-06-02 2017-06-02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86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85A KR101868342B1 (ko) 2017-06-02 2017-06-02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785A KR101868342B1 (ko) 2017-06-02 2017-06-02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342B1 true KR101868342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785A KR101868342B1 (ko) 2017-06-02 2017-06-02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8030A (zh) * 2019-03-20 2019-05-24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IT202000004102A1 (it) * 2020-02-27 2021-08-27 Marco Frigerio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manual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47B1 (ko) 2005-11-15 2007-01-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개조 방법
KR100812471B1 (ko) 2005-12-20 2008-03-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20080053765A (ko) * 2006-12-11 2008-06-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KR100984073B1 (ko) *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CN104631957A (zh) * 2015-02-02 2015-05-20 上海嘉成轨道交通安全保障系统股份公司 一种轨道交通屏蔽门锁紧和解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47B1 (ko) 2005-11-15 2007-01-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개조 방법
KR100812471B1 (ko) 2005-12-20 2008-03-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잠금 해제 장치
KR20080053765A (ko) * 2006-12-11 2008-06-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KR100984073B1 (ko) *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CN104631957A (zh) * 2015-02-02 2015-05-20 上海嘉成轨道交通安全保障系统股份公司 一种轨道交通屏蔽门锁紧和解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8030A (zh) * 2019-03-20 2019-05-24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WO2020186547A1 (zh) * 2019-03-20 2020-09-24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CN109798030B (zh) * 2019-03-20 2023-05-09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IT202000004102A1 (it) * 2020-02-27 2021-08-27 Marco Frigerio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manual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03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20100207401A1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1868342B1 (ko)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102095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20160083210A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962145B1 (ko) 시트백 테이블 로킹장치
EP3421700B1 (en) Door operator system, emergency release device and door isolation lock for a transit vehicle door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CN107438575B (zh) 可触及式电梯缓冲器
KR101929575B1 (ko)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US10914101B2 (en) Door latch assemblies for vehicles including latch release lever blocking structures
JP6777033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解錠装置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2016145101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JP6521741B2 (ja) 鉄道車両の扉支持構造
KR10173682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00081496A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1743004B1 (ko) 전동차량의 윈도우 개폐 장치
JP2007177456A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
EP0897167A2 (en) Locking apparatus for use in game machine
KR100783903B1 (ko) 슬라이드 도어 개폐 안전장치
KR10065552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KR100876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KR10137125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