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575B1 -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575B1
KR101929575B1 KR1020170069565A KR20170069565A KR101929575B1 KR 101929575 B1 KR101929575 B1 KR 101929575B1 KR 1020170069565 A KR1020170069565 A KR 1020170069565A KR 20170069565 A KR20170069565 A KR 20170069565A KR 101929575 B1 KR101929575 B1 KR 10192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eight
locking device
loc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75A (ko
Inventor
한영일
Original Assignee
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일 filed Critical 한영일
Priority to KR102017006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57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로킹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도어로킹장치에는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는 프레임의 회전축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게 작동편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 후크바에 조립 설치되며, 로킹해제휠과 지지휠이 구비된 후크레버;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 및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무게추가이드편을 따라 승하강 작동하되 평상시에 무거운 중량에 의해 로킹부를 눌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도어 잠금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up sliding 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도어 잠금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200957호(2012. 11. 07)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승강기(昇降機)는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승강기는 고층 건물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설비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 승강기의 설치 없이 건축되는 고층건물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승강기는 도어가 임의로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 장치를 구비하는데 록킹 장치의 오작동에 의해 도어가 열려 일어나는 안전사고 및 추락사고는 해마다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록킹 장치가 오작동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내장된 기계장치의 인타록이 승강기 운행 중 동작결함을 일으키는데 있다.
한편, 도 2 의 (a)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도어 잠금장치의 레버가 동작되기 전 상태도이다.
또한 도 2 (c)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도어 잠금장치의 레버가 하강하여 동작된 후 를 보인 상태도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로킹부의 작동시 스프링의 압축 및 벌어짐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스프링이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노후화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장시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 되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로킹부의 작동시 스프링이 부러지거나 또는 이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00957호(2012. 11. 07)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12471호(2008. 03. 04)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5447호(2007. 01. 22)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와 도어로킹장치 그리고 로킹부와 작동아암 및 무게추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로킹부의 작동시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노후화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로킹부를 장시간 사용시에도 무게추의 작동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로킹부의 작동시 무게추가 부러지거나 또는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도어 잠금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로킹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도어로킹장치에는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는 프레임의 회전축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게 작동편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 후크바에 조립 설치되며, 로킹해제휠과 지지휠이 구비된 후크레버;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 및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어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되, 무게추가이드편을 따라 승하강 작동함과 아울러 평상시에 무거운 중량에 의해 로킹부를 눌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시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도어를 열쇠로 열 경우 와이어에 의해 작동편을 잡아 당겨 작동아암을 눌러 회전시키면 무게추가이드편을 따라 밀려 올라가 로킹부가 해제되도록 한 무게추;가 포함되고, 더하여 상기 힌지축에는 회전된 작동아암이 다시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복귀를 돕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포함되되, 일측으로 회전된 작동아암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비틀림장력을 발생시키고,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작동아암을 최초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와 도어로킹장치 그리고 로킹부와 작동아암 및 무게추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부의 작동시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노후화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로킹부를 장시간 사용시에도 무게추의 작동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로킹부의 작동시 무게추가 부러지거나 또는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도어 잠금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
도이며,
(c)는 종래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
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 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
인 정면 사진.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로킹장치(200)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로킹장치(200)에는 프레임(211)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로킹부(21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로킹부(2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211)의 회전축(213)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100)가 연결되게 작동편(217)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2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후크바(212)에 조립 설치되며, 상단에 로킹해제휠(215)과 하단에 지지휠(216)이 구비된 후크레버(214)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211)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220)이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211)에 조립 설치되며, 무게추가이드편(231)을 따라 승하강 작동하되 평상시에 무거운 중량에 의해 로킹부(210)를 눌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2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편(217)에는 후크레버(214)의 위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체결편(219)에 체결되는 조절구(218)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힌지축(221)에는 회전된 작동아암(220)이 다시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복귀를 돕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222)이 조립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와이어(100)의 외부에는 와이어가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와이어보호튜브(101)가 끼워지되, 상기 와이어보호튜브의 일단은 브라켓트에 돌출된 튜브고정편(224)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고장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이와 같은 상태는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 로킹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로, 이와 같은 상태는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해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정면 사진으로,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 로킹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 사진으로,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해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 2, 4 는 도어로킹장치(200)의 로킹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무게추가이드편(231)에 끼워진 무게추(230)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작동아암(220)을 눌러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상태의 작동아암(220)의 일단에 연결된 베어링은 무게추(230)의 하단에 눌리게 되고, 타단에 연결된 베어링은 작동편(217)을 받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작동편(217)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로킹부(210)가 도어에 걸려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아암(220)은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되, 힌지축(221)에 조립 설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2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아암(220)의 복귀를 도와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 3, 5 는 도어로킹장치(200)의 로킹 해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무게추가이드편(231)에 끼워진 무게추(230)가 와이어(100)의 당김 작용에 의해 상승하여 로킹부(210)가 도어에서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상시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열쇠를 열쇠구멍에 꽂은 후 어느 일측으로 돌린다.
그러면 열쇠구멍과 일체로 축설된 링크가 회전 작동하고, 이 과정에서 와이어(100)가 당겨지게 된다.
이때 와이어(100)는 와이어보호튜브(101)에 내에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고, 와이어보호튜브(101)는 튜브고정편(224)에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와이어(100)만 이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작동편(217)을 당기거나 미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100)의 당김 작동에 의해 작동편(217)이 하강하면 도 3, 5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와이어(100)에 의해 작동편(217)을 잡아 당긴다. 그러면 작동편(217)은 타측 작동아암(220)을 누르게 되어 작동아암(220)이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아암(22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는 작동아암(220)의 일측이 무게추(230)를 밀어 올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로킹부(10)가 도어에서 이탈되어 로킹 해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된 작동아암(22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222)에 비틀림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와이어(100)의 풀림에 의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22)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작동아암(220)을 최초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잠금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크레버(214)의 위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체결편(219)에 체결된 조절구(218)를 조이게 되면 후크레버(2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해제휠(215)과 지지휠(216)을 수직에 가깝게 위치시키게 되고, 반대로 조절구(218)를 풀면 후크레버(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해제휠(215)과 지지휠(216)을 수직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도어의 로킹 및 해제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와이어
200: 도어로킹장치
210: 로킹부
220: 작동아암
230: 무게추

Claims (4)

  1.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로킹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도어로킹장치에는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에는 프레임의 회전축에 조립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하되,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게 작동편이 돌출 구비된 후크바;
    후크바에 조립 설치되며, 로킹해제휠과 지지휠이 구비된 후크레버;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작동아암; 및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어 무게추의 중력 작용에 의해 승강장 도어가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되, 무게추가이드편을 따라 승하강 작동함과 아울러 평상시에 무거운 중량에 의해 로킹부를 눌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비상시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도어를 열쇠로 열 경우 와이어에 의해 작동편을 잡아 당겨 작동아암을 눌러 회전시키면 무게추가이드편을 따라 밀려 올라가 로킹부가 해제되도록 한 무게추;가 포함되고, 더하여
    상기 힌지축에는 회전된 작동아암이 다시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복귀를 돕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포함되되, 일측으로 회전된 작동아암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비틀림장력을 발생시키고, 와이어의 풀림에 의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작동아암을 최초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에는,
    후크레버의 위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체결편에 체결되는 조절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외부에는 와이어가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와이어보호튜브가 끼워지되,
    와이어보호튜브의 일단은 브라켓트에 돌출된 튜브고정편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KR1020170069565A 2017-06-05 2017-06-05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KR10192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65A KR101929575B1 (ko) 2017-06-05 2017-06-05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65A KR101929575B1 (ko) 2017-06-05 2017-06-05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75A KR20180133075A (ko) 2018-12-13
KR101929575B1 true KR101929575B1 (ko) 2018-12-17

Family

ID=6467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65A KR101929575B1 (ko) 2017-06-05 2017-06-05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9291B (zh) * 2019-09-27 2022-02-18 浙江海洋大学 一种水果采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75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321B2 (en) Maintenance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a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57103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KR20150096789A (ko) 차량 도어 래치
EP2113048B1 (en) Latch assembly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US6641183B2 (en) Door latch device
KR101102095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JP2010269895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101929575B1 (ko) 승강장 상승 도어 잠금장치
JP5888262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解錠装置
JP6494579B2 (ja) 乗場扉錠解除構造
JP6777033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解錠装置
KR101868342B1 (ko)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WO2017017702A1 (en) Lock strike plate provided with an emergency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comprising said lock strike plate
CN107055288B (zh) 电梯手拉门门锁系统
GB2119350A (en) Lift door control apparatus
KR100897693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6787265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解錠装置
US2998992A (en) Mechanism for pulling a lock handle into a vehicle door
GB2206331A (en) Elevator car door locking mechanism
KR100896765B1 (ko) 차량 통제용 차단기
JP460987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放ロック装置
CN213569046U (zh) 旁开双折层门的防坠落安全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