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765A -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765A
KR20080053765A KR1020060125708A KR20060125708A KR20080053765A KR 20080053765 A KR20080053765 A KR 20080053765A KR 1020060125708 A KR1020060125708 A KR 1020060125708A KR 20060125708 A KR20060125708 A KR 20060125708A KR 20080053765 A KR20080053765 A KR 2008005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
slider
excava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515B1 (ko
Inventor
강영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된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는, 굴삭기의 캐빈 일측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도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도어고정부와, 상기 도어고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캐빈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상기 도어 닫힘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어를 닫힘 위치로 밀어내기 위한 닫힘부, 상기 캐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캐빈과의 충격에너지를 도어의 닫힘에너지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어 도어나 캐빈의 파손을 방지하고 개방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어캐치, 작동부재, 걸림부재, 슬라이더, 탄성스프링, 작동레버

Description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Device for closing door of Exca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닫힘장치가 굴삭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Y-Y선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닫힘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닫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고정부 11 : 스트라이커
12 : 프레임 13 : 도어캐치
14 : 작동부재 15, 38 : 코일스프링
30 : 닫힘부 31 : 보조프레임
32 : 슬라이더 33 : 탄성스프링
34 : 걸림홈 35 : 걸림부재
36 : 홀 37 : 회동바
39 : 댐퍼 40 : 완충부재
50 : 작동부 51 : 레버프레임
52 : 작동레버 53 : 와이어
본 발명은 굴삭기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된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 기계로서,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상기 굴삭기는 궤도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주행체와, 이 하부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이 구비된 상부선회체와, 일정한 각도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상부선회체의 앞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과, 이 붐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버킷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선회체의 캐빈은 통상 측면에 도어가 구비되어 운전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어는 통상 캐빈 내의 운전석과 상당 거리 이격되어 있고, 캐빈의 측면에 대해 대략 180도로 회동되어 개방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닫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구조에 따른 도어 닫힘 구조를 살펴보면, 도어의 외측면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외측면에는 회동되어 개방된 도어의 스트라이커가 걸리도록 된 도어캐치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캐치는 캐빈 내에 설치된 해제레버에 연결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해제레버를 당기게 되면 도어캐치가 스트라이커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가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해제레버를 당겨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키더라도 도어가 캐빈에 대해 회동되지 않으므로 도어를 닫힘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해제레버 작동만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일어나 캐빈 외측으로 회동되어 있는 도어를 직접 닫아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개방되는 도어와 캐빈 사이에 고무댐퍼만이 설치되어 개방되는 도어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서 도어 개방시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캐빈이나 도어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충격 소음을 일으켜 운전자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된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개방시 캐빈과의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이러한 충격 흡수에너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는, 굴삭기의 캐빈 일측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도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도어고정부와, 상기 도어고정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캐빈에 설치되어 도어 개방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상기 도어 닫힘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어를 닫힘 위치로 밀어내기 위한 닫힘부, 상기 캐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개방시의 충격에너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힘 위치까지 밀어내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캐빈에 닫을 수 있다.
상기 도어고정부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상기 캐빈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캐치,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도어캐치쪽으로 연장되어 도어캐치를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캐빈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보조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선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보조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선단이 끼워지며 타측 선단은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연동되는 회동바를 이루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일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 선단에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고정부가 작동되어 도어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작동시켜 슬라이더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캐빈 외측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도어를 밀어 도어를 캐빈의 닫힘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일차적으로 도어고정부를 작동하고 연속적으로 닫힘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는, 캐빈 내부에 설치되는 레버프레임과, 상기 레버프레임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도어고정부를 연결하여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닫힘장치가 굴삭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Y-Y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닫힘장치는 굴삭기의 캐빈(100) 일측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도어(110)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도어고정부(10)와, 상기 캐빈(100)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110) 개방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상기 도어 닫힘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한 도어(110)를 닫힘 위치로 밀어내기 위한 닫힘부(30), 상기 캐빈(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고정부(10)와 상기 닫힘부(30)를 차례로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고정부(10)는 캐빈(100)으로부터 회동되어 개방된 도어(110)를 개방된 상태로 캐빈(100) 측면에 고정되도록 잠그거나 도어(110)를 닫기 위해 잠금상 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어(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와, 상기 캐빈(100)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1)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캐치(13), 상기 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도어캐치(13)쪽으로 연장되어 도어캐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작동부재(14), 상기 작동부재(14)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4)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캐치(13)와 작동부재(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래칫 기어 형태의 걸림턱(16, 17)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캐치(13)가 소정각도 회동되면 서로 걸림턱(16, 17)이 맞물려 상기 도어캐치(13)의 일방향 회전이 제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어캐치(13)에 의한 스트라이커(11) 고정 구조는 당업자에게 이미 주지된 것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도어(110)가 개방되어 도어(110) 측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가 캐빈(100) 측면을 통해 프레임쪽으로 삽입되면 프레임(12)에 설치된 도어캐치(13)를 밀어 회동시키면서 도어캐치(13)가 스트라이커(11)를 걸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상기 스트라이커(11)가 회동되면서 연동설치되어 있는 작동부재(14)를 회동시켜 최종적으로 작동부재(14)가 탄력적으로 도어캐치(13)를 걸어 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캐치(13)는 스트라이커(11)를 걸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도어(110)를 개방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14)는 회동되어 도어캐치(13)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거나 뒤에서 설명하는 닫힘부(30)를 작동시키는 부재로 상기 작동부(50)와 연결되어 제어작동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닫힘부(30)는 상기 스트라이커(11)가 잠금 해제되었을 때 상기 도어(110)를 캐빈(100)의 닫힘위치로 밀어 내기 위한 것으로, 도어(110) 개방시 캐빈(10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도어(110)를 밀어내는 에너지로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닫힘부(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31)과, 상기 보조프레임(3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캐빈(100)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110)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슬라이더(32)와, 상기 슬라이더(32)와 상기 보조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32)에 의해 압축된 탄성력으로 슬라이더(32)를 도어쪽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스프링(33), 상기 슬라이더(32)의 내측 선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34), 상기 보조프레임(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에는 홀(36)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32)의 내측 선단이 끼워지며 타측 선단은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재(14)와 연동되는 회동바(37)를 이루는 걸림부재(35), 상기 걸림부재(35)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35)에 일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3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32)가 도어(110)에 의해 밀려 캐빈(100)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32)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34)이 걸림부재(35)에 형성된 홀(36)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코일스프링(38)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35)가 회동되면서 홀(36)의 내주면이 상기 걸림홈(34)에 걸려 슬라이더(32)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5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1)은 상기 보조프레임(31)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35)의 회동축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34)은 슬라이더(32)의 선단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35)의 두께는 상기 슬라이더(32)에 형성되는 걸림홈(34)의 폭보다 작도록하여 상기 걸림부재(35)의 홀(36) 내주면이 충분히 상기 걸림홈(3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홀(36)은 슬라이더(32)의 내측 선단을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더불어 코일스프링(3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걸림부재(35)가 회동시 걸림홈(34)을 걸어 고정하는 걸쇠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35)의 타측 선단에 형성되는 회동바(37)는 작동부재(14)와 연동되어 상기 걸림부재(35)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형성 위치는 상기 작동부재(14)의 회동반경 이내로 하고, 작동부재(14)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작동부재(14)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14)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바(37)의 하단이 점차적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37)의 하단은 상 단 높이보다 낮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작동부재(14)가 회동하게 되면 먼저 도어캐치(13)가 걸림해제되고 계속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35)의 회동바(37)를 밀어올려 걸림부재(35)를 회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32)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어고정부(10)가 작동되어 도어(1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35)를 작동시켜 슬라이더(3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탄성스프링(3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32)가 캐빈(100) 외측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도어(110)를 밀어 도어(110)를 캐빈(100)의 닫힘위치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10)와 접하는 상기 슬라이더(32)의 외측 선단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무 재질의 댐퍼(39)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2)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110) 측면에는 상기 댐퍼(39)와 접하는 완충부재(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50)는 원거리에서 상기 도어잠금부(10)와 닫힘부(30)를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캐빈(100) 내부에 설치되는 레버프레임(51)과, 상기 레버프레임(51)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레버(52), 상기 작동레버(52)와 상기 작동부재(14) 선단에 연결되어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3)를 포함한다.
이에 작동레버(52)를 당기면 와이어(53)로 연결된 작동부재(14)가 당겨져 회동되면서 차례로 도어캐치(13)를 작동시켜 스트라이커(11)를 잠금해제시키고 회동바(37)를 밀어올려 걸림부재(35)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10)가 개방되어 캐빈(100) 측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캐빈(100)으로부터 도어(110)가 개방되어 캐빈(100) 외측면으로 회동되면 도어(110)의 회동력에 의해 도어(110)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부재(40)가 캐빈(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더(32)의 댐퍼(39) 선단에 부딪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2)는 후단에 탄성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40)가 부딪치게 되면 슬라이더(32)가 후단으로 밀려들어가면서 탄성스프링(33)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도어(110)의 개방 충격을 흡수하면서 그때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탄성스프링(33)의 탄성에너지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10)의 열림 충격량을 슬라이더(32)와 탄성스프링(33)에 의해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도어(110)나 캐빈(100)의 파손 및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도어(110)의 열림 충격량에 의해 슬라이더(32)가 캐빈(100)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면 슬라이더(3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4)의 위치가 걸림부재(35)의 홀(36)쪽으로 이동되어 홀(36)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걸림부재(35)는 보조프레임(31)에 코일스프링(38)을 매개로 설치되어 코일스프링(38)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동력을 부여받고 있어서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35)의 홀(36)을 통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32) 선단을 위쪽으로 밀고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2)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3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34)이 상기 홀(36)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지속적으로 코일스프링(38)에 의해 힘을 받고 있던 걸림부재(35)가 회동되면서 홀(36)의 내주면이 걸림홈(34)에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32)는 탄성스프링(33)을 압축한 상태에서 걸림홈(34)이 홀(36)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110)가 개방되면 슬라이더(32)가 뒤로 밀리면서 도어(110)의 열림 충격량을 흡수하고, 도어(110)의 측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가 도어캐치(13)에 의해 걸리므로, 도어(110)가 완전 개방된 상태로 캐빈(100) 측면에 고정된다.
즉, 도어(110) 측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가 캐빈(100) 측면으로 삽입되면서 도어캐치를 밀어 회동시키게 되고 도어캐치(13)의 회동에 따라 코일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캐치(13)에 접해있는 작동부재(14)가 밀려나게 된다. 이에 최종적으로 스트라이커(11)를 걸어 고정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도어캐치(13)가 회동되면 상기 도어캐치(13)에 형성된 걸림턱(16)과 작동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7)이 서로 래칫기어와 같이 맞물리면서 역방향으로의 회동이 제어되고 도어(110)의 스트라이커(11)는 도어캐치(13)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10)를 캐빈(100)에 닫고자 하는 경우 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캐빈(100) 내의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도어(110)를 닫기 위해 작동레버(52)를 일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먼저 도어캐치(13)가 회동되어 스트라이커(11)를 잠금 해제시키게 되고 다음으로 걸림부재(35)가 슬라이더(3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슬라이더(32)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3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더(32)가 밀려나가면서 도어(110)를 닫힘위치로 밀어내게 된다.
즉, 작동레버(52)가 회동되면 작동레버(52)에 와이어(5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작동부재(14)가 당겨져 프레임(12)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작동부재(14)가 회동됨에 따라 도어캐치(13)의 걸림턱(16)과 작동부재(14)의 걸림턱(17)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호 맞물려 있는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캐치(13)는 자유롭게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도어(110)의 스트라이커(11)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고, 도어(110)는 닫힘 위치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14)를 소정각도 회동시켜 도어(11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52)를 계속 당겨 회동시키게 되면 와이어(53)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14)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동되면서 작동부재(14)의 상단이 걸림부재(35)의 회동바(37)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52)가 계속 회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14)도 계속 회동되어 회동바(37)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회동바(37)가 상기 작동부재(14)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되어 상기 회동바(37)가 설치된 걸림부재(35)가 회동된다.
상기 걸림부재(35)가 회동되면 걸림부재(35)에 형성된 홀(36)이 슬라이더(32)의 걸림홈(3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32)는 홀(36)에 의하 여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슬라이더(32)와 보조프레임(31)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33)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32)가 캐빈(100)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도어(110)를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도어(110)는 스트라이커(11)가 도어캐치(13)로부터 잠금해제되어 자유롭게 회동가능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탄성스프링(33)에 의해 밀려나오는 슬라이더(32)에 의해 밀려나므로 도어(110)의 닫힘위치까지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닫힘위치까지 회동되어 이동된 도어(110)를 운전석에서도 용이하게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캐빈과의 충격에너지를 도어의 닫힘에너지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개방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되어 도어나 캐빈의 파손을 방지하고 개방 충격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굴삭기의 캐빈(100) 일측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도어(110)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도어고정부(10)와;
    상기 도어고정부(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캐빈(10)에 설치되어 도어(110) 개방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상기 도어 닫힘 에너지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어(110)를 닫힘 위치로 밀어내기 위한 닫힘부(30);
    상기 캐빈(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고정부(1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0);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10)는 도어(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와, 상기 캐빈(100)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11)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도어캐치(13), 상기 프레임(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은 상기 도어캐치(13)쪽으로 연장되어 도어캐치(13)를 선택적으로 걸어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작동부재(14), 상기 작동부재(14)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14)에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부(30)는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31)과, 상기 보조프레임(3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캐빈(100)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도어(110)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슬라이더(32)와, 상기 슬라이더(32)와 상기 보조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3), 상기 슬라이더(32)의 내측 선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34), 상기 보조프레임(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에는 홀(36)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32)의 내측 선단이 끼워지며 타측 선단은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재(14)와 연동되는 회동바(37)를 이루는 걸림부재(35), 상기 걸림부재(35)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재(35)에 일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2)의 외측 선단에 댐퍼(3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50)는 캐빈(100) 내부에 설치되는 레버프레임(51)과, 상기 레버프레임(51)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작동레버(52)와, 상기 작동레버(52)와 상기 도어고정부(10)를 연결하여 작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KR1020060125708A 2006-12-11 2006-12-11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KR10133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708A KR101334515B1 (ko) 2006-12-11 2006-12-11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708A KR101334515B1 (ko) 2006-12-11 2006-12-11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765A true KR20080053765A (ko) 2008-06-16
KR101334515B1 KR101334515B1 (ko) 2013-11-28

Family

ID=3980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708A KR101334515B1 (ko) 2006-12-11 2006-12-11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42B1 (ko) * 2017-06-02 2018-06-18 지상열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EP3964472B1 (en) 2020-09-08 2023-03-29 Manitou Italia S.r.l. Rotary telehandler with multiple ascent and descent path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737U (ja) * 1993-02-26 1994-09-22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ドアのインナハンドル
JP3775700B2 (ja) * 1996-05-11 2006-05-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ドアロック装置
KR19980056901U (ko) * 1997-01-24 1998-10-15 이해규 중장비용 운전실도어의 개폐장치
JP4236613B2 (ja) * 2004-06-14 2009-03-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42B1 (ko) * 2017-06-02 2018-06-18 지상열 승강장 도어 개방용 열쇠구멍의 부착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하는 잠금 및 해제장치
EP3964472B1 (en) 2020-09-08 2023-03-29 Manitou Italia S.r.l. Rotary telehandler with multiple ascent and descent pa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515B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497B (fi) Järjestely vinoteljen takalukituksen ohjaamiseksi ovenlukossa
KR100685386B1 (ko) 인-라인 확장 윙을 갖는 시추공 굴착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5510060A (ja) クロージャパネル、例えばフード用の二重引きラッチ
KR101334515B1 (ko) 굴삭기의 도어 닫힘장치
ES2973569T3 (es) Dispositivo y sistema de cerradura
KR100630945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장치 및 도어 시스템
JP2008014027A (ja) 建設機械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JP3225878U (ja) 穴掘削用排土バケット
KR200449686Y1 (ko) 메커니컬 펌프의 개폐제어장치
US2706129A (en) Door latch
CN110905310A (zh) 活动门锁定装置
ES1068812U (es) Cerradura automatica.
JP4765046B2 (ja) クレセント錠を備えたサッシ
JP5071259B2 (ja) 框内蔵型施錠装置及び該施錠装置を備えたサッシ窓
JP3313279B2 (ja) 戸先錠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130072451A (ko) 유격방지 부재를 구비한 도어 고정용 캐치 장치
CN218175944U (zh) 一种挖掘装载机挖掘动臂过死点自锁装置
KR100623810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KR101138099B1 (ko) 특수차량의 후방 도어 록킹 장치
JP4721332B2 (ja) クレセント錠装置
JP3449608B2 (ja) 地下構造物用錠装置
TW202007838A (zh) 雙拉解鎖型引擎蓋鎖
ES2780380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puertas de vehículo
US2705883A (en)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