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82B1 -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82B1
KR101866782B1 KR1020160134311A KR20160134311A KR101866782B1 KR 101866782 B1 KR101866782 B1 KR 101866782B1 KR 1020160134311 A KR1020160134311 A KR 1020160134311A KR 20160134311 A KR20160134311 A KR 20160134311A KR 101866782 B1 KR101866782 B1 KR 10186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umpling
horizontal plate
double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924A (ko
Inventor
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Priority to KR102016013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 상태에서 균일한 속도로 반죽을 토출시킴과 동시에 양면이 볼록한 형태의 주름 만두를 자동적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킨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면이 볼록한 주름 만두를 자동적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TH SIDES CONVEX TYPE DUMPLING}
본 발명은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죽 상태에서 균일한 속도로 반죽을 토출시킴과 동시에 양면 볼록형 만두를 자동적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게 하여 형상과 모양을 미려하게 하면서 생산성을 증대시킨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어 고기·두부·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으로서, 대부분 만두 성형(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만두 제조는 보통 물과 밀가루를 혼합한 반죽물을 일정 두께로 성형하여 만두 성형장치로 공급시켜 주면 반죽물이 압착롤러와 절단부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의 만두피로 형성된 뒤 성형틀에서 내용물인 만두소가 투입되고, 이어 일정 모양의 만두로 성형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되게 된다.
이와 관련된 만두 성형장치 관련 선행기술들은 다수가 출원 공개되어 있으며,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예컨대, 만두 성형장치를 이용할 경우 만두피가 성형됨과 동시에 만두소, 즉 고기, 김치, 두부 등을 버무린 속재료를 투입한 다음 감싸듯이 말아 만두를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만두 성형장치는 주로 밀가루 반죽을 만두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성으로 인해 만두소를 감싼 상태에서 만두 일측 테두리에 주름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때문에, 도 1의 예시와 같이 민자형 둘레를 갖는 만두가 일반적으로 자동 성형되고 있고, 이렇게 성형된 상태에서 민자형 둘레를 상하로 눌러 주름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기도 하지만 그럴 경우 연속처리가 어렵고 배치(Batch)처리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종래 만두 성형기는 성형기의 구조상(설치공간 및 반죽의 토출구조상) 롤 형태의 하부롤과 그 상부에서 설치되는 만두 성형용 상부몰드로 조합될 수 밖에 없어 상부가 볼록하고 하부는 평면 형태를 갖는 반쪽 볼록형(편면 볼록형) 만두밖에 제조할 수 없었다.
이것은 만두의 형상과 모양의 미려함이 떨어지고, 만두소가 한쪽으로 밀리면서 터짐 현상 등 성형시 많은 애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89627호(2002.09.04.) '자동 만두성형기'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44814호(2007.07.25.) '만두 성형 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0583호(2013.01.31.) '만두 성형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4176호(2016.04.25.) '만두피 성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반죽 상태에서 균일한 속도로 반죽을 토출시킴과 동시에 만두 성형을 상하조합 성형이 아닌, 좌우 조합성형으로 개량하여 양쪽면 모두 볼록한 형태의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를 자동적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킨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깔대기 형상의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깔대기 형상의 반죽 투입호퍼(110)와,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 및 반죽 투입호퍼(110)의 각 하단에 연결된 압출관(120)과, 상기 압출관(120)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는 중공부(132)가 형성된 압출스크류(130)와, 상기 압출관(120) 앞쪽에 구비되어 반죽이 압출되면서 만두피를 이루고 만두피 상에 만두속이 안착된 상태에서 만두피를 말아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 형상으로 성형하는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를 포함하는 만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는 한 쌍의 수직판(212)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판(2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수평판(214),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수평판(216)을 구비하여 앞뒤로 개방된 형상의 틀체인 성형기프레임(210); 상기 하부수평판(216)을 사이에 두고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설치되며, 상기 압출관의 선단이 배치되는 이송컨베어(220); 상기 하부수평판(216)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컨베어(220)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며, 회전되면서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이송되는 만두속이 주입된 만두피를 주름 만두로 성형하는 고정측 주름틀(230) 및 이동측 주름틀(240);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의 토출측 상부수평판(214) 상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BR); 상기 지지브라켓(BR)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봉(BON); 상기 축봉(BON)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 및 이동측 주름틀(240)의 각 표면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잔류피를 제거하는 잔류피 제거기(2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의 상단은 고정측 틀축(232)이 고정측 베어링(BA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측 베어링(BA1)은 상기 상부수평판(214)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측 틀축(232)의 상단에는 제1종동기어(234)가 고정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234)에는 구동기어(DG)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DG)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수평판(214)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8)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8)에는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이동측 베어링(BA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에는 이동측 틀축(2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측 틀축(242)의 상단에는 제2종동기어(244)가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제2종동기어(244)는 상기 제1종동기어(234)와 치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의 외주면에는 볼스크류(BS)의 일단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볼스크류(BS)의 타단은 한 쌍의 수직판(212)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되고, 관통된 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되며;
간극조절은 이동측 틀축(242)에 구비된 제2종동기어(244)의 구경을 바꿈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죽 상태에서 균일한 속도로 반죽을 토출시킴과 동시에 양면이 볼록한 주름 만두를 자동적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편면 볼록형 만두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볼록 연속성형기의 정면 상측에서 본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볼록 연속성형기의 후면에서 본 요부를 발췌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볼록 연속성형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는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는 만두소를 구성하는 만두피 내부에 내장되는 식용재료로서, 주로 고기·두부·김치 등을 버무려서 만들어진 재료이다.
또한,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는 만두피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로서, 주로 밀가루 반죽이 사용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어묵반죽이나 고기반죽도 균일한 피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는 모두 깔대기, 즉 꼬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의 각 하단에는 압출관(120)이 연결되고, 상기 압출관(120) 내부에는 압출스크류(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출스크류(130)의 중심에는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로부터 투입된 만두속이 이송되도록 중공부(132)가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를 성형할 수 있도록 만두성형몰드를 성형기 외부로 분리 장착하고, 한 쌍의 대응되는 만두형성몰드를 상하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에서 자동 성형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압출스크류(130)의 회전에 따라 반죽 투입호퍼(110)로부터 공급된 반죽이 압출되면서 압출관(120) 선단의 노즐(140)을 통해 튜브형 만두피를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만두속 투입호퍼(100)로부터 공급된 만두속이 압출스크류(130)의 중공부(132)를 통해 밀려 나오면서 튜브형 만두피 속에 들어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압출관(120) 앞에 설치된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를 통해 성형되면서 도 2와 같은 형태로 양면 볼록형 주름형 만두로 성형되게 된다. 이것은 종래 편면 볼록형 만두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외관을 가지며, 특히 만두소가 균일하게 채워져 만두피 터짐 현상이 억제되고, 성형자유도가 높아져 연속 자동 성형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무엇보다도, 성형기가 장치 외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아 설치가 쉽고 성형성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를 비롯하여 반죽 투입호퍼(110), 압출관(120) 등은 이동가능한 테이블 카(TC)의 테이블 상면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임의의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카(TC)의 상면에 안착되고 압출관(120)이 연결되는 성형기프레임(210)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프레임(210)은 한 쌍의 수직판(212)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상단은 상부수평판(214)에 의해 연결고정되며, 하단은 하부수평판(216)에 의해 연결고정되어 하나의 틀체를 이루되, 앞뒤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평판(216)을 사이에 두고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는 이송컨베어(220)가 설치된다.
이때, 성형된 만두가 배출되는 선단인 토출단에는 종동롤(R2)이 설치되고, 성형을 위해 만두속이 주입된 상태로 만두피와 함께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를 향해 이동되는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의 후측인 입구단에는 도 6,7에서와 같이, 구동롤(R1)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R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모터(미도시)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어(220)는 상기 구동롤(R1)과 종동롤(R2)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있고, 상기 이송컨베어(220)는 하부수평판(216)의 상면을 접촉하듯이 이동하도록 설치되므로 만두속이 주입된 만두피가 상기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입구단에서 토출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수평판(216)의 상부에는 그 위치의 이송컨베어(220)의 상면과 미세하게 간격을 두고 고정측 주름틀(230)과, 이동측 주름틀(240)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 및 이동측 주름틀(240)은 만두피의 일측 둘레에 도 2와 같은 형태로 주름을 형성시키기 위한 성형틀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지 보수는 물론 주름틀 사이의 간극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준이 되는 고정측 주름틀(230)과, 이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이동측 주름틀(240)로 분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의 상단은 고정측 틀축(232)이 고정측 베어링(BA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측 베어링(BA1)은 상기 상부수평판(214)을 관통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틀축(232)의 상단에는 제1종동기어(234)가 고정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234)에는 구동기어(DG)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DG)는 기어고정판(GP) 상에 설치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동력은 체인, 벨트 등에 의해 전달될 수 있으며, 구동원을 직접 연결설치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수평판(214)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8)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8)에는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이동측 베어링(BA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에는 이동측 틀축(2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측 틀축(242)의 상단에는 제2종동기어(244)가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제2종동기어(244)는 상기 제1종동기어(234)와 치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의 외주면에는 볼스크류(BS)의 일단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볼스크류(BS)의 타단은 한 쌍의 수직판(212)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된다. 그리고, 관통된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핸들 혹은 모터가 설치되어 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측 주름틀(240)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상기 볼스크류(BS)를 회전시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측 주름틀(2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혹은 간극 조절이 필요할 때는 분리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종동기어(244)의 반경이 다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쉽게 간극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의 토출측 상부수평판(214) 상에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BR)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라켓(BR)에는 축봉(BON)이 회전가능하되 좀 빡빡하게 회전될 수 있게 축고정되며, 상기 축봉에는 잔류피 제거기(250)가 설치되어 각각 이동측 주름틀(240)과 고정측 주름틀(230)의 표면에 달라 붙는 잔류 만두피를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점성을 가진 만두피가 성형틀의 형상대로 성형되고 남은 부분이 틀에 그대로 붙은 상태로 회전되면서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는 양면이 모두 볼록한 형태의 주름 만두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생산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즉, 만두속이 주입된 만두피가 압출관(120)을 통해 최종 압출되면, 압출된 만두피는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이송되면서 한 쌍의 주름틀, 즉 고정측 주름틀(230)과 이동측 주름틀(240)이 맞물려 회전하는 사이로 진입된다.
이와 동시에, 만두피는 주름틀의 형상대로 성형되어 양면 볼록형 만두로 성형되고, 또한 이송컨베어(220)이 회전속도에 맞춰 한 쌍의 주름틀을 관통한 뒤에는 맞물림이 끝나는 지점에서 잘리면서 떨어져 나와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의 토출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잔류피는 잔류피 제거기(250)에 의해 제거된다.
때문에,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가 연속적으로 자동 성형되면서 성형 후 자동 분리되므로 포장하기 편리하며, 성형효율이 향상되어 주름 만두를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속이 꽉찬 반죽튜브가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흘러 나오면 이송컨베어(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이격설치된 한 쌍의 회전하는 좌우 몰드, 이동측 주름틀(240)과 고정측 주름틀(230)의 회전 맞물림에 의해 이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튜브가 양쪽으로 볼록한 만두로 만들어지면서 1열로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배출되게 된다.
즉, 기존에는 편면이 볼록한 만두의 평평한 면(납작한 면)이 벨트를 타고 누워서 배출됨에 반해, 본 발명의 양면 볼록형 만두는 볼록한 양측이 수평방향을 유지한 채 세워진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이것은 포장작업의 원활성, 효율성도 가져오게 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된다.
100: 만두속 투입호퍼 110: 반죽 투입호퍼
200: 양면볼록 연속성형기

Claims (2)

  1. 깔대기 형상의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깔대기 형상의 반죽 투입호퍼(110)와,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 및 반죽 투입호퍼(110)의 각 하단에 연결된 압출관(120)과, 상기 압출관(120)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는 중공부(132)가 형성된 압출스크류(130)와, 상기 압출관(120) 앞쪽에 구비되어 반죽이 압출되면서 만두피를 이루고 만두피 상에 만두속이 안착된 상태에서 만두피를 말아 양면 볼록형 주름 만두 형상으로 성형하는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를 포함하는 만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는 한 쌍의 수직판(212)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판(2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수평판(214),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수평판(216)을 구비하여 앞뒤로 개방된 형상의 틀체인 성형기프레임(210); 상기 하부수평판(216)을 사이에 두고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설치되며, 상기 압출관의 선단이 배치되는 이송컨베어(220); 상기 하부수평판(216)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컨베어(220)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며, 회전되면서 이송컨베어(220)를 타고 이송되는 만두속이 주입된 만두피를 주름 만두로 성형하는 고정측 주름틀(230) 및 이동측 주름틀(240); 상기 양면볼록 연속성형기(200)의 토출측 상부수평판(214) 상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BR); 상기 지지브라켓(BR)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봉(BON); 상기 축봉(BON)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 및 이동측 주름틀(240)의 각 표면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잔류피를 제거하는 잔류피 제거기(2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측 주름틀(230)의 상단은 고정측 틀축(232)이 고정측 베어링(BA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측 베어링(BA1)은 상기 상부수평판(214)을 관통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측 틀축(232)의 상단에는 제1종동기어(234)가 고정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234)에는 구동기어(DG)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DG)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수평판(214)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218)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218)에는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이동측 베어링(BA2)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에는 이동측 틀축(2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측 틀축(242)의 상단에는 제2종동기어(244)가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제2종동기어(244)는 상기 제1종동기어(234)와 치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측 베어링(BA2)의 외주면에는 볼스크류(BS)의 일단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볼스크류(BS)의 타단은 한 쌍의 수직판(212)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되고, 관통된 단부에는 핸들이 설치되며;
    간극조절은 이동측 틀축(242)에 구비된 제2종동기어(244)의 구경을 바꿈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2. 삭제
KR1020160134311A 2016-10-17 2016-10-17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10186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11A KR101866782B1 (ko) 2016-10-17 2016-10-17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11A KR101866782B1 (ko) 2016-10-17 2016-10-17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24A KR20180041924A (ko) 2018-04-25
KR101866782B1 true KR101866782B1 (ko) 2018-06-18

Family

ID=6208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11A KR101866782B1 (ko) 2016-10-17 2016-10-17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031A (zh) * 2019-06-27 2019-09-06 宋丰长 一种包子饺子面条油条烧饼花卷自动制作售卖方法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50A (ja) * 2002-08-22 2004-03-11 Santai:Kk 餃子製造装置
KR200355074Y1 (ko)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소형 자동 만두제조장치용 잎사귀 만두 성형로울러와성형유니트
KR20130119618A (ko) * 2012-04-24 2013-11-01 (주)에스에프아이엔티 만두 성형장치
KR20160024158A (ko) * 2014-08-25 2016-03-04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만두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627Y1 (ko) 2002-06-17 2002-09-16 송지명 자동 만두성형기
KR100744814B1 (ko) 2005-08-24 2007-08-01 (주)삼포식품 만두 성형 장치
KR101230583B1 (ko) 2011-07-27 2013-02-06 (주)에스에프아이엔티 만두 성형장치
KR101718973B1 (ko) 2014-10-14 2017-03-24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피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150A (ja) * 2002-08-22 2004-03-11 Santai:Kk 餃子製造装置
KR200355074Y1 (ko)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소형 자동 만두제조장치용 잎사귀 만두 성형로울러와성형유니트
KR20130119618A (ko) * 2012-04-24 2013-11-01 (주)에스에프아이엔티 만두 성형장치
KR20160024158A (ko) * 2014-08-25 2016-03-04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만두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24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2608B (zh) 一种组合式全自动智能饺子机
RU25031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зделий
CN207820955U (zh) 月饼生产线的月饼包馅机
JP6592084B2 (ja) 長尺の食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875749A (zh) 一种猫耳朵饼捲条成型机组
KR101866782B1 (ko)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JP6871630B2 (ja) 串刺食品製造装置
US2255282A (en) Bread manufacturing process
ITVI20130142A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pasta ripiena e metodo di produzione relativo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CN206586250U (zh) 一种面皮包馅成型装置
CN112220091A (zh) 一种米粉成型装置
CN115530192B (zh) 一种面条加工和面搅拌切割成型一体机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CN219920108U (zh) 一种包子机
CN209950234U (zh) 制造月饼的包馅成型一体机
JP2003304799A (ja) 食品生地片の搬送成形方法および装置
US20100209545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food slurry along predetermined course
CN216961300U (zh) 一种糕点加工用压面机
CN220734215U (zh) 鲜湿面机
CN217644511U (zh) 辣条自动和面与输送系统
CN217429166U (zh) 物料挤压出料装置
UA142496U (uk) Лінія для виготовлення виробів з тіста з начинкою
JPH0328182B2 (ko)
KR100936068B1 (ko) 볼 형상의 솜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