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158A - 만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158A
KR20160024158A KR1020140110635A KR20140110635A KR20160024158A KR 20160024158 A KR20160024158 A KR 20160024158A KR 1020140110635 A KR1020140110635 A KR 1020140110635A KR 20140110635 A KR20140110635 A KR 20140110635A KR 20160024158 A KR20160024158 A KR 2016002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dough
feeding
hopper
fee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Priority to KR102014011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158A/ko
Publication of KR2016002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깔대기 형상의 만두속 투입호퍼와, 깔대기 형상의 반죽 투입호퍼와,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 및 반죽 투입호퍼의 각 하단에 연결된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압출스크류와, 상기 압출관 앞쪽에 구비되어 반죽이 압출되면서 만두피를 이루고 만두피 상에 만두속이 안착된 상태에서 만두피를 말아 만두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만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에는 반죽피딩스크류를 수직하게 더 설치하되, 상기 반죽피딩스크류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세워진 피딩축 상에 고정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깔대기 형상에 맞게 스크류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주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피딩축은 피딩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가루 반죽 보다 탄력은 적고 점착성은 높은 재료를 만두피로 하고자 할 때 재료의 특성 때문에 피딩 불균일이 일어나 만두 성형이 불가능했던 것을 반죽피딩스크류를 더 구비하여 원활하고 균일한 피딩이 가능코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 성형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 반죽이 아닌 어묵반죽 혹은 고기반죽을 가지고도 균일한 속도로 성형할 수 있는 만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어 고기·두부·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으로서, 대부분 만두 성형(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만두 제조는 보통 물과 밀가루를 혼합한 반죽물을 일정 두께로 성형하여 주름 만두 성형장치로 공급시켜 주면 반죽물이 압착롤러와 절단부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의 만두피로 형성된 뒤 성형틀에서 내용물인 만두소가 투입되고, 이어 일정 모양의 만두로 성형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제조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주름 만두 성형장치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1996-0002259호, 등록실용 제0197888호를 비롯하여 본 출원인(발명자)이 등록한 실용신안 제0250622호, 제0357902호 등 많은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주로 밀가루 반죽을 만두피로 사용했기 때문에 적정한 탄력성과 점착성으로 인해 반두피 성형이 용이하고 자유로웠지만, 다양한 수요가의 요구로 인해 만두피를 어묵반죽 혹은 고기반죽으로 변형 사용하면서 많은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현재 만두피는 만두성형기를 통해 성형됨과 동시에 만두소, 즉 고기, 김치, 두부 등을 버무린 속재료를 투입한 다음 감싸듯이 말아 만두를 완성하게 된다.
때문에, 만두성형기를 통해 만두피 재료가 피딩되어야 하는데, 어묵반죽이나 혹은 고기반죽의 경우에는 밀가루 반죽과 같은 탄력이 없고 반대로 점착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반죽이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연속 피딩되지 못하여 사실상 이러한 재료의 만두피는 성형이 극히 어렵고,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이에, 자동 성형이 어려운 관계로 수동 생산해야 하는 문제가 야기되고, 이는 생산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186887호에 개시된 만두 성형장치를 더욱 더 개량하여 만두피 제조시 밀가루 반죽이 아닌 어묵반죽이나 혹은 고기반죽을 사용하더라도 밀가루 반죽에 머금가는 균일한 피딩속도를 유지하여 만두피 성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만두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깔대기 형상의 만두속 투입호퍼와, 깔대기 형상의 반죽 투입호퍼와,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 및 반죽 투입호퍼의 각 하단에 연결된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압출스크류와, 상기 압출관 앞쪽에 구비되어 반죽이 압출되면서 만두피를 이루고 만두피 상에 만두속이 안착된 상태에서 만두피를 말아 만두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만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에는 반죽피딩스크류를 수직하게 더 설치하되, 상기 반죽피딩스크류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세워진 피딩축 상에 고정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깔대기 형상에 맞게 스크류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주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피딩축은 피딩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피딩축에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 경사도에 맞게 절곡된 스윕봉이 더 설치되어 반죽 투입호퍼의 내경에 잔류 부착된 반죽을 스크래핑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가루 반죽 보다 탄력은 적고 점착성은 높은 재료를 만두피로 하고자 할 때 재료의 특성 때문에 피딩 불균일이 일어나 만두 성형이 불가능했던 것을 반죽피딩스크류를 더 구비하여 원활하고 균일한 피딩이 가능코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성형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성형장치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성형장치의 반죽피딩스크류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두 성형장치는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는 만두소를 구성하는 만두피 내부에 내장되는 식용재료로서, 주로 고기·두부·김치 등을 버무려서 만들어진 재료이다.
또한,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는 만두피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로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밀가루 반죽 외에 어묵반죽이나 고기반죽도 균일한 피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는 모두 깔대기, 즉 꼬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와 반죽 투입호퍼(110)의 각 하단에는 압출관(120)이 연결되고, 상기 압출관(120) 내부에는 압출스크류(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출스크류(130)의 중심에는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100)로부터 투입된 만두속이 이송되도록 중공부(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압출스크류(130)의 회전에 따라 반죽 투입호퍼(110)로부터 공급된 반죽이 압출되면서 압출관(120) 선단의 노즐(140)을 통해 튜브형 만두피를 형성하게 되고, 동시에 만두속 투입호퍼(100)로부터 공급된 만두속이 압출스크류(130)의 중공부(132)를 통해 밀려 나오면서 튜브형 만두피 속에 들어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압출관(120) 앞에 설치된 성형롤러(150)를 통해 성형되면서 반달형 만두로 성형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부에 반죽피딩스크류(220)를 더 구비함으로써 밀가루 반죽에 비해 탄력이 떨어지고 점착성이 높더라도 끊기지 않고 균일하게 원활히 피딩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그러나, 단순히 반죽피딩스크류(220)만 내장한다고 해서 원하는 균일 피딩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년간에 걸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가장 이상적이면서 적정한 반죽피딩스크류(220) 형상을 구현하게 되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사시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죽피딩스크류(220)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형상에 따라 그와 대응되게 직경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단,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경과 반죽피딩스크류(220) 사이의 간격은 높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항상 2-5cm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렇게 유지하여야 하는 이유는 2cm 보다 간격이 조밀하면 점착성이 높은 어묵반죽이나 고기반죽의 경우 피딩압이 높아져 장비에 무리가 가고, 맥동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균일한 피딩이 불가능해 질 뿐만 아니라,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5cm 보다 간격이 넓으면 피딩압이 떨어지면서 불균일한 피딩이 발생하여 기존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이 간격유지는 본 발명의 경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인자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죽피딩스크류(220)는 피딩축(210)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판상의 것이 나선상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축(210)은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부 중심에서 수직하게 배열되며, 피딩축(210)의 하단은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채 배열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피딩축(210)의 상단은 피딩모터(200)에 연결되고, 피딩모터(200)는 도시되지 않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한편, 상기 피딩축(210)에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경 경사에 대응되게 절곡된 스윕봉(230)이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윕봉(230)은 상기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경과 2-5mm의 간격을 유지한 채 이격설치되며, 반죽 피딩시 반죽 일부가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주면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스윕, 즉 스크래핑하는 수단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코자 하는 만두피 재료는 점착성이 높은 어묵반죽 또는 고기반죽이므로 점착성 때문에 반죽피딩스크류(220)로 피딩할 때 일부가 반죽 투입호퍼(110)의 내주면에 부착된 후 고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윕봉(230)을 사용하면 이러한 현상을 말끔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성이 높은 재료를 만두피 재료로 할 때 균일한 피딩이 가능하여 성형 불량을 막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당해 분야에서는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만두속 투입호퍼 110: 반죽 투입호퍼
200: 피딩모터 210: 피딩축
220: 반죽피딩스크류 230: 스윕봉

Claims (2)

  1. 깔대기 형상의 만두속 투입호퍼와, 깔대기 형상의 반죽 투입호퍼와, 상기 만두속 투입호퍼 및 반죽 투입호퍼의 각 하단에 연결된 압출관과, 상기 압출관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압출스크류와, 상기 압출관 앞쪽에 구비되어 반죽이 압출되면서 만두피를 이루고 만두피 상에 만두속이 안착된 상태에서 만두피를 말아 만두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만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에는 반죽피딩스크류를 수직하게 더 설치하되,
    상기 반죽피딩스크류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 중심에 수직하게 세워진 피딩축 상에 고정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깔대기 형상에 맞게 스크류의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주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피딩축은 피딩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축에는 상기 반죽 투입호퍼의 내부 경사도에 맞게 절곡된 스윕봉이 더 설치되어 반죽 투입호퍼의 내경에 잔류 부착된 반죽을 스크래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성형장치.
KR1020140110635A 2014-08-25 2014-08-25 만두 성형장치 KR20160024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35A KR20160024158A (ko) 2014-08-25 2014-08-25 만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35A KR20160024158A (ko) 2014-08-25 2014-08-25 만두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58A true KR20160024158A (ko) 2016-03-04

Family

ID=5553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635A KR20160024158A (ko) 2014-08-25 2014-08-25 만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1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20200076182A (ko) * 2018-12-19 2020-06-29 (주)한솔기계 반죽시트 성형 공급구조를 갖는 만두 성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101866782B1 (ko) * 2016-10-17 2018-06-18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20200076182A (ko) * 2018-12-19 2020-06-29 (주)한솔기계 반죽시트 성형 공급구조를 갖는 만두 성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759B1 (ko) 만두성형장치의 성형기구
JP2007006892A (ja) 任意の幾何学的外形を有するソーセージ綛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24158A (ko) 만두 성형장치
WO2008060063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a quantitative material and method thereof
CN108925606B (zh) 一种可控微膨化及质构重组的制面设备机构
CN104397086A (zh) 夹馅软料挤出机构
TWI700039B (zh) 芝麻薄餅機
KR101433505B1 (ko) 국수 제조장치
CN109793027A (zh) 全自动锅盔生产线
JP5773559B2 (ja) 中心部に液状物を充填した可食物を連続的に製造するシステム
CN204076565U (zh) 一种天然橡胶混合干搅生产线
KR102236355B1 (ko) 만두제조장치 및 만두
KR102242717B1 (ko) 재료 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 혼합 장치
CN210671877U (zh) 一种温控挤压制面装置
CN111955658A (zh) 一种鲜面的生产方法及其生产装置
KR101866782B1 (ko)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US6612825B2 (en) Pillow cutting extruder machine
RU12224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KR20020078160A (ko) 메밀냉면 또는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US9532574B2 (en) Kneaded dough dividing apparatus
CN112220091A (zh) 一种米粉成型装置
JP2015002685A (ja) 定量供給装置及び定量供給方法
CN206586250U (zh) 一种面皮包馅成型装置
CN104522108A (zh) 一种包子机
KR102231540B1 (ko) 쿠키 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