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05B1 - 국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국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05B1
KR101433505B1 KR1020130009051A KR20130009051A KR101433505B1 KR 101433505 B1 KR101433505 B1 KR 101433505B1 KR 1020130009051 A KR1020130009051 A KR 1020130009051A KR 20130009051 A KR20130009051 A KR 20130009051A KR 101433505 B1 KR101433505 B1 KR 10143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main body
heating
noodles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496A (ko
Inventor
남윤호
Original Assignee
남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호 filed Critical 남윤호
Priority to KR102013000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9/0028Hand-held devices for spraying and removing liquid while moved on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로 반죽이 투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본체 내부로 투입된 반죽을 가압 이동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에 의해 가압 이동되는 반죽을 가열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익은 반죽이 면발로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압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국수 제조장치{Noodles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팅장치로서 반죽을 가열하여 익은 상태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 라면, 스파게티 등 각종 면류를 이용한 국수는 다양한 조리법과 국물, 양념 및 소스 등을 첨가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는 음식의 일종이다.
이러한 종래의 국수는 통상적으로 밀가루나 쌀가루나 메밀가루 등의 곡물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이러한 반죽을 가늘 줄기인 면발의 형태로 가공한 다음, 가공된 면발을 뜨거운 물 등에 삶아내는 익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익힘 과정을 통해서 면발은 고유한 탄성과 특유의 질감을 갖게 되고, 적당하게 응고되어 면발의 형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국수를 만들기 위하여 반죽을 가압하여 압출구가 형성된 노즐을 통과시켜서 가늘고 긴 면발을 압출하는 국수 압출기 이외에도, 압출된 면발을 뜨거운 물 등에 담가서 익히는 별도의 익힘 조리 과정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익힘 조리 과정은, 반드시 뜨거운 물이나 기름 등의 탕처리가 필요한 것으로서, 물이나 기름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국수 생산비용이 증대되고, 과정이 복잡하여 국수 생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량이 늘어서 생산 인력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국수 제조장치가 제안되었다.
[문헌 1]에 개시된 국수 제조장치는, 호퍼를 통해 그 내부로 반죽이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몸체 내로 투입된 반죽을 가압하는 가압 롤러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가압된 반죽에 마찰열이 작용하도록 몸체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마찰열 조절수단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마찰열에 의해 가열된 반죽이 면발로 형성되면서 익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압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마찰열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드럼과,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드럼 전후진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마찰열 조절수단을 통해 드럼을 이동시켜 몸체 내부 공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반죽을 마찰열로서 익히도록 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733호(명칭 : 국수 제조장치), 공고일 : 2012.03.29. 4∼5쪽, 도면 2
하지만, [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국수 제조장치는, 반죽이 몸체와 드럼 사이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찰열로서 반죽을 익히도록 한 것인데, 이는 점성을 갖는 반죽의 특성상 내부 공간에서 마찰열을 일으킬 수 없고, 설사 마찰열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반죽이 익을 수 없는 아주 미비한 미온이 발생될 뿐 아니라 내부 공간과 접하는 반죽의 표면만이 살짝 익거나 타게 되는 아주 치명적인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죽이 공급되어 압출되는 본체에 히팅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이 히팅장치로서 본체로부터 압출되는 면발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한 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그 내부로 반죽이 투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본체 내부로 투입된 반죽을 가압 이동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에 의해 가압 이동되는 반죽을 가열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익은 반죽이 면발로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압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국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드럼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과 본체 사이에는 반죽이 통과되면서 가열되는 가열홈이 형성되며, 상기 드럼에는 가열홈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반죽을 교반시키는 교반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노즐은 다양한 직경의 압출구를 갖는 노즐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국수 제조장치에 따르면, 본체 내부를 이동하는 반죽을 히팅장치로서 일정하게 가열하게 됨으로써 면발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고, 이로 인해 면발의 질감 및 탄성력이 향상되고, 압출된 면발의 즉시 취식이 가능할 뿐 아니라 국수의 생산 비용, 시간,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장치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국수 제조장치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면발은 항상 일정하고 고르게 익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반죽을 섞어주면서 이동시키는 스크류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면발의 재료나 국수의 특성에 맞게 반죽의 밀도를 높여 익은 면발을 생산하므로 쫄깃한 면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 제조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국수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히팅장치(160), 스크류축(200), 노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그 상부에 각종 곡물가루로 이루어진 반죽(1)이 투입되는 호퍼(140)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투입된 반죽(1)이 면발의 형태로 압출되도록 하는 노즐(30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투입된 반죽(1)이 호퍼(140) 측에서 노즐(300)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호퍼(14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반죽(1)이 본체(100)의 가압홈(110)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투입된 반죽(1)이 후술되는 스크류축(200)에 의해서 노즐(300) 측으로 가압 이송되는 가압홈(110)과, 이송되는 반죽(1)이 후술되는 히팅장치(160)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홈(120) 및 가열된 반죽(1)이 교반되는 교반홈(1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체(100)의 내부에는 투입된 반죽(1)을 가압홈(110) 측에서 가열홈(120) 및 교반홈(130)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축(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축(200)은 모터(2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스크류축(200)이 관통되는 본체(100)에는 베어링(150)이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200)의 작동 시 본체(100)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210)는 그 회전속도(rpm)을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모터(210)를 통해 스크류축(200)의 회전속도를 각종 국수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반죽(1)의 밀도를 높여 주므로 쫄깃한 면발(2)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스크류축(200)은 노즐(300) 반대편의 본체(100) 후단부를 관통한 상태로서 본체(100)의 가압홈(11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200)의 선단부에는 본체(100)의 가열홈(120)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드럼(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220)은 가열홈(12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럼(220)과 본체(100) 사이의 가열홈(120)은 2∼3㎜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반죽(1)이 어렵게 통과되도록 하여, 충분한 가열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220)의 선단부에는 가열홈(120)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반죽(1)을 교반시키는 교반돌기(230)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교반돌기(230)는 Ø3(3㎜) 이상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돌기(230)는 본체(100)의 교반홈(130)에 구비되어, 가열된 반죽(1)을 교반시킴으로써 반죽(1)에 생성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가열홈(120)에는 가열홈(120)을 통과하는 반죽(1)을 가열하여 익히는 히팅장치(160)가 구성되는 바, 상기 히팅장치(160)는 열선으로서 가열홈(120)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히팅장치(160)는 전기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온도는 0∼100℃ 이내로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히팅장치(160)는 폐열을 이용한 히트파이프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300)은 본체(10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그 표면에는 상기 히팅장치(160)에 의해서 가열된 반죽(1)이 익은 상태의 면발(2)로 압출 성형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압출구(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300)은 다양한 직경의 압출구를 갖는 여러 노즐들이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국수 제조장치는, 본체(100)의 호퍼(140)로 반죽(1)을 투입하고, 투입된 반죽(1)은 호퍼(140)에 의해서 본체(100)의 가압홈(110)으로 공급된다.
이후, 모터(210)를 작동시키면 본체(100)의 가압홈(110)에 위치한 스크류축(200)이 회전 구동되고, 회전되는 스크류축(200)에 의해 본체(100)의 가열홈(120)과 교반홈(130)에 위치한 드럼(220)과 교반돌기(230)가 스크류축(200)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스크류축(200)의 회전에 의해 가압홈(110)으로 공급된 반죽(1)은 드럼(220) 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드럼(220) 측으로 이동된 반죽(1)은 가열홈(120)으로 유입되어 가열홈(120)에 대응한 두께 즉 2∼3㎜의 두께로 얇게 펼쳐진 상태로 가열홈(120)을 어렵게 통과하면서 가열홈(120)에 매립된 열선의 히팅장치(160)에 의해서 충분히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반죽(1)은 드럼(220)을 지나 본체(100)의 교반홈(130)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반죽(1)은 드럼(220)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교반돌기(230)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반죽(1)에 생성될 수 있는 기포를 사전에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반된 반죽(1)은 계속해서 가열된 상태로 밀려 들어오는 반죽(1)에 의해서 노즐(300)의 압출구(310)를 통해 면발(2)이 압출 성형되면서 익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산된 면발(2)은 2∼3㎜의 두께로 가열홈(120)을 통과하면서 히팅장치(160)에 의해 일정하고 고르게 가열되어 균일하게 익는 한편 가열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면발(2)의 성형 전에 제거한 후 면발(2)을 성형함으로써, 면발(2)의 질감 및 탄성력이 향상되고, 압출된 면발(2)의 즉시 취식이 가능할 뿐 아니라 국수의 생산 비용, 시간, 인력이 크게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면발(2)은 밀도가 높고 익어나오기 때문에, 표면에 글루텐 성분의 외부 코팅효과로 인해 육수의 침투시간이 연장되므로 면발(2)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쫄깃한 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1 : 반죽 2 : 면발
100 : 본체 110 : 가압홈
120 : 가열홈 130 : 교반홈
140 : 호퍼 150 : 베어링
160 : 히팅장치 200 : 스크류축
210 : 모터 220 : 드럼
230 : 교반돌기 300 : 노즐
310 : 압출구

Claims (4)

  1. 그 내부로 반죽이 투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본체 내부로 투입된 반죽을 가압 이동시키는 스크류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에 의해 가압 이동되는 반죽을 가열하는 히팅장치;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익은 반죽이 면발로서 압출 성형되는 다수의 압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국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드럼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과 본체 사이에는 반죽이 통과되면서 가열되는 가열홈이 형성되는 국수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가열홈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반죽을 교반시키는 교반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국수 제조장치.


  4. 삭제
KR1020130009051A 2013-01-28 2013-01-28 국수 제조장치 KR10143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51A KR101433505B1 (ko) 2013-01-28 2013-01-28 국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051A KR101433505B1 (ko) 2013-01-28 2013-01-28 국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6A KR20140096496A (ko) 2014-08-06
KR101433505B1 true KR101433505B1 (ko) 2014-08-22

Family

ID=5174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051A KR101433505B1 (ko) 2013-01-28 2013-01-28 국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59A (ko) 2015-03-16 2016-09-26 황차남 제면용 면압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3836B (zh) * 2016-07-12 2020-04-14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智能面条机的制面方法
CN107853346B (zh) * 2016-09-29 2021-04-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面条机和面条机控制方法
CN210168887U (zh) * 2019-05-10 2020-03-24 杜松 一种糕点挤出成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12Y1 (ko) 2001-05-28 2001-10-15 전계완 국수 제조기
KR100494260B1 (ko) 2003-05-30 2005-06-14 박세기 다용도 국수제조기
JP2005261277A (ja) 2004-03-18 2005-09-29 Hideji Okamoto 米を主原料とする麺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12Y1 (ko) 2001-05-28 2001-10-15 전계완 국수 제조기
KR100494260B1 (ko) 2003-05-30 2005-06-14 박세기 다용도 국수제조기
JP2005261277A (ja) 2004-03-18 2005-09-29 Hideji Okamoto 米を主原料とする麺の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59A (ko) 2015-03-16 2016-09-26 황차남 제면용 면압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96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505B1 (ko) 국수 제조장치
KR101467280B1 (ko)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101584746B1 (ko)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KR100873969B1 (ko) 쌀국수의 제조장치
KR20160024480A (ko) 국수 제조기용 압출장치
KR101355966B1 (ko) 무 점성 곡물용 제면 장치
JPH1075759A (ja) 一軸押出し成形装置
KR100720941B1 (ko) 제면기
CA2552528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asta, pasta obtainable according thereto and system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1126733B1 (ko) 국수 제조장치
KR101141748B1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4640883U (zh) 单螺杆食品挤出机
TW200305375A (en) An expanded sna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19286B1 (ko) 곡물성형체의 제조장치
KR101372228B1 (ko) 압출형 제면 방법
CN102578481A (zh) 一种挤压面粉膨化食品的生产工艺及其专用的单螺杆挤压机
CN203262261U (zh) 一种半熟化食品挤压机
KR100974396B1 (ko) 양념이 잘 배이는 당면의 제조방법
JP5815201B2 (ja) 押出式製麺機
KR20160024158A (ko) 만두 성형장치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TW201531234A (zh) 沖泡米製造方法
CN104621204A (zh) 一种前置式水蒸汽熟面技术及面条机
JPH0419826B2 (ko)
JP2008199971A (ja) 押出し式の麺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