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41B1 - 제면기 - Google Patents

제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41B1
KR100720941B1 KR1020010060216A KR20010060216A KR100720941B1 KR 100720941 B1 KR100720941 B1 KR 100720941B1 KR 1020010060216 A KR1020010060216 A KR 1020010060216A KR 20010060216 A KR20010060216 A KR 20010060216A KR 100720941 B1 KR100720941 B1 KR 10072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ylinder
screw shaft
tapered surfac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202A (ko
Inventor
관 욱 김
Original Assignee
관 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관 욱 김 filed Critical 관 욱 김
Priority to KR102001006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주원료로 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제면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제면기는 내부에 구동모터를 가지면서, 그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로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한쌍의 유입롤러를 갖는 호퍼 및 이 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키도록 제 1테이퍼면을 갖는 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스크류축의 제 1테이퍼면에 대응되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축물을 익히도록 제 2테이퍼면을 갖는 타측에 배출구를 갖는 제 1실린더; 및 상기 제 1실린더의 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죽물을 가는 줄기형상으로 뽑아내는 압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면기{Apparatus for making nood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구성을 발췌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 구동모터
20 : 제 1실린더 21 : 스크루축
22 : 호퍼 36 : 가열부
60 : 가열조절수단 63 : 이동부재
70 : 회전부재 80 : 핸들조작부
본 발명은 쌀을 주원료로 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제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하여 익혀진 국수를 제조 할 수 있는 제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면기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면기는 통상적으로 소맥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호퍼를 통해 공급된 소맥분에 적당량의 반죽수를 혼합한 후, 스크류를 이용한 실린더에서 반죽시켜 반죽물을 얻고, 이렇게 얻어진 반죽물을 가압롤과 컷팅롤들에 통과시키는 것으로 목적하는 면을 제조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면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은 생면으로서, 상기 생면을 시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익힘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즉 생면에 육수만을 넣어 직접적으로 섭취할 수 없으므로 인해 별도의 익힘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하여 익혀진 국수를 제조함에 따라 시식이 용이하고 취사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익혀진 국수를 2차에 걸쳐 익혀서 제조함에 따라 국수의 익힘이 증대시킬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익혀지는 국수의 익힘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국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면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쌀을 주원료로 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제면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내부에 구동모터를 가지며, 그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축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로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한쌍의 유입롤러를 갖는 호퍼 및 이 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키도록 제 1테이퍼면을 갖는 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스크류축의 제 1테이퍼면에 대응되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축물을 익히도록 제 2테이퍼면을 갖는 타측에 배출구를 갖는 제 1실린더; 및 상기 제 1실린더의 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반죽물을 가는 줄기형상으로 뽑아내는 압출판;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동모터를 가지며, 그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회전축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제 1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로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한쌍의 유입롤러를 갖는 호퍼 및 이 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키도록 제 1테이퍼면을 갖는 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스크류축의 제 1테이퍼면에 대응되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축물을 1차로 익히도록 제 2테이퍼면을 갖는 타측에 배출구를 갖는 제 1실린더; 상기 제 1실린더의 내부에 개재된 스크류축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제 1 및 제 2테이퍼면의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한 반죽물의 익히는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가열조절수단; 상기 프레임의 제 2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 1실린더의 배출구를 통해 추출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키는 제 1호퍼 및 이 제 1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켜 2차로 익히도록 제 3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타측에 제 1배출구를 갖는 제 4실린더; 및 상기 제 4실린더의 제 1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죽물을 가는 줄기형상으로 뽑아내는 제 1압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면기는 적당한 형태로 제작된 프레임(10)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모터(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핵심적인 기술은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해 면을 익혀 제조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은 프레임(10)의 상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회전축(14)으로 동력전달부재(16)를 이용하여 전달되고, 이 회전축(14)에는 이후에 설명할 제면을 위한 기계 요소들을 다단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들을 결 합,분리식으로 설치되게 하였다. 여기서, 기계요소들의 분리는 제면기내의 청소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제 1실린더(20)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지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제 1실린더(20)의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는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이 투입되도록 호퍼(22)가 설치되고, 이 호퍼(22)를 갖는 내부에 전장길이로 설치되어 호퍼(22)로부터 투입된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축(21)의 후단이 상기 회전축(14)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22)의 소정 위치에는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끌어 내리기 위한 한쌍의 유입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실린더(20)의 끝부분에는 제 1실린더(20)의 내부를 통과한 반죽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25a)를 가지며, 이 배출구(25a)에는 반죽물을 가는 줄기 즉, 면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압출판(25)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실린더(20)는 일체 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린더(20)와 스크류축(2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실린더(20)를 분할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제 1실린더(20)는 제 2실린더(26), 제 3실린더(28) 그리고 헤드부(29)로 분리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 1실린더(20)는 상기 프레임(10)과 별도의 제 1결속밴드(23)로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제 1실린더(20)가 분할되어 있는 제 2실린더(26) 및 제 3실린더(26), 헤드부(29)들은 각각의 연결부위들이 제 2,제 3결속밴드(30,32)들 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9)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의 선단을 고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축수금구(34)가 설치되어 스크류축(21)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3실린더(28)의 외주벽에는 제면기의 초기구동 또는 반죽물의 익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부(36)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열부(36)는 여러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히터식을 이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축(21)은 제 1 및 제 2스크류축(21a,21b)과, 이들 제 1 및 제 2스크류축(21a,21b)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제 1테이퍼면(27)을 가지며, 상기 제 1테이퍼면(27)의 전.후단에는 반죽물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홀(27a,2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실린더(20)로 이루어진 제 2 및 제 3실린더(26)(28)의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의 제 1테이퍼면(27)과 대응되도록 제 2테이퍼면(3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테이퍼면(27)과 제 2테이퍼면(38)사이의 간격에서 발생되는 기구적인 마찰열이 반죽물에 작용하여 반죽물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크류축(21)의 회전수는 반죽물의 농도를 고려하여 약 300회 정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제면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미리 반죽된 반죽물을 호퍼(22)에 올려놓으면 호퍼(22)내에 설치된 한쌍의 유입롤러(24)에 의해 반죽물이 강제적으로 제 1실린더(20)내로 투입되고, 상기 제 1실린더(20)내로 투입된 반죽물 은 구동모터(12)에 설치된 동력전달부재(16)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4)에 일단이 결합된 스크류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 선단으로 밀려나간다.
이때, 상기 제 1실린더(20)의 내부에서 진행중이던 반죽물은 스크류축(21)에 의해 재반죽작용을 이룸과 동시에 강제적으로 밀려나가면서 스크류축(21)의 제 1테이퍼면(27)과 제 1실린더(20)의 제 2테이퍼면(38) 사이에서는 가압에 의한 기구적인 마찰열이 작용되어 반죽물을 익히게 되고, 이와 같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익혀진 반죽물은 상기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 선단에 형성된 배출구(25a)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25a)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압출판(25)을 반죽물이 통과하면서 면발형상으로 추출되어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면기는 적당한 형태로 제작된 프레임(10)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모터(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면기의 핵심적인 기술은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1차적으로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해 반죽물을 익힌 다음 2차적으로 반죽물을 익혀 제조하는 것과,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반죽물의 익히는 정도를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면을 익혀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은 프레임(10)의 상부 적당한 위치에 병렬로 나란히 배열된 제 1 및 제 2회전축(40)(42)으로 각각 동 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동력전달부재(40a)(42a)가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40)(42)에는 이후에 설명할 제면을 위한 기계요소들을 단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들을 결합.분리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요소들의 분리는 제면기내의 청소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40)(42)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 1 및 제 4실린더(20)(50)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지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 1실린더(20)의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는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이 투입되도록 호퍼(22)가 설치되고, 이 호퍼(22)를 갖는 내부에 전장길이로 설치되어 호퍼(22)로부터 투입된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축(21)의 후단이 상기 제 1회전축(4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22)의 소정 위치에는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끌어 내리기 위한 한쌍의 유입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실린더(20)의 끝부분에는 제 1실린더(20)의 내부를 통과한 반죽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25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실린더(20)는 일체 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 1실린더(20)내에 개재된 스크류축(21)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제 1회전축(40)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가열조절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조절수단(60)은 상기 스크류축(21)의 후방 내측에 스플라인홈(61)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홈(6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제 1회전축(40)의 선단에는 스플라인축(62)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스크류축(21)으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21)의 후방측 외측벽에는 외주연에 숫나사부(64)가 형성된 이동부재(63)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부재(63)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의 외측면에 고정되면서 스크류축(21)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베어링(65)이 개재된다.
상기 이동부재(63)의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64)에 나사체결되어 전.후이동되도록 내측에 암나사부(71)를 갖는 회전부재(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부재(70)의 암나사부(71)가 형성된 외주연에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고정되면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 2베어링(72)이 개재되고, 후방의 외주연에는 제 1기어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부재(70)의 제 1기어부(73)와 치합되도록 하부에 제 2기어부(81)를 갖는 핸들조작부(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류축(21)을 전.후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제 2회전축(42)에 수평방향으로 연이어지도록 제 4실린더(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4실린더(50)의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1실린더(20)의 배출구(25a)를 통해 추출되는 반죽물을 받아들여 제 4실린더(5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도록 제 1호퍼(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호퍼(53)를 갖는 제 4실린더(50)의 내부에는 전장길이로 설치되어 제 1호퍼(53)로 투입된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3스크류축(54)의 후단이 상기 제 2회전축(4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4실린더(50)의 끝부분에는 제 4실린더(50)의 내부를 통과한 반죽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1배출구(55)를 가지며, 이 제 1배출구(55)에는 반죽물을 가는 줄기 즉, 면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압출판(56)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실린더(50)는 일체 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제 1실린더(20)와 스크류축(21) 및 제 4실린더(50)와 제 3스크류축(54)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 1 및 제 4실린더(20)(50)를 분할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제 1실린더(20)는 제 2실린더(26), 제 3실린더(28) 그리고 헤드부(29)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제 4실린더(50)는 제 5실린더(51),제 6실린더(52) 그리고 제 1헤드부(57)로 분리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 1실린더(20)는 상기 프레임(10)과 별도의 제 1결속밴드(23)로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제 1실린더(20)가 분할되어 있는 제 2실린더(26) 및 제 3실린더(26), 헤드부(29)들은 각각의 연결부위들이 제 2,제 3결속밴드(30,32)들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9)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의 선단을 고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축수금구(34)가 설치되어 스크류축(21)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4실린더(50)는 상기 프레임(10)과 별도의 제 4결속밴드(58a)로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제 4실린더(50)가 분할되어 있는 제 5실린더(51) 및 제 6 실린더(52), 제 1헤드부(57)들은 각각의 연결부위들이 제 5,제 6결속밴드(58b,58c)들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헤드부(57)의 내부에는 상기 제 3스크류축(54)의 선단을 고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 1축수금구(59)가 설치되어 제 3스크류축(54)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3실린더(28)의 외주벽에는 제면기의 초기구동 또는 반죽물의 익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부(36)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열부(36)는 여러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히터식을 이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축(21)은 제 1 및 제 2스크류축(21a,21b)과, 이들 제 1 및 제 2스크류축(21a,21b)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제 1테이퍼면(27)을 가지며, 상기 제 1테이퍼면(27)의 전.후단에는 반죽물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홀(27a,2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실린더(20)로 이루어진 제 2 및 제 3실린더(26)(28)의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축(21)의 제 1테이퍼면(27)과 대응되도록 제 2테이퍼면(3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테이퍼면(27)과 제 2테이퍼면(38)사이의 간격에서 발생된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면기의 제면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미리 반죽된 반죽물을 호퍼(22)에 올려놓으면 호퍼(22)내에 설치된 한쌍의 유입롤러(24)에 의해 반죽물이 강제적으로 제 1실린더(20)내로 투입되고, 상기 제 1실린더(20)내로 투입된 반죽물은 구동모터(12)에 설치된 제 1동력전달부재(40a)와 연동 되어 회전되는 제 1회전축(40)에 일단이 결합된 스크류축(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 선단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실린더(20)의 내부에서 진행중이던 반죽물은 스크류축(21)에 의해 재반죽작용을 이룸과 동시에 강제적으로 밀려나가면서 스크류축(21)의 제 1테이퍼면(27)과 제 1실린더(20)의 제 2테이퍼면(38) 사이에서는 가압에 의한 기구적인 마찰열이 작용되어 반죽물을 익히게 되고, 이와 같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익혀진 반죽물은 상기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 선단에 형성된 배출구(25a)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테이퍼면(38)을 통과한 반죽물은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1차적으로 익혀진 상태에서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으로 공급됨에 따라 반죽물이 익으면서 발생된 수증기는 제 1실린더(20)의 전방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28a)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반죽물의 익힘정도를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25a)를 통해 공급된 반죽물은 1차적으로 익혀진 상태에서 다시 제 4실린더(50)의 제 1호퍼(53)측으로 투입되는데, 상기 제 1호퍼(53)를 통해 제 4실린더(50)의 내부로 공급된 반죽물은 상기 구동모터(12)에 설치된 제 2동력전달부재(42a)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2회전축(42)에 일단이 결합된 제 3스크류축(54)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4실린더(50)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 1배출구(55)로 밀어냄과 동시에 제 1배출구(55)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압출판(56)을 반죽물이 통과하면서 면발형상으로 추출되어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실린더(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축(21)의 후방에 설치되 어 스크류축(21)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 1 및 제 2테이퍼면(27)(38)의 간격을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의 익히는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가열조절수단(6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조작부(8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 핸들조작부(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핸들조작부(80)의 하부에 설치된 제 2기어부(81)가 회전되고, 상기 제 2기어부(81)에 치합된 회전부재(70)의 제 1기어부(73)도 회전을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70)의 제 1기어부(73)가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부재(7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71)와 체결되도록 숫나사부(64)를 갖는 이동부재(63)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된다.
상기 이동부재(63)의 내측에 개재된 제 1베어링(65)은 스크류축(21)의 외측면과 이동부재(63)의 내측면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부재(63)의 이동시 스크류축(21)을 함께 이동시키고, 스크류축(21)의 회전은 제 1베어링(65)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63)의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은 상기 회전부재(70)의 전방 외측면에 개재된 제 2베어링(72)이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회전부재(70)의 전.후이동은 제한되는 반면에 이동부재(63)의 숫나사부(64)가 회전되면서 전.후이동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크류축(21)의 후방과 제 1회전축(40)에는 각각 스플라인홈(61)과 스플라인축(62)이 상호 스플라인식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스크류축(21)의 전.후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1회전축(40)의 회전시 스크류축(21)도 함 께 연동되어 회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축(21)을 인위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2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테이퍼면(27)과 제 1실린더(20)의 제 2테이퍼면(38)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의 익힘상태를 손쉽게 조절하여 국수를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 4실린더(50)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반죽물은 제 3스크류축(54)에 의해 2차적으로 익혀지면서 배출됨에 따라 반죽물의 익힘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쌀을 주연료로 하여 면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고 기구적인 마찰열을 이용하여 익혀진 국수를 간단하게 제조함에 따라 섭취가 용이해져 식생활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취사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죽물을 1차적으로 익힌다음, 2차적으로 반죽물의 이동경로를 통과시킴으로써, 반죽물을 1,2차에 걸쳐 연속적으로 익힘에 따라 반죽물의 익힘이 증대되어 시식 및 취사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다른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익혀지는 반죽물의 익힘정도를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되는 국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구동모터를 가지며, 그 상부에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회전축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로 미분에 적당량의 반죽수가 배합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한쌍의 유입롤러를 갖는 호퍼 및 이 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키도록 제 1테이퍼면을 갖는 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스크류축의 제 1테이퍼면에 대응되어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해 반축물을 1차로 익히도록 제 2테이퍼면을 갖는 타측에 배출구를 갖는 제 1실린더;
    상기 제 1실린더의 내부에 개재된 스크류축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제 1 및 제 2테이퍼면의 기구적인 마찰열에 의한 반죽물의 익히는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가열조절수단;
    상기 프레임의 제 2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 1실린더의 배출구를 통해 추출된 반죽물을 받아들여 투입시키는 제 1호퍼 및 이 제 1호퍼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반죽물을 강제적으로 추출시켜 2차로 익히도록 제 3스크류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타측에 제 1배출구를 갖는 제 4실린더; 및
    상기 제 4실린더의 제 1배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반죽물을 가는 줄기형상으로 뽑아내는 제 1압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조절수단은
    상기 스크류축의 후방 내측에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도록 스플라인홈이 형성되고, 이 스플라인홈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지면서 회전력을 전달시키도록 상기 제 1회전축의 전방에 형성된 스플라인축;
    상기 스크류축의 후방측 외주연으로 제 1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연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숫나사부를 갖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체결되도록 전방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외측으로 제 2베어링이 개재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후방의 외주연에 제 1기어부를 갖는 회전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의 제 1기어부와 치합되도록 하부에 제 2기어부를 갖는 핸들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2테이퍼면을 통과한 반죽물이 추출되는 이송경로부위를 가열하여 반죽물을 익히도록 외주연에 가열부를 추가로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린더의 제 2테이퍼면을 통과한 반죽물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 1실린더의 전방측 외주연에 배출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기.
KR1020010060216A 2001-07-27 2001-09-27 제면기 KR10072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216A KR100720941B1 (ko) 2001-07-27 2001-09-27 제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5594 2001-07-27
KR1020010045594 2001-07-27
KR1020010060216A KR100720941B1 (ko) 2001-07-27 2001-09-27 제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202A KR20030011202A (ko) 2003-02-07
KR100720941B1 true KR100720941B1 (ko) 2007-05-22

Family

ID=2771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216A KR100720941B1 (ko) 2001-07-27 2001-09-27 제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96B1 (ko) 2010-01-21 2012-0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이물질 수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08B1 (ko) * 2008-05-06 2009-05-07 신진호 떡 제조장치
KR101719169B1 (ko) * 2014-11-25 2017-03-30 (주)환희 성형롤이 개선된 2단 압출 면성형기
CN106212586B (zh) * 2016-05-25 2018-08-21 张新 一种馅心面条饸饹机
CN106386945B (zh) * 2016-05-25 2018-08-24 张新 一种馅心及双色面条饸饹机
KR102033677B1 (ko) * 2018-10-31 2019-11-08 연동건 면 제조장치
CN112136847B (zh) * 2019-06-27 2022-03-1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可靠的面食机
KR102496939B1 (ko) * 2020-08-04 2023-02-06 용 석 장 스크류 제면기 및 그 스크류 제면기를 이용한 반죽 호화 방법
KR102496940B1 (ko) * 2020-08-18 2023-02-06 용 석 장 스크류 제면기의 비접촉식 반죽 백워드 방지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922A (ja) * 1992-04-07 1993-11-02 Tsurumi Soda Co Ltd 植物性資材の糊化装置
JPH1056943A (ja) * 1996-08-16 1998-03-03 Rotsukatei Seika Kk 焼き食品製造装置
KR0116425Y1 (ko) * 1995-03-31 1998-04-20 김태룡 곡류 제면기
KR200174424Y1 (ko) * 1999-10-19 2000-03-15 전문기 국수 제조장치
KR200208363Y1 (ko) * 2000-07-25 2000-12-15 주식회사태화정공 식품 압출기
KR200242212Y1 (ko) * 2001-05-28 2001-10-15 전계완 국수 제조기
KR20010094346A (ko) * 2000-04-06 2001-10-31 변승현 옥수수 국수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 국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922A (ja) * 1992-04-07 1993-11-02 Tsurumi Soda Co Ltd 植物性資材の糊化装置
KR0116425Y1 (ko) * 1995-03-31 1998-04-20 김태룡 곡류 제면기
JPH1056943A (ja) * 1996-08-16 1998-03-03 Rotsukatei Seika Kk 焼き食品製造装置
KR200174424Y1 (ko) * 1999-10-19 2000-03-15 전문기 국수 제조장치
KR20010094346A (ko) * 2000-04-06 2001-10-31 변승현 옥수수 국수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 국수
KR200208363Y1 (ko) * 2000-07-25 2000-12-15 주식회사태화정공 식품 압출기
KR200242212Y1 (ko) * 2001-05-28 2001-10-15 전계완 국수 제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96B1 (ko) 2010-01-21 2012-01-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이물질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202A (ko)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41B1 (ko) 제면기
US5667833A (en) Manufacture of pasta
US201100915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CN200990840Y (zh) 变频调速捏合式饺子自动成型机
KR20120052115A (ko)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KR101433505B1 (ko) 국수 제조장치
JPS5910211B2 (ja) 練り粉類の家庭用調合・押出し装置
CN111374158A (zh) 一种饺子生产加工机
CN105901044A (zh) 一种食品加工机
CN108576108A (zh) 旋转折叠揉面机
CN108684768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挡面装置
KR20200102296A (ko) 압출 제면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면
CN108684767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折叠旋转机构
JP6296756B2 (ja) 線状の模様を有する複合食品生地片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1867Y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TW200305375A (en) An expanded sna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80001258A (ko) 일밥 성형장치
KR200242212Y1 (ko) 국수 제조기
KR101372228B1 (ko) 압출형 제면 방법
KR100340676B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239788Y1 (ko) 국수제조기
CN215914342U (zh) 一种多功能自动制饼机
CN108684765A (zh) 旋转折叠揉面机的面坯输出机构
KR200346481Y1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CN108684766A (zh) 旋转折叠揉面机的漏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