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424Y1 - 국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국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424Y1
KR200174424Y1 KR2019990022462U KR19990022462U KR200174424Y1 KR 200174424 Y1 KR200174424 Y1 KR 200174424Y1 KR 2019990022462 U KR2019990022462 U KR 2019990022462U KR 19990022462 U KR19990022462 U KR 19990022462U KR 200174424 Y1 KR200174424 Y1 KR 200174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ugh
screw shaft
hopp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문기
Original Assignee
전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문기 filed Critical 전문기
Priority to KR2019990022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4/00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호퍼로부터 스크류축으로 공급되는 반죽을 다공의 노즐캡으로 압출하여 국수를 제조하는데에 있어서 반죽의 이송로에 히터를 구비하여 가열함으로써 익혀진 국수를 제조하는 국수제조기계.

Description

국수 제조장치{NOODLE MANUFACTURING DEVICE}
본 고안은 국수 제조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류에 의해 반죽을 이송 압축 시키며 가열수단으로 국수가 익혀진 상태로 나오게 하는 국수제조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국수제조 기계로는 성형롤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압입시켜 가늘고 긴 국수를 뽑는 것이 있고, 모터로 중공의 원통 내부의 스크류축을 회전시키고 중공의 원통 내부에 밀가루 반죽을 공급하여 밀가루 반죽이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여 스크류축 전방의 다공판에 의해 국수로 나오게 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국수 제조기계는 단순히 밀가루 반죽으로부터 가는 면발을 형성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고 가열되어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국수를 익히기 위한 별도의 조리공정이 필요하고 조리를 하기 위한 준비과정 등, 별도의 시간과 에너지가 소비되었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주방에서 국수를 익히는 열에 의한 실내온도의 상승으로 불편함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밀가루 등 각종 곡물의 반죽으로부터 국수를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종래의 국수제조기계로는 달성될 수 없는 익혀진 국수를 제조하는 국수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얻을 수 있어 국수 조리에 따른 별도의 조리공정이 불필요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여름철 주방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국수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풀리와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을 수용하는 축 케이싱과 축 케이싱에 연결된 가압호퍼와 축 케이싱에 구비된 고주파 코일 히터와 축 케이싱 하부의 노즐캡으로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가압호퍼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고주파 코일이 설치된 축케이싱은 몸체에 조립되고, 축케이싱 내부의 스크류축은 몸체에 결합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축케이싱의 하부에는 다공의 노즐캡이 조립되어 국수의 출구를 형성한다.
가압호퍼에 반죽을 공급하여 가압하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반죽은 축케이싱 내의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고 축케이싱에 구비된 고주파코일에 의해 가열되어 익혀지며 축케이싱의 하부에 조립된 노즐캡의 구멍으로 반죽이 압출된다.
스크류축의 중앙축부는 호퍼와 가까운 부분에서는 직경이 작고 호퍼와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져, 즉 축케이싱과 스크류 축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스크류축이 회전하면서 반죽이 압축을 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반죽은 상기 압축력에 의한 가열도 또한 받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축의, 호퍼의 위치와 반대쪽 끝단부에서는 스크류날개가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축의 정방향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 부분과 역방향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 부분 사이에 반죽의 정체공간이 형성되며, 바로 그 하부가 다 공의 노즐캡이 축케이싱에 조립되는 위치이다.
반죽을 가열하는 히터로는 고주파 히터, 전기 밴드 히터 또는 스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빠른 예열로 반죽이 들러붙지 않도록 고주파 코일히터와 스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국수제조장치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국수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노즐캡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베이스
10 : 구동모터 11 : 풀리
12 : 벨트 20 : 가압호퍼
21 : 덮개 22 : 가압판
23 : 핸들 24 : 나사축
25 : 너트홀 30 : 스크류축
30a : 중앙축부 30b, 30c : 스크류축 날개
32 : 베어링 33 : 축케이싱
34 : 고주파 코일 히터 35 : 보호케이스
36, 36a : 노즐캡
100 : 국수제조기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국수제조기계(100)는 몸체(1), 구동모터(10), 풀리(11)와 벨트(12), 가압호퍼(20), 스크류축(30), 베어링(32), 축 케이싱(33), 고주파 코일 히터(34), 보호케이스(35), 노즐캡(36)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2)에 입설되는 상기 몸체(1)의 내부에 구동모터(10)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축에 풀리(11)와 벨트(12)가 장착된다.
상기 풀리(11)와 벨트(12)에 몸체(1)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베어링(32)으로 지지된 스크류 축(30)의 일측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12)는 V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 등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체인 및 치차구동도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 축(30)의 둘레에는 중공의 원통 모양의 축 케이싱(33)이 조립되며 상기 축케이싱(33)의 일측 상부에는 가압호퍼(20)가 축케이싱(3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호퍼(20)에는 덮개(21)가 힌지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가압판(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판(22)은 나사축(24)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축(24)은 덮개(21) 중앙의 너트홀(25)를 통해 외부로 관통되어 핸들(23)에 연결되어 있다.
축케이싱(33)에는 도면과 같이 수개의 고주파 코일 히터(34)가 축 케이싱(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층으로 구비되어 지고, 축 케이싱(33)의 타측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공의 노즐캡(36)이 축 케이싱(33)의 하부에 조립된다.
또한 축케이싱(33)과 고주파 코일 히터(34)의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부를 구비한 보호케이스(35)가 조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 코일(34)을 대신하여 스팀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축 케이싱(33)의 외측면에 증기 혹은 끊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이 통로에 증기 등을 유입시켜 케이싱(33) 내부를 통과하는 반죽이 익혀지도록 하고, 사용 후 에는 냉수를 통과시켜 급냉시킴으로써, 케이싱(33)의 내주면에 반죽이 점착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축케이싱(33) 내부의 스크류축(30)은, 가압호퍼(20)와 멀어질수록 중앙축부(30a)가 점점 굵어지는 형태이고, 노즐캡(36)이 조립된 위치를 지나서는 상기 스크류축(30)의 날개(30c)가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주파 코일 히터(34)는 최소 3개 이상이 구비되며, 곡물의 종류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고, 설치 간격 또한 국수의 재질에 따라 선택된다.
또한 상기 노즐캡(36)은 도 3 과 같이 다수의 구멍(36a)을 가진 것으로, 국수의 재질과 압력에 비례하여 구멍의 내경 및 갯수가 결정되며, 도면과 같이 구멍 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직사각 혹은 삼각 등 다양한 모양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구동모터(10)가 회전하면 풀리(11)와 벨트(12)를 통해 구동력이 스크류 축(30)에 전달되어 스크류 축(30)이 회전하게 된다.
축 케이싱(33) 상부의 호퍼(20)에 공급된 반죽은 핸들(23)의 조작에 따른 가압판(22)의 작동으로 하부의 축케이싱(33) 내부로 공급되고, 반죽은 다시 스크류 축(30)의 회전과 함께 축 케이싱(33) 내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지고 축 케이싱을 따라 구비된 고주파 코일 히터(34)에 의해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반죽은 노즐캡(36)의 구멍을 통해 익혀진 국수로 제조되어 압출된다.
또한 여기에서, 스크류축(30)의 중앙축부(30a)가 점점 굵게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축(30)과 축케이싱(33) 사이의 공간이 점점 작아지므로, 반죽이 스크류축(30)을 따라 이동할때 상대적으로 압축력을 받아 열이 발생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으며, 반죽은 노즐캡(36) 위치의 우측부분에 형성된 스크류축(30)의 역방향 날개(30c)에 의해 노즐캡(36)의 상부위치에서 정체되면서 부가적인 압축을 받으며 노즐캡(36)으로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캡(36)은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의 구멍을 가진 것 또는 다른 크기의 구멍을 가진 것으로 교체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국수제조기계는 반죽을 스크류 축의 회전을 통해 압출하면서 국수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을 가하여 국수가 익혀진 상태로 나오게 되어 그 후의 조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또한 별도의 조리준비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2)

  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축이 축케이싱 내부에 장착되어 호퍼에 공급되는 반죽을 밀어내며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 내에 구비된 가압판을 강제로 이동시켜 반죽을 축케이싱 측으로 밀어 넣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 축의 중앙축부는 호퍼와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고, 스크류 축의 타측 끝단부는 날개가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날개가 정방향으로 형성된 부분과의 사이에 반죽의 정체공간을 형성하여 그 직하방에 설치된 다공의 노즐캡을 통해 반죽이 빠져나오되, 축케이싱의 외주에 고주파 코일을 구비하여 국수가 익혀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국수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케이싱의 외주면에 수증기 혹은 끊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이 수증기 및 끊는 물에 의해 국수가 익혀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국수제조장치.
KR2019990022462U 1999-10-19 1999-10-19 국수 제조장치 KR200174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62U KR200174424Y1 (ko) 1999-10-19 1999-10-19 국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62U KR200174424Y1 (ko) 1999-10-19 1999-10-19 국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424Y1 true KR200174424Y1 (ko) 2000-03-15

Family

ID=1959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462U KR200174424Y1 (ko) 1999-10-19 1999-10-19 국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4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65A (ko) * 2001-06-11 2001-08-22 류성춘 즉석제떡 제면기
KR100720941B1 (ko) * 2001-07-27 2007-05-22 관 욱 김 제면기
KR100935807B1 (ko) * 2009-06-30 2010-01-07 이순석 떡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065A (ko) * 2001-06-11 2001-08-22 류성춘 즉석제떡 제면기
KR100720941B1 (ko) * 2001-07-27 2007-05-22 관 욱 김 제면기
KR100935807B1 (ko) * 2009-06-30 2010-01-07 이순석 떡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424Y1 (ko) 국수 제조장치
CN109169984A (zh) 一种高效翻动茶叶杀青装置
US2842072A (en) Food processing machine
KR100935807B1 (ko) 떡 제조장치
CN201108003Y (zh) 多功能烤薯机
KR100439741B1 (ko) 컨벡션 오븐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CN215250684U (zh) 一种花生油生产用花生蒸炒装置
KR20010081721A (ko) 자동팝핑장치
CN209677250U (zh) 一种茶叶翻炒装置
US7677164B2 (en) Pressurized reactor for food processing
CN210220488U (zh) 一种滚筒式电磁感应加热炒干机
CN211407501U (zh) 一种豆制品加工用烘干装置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0574374B1 (ko) 전병제조장치
CN211503525U (zh) 一种硅土母粒的烘干系统
KR200242212Y1 (ko) 국수 제조기
CN201004951Y (zh) 蛋糕焙烤机
KR200208363Y1 (ko) 식품 압출기
CN209825108U (zh) 一种小型餐粉机
KR200287909Y1 (ko) 컨벡션 오븐
SU1620089A1 (ru) Экструдер
KR200239788Y1 (ko) 국수제조기
CN112535258B (zh) 全自动连续膨化系统及控制方法
CN220750640U (zh) 一种预合金粉的低温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